KR102300040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040B1
KR102300040B1 KR1020170030164A KR20170030164A KR102300040B1 KR 102300040 B1 KR102300040 B1 KR 102300040B1 KR 1020170030164 A KR1020170030164 A KR 1020170030164A KR 20170030164 A KR20170030164 A KR 20170030164A KR 102300040 B1 KR102300040 B1 KR 102300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e
display module
space
closed sp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347A (ko
Inventor
오홍렬
김진욱
장혁
김중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040B1/ko
Priority to PCT/KR2018/002218 priority patent/WO2018164400A1/en
Priority to CN201880016963.7A priority patent/CN110431925B/zh
Priority to EP18763741.8A priority patent/EP3593606B1/en
Priority to US15/912,399 priority patent/US10485148B2/en
Publication of KR2018010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6Airflow channels, e.g. constructional arrangements facilitating the flow of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적인 방열을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이 노출되는 제1 폐공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이 노출되는 제2 폐공간으로 구획하고, 일 단면에 대해 상기 제1 폐공간은 상기 제2 폐공간에 둘러 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방열 구조를 고려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하나의 기구적 단위를 의미한다.
일부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대형 인치의 디스플레이를 실장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많거나 주변의 온도 차가 큰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환경조건 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충분한 야외 시인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휘도가 높아야 하며, 외부의 높은 온도에 그대로 방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구동에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방열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대표적으로 공랭식 및 수냉식이 있으며, 또 다른 형태로 히트 파이프 등을 이용한 접촉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열 냉각 방식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방열 방식 중 공랭식은 외부의 공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그대로 유입되되 필터를 이용하여 먼지 및 유입물을 걸러내는 직접 냉각 방식, 또는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장치 외부 공기와 장치 내부 공기를 원칙적으로 차단하여 서로 열 교환만 발생시키는 간접 냉각 방식이 있다.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많은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상 간접 냉각 방식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다만 간접 냉각 방식은 열 발생 영역과 외부 공기가 직접적으로 열교환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방열 효율이 문제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 패널에서 발생하는 열,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열 및 기타 전자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 등 복수의 지점에서 높은 열이 발생하므로 이를 하나의 순환구조로 구성하는 경우 열교환 하지 못한 내부 공기가 그대로 다른 발열 영역을 지나게 되므로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열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 또는 외부 구조를 통한 공기 순환 방식 또는 공기 순환 구조의 구체화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이 노출되는 제1 폐공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이 노출되는 제2 폐공간으로 구획하고, 일 단면에 대해 상기 제1 폐공간은 상기 제2 폐공간에 둘러 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2 영역이 외부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개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홀은 상기 제1 폐공간 및 상기 제2 폐공간 사이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부 케이스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홀의 입구는 상기 복수의 외측면 중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홀의 출구는 상기 복수의 외측면 중 또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홀의 입구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홀의 출구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개구홀의 입구와 출구를 구획하는 격막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격막 브라켓은 상기 제1 개구홀이 'ㄷ'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격막 브라켓은 상기 제1 개구홀의 입구 방향과 상기 제1 개구홀의 출구 방향을 벌리는 분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홀은, 외부 유로의 진행 방향을 꺾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이 노출되는 제1 폐공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이 노출되는 제2 폐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3 영역이 외부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개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홀은 상기 제1 폐공간에 둘러쌓여 상기 제1 폐공간이 폐쇄 루프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4 영역이 외부 유로를 형성 중 하는 제3 개구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개구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과 접하는 제1 방열부, 상기 제1 방열부와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의 배면에 구비된 제2 방열부 및 일 영역에서 상기 제1 방열부와 상기 제2 방열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 공간과 상기 이격 공간을 순환하는 폐쇄 루프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개구홀 입구 공기와 출구 공기가 섞일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자연 대류와 강제 대류의 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개구홀의 입구 및 출구가 외부에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일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일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9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일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모든 장치를 통칭한다. 대표적인 예로, 디지털 TV, 아날로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옥외 형 함체에 설치되는 사이니지와 같은 중형 내지 대형 출력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외 광고판 등을 예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옥외 형 함체에 설치되는 사이니지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초점을 두어 개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단면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20) 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열이 발생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20) 배면에서는 백라이트 유닛부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제어부 등의 구성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20) 전면과 배면이 노출되는 각 공간을 구분하지 않고 방열하는 경우 각 영역에서의 열이 다른 영역으로 유입되어 방열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및 문제점을 반영하여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영역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키는 방열 구조를 구현한다.
외부 케이스(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0)는 외부 공간(10)으로부터 밀폐된 내부 공간(150)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131)은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과 외부 케이스(110)의 일 영역을 연결하여 내부 공간(150)을 디스플레이 모듈(120) 전면이 노출되는 전면 공간(1511)과 디스플레이 모듈(120) 배면이 노출되는 배면 공간(151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격벽(131)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150) 중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배면이 노출되는 공간을 제1 폐공간(1521),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이 노출되는 공간을 제2 폐공간(1522)으로 정의한다.
전면 공간(1511)의 공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아 외부 케이스(110) 바깥의 외부 공간(10)의 공기와 열전달을 수행하고, 배면 공간(1512)의 공기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배면, 구동부 또는 제어부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아 외부 케이스(110) 바깥의 외부 공간(10)의 공기와 열전달을 수행한다.
전면 공간(1511)의 공기는 외부 공간(10) 또는 배면 공간(1512)과 열교환을 할 뿐 서로 섞이지 않으며, 배면 공간(1512)의 공기 또한 외부 공간(10) 또는 전면 공간(1511)과 열교환을 할 뿐 서로 섞이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단면 개념도이다.
본 실시 예는 도 1의 실시 예와 유사하나, 전면 공간(1511)이 외부 공간(10)에 노출이 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열만 전달하는 간접 냉각 보다 매질 자체가 외부 공간(10)과 섞이는 직접 냉각이 방열 효율이 뛰어나다는 점을 이용하여, 열 발생이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나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 영역에 대해 직접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0)는 외부 공기가 전면 개방 공간(1513)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111) 및 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111)와 유출구(1112)는 원할한 공기 유동을 위해 충분히 이격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111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 케이스(110)의 좌측면에 구비된 경우, 유출구(1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 케이스(110)의 우측면에 구비되어 전면 공간(1511) 내부가 최대한 공기 유동의 영향을 받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온도차에 의한 공기의 밀도를 고려할 수도 있다.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는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유입구(111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 케이스(110)의 하단에, 유출구(1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 케이스(110)의 상단에 구비할 수 있다.
유입구(1111)와 유출구(1112)는 상이한 온도에 따른 공기 밀도차를 근거로 한 자연 대류 할 수도 있으며, 또는 팬의 구비에 의해 강제 대류 될 수도 있다.
다만 외부 공간(10)의 공기가 전면 공간(1511)에 유입된다는 점에서 외부 공간(10)의 먼지 유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입구(1111) 또는 유출구(1112)에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11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단면 개념도이다.
본 실시 예는 도 1의 실시 예와 달리 제1 폐공간(1521)이 제2 폐공간(1522)에 의해 둘러 싸인다. 이러한 형태는 내부 케이스(132)가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외부 케이스(110)가 형성한 내부 공간(150)에 실장 되고 내부 케이스(132)는 제1 폐공간(1521)과 제2 폐공간(1522)을 구획하되, 제1 폐공간(1521)이 제2 폐공간(1522)에 의해 둘러 싸이도록 구조를 갖는다.
제2 폐공간(1522)이 제1 폐공간(1521)을 감싸는 경우, 제2 폐공간(1522)은 외부 케이스(11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150) 중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20) 전면에서 발생하는 열이 배면에서 발생하는 열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본 실시 예와 같이 제2 폐공간(1522)의 방열 성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폐공간(1522)의 방열은 상술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통해, 그리고 외부 공간(10)과의 직접적인 열교환을 통해 구현되어 방열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
내부 케이스(132)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결합하여 제2 폐공간(1522)과 제1 폐공간(1521)을 구획하고, 제2 폐공간(1522)이 제1 폐공간(1521)을 둘러싸는 형상을 형성하도록 한다.
제2 폐공간(1522)은 제1 폐공간(1521)의 둘레를 순환하는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한다. 즉, 폐쇄 루프를 형성하는 제2 폐공간(1522)의 공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곽 영역을 순환하면서 열을 분산시키고, 동시에 외부 공간(10)으로 방열함으로써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특징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3차원 전 영역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특징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종단면 또는 일 횡단면을 도시한 것일 수 있고, 또는 제1 폐공간(1521)은 일 종단면이고, 제2 폐공간(1522)은 일 횡단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즉, 공간 간의 밀폐 여부 및 공기 순환 경향을 나타낸 것일 뿐 정확하게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3의 실시 예는 제2 폐공간(1522)의 공기만이 외부 공간(10)에 직접적으로 방열을 하며, 제1 폐공간(1521)의 공기는 외부 공간(10)에 직접적으로 방열하지 못하고 제2 폐공간(1522)을 통해 간접적으로 방열 한다.
따라서 제1 폐공간(1521)에 많은 열이 전달되는 경우 외부 공간(10)이 아닌 제2 폐공간(1522)에 방열하므로 비효율적인 방열 효과를 가져온다.
도 4의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제2 폐공간(1522)에 둘러싸인 제1 폐공간(1521)도 외부 공간(10)과 직접적으로 열교환을 수행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제1 개구홀(160)은 외부 공간(10)과 연결되는 외부 유로를 형성하고,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구홀(16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통하나, 내부 공간(150)과 구획된다. 즉, 외부 케이스(110)의 외측면 제1 영역(1101)과 내부 케이스(132)의 외측면 제2 영역(1321)이 제1 개구홀(16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구홀(160)은 제1 폐공간(1521) 및 제2 폐공간(1522) 사이를 지난다. 따라서 제1 폐공간(1521)의 공기는 제1 개구홀(160)을 지나는 외부 유로의 공기에 방열하고, 제2 폐공간(1522)의 공기는 제1 개구홀(160)을 지나는 외부 유로의 공기 및 제1 개구홀(160)이 아닌 외부 공간(10)의 공기에 모두 방열한다.
도 3의 실시 예의 장점과 더불어 제1 폐공간(1521)의 열을 외부 공간(10)으로 직접적으로 방열한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공간(10)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면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는 제2 폐공간(1522)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10)의 영역만 외부 공간(10)에 노출되는데 반해, 도 4의 실시 예는 제2 폐공간(1522)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10)의 영역뿐만 아니라 제1 개구홀(160)의 영역 또한 외부 공간(10)에 노출된다.
제1 개구홀(160)을 지나는 외부 공기의 충분한 유속 형성을 위해 외부 팬이 구비될 수 있다. 외부팬에 의한 강제 대류는 제1 개구홀(160)의 입구와 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설명하는 모든 개구홀은 별도의 팬의 구비 없이 자연 대류 할 수도 있고, 또는 팬의 구비를 통해 강제 대류 할 수도 있다. 외부 팬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공간(10)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내부 팬과 역할에서 구분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일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 사시도를, 도 6은 도 5의 A-A' 방향 단면도를,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배면 프레임(114)을 제거한 상태를, 도 8은 전면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을 제거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케이스(110)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외측면에 의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100f)으로 정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바닥에 지지되는 면을 하면(100b)으로 정의한다.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와 출구(162)는 외부 케이스(110)의 복수의 외측면 중 일면 및 또 다른 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입구(161)와 출구(162)가 서로 다른 면에 구비되는 경우 열을 전달받아 나온 출구(162)의 공기가 입구(161)로 다시 유입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와 출구(162)는 외부 케이스(110)의 일면과 일면이 마주하는 타면에 일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면과 타면에 일직선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개구홀(160)은 냉매가 제1 개구홀(160)을 빠르게 지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잡한 형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난류 발생 여지를 최소화 한다.
제1 개구홀(160) 상에 외부 팬(142)을 구비함으로써 강제 대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면에 구비되고 출구(16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경우,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는 자연 대류의 효과까지 더해 높은 방열 효율을 얻을 수 있다.
LCD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120)에는 백라이트 유닛부가 구비되며, 백라이트 프레임(121)은 백라이트를 실장함과 동시에 보호하는 역할을 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최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미들 프레임(1331)은 디스플레이 모듈(120) 배면 또는 백라이트 프레임(121) 배면에 구비되어 제1 개구홀(160)의 전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미들 프레임(1332)은 외부 케이스(11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미들 프레임(1331)은 도 4의 내부 케이스(132) 제2 영역(1321)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미들 프레임(1332)은 외부 케이스(110) 제1 영역(110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개구홀(160)은 제1 미들 프레임(1331)과 제2 미들 프레임(1332)에 의해 내부 공간(150)과 구획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부 및 제어부 등의 전자 부품은 백라이트 프레임(121)과 제1 미들 프레임(1331)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미들 프레임(1332)과 배면 프레임(114)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백라이트 프레임(121)이 제1 미들 프레임(1331)의 역할을 하여 백라이트 프레임(121) 배면이 제1 개구홀(160)의 외부 공간(10)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제1 개구홀(160)은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배면 영역과 최대한 열교환 하도록 넓은 면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부로 인한 디스플레이 모듈(120) 배면의 발열 영역은 넓게 형성되므로 제1 개구홀(160)도 넓게 형성되어 발생된 열이 효과적으로 제1 개구홀(160)의 외부 공간(10)으로 방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개구홀(160)의 외부 공간(10)을 형성하는 제1 미들 프레임(1331) 및 제2 미들 프레임(13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평면 방향인 x-y 평면에 대해 넓게 퍼져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는 외부 팬(142)의 구비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전후 방향으로 충분한 폭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단면적과 백라이트 영역 단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개구홀(160)을 지나는 공기가 흐르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미들 프레임(1331) 및 제2 미들 프레임(1332)이 제1 개구홀(160)의 형성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케이스(110) 일단에서 타단까지 형성된 경우 폐쇄 루프의 형성을 위한 상단 관통홀(1341) 및 하단 관통홀(134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폐공간(1522)은 제1 폐공간(1521)을 둘러싸 순환하는 폐쇄 루프(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120)전면에서 발생한 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 공간(1531)의 내부 공기에 전달되고, 열전달 받은 공기는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된 일측 관통홀(1342)을 지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 공간(1532)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 외부 공간(10)의 공기 및 제1 개구홀(160)을 지나는 외부 공간(10)의 공기와 동시에 열교환을 수행하여 빠른 속도로 방열을 수행할 수 있다.
방열된 공기는 미들 프레임(133)의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된 타측 관통홀(1341)을 지나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공간(1531)으로 유입되면서 폐쇄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원활한 공기 유동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폐공간(1522)의 일 영역에 내부 팬(141)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 공간(1531)에서의 온도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배면 공간(1532)에서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 공간(1531)의 내부 공기는 상단 관통홀(1341)로 자연 대류 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팬(141)은 전면 공간(1531), 상단 관통홀(1341), 배면 공간(1532) 및 하단 관통홀(1342) 순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강제 대류 시키는 것이 방열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사이에는 여유 공간을 구성하기 어려우므로 내부 팬(14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 공간(1532)에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폐공간(1521)은 제1 미들 프레임(1331)과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백라이트 프레임(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폐공간(1521)은 백라이트 유닛부에서 발생한 열을 백라이트 프레임(121)을 통해 전달받아 제1 개구홀(160)의 외부 공간(10)으로 방열한다.
구동부 또는 제어부가 제1 폐공간(1521)에 구비된 경우 구동부 또는 제어부로부터 발생한 열도 제1 개구홀(160)의 외부 공간(10)으로 방열할 수 있다.
제1 폐공간(1521)은 순환 브라켓(135) 및 내부 팬(141)을 구비하여 폐쇄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전후 폭이 얇고 넓이가 상대적으로 넓은 형상의 제1 폐공간(1521)인 경우 폐쇄 루프는 전면에 평행한 원형의 폐쇄 루프를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폐쇄 루프의 구성을 위해, 제1 폐공간(1521)을 가로지르는 순환 브라켓(135) 및 순환 브라켓(135)에 구비된 내부 팬(141)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종 방향으로 순환 브라켓(135)이 구비된 경우, 내부 팬(141)은 순환 브라켓(135)의 위 아래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에 구비된 내부 팬(141)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유량을 형성하는 경우, 하단에 구비된 내부 팬(141)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유량을 형성하여 제1 폐공간(1521) 전체가 하나의 루프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폐공간(1521)에 내부 팬(141)을 구비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제1 폐공간(1521)에 발생하는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및 출구(162)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외측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는 복수의 외측면 중 일면에 형성되고, 출구(162)는 외측면 중 또 다른 일면에 형성한다.
반면, 도 9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시 예는 제1 개구홀(160)의 입구 및 출구가 복수의 외측면 중 동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개시한다.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와 출구(162)가 동일면에 구비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서 제1 개구홀(160)의 총 경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1 개구홀(160)은 격막 브라켓(163)에 의해 일부 경로인 제1 방열부(1601)와 나머지 일부 경로인 제2 방열부(160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방열부(1601)에서는 공기가 제1 방향으로 진행하고 제2 방열부(1602)에서는 공기가 제2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일 단면을 기준으로 공기 유량이 나오는 방향을 'O'로 표시하고, 공기 유량이 들어가는 방향을 'X'로 표시한다. 도 9와 같이 제1 방열부(1601)가 'O'의 공기 유량을 갖고, 제2 방열부(1602)가 'X'의 공기 유량을 갖도록 구비되는 경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반대가 된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다른 특징은 도 4 내지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일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단면을,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별도로 설명하는 특징 외에는 도 4 내지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사한 형태를 띨 수 있으며, 배치되지 않는 특징 범위 내에서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및 출구(1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및 출구(1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와 출구(162)는 동일면에서 인접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격막 브라켓(163)은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및 출구(162)를 구획한다. 격막 브라켓(163)에 의해 구획된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를 지난 공기는 상단까지 상승하여 제1 개구홀(160)의 출구(162) 방향으로 꺾여 빠져 나올 수 있다.
격막 브라켓(163)의 열 전도율이 높은 경우, 격막 브라켓(16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는 방열판 역할을 수행하면서 전체 표면적을 넓혀 효과적인 방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및 출구(16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면(100b)에 구비되는 경우 외부 공간(10)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입구(161) 또는 출구(162)에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및 출구(16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하면(100b)에 구비되는 경우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공간(1531)과 배면 공간(1532) 중 열이 많이 발생하는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팬(142)에 의해서 상승하는 강제 대류의 방향과, 상대적으로 뜨거운 공기에 의해 상승하는 자연 대류의 방향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20)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는 경우,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및 출구(162) 중 입구(161)가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가까운 전면 공간(1531)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제1 개구홀(160)의 출구(162)가 입구(161)보다 전면 공간(1531)에 치우쳐 구비될 수도 있다. 입구(161)와 출구(162)의 위치는 외부 팬(142)이 입구(161)에 구비되거나 출구(162)에 구비됨으로써 변경될 수도 있고, 구비된 지점에서 팬의 회전 방향을 달리 함으로써 변경될 수도 있다.
가이드 브라켓(164)은 제1 개구홀(160)의 공기 경로를 안내한다. 특히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 방열부(1601)에서 제2 방열부(1602)로 방향이 바뀌는 영역에서의 공기 경로를 안내한다.
가이드 브라켓(164)은 격막 브라켓(163)과 함께 제1 개구홀(160) 전체가 'ㄷ'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ㄷ' 형상의 제1 개구홀(160)은 상술한 1회 꺾인 제1 개구홀(160)의 형상에 있어서 공간대비 방열 효율이 높은 일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도 11의 실시 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일면에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및 출구(162)가 구비되는 경우, 특히 입구(161) 및 출구(162)가 인접하여 구비되는 경우 출구(162)를 통해 빠져나온 가열 공기가 외부 공간(10)으로 방사되지 않고 다시 입구(161)로 유입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 격막 브라켓(163)은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방향과 제1 개구홀(160)의 출구(162) 방향을 벌리는 분기 브라켓(165)을 구비할 수 있다. 분기 브라켓(165)은 외부 공간(10)으로부터 입구(161)를 향하는 방향과 외부 공간(10)으로부터 출구(162)를 향하는 방향이 동일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분기 브라켓(165)은 외부 공간(10)에서 입구(161)를 향하는 방향과 외부 공간(10)에서 출구(162)를 향하는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공기의 유입 및 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입구(161)와 출구(162)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앞선 실시 예들은 제1 개구홀(160)이 일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1회 꺾여 동일면에 입구(161) 및 출구(162)가 형성 되는 것을 개시하였다.
반면, 도 13의 실시 예는 제1 개구홀(160)의 경로가 적어도 2회 꺾이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 및 출구(1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구비되어 제1 개구홀(160)의 출구(162)로 유출된 공기가 제1 개구홀(160)의 입구(161)로 다시 유입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일 형태로, 제1 개구홀(160)은 'S' 형상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2회 꺾인 제1 개구홀(160)의 경로는 세 영역의 경로인 제1 방열부(1601), 제2 방열부(1602) 및 제3 방열부(1603)를 포함할 수 있다. 세 영역의 경로는 서로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방열부(1601), 제2 방열부(1602) 및 제3 방열부(1603)는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개구홀(160)과 구분되는 일 형태의 개구홀을 제2 개구홀(170)로 정의한다.
제2 개구홀(17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통하는 외부 유로를 형성한다. 제2 개구홀(170)은 외부 케이스(110)의 외측면 제3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제1 개구홀(160)이 제1 폐공간(1521) 및 제2 폐공간(1522)에 의해 둘러싸인 특징과 달리, 도 14의 실시 예에서는 제2 개구홀(170)이 제1 폐공간(1521)에 의해서만 둘러싸여 폐쇄 루프를 형성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면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은 제2 폐공간(1522)의 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을 통해 방열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배면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은 제1 폐공간(1521)의 열은 폐쇄 루프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측 외부 공간(10) 및 제2 개구홀(170)을 지나는 외부 공간(10)에 방열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제2 개구홀(170)은 제1 폐공간(1521)의 방열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제3 개구홀(18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통하는 외부 유로를 형성한다. 제3 개구홀(180)은 외부 케이스(110)의 외측면 제4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방열부(1601, 1602, 1603)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방열부와 이격된 제3 개구홀(180)의 형태를 띤다. 이격된 방열부 사이는 연결부를 통해 이어질 수 있다. 연결부는 'ㄷ' 형상의 외부 유로 중 이어지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열부(1601)가 외부 케이스(110)의 배면 일 영역을 형성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 방향에 구비되고, 제2 방열부(1602)는 제1 방열부(1602)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3 개구홀(180)의 경우 제1 방열부(1601)와 제2 방열부(1602)를 최대한 이격시켜 출구를 통해 빠져나온 가열된 공기가 입구로 다시 유입될 가능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 영역에 치우쳐 구비된 방열부를 제1 방열부(1601)라고 하고 제1 방열부(1601)의 일 단에 제3 개구홀(180)의 출구가 구비되었다고 가정할 때, 제3 개구홀(180)의 외부 유로는 출구를 통해서 가열된 공기를 내보낼 뿐만 아니라 제1 방열부(1601) 외측면을 통해 외부 공간(10)의 공기와 열전달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내부 공간 중 제2 폐공간(1522)은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 공간(1531)과 개구홀 이격 공간(1533)을 순환하는 폐쇄 루프를 형성하여 발생한 열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외부 공간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0f: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 100b: 디스플레이 장치 하면
110: 외부 케이스 1101: 외부 케이스 제1 영역
1111: 유입구 1112: 유출구
113: 이물질 유입 방지 필터 114: 배면 프레임
120: 디스플레이 모듈 121: 백라이트 프레임
131: 격벽 132: 내부 케이스
1321: 내부 케이스 제2 영역 133: 미들 프레임
1331: 제1 미들 프레임 1332: 제2 미들 프레임
1341: 상단 관통홀 1342: 하단 관통홀
135: 순환 브라켓 141: 내부팬
142: 외부팬 150: 내부 공간
1511: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 공간
1512: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 공간
1513: 전면 개방 공간 1521: 제1 폐공간
1522: 제2 폐공간 1531: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 공간
1532: 디스플레이 장치 배면 공간 1533: 개구홀 이격 공간
160: 제1 개구홀 161: 입구
162: 출구 1601: 제1 방열부
1602: 제2 방열부 1603: 제3 방열부
163: 격막 브라켓 164: 가이드 브라켓
165: 분기 브라켓 170: 제2 개구홀
180: 제3 개구홀 183: 격막 브라켓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이 노출되는 제1 폐공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이 노출되는 제2 폐공간으로 구획하고, 일 단면에 대해 상기 제1 폐공간은 상기 제2 폐공간에 둘러 쌓이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2 영역이 외부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개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홀은 상기 제1 폐공간 및 상기 제2 폐공간 사이를 지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홀의 입구는 상기 복수의 외측면 중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홀의 출구는 상기 복수의 외측면 중 또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하는 내부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이 노출되는 제1 폐공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이 노출되는 제2 폐공간으로 구획하고, 일단면에 대해 상기 제1 폐공간은 상기 제2 폐공간에 둘러 쌓이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2 영역이 외부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개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홀은 상기 제1 폐공간 및 상기 제2 폐공간 사이를 지나고,
    상기 제1 개구홀의 입구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제1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홀의 출구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개구홀의 입구와 출구를 구획하는 격막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 브라켓은 상기 제1 개구홀이 'ㄷ'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 브라켓은 상기 제1 개구홀의 입구 방향과 상기 제1 개구홀의 출구 방향을 벌리는 분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홀은,
    외부 유로의 진행 방향을 꺾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이 노출되는 제1 폐공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이 노출되는 제2 폐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3 영역이 외부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개구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홀은 상기 제1 폐공간에 둘러싸여 상기 제1 폐공간이 폐쇄 루프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실장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하는 내부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배면이 노출되는 제1 폐공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이 노출되는 제2 폐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4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에 인접하는 내부 케이스의 외측면 제5 영역이 외부 유로를 형성하는 제3 개구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개구홀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배면 일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방열부;
    상기 제1 방열부와 이격 구비된 제2 방열부; 및
    일 영역에서 상기 제1 방열부와 상기 제2 방열부를 잇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 공간과 상기 제2 폐공간을 순환하는 폐쇄 루프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30164A 2017-03-09 2017-03-09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0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64A KR102300040B1 (ko) 2017-03-09 2017-03-09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8/002218 WO2018164400A1 (en) 2017-03-09 2018-02-22 Display device
CN201880016963.7A CN110431925B (zh) 2017-03-09 2018-02-22 显示装置
EP18763741.8A EP3593606B1 (en) 2017-03-09 2018-02-22 Display device
US15/912,399 US10485148B2 (en) 2017-03-09 2018-03-0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64A KR102300040B1 (ko) 2017-03-09 2017-03-0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347A KR20180103347A (ko) 2018-09-19
KR102300040B1 true KR102300040B1 (ko) 2021-09-08

Family

ID=6344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164A KR102300040B1 (ko) 2017-03-09 2017-03-0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85148B2 (ko)
EP (1) EP3593606B1 (ko)
KR (1) KR102300040B1 (ko)
CN (1) CN110431925B (ko)
WO (1) WO2018164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4302B2 (en) 2008-03-03 2014-02-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an electronic display
US10827656B2 (en) 2008-12-18 2020-11-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image assembly with circulating gas and ambient gas
CA2947524C (en) 2014-04-30 2018-04-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 assembly
PT3423886T (pt) 2016-03-04 2022-03-31 Mri Inc Sistema de arrefecimento para montagem de display de face dupla
WO2018200905A1 (en) 2017-04-27 2018-11-0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play bowing
US10485113B2 (en) 2017-04-27 2019-11-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serviceable and replaceable display
KR102543859B1 (ko) * 2017-12-22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10602626B2 (en) 2018-07-30 2020-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ousing assembly for an integrated display unit
US11096317B2 (en) 2019-02-26 2021-08-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loopback cooling
US10795413B1 (en) 2019-04-03 2020-10-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assembly with a channel for ambient air in an access panel
US11477923B2 (en) 2020-10-02 2022-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customizable airflow system for a communications box
US11778757B2 (en) 2020-10-23 2023-10-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corpo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470749B2 (en) 2020-10-23 2022-10-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orced air cooling for display assemblies using centrifugal fans
WO2022220315A1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엠알케이 냉각 효율을 높인 고휘도용 디스플레이 장치
US11966263B2 (en)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for providing compressive forces at electronic display layers
US11762231B2 (en) 2021-08-23 2023-09-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turbulent flow
US11744054B2 (en) 2021-08-23 2023-08-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an unit for providing improved airflow within display assemblies
US11919393B2 (en) 2021-08-23 2024-03-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relatively turbulent flow and integ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968813B2 (en) * 2021-11-23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divided interior sp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4840A1 (en) 2000-06-19 2002-02-07 Pioneer Corporation Heat-dissipation structure of plasma display pane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633B2 (ja) 1987-11-16 1996-05-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JP2502633Y2 (ja) * 1990-05-24 1996-06-26 株式会社東芝 冷却機能付き案内表示盤
TWI268526B (en) * 2003-12-05 2006-12-1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JP4801890B2 (ja) * 2004-08-20 2011-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
US8879042B2 (en) * 2007-11-16 2014-11-0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Isolated cooling system having an insulator gap and front polarizer
US8854595B2 (en) * 2008-03-03 2014-10-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nstricted convection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display
US20090126914A1 (en) * 2007-11-16 2009-05-2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Isolated Gas Cooling System for Cooling Electrical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isplay
US8351014B2 (en) * 2008-03-03 2013-0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s
US8773633B2 (en) * 2008-03-03 2014-07-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xpanded heat sink for electronic displays
US9173325B2 (en) * 2008-03-26 2015-10-2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s
US8274622B2 (en) * 2008-03-03 2012-09-2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using constricted convection with closed loop plenum as the convection plate
KR101387932B1 (ko) * 2008-05-07 2014-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춘 자동판매기
EP2509304A1 (en) * 2009-12-03 2012-10-10 Panasonic Corporation Radiation unit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WO2012066996A1 (ja) * 2010-11-16 2012-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81928B1 (ko) * 2013-04-24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KR102120763B1 (ko) * 2013-05-09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US9470924B2 (en) * 2013-07-08 2016-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gure eight closed loop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KR102094887B1 (ko) * 2013-07-08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84279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3040766B1 (en) * 2015-01-05 201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DE102015213236A1 (de) * 2015-07-15 2017-01-19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Platte zum Herstellen von Hologramm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Platte
KR102132340B1 (ko) * 2015-12-10 2020-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TWM523876U (zh) * 2016-04-08 2016-06-11 揚昇照明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4840A1 (en) 2000-06-19 2002-02-07 Pioneer Corporation Heat-dissipation structure of plasma display pane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31925A (zh) 2019-11-08
US10485148B2 (en) 2019-11-19
WO2018164400A1 (en) 2018-09-13
EP3593606A4 (en) 2020-12-30
EP3593606B1 (en) 2023-02-22
US20180263142A1 (en) 2018-09-13
EP3593606A1 (en) 2020-01-15
KR20180103347A (ko) 2018-09-19
CN110431925B (zh)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0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485147B2 (en) Display device
KR102132340B1 (ko)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
US10712601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odule case having a through-hole and an outer case having an internal space with a first closed passage
US6105662A (en)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packages
US10317615B2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US6845011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irculation path of liquid coolant to cool a heat-generating component
US7114551B2 (en) Liquid cooling module
JP2006032890A (ja) 閉ループ循環式放熱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スクリーンモジュール
KR20080035487A (ko) 컴퓨터 시스템의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314559A1 (en) Heat exchange structure and heat dissip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451202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129225A (ko) 옥내외용 액정 광고보드의 방열구조
WO2020050044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43859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901271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6101029A (zh) 交换机
CN109936967A (zh) 电动机控制装置
KR102021554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020536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200364071Y1 (ko) 컴퓨터용 수냉식 냉각 장치
KR1020373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01617U (ko) 유동성이 향상된 공기 순환 방식의 인버터용 방열모듈
US11910582B2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CN209914361U (zh) 板式热管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