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764B1 -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764B1
KR101334764B1 KR1020120024547A KR20120024547A KR101334764B1 KR 101334764 B1 KR101334764 B1 KR 101334764B1 KR 1020120024547 A KR1020120024547 A KR 1020120024547A KR 20120024547 A KR20120024547 A KR 20120024547A KR 101334764 B1 KR101334764 B1 KR 10133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ngle
jig
angle adjust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146A (ko
Inventor
최희정
백원인
송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Priority to KR102012002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7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조절부,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하여 변경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각도조절부가 안착되어 회동되는 지그구조물, 그리고 상기 지그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지그구조물을 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조절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에 연결된 각도조절부를 통해 상하 및 좌우 회전각도의 제한 없이 카메라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카메라의 촬영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고정부에 의해 카메라를 고정하여 외부 충격 및 사용자의 접촉으로 발생되는 카메라의 초점 및 화상각도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An angle controlling apparatus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사용상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특히, 최근에는 화상통신 및 일정 공간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형크기로 제작된 카메라들이 생활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장소에서는 화상통신을 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고, 백화점, 은행, 전시장, 주차장 등의 공공장소 및 차량 등에는 불법행위나 사고 방지를 위한 감시용 소형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는 방향전환이 불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거나,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미리 정해진 가동범위 내에서만 방향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정교한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 각도로 조절된 카메라가 외부요인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져 카메라의 방향이 틀어짐과 동시에 충격에 의한 떨림이 카메라에 전해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초점이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하여 조절된 카메라의 각도가 외부의 충격에도 유지되도록 카메라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게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조절부,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하여 변경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각도조절부가 안착되어 회동되는 지그구조물, 그리고 상기 지그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지그구조물을 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조절노브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구조물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상부를 덮는 상부지그,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하부를 덮는 하부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의 각 내면에는 상기 각도조절부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그에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그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 사이에는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탄성부재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노브는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제1 조절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조절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제1 조절부재를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에는 관통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의 상기 관통홈에는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그에는 상기 제1 조절부재에 나사 결합된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그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안착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정회전하면 상기 걸림홈에 안착된 상기 걸림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상기 하부지그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상기 상부지그를 하강시켜 상기 각도조절부가 상기 지그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역회전하면 상기 제1 조절부재가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상승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고정으로 인해 상기 하부지그 및 상기 상부지그에 압축되어있던 상기 탄성부재의 반력에 의하여 상기 하부지그 및 상기 상부지그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그구조물의 단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그구조물이 삽입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홈은 미리 정해진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높이는 최대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의 높이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각도조절부를 회동시키는 방향전환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방향전환부재에 접하는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국부적으로 함몰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에 연결된 각도조절부를 통해 상하 및 좌우 회전각도의 제한 없이 카메라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카메라의 촬영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고정부에 의해 카메라를 고정하여 외부 충격 및 사용자의 접촉으로 발생되는 카메라의 초점 및 화상각도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상부지그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하부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지그구조물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조절노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하우징 및 고정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X-X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하우징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이하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라 함)는 하우징(1)에 구비되는 카메라(3)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각도조절부(5)를 포함한다.
먼저,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카메라(3)는 하우징(1)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 및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며, 전방에는 렌즈가 구비되어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카메라(3)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카메라(3)는 렌즈를 통해 영상을 받아들여 필름 또는 메모리에 투사하고 기록하는 방식의 카메라(3)가 아닌, 컴퓨터와 연결하여 카메라(3)에 찍힌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웹캠(webcam)방식의 소형 카메라(3)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카메라(3)는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도조절부(5)는 카메라(3)에 연결되어 카메라(3)의 촬영 각도를 변경한다. 더 자세하게는, 각도조절부(5)는 후술할 고정부(7)의 지그구조물(71) 내에 안착되어 회동됨으로써 카메라(3)의 촬영 각도를 변경한다.
예시적으로, 각도조절부(5)의 형상은 공처럼 둥글게 생긴 구형상의 회전체로, 더 자세하게는 일측이 수직으로 잘려나가 일측에는 카메라(3)와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나사 결합되고 타측은 구형상으로 고정부(7)의 지그구조물(71)의 후술할 안착공간(723)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수직으로 잘려나간 일측의 지름의 크기는 안착공간(723)에 안착될 구형상의 지름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각도조절부(5)가 지그구조물(71)의 안착공간(723)에 안착되어 회동될 때 이 지그구조물(7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각도조절부(5)의 구형상은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지그구조물(71)의 안착공간(723) 역시 각도조절부(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각도조절부(5)는 일측이 카메라(3)와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타측은 지그구조물(71)의 안착공간(723)에 안착되어 회동됨으로써 카메라(3)의 촬영 각도를 변경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고정부(7)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는 고정부(7)를 포함한다.
고정부(7)는 각도조절부(5)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각도조절부(5)에 의하여 변경된 카메라(3)의 촬영 각도가 유지되도록 각도조절부(5)를 고정한다.
더 자세하게는, 고정부(7)는 각도조절부(5)가 회동되도록 안착되는 지그구조물(71), 그리고 지그구조물(71)에 연결되어 지그구조물(71)을 통하여 카메라(3)의 촬영 각도가 유지되도록 각도조절부(5)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조절노브(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그구조물(71)은 각도조절부(5)의 상부를 덮는 상부지그(711), 그리고 각도조절부(5)의 하부를 덮는 하부지그(7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의 각 내면에는 각도조절부(5)가 안착되어 회동될 수 있는 안착공간(723)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공간(723)에는 가압돌기(723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공간(723)에는 가압돌기(7231) 뿐만 아니라, 이와는 반대의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압돌기(7231) 또는 가압홈이 형성될 수 있는 안착공간(723)에 회동가능하도록 안착되는 각도조절부(5)는 러버 혹은 실리콘 등과 같이 압력이 가해졌을 때, 압력을 받는 부분이 국부적으로 탄력에 의해 함몰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는 대칭형상의 구조물일 수 있다. 이때, 상부지그(711)와 하우지그의 내면에는 각도조절부(5)가 안착되는 안착공간(72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안착공간(723)에는 가압돌기(7231)가 형성되어 조절노브(73)에 의해 상부지와 하부지그(713)가 각도조절부(5)를 가압할 때 가압돌기(7231)가 각도조절부(5)를 가압하여 더 효율적으로 각도조절부(5)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5)가 회동 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의 입구의 크기는 각도조절부(5)의 구형상의 지름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상부지그(711)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하부지그(713)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상부지그(711)에는 가이드 부재(725)가 구비되고, 하부지그(713)의 내면에는 가이드 부재(72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727)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이드 홈(727)은 가이드 부재(725)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고, 조절노브(73)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하부지그(713)의 움직임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725) 및 가이드 홈(727)은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형상 ??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지그구조물(71)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 사이에는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9)가 구비될 수 있고,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의 각 내면에는 탄성부재(9)가 안착되는 탄성부재 안착홈(7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탄성부재(9)는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가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이때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의 각 내면에는 조절노브(73)에 의한 움직임으로 탄성부재(9)가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부재(9)가 안착될 수 있는 탄성부재 안착홈(7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9)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지는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조절노브(73)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조절노브(73)는 제1 조절부재(731) 및 제2 조절부재(7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731)는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7311)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걸림부재(7313)가 구되며, 제2 조절부재(732)는 제1 조절부재(731)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시 제1 조절부재(731)를 나사산(7311)을 따라 이동 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조절부재(732)의 내측에는 제1 조절부재(731)의 나사산(7311)에 대응되는 나사산(7311)이 형성되어 제1 조절부재(731)가 내측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절부재(732)는 상측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파지가능한 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조절부재(732)를 회전시켜 제1 조절부재(731)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에는 관통홈(720)이 형성되고,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의 관통홈(720)에는 제1 조절부재(73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부지그(711)에는 관통홈(720)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제1 조절부재(731)와 나사 결합된 제2 조절부재(732)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7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지그(713)에는 제1 조절부재(731)의 걸림부재(7313)가 안착되는 걸림홈(7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7313)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홈(7131)은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조절부재(731) 및 제2 조절부재(732)는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제2 조절부재(732)의 회전을 통해 제1 조절부재(731)에 연결된 하부지그(713)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작동상태에 대하여 더 자세히 알아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8의 (a)는 각도조절부(5)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각도조절부(5)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2 조절부재(732)가 정회전할 때, 걸림홈(7131)에 안착된 걸림부재(7313)에 의하여 제1 조절부재(731)가 하부지그(713)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2 조절부재(732)가 상기 상부지그(711)를 하강시켜 각도조절부(5)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7313) 및 걸림홈(7131)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조절부재(731)는 제2 조절부재(732)의 회전 시 걸림부재(7313)가 걸림홈(7131)의 일면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2 조절부재(732)가 역회전할 때, 제1 조절부재(731)가 하강함과 동시에 제2 조절부재(732)가 상승한다. 이때, 각도조절부(5)의 고정으로 인하여 하부지그(713) 및 상부지그(711)에 압축되어있던 탄성부재(9)의 반력에 의하여 하부지그(713) 및 상부지그(711)가 서로 이격되어 각도조절부(5)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조절부재(732)의 정회전은 시계방향회전이고, 역회전은 반시계방향회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하우징(1) 및 고정부(7)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하우징(1)은 이탈방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하우징(1)의 내측에는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지그구조물(71)의 단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11)는 지그구조물(71)이 삽입되는 이탈방지홈(111)이 형성되고, 이탈방지홈(111)은 미리 정해진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우징(1)은 암부재 및 수부재가 단부에 각각 구비된 합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의 내측에는 각각 분리된 구조물을 하나로 결합할 수 있는 체결부재들이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결합 시 카메라(3) 및 조절노브(73)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의 내측에는 고정부(7)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부(11)가 양측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이탈방지부(11)는 지그구조물(7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이탈방지홈(1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홈(111)은 지그구조물(71)을 지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높이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미리 정해진 높이란 제2 조절부재(732)의 정회전 시 최대 간격으로 이격된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의 높이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2 조절부재(732)의 정회전 시 각도조절부(5)가 안착공간(7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간격으로 이격된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의 높이일 수 있다. 이는, 제2 조절부재(732)의 회전으로 상부지그(711)와 하부지그(713)의 간격이 벌어져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의 위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각도조절부(5)가 안착공간(72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카메라(3)의 전면에는 방향전환부재(31)가 설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방향전환부재(31)는 카메라(3)의 전면에 카메라(3)의 렌즈가 노출되도록 카메라(3)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우징(1)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어 각도조절부(5)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하우징(1)의 내측에는 방향전환부재(31)에 접하는 충격흡수부재(13)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충격흡수부재(13)는 방향전환부재(31)에 접하도록 하우징(1)의 내측에 구비되어 방향전환부에 연결된 카메라(3)에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감소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는 카메라(3)의 전면에 설치된 방향전환부재(31)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여 카메라(3)의 촬영 각도를 변경한다. 이때, 카메라(3)의 후방에 연결부재로 연결된 각도조절부(5)는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의 안착공간(723)에 안착되어 방향전환부재(31)의 조작에 의해 회동된다. 이처럼 촬영 각도가 변경된 카메라(3)에 연결되어 있는 각도조절부(5)를 고정하기 위하여 조절노브(73)의 제2 조절부재(732)를 정회전(시계방향회전) 시킨다. 이에 따라, 하부지그(713)의 걸림홈(7131)에 안착되어있는 제1 조절부재(731)의 걸림부재(7313)가 걸림홈(7131)의 일면에 지지되어 하부지그(713)가 상승되고, 상부지그(711)는 제2 조절부재(732)의 회전에 의해 하강되어 각도조절부(5)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9)는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에 의하여 압축된다.
이와는 반대로, 조절노브(73)의 제2 조절부재(732)를 역회전(반시계방향회전) 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조절부재(731)가 하강되고 제2 조절부재(732)는 상승된다. 이때,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9)의 반력에 의해 상부지그(711) 및 하부지그(713)가 제1 조절부재(731) 및 제2 조절부재(732)에 접촉되도록 이격되어 각도조절부(5)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진다.
이에 따라 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100)는 카메라(3)에 연결된 각도조절부(5)를 통해 상하 및 좌우 회전각도의 제한 없이 카메라(3)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카메라(3)의 촬영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고정부(7)에 의해 카메라(3)를 고정하여 외부 충격 및 사용자의 접촉으로 발생되는 카메라(3)의 초점 및 화상각도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 하우징
11. 이탈방지부 111. 이탈방지홈
13. 충격흡수부재
3. 카메라 31. 방향전환부재
5. 각도조절부
7. 고정부
71. 지그구조물
711. 상부지그 7111. 지지부
713. 하부지그 7131. 걸림홈
720. 관통홈
721. 탄성부재 안착홈
723. 안착공간 7231. 가압돌기
725. 가이드 부재 727. 가이드 홈
73. 조절노브
731. 제1 조절부재
7311. 나사산 7313. 걸림부재
732. 제2 조절부재
9. 탄성부재

Claims (18)

  1. 하우징에 구비되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조절부,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하여 변경된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각도조절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각도조절부가 안착되어 회동되는 지그구조물, 그리고
    상기 지그구조물에 연결되어 상기 지그구조물을 통하여 상기 각도조절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조절노브를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지그구조물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상부를 덮는 상부지그,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하부를 덮는 하부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의 각 내면에는 상기 각도조절부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각도조절부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안착공간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상부지그에는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그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 사이에는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탄성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8. 제2항에서,
    상기 조절노브는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제1 조절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조절부재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제1 조절부재를 상기 나사산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에는 관통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그 및 상기 하부지그의 상기 관통홈에는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상부지그에는 상기 제1 조절부재에 나사 결합된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그에는 상기 걸림부재가 안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정회전하면 상기 걸림홈에 안착된 상기 걸림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조절부재가 상기 하부지그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상기 상부지그를 하강시켜 상기 각도조절부가 상기 지그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역회전하면 상기 제1 조절부재가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조절부재가 상승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고정으로 인해 상기 하부지그 및 상기 상부지그에 압축되어있던 탄성부재의 반력에 의하여 상기 하부지그 및 상기 상부지그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지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3. 제2항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그구조물의 단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그구조물이 삽입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홈은 미리 정해진 높이로 형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높이는 최대 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상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의 높이인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6. 제1항에서,
    상기 카메라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각도조절부를 회동시키는 방향전환부재가 설치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방향전환부재에 접하는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국부적으로 함몰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KR1020120024547A 2012-03-09 2012-03-09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KR10133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47A KR101334764B1 (ko) 2012-03-09 2012-03-09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47A KR101334764B1 (ko) 2012-03-09 2012-03-09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46A KR20130103146A (ko) 2013-09-23
KR101334764B1 true KR101334764B1 (ko) 2013-12-05

Family

ID=4945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547A KR101334764B1 (ko) 2012-03-09 2012-03-09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3229B1 (en) * 2018-12-25 2023-08-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mera module and terminal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169B1 (ko) * 1994-12-13 1998-07-15 배순훈 칩마운터의 인식용 카메라의 편차각도 판단방법
KR0140167B1 (ko) * 1994-12-28 1998-08-17 배순훈 칩마운트 시스템의 카메라 편차각도 보정방법
US20060109375A1 (en) 2004-11-23 2006-05-25 Hsin-Chiang Ho All-directional camera viewfinder angle adjust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169B1 (ko) * 1994-12-13 1998-07-15 배순훈 칩마운터의 인식용 카메라의 편차각도 판단방법
KR0140167B1 (ko) * 1994-12-28 1998-08-17 배순훈 칩마운트 시스템의 카메라 편차각도 보정방법
US20060109375A1 (en) 2004-11-23 2006-05-25 Hsin-Chiang Ho All-directional camera viewfinder angle adjust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46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622B2 (en) Camera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9860435B2 (en) Image capture device with rotatable lens unit
US20200084413A1 (en) Intelligent defense surveillance camera device
US9497362B2 (en) Imaging device and plate spring
US7170560B2 (en) Surveillance camera with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20210022973A (ko) 멀티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시스템
US9772541B2 (en) Adjusting seat and photograph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899489B1 (ko) 외부에서 감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카메라 장치
JP3196633U (ja) 監視装置
KR20080048260A (ko) 적외선 반사광 차단수단이 구비된 돔형 적외선 감시카메라
WO2015029802A1 (ja) 撮像装置
KR101334764B1 (ko) 카메라 각도 조절장치
JP3177128U (ja) 監視カメラ固定具
TW201401859A (zh) 攝影裝置
US10359601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surveillance device
WO2022218342A1 (zh) 具有安装结构的摄像装置
KR20130016672A (ko) 감시 카메라
AU2022224774A1 (en) Triaxial dome-type surveillance camera
KR100708472B1 (ko) 감시 카메라
KR101518434B1 (ko) 휴대폰 거치대
KR100689288B1 (ko) 벽체 부착형 브래킷의 결합구조를 갖는 씨씨디 카메라 장치
KR101252748B1 (ko) 돔형 감시카메라의 렌즈 조정장치
CN212723627U (zh) 相机装置和包括该相机装置的拍摄***
JP3894451B2 (ja) 監視カメラ装置
TWI385462B (zh) 投影機升降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