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130B1 -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130B1
KR101333130B1 KR1020120130704A KR20120130704A KR101333130B1 KR 101333130 B1 KR101333130 B1 KR 101333130B1 KR 1020120130704 A KR1020120130704 A KR 1020120130704A KR 20120130704 A KR20120130704 A KR 20120130704A KR 101333130 B1 KR101333130 B1 KR 101333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growth
dermis
rice bran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147A (ko
Inventor
손정화
Original Assignee
손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화 filed Critical 손정화
Publication of KR2013007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진피, 감태 및/또는 쌀겨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air Growth Stimulation or Hair Loss Prevention}
본 발명은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 약물의 오남용 등에 따른 부작용, 사회 환경적인 스트레스 등으로 탈모 인구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인체의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및 휴지기를 거쳐 성장하고 탈락하는데, 탈모는 이러한 성장기의 모발의 숫자가 적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의 숫자가 많아져 생겨나는 증상이다.
현재까지 탈모의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혈액 순환 불량,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의 과다 생성 등에 따른 피지 과잉 분비, 과산화물 또는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 노화,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이들이 복합적인 작용 등이 탈모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탈모 증상을 지니는 사람에게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생체내에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음이 관찰됨에 따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다 생성이 탈모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5α-리덕타아제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이라는 남성 호르몬으로부터 생겨나는 또 다른 남성 호르몬이다.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저해시킴으로써 탈모 방지 등의 효과를 보이는 약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미국 머크(Merck) 사가 개발하여 현재 FAD의 승인을 받은 프로페이시아(성분명: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들 수 있다(미국 특허 제5547957호, 제5760046호 또는 대한민국 특허 제375083호).
본 발명도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실제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에 있어서도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를 갖는 진피, 감태 및/또는 쌀겨의 유산균 발효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는 아래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진피, 감태 또는 쌀겨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키고, 그 발효물에 대하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함으로써 탈모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5α-리덕타아제의 억제 활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발효물이 그 발효 대상인 진피, 감태 또는 쌀겨의 추출물보다 높은 5α-리덕타아제의 억제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동물실험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이면서 진피, 감태 또는 쌀겨의 발효물이 진피, 감태 또는 쌀겨의 추출물에 비해서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진피, 감태 및/또는 쌀겨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진피"란 제주 자생귤인 진귤(Citrus sunki)의 과피를 말하며, 진피의 생리 활성으로서 항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염증 활성, 혈압 강하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Jeong WS, Park SW, Chung SK. Food Sci. Biotechnol. 6: 292~296(1997); Kim YC, Koh KS, Koh JS. Food Sci. Biotechnol. 10:483~487(2001); Cho C, Park BJ, Chung SH, Kim CB, Cha BS, Byun MW. Food Sci. Biotechnol. 13:384~386(2004); Murakami A, et al. Carcinogenesis 21:1843~1850(2000)).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쌀겨"란 현미를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로서, 쌀눈과 호분층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쌀눈과 호분층을 포함하는 한, 현미의 외부 껍질를 이루는 과피 및/또는 종피 그리고 외배유 및/또는 내배유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더라도 상기 쌀겨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탈모"란 그 발생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당업계에서 탈모로서 분류되는 모든 증상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혈액 순환 불량,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과다 생성 등에 따른 피지 과잉 분비, 과산화물 또는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 노화,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이들의 복합적인 작용 등에 의한 탈모 증상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보조제(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아니한 기타의 용어는 국어사전적 의미나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미를 따른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발효물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유산균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이 모든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쿠스 속 유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 속 유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 속 유산균(Leuconostoc sp .) 및 비피도박테리움 속 유산균(Bifidobacterium sp .)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가 무우 분말과 소금의 혼합물에 자연 접종된 미생물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상기 유산균은 염장된 채소류에 자연 접종되어 이를 발효시키는 소위 김치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종균 배양한 유산균 제제 즉 무우 분말에 소금과 설탕 그리고 물을 혼합하고 이를 자연 상태에서 배양하여 얻은 유산균 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연 상태에서 배양한다"는 것의 의미는 온도, 습도, CO2의 농도, 접종되는 미생물, 산소의 유무 등의 배양 조건에 있어서 아무런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발효물의 제조시, 진피, 감태 및/또는 쌀겨에 유산균을 접종·발효시키기 전에 그 유산균에 의한 발효를 촉진하기 위해서 그 진피, 감태 및/또는 쌀겨에 유산균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서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통상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은 의도한 발효 시간, 발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진피, 감태 및/또는 쌀겨 100 중량부 기준 3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발효물의 제조를 위한 유산균에 의한 발효는 15℃~45℃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40℃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효 온도가 위 범위보다 낮을 경우 발효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또한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으며, 발효 온도가 위 범위보다 높을 경우도 발효 미생물의 사멸에 따라 마찬가지로 발효 속도가 느려지거나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다.
또한 젖산균에 의한 발효 후에 숙성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숙성 단계는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정지된 후에도 미생물에 의한 발효 산물이 안정화되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숙성 단계는 3일 내지 12개월 정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젖산균에 의한 발효는 혐기적 조건과 호기적 조건 모두에서 배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혐기적 조건이든 호기적 조건이든 무방하다.
한편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진피, 감태 및 쌀겨의 혼합 발효물의 경우 그것의 5α-리덕타제 억제 활성과 동물실험에서의 발모 촉진 활성이 진피, 감태 및 쌀겨 각각의 발효물에 비하여 현저히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진피, 감태 및 쌀겨의 혼합물을 유산균에 의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녹차 분말과 대두 분말이 상기 혼합물에 첨가되어 발효될 경우 5α-리덕타제 억제 활성과 동물실험에서의 발모 촉진 활성이 더욱 상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녹차 분말과 대두 분말이 첨가된 진피, 감태 및 쌀겨의 혼합물을 유산균에 의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발효물은 감압 저온 건조 또는 동결 건조 등의 방식으로 발효물 자체를 농축시켜 얻어지는 액상, 또는 분말상의 형태일 수 있고, 발효물을 여과할 경우 여액과 그 여과 잔사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으며, 그 여액과 여과 잔사를 농축·건조하여 얻은 액상 또는 분말상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그 발효물을 적절한 추출 용매(예컨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발효물을 그 발효물의 성상,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발모 촉진 활성 또는 탈모 방지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15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구체적인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아토피성 피부염 조성물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기능성 음료 등의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다른 기능성(예컨대 관절염 또는 골다공증 예방)을 추가하기 위하여 한약재가 추가될 수 있는데, 추가될 수 있는 한약재로서는 두충 추출물, 속단 추출물, 녹용 추출물, 홍화인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별갑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구기자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갈근 추출물, 강진향 추출물, 합환피 추출물, 산두근 추출물, 괴화 추출물, 고삼 추출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독성 이상의 독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화장품의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약품, 식품 또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진피, 감태 또는 쌀겨 발효물의 제조
<실시예 1> 진피 발효물의 제조
물 100 중량부에 진피 분말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접종되는 미생물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서 설탕을 물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다시 여기에 종균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을 2%(v/v)로 접종하여 자연상태에서(상온 및 호기성의 조건임) 약 15일 정도 배양하여 액상의 진피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다음 그 액상의 발효물을 멸균 온도 121℃에서 20분 정도 멸균하고 감압 농축하여 고형상의 발효물을 얻었다.
상기 유산균 종균 배양액은 무우 분말 100 중량부에 무우 분말 100 중량부 기준 소금 1.0 중량부 및 물 400 중량부를 첨가하고 미생물의 탄소원 및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설탕 2.0 중량부 첨가하여 35℃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15 동안 배양하여 얻은 것이다.
<실시예 2> 감태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태 발효물을 제조하되, 진피 분말 대신에 동량의 감태 분말을 사용하여 감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쌀겨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쌀겨 발효물을 제조하되, 진피 분말 대신에 동량이 쌀겨 분말을 사용하여 쌀겨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진피, 감태 및 쌀겨 혼합 발효물의 제조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물을 제조하되, 진피 분말 대신에 진피 분말, 감태 분말 및 쌀겨 분말을 물 100 중량부 기준 각각 1.0 중량부로 사용하여 진피, 감태 및 쌀겨 혼합물의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진피, 감태 및 쌀겨 혼합 발효물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피, 감태 및 쌀겨 혼합물의 발효물을 제조하되, 대두 분말과 녹차 분말을 각각 물 100 중량부 기준 0.5 중량부씩 첨가하여 진피, 감태 및 쌀겨 혼합물의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진피, 감태 또는 쌀겨 추출물의 제조
<비교예 1> 진피 추출물의 제조
70% 에탄올 100 중량부에 에탄올 100 중량부 기준 진피 분말 30 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추출하였다. 그 추출액을 2㎛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 감태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태 추출물을 제조하되, 진피 분말 대신에 동량의 감태 분말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쌀겨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쌀겨 추출물을 제조하되, 진피 분말 대신에 동량의 쌀겨 분말을 사용하였다.
< 실험예 >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과 실험
<실험예 1> 5α- 리덕타제 억제 활성 실험
5α-리덕타제는 8주령의 Sprague-Dawley계 흰쥐의 간에서 현탁액으로 얻고 Bradford 방법으로 정량하여 사용하였다. 효소반응용액 60㎕(50mM Na2HPO4(pH 6.8), 25mM KCl, 500mM NADPH)에 상기 5α-리덕타제 현탁액 30㎕을 첨가하고 여기에 상기 시료 용액(시료 농도 2.0%(w/v)) 10㎕ 첨가하여 37℃ 온도에서 2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에 반응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고,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20㎕에 녹여 TLC(thin-layer chromatography plate) 상에서 30분간 전개용매(톨루엔:아세톤=4:1)로 전개시킨 후, 전개된 플레이트를 하이퍼필름에 감광시켜 테스토스테론의 양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양을 덴시토미터(Densitometer)로 정량 분석하였다.
5α-리덕타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은 아래의 식으로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5α-리덕타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 = 100(A-B/A)
A : 시료 미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B : 시료 용암해수 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5α-리덕타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
구분 억제율(%)
실시예 1 39.6
실시예 2 41.9
실시예 3 49.6
실시예 4 56.8
실시예 5 72.5
비교예 1 21.5
비교예 2 14.8
비교예 3 27.6
상기 [표 1]의 결과는 진피, 감태 및 쌀겨의 추출물의 5α-리덕타제 억제 활성보다 진피, 감태 및 쌀겨의 발효물의 5α-리덕타제 억제 활성이 모두 높음을 보여준다. 특히 <실시예 4>의 진피, 감태 및 쌀겨 혼합 발효물의 5α-리덕타제 억제 활성이 높으며, 진피, 감태 및 쌀겨 혼합 발효시에 대두와 녹차를 첨가하여 얻어진 <실시예 5> 발효물의 5α-리덕타제 억제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발모 촉진에 대한 동물실험
발모 촉진에 대한 동물실험은 7~8 주령 수컷 마우스 C57BL/6를 이용하였으며, 1주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개시 전 실험동물을 디에틸에테르(dietylether)로 마취시켜 등 부위의 털을 클리퍼(clipper)를 사용하여 1차로 제거하고 2차로 제모 크림(Veet, Reckitt Benckiser France)을 이용하여 남은 털을 완전히 제거한 후 제모 크림은 에탄올로 닦아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각 군에는 5마리씩 배정하고, 실험군에는 시료를 생리식염수에 3%(w/v)용해시켜 매일 1회 2주간 제모된 등 부위에 0.3㎖로 도포하고,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만을 도포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종료 후에 해당 부위를 티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은 이미지를 화상 분석기(Image analyzer/Image-Pro Plus, U.S.A)로 분석하여 털이 제거된 면적 대비 신생모가 자란 면적을 비율로 발모 효율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MEAN±SD로 나타내었다.
발모 촉진에 대한 동물실험 결과
구분 2주 후
대조군 39.7±7.6
실시예 1 54.5±9.3*
실시예 2 52.5±11.2*
실시예 3 59.2±8.4*
실시예 4 66.3±9.2*
실시예 5 76.4±12.6*
비교예 1 46.9±6.2*
비교예 2 44.1±9.2
비교예 3 51.5±10.3*
* p<0.05
상기 [표 2]의 결과는 상기 [표 1]의 결과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면서, 진피, 감태 및 쌀겨의 추출물의 발모 촉진 효과보다 그 발효물의 발모 촉진 효과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시예 5>의 발효물의 발모 촉진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실험예 3> 발모 촉진에 대한 관능평가 실험
상기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 발모 촉진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실시예 5>의 발효물의 발모 촉진에 대한 관능평가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5>의 발효물 2.0 중량%, 달맞이꽃종자유 15 중량%, 수산화나트륨 2.0 중량%, TWEEN80 2.0 중량%, 콜라겐 1.0 중량%, 향료 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샴푸를 제조하고 20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4주간 1일 1회 사용하도록 하여 발모 촉진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사용자 수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의 샴푸로서는 <실시예 5>의 발효물 2.0 중량% 대신에 정제수가 그 함량 만큼 더 포함되어 제조된 샴푸를 사용하였다.
발모 촉진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
구분 발모 촉진 효과가 있다 발모 촉진 효과가 없다
제조예 14 6
비교예 2 18
상기 [표 3]의 결과는 <실시예 5>의 발효물이 첨가되어 제조된 제조예의 샴푸를 사용할 경우 70%에 해당하는 14명이 발모 촉진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반면, <실시예 5>의 발효물이 첨가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의 샴푸를 사용할 경우 2명만이 발모 촉진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음에 그쳤다.

Claims (5)

  1. 진피, 감태 및 쌀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진피, 감태 및 쌀겨의 혼합물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무우 분말에 소금과 설탕 그리고 물을 혼합하고 이를 자연 상태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대두 분말과 녹차 분말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20120130704A 2012-01-02 2012-11-19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333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096 2012-01-02
KR20120000096 2012-0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147A KR20130079147A (ko) 2013-07-10
KR101333130B1 true KR101333130B1 (ko) 2013-11-26

Family

ID=4899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704A KR101333130B1 (ko) 2012-01-02 2012-11-19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1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070B1 (ko) 2017-03-09 2018-09-06 이선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6447B1 (ko) 2019-06-19 2020-02-11 방한식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508208A4 (en) * 2016-08-30 2020-07-29 Coenbio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FOR PROMOTING HAIR GROWTH WITH STRIPS WITH LIPOLYTIC EFF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070B1 (ko) * 2014-02-28 2015-07-09 김종란 황과 발효 단백질을 이용한 유해균에 오염된 두피 및 손상 모발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2448B1 (ko) * 2015-04-29 2019-11-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두피모발 강화용 효소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785A (ja) * 1997-02-12 1998-08-18 Misaki Takemura 滋養強壮剤
KR100803998B1 (ko) 2006-02-02 2008-02-18 플러스월드 주식회사 진피발효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건강기능식품
KR20090092899A (ko) * 2008-02-28 2009-09-02 이병수 해조류를 이용한 두피의 항균작용 및 모발의 성장을촉진하는 발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785A (ja) * 1997-02-12 1998-08-18 Misaki Takemura 滋養強壮剤
KR100803998B1 (ko) 2006-02-02 2008-02-18 플러스월드 주식회사 진피발효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건강기능식품
KR20090092899A (ko) * 2008-02-28 2009-09-02 이병수 해조류를 이용한 두피의 항균작용 및 모발의 성장을촉진하는 발모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8208A4 (en) * 2016-08-30 2020-07-29 Coenbio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FOR PROMOTING HAIR GROWTH WITH STRIPS WITH LIPOLYTIC EFFECT
EP3816304A3 (en) * 2016-08-30 2021-07-21 Coenbio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strains showing lipolysis effect
KR101896070B1 (ko) 2017-03-09 2018-09-06 이선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6447B1 (ko) 2019-06-19 2020-02-11 방한식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147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3082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of the skin comprising phaseolus radiatus seed extracts by fermentation and enzyme treatment
KR101848671B1 (ko) 식물세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발모 개선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CN110249055B (zh) 发酵物及其制造方法
KR101333130B1 (ko)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50056314A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1367961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20160047757A (ko) 5색 컬러푸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3293A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2116B1 (ko) 차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7931B1 (ko) 브레비바실러스 보스테렌시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495405B1 (ko)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1994618B1 (ko)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20110116389A (ko)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1004214A (ja) 組み合わせ発酵物
KR102480527B1 (ko) 코쿠리아 팔루스트리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JP2005281224A (ja) 美白剤
KR102495400B1 (ko) 노보스핑고비움 후미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480526B1 (ko) 다이어트지아 신나메아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495402B1 (ko) 버크홀데리아 비에트나미엔시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525129B1 (ko) 미숙 자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5403B1 (ko) 데이노코커스 우루무치엔시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154140B1 (ko) 튤립 잎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및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847729B1 (ko) 광합성세균 배양액의 악취제거방법 및 악취가 제거된광합성세균 배양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