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365B1 -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 Google Patents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365B1
KR101319365B1 KR1020120030453A KR20120030453A KR101319365B1 KR 101319365 B1 KR101319365 B1 KR 101319365B1 KR 1020120030453 A KR1020120030453 A KR 1020120030453A KR 20120030453 A KR20120030453 A KR 20120030453A KR 101319365 B1 KR101319365 B1 KR 10131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eawater
ballast tank
ballast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764A (ko
Inventor
구정민
김진강
천지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3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은, 선체에 마련되며 내부에 해수가 저장되는 밸러스트탱크; 선체의 선수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밸러스트탱크로 공급시키고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해수출입부; 및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원하는 수위로 유지시키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SHIP WITHOUT BALLAST WATER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해수를 기초로 종래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대체함으로써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LNG 운반선, LPG 운반선, 컨테이너선, 화물선, 탱커선 등의 선박은 화물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감안하여 선박의 설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선박에서 화물을 하역한 이후에는 선박의 무게중심이 상승되어 선박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선박에서 화물을 하역함으로써 흘수(배가 물 위에 떠 있을 때, 물에 잠겨 있는 부분의 깊이를 말한다)가 얕아진 경우에는, 항해 중에서의 호깅(hogging, 선박의 양끝부분에 화물을 집중하여 실으면 선박의 양끝부분이 부력보다 더 무거워 밑으로 처지면서 선박의 중앙부가 위로 솟아올라 선박이 위로 볼록하게 휘는 현상을 말한다)의 정도가 커지고, 선체에 부가되는 전단력 및 세로 굽힘 모멘트가 커진다.
또한 항해 중에 뱃바닥이 파도에 부딪혀 충격을 받는 슬래밍(Slamming) 현상이 생기고, 프로펠러가 모두 잠기지 않고 수면 상으로 노출되어 추진성능이 저하되거나 프로펠러 및 주요 기관의 부하변동이 증대되는 프로펠러 레이싱이 발생하며, 키가 충분히 수몰될 수 없어 조종성능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LNG 운반선, LPG 운반선, 컨테이너선, 화물선, 탱커선 등의 선박의 경우, 선박의 안정성 및 복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박의 내부에 해수(海水)를 유입하여 저장하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를 설치한다. 여기서, 밸러스트 탱크 내에 적재되는 물을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라 한다.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는 선적되는 화물의 양에 따라 선박의 흘수와 트림(trim, 배의 앞뒤 경사를 말한다)을 안정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물이 모두 하역된 상태에서 밸러스트수를 적재하지 않는다면 선박 자체의 중량만으로는 충분한 흘수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선수가 수면위로 심하게 들리거나 선박의 추진장치가 물속에 충분히 잠기지 않아 선수슬래밍, 추진성능저하, 조정성능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므로 선박의 경우 밸러스트수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선박에 밸러스트수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문제점이 있다. 밸러스트 탱크 내로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를 유입 및 유출시키는 과정에서 미생물이나 해양 생물에 의한 해양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국에서 유입된 밸러스트수가 전혀 다른 환경의 제2 국 해양에 배출되는 경우, 제1 국의 각종 이물질, 미생물, 세균 그 밖의 유기물질 등이 제2 국의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을 고려하여,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유해균의 전파를 막기 위하여 2009년부터는 99%이상 살균하여 배수하도록 밸러스트수 처리 침전물 국제규정이 강화되었다. 이와 같이 밸러스트수 처리 침전물 국제규정이 강화됨에 따라 밸러스트수 처리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에 관련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여과방식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해수를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밸러스트수에 주입하여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장치, 여과장치와 전기분해 장치를 각각 별개로 구비하여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장치 등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세척공정이 복잡하고, 일부 플랑크톤 이외에 미세한 유해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없으며, 살균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살균물질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새롭고 진보된 타입의 선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0830869호(주식회사 엔케이) 2008. 05. 1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나 살균 장치를 필요료 하지 않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되며 내부에 해수가 저장되는 밸러스트탱크; 상기 선체의 선수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밸러스트탱크로 공급시키고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해수출입부; 및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원하는 수위로 유지시키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해수출입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선수부 영역의 해수를 상기 밸러스트탱크로 공급시키는 해수유입부; 및 상기 선체의 선미부 및 상기 선체의 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해수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수유입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시체스트; 및 상기 복수의 제1 시체스트와 상기 밸러스트탱크를 연결하는 해수유입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시체스트 중 어느 하나는 해수면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선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해수배출부는, 상기 선체의 선미부 및 상기 선체의 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 시체스트; 및 상기 제2 시체스트와 상기 밸러스트탱크를 연결하는 해수배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밸러스트탱크의 내부로 유입된 해수에 압력을 가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수출입부에 마련되어 해수에 있는 불순물을 걸러주는 그레이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해수출입부에 배치되는 그레이트; 및 상기 그레이트와 상기 선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그레이트를 해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되게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그레이트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트는 상기 선체에 마련된 홈에 양단부가 걸림 지지되며, 상기 그레이트 이동부재는 상기 선체의 홈과 상기 그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일 수 있다.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밸러스트탱크로 공급되거나 상기 밸러스트탱크에서 배출되는 해수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해수출입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밸브;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마련되어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의 양을 측정하는 감지부재; 및 상기 감지부재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밸러스트탱크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복수의 격벽을 이동시켜 구획된 상기 복수의 공간을 개폐시키는 격벽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격벽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랙;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랙과 기어 맞물림으로 상기 랙을 직선 이동시키는 복수의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의 선수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선체에 마련된 밸러스트탱크를 통해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밸러스트탱크 내부의 해수는 상기 선수부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상기 선체의 외부로의 배출에 의해 새롭게 채워지며, 상기 밸러스트탱크의 수위는 원하는 수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원하는 수위로 유지시키는 수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밸러스트탱크로 공급되어 배출되는 해수를 기초로 밸러스팅을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밸러스트 처리장치나 밸러스트수를 화학 약품 등으로 처리할 필요가 없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에서 그레이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에서 그레이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1)은, 선체(H)에 마련되며 내부에 해수가 저장되는 밸러스트탱크(100)와, 선체(H)의 선수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밸러스트탱크(100)로 공급시키고 밸러스트탱크(100)에 저장된 해수를 선체(H)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해수출입부(200)와, 선체(H)의 내부에 마련되며 밸러스트탱크(100)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원하는 수위로 유지시키는 수위조절부(300)와, 해수출입부(200)에 마련되어 해수에 있는 불순물을 걸러주는 그레이팅부(400)와, 선체(H)에 마련되어 밸러스트탱크(100)로 공급되거나 밸러스트탱크(100)에서 배출되는 해수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0)를 구비한다.
밸러스트탱크(100)는, 선체(H)가 전진하면서 유입되는 새로운 해수를 저장하여 선박의 안정성 및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 밸러스트탱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의 중앙부에 선체(H)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밸러스트탱크(100)에 저장되는 해수는 밸러스트탱크(100)에 머문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순환된다. 즉 밸러스트탱크(100)에 저장되는 해수는 선체(H)의 전진에 의해 후술하는 해수배출부(220)를 통해 선체(H)의 외부로 배출되고, 밸러스트탱크(100)로 계속해서 해수가 유입되므로 밸러스트탱크(100)에는 배출되는 해수의 양만큼 매번 새로운 해수가 채워진다.
따라서 제1 국에서 전혀 다른 환경의 제2 국으로 운항해도 밸러스트탱크(100) 내부의 해수가 계속해서 순환되므로 제1 국의 각종 이물질, 미생물, 세균 그 밖의 유기물질 등이 제2 국의 해양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해수출입부(200)는, 선체(H)에 마련되어 밸러스트탱크(100)로 해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거나 밸러스트탱크(100)에 저장된 해수가 선체(H)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의 선수부에 복수로 마련되어 선수부 영역의 해수를 밸러스트탱크(100)로 공급시키는 해수유입부(210)와, 선체(H)의 하측부에 마련되어 밸러스트탱크(100)에 저장된 해수를 선체(H)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해수배출부(220)를 포함한다.
해수출입부(200)의 해수유입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의 선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시체스트(211, seachest)와, 복수의 제1 시체스트(211)와 밸러스트탱크(100)를 연결하는 해수유입유로(21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 시체스트(211) 중 최상측에 배치되는 제1 시체스트(211)는 후술하는 수위조절부(300)와 더불어 밸러스트탱크(100) 내부의 해수 수위가 유지되도록 공선인 상태를 기준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h1)의 선체(H)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선체(H)의 전진 시 제1 시체스트(211)로 유입되어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해수출입부(200)의 해수배출부(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의 하측부에 마련되는 제2 시체스트(221)와, 제2 시체스트(221)와 밸러스트탱크(100)를 연결하는 해수배출유로(22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해수배출부(220)는 선체(H)의 선미부뿐만 아니라 선체(H)의 추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선체(H)의 측면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
수위조절부(300)는,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밸러스트탱크(100) 내부의 해수 수위가 미리 결정된 수위(h2)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트탱크(100)의 상측부에 배치되도록 선체(H)에 마련되는 에어 펌프(300)를 포함한다.
그레이팅부(400)는, 해수유입부(210) 또는 해수배출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밸러스트탱크(100)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해수에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며, 해수의 흐름에 의해 일정 범위로 이동되어 자체에 부착된 이물질이 자동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그레이팅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유입부(210)에 배치되는 그레이트(410, grate)와, 그레이트(410)와 선체(H) 사이에 배치되어 그레이트(410)를 해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되게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그레이트 이동부재(420)를 포함한다.
그레이팅부(400)의 그레이트(410)는, 메쉬 형태의 그물망 구조체로서 본 실시 예에서 그레이트(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에 마련된 홈(G)에 양단부가 삽입지지될 수 있다.
또한 그레이트(410)는 선체(H)의 홈(G)에 여유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해수의 흐름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동 시 그레이트(410)는 선체(H)의 홈(G)에서 선체(H)와 부딪혀 그레이트(410)에 부착된 이물질은 충격력에 의해 자동으로 떨어져 나간다.
그레이팅부(400)의 그레이트 이동부재(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의 홈(G)과 그레이트(410)의 외측벽 사이에 배치되어 그레이트(4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그레이트 이동부재(420)는 롤러, 둥근 막대기 등을 포함한다.
제어장치(500)는, 밸러스트탱크(100)로 유출입되는 해수의 흐름과 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유입부(210)와 해수배출부(220)에 마련되는 복수의 밸브(510)와, 밸러스트탱크(100)에 마련되어 밸러스트탱크(100)에 저장된 해수의 양을 측정하는 감지부재(520)와, 감지부재(52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기초로 밸브(510)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제어장치(500)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선박에 화물이 실린 만선상태에서는 화물의 무게에 의해 선박의 흘수가 적절하 수준으로 유지되므로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는 비어있고, 복수의 밸브(510)는 잠김 상태에 있어 선박의 운행시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로 해수는 공급되지 않는다.
선박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하역 작업을 완료하고 복귀하는 경우 선박의 안정성과 복원성 향상을 위해 제어부에서는 먼저 해수유입유로(212)에 마련된 밸브(510)를 개방시켜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로 해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에 미리 결정된 높이로 해수가 채워지면 수위센서와 같은 감지부재(520)는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에서는 이 신호를 기초로 해수배출유로(222)에 마련된 밸브(510)를 점차적으로 개방시켜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에 채워진 해수를 선체(H)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까지 해수유입유로(212) 및 해수배출유로(222)에 마련된 밸브(510)는 개방되어 있어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 해수는 순환되며, 수위조절부(300)에 의해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 수위는 일정 수위로 유지되므로 선박의 밸러스팅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1a)은 전술한 실시 예의 수위조절부(300a)의 구동메커니즘을 기계적으로 대체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수위조절부(30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의 내부에 마련되어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310)과, 복수의 격벽(310)을 이동시켜 구획된 복수의 공간을 개폐시키는 격벽 구동부(320)를 포함한다.
수위조절부(300a)의 복수의 격벽(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H)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며,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벽부에 밀착되어 밸러스트탱크(100)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밀폐된 공간으로 구획한다.
따라서 밸러스트탱크(100)의 복수의 밀폐된 공간에 선택적으로 해수를 채워 선박의 밸러스팅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격벽(310)과 밸러스트탱크(100)가 접하는 영역에는 해수의 누수를 막기 위해 수밀처리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격벽(310)은 선체(H)의 길이 방향의 가로 방향 즉 선체(H)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수위조절부(300a)의 격벽 구동부(320)는, 복수의 격벽(310)을 밸러스트탱크(100)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격벽(310)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랙(321)과, 선체(H)에 마련되어 랙(321)과 기어 맞물림으로 상기 랙(321)을 직선 이동시키는 복수의 피니언(32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도 격벽 구동부(320)의 이러한 구동 메커니즘(mechanism)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격벽 구동부(320)는 유압실린더 방식에 의한 구동 메커니즘, 볼스크류 방식에 의한 구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밸러스트탱크로 공급되어 배출되는 해수를 기초로 밸러스팅을 유지할 수 있어 별도의 밸러스트 처리장치나 밸러스트수를 화학 약품 등으로 처리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100 : 밸러스트탱크 200 : 해수출입부
210 : 해수유입부 220 : 해수배출부
300,300a : 수위조절부 310 : 격벽
320 : 격벽 구동부 400 : 그레이팅부
410 : 그레이트 420 : 그레이트 이동부재
500 : 제어장치 510 : 밸브
520 : 감지부재 H : 선체
G : 홈

Claims (15)

  1. 선체에 마련되며 내부에 해수가 저장되는 밸러스트탱크;
    상기 선체의 선수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밸러스트탱크로 공급시키고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해수출입부; 및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원하는 수위로 유지시키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밸러스트탱크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복수의 격벽을 이동시켜 구획된 상기 복수의 공간을 개폐시키는 격벽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출입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선수부 영역의 해수를 상기 밸러스트탱크로 공급시키는 해수유입부; 및
    상기 선체의 선미부 및 상기 선체의 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를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해수배출부를 포함하는 선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부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시체스트; 및
    상기 복수의 제1 시체스트와 상기 밸러스트탱크를 연결하는 해수유입유로를 포함하는 선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시체스트 중 어느 하나는 해수면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선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수배출부는,
    상기 선체의 선미부 및 상기 선체의 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 시체스트; 및
    상기 제2 시체스트와 상기 밸러스트탱크를 연결하는 해수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선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출입부에 마련되어 해수에 있는 불순물을 걸러주는 그레이팅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는,
    상기 해수출입부에 배치되는 그레이트; 및
    상기 그레이트와 상기 선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그레이트를 해수의 흐름 방향에 대응되게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그레이트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트는 상기 선체에 마련된 홈에 양단부가 걸림 지지되며,
    상기 그레이트 이동부재는 상기 선체의 홈과 상기 그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밸러스트탱크로 공급되거나 상기 밸러스트탱크에서 배출되는 해수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선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해수출입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밸브;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마련되어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의 양을 측정하는 감지부재; 및
    상기 감지부재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격벽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랙;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랙과 기어 맞물림으로 상기 랙을 직선 이동시키는 복수의 피니언을 포함하는 선박.
  14. 선체의 선수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선체에 마련된 밸러스트탱크를 통해 상기 선체의 외부로 배출하되 상기 밸러스트탱크 내부의 해수는 상기 선수부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상기 선체의 외부로의 배출에 의해 새롭게 채워지며, 상기 밸러스트탱크의 수위는 원하는 수위로 유지되고,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밸러스트탱크에 저장된 해수의 수위를 원하는 수위로 유지시키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밸러스트탱크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복수의 격벽을 이동시켜 구획된 상기 복수의 공간을 개폐시키는 격벽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
  15. 삭제
KR1020120030453A 2012-03-26 2012-03-26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KR10131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53A KR101319365B1 (ko) 2012-03-26 2012-03-26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453A KR101319365B1 (ko) 2012-03-26 2012-03-26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764A KR20130108764A (ko) 2013-10-07
KR101319365B1 true KR101319365B1 (ko) 2013-10-16

Family

ID=4963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453A KR101319365B1 (ko) 2012-03-26 2012-03-26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61A (ko) * 2015-03-06 2016-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690A1 (ko) * 2016-07-28 2018-02-01 (주) 테크로스 소형 및 노후 선박 전용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102293272B1 (ko) * 2020-04-14 2021-08-24 김해곤 다용도 승하강 수상부유 구조물
KR102331407B1 (ko) * 2020-07-27 2021-12-01 박원창 롤링이 저감된 낚시용 보트
DK181501B1 (en) * 2021-04-14 2024-03-12 Phoenix Ii As A method and system of ballasting a vessel
CN114368450B (zh) * 2021-08-09 2024-04-26 苏州鑫新海运有限公司 一种方便海水压载仓排压的优化船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612A (ko) * 2008-08-22 2010-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력 조절통을 갖는 선박
KR20110067473A (ko) * 2009-12-14 2011-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시체스트 그레이팅 구조
KR20110074068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교환이 가능한 선박
KR20120006600A (ko) * 2010-07-13 2012-0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안티 힐링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3612A (ko) * 2008-08-22 2010-03-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력 조절통을 갖는 선박
KR20110067473A (ko) * 2009-12-14 2011-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시체스트 그레이팅 구조
KR20110074068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교환이 가능한 선박
KR20120006600A (ko) * 2010-07-13 2012-01-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안티 힐링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061A (ko) * 2015-03-06 2016-09-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 시스템
KR101690749B1 (ko) 2015-03-06 2016-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밸러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764A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365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필요없는 선박
KR101183611B1 (ko)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358611B1 (ko) 선박의 부력제어시스템
AU2006339595A1 (en) Loop ballast exchange system for marine vessels
KR101004916B1 (ko) 부력 조절통을 갖는 선박
KR20100121822A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40046878A (ko) 선박
JP2006212494A (ja) バラスト水の処理装置
KR101818134B1 (ko) 밸브제어에 의한 선박의 좌우 롤링방지기능을 포함하는 무밸러스트 시스템
KR20130061996A (ko) 세미리그용 중력식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102043323B1 (ko) 선박 자세 제어 시스템
CN103459246A (zh) 船舶及压载水处理装置
KR101390493B1 (ko)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20180000146A (ko) 평형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선박
JP2013056621A (ja) コンテナ船におけるバラスト水処理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KR101835538B1 (ko) 평형수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KR101323794B1 (ko) 선박
WO2010046906A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allast water
US7527008B2 (en) Ballast material and oil pollution prevention management system
JP2020158057A (ja) ばら積み貨物船
KR20130061999A (ko) 세미리그용 일체형 밸러스트 수 처리장치
KR20150092862A (ko) 밸러스트수 처리 용량을 최소화한 선박
KR102260200B1 (ko) 선박의 평형수 필터 우회 제어 방법
KR101867026B1 (ko) 밸러스트 수 처리 시스템의 미처리 수 처리 모듈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