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918B1 - 디바이스 기판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918B1
KR101313918B1 KR1020127005481A KR20127005481A KR101313918B1 KR 101313918 B1 KR101313918 B1 KR 101313918B1 KR 1020127005481 A KR1020127005481 A KR 1020127005481A KR 20127005481 A KR20127005481 A KR 20127005481A KR 101313918 B1 KR101313918 B1 KR 101313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control circuit
control
wirings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322A (ko
Inventor
요스께 후지까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바이스 기판인 소자측 기판은, 소자 어레이 영역과, RGB 스위치 회로(112)와, 소스 드라이버 IC(103)를 구비한다. 이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영상 신호용 배선에 연결되는 단자군의 중심 위치(f1)를 RGB 스위치 회로(112)의 중심 위치(f2)로부터 좌측으로 거리(g)만큼 어긋나게 함(변위시킴)으로써, 굴곡한 좌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길게 하고, 굴곡한 우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한다. 이것에 의해,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의 큰 점유 영역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하고, 또한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작은 점유 영역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소스 드라이버 IC(103)와 RGB 스위치 회로(112)와의 거리(h)를 작게 하고, 프레임 영역을 축소시킨다.

Description

디바이스 기판{DEVICE SUBSTRATE}
본 발명은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같은 디바이스 기판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소자 어레이에 대하여 신호를 부여하는 배선과 제어용 배선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여러 가지 평면형 디바이스가 실용화되고 있고, 이것들은 각종 전자 기기,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러한 휴대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소형화를 한층 더 도모하기 위해서, 다결정 실리콘을 사용한 디바이스 기판 상에 표시 소자와 그 구동 회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체적으로, 즉 모놀리식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표시 소자 및 구동 회로를 기판 상에 모놀리식으로 형성한 액정 표시 장치인 액정 패널의 구성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액정 패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액정 패널(900)은, 액정층을 소자측 기판(901) 및 대향측 기판(902)의 사이에 두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기판은 소정의 시일재를 통해서 접합되고 있으며, 이 시일재에 의해 액정층이 봉입되어 있다.
또한 디바이스 기판인 소자측 기판(901)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는 소자 어레이 영역(90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소자 어레이 영역(905) 주위에는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후술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등의 구동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제로는 소자측 기판(901)의 대향측 기판(902)과는 반대측 면에는 대향측 기판(902)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또는 상기 방향으로 외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배치되어 있고, 이 광의 투과율을 액정으로의 인가 전압(즉, 각 표시 소자마다 형성되는 화소 전극과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대향측 기판(902)의 공통 전극 사이의 전압)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값으로 변화시키고, 대향측 기판(902) 방향으로 원하는 계조에서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또한, 소자측 기판(901)에는, 액정 패널(900)의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가 전달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기판(904)이 접속되어 있고, 이 FPC 기판(904)을 통해서 소자측 기판(901) 상에 형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IC(903)에 상기 영상 신호가 부여된다. 이 소스 드라이버 IC(903)는, 소자 어레이 영역(910) 내의 각 표시 소자에 영상 신호를 부여한다. 이러한 소자측 기판(901)의 더 자세한 회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구동 회로의 일부 및 표시 소자가 모놀리식으로 형성된 종래의 소자측 기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소자측 기판(901)은, 전술한 소자 어레이 영역(905) 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 소자를 가지고 있고, 이들의 표시 소자는 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 중 어느 1개를 표시하고, 이들 3색을 표시하는 3개의 표시 소자를 1조(1단위)로 하여, 컬러 화소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예를 들어 표시 소자(951)는 적색을 표시하고, 행 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인접한 3개의 표시 소자에 의해 1개의 컬러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표시 소자는, 열 방향(여기서는 화면의 수직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소스 라인과, 행 방향(여기서는 화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의 교차점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소자측 기판(901) 내에 모놀리식으로 형성된 행 제어 회로인 게이트 드라이버(911)로부터의 주사 신호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 활발해진 표시 소자(에 포함되는 TFT)가 소스 라인으로부터 부여되는 영상 신호를 수취해서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구성은 주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소자측 기판(901) 상에는, 상기 3색을 표시하는 표시 소자에 연결되는 소스 라인을 순서대로 전환하기 위한 샘플링 유닛(9121)을 포함하는, 복수의 샘플링 유닛으로 이루어진 RGB 스위치 회로(912)와, 이 회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종 신호용 보호 소자 유닛이나, 버퍼 회로, 레벨 시프터 회로 등을 포함하는 제어용 회로(913a, 913b)가 모놀리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자측 기판(901)이 시일된 시일 영역(906) 밖에는, FPC 기판(904)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신호용 단자(940)와, 구동 회로(의 일부)인 전술한 소스 드라이버 IC(903)와, 이 소스 드라이버 IC(903)로의 입력 신호 단자(9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종래의 액정 패널은, 외부의 도시되지 않는 표시 제어 회로로부터 주지의 제어 신호(예를 들어, 클록 펄스나 스타트 펄스 등)를 수취하는 구성이며, 구체적으로는 제어 신호용 단자(940)를 통해서 이들 제어 신호가 RGB 스위치 회로(912) 및 게이트 드라이버(911)에 부여된다. 또한, 제어용 회로(913a, 913b)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 회로로부터 전원 배선을 통해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대향측 기판(902)의 공통 전극에 소정의 공통 전위를 부여하기 위해서, 소자측 기판(901)에는 4개의 코먼 전이 전극(90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코먼 전이 전극(907)과 공통 전극은, 도전성 페이스트나 시일재에 함유된 도전성 입자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코먼 전이 전극(907)은, 배선을 통해서 제어 신호용 단자(940)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공통 전위가 부여된다.
여기서, 소스 드라이버 IC(903)로부터 RGB 스위치 회로(912)에 영상 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배선은 매우 수가 많고(전형적으로는 수백 개), 또한 RGB 스위치 회로(912)의 긴 변(가로 방향 또는 열 방향)의 길이는, 통상 소스 드라이버 IC(903)의 긴 변의 길이 보다도 크므로, 이들 배선은 소스 드라이버 IC(903)에서 RGB 스위치 회로(912)로, 부채 형상으로 퍼지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될 경우, 배선 간격(피치)을 설계상 허용되는 최소값으로 설정했다고 해도, 소스 드라이버 IC(903)와 RGB 스위치 회로(912)의 거리(h)는, 어느 정도의 크기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이 거리(h)가 커지면, 소자 어레이 영역(905) 주위의 프레임 영역이 넓어진다. 이 프레임 영역은 표시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소형화할 경우에는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소스 드라이버 IC를 복수 형성하는 경우에, 그 출력 단자수(배선 개수)를 신호 라인의 총 개수의 약수로서, 끝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나(일본 특허 공개 평11-338438호 공보를 참조), RGB 스위치 회로에 부여되는 제어 신호수를 삭감하는 구성(일본 특허 공개 제2008-76443호 공보를 참조) 등이 있고,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3384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6443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소스 드라이버 IC(903)와 RGB 스위치 회로(912)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는 특별히 고려되지 않았다. 그로 인해, 제어용 회로(913a, 913b)에 접속되는 제어 신호용 배선과, 영상 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소스 드라이버 IC(903)와 RGB 스위치 회로(912)와의 거리(h)를 더욱 크게 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에는, 프레임 영역이 더 커진다. 이상에 대해서는, 화소 회로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패널에 한하지 않고,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기판에 대해서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스 드라이버 IC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 영역을 축소한 디바이스 기판 및 표시 장치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은, 복수의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기판이며,
복수의 행 및 열을 구성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소자 및 당해 복수의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소자 어레이부와,
상기 소자 어레이부의 외주 한 변의 길이 보다도 짧은 긴 변을 갖고, 당해 긴 변이 상기 외주 한 변과 평행하게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와,
상기 복수의 소자에 부여해야 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소자 어레이부와 상기 제2 제어 회로에 포함되는 상기 긴 변 중앙에 가장 가까운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를 접속하는 복수의 소자용 배선과,
상기 복수의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제어 회로에 포함되는 상기 긴 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가장 가까운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를 접속하는 복수의 제어용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소자용 배선은, 상기 복수의 제어용 배선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과 간섭하지 않도록 굴곡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긴 변의 단부 중, 접속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이 큰 쪽의 단부측으로, 상기 긴 변 중 상기 복수의 소자용 배선과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배열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상기 외주 한 변의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변위시켜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은,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있어서,
상기 굴곡된 배선은,
상기 긴 변에 대하여 제1 각도를 갖도록 상기 단자부터 굴곡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1 배선 부분과,
상기 긴 변에 대하여 제2 각도를 갖도록 상기 굴곡 부분부터 상기 소자 어레이부까지 연장되는 제2 배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배선 부분은,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배선 부분보다도, 평균 길이 또는 최대 길이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국면은,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수가, 변위 방향과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수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국면은,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에서의 상기 긴 변에 대한 수직 방향의 길이가, 변위 방향과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에서의 상기 수직 방향의 길이 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은,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자용 배선 중,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과 반대측으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소자용 배선은, 주위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굴곡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국면은,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있어서,
상기 소자 어레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복수의 소자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1행 이상 또는 1열 이상의 소정 단위로 상기 복수의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제어 회로는, 상기 소자 어레이부의 변위 방향측 외주 한 변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어용 배선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국면은,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있어서,
상기 소자 어레이부는,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를 표시하기 위한 화소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소자인 복수의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2 이상의 열을 1조로 하여, 상기 복수의 열을 그룹화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 조의 각 열에 부여되어야 할 신호를 소정 기간 내에서의 시분할로 상기 복수의 열에 대하여 순서대로 전환해서 출력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표시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열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기판 외부로부터 수취한 영상 신호가 대응하는 표시를 행해야 할 표시 소자에 부여되도록, 상기 열 제어 회로에 상기 영상 신호를 부여하는 소스 드라이버 회로이며,
상기 복수의 소자용 배선은, 상기 열 제어 회로와 상기 소스 드라이버 회로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의하면, 제2 제어 회로는 긴 변의 단부 중, 접속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이 큰 쪽의 단부측으로, 그 긴 변 중 소자용 배선과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가 배열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소자 어레이부의 외주 한 변의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변위시켜서(어긋나게 해서) 배치한다. 이에 의해, 점유 영역이 큰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하고, 또한 점유 영역이 작은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2 제어 회로와 소자 어레이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형적으로는 제2 제어 회로가 형성된) 프레임 영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고, 장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의하면, 변위 방향측에 배치되는 제1 배선 부분은,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1 배선 부분보다도, 평균 길이 또는 최대 길이가 크므로, 점유 영역이 큰 측(변위 방향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하고, 또한 점유 영역이 작은 측(변위 방향과 반대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2 제어 회로와 소자 어레이부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고, 프레임 영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 의하면, 변위 방향과 반대측으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소자용 배선은, 굴곡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어용 배선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과 간섭하지 않도록 굴곡될 필요가 없고, 제2 제어 회로와 소자 어레이부와의 거리가 전형적으로는 가장 작아지도록 제2 제어 회로를 배치할 수 있고, 프레임 영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국면에 의하면, 변위 방향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에 접속되는 제2 제어 회로의 단자수가,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수보다도 많으므로, 변위 방향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이 단적으로는 커진다. 따라서, 단자수가 많은 측에 제2 제어 회로를 변위시켜서(어긋나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점유 영역이 큰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하고, 또한 점유 영역이 작은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2 제어 회로와 소자 어레이부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고, 프레임 영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국면에 의하면, 변위 방향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에서의 수직 방향의 길이가,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에서의 수직 방향의 길이 보다도 크므로, 소자용 배선에 간섭하는 점유 영역의 크기는, 변위 방향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 쪽이 커진다. 따라서, 수직 방향의 길이가 큰 측으로 제2 제어 회로를 변위시켜서(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점유 영역이 큰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하고, 또한 점유 영역이 작은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2 제어 회로와 소자 어레이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고, 프레임 영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국면에 의하면, 제3 제어 회로는, 변위 방향측 외주의 한 변 근방에 형성되고, 제어용 배선을 접속하므로, 제3 제어 회로측에 제2 제어 회로를 변위시켜서(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점유 영역이 큰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하고, 또한 점유 영역이 작은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제2 제어 회로와 소자 어레이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고, 프레임 영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국면에 의하면, 소자 어레이부가 복수의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용 디바이스 기판에 있어서, 제1 제어 회로에 포함되는 열 제어 회로와 소스 드라이버 회로를 접속하는 소자용 배선을 굴곡시켜, 소스 드라이버 회로를 소정 거리만큼 변위시켜서(어긋나게) 배치한다. 이에 의해, 점유 영역이 큰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하고, 또한 점유 영역이 작은 측의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열 제어 회로와 소스 드라이버 회로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형적으로는 소스 드라이버 회로가 형성된) 프레임 영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고, 장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자측 기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스 드라이버 IC와 RGB 스위치 회로 사이의 배선 위치 및 배선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구성보다도 소스 드라이버 IC를 더 좌측에 배치한 경우,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구동 회로의 일부 및 표시 소자가 모놀리식으로 형성된 소자측 기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액정 패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소자측 기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전체적인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인 액정 패널은, 소스 드라이버 IC의 배치 위치에 관련된 구성을 제외하는 것 이외에, 종래의 구성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즉, 본 액정 패널은 전술한 도 4에 도시되는 종래의 액정 패널(900)의 외관과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용 기판인 소자측 기판과 대향측 기판을 소정의 시일재를 통해서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시일재로 이들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봉입되어 있다. 또한 소자측 기판에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가 전달되는 FPC 기판이 접속되어 있고, 이 FPC 기판을 통해서 소자측 기판 상에 형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IC(103)에 상기 영상 신호가 부여된다. 이들 구성은 주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소자측 기판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구동 회로의 일부 및 표시 소자가 모놀리식으로 형성된 소자측 기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 도 1(에서 도 3까지)에 나타나는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긴 변을 따른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그 짧은 변에 따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소자측 기판(101)은 종래예의 소자 어레이 영역(905)과 같은 소자 어레이 영역(105) 내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 소자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소자(151)는 적색을 표시하고, 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3개의(1단위의) 표시 소자에 의해 1개의 컬러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 소자는, 열 방향(도면에서는 수직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소스 라인과, 행 방향(도면에서는 수평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의 교차점 근방에 형성되어 있고, 소자측 기판(101) 내에 모놀리식으로 형성된 행 제어 회로인 게이트 드라이버(111)로부터의 주사 신호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서 활발해진 표시 소자(에 포함되는 TFT)가 소스 라인으로부터 부여되는 영상 신호를 수취하여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주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소자측 기판(101) 상에는, 상기 3색을 표시하는 표시 소자에 연결되는 소스 라인을 순서대로 전환하기 위한 샘플링 유닛(1121)을 포함하는 복수의 샘플링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RGB 스위치 회로(112)와, 이 회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종 신호용 보호 소자 유닛이나, 버퍼 회로, 레벨 시프터 회로 등을 포함하는 제어용 회로(113a, 113b)가 모놀리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자측 기판(101)이 시일된 시일 영역(106) 밖에는, FPC 기판(104)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신호용 단자(140)와, 구동 회로(의 일부)인 전술한 소스 드라이버 IC(103)와, 이 소스 드라이버 IC(103)로의 입력 신호 단자(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향측 기판(102)의 공통 전극에 소정의 공통 전위를 부여하기 위해서, 소자측 기판(101)에는 4개의 코먼 전이 전극(10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코먼 전이 전극(107)과 공통 전극은, 도전성 페이스트나 시일재에 함유된 도전성 입자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코먼 전이 전극(107)은, 배선을 통해서 제어 신호용 단자(140)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공통 전위가 부여된다.
이 액정 패널은, 종래의 액정 패널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도시되지 않는 표시 제어 회로로부터 주지의 제어 신호(예를 들어, 클록 펄스나 스타트 펄스 등)를 수취하는 구성이며, 구체적으로는, 제어 신호용 단자(140)를 통해서 이들의 제어 신호가 RGB 스위치 회로(112) 및 게이트 드라이버(111)에 부여된다. 또한, 제어용 회로(113a, 113b)에는, 도시되지 않는 전원 회로로부터 전원 배선을 통해서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 IC(103)로부터 RGB 스위치 회로(112)에 영상 신호를 부여하는 배선의 수는, 각 표시 소자에 영상 신호를 부여하는 소스 라인 수의 1/3이며, 상기 배선은 RGB 각각을 표시하는 화소 회로에 연결되는 3개를 1조(1 단위)로 하는 소스 라인에 각각 샘플링 유닛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즉, 한 수평 주사 기간, 즉 1개의 게이트 라인이 선택된 기간 내에서, 영상 신호가 부여되는 소스 라인이 전환되고, 각 조를 구성하는 3개의 소스 라인 중, 각 수평 주사 기간을 제1에서 제3까지의 기간으로 3등분했을 때의 제1 기간에서는, 적색(R)의 표시 소자에 연결되는 좌측의 소스 라인에, 각 수평 주사 기간의 제2 기간에서는 녹색(G)의 표시 소자에 연결되는 중앙의 소스 라인에, 각 수평 주사 기간의 제3 기간에서는 청색(B)의 표시 소자에 연결되는 우측의 소스 라인에, 소스 드라이버 IC(103)로부터 영상 신호가 각각 인가된다.
또한, 이 종래예에서는 R, G, B의 인접하는 화소 형성부에 대응하는 3개의 소스 라인을 1조로 하고 있지만, 적어도 2개 이상의 소스 라인을 그룹화하고, 각 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스 라인에 소스 드라이버 IC(103)로부터의 1개의 출력 단자를 할당하고, 화상 표시에 있어서의 한 수평 주사 기간 내에 있어서 각 조 내의 영상 신호선에 시분할적으로 영상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표시 장치이면 좋다. 따라서, RGB 스위치 회로(112)의 명칭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열 제어 회로이면 좋다. 또한, 이 RGB 스위치 회로(112)는, 소스 드라이버 IC(103)와 함께, 또는 이것과는 별도로 소스 드라이버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소스 드라이버 IC(103)로부터 RGB 스위치 회로(112)에 영상 신호를 부여하기 위한 배선은, 도 1에서는 간략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실제로는 매우 수가 많고(예를 들어, 320개), 또한 RGB 스위치 회로(112)의 긴 변(가로 방향 또는 열 방향)의 길이는, 통상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긴 변의 길이(정확하게는 상기 긴 변 중 상기 배선이 접속되는 단자군이 배열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보다도 크므로, 이것들의 배선은 소스 드라이버 IC(103)에서 RGB 스위치 회로(112)로, 부채 형상으로 퍼지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될 경우, 배선 간격(피치)을 설계상 허용되는 최소값으로 설정했다고 하더라도, 소스 드라이버 IC(103)와 RGB 스위치 회로(112)의 거리(h)는, 어느 정도의 크기가 필요해진다. 또한, 제어용 회로(113a, 113b)에 접속되는 제어 신호용 배선과, RGB 스위치 회로(112)에 접속되는 영상 신호용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소스 드라이버 IC(103)와 RGB 스위치 회로(112)의 거리(h)를 더욱 크게 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 IC(103)에서의 상기 긴 변(정확하게는 영상 신호용 배선이 접속되는 단자군이 배열되어 있는 상기 긴 변이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RGB 스위치 회로(112)의 중심 위치에서 좌측으로 거리(g)만큼 어긋나게 함(변위시킴)으로써, 상기 거리(h)를 작게 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하, 이 특징을 근거로 하여, 이들 배선의 배치 위치 및 배치 간격과 거리(h)의 관계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재차 설명한다.
<2. 소스 드라이버 IC를 좌측으로 어긋나도록 배치하는 구성에 대해서>
도 2는, 소스 드라이버 IC와 RGB 스위치 회로 사이의 배선 위치 및 배선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 IC(103)는, 단자(1031)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를 갖고 있다. 이 단자는 전형적으로는 범프 전극이며,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각종 배선과, 예를 들어 이방성 도전막(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단자 중,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긴 변측 좌측 단부의 단자(1031)를 포함하는 a개(여기서는 a=5)의 단자는, a개의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에 접속되고, 그 긴 변 측의 우측 단부로부터 b개(여기서는 b=2)의 단자는, b개의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에 접속되고, 그 사이의 n개(여기서는 n=320)의 단자는, n개의 영상 신호용 배선(2111 내지 211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원 배선은 폭이 넓기 때문에, 실제로는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는 경우가 많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1개의 배선은 1개의 단자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 및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은, 전원 배선 등의 폭이 큰(예를 들어, 수십 또는 수백 ㎛정도의 선 폭의) 배선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배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신호용 배선(2111 내지 211n)과는 달리,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만 연장하여 형성되고,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이것들의 배선은 넓은 배선용 영역을 점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점유 영역의 크기를 단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에 의해 점유되고 있는 배선 영역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좌측 배선의 총 폭(c)으로 하고,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배선 영역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우측 배선의 총 폭(d)으로 한다. 이때, (영상 신호용 배선과의 간섭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의 점유 영역이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점유 영역보다 큰 것은, c>d인 점에서 이끌어낼 수 있다. 왜냐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영상 신호용 배선은, 상기 제어용 배선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단자로부터 우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좌측 배선의 총 폭(c) 및 우측 배선의 총 폭(d)의 크기는, 영상 신호용 배선과의 간섭에서, 문제가 되는 점유 영역의 크기를 정하는 주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제어용 배선 각각의 폭(또는, 그 평균값)이 동등한 것이라고 하면,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의 점유 영역이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점유 영역보다 큰 것은, a>b인 점에서도(간단하게) 이끌어낼 수 있다.
이어서, 영상 신호용 배선(2111 내지 211n)은,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 및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점유 영역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우선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하여 형성되고, 또한 거기에서 굴곡되어 RGB 스위치 회로(112)의(샘플링 유닛(1121)을 포함) 대응하는 각 샘플링 유닛으로 부채 형상으로 퍼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모든 배선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굴곡되는 위치로부터 각 샘플링 유닛까지의 배선(이하 「기울기 배선」이라고 함)은, 좌우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예각)(θ)가 동일해지고 있다. 따라서 기울기 배선은, 중앙에 가까운 배선일수록 각도(θ)가 90도에 가까워지는 것과 같은 부채 형상과, 엄밀하게는 상이하게 배치되게 되지만, 완전한 부채 형상 또는 그것과 유사한 형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배선의 구성(예를 들어, 배선 재료, 막 두께 및 보호막의 유무)이나 패터닝에 사용하는 노광 장치의 해상도 등에 의해, 배선 사이의 최소 간격(e)은, 설계 룰에 기초하는 최소 도체 폭·도체 간격(L/S: Line and Space)의 제약을 받는다. 여기서, 영상 신호용 배선(2111 내지 211n)의 기울기 배선과 RGB 스위치 회로의 배열 방향(지면 수평 방향)이 이루는 각도(θ)는, 배선 사이의 최소 간격(e)과, 영상 신호용 배선과 RGB 스위치 회로의 접속 간격으로 결정, 배선 사이의 최소 간격(e)이 작으면 각도(θ)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채 형상인 배선의 최좌측 단부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의 연신 각도와 최우단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의 연신 각도는 축 대칭인 관계가 되도록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그러나, 주위의 회로나 배선과의 간섭을 피해서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경우에는, 부채 형상의 배선의 최좌측 단부측의 영상용 신호의 연신 각도와 최우측 단부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의 연신 각도는 축 대칭인 관계가 되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단자(에 배선을 접속했을 때, 배선 사이의) 간격(p)은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레이아웃에 의존하고, 또한 영상용 신호선과 소스 드라이버 IC(103) 측의 단자와의 접속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단자 간격(p)은 비교적 큰 값이 된다. 따라서 e<p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관계를 전제로 하면, 영상용 신호 배선(2111 내지 211n)은, 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필요해진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신하는 서로 평행한 영상용 신호 배선끼리의 사이에 발생하는 선 사이의 영역은, 예를 들어 넘버링이나 전기적인 평가를 위해서 촉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패드의 배치 영역으로서 활용된다. 또는 이 영역에 시일이 배치되는 액정 셀인 경우, 소위 셀 갭의 조정을 위해서 시일 하의 요철 패턴의 조밀을 억제하기 위한 더미의 배선 패턴이 배치된다. 이때 영상 신호용 배선이 평행하면, 간단한 더미의 배선 패턴으로, 시일 하의 요철 패턴의 조밀을 조정하기 쉬워지므로 영상용 신호 배선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조건을 전제로 하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배선의(상하 방향의) 길이나, 기울기 배선의 각도(θ), 각 단자수, 각 변의 길이 등에 기초하여, 소스 드라이버 IC(103)와 RGB 스위치 회로(112)의 위치 관계에 따른 거리(h)는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 IC(103)에 있어서 영상 신호용 배선이 접속되는 단자군이 배열되어 있는 긴 변이 대응하는 부분(선분)의 중심 위치(이하에서는 간단히 「영상 신호용 배선이 접속되어 있는 단자군의 중심 위치」라고 함)(f1)는, RGB 스위치 회로(112)에 있어서의(영상 신호용 배선이 접속되는 긴 변이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f2)에서 좌측으로 거리(g)만큼 어긋나게 되어 있다(변위되어 있다). 이것은(영상 신호용 배선과의 간섭에서 문제가 되는)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의 점유 영역이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점유 영역보다 크기 때문이다.
즉, 영상 신호용 배선(2111 내지 211n) 중,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상기 단자군의 중심 위치(f1)로부터 좌측의 단자에 접속되고, RGB 스위치 회로(112)의 중심 위치(f2)로부터 좌측에 접속되는 영상 신호용 배선(이하, 간단히 「좌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이라고 함)은,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의 큰 점유 영역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우선 상하 방향으로 크게 연장된 후에 굴곡된다. 이에 비해, 영상 신호용 배선(2111 내지 211n) 중,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상기 단자군의 중심 위치(f1)로부터 우측의 단자에 접속되고, RGB 스위치 회로(112)의 중심 위치(f2)로부터 우측에 접속되는 영상 신호용 배선(이하, 간단히 「우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이라고 함)은,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작은 점유 영역과의 간섭을 피하기만 해도 되므로, 상하 방향으로 크게 연장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예와 같이 상기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거리(h)를 크게 하는 것이 아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거리(h)를 작게 하고, 또한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배치 위치를 좌측 방향으로 거리(g)만큼 어긋나게 한다(변위시킨다). 그렇게 하면, 우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는 보다 작아지지만, 좌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의 점유 영역이 커도 이것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할 수 있고, 또한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점유 영역이 작으므로 이것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의 큰 점유 영역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할 수 있고, 또한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작은 점유 영역과의 간섭을 피할 수도 있을 정도로, 거리(g)가 정해진다.
따라서,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점유 영역이 작기 때문에, 당해 점유 영역과 우측의 영상 신호선과의 간섭이 문제가 안 되는 한도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영상 신호선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를 0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길이를 0으로 한다」는 경우에도, 드라이버 IC(103)의 단자와 영상 신호선의 단부와의 접속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영상용 신호선의 단부가 작은 범위에서 굴곡하거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은 필요하다. 따라서 여기에서 말하는 「길이를 0으로 한다」란,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적재 영역의 외측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우측의 영상 신호선이 다른 구성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도 3의 지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을 갖지 않는 것을 편의적으로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고, 영상 신호선이 전혀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구성보다도 소스 드라이버 IC를 더 좌측에 배치한 경우의 구동 회로의 일부 및 표시 소자가 모놀리식으로 형성된 소자측 기판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우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도 2에 도시하는 영상 신호용 배선(211n)에 상당하는 배선)은, 소스 드라이버 IC(103)가 대응하는 단자에 기울기 배선만으로 접속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우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 중 1개만이 실질적으로 기울기 배선(의 부분)만으로 소스 드라이버 IC(103)가 대응하는 단자에 접속되는 구성은, 최소 간격(e)이 레이아웃 룰상 허용되는 최소값이면, 거리(h)를 가장 작게 할 수 있는 구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제어용 배선(202b)에 기울기 배선의 부분을 새롭게 형성함으로써,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점유 영역을 변형시켜, 가장 우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도 2에 도시하는 영상 신호용 배선(211n)에 상당하는 배선)과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거리(h)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경우가 있다.
<3. 효과>
이상과 같이, 소스 드라이버 IC(103)에 있어서의 영상 신호용 배선이 접속되어 있는 단자군의 중심 위치를 RGB 스위치 회로(112)의 중심 위치로부터 좌측에 거리(g)만큼 어긋나게 함(변위시킴)으로써, 좌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를 보다 크게 하고, 우측의 영상 신호용 배선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측 제어용 배선(2011 내지 201a)의 큰 점유 영역과의 간섭을 충분히 피하고, 또한 우측 제어용 배선(2021, 202b)의 작은 점유 영역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소스 드라이버 IC(103)와 RGB 스위치 회로(112)와의 거리(h)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거리가 작아짐으로써, 프레임 영역을 보다 축소시킨 디바이스 기판 및 표시 장치용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리(h)를 작게 함으로써 프레임 영역을 축소시키는 것 대신에, 상기 구성에 의해 만들어지는 빈 영역을 이용하여, 제어 배선을 보다 굵고 충분한 선 폭으로 배치하거나, 동일한 프레임 내에 보다 많은 제어 배선을 감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4.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영상 신호용 배선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과 기울기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대신에, 상기 기울기 배선의 각도 θ보다도 큰(좌우 방향에 대하여 이룬) 각도 θ'를 갖는 상기 기울기 배선과는 다른 기울기 배선과, 상기 기울기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통상, 상기 기울기 배선의 각도 θ는, 설계 룰상 최소값으로 설정되지만, 그것보다 큰 각도이며, 제어용 배선과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라면, 그 각도 θ'는 90도 이하의 어떤 값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은, 각도 θ'가 90도인 기울기 배선의 일종이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는, 시분할 구동 방식을 채용한 RGB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인데, 통상의 구동 방식을 채용한 RGB 스위치 회로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고, 예를 들어 소스 드라이버 IC(103)의 제어용 출력 단자의 수 및 이들과 접속되는 제어용 배선의 수 또는 점유 영역이, 소스 드라이버 IC(103)의(긴 변) 좌우가 상이한 구성이면,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버 등의 제어 회로가 모놀리식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도 없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 IC(103)에 상당하는 회로가 모놀리식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프레임 영역의 크기를 직접 축소하는 것은 아니지만, 거리(h)를 작게 함으로써, 디바이스 기판의 외형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프레임 영역을 축소시키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 등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 표시 장치나 다른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은, 소자측 기판과 대향 기판을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자측 기판에 상당하는 표시 장치용 기판만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패널의 소자측 기판 등의 표시 장치용 기판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자 어레이와 구동 회로 등의 제어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의 디바이스 기판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소자 어레이로서의 센서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센서 패널이나 소자 어레이로서의 메모리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메모리 기판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러한 디바이스 기판에 적용한 경우에도 구동 회로 등의 제어 회로를 소자 어레이에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영역을 보다 축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과 같은 디바이스 기판에 적용되는 것이며, 소자 어레이에 대하여 신호를 부여하는 배선과 제어용 배선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기판에 적합하다.
101 소자측 기판
103 소스 드라이버 IC
105 소자 어레이 영역
106 시일 영역
107 코먼 전이 전극
111 게이트 드라이버
112 RGB 스위치 회로
113a, 113b 제어용 회로(레벨 시프터 회로 등)
140 제어 신호용 단자
151 표시 소자
1121 샘플링 유닛

Claims (7)

  1. 복수의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기판으로서,
    복수의 행 및 열을 구성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소자 및 당해 복수의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소자 어레이부와,
    상기 소자 어레이부의 외주 한 변의 길이 보다 짧은 긴 변을 갖고, 당해 긴 변이 상기 외주 한 변과 평행하게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 회로와,
    상기 복수의 소자에 부여해야 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소자 어레이부와 상기 제2 제어 회로에 포함되는 상기 긴 변 중앙에 가장 가까운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를 접속하는 복수의 소자용 배선과,
    상기 복수의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제어 회로와 상기 제2 제어 회로에 포함되는 상기 긴 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가장 가까운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를 접속하는 복수의 제어용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소자용 배선은 상기 복수의 제어용 배선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과 간섭하지 않도록 굴곡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긴 변의 단부 중 접속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이 큰 쪽의 단부측으로, 상기 긴 변 중 상기 복수의 소자용 배선과 접속되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배열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상기 외주 한 변의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변위시켜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된 배선은,
    상기 긴 변에 대하여 제1 각도를 갖도록 상기 단자부터 굴곡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1 배선 부분과,
    상기 긴 변에 대하여 제2 각도를 갖도록 상기 굴곡 부분부터 상기 소자 어레이부까지 연장되는 제2 배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배선 부분은,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배선 부분보다 평균 길이 또는 최대 길이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자용 배선 중,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과 반대측으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소자용 배선은, 주위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굴곡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수가 변위 방향과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에 접속되는 단자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긴 변 중 상기 대응하는 부분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변위 방향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에서의 상기 긴 변에 대한 수직 방향의 길이가 변위 방향과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어용 배선의 점유 영역에서의 상기 수직 방향의 길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어레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복수의 소자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1행 이상 또는 1열 이상의 소정 단위로 상기 복수의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제어 회로는, 상기 소자 어레이부의 변위 방향측 외주 한 변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어용 배선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어레이부는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를 표시하기 위한 화소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소자인 복수의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2 이상의 열을 1조로 하여, 상기 복수의 열을 그룹화함으로써 얻어지는 복수 조의 각 열에 부여되어야 할 신호를 소정 기간 내에서의 시분할로 상기 복수의 열에 대하여 순서대로 전환해서 출력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표시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열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기판 외부로부터 수취한 영상 신호가 대응하는 표시를 행해야 할 표시 소자에 부여되도록, 상기 열 제어 회로에 상기 영상 신호를 부여하는 소스 드라이버 회로이며,
    상기 복수의 소자용 배선은 상기 열 제어 회로와 상기 소스 드라이버 회로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기판.
KR1020127005481A 2009-09-02 2010-04-23 디바이스 기판 KR101313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2234 2009-09-02
JPJP-P-2009-202234 2009-09-02
PCT/JP2010/057210 WO2011027589A1 (ja) 2009-09-02 2010-04-23 デバイス基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322A KR20120049322A (ko) 2012-05-16
KR101313918B1 true KR101313918B1 (ko) 2013-10-01

Family

ID=4364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481A KR101313918B1 (ko) 2009-09-02 2010-04-23 디바이스 기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41630B2 (ko)
EP (1) EP2474964B1 (ko)
JP (1) JP5254450B2 (ko)
KR (1) KR101313918B1 (ko)
CN (1) CN102483888B (ko)
BR (1) BR112012008158A2 (ko)
RU (1) RU2496154C1 (ko)
WO (1) WO2011027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9224B2 (ja) 2009-11-02 2013-09-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WO2012099025A1 (ja) * 2011-01-20 2014-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KR101681820B1 (ko) * 2012-03-21 2016-12-0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패널
US9524683B2 (en) * 2012-07-20 2016-12-2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ith signal lines routed to decrease size of non-display area
WO2014112560A1 (ja) * 2013-01-21 2014-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表示装置
JP5976195B2 (ja) * 2013-02-26 2016-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TWI514343B (zh) 2014-07-30 2015-12-21 E Ink Holdings Inc 背光顯示裝置
CN104484077B (zh) * 2015-01-05 2018-09-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触控功能的显示面板及其触控检测方法
JP6830765B2 (ja) 2015-06-08 2021-02-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6917726B2 (ja) * 2017-02-13 2021-08-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TWI610281B (zh) * 2017-03-09 2018-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WO2018168680A1 (ja) 2017-03-17 2018-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表示パネル
CN108010949A (zh) * 2017-11-30 2018-05-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异形切割的oled显示面板及oled显示器
US10852591B2 (en) * 2018-06-29 2020-12-0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US10964284B2 (en) * 2018-09-05 2021-03-30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component board and display panel
CN208938550U (zh) * 2018-11-26 2019-06-04 北京京东方技术开发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018598B (zh) * 2019-04-10 2024-03-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060648A (zh) * 2019-05-17 2019-07-2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驱动集成电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618A (ko) * 2004-03-15 2006-05-1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글래스 기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0807A (en) * 1993-01-05 1996-04-23 Yuen Foong Yu H.K. Co., Ltd. Data driver circuit and associated method for use with scanned LCD video display
JP3445121B2 (ja) * 1997-10-24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トリクス基板と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プロジェクター
JP4232227B2 (ja) 1998-03-25 2009-03-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7508479B2 (en) * 2001-11-15 2009-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JPWO2007026446A1 (ja) * 2005-08-30 2009-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バイス基板および液晶パネル
JP2008076443A (ja) * 2006-09-19 2008-04-0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WO2008053622A1 (fr) * 2006-11-01 2008-05-08 Sharp Kabushiki Kaisha Substrat de dispositif et substrat de dispositif d'affich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618A (ko) * 2004-03-15 2006-05-1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글래스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08158A2 (pt) 2016-03-01
EP2474964A1 (en) 2012-07-11
RU2012112478A (ru) 2013-10-10
JP5254450B2 (ja) 2013-08-07
JPWO2011027589A1 (ja) 2013-02-04
EP2474964A4 (en) 2013-02-20
US20120146972A1 (en) 2012-06-14
WO2011027589A1 (ja) 2011-03-10
CN102483888A (zh) 2012-05-30
EP2474964B1 (en) 2014-04-16
US8941630B2 (en) 2015-01-27
CN102483888B (zh) 2014-06-04
RU2496154C1 (ru) 2013-10-20
KR20120049322A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918B1 (ko) 디바이스 기판
US10114258B2 (en) Narrow bezel display device
KR1007781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7495737B2 (en) Horizontal stri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79779B1 (ko) 칩 온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09089A (ja) 表示装置
KR10188753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8398818B (zh) 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JP5431993B2 (ja) 表示装置
JP4542202B2 (ja) 表示装置
KR102268255B1 (ko) 표시 장치
JP2013238829A (ja) 液晶表示装置
CN108398815B (zh) 电光装置以及电子设备
JP4541734B2 (ja) 表示装置
JP2008309825A (ja) 液晶表示装置
WO2008053622A1 (fr) Substrat de dispositif et substrat de dispositif d&#39;affichage
JP201812848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624179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262709B1 (ko) 평판표시장치
KR101021747B1 (ko) 액정표시장치
JP4615245B2 (ja) カラー画像表示装置
CN116564974A (zh) 显示基板及显示装置
JP2024072041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装置
JP202001681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812931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