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405B1 -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405B1
KR101309405B1 KR1020120006924A KR20120006924A KR101309405B1 KR 101309405 B1 KR101309405 B1 KR 101309405B1 KR 1020120006924 A KR1020120006924 A KR 1020120006924A KR 20120006924 A KR20120006924 A KR 20120006924A KR 101309405 B1 KR101309405 B1 KR 10130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vibration motor
extension par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826A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405B1/ko
Priority to CN2012100824515A priority patent/CN103219857A/zh
Priority to US13/441,586 priority patent/US8766499B2/en
Publication of KR20130085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동 모터는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코일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공진 운동을 하는 질량 부재;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덮개; 및 상기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덮개에 압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덮개를 밀착시키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높이(h)는 조건식 1(0.13 < h - t2 < 0.50)을 만족할 수 있다. 참고로, 조건식 1에서 t2은 상기 덮개의 두께이다.

Description

진동 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덮개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모터는 회전 축에 대해 편심 질량을 갖는 회전자가 회전함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얻는 구조이다. 여기서, 회전자의 회전은 브러시와 정류자의 접촉에 의해 회전자의 코일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브러시와 정류자를 이용한 진동모터는 브러시와 정류자 간의 기계적 마찰이 크고 브러시와 정류자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 불꽃이 발생하여 모터의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진동모터는 목표 진동주파수에 도달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빠른 응답성을 요구하는 출력장치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모터로서 선형 진동 모터가 있다.
선형 진동 모터는 탄성 부재에 의해 고정된 질량 부재를 전자기력으로 진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진동주파수를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선형 진동 모터는 하우징과 덮개가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결합 구조는 용융물질이 하우징의 내부로 침투하여 선형 진동 모터의 진동 특성을 변화시키는 단점이 있다(예를 들어, 진동 모터에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KR 2010-01982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모터의 진동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하우징과 덮개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는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코일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공진 운동을 하는 질량 부재;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덮개; 및 상기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덮개에 압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덮개를 밀착시키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높이(h)는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0.13 < h - t2 < 0.50
(조건식 1에서 t2은 상기 덮개의 두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연장부는 컬링에 의해 상기 덮개에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덮개의 지지하는 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덮개에 용이하게 압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하우징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냉간 압연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연장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덮개는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는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코일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공진 운동을 하는 질량 부재; 및 상기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덮개에 압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덮개를 밀착시키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높이(h)는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0.13 < h - t2 < 0.50
(조건식 1에서 t2은 상기 덮개의 두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연장부는 컬링에 의해 상기 덮개에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덮개의 지지하는 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덮개에 용이하게 압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하우징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냉간 압연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연장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서 상기 덮개는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덮개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동 모터의 진동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모터의 컬링 전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모터의 컬링 후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컬링 후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표 2에 기재된 연장부의 높이와 발거력(拔去力)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진동 모터의 컬링 후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B 부분의 컬링 후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소형 진동 모터는 하우징과 덮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영구자석과 코일을 수용하며, 영구자석과 코일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정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휴대용 단말기에서 요구하는 진동의 크기가 점차 커지고 휴대용 단말기에서 필요로 하는 진동주파수의 대역이 특정화됨에 따라, 내부 충격과 외부 충격에 대해 안정성을 갖는 소형 진동 모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즉, 종래의 소형 진동 모터는 내부 충격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과 덮개가 분리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대역의 진동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얻기 어렵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우징과 덮개를 용접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용접작업과정에서 용융된 물질이 진동 모터의 내부로 유입되어 주요 부품들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의 내부로 유입된 용융물질은 코일과 영구자석 사이에 침투하여 코일의 단선을 유발하므로, 진동 모터의 특성 변화(노이즈 발생)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덮개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소형 진동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과 덮개를 압착방식(특히, 컬링(curling))으로 결합하여 하우징과 덮개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우징과 덮개가 접촉하는 전체 부위가 압착되므로, 하우징과 덮개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또는 덮개가 냉간압연강판으로 제작되므로, 외력에 의해 압착상태가 크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 충격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과 덮개의 이음새가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일정한 크기의 진동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모터의 컬링 전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진동 모터의 컬링 후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컬링 후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표 2에 기재된 연장부의 높이와 발거력(拔去力)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진동 모터의 컬링 후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B 부분의 컬링 후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100)는 하우징(110), 덮개(120), 탄성 부재(130), 영구자석(140), 코일(150), 질량 부재(160), (가요성) 회로기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진동 모터(100)는 충격 흡수 부재(180, 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하우징(11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하우징(110)은 원통 형상 외에 다른 형상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장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12)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영구자석(140)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부(112)는 하우징(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장착부(112)에는 영구자석(140)을 하우징(1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냉간압연강판(SPCC)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재질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므로, 하우징(11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냉간압연강판 및 스테인리스 스틸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성을 갖는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14)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면에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높이방향(도면 기준으로 Z축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14)는 하우징(110)과 덮개(120)의 결합 상태에서 덮개(120)의 밑면 위쪽으로 연장되는 하우징(11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연장부(114)는 하우징(110)의 두께(t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압착작업(특히, 커링(curling)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우징(110)의 두께(t1)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4)는 제1부분(1142)과 제2부분(11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부분(1142)은 덮개(120)의 끝면과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제1부분(1142)은 덮개(120)의 둘레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11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부분(1142)의 높이(h1)는 덮개(120)의 두께(t2)와 동일하거나 또는 덮개(120)의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제2부분(1144)은 연장부(114)에서 제1부분(114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일 수 있다. 즉, 제2부분(1144)은 하우징(110)과 덮개(120)의 결합상태에서 덮개(120)의 윗면 위쪽으로 연장되는 하우징(11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제2부분(1144)의 높이(h2)는 제1부분(1144)의 높이(h1)보다 작을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두께(t1)와 동일하거나 또는 하우징(110)의 두께(t1)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연장부(114)는 소정의 높이(h; h1+h2)를 가질 수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링(curling) 공정을 통해 덮개(120)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한편, 연장부(114)의 높이(h)는 아래와 같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아래에서 표 1은 연장부(114)의 높이(h)와 제2부분(1144)의 여러 가지 실험 수치를 나타낸 표이고, 표 2는 연장부(114; 1142, 1144)의 높이와 발거력(拔去力) 간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발거력은 하우징(110)에 압착된 덮개(120)를 강제로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를 의미한다.
Figure 112012005722788-pat00001
실험은 연장부(114)의 높이(h)와 제2부분(1144)의 높이(h2)를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하면서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하우징(110)과 덮개(120)의 결합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수치를 찾아보았다.
즉, 각각의 실험 예들은 연장부(114)의 높이(h)에 따라 제2부분(1144)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고, 그에 따른 덮개(120)의 발거력을 실험하였다(참고로, 본 실험에서 덮개(120)의 두께(t2)는 제1부분(1142)의 높이(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114)의 전체 높이(h)에 대한 제2부분(1144)의 높이 비율은 실험 예 1에서 0.33%이고, 실험 예 2에서 0.28%이고, 실험 예 3에서 0.41%이고, 실험 예 4에서 0.44%이고, 실험 예 5에서 0.47%이다.
Figure 112012005722788-pat00002
실험결과, 실험 예 3 내지 5의 발거력이 실험 예 1 및 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험 예 3 및 4는 최소 발거력과 최대 발거력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6 참조). 따라서, 연장부(114)의 전체 높이(h)에 대한 제2부분(1144)의 높이 비율은 0.40 ~ 0.45% 범위가 최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연장부(114)의 높이(h)는 아래의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조건식 1에서 연장부(114)의 높이(h)는 h1 + h2이다.
[조건식 1] 0.13 ㎜ < h - t2 < 0.50 ㎜
여기서, 발거력은 연장부(114)의 높이가 클수록 좋아지나, 연장부(114)의 높이가 조건식 1의 최대값을 초과하면, 컬링작업 시 연장부(114)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연장부(114)의 높이가 조건식 1의 최소값 미만이면, 연장부(114)가 덮개(120)에 안정적으로 압착될 수 없다.
따라서, 하우징(110)과 덮개(12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조건식 1을 만족하는 형태로 연장부(114)의 높이를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덮개(12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일면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120)는 상기 개방된 일면과 동일한 크기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덮개(12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120)는 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냉간압연강판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120)의 재질은 전술된 재질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덮개(120)는 일 측(도 2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22)는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로기판(17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별도의 도면부호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우징(110)에는 돌출부(122)가 연장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탄성 부재(130)의 일단은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브래킷(16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탄성 부재(130)는 외력에 의해 상하 방향(도 1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브래킷(162)을 항상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13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탄성 부재(130)의 형상이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30)는 판 스프링 또는 기타 다른 스프링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영구자석(140)은 장착부(112)에 배치될 수 있다. 영구자석(140)은 탄성 부재(13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며, 코일(150)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브래킷(162)을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영구자석(140)에는 요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요크(142)는 영구자석(140)과 코일(150)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요크(142)은 판 형상일 수 있으며, 자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요크(142)는 접착제 등에 의해 영구자석(140)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150)은 브래킷(16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50)은 브래킷(162)에 접착되거나 또는 브래킷(162)에 감길 수 있다.
코일(150)은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7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150)이 형성하는 자기장의 크기 및 방향은 회로기판(17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코일(150)은 영구자석(140)과 상호 작용을 통해 브래킷(162)을 상하방향(도 1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는 탄성 부재(130)의 스프링 상수와 질량 부재(160)의 질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코일(150)은 영구자석(140)의 단면 형상보다 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162)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코일(150)의 내부에 영구자석(140)이 배치될 수 있다.
질량 부재(160)는 브래킷(162)에 형성될 수 있으며, 브래킷(162)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질량 부재(160)는 소정의 질량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량 부재(16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질량 부재(160)의 재질은 금속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첨부된 도면에는 질량 부재(160)와 브래킷(162)이 각각의 분리된 부재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질량 부재(160)와 브래킷(162)은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덮개(120)에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코일(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코일(15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돌출부(122)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170)의 연장된 부분에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움직임이 자유로운 가요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은 필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회로기판(170)은 움직임이 자유로우므로, 브래킷(162)의 상하 움직임에 관계없이 코일(150)과의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180, 182)는 하우징(110)과 덮개(120)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충격 흡수 부재(180)는 장착부(112)의 둘레에 형성되고, 제2충격 흡수 부재(182)는 덮개(120)의 일면(도 1 기준으로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충격 흡수 부재(180)는 브래킷(162)의 하방 이동 시 브래킷(162)과 하우징(110)이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충격 흡수 부재(182)는 브래킷(162)의 상방 이동 시 브래킷(162)과 덮개(120)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 모터(100)는 하우징(110)과 덮개(120)가 컬링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하므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 부품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를 설명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터(100)는 하우징(110)의 형상 및 덮개(120)의 형상에 있어서 제1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116)을 구비할 수 있다. 단턱(116)은 하우징(110)의 내벽과 연장부(114)가 연결되는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턱(116)은 덮개(120)의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단턱(116)은 컬링 작업 이후에는 연장부(114)와 함께 덮개(120)의 가장자리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덮개(120)는 경사부(1242)와 평탄부(1244)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덮개(120)의 가장자리(12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242)와 평탄부(12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부(1242)는 덮개(120)의 몸통으로부터 하방으로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고, 평탄부(1244)는 경사부(1242)의 끝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덮개(120)의 평탄부(1244)는 연장부(114)에 의해 덮여질 수 있고, 덮개(120)의 경사부(1242)는 연장부(114)의 끝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덮개(120)는 연장부(114)와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진동 모터(100)는 하우징(110)과 덮개(120)의 결합 상태에서 덮개(120)의 표면과 연장부(114) 간의 틈새가 축소되므로(도 10 참조), 하우징(110)과 덮개(120)의 기밀성과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하우징(110)에 영구자석(140)이 형성되고, 덮개(120)에 코일(15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부재의 위치는 상호 바뀔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에 코일(150)이 형성되고, 덮개(120)에 영구자석(14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진동 모터
110 하우징
114 연장부
120 덮개
130 탄성 부재
140 영구자석
150 코일
160 질량 부재
170 기판
180, 182 충격 흡수 부재

Claims (20)

  1.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코일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공진 운동을 하는 질량 부재;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덮개; 및
    상기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덮개에 압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덮개를 밀착시키는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높이(h)는 조건식 1을 만족하는 진동 모터.
    [조건식 1] 0.13 < h - t2 < 0.50
    (조건식 1에서 t2은 상기 덮개의 두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컬링에 의해 상기 덮개에 압착되는 진동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개방된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진동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덮개의 지지하는 단턱을 구비하는 진동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덮개에 용이하게 압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진동 모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냉간 압연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진동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의 끝 부분과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진동 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진동 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진동 모터.
  11.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코일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공진 운동을 하는 질량 부재; 및
    상기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덮개에 압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덮개를 밀착시키는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높이(h)는 조건식 1을 만족하는 진동 모터.
    [조건식 1] 0.13 < h - t2 < 0.50
    (조건식 1에서 t2은 상기 덮개의 두께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컬링에 의해 상기 덮개에 압착되는 진동 모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개방된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진동 모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덮개의 지지하는 단턱을 구비하는 진동 모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덮개에 용이하게 압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진동 모터.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냉간 압연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진동 모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의 끝 부분과 접촉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진동 모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진동 모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진동 모터.
KR1020120006924A 2012-01-20 2012-01-20 진동 모터 KR101309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924A KR101309405B1 (ko) 2012-01-20 2012-01-20 진동 모터
CN2012100824515A CN103219857A (zh) 2012-01-20 2012-03-26 振动电机
US13/441,586 US8766499B2 (en) 2012-01-20 2012-04-06 Vibration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924A KR101309405B1 (ko) 2012-01-20 2012-01-20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826A KR20130085826A (ko) 2013-07-30
KR101309405B1 true KR101309405B1 (ko) 2013-09-17

Family

ID=4879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924A KR101309405B1 (ko) 2012-01-20 2012-01-20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66499B2 (ko)
KR (1) KR101309405B1 (ko)
CN (1) CN1032198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06B1 (ko) * 2012-06-22 2013-12-1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1388816B1 (ko) * 2012-09-07 2014-04-3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KR102173564B1 (ko) * 2013-12-30 2020-11-03 주식회사 엠플러스 선형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JP6573228B2 (ja) * 2015-02-19 2019-09-11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および振動モータの製造方法
JP2017099153A (ja) * 2015-11-25 2017-06-01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無音報知デバイスおよび振動モータの製造方法
CN106849590A (zh) * 2017-02-08 2017-06-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线性马达和电子设备
CN206908496U (zh) * 2017-07-13 2018-01-19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微型线性振动器
CN207069861U (zh) * 2017-08-11 2018-03-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线性振动马达
JP7022617B2 (ja) * 2018-02-28 2022-02-18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2100823B1 (ko) * 2018-04-11 2020-04-21 주식회사 엠플러스 리니어 진동 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896A (ko) * 2009-04-27 2010-11-04 김종대 리니어 진동모터 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101047451B1 (ko) * 2008-11-11 2011-07-07 주식회사 예일전자 코인형 선형모터
KR101055508B1 (ko) * 2010-12-31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813B1 (ko) * 1998-07-06 2006-08-1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음향ㆍ진동 발생 장치
US20020163264A1 (en) * 2001-05-04 2002-11-07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Miniature vibration motor structure
US20020163265A1 (en) * 2001-05-04 2002-11-07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Miniature vibration motors structure
JP2002361174A (ja) * 2001-06-11 2002-12-17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振動アクチュエータ装置
US20020190589A1 (en) * 2001-06-14 2002-12-19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Direct current brushless type vibration motor
TWI259640B (en) * 2004-04-30 2006-08-01 Benq Corp Vibration motor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KR100737529B1 (ko) * 2005-09-27 2007-07-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슬림형 진동 모터
CN1992474B (zh) * 2005-12-26 2010-08-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增加振动量的扁平型振动马达
CN104410944A (zh) * 2008-05-01 2015-03-11 株式会社礼一电子 传感信号输出装置
KR100894656B1 (ko) * 2008-05-01 2009-04-24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006714B1 (ko) 2008-08-11 2011-01-10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의 케이스
KR101101713B1 (ko) * 2010-03-02 2012-01-05 주식회사 비에스이 진동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30064B1 (ko) * 2010-08-06 2012-03-28 주식회사 비에스이 선형 진동모터
KR101046044B1 (ko) * 2010-10-04 2011-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451B1 (ko) * 2008-11-11 2011-07-07 주식회사 예일전자 코인형 선형모터
KR20100117896A (ko) * 2009-04-27 2010-11-04 김종대 리니어 진동모터 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101055508B1 (ko) * 2010-12-31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826A (ko) 2013-07-30
US8766499B2 (en) 2014-07-01
CN103219857A (zh) 2013-07-24
US20130187502A1 (en)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405B1 (ko) 진동 모터
US8937411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9219401B2 (en)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450887B2 (en) Vertical vibrator
US20140132089A1 (en) Linear vibration motor
US20120187780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s
KR20100119970A (ko) 선형 진동 장치
KR101163612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8461729B2 (en) Linear vibrator
CN102859851B (zh) 线性振动产生装置
EP2475190A1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US8450886B2 (en) Linear vibrator
US20110278962A1 (en) Linear vibrator
US20120133220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s
US20110278961A1 (en) Linear vibrator
US20120133219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s
KR101130064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0994999B1 (ko)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KR101321000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20130301396A1 (en) Housing fo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266793B1 (ko) 햅틱 엑추에이터
KR101130131B1 (ko) 선형 진동소자
KR101362392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60102658A (ko) 선형 진동모터
KR20150089524A (ko) 선형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