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807B1 -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 - Google Patents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807B1
KR101307807B1 KR1020110098478A KR20110098478A KR101307807B1 KR 101307807 B1 KR101307807 B1 KR 101307807B1 KR 1020110098478 A KR1020110098478 A KR 1020110098478A KR 20110098478 A KR20110098478 A KR 20110098478A KR 101307807 B1 KR101307807 B1 KR 101307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re
current collector
current collect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460A (ko
Inventor
송보윤
신재규
안승영
손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9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8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일측면에 돌출된 한 쌍의 집전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집전코어;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으로 권취되는 집전케이블; 및 각 집전돌출부로부터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집전코어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고리모양으로 감기는 형상을 하는 감쇄케이블을 포함하여 EMF를 감쇄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Magnetic Inductive Power Collecting Apparatus, and Power Transfer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전기차 등의 이동체가 충전이동 중에 급전장치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자기유도방식으로 집전하는 집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을 함에 있어서 집전장치의 외부로 방출되는 EMF(Electro-Magnetic Field)의 크기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로상을 주행하는 전기차가 충전하기 위해서는 지정된 충전소에 정차하여 소정의 충전수단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거나 도로상을 주행 중에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기차가 도로상을 주행 중에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도로상에 급전선로가 매설되어 있어야 하며 매설된 급전선로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기차에 장착된 집전장치와 상호 유도작용을 하여 전력을 집전장치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유도기전력이 집전장치에 발생하는 동안 급전선로 및 집전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이 주변에 위치하는 인체나 다른 전자 기기에 좋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집전장치의 측방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줄일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10-2011-0034314(2011.04.05.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에는 도로면과 집전장치 사이의 공극간격을 크게 하여 전자기장의 발생의 발생량을 경감시키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차 등의 이동체가 충전이동 중에 급전장치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자기유도방식으로 집전하는 집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을 함에 있어서 집전장치의 외부로 방출되는 EMF(Electro-Magnetic Field)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일측면에 돌출된 한 쌍의 집전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집전코어;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으로 권취되는 집전케이블; 및 각 집전돌출부로부터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집전코어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고리모양으로 감기는 형상을 하는 감쇄케이블을 포함하되, 각 감쇄케이블은, 각 집전돌출부로부터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외측에 이격된 각 고리모양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 감쇄케이블의 전류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며, 상기 집전코어의 타측면에 놓인 집전케이블의 전류방향은 상기 각 감쇄 케이블의 고리 형상 부분의 외측단의 전류의 방향과 같도록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를 제공한다.
각 감쇄케이블은 상기 집전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일측면에 돌출된 한 쌍의 집전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집전코어;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를 중심으로 각각 권취되는 집전케이블; 및 각 집전돌출부로부터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권취된 집전케이블과 평행하게 고리모양으로 감기는 형상을 하는 감쇄케이블을 포함하되, 각 감쇄케이블은, 각 집전돌출부로부터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외측에 이격된 각 고리모양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 감쇄케이블의 전류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며, 각 감쇄케이블은 인접한 집전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를 제공한다.
각 감쇄케이블은 인접한 집전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집전돌출부에 권취된 집전케이블은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 전류의 방향의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집전코어의 폭방향으로 연장부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집전코어, 상기 집전케이블, 상기 감쇄케이블을 둘러싸되 상기 집전코어의 일측면 방향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의 면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재료는 비자성 물질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의 집전장치; 및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코어와, 상기 급전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급전코어에 권취되는 급전케이블을 구비하는 급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급전코어는 일측면에 두개 이상의 급전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급전돌출부는 상기 집전돌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집전돌출부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집전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의 집전장치를 구비하는 이동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차 등의 이동체가 충전이동 중에 급전장치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자기유도방식으로 집전하는 집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을 함에 있어서 집전장치의 측면에서 감지되는 EMF(Electro-Magnetic Field)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체의 전진방향 대비 집전장치의 측방에 발생하는 EMF를 줄여줌으로써 인체 등 주변에 대한 EMF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집전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도면에서 A-A'을 따라 절단하여 X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집전케이블이 집전주요부에 권취되는 경우의 집전장치(4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A-A'을 절단하여 X 방향에서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집전코어(310), 집전케이블(320a, 320b), 감쇄케이블(350a, 350b)을 둘러싸되 집전코어(310)를 중심으로 집전코어(310)의 일측면 방향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의 면을 둘러싸는 하우징(560)이 포함되는 경우의 집전장치(5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집전장치를 전기차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하고 전기차의 길이방향의 위치로 자동차 앞바퀴를 0으로 놓은 경우 집전장치의 장착 위치가 앞바퀴로부터 2m 지점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집전장치에서 폭 방향으로 20cm가량 떨어지고 지면에서 50cm인 지점에서 도 1 및 도 2에서 예시한 실시예와 같은 집전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쉴딩 후)와 감쇄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은 집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쉴딩 전)의 자동차 길이방향 X 축 방향의 위치에 따른 측정 EMF(Electro-Magnetic Field)의 세기를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집전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면에서 A-A'을 따라 절단하여 X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집전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집전장치는 급전장치(200) 및 집전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200)는 급전코어(210), 급전케이블(220) 및 입력전원(2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300)는 집전코어(310), 집전케이블(320a, 320b), 감쇄케이블(350a, 350b), 집전회로(330) 및 배터리(3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급전코어(2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주요부(212)와, 급전주요부(212)를 급전코어(2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급전코어(210)의 폭 방향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돌출된 각 급전돌출부(214, 215)를 갖는다. 각 급전돌출부(214, 215)는 급전코어(210)의 폭 방향 및 급전코어(210)의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여 가져 급전코어(210)의 형상이 U자 형상이 된다. 급전코어(210)에 급전돌출부(214, 215)를 구비함으로써 집전장치(300)로 자기장이 전달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급전코어(210)는 급전주요부(212)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급전돌출부(214, 215)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중앙돌출부(도시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급전코어(210)의 형상이 E자를 옆으로 뉘인 형상이 되도록 하여 U자형에 비해 집전장치(300)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전체 양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급전케이블(220)은 급전주요부(212)에 급전코어(210)의 길이 방향으로 권취된다.
급전코어(2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부(240)를 갖는 형상을 할 수 있다.
급전코어(210)는 급전코어(210)의 폭 방향과 평행한 복수개의 절개부(240)를 가져서 급전코어(210)를 U자 형상(또는, E자 형상)을 하는 복수개의 코어조각으로 나누는 형상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집전코어(3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집전주요부(312)의 일측면에 돌출된 한 쌍의 집전돌출부(314, 315)를 구비하고, 집전돌출부(314, 315)의 돌출방향은 집전코어(310)의 폭 방향 및 집전코어(310)의 길이 방향 모두에 수직하여 집전주요부(312)를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의 형상이 ∩ 형상을 하도록 한다. 이때, 집전돌출부(314, 315)와 급전돌출부(214, 215)는 돌출된 방향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집전돌출부(314, 315)의 단부에는 각각 집전코어(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16, 317)를 구비할 수 있다. 집전돌출부(314, 315)는 집전돌출부(314, 315)의 각 단부에 연장부(316, 317)를 구비함으로써 자기경로 상의 유효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자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연장부(316, 317)의 형상은 도면번호 316, 317과 같이 집전주요부(312)를 중심으로 집전돌출부(314, 315)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형상이 될 수도 있고, 집전돌출부(314, 315)로부터 집전코어(310)의 폭 방향으로 집전주요부(31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즉, 집전돌출부(314, 315)를 기준으로 도면번호 316, 317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집전케이블(320a, 320b)은 집전코어(310)의 좌측 집전돌출부(314) 및 우측 집전돌출부(315)에 각각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집전케이블(320a, 320b)은 집전코어(310)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 전류의 방향의 동일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전케이블(320a, 320b)은 집전코어(310)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 전류의 방향은 ⊙ 표시를 하여 전류가 흘러나오는 방향임을 예시하고, 집전코어(310)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 전류의 방향은 ⓧ 표시를 하여 전류가 들어가는 방향임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 ⊙ 의 표시는 실제로 항상 전류가 흘러들어가거나 흘러나오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 ⊙ 의 표시를 하나만 하였다고 해서 케이블의 갯수도 하나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구성요소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도 1의 급전케이블(220)에 입력전원(230)이 인가되면 급전케이블(220)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에 유도되어 집전케이블(320)에 유도기전력이 발생된다. 집전코어(310) 좌우의 집전돌출부(314, 315)에 권취되어 있는 집전케이블(320a, 320b)은 각각 병렬로 집전회로(330)에 연결되어 원하는 레벨의 전압을 생성한 후 연결된 배터리(340)에 충전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집전케이블(320a, 320b)이 직렬로 집전회로(330)에 연결되어 배터리(340)를 충전할 수도 있다. 참고로 집전회로(330)는 정류기 및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집전회로(330)에 배터리(340)가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다른 전기 기기가 직접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각 감쇄케이블(350a, 350b)은 각 집전돌출부(314, 315)로부터 집전코어(310)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집전돌출부(314, 315) 권취된 각 집전케이블(320a, 320b)과 평행하게 고리모양으로 감기는 형상을 한다. 즉, 감쇄케이블(350a)은 집전돌출부(314)로부터 집전코어(310)를 중심으로 집전코어(310)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감쇄케이블(350b)은 집전돌출부(315)로부터 집전코어(310)를 중심으로 집전코어(310)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각 감쇄케이블(350a, 350b)은 인접한 집전케이블과 연결된다. 즉, 감쇄케이블(350a)은 집전케이블(320a)과 연결되고 감쇄케이블(350b)은 집전케이블(320b)과 연결되며, 그 연결 방식으로는 감쇄케이블은 인접한 집전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감긴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감쇄케이블(350a)은 고리 모양 부분에서 집전케이블(320a)의 전류 흐름과 같은 회전방향이 되도록 연결되고, 감쇄케이블(350b) 역시 고리모양 부분에서 집전케이블(320b)의 전류 흐름과 같은 회전방향이 되도록 연결된다.
도 3은 집전케이블이 집전주요부에 권취되는 경우의 집전장치(400)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A-A'을 절단하여 X 방향에서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집전코어(4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집전코어(210)와 동일하며, 집전회로(430) 및 배터리(440)도 도 1에서의 집전회로(230) 및 배터리(240)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집전케이블(420)은 집전주요부(412)에 권취될 수 있다. 이때, 각 감쇄케이블(450a, 450b)은 집전케이블(420)과 연결된다.
각 감쇄케이블(450a, 450b)은, 각 집전돌출부(414, 415)로부터 집전코어(410)의 폭 방향 외측에 이격된 고리모양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 감쇄케이블(450a, 450b)의 고리 모양부분의 전류의 회전방향은 고리모양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이 되며, 집전코어(410)의 타측면에 놓인 집전케이블의 전류방향이 감쇄케이블(450a, 450b)의 고리 모양을 하는 형상 부분의 외측단의 전류의 방향과 같도록 권취된다.
도 5는 집전코어(310), 집전케이블(320a, 320b), 감쇄케이블(350a, 350b)을 둘러싸되 집전코어(310)를 중심으로 집전코어(310)의 일측면 방향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의 면을 둘러싸는 하우징(560)이 포함되는 경우의 집전장치(5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60)에는 집전코어(310), 집전케이블(320a, 320b), 감쇄케이블(350a, 350b) 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도시하지 않음)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우징(560)의 재질은 알루미늄판과 같은 비자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의 모습은 3면만 둘러싸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면만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560)은 도 3의 집전장치(400)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집전장치를 전기차에 장착한 모습을 도시하고 전기차의 길이방향의 위치로 자동차 앞바퀴를 0으로 놓은 경우 집전장치의 장착 위치가 앞바퀴로부터 2m 지점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집전장치에서 폭 방향으로 20cm가량 떨어지고 지면에서 50cm인 지점에서 도 1 및 도 2에서 예시한 실시예와 같은 집전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쉴딩 후)와 감쇄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은 집전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쉴딩 전)의 자동차 길이방향 X 축 방향의 위치에 따른 측정 EMF(Electro-Magnetic Field)의 세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앞바퀴 기준 2m 지점에서 쉴딩 후의 EMF의 크기가 최대 50 % 가까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전장치(300, 400)를 전기열차 또는 전기자동차 등에 장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체로는 전기 열차나 전기자동차 뿐만 아니라 도로 또는 레일 등의 지면 위를 주행하면서 충전하여 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모든 대상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차 등의 이동체가 충전이동 중에 급전장치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자기유도방식으로 집전하는 집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을 함에 있어서 집전장치의 측면에서 감지되는 EMF(Electro-Magnetic Field)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8)

  1.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일측면에 돌출된 한 쌍의 집전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집전코어;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으로 권취되는 집전케이블; 및
    각 집전돌출부로부터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집전코어의 폭방향과 평행하게 고리모양으로 감기는 형상을 하는 감쇄케이블
    을 포함하되,
    각 감쇄케이블은 상기 집전케이블과 연결되되, 각 집전돌출부로부터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외측에 이격된 각 고리모양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 감쇄케이블의 전류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며, 상기 집전코어의 타측면에 놓인 집전케이블의 전류방향은 상기 각 감쇄케이블의 고리 형상 부분의 외측단의 전류의 방향과 같도록 권취되고,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집전코어의 폭방향으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
  2. 삭제
  3.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고 일측면에 돌출된 한 쌍의 집전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집전코어;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를 중심으로 각각 권취되는 집전케이블; 및
    각 집전돌출부로부터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권취된 집전케이블과 평행하게 고리모양으로 감기는 형상을 하는 감쇄케이블
    을 포함하되,
    각 감쇄케이블은 인접한 집전케이블과 연결되되, 각 집전돌출부로부터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외측에 이격된 각 고리모양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 감쇄케이블의 전류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며, 각 감쇄케이블은 인접한 집전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감기고,
    상기 각 집전돌출부에 권취된 집전케이블은 상기 집전코어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 집전케이블의 전류의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한 쌍의 집전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집전코어의 폭방향으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 및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집전코어, 상기 집전케이블, 상기 감쇄케이블을 둘러싸되 상기 집전코어의 일측면 방향의 면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의 면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전장치.
  8. 제 1항 및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집전장치; 및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급전코어와, 상기 급전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급전코어에 권취되는 급전케이블을 구비하는 급전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급전코어는 일측면에 두개 이상의 급전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급전돌출부는 상기 집전돌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집전돌출부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집전장치.
KR1020110098478A 2011-09-28 2011-09-28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 KR101307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78A KR101307807B1 (ko) 2011-09-28 2011-09-28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478A KR101307807B1 (ko) 2011-09-28 2011-09-28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460A KR20130034460A (ko) 2013-04-05
KR101307807B1 true KR101307807B1 (ko) 2013-09-12

Family

ID=4843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478A KR101307807B1 (ko) 2011-09-28 2011-09-28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8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424A (ja) 2006-08-24 2008-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並びに車両
KR20110041173A (ko) * 2009-10-15 2011-04-21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전기자동차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선택적으로 상쇄시키는 차폐시스템 및 그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전자파 상쇄방법
KR101038759B1 (ko) 2009-12-21 2011-06-03 한국과학기술원 Emf 능동차폐 기능을 포함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집전장치
KR20110074330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424A (ja) 2006-08-24 2008-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並びに車両
KR20110041173A (ko) * 2009-10-15 2011-04-21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전기자동차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선택적으로 상쇄시키는 차폐시스템 및 그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전자파 상쇄방법
KR101038759B1 (ko) 2009-12-21 2011-06-03 한국과학기술원 Emf 능동차폐 기능을 포함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집전장치
KR20110074330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460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4091B2 (ja) 誘導電力伝達装置
EP2576274B1 (en)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 wireless power transferring unit, a wireless power transferring device and use of a wireless power transferring device
EP2851999A1 (en) Antenna coil
CN105720695B (zh) 感应式无线电力传输***
KR20160057577A (ko)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182376B1 (ko)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JP2017168522A (ja) コイル装置
JP2011010435A (ja) 非接触式電力供給装置および非接触式電力供給ユニット
CN105052013A (zh) 非接触供电装置用的异物检测装置和方法
JP6179160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KR20160043678A (ko) 다중 코일 구조를 갖는 무선전력전송 급집전 시스템의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
WO2012132242A1 (ja) 非接触受電装置
US201700700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leakage flux in wireless charging systems
WO2016056270A1 (ja) 受電コイル装置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CN105720699B (zh) 感应式无线电力传输***
JP2014121238A (ja) コイ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1176949A (ja) 非接触給電装置
KR101307807B1 (ko)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
JP5918020B2 (ja) 非接触給電用コイル
KR101589609B1 (ko) 무선 전력공급장치
WO2012102008A1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コイルユニット
CN107276240B (zh) 送电装置
JP6241659B2 (ja) 非接触給電装置
KR101338769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KR101517609B1 (ko) 무선 전력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