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609B1 - 무선 전력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609B1
KR101589609B1 KR1020140109235A KR20140109235A KR101589609B1 KR 101589609 B1 KR101589609 B1 KR 101589609B1 KR 1020140109235 A KR1020140109235 A KR 1020140109235A KR 20140109235 A KR20140109235 A KR 20140109235A KR 101589609 B1 KR101589609 B1 KR 10158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mbers
power supply
current collec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정구호
송보윤
신승용
이충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0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609B1/ko
Priority to US15/505,143 priority patent/US10611263B2/en
Priority to PCT/KR2015/007035 priority patent/WO2016027982A1/ko
Priority to CN201580057147.7A priority patent/CN10707854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집전케이블의 모퉁이를 감싸도록 집전코어를 형성함으로써 집전부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이 상승하고, 급전코어를 구비하지 않고 급전케이블에 의해서만 자속을 전달하도록 급전부를 구성함으로써 급전코어를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막대한 재료비를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게와 부피를 줄여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복수의 코어부재를 포함하여 집전코어를 구성함으로써 집전부의 무게와 부피를 경감시켜 집전부가 장착되는 차량의 운행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무선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전력공급장치{Wireless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차량을 움직이는 동력원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차량을 의미하며 전기차의 운행을 위해서는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해서 충전된 전력으로 전기차를 운행한다. 이러한 전기차의 전력 충전을 위하여 사람 또는 충전을 보조하는 기계장치가 직접 충전용 전선을 차량에 연결함으로써 충전을 하는 경우,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플러그를 손으로 쥐고 전기차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감전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충전용 전선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방식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감전 위험이 있어, 무선으로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연구 및 개발이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공급장치는 고주파전력을 공급하여 자속을 형성하고, 자속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무선 전력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무선전력공급장치는 급전부(10) 및 집전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전부(10)는 급전케이블(12) 및 다수의 코어부재(15)를 포함하는 급전코어(14)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다량의 코어 재료가 소요되기 때문에 막대한 제작비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E자형 집전코어(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전부(20)는 차량에 장착할 경우, 집전부(20) 자체의 무게 때문에 차량 전체의 무게가 상당히 증가하게 되어 차량의 운행 효율을 감소시키게 되는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집전케이블의 모퉁이를 감싸도록 집전코어를 형성함으로써 집전부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이 상승하고, 급전코어를 구비하지 않고 급전케이블에 의해서만 자속을 전달하도록 급전부를 구성함으로써 급전코어를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막대한 재료비를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게와 부피를 줄여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복수의 코어부재를 포함하여 집전코어를 구성함으로써 집전부의 무게와 부피를 경감시켜 집전부가 장착되는 차량의 운행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무선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부재를 구비하는 집전케이블; 및 상기 한 쌍의 제1 부재 각각을 감싸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집전코어를 구비하는 집전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코어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부재가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집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집전코어는, 일렬로 정렬된 복수 개의 코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집전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급전부로부터 자속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전부는, 급전케이블을 구비하되 급전코어 없이 자속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제1 부재를 감싸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제1 부재를 감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일단이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부를 상부에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코어부재는, 상기 각 코어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각 코어부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장된 거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집전코어에 포함된 각 코어부재에 구비된 상기 거치단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전코어부는, 상기 집전케이블을 복수 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집전부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전코어를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막대한 재료비를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게와 부피를 줄여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전부의 무게와 부피를 경감시켜 집전부가 장착되는 차량의 운행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전력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급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코어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급전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급전케이블 및 집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 성능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급전부 및 일체형 덮개로 형성된 집전코어가 구비된 집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코어가 일체형 덮개로 형성된 경우의 집전 성능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코어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급전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급전케이블 및 집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는 집전부(300) 및 급전부(도면번호 미부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집전부(300)는 제1 집전코어(340)와 제2 집전코어(360)를 구비하는 집전코어부(도면번호 미부여) 및 집전케이블(320)을 포함하고, 급전부(도면번호 미부여)는 급전케이블(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급전부는 급전케이블(420)에 연결된 인버터(미도시)로부터 고주파전력을 공급받아 자속을 발생시켜 집전부(3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차량(미도시)이 주행하는 도로면(미도시), 철로면(미도시) 또는 주정차지역(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전케이블(420)은 한 쌍의 세로부재(422,424) 및 한 쌍의 가로부재(426,4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부재(422,424)는 차량(미도시)이 운행되는 선로(미도시)를 따라 선로의 길이방향(이하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하 "제1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세로부재(422,424)의 양단은 한 쌍의 가로부재(426,42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급전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급전케이블(420)이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무선 전력공급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급전케이블(420)이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 회 권취된 케이블다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급전케이블(42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급전케이블(420)의 단면은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전력공급장치에 구비되는 급전부는 급전케이블(420)을 구비하되 급전코어가 없이 자속을 생성하여 집전부(3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집전부(300)는 급전부의 상측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급전부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집전부(300)는 차량(미도시)에 장착되어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선 전력공급이 필요한 차량(미도시)은 급전부가 설치된 부위에 정지한 상태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미도시)의 이동시에도 계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전케이블(320)은 한 쌍의 제1 부재(322,324) 및 한 쌍의 제2 부재(326,3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부재(322,324)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제1 부재(322,324)의 양단은 한 쌍의 제2 부재(326,32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재(322,324)와 제2 부재(326,328) 사이에는 연결부(323,325,327,329)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집전케이블(32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집전케이블(320)의 단면은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공급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의 크기 및 집전부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배치되는 집전케이블(320)의 개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집전케이블(320)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각 집전케이블(320)은 서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이 조합된 구조로 적절하게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집전코어(340) 및 제2 집전코어(360)는 한 쌍의 제1 부재(322,324) 각각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집전코어(340)는 일렬로 정렬된 복수 개의 코어부재(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집전코어(340)는 제1 부재(322)와 제2 부재(326,328)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323,327)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346,3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집전코어(360)는 일렬로 정렬된 복수 개의 코어부재(3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집전코어(360)는 제1 부재(324)와 제2 부재(326,328)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325,329)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366,36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재(342,362)는 제1 부재(322,324)를 감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어부재(342,362)는 필요에 따라 C-자 형상 등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재(342,362)는 코어부재(342,362)의 양단에서 코어부재(342,362)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거치단(343,3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치단(343,363)은 코어부재(342,362)를 정렬하여 배치하는 경우 지지부로서의 기능을 갖거나 또는 코어부재(342,362)를 통과하는 자속의 경로 형성에 기여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323,325,327,329)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346,348,366,368) 또한 거치단(343,3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코어부재(342,362,346,348,366,368)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코어부재(342,362,346,348,366,368)의 단면은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재(342,362,346,348,366,368)의 재질로는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자기장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페라이트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코어부재(346,348)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부재(322)와 제2 부재(326,328)의 연결부(323,327)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재(346,348)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제2 부재(326,328)의 굵기 또는 직경과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연장 길이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코어부재(366,368)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부재(324)와 제2 부재(326,328)의 연결부(325,329)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어부재(366,368)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제2 부재(326,328)의 굵기 또는 직경과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연장 길이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코어부재(346,348,366,368)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323,325,327,329)의 제2 방향의 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급전부를 급전코어를 구비하지 않고 급전케이블(420)에 의해서만 자속을 전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급전코어를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막대한 재료비를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무게와 부피를 줄여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코어부재(342,346,348,362,366,368)를 포함하여 집전코어(340,360)를 구성함으로써, 종래 KAIST에서 고안된 E-자형 집전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전부에 비해 무게와 부피를 경감시켜 집전부가 장착되는 차량의 운행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 성능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급전부 및 일체형 덮개로 형성된 집전코어가 구비된 집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코어가 일체형 덮개로 형성된 경우의 집전 성능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 성능을 비교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 결과,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부(300)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의 전압은 11.539 kV(피크값)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무선 전력공급장치에서 집전부(20)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의 전압인 8.37 kV(피크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부(300)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의 전압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무선 전력공급장치에서 집전부(20)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의 전압보다 상승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322,324)와 제2 부재(326,328)의 연결부(323,325,327,329)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346,348,366,368)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된 집전부(80)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의 전압은 9.76 kV(피크값)를 나타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322,324)와 제2 부재(326,328)의 연결부(323,325,327,329)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346,348,366,368)를 포함하여 집전부(300)를 구성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집전부(80)와 같이 제1 부재(322,324)와 제2 부재(326,328)의 연결부(323,325,327,329)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코어부재(346,348,366,368)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된 경우보다 유도기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무선 전력공급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공급장치의 집전부(300)가 복수의 코어부재(342,362,346,348,366,368)를 포함하여 구성되지 않고 제1 부재(322,324)와 제2 부재(326,328)의 연결부(323,325,327,329)를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급전코어(340,3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이며, 이 경우 집전부(300)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의 전압은 11.540 kV(피크값)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무선 전력공급장치에서 집전부(20)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의 전압인 8.37 kV(피크값)보다 높으며, 도 7에 도시된 복수의 코어부재(342,362,346,348,366,36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의 유도기전력보다 조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322,324)와 제2 부재(326,328)의 연결부(323,325,327,329)를 감싸도록 형성되지 않은 집전부(100)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의 전압은 10.137 kV(피크값)를 나타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322,324)와 제2 부재(326,328)의 연결부(323,325,327,329)를 감싸도록 집전부(300)를 구성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집전부(100)와 같이 제1 부재(322,324)와 제2 부재(326,328)의 연결부(323,325,327,329)를 감싸도록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 유도기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코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 7의 집전부에 유기된 전압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도 9의 집전부에 유기된 전압이 거의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집전부는 도 9의 집전부에 비해 코어를 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재료가 대폭적으로 감소되면서도 유기되는 전압에는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에서 집전부가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집전부
320: 집전케이블
340: 제1 집전코어 360: 제2 집전코어
342,362: 코어부재
420: 급전케이블

Claims (12)

  1. 차량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부재를 구비하는 집전케이블; 및
    상기 한 쌍의 제1 부재 각각을 감싸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집전코어를 구비하는 집전코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코어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부재가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집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코어는, 일렬로 정렬된 복수 개의 코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공급장치는, 상기 집전부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급전부로부터 자속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급전케이블을 구비하되 급전코어 없이 자속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제1 부재를 감싸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제1 부재를 감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일단이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부를 상부에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다른 하나의 코어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 방향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어부재는, 상기 각 코어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각 코어부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장된 거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전코어에 포함된 각 코어부재에 구비된 상기 거치단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코어부는, 상기 집전케이블을 복수 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공급장치.

KR1020140109235A 2014-08-21 2014-08-21 무선 전력공급장치 KR10158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35A KR101589609B1 (ko) 2014-08-21 2014-08-21 무선 전력공급장치
US15/505,143 US10611263B2 (en) 2014-08-21 2015-07-08 Wireless power supply apparatus
PCT/KR2015/007035 WO2016027982A1 (ko) 2014-08-21 2015-07-08 무선 전력공급장치
CN201580057147.7A CN107078546B (zh) 2014-08-21 2015-07-08 无线电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35A KR101589609B1 (ko) 2014-08-21 2014-08-21 무선 전력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609B1 true KR101589609B1 (ko) 2016-01-29

Family

ID=5531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235A KR101589609B1 (ko) 2014-08-21 2014-08-21 무선 전력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11263B2 (ko)
KR (1) KR101589609B1 (ko)
CN (1) CN107078546B (ko)
WO (1) WO20160279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966A (ko) 2017-03-03 2018-09-12 (주)그린파워 집전케이블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55325B1 (en) * 2015-09-24 2021-07-28 FUJI Corporation Coil for noncontact power supply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US11526176B2 (en) * 2017-02-14 2022-12-13 Volvo Truck Corporation Sensing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 displacement of a vehicle with respect to an electrical roa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350B1 (ko) * 2010-05-04 2011-05-31 (주)그린파워 전기자동차용 비접촉식 전력전송장치
KR20120016521A (ko) * 2010-08-16 2012-02-24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유도식 전력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체
WO2013183106A1 (ja) * 2012-06-04 2013-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受電装置、送電装置および車両
JP2014011332A (ja) * 2012-06-29 2014-01-20 Toyota Motor Corp 非接触電力伝送用コイルユニット、受電装置、車両、および送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035A (ja) * 1998-09-29 2000-04-21 Yamaha Motor Co Ltd 輸送設備
JP2002170725A (ja) * 2000-11-30 2002-06-14 Toko Inc 電源装置
JP5005703B2 (ja) * 2005-12-02 2012-08-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結合システム
KR101040662B1 (ko) * 2009-04-06 2011-06-13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초박형 급전장치와 집전장치
KR20110031257A (ko) * 2009-09-19 2011-03-25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용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
KR101232036B1 (ko) * 2010-10-13 2013-02-12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 전력전달 장치 및 자기유도 방식의 급전장치
DE102011014521A1 (de) * 2011-03-18 2012-09-20 Georg Duschl-Graw Einrichtung zur induktiven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KR101226525B1 (ko) * 2011-04-13 2013-01-25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자동차의 급전장치용 페라이트 코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급전 도로구조체
KR101182376B1 (ko) * 2011-04-26 2012-09-12 한국과학기술원 좌우편차를 고려한 자기유도식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전력전달장치
CN203607874U (zh) * 2013-10-15 2014-05-21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初级和次级感应线圈以及包含其的电动汽车感应充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350B1 (ko) * 2010-05-04 2011-05-31 (주)그린파워 전기자동차용 비접촉식 전력전송장치
KR20120016521A (ko) * 2010-08-16 2012-02-24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유도식 전력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체
WO2013183106A1 (ja) * 2012-06-04 2013-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受電装置、送電装置および車両
JP2014011332A (ja) * 2012-06-29 2014-01-20 Toyota Motor Corp 非接触電力伝送用コイルユニット、受電装置、車両、および送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0966A (ko) 2017-03-03 2018-09-12 (주)그린파워 집전케이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11263B2 (en) 2020-04-07
CN107078546A (zh) 2017-08-18
US20170274779A1 (en) 2017-09-28
CN107078546B (zh) 2020-02-11
WO2016027982A1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0776B2 (ja) 誘導電力伝達装置
JP5286445B1 (ja) 電動式移動体の無線給電装置
KR101201292B1 (ko) 자기유도식 전력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체
JP2013243431A (ja) アンテナコイル
CN107210617B (zh) 用于模块化线圈保持器的方法和装置
CN210111625U (zh) 无线充电板以及无线充电装置
US9472339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transducers having interchangeable source resonator and capture resonator
JP2013219968A (ja) 非接触給電パッド及び非接触給電装置
KR101589609B1 (ko) 무선 전력공급장치
US20160352153A1 (en) Coil unit and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same
JPWO2013099221A1 (ja) 非接触充電装置
KR20160043678A (ko) 다중 코일 구조를 갖는 무선전력전송 급집전 시스템의 급전장치 및 집전장치
JP6232958B2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10332677B2 (en)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172759B1 (ko) 무선 전력전달 장치
KR102238917B1 (ko) 차폐체가 구비된 무선 전력공급장치
JP6678324B2 (ja) コイル装置、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受電装置
CN204481546U (zh) 一种偏移敏感度低的汽车用无线充电装置
KR101517609B1 (ko) 무선 전력공급장치
KR101578863B1 (ko) 무선 전력 통신용 코일 및 코일 권선 방법
KR101482599B1 (ko) 공심코어 집전장치
KR20150097011A (ko) 무선 전력공급장치
KR101386669B1 (ko) 고출력 집전 및 급전 시스템과 그를 위한 고출력 집전 장치
KR20200052034A (ko) 무선 충전 패드 및 무선 충전 장치
KR101377431B1 (ko) 집전장치 소형화를 위한 급전장치, 집전장치 및 급집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