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536B1 - 평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536B1
KR101285536B1 KR1020060085290A KR20060085290A KR101285536B1 KR 101285536 B1 KR101285536 B1 KR 101285536B1 KR 1020060085290 A KR1020060085290 A KR 1020060085290A KR 20060085290 A KR20060085290 A KR 20060085290A KR 101285536 B1 KR101285536 B1 KR 10128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ottom cover
flat panel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985A (ko
Inventor
김태혁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5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표시 패널; 평판 표시 패널을 지지 및 안착시키는 바텀 커버; 평판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부품이 실장되며 바텀 커버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 및 바텀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인쇄회로기판, 바텀 커버, 도전성 부재, 전자파 간섭, 정전기 방전

Description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액정 표시장치에서 탑 커버가 벌어지는 불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 표시장치 110 : 액정 패널
120 : 인쇄회로기판 124 : 접지 패턴
130 : 패널 가이드 132 : 홀
140 : 도전성 부재 150 : 바텀 커버
160 : 탑 커버 170 : 백라이트 유닛
본 발명은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자 장치들의 고속화 및 광대역화가 가능해짐은 물론 미소한 에너지로도 전자 장치들을 구동할 수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자 장치들은 미소한 전자파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에 의해 가끔씩 오동작을 한다. 여기서, 전자파 간섭이란 전자 장치에 의해 발생된 전자파의 방사 또는 전도로 인해 타 기기의 성능이 장해를 받는 현상을 말한다.
이에, 최근에는 전자파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각 분야에서 활발히 모색되고 있다.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및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전자파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평판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리성을 위해 탑 커버를 도시하지 않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자파 간섭은 어떠한 도선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를 때 도선의 주위에 혼재한 전기장과 자기장이 공기중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고주파 신호를 많이 사용하는 전자 장치에서 발생된다.
액정 표시장치(1)는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된 다수의 회로 부품이 액정 패널(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 및 구동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고속 주파수로 동작하므로 전자파의 방출량이 많다.
이러한 전자파의 방출로 인한 전자파 간섭을 막기 위해 폴딩(folding)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1)에서는 인쇄회로기판(20)의 동박이 노출된 접지 홀(22)과 바텀 커버(50)를 스크류(23)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폴딩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1)란 인쇄회로기판(20) 및 액정 패널(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동 필름(26)의 밴딩(bending)에 의해 인쇄회로기판(20)이 바텀 커버(50)의 배면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장치(1)를 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크류(23)를 이용하는 방법은 인쇄회로기판(20)의 고정 및 전자파 간섭 문제에는 효과적이나, 액정 표시장치(1)의 조립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면적의 액정 표시장치(1)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20) 및 구동 필름(26)의 크기 증대로 인해 액정 표시장치(1)의 단가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대면적의 액정 표시장치(1)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20)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해 인쇄회로기판(20)의 양측에서는 휨이 발생하게 된다. 이 휨이 발생한 인쇄회로기판(20)에 구동 필름(26)을 열 본딩 공정을 통해 부착 시 구동 필름(26)은 인쇄회로기판(20)에 정확히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진동 및 충격 등과 같은 외력이 액정 표시장치(1)에 가해졌을 때 구동 필름(26)이 인쇄회로기판(20)으로부터 탈착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정 패널(10)에서는 라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구동 필름(26)의 밴딩을 통해 인쇄회로기판(20)을 바텀 커버(50)의 외측면에 배치하는 반 폴딩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 폴딩 방식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액정 표시장치에서 탑 커버가 벌어지는 불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리성을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탑 커버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반 폴딩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1)는 인쇄회로기판(20) 및 구동 필름(26)의 크기를 폴딩 방식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단가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20)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스크류(23) 체결을 위한 공간 확보 문제 등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반 폴딩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1)에서는 전자파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류(23) 체결 대신 소정의 탄성을 가진 도전성 부재(40)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20)의 양면 중 탑 커버(60)와 대향하는 면으로 인쇄회로기판(20)의 동박을 노출하여 접지 패턴(24)을 형성한 후, 인쇄회로기판(20)의 접지 패턴(24) 및 탑 커버(60) 사이에 도전성 부재(40)를 배치하여 인쇄회로기 판(20)의 접지 패턴(24) 및 탑 커버(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탑 커버(60)는 강성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전기아연도금강판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데 반해, 바텀 커버(50)는 램프(7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이는 반 폴딩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1) 및 도 1에 도시된 폴딩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1)에서 동일하다.
그런데, 스테인레스 스틸 및 전기아연도금강판이 알루미늄에 비해 전기 전도성이 떨어지므로 반 폴딩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1)는 전자파 간섭 방지 효과가 도 1에 도시된 폴딩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1)에 비해 떨어지게 된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반 폴딩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1)는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ESD) 문제에 있어 다소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가진 도전성 부재(40)가 팽창하여 탑 커버(60)를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탑 커버(60) 및 인쇄회로기판(20) 사이의 간격이 소정 간격 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액정 표시장치(1)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파 간섭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방전시킬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탑 커버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불량을 방지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는 평판 표시 패널; 상기 평판 표시 패널을 지지 및 안착시키는 바텀 커버; 상기 평판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부품이 실장되며 상기 바텀 커버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 및 상기 바텀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는 평판 표시 패널; 상기 평판 표시 패널을 안착시키는 패널 가이드; 상기 패널 가이드를 지지하는 바텀 커버; 상기 평판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부품이 실장되며 상기 바텀 커버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 및 상기 바텀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개스킷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평판 표시장치의 한 예로서, 액정 표시장치를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하지 않는 자발광 소자의 일종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액정 패널이 패널 가이드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도 6에서는 액정 패널, 인쇄회로기판 및 탑 커버 등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100)는 액정 패널(110), 인쇄회로기판(120), 패널 가이드(130), 도전성 부재(140), 바텀 커버(150), 탑 커버(160) 및 백라이트 유닛(170)을 포함한다.
액정 패널(110)은 패널 가이드(130) 상에 안착되며 탑 커버(160)에 의해 고정된다. 평판 표시 패널의 일종인 액정 패널(110)은 백라이트 유닛(17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액정 패널(110)은 액정을 사 이에 두고 합착된 컬러 필터 기판(112)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4)을 포함한다.
컬러 필터 기판(112)은 액정 패널(110)의 색을 표현한다. 이를 위해, 컬러 필터 기판(112)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기판 상에 박막으로 형성된 컬러 필터 어레이, 예를 들어, 적/녹/청색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4)은 인쇄회로기판(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인쇄회로기판(12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액정에 인가한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4)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다른 기판 상에 박막으로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통 전극은 컬러 필터 기판(1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120) 상에는 액정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 및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다수의 회로 부품이 실장된다. 다수의 회로 부품으로부터 생성된 구동 신호 및 구동 전압은 인쇄회로기판(120)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동 필름(126)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4)에 공급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20)은 구동 필름(126)의 밴딩에 의해 바텀 커버(150) 및/또는 패널 가이드(130)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패널 가이드(130) 및 인쇄회로기판(120) 사이에 개재되는 양면 테이프(128)를 통해 패널 가이드(130)에 부착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인쇄회로기판(120)은 내층 원자재 상에 상기 구동 신호 및 구동 전압의 전달을 위한 다수의 신호선이 형성된 박막 코어 씨씨엘(thin core CCL) 각각이 층간 접착제에 의해 적층된 후, 그 표면이 포토 솔더 레지스트(photo solder resist: 122)에 의해 보호된 기판이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20)의 양면 중 바텀 커버(150)와 대향하는 면의 포토 솔더 레지스트(122)의 일부가 제거되어 동박으로된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이 노출된다. 이 때문에, 인쇄회로기판(120) 표면의 일부가 제거되어 노출된 동박으로된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은 도전성 부재(140)를 통해 바텀 커버(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 바텀 커버(150)에 도전성 부재(140)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이 접속됨으로써 전자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를 쉽게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부재(140)가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 및 바텀 커버(150) 사이에 개재되므로 탑 커버(160) 및 인쇄회로기판(12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100)의 외관 품질은 향상될 수 있다.
패널 가이드(130)는 대략 바텀 커버(15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바텀 커버(150) 상에 안착되며 액정 패널(110)을 안착시킨다. 이러한 패널 가이드(130)에는 도전성 부재(1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1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패널 가이드(130)에 형성된 홀(132)은 도전성 부재(140)가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 및 바텀 커버(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패널 가이드(130)에 홀(132)을 형성하는 이유는 인쇄회로기판(120) 및 바텀 커버(150)의 외측면 사이에 패널 가이드(130)의 일부가 배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패널 가이드(130)의 구조 변경을 통해 패널 가이드(130)의 일부에 홀(132)을 형성하지 않고도 도전성 부재(140)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패널 가이드(130)의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로는,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120)이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패널 가이드(130)의 영역을 모두 절개함으로써 패널 가이드(130)의 일부가 인쇄회로기판(120) 및 바텀 커버(150)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전성 부재(140)에 대응하는 패널 가이드(130)의 영역을 홀(132)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로 절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도전성 부재(140)는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 및 바텀 커버(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부재(140)는 패널 가이드(130)에 형성된 홀(132)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 및 바텀 커버(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도전성 부재(140)의 양면은 도전성 양면 테이프에 의해 바텀 커버(150) 및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부재(140) 자체가 접착성을 가짐으로써 바텀 커버(150) 및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에 부착될 수 있다.
도전성 부재(140)는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가진 도전성 탄성체일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탄성체는 도전성 물질이 코팅된 개스킷(gasket)일 수 있다.
바텀 커버(150)는 백라이트 유닛(170)을 수납한다. 또한, 바텀 커버(150)는 패널 가이드(130)를 지지함으로써 액정 패널(110)을 지지 및 안착시킨다. 이러한 바텀 커버(150)의 재질은 열전도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백금, 백금 합금, 은, 은 합금, 동, 동 합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탑 커버(160)는 액정 표시장치(100)의 최외곽에 위치하며, 스크류(23) 및/또는 후크를 통해 패널 가이드(130) 및/또는 바텀 커버(150)와 체결됨으로써 액정 패널(110)을 고정한다. 이러한 탑 커버(160)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탑 커버(160) 단품 자체는 진동 및 충격 등과 같은 외력이 가해졌을 때 쉽게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탑 커버(16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 전기아연도금강판, 전기주석도금강판 등과 같이 강성이 좋은 금속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탑 커버(160)에는 인쇄회로기판(120)과 탑 커버(160)가 맞닿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굽어진 만곡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양면 테이프(128)로 고정이 되지 않는 인쇄회로기판(120) 부위를 눌러 줌으로써 인쇄회로기판(1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만곡부(162)를 도전성 부재(140)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120)의 접지 패턴(124) 및 바텀 커버(150)에 도전성 부재(140)가 잘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인쇄회로기판(120)과 만곡부(162) 사이에 도전성 부재(140)가 개재되므로 탑 커버(160)는 인쇄회로기판(120)과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게 된다. 또한, 이때에도 인쇄회로기판(12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70)은 램프(172), 반사판(174), 확산판(176) 및 광학 시트(178)를 포함한다.
램프(172)는 인버터에 의해 구동되어 광을 생성한다. 램프(172)는 자신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램프 홀더(173)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램프(172)는 냉음극관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열음극관 형광램프(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및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반사판(174)은 그 표면이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램프(172)로부터 전방(상/하/좌/우방)으로 출광된 광 중 하방으로 출광된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켜 광 효율을 높인다.
확산판(176)은 서포트 사이드 몰드(179) 및/또는 바텀 커버(150) 상에 안착되어 램프(172)의 형상이 액정 패널(110)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며, 램프(172)로부터 출광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광학 시트(178)는 확산판(176) 상에 안착되어 램프(172)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휘도 특성을 향상시키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휘도 향상 시트 중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는 도전성 부재를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과 바텀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자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는 정전기를 잘 방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에 의해 탑 커버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불량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평판 표시장치의 외관 품질은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7)

  1. 평판 표시 패널;
    상기 평판 표시 패널을 지지 및 안착시키는 바텀 커버;
    상기 평판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부품이 실장되며 상기 바텀 커버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 및 상기 바텀 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부재; 및
    상기 바텀 커버 상에 안착되며 상기 평판 표시 패널을 안착시키는 패널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가이드의 일부는, 상기 바텀 커버의 외측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 가이드의 일부에는, 상기 도전성 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는, 그 재질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백금, 백금 합금, 은, 은 합금, 동, 동 합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표면의 일부가 제거되어 노출된 동박으로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도전성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체는, 도전성 물질이 코팅된 개스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와 체결되어 상기 평판 표시 패널을 고정하는 탑 커버
    를 더 포함하는 평판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패턴 및 상기 바텀 커버, 및 상기 도전성 부재간의 밀착성 확보를 위해 상기 도전성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60085290A 2006-09-05 2006-09-05 평판 표시장치 KR10128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90A KR101285536B1 (ko) 2006-09-05 2006-09-05 평판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90A KR101285536B1 (ko) 2006-09-05 2006-09-05 평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985A KR20080021985A (ko) 2008-03-10
KR101285536B1 true KR101285536B1 (ko) 2013-07-11

Family

ID=3939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290A KR101285536B1 (ko) 2006-09-05 2006-09-05 평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3658A1 (en) * 2011-08-04 2013-02-07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866470B1 (ko) * 2011-12-08 2018-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1509B1 (ko) * 2015-09-18 2022-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7764B1 (ko) * 2015-11-03 2022-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동부 및 그 제조방법
KR102616398B1 (ko) * 2016-07-29 2023-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스 탑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KR102583560B1 (ko) * 2016-10-31 202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624006B1 (ko) * 2016-12-2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873221A (zh) * 2017-04-17 2017-06-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抗静电显示装置以及背光胶框
CN109633982B (zh) * 2019-02-19 2021-04-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模组、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5175454B (zh) * 2022-09-08 2023-01-20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6345148B (zh) * 2023-05-18 2023-10-24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127B1 (ko) * 2001-07-30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접지장치 제조 방법
KR20050003265A (ko) * 2003-06-30 2005-01-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회로 기판의 접지 방식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KR20050039018A (ko) * 2003-10-23 2005-04-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그 제작방법
KR20050064886A (ko) * 2003-12-24 2005-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127B1 (ko) * 2001-07-30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접지장치 제조 방법
KR20050003265A (ko) * 2003-06-30 2005-01-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회로 기판의 접지 방식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KR20050039018A (ko) * 2003-10-23 2005-04-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및 그 제작방법
KR20050064886A (ko) * 2003-12-24 2005-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985A (ko)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536B1 (ko) 평판 표시장치
US75454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RU24197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свет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плоского дисплея, использующее его
EP2086294B1 (en) Printed circuit board, backlight unit hav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id printed circuit board
JP4903393B2 (ja) 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8517590B2 (en) Light source structure
JP4683969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6011239A (ja) 液晶表示装置
US7513652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36715A (ko)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
CN101165570A (zh) 制造光源单元的方法、包括该光源单元的背光单元、以及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US9229155B2 (en) Side-edge backlight module
JP2011198769A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5556856B2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154790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샤시 구조물
KR10124508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US11340395B2 (en) Light source, backlight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17010663A (ja) 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283068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 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40018045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1129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1833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8129134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電子機器
CN219302830U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217879911U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