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780B1 -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780B1
KR101275780B1 KR1020100139218A KR20100139218A KR101275780B1 KR 101275780 B1 KR101275780 B1 KR 101275780B1 KR 1020100139218 A KR1020100139218 A KR 1020100139218A KR 20100139218 A KR20100139218 A KR 20100139218A KR 101275780 B1 KR101275780 B1 KR 101275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ube
housing
fluid
delete delete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304A (ko
Inventor
김덕보
Original Assignee
(주)이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스 filed Critical (주)이지스
Priority to KR102010013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7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electro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8Devices for applying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하우징 내에 구비된 반응관(reactor)의 아연(Zn)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강력한 음이온(-)에 의해 배관 내측면에 달라붙은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분해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의 스케일 생성 방지 및 제거하는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대향되게 형성되는 알루미늄재의 하우징 몸체와, 하우징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알루미늄재의 하우징 덮개로서 이뤄지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아연소재로써 형성되어 유체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곡면으로 이뤄지는 원통형의 반응관 몸체와 반응관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가 곡면으로 이뤄지는 반응관 덮개로서 이뤄져 하우징에 내장되는 원통형의 반응관과,
반응관의 아연으로부터 음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반응관 내에 구비되어 전류를 발생하는 전기석과,
하우징 내부에 반응관이 등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될 수 있도록 반응관의 상,하부를 지지하며, 유체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이격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water process device using reactor}
본 발명은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로 인해 발생되는 부식 또는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하우징 내에 구비된 반응관(reactor)의 아연(Zn)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강력한 음이온(-)에 의해 배관 내측면에 달라붙은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분해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일필터(scale filter) 또는 스케일부스터(scale buster)는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를 이온화시킴과 동시에 불순물(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으로, 배관 내의 용수(pcw;process cooling water)에는 무기물 및 염류성분이 용해되어 있다. 즉 배관내의 용수에는 무기물 및 염류성분이 녹아져 있는데 이것이 Ca²+, Mg²+, Na²+ 등과 같은 양이온과 HCO₃- , SO₄-, Cl-과 같은 음이온으로 존재하며, 온도변화에 따라 양이온과 음이온이 결합하여 스케일을 형성하고 주로 CaCO₃, MgSO, SiO₂로 배관 내에 7㎛의 침상구조로 붙어 있다.
전술한 스케일필터 또는 스케일부스터는 하우징에 내장되는 반응관 외부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아연(Zn)을 도포하고, 반응관 내부에 음이온과 반응하는 소정의 전류값(0.06mA)을 발생시키는 전기석(일 예로서 철전기석 등을 말함)이 구비된다. 반응관에 도포된 아연이 전기석에서 발생된 전류에 의해 지속적으로 음이온을 발생시켜 활성화됨에 따라, 배관 내측면에 달라붙은 불순물을 음이온에 의해 지속적으로 분해시키므로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부식 방지 및 스케일 제거 과정의 일 예를 화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식방지를 설명하면, Zn = Zn2+ + 2e-
Fe₂O₃(녹) + 1/2e- = Fe₃O₄(마그네타이트)
Fe₃O₄ + 5/2 e-(아연전자) = Fe+(안정된 철)
녹은 전자와 결합하여 더 이상 부식되지 않는 마그네타이트(magnetite;자철석;Fe₃O₄)로 변환되어 부식의 발생을 방지하고, 최종적으로 다시 안정된 철(Fe+)로 환원되어 기존의 녹을 제거하게 된다.
스케일 제거 과정을 설명하면, CaCO₃(스케일) + CO₂+ H₂O = Ca(HCO₃)₂ (중탄산칼슘). 즉 스케일 입자들이 고체상태인 탄산칼슘(CaCO₃)의 형태로 제거되는 것이 아니고, 물에 잘 용해되는 중탄산칼슘(Ca(HCO₃)₂)으로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체가 흐르는 하우징 내에 구비된 반응관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음이온에 의해 스케일 등의 부식을 방지하고,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분해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관 내부의 수질, 수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반응관을 적시에 교체가능하고, 반응관 및 이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이들을 제작 및 조립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 내에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도하여 배관내의 부식 방지 및 불순물을 분해, 제거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 내측면에 코팅처리된 테프론재에 의해 배관 내의 유체와 마찰으로 인한 마찰정전기를 발생시킴에 따라, 반응관으로부터 강력한 음이온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의 스케일 생성 방지 및 제거하는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대향되게 형성되는 알루미늄재의 하우징 몸체와, 하우징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알루미늄재의 하우징 덮개로서 이뤄지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아연소재로써 형성되어 유체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곡면으로 이뤄지는 원통형의 반응관 몸체와 반응관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가 곡면으로 이뤄지는 반응관 덮개로서 이뤄져 하우징에 내장되는 원통형의 반응관과,
반응관의 아연으로부터 음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반응관 내에 구비되어 전류를 발생하는 전기석과,
하우징 내부에 반응관이 등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될 수 있도록 반응관의 상,하부를 지지하며, 유체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이격링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하우징 몸체 및 하우징 덮개의 내측면이 유체와의 마찰으로 인한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합성수지인 테프론재의 코팅층이 형성된다.
전술한 하우징 몸체 및 하우징 덮개의 외측면이 크롬 도금처리된다.
전술한 하우징 몸체에 하우징 덮개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우징 몸체와 하우징 덮개의 밀착면에 나사부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된다.
전술한 하우징 몸체에 하우징 덮개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우징 몸체와 하우징 덮개의 밀착면에 나사부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와 하우징 덮개의 밀착면에 환형의 플랜지가 나사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가 체결된다.
전술한 하우징 내의 수압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 덮개에 장착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한다.
전술한 하우징 내의 수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 덮개가 투명체의 강화유리재로 형성된다.
전술한 반응관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직경은 5∼8mm범위내로 형성된다.
전술한 상부 및 하부 이격링은 유체와의 마찰으로 인한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합성수지인 테프론재로서 형성된다.
삭제
전술한 전기석으로 사용되는 토르말린은 이로부터 발생되는 전류로 인해 반응관의 아연을 활성화시켜 음이온을 방출시키도록 0.03∼0.054m의 전류를 발생시킨다.
전술한 하우징 내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응관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우징 내의 수질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외부의 모니터에 전송하는 수질검출센서를 포함한다.
전술한 하우징 덮개의 외측면에 너얼링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유체가 흐르는 하우징 내에 구비된 반응관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음이온에 의해 스케일 등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거나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내부의 수질, 수압을 실시간으로 확인, 감시할 수 있어 반응관을 적시에 교체가능하고, 반응관 및 이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이들을 제작후 배관에 연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에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도하여 배관내의 부식 방지 및 배관내에 달라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효율을 향상시킴에 따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측면에 코팅처리된 테프론재에 의해 배관 내의 유체와 마찰으로 정전기를 발생시킴에 따라, 스케일로 인한 부식방지 및 제거에 따른 양이온과 음이온의 결합을 활성화함에 따라, 반응관으로부터 강력한 음이온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방출하므로 배관 내에 스케일 생성 방지 및 제거하는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의 스케일 생성 방지 및 제거하는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 및 배출구(2)가 대향되게 형성되는 알루미늄(Al)재(반응관(9)과 상이한 전위를 갖도록 금속재로 형성됨)의 하우징 몸체(3)와, 하우징 몸체(3)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알루미늄(Al)재의 돔형 하우징 덮개(4)로서 이뤄지는 원통형의 하우징(5)과,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아연(Zn)소재로써 형성되어 유체가 통과되도록 관통공(6)이 형성되며, 유체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도록 하단부가 곡면으로 이뤄지는 원통형의 반응관 몸체(7)와, 반응관 몸체(7)에 나사부(21)의 상호 나사결합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체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단부가 곡면으로 이뤄지는 반응관 덮개(8)로서 이뤄져, 하우징(5)에 내장되는 원통형의 반응관(9)과,
반응관(9)의 아연으로부터 음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반응관(9) 내에 구비되어, (-)이온과 반응하는 전류를 발생하여 반응관(9)의 음이온을 활성화시키며, (-)전자 활성화를 위해 마카로니 형태를 유지하며 그 크기는 12∼15㎜, 홀 직경은 3∼5㎜로 형성되는 전기석(미도시됨)과,
하우징(5) 내부에 반응관(9)이 등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될 수 있도록 반응관(9)의 상,하부를 지지하며, 반응관(9)의 중심 이동을 방지하며, 유체가 통과되도록 관통공(10)이 각각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이격링(11,12)(부도체로 형성됨)을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유입구(1) 및 배출구(2)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미도시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우징 몸체(3)에 나사결합되며 내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소켓형(socket), 또는 하우징 몸체(3)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포트형(por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하우징 몸체(3) 및 하우징 덮개(4)의 내측면이 아노다이징(anodizimg) 표면처리 후, 알루미늄재에서 발생되는 고유의 양이온(+)을 차단하고 유체와의 마찰으로 인해 유체 속의 음이온(-)에 마찰정전기를 발생시킴에 따라, 양이온인 아연이온(Zn-)과의 결합을 구상 조직으로 활성화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인 테프론(tefron)재의 코팅층(18)이 형성된다. 이때 코팅층(18)은 약 0.8∼1.0㎜두께로서 400℃에서 4시간동안 열처리 된다. 마찰정전기는 전자 흐름을 발생시켜 부식의 원인이 되는 물속의 산소이온과 먼저 반응하여 철 이온이 더 이상 산소와 반응하지 못하도록 하여 부식을 방지 및 억제한다.
전술한 하우징 몸체(3) 및 하우징 덮개(4)의 외측면이 아노다이징(anodizimg) 표면처리 후, 크롬 도금처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반응관(9)의 주기적인 표면 세정, 반응관(9) 내에 전기석 충진 또는 교체하기 위해 하우징 몸체(3)에 하우징 덮개(4)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우징 몸체(3)와 하우징 덮개(4)의 밀착면에 나사부(13)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하우징(5) 내의 수압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 덮개(4)에 장착되는 압력게이지(1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하우징(5) 내의 수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 덮개(4)가 투명체의 강화유리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반응관(9)에 형성되는 관통공(6)의 직경은 5∼8mm범위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상부 및 하부 이격링(11,12)은 유체와의 마찰으로 인한 정전기를 발생시키도록 합성수지재인 테프론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전기석으로 사용되는 토르말린은 이로부터 발생되는 전류로 인해 반응관(9)의 아연을 활성화시켜 음이온을 방출시키도록 0.03∼0.054m의 전류를 발생시킨다. 토르말린 원석은 히드록실(hidroxyl) 음이온(682ion/cc)을 발생하며, 원적외선(파장 4∼14μ)을 방사하며, 물분자를 이온화하고 약 알카리화하며, 음이온의 계면활성 효과를 갖는다.
삭제
전술한 하우징(5) 내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반응관(9)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우징(5) 내의 수질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외부의 모니터(미도시됨)에 전송하는 수질검출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하우징 몸체(3)에 대해 하우징 덮개(4)를 나사결합후 체결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 덮개(4)의 외측면에 너얼링부(20)(knurling)가 형성될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하우징 몸체(3)와 하우징 덮개(4)의 외측면이 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9는 하우징 몸체(3) 내의 잔유물을 수처리 공정 중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 밸브(drain valve)이고, 30은 하우징 몸체(3)와 하우징 덮개(4)의 밀착면 틈새를 통해 유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대향되는 요홈에 안착되는 오링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유입구(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하우징(5)내에 구비된 반응관(9)과 하우징(5)사이의 통로와, 반응관(9)에 형성된 관통공(6)을 동시에 경유하여 배출구(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도 3에 유체의 이송이 화살표로 표기됨).
유체가 하우징(5) 내로 유입될 경우,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하우징(5)과 아연소재인 반응관(9)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류에 의해 전자의 흐름이 발생된다. 전자는 물속의 산소 이온과 반응하여 철 이온이 산소와 더 이상 반응하지 못하도록 하여 부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한편 하우징(5) 내측면에 테프론재로서 코팅처리된 코팅층(18)에서 발생되는 마찰정전기는 전자 흐름을 발생시켜 음이온과 양이온의 결합을 활성화함으로써 부식 발생을 억제한다.
한편, 하우징(5)에 내설된 반응관(9)에 수용되는 전기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아연소재인 반응관(9)으로부터 아연 이온이 지속적으로 방출된다. 아연이온은 배관 내에 형성된 부식(Fe₂O₃)과 반응하여 그 부식을 마그네타이트(Fe₃O₄)로 변환시킴에 따라, 배관 내에 부식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하우징(5) 내에 유체가 이송되어 반응관(9)에 수용된 전기석으로부터 전류가 발생되면, 반응관(9)의 아연을 활성화시킴에 따라, 전기화학적 이온화원리에 의해 반응관(9)에서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음이온(-)에 의해 금속으로 존재하는 이물질 구성물질이 분해됨에 따라 스케일이 제거된다(즉, 수처리 장치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않고 배관의 부식을 방지하고, 배관 내의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음).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전술한 반응관(9)의 표면 세정, 반응관(9) 내에 전기석 충진 또는 교체하기 위해 하우징 몸체(3)에 하우징 덮개(4)를 착탈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우징 몸체(3)와 하우징 덮개(4)의 밀착면에 나사부(13)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3)와 하우징 덮개(4)의 밀착면에 환형의 플랜지(14)가 나사부(13)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플랜지(14)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5)(관통공 및 나사공으로 이뤄짐)에 볼트(16)(일 예로서 wrench bolt를 말함)가 체결된다.
즉, 전술한 하우징 몸체(3)와 하우징 덮개(4)의 밀착면에 형성된 나사부(13)에 의해 이들을 나사결합시킨 후, 플랜지(14)의 체결공(15)에 체결되는 볼트(16)에 의해 하우징 몸체(3)와 하우징 덮개(4)를 볼팅체결하는 것을 제외한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의 사용예는 생략하고, 중복되는 부품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 내의 반응관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음이온에 의해 스케일 등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거나 스케일을 제거하고, 하우징 내측면에 코팅처리된 테프론재에 의해 배관 내측면 부식을 방지하고, 배관 내의 유체와 마찰으로 정전기를 발생시킴에 따라 음이온과 양이온의 결합을 활성화시킴으로서, 반응관으로부터 강력한 음이온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방출되므로 스케일을 제거하는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배관 내부의 수질, 수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닝할 수 있어 반응관을 적시에 교체가능하고, 반응관 및 이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구조를 간단화하며, 하우징 내에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도하여 배관내의 부식 방지 및 스케일을 제거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유입구
2; 배출구
3; 하우징 몸체
4; 하우징 덮개
5; 하우징
6,10; 관통공
7; 반응관 몸체
8; 반응관 덮개
9; 반응관
11; 상부 이격링
12; 하부 이격링
13; 나사부
14; 플랜지
15; 체결공
16; 볼트
17; 압력게이지
18; 코팅층

Claims (13)

  1.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의 스케일 생성 방지 및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대향되게 형성되는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진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알루미늄재 또는 투명체의 강화 유리재로 형성되며 압력게이지가 장착되는 하우징 덮개로서 이루어진 하우징과,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아연소재로써 형성되어 유체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곡면으로 이뤄지는 원통형의 반응관 몸체와 상기 반응관 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가 곡면으로 이뤄지는 반응관 덮개로서 이뤄져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원통형의 반응관과, 상기 반응관의 아연으로부터 음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응관 내에 구비되어 전류를 발생하는 전기석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반응관이 등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될 수 있도록 반응관의 상,하부를 지지하며, 유체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합성수지의 테프론재로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이격링을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와 덮개의 내측면에 테프론재의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 몸체 및 하우징 덮개의 내측면이 1차 아노다이징 표면 처리된 다음 그 위로 상기 테프론재의 코팅층이 약 0.8∼1.0㎜두께로서 400℃에서 4시간 동안 열처리 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 및 하우징 덮개의 외측면은 크롬도금 처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반응관의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의 수질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외부의 모니터에 전송하는 수질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의 외측면에 너얼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20100139218A 2010-12-30 2010-12-30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275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218A KR101275780B1 (ko) 2010-12-30 2010-12-30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218A KR101275780B1 (ko) 2010-12-30 2010-12-30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304A KR20120077304A (ko) 2012-07-10
KR101275780B1 true KR101275780B1 (ko) 2013-06-14

Family

ID=4671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218A KR101275780B1 (ko) 2010-12-30 2010-12-30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7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592B1 (ko) * 2013-06-21 2014-02-27 (주)이지스 수질안정화를 위한 회전형 반응수단을 갖는 수처리장치
KR20210096930A (ko) * 2020-01-29 2021-08-06 고명수 급수용 수 처리기
KR20210096933A (ko) * 2020-01-29 2021-08-06 고명수 상수도용 수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28B1 (ko) * 2014-04-15 2016-08-12 (주)이지스 버터플라이밸브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712B2 (ja) * 1998-03-12 2001-01-15 佐野商事有限会社 洗浄水供給装置
JP2004141832A (ja) * 2002-10-28 2004-05-20 Toshiharu Fukai 水に含まれるケイ素の除去方法およびその除去装置
KR100900302B1 (ko) * 2009-02-12 2009-06-02 (주)월엔텍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KR100996376B1 (ko) * 2010-08-25 2010-11-24 (주)아리에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712B2 (ja) * 1998-03-12 2001-01-15 佐野商事有限会社 洗浄水供給装置
JP2004141832A (ja) * 2002-10-28 2004-05-20 Toshiharu Fukai 水に含まれるケイ素の除去方法およびその除去装置
KR100900302B1 (ko) * 2009-02-12 2009-06-02 (주)월엔텍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KR100996376B1 (ko) * 2010-08-25 2010-11-24 (주)아리에코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592B1 (ko) * 2013-06-21 2014-02-27 (주)이지스 수질안정화를 위한 회전형 반응수단을 갖는 수처리장치
KR20210096930A (ko) * 2020-01-29 2021-08-06 고명수 급수용 수 처리기
KR20210096933A (ko) * 2020-01-29 2021-08-06 고명수 상수도용 수 처리기
KR102308045B1 (ko) 2020-01-29 2021-09-30 고명수 상수도용 수 처리기
KR102393895B1 (ko) * 2020-01-29 2022-05-03 고명수 급수용 수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304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780B1 (ko) 반응관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581646B1 (ko)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수처리 장치
KR100900302B1 (ko) 배관설비용 유체처리장치
KR10230626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KR102012760B1 (ko) 이물질 배출 기능을 가진 수처리 장치
KR101363592B1 (ko) 수질안정화를 위한 회전형 반응수단을 갖는 수처리장치
KR101992683B1 (ko) 이물질 배출 기능과 점검 기능을 지닌 배관 부식 억제 및 녹 제거 장치
US20140367322A1 (en) Rotary strainer
KR101123673B1 (ko) 이온 스케일 부스터
KR101807670B1 (ko) 내부 점검 기능을 가지는 회전형 스케일필터를 가진 수처리 시스템
JP5976222B2 (ja) 四角形状の断面を有するバラスト水紫外線処理装置
KR101919306B1 (ko)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가지는 수처리 장치
JP3681123B2 (ja) 濾過器
KR101647428B1 (ko) 버터플라이밸브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1489293B1 (ko) 배관 스케일 방지 장치
KR101165348B1 (ko) 이온결정화 촉매장치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20190028971A (ko) 이온 수처리기
JP2015530923A (ja) 二重ワイパー構造を有するバラスト水紫外線処理装置
CN207575938U (zh) 一种船用防腐滤器装置
CN207591419U (zh) 一种防腐滤器装置
KR101533416B1 (ko) 도전성 유체의 정전 처리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설치된 도전성 유체 공급 배관
CN211779447U (zh) 一种防腐蚀的污水处理用管件
KR20200098303A (ko) 자화 정화장치의 스케일 및 부식 억제장치
KR102564900B1 (ko) 휴대용 상수 필터 테스터기
WO2018021253A1 (ja) トルマリン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冷却水循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