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268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268B1
KR102306268B1 KR1020210018226A KR20210018226A KR102306268B1 KR 102306268 B1 KR102306268 B1 KR 102306268B1 KR 1020210018226 A KR1020210018226 A KR 1020210018226A KR 20210018226 A KR20210018226 A KR 20210018226A KR 102306268 B1 KR102306268 B1 KR 10230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treatment device
reaction tube
installation space
rotary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열
정선구
Original Assignee
오주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건설(주) filed Critical 오주건설(주)
Priority to KR102021001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본 발명은 설치 공간부를 중심부으로 한쪽에는 인입관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 공간부 상측의 입구를 개폐해주는 덮개 및 상기 설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반응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처리 장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아연의 응집력을 강화시켜 부식을 억제하고, 아연 이온 용출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회전 반응관이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과 모서리에 통공이 구비됨에 따라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유체 이동을 촉진시키며, 유체와의 마찰면적으로 크게 하고, 유체 캐비테이션 활성화를 통해 아연 이온 용출량을 극대화시켜 수처리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전형 반응관의 회전 구조 개선을 통해 회전형 반응관의 설치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 및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device for water quality stabilization that is easy to maintain}
본 발명은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생성된 배관 내벽의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억제 및 제거되면서 수처리의 효율성을 높여 수질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의 관로는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된 물을 펌프장에서 가압하여 가정집 등의 수도꼭지까지 양호한 수질 상태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수도관의 신규 설치 직후, 상수도관의 보수 직후, 노후 상수도관의 교체 직후에 있어서는 물을 양호한 수질상태로 유지시켜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어렵다.
아울러, 상수도관의 장기 사용으로 관 내부에 부식으로 인한 스케일이 발생하거나, 산화 부식으로 인해 노화되거나, 퇴적물이 적체되거나 세균성 미생물이 장기간 부착되어 고착된 경우에는 통수면적이 감소하고 수질이 심각하게 오염된다.
이로 인해 정수기 및 온수기와 같이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는 별도의 정수 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용수를 발전소에 공급시에도 안정된 수질의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배관의 일부분에 부식 및 스케일 등과 같은 오염 이물질을 억제 및 제거하기 위한 수처리 시스템이 적용된다.
수질의 안정화를 위한 수처리 시스템으로는 반응수단인 스케일필터(scale filter) 또는 스케일 부스터(scale buster)가 밸브와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배관을 따라 밸브를 거쳐 이동되는 유체를 이온화시킴과 동시에 불순물(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배관 내의 급수(suppling water)에는 무기물 및 염류류 성분 등이 용해되어 있다. 따라서 용수에는 무기물 염류류 성분 등이 용해되어 있다. 따라서 용수에는 무기물 염류류 성분 등이 녹아 있는데, 이것이 Ca2+, Mg2+, Na2+ 등과 같은 양이온과, HCO3 -, SO4 -, Cl-과 같은 음이온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유체 내에 함유된 각종 성분들은 온도변화에 따라 양이온과 음이온이 결합하여 스케일을 형성하고 주로 CaCO3 , MgSO, SiO2 로 배관 내에 7㎛ 규모의 침상구조로 붙게 된다.
이처럼 스케일필터 또는 스케일부스터와 같은 반응수단을 갖는 수처리 시스템은 주기능 반응관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아연(Zn)으로 구성되어 있고, 반응수관 내부에 음이온과 반응하는 소정의 전류값을 발생시키는 전기석(일 예로서 철전기석 등을 말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주기능 반응관의 아연이 전기석에서 발생 된 전류에 의해 지속적으로 음이온을 발생시켜 활성화됨에 따라, 배관 내면에 달라붙은 불순물을 음이온에 의해 지속적으로 분해시켜 부식, 녹 및 스케일과 같은 오염 이물질을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부식 방지 및 스케일 제거 과정의 일 예를 화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식방지를 설명하면, 아연의 갈바닉 (Galvanic) 이온 교환 원리 에 의한 아연(Zn) 이 끊임없이 이온화되어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아연(Zn)이 물속의 산소(O2)와 먼저 결합함으로써 철과 산소가 더 이상 반응 할 수 없으므로 부식을 억제하게 된다.
이를 화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Zn 2+ (Zn->Zn 2+ + 2e- ) + H2O -> Zn 2+ + 2e- + 2H+ + O2- -> ZnO + H2
그리고 녹 제거 과정을 설명하면, Fe2O3 (붉은색 녹) + FeO (산화철) + H2O + 2e- (토르마린 전자) H2 + Fe3O4 (검은색 철 - 마그네 타이트)로 환원되어 기존의 녹을 제거하게 되면서.더 이상 산화 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적인 철로 변하게 된다.
또한, 스케일 제거 과정을 설명하면, CaCO3 (스케일) + CO2+ H2O = Ca(HCO3)2 (중탄산칼슘) 즉 스케일 입자들이 고체상태인 탄산칼슘(CaCO3)의 형태로 제거되는 것이 아니고, 물에 잘 용해되는 중탄산칼슘(Ca(HCO3)2)으로 변함으로써 스케일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배관 사이에 수처리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체가 수처리 장치를 통과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 과정에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처리 장치의 내부벽에 부착 또는 쌓이게 되면서 수처리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수처리 장치의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의 확인이 쉽지 않고, 이물질의 제거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처리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반응관의 경우, 상하의 회전축이 베어링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상하의 축이나 베어링이 쉽게 부식 또는 파손되는 경우가 있으며, 형상(타원형)의 한계로 인해 아연 이온 용출량이 크지 않아 효과적인 수처리 성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18230호(2013.02.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처리 장치를 통과하는 유체의 포함된 무기질 염류류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억제 및 제거하면서 반응관의 구조 변경을 통해 소음방지와 내구성의 향상은 물론 유량 및 압력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캐비테이션을 활성화시키면서 아연 이온 용출량의 극대화로 수처리의 효율성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하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설치 공간부를 중심부으로 한쪽에는 인입관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설치 공간부 상측의 입구를 개폐해주는 덮개 및
상기 설치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반응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 공간부의 내부와 상기 회전형 반응관의 외부는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 공간부의 내부와 상기 회전형 반응관의 외부는 육각 또는 사각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인입관은 외주면 한쪽에 이물질 배출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부의 끝단은 개폐구로 개폐되며, 상기 이물질 배출부의 내부에는 필터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이 상기 인입관의 관로에 위치하여 상기 관로를 통과하는 이물질이 상기 필터부재에 걸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재는 테프론 재질의 망 또는 구리 재질의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관은 내부 관로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테프론 링이 설치되되, 상기 테프론 링의 양측면은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관은 상기 테프론 링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아연 이온 용출량 검침계가 구비되어 상기 테프론 링의 구멍을 통과하는 유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이 검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아연 이온 용출량 검침계는 근거리 무선 기술이 포함되어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해 아연 이온 용출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IOT(Internet Of Things) 기능이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 공간부의 바닥면 중심에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드레인공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공은 드레인밸브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형 반응관은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외주면과 모서리에 유체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주면에 형성되는 통공은 상기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방향 또는 경사지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형 반응관은 상단 중심에 상부축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 내면의 설치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 중심에는 하부축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 공간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자리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형 반응관의 상부축과 하부축 내부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인입관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이물질 배출부가 구비됨에 따라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배출관에 테프론 링과 아연 이온 용출량 검침계가 구비되면서 정전기 발생을 통한 아연 이온의 응집력을 강화시켜 부식을 억제하고, 아연 이온 용출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회전형 반응관을 다각형으로 구성하고 외주면과 모서리에 통공을 형성함에 따라 유체와의 부딪힘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유체의 이동을 분산 촉진시키며, 유체와의 마찰면적으로 더욱 크게 하고, 캐비테이션 효과를 높여 아연 이온 용출량의 확대를 통해 수처리의 성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장치에 설치되는 반응관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장치의 출구쪽을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처리 장치의 입구쪽을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의 구성은 크게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측 입구를 개폐해주는 덮개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체와 반응하는 상부축과 하부축을 지닌 회전형 반응관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0)은,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후술될 회전형 반응관(3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공간이 구비된다.
하우징(100)은 반자성체인 알루미늄 또는 황동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활한 정전기 발생을 위하여 내외부가 테프론 성분으로 코팅 처리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는 테프론 성분으로 코팅 처리됨에 있어서, 토르말린 또는 게르마늄과 같이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기석 물질을 분말 형태 등으로 구성하여 테프론 성분에 포함시켜 코팅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전기석 물질은 토르말린 또는 게르마늄 외에 귀양석, 히게리온, 황토, 맥반석, 맥섬석, 숯 등이 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다른 실시 예로 전기석 물질을 하우징(100)의 제조시 포함시킴으로써, 전기석 물질이 포함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면에 전기석 물질을 도장한 후 도장한 표면에 테프론 성분을 코팅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에 전기석 물질이 구비되면 하우징(100) 내부에 유체의 압력이나 마찰이 가해질 경우, 전기석 물질로부터 강한 전자가 방출되고, 이러한 전자가 유체와 만나게 되면 유체에서 단분자로 분해된 수소이온과 결합을 하여 히드록실 이온이라는 계면활성 물질의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때 발생된 히드록실 음이온은 침투력, 세척력 및 분해력이 탁월하여 녹과 같은 물질들의 입자구조인 침상구조를 구상구조로 변환시킴에 따라 배관 내벽에 부착된 녹 및 스케일과 같은 오염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계면활성 물질의 음이온은 탄산염과 반응하여 탄산염 입자구조를 침상구조로 변환시킴에 따라 배관 내의 스케일과 같은 오염 이물질 등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미 형성된 스케일과 같은 오염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1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면서 내부 표면에 니켈과 크롬의 혼합물이 코팅되거나, 불판의 소재와 같은 숯과 게르마늄의 혼합물이 코팅됨으로써, 향균 및 정화성능과 하우징내 오염 이물질 부착방지의 기능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하우징(1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작의 편의성 향상과 강도의 향상과 부식의 방지 및 별도의 코팅작업이 필요 없도록 PVC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 불판 또는 고기판과 같이 숯과 게르마늄을 압축 성형하여 구성함으로써, 강성을 높이고, 부식을 방지하며, 내면에 코팅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정화기능이나 살균기능이 향상되며, 하우징내 이물질 부착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알루미늄 재질에 최대 10%의 구리재질을 첨가시켜 구성함으로써, 이물질 부착을 억제하고, 강도를 강화시키며, 가공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바람직하게 중앙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설치 공간부(120)가 형성되고, 그러한 설치 공간부(120)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한쪽 배관과 연결되는 인입관(11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다른 한쪽 배관과 연결되는 배출관(130)이 형성됨에 따라 한쪽 배관에서 인입관(110)으로 이동된 유체는 설치 공간부(120)를 거쳐 배출관(130)을 통과한 후 다른 한쪽 배관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하우징(100)은 바람직하게는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설치 공간부(120)의 내부가 유체의 캐비테이션 효과를 통한 아연의 활성화를 위하여 육각은 물론 사각 등의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설치 공간부(120)의 내부는 다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원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인입관(110)에는 유체가 설치 공간부(120)로 이동되기 전 이물질 또는 입자화된 무기질 염류류 등이 제거되어 아연 이온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외주면 한쪽으로 이물질 배출부(111)가 하향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부(111)는 바람직하게 인입관(110)의 외주면에서 아래쪽에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물질 배출부(111)의 끝단에는 이물질 배출부(111)에 수거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마개나 볼트 등의 개폐구(1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배출부(111)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필터부재(113)가 설치되며, 필터부재(113)는 하부가 이물질 배출부(111)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상부는 인입관(110)의 관로를 전체적으로 차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입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필터부재(113)를 통과한 후, 설치 공간부(120)로 이동됨에 따라 설치 공간부(12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물질 배출부(111)에 설치되는 필터부재(113)는 필요에 따라 청소 또는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 필터부재(113)의 상단 테두리에 기밀유지링을 설치함으로써, 인입관(110)으로 필터부재(113)가 설치되면 기밀유지링이 인입관(110)의 내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이물질이 필터부재(113)를 거치지 않고 필터부재(113)와 인입관(110)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재(113)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망 또는 PVC, PE, PP 등의 플라스틱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테프론 재질의 망 또는 구리 재질의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배출관(130)에는 내부 관로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면서 유체의 진행방향인 양쪽 측면에 복수의 구멍(132)이 형성된 테프론 링(131)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관(130)으로 배출되는 유체는 테프론 링(131)의 구멍(132)을 통과하게 되면서 정전기 발생을 통해 아연이온의 응집력이 강화되어 부식억제능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배출관(130)에서 테프론 링(131)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아연 이온 용출량 검침계(133)를 설치함에 따라, 테프론 링(131)의 구멍(132)을 통과하기 전 또는 통과한 후 유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을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회전형 반응관(300)의 아연 이온 용출의 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연 이온 용출량 검침계(133)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기술을 포함시킴에 따라 아연 이온 용출량 검침계(133)와 스마트폰의 연동을 통해 아연 이온 용출량의 상태를 스마트폰으로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IOT) 기능을 이용하여 회전형 반응관(300)의 교체나 세척 등의 유지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설치 공간부(120)의 바닥면에는 그 중심에 함몰된 형태의 수용홈부(123)를 형성하고, 하우징(100)의 외부 저면에는 드레인밸브(125)로 개폐되는 드레인공(124)을 형성하여 수용홈부(123)와 연결시킴으로써, 설치 공간부(120)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수용홈부(123)에 수거되면 드레인밸브(125)를 개방시켜 이물질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어느 한쪽 표면에 점검창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점검창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고, 코팅층은 점검창이 단창인 경우, 점검창의 내면 또는 내면과 바깥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고, 점검창이 이중창인 경우에는 안쪽에 위치한 점검창의 내면과 바깥쪽에 위치한 점검창의 바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점검창의 코팅층은 유체에 의해 점검창의 오염을 방지하며, 점검창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면서, 점검창의 강도를 보강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는 점검창에 점착되는 광학 실리콘층과, 그러한 광학 실리콘층에 결합되는 PET층 또는 강화유리 필름층과, 그러한 PET층 또는 강화유리 필름층에 결합되는 하드코팅층과, 그러한 하드코팅층에 결합되는 소유성 코팅층 또는 초소수성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광학성 실리콘 점착층은 투과율이 대략 142 기준 정도까지 나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PET층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강화유리 필름층은 대략 8~9H의 높은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하드코팅층은 대략 3~4H의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우징(100)은 재질 또는 내부의 코팅상태에 따라 유체가 흐르는 평상시에 부식을 억제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수유지를 위한 유체 차단시 회전형 반응관(300)을 분리한 후 영상취득장치 등을 이용하여 내부를 진단하거나 점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유지보수를 위해 유체 차단시 회전형 반응관(300)을 분리한 후 관의 녹,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를 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인입관(110)의 플랜지를 비롯한 하우징(100)의 외부가 다각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작은 물론 부품 및 완제품의 적재 등 보관이 유리하게 되고, 타제품과의 외형적인 차별성으로 인해 제품의 홍보가 유리해지며, 소비자에게도 제품에 대한 강한 인상을 심어주어 매출의 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덮개(200)는,
하우징(100)의 설치 공간부(120) 상측에 구비된 입구(121)를 개폐해주며, 하우징(100)의 상면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예시된 도면과 같이 사각 등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200)는 입구(121)의 플랜지에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덮개(200)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투시창이 구비될 수도 있다.
회전형 반응관(300)은,
하우징(100)의 설치 공간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치 공간부(120)를 통과하는 유체의 스케일 제거 및 부식을 방지하여 수질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형 반응관(300)은 일 예로 아연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외면에는 유체와 접촉되는 정전기발생코팅층이 포함될 수 있다.
회전형 반응관(300)은 다른 예로 마그네슘 또는 구리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아연에 마그네슘(또는 구리 등)이 혼합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회전형 반응관(300)은 바람직한 실시 예로 특수아연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아연의 갈바닉 이온 교환 원리에 의해 아연이 끊임없이 이온화되어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아연이 물속의 산소와 먼저 결합함에 따라 철과 산소가 더 이상 반응할 수 없기 때문에 부식이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회전형 반응관(300)은 외주면(310)을 통해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33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처리를 위한 촉매가 구비될 수 있다.
촉매는 회전형 반응관(300)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형 반응관(300)이 특수 아연재질로 구성될 경우, 촉매는 아연재질의 것과 게르마늄, 토르말린, 숯과 같은 재질의 것이 복수로 구성되거나, 아연재질의 것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반응의 효율성을 위해 회전형 반응관(300)의 재질과 다르게 게르마늄, 토르말린 및 숯과 같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촉매는 일 예로 유체의 흐름에 저항을 덜 받을 수 있도록 원형 또는 구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체와의 전면적인 접촉을 통해 다량의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촉매는 다른 실시 예로 소결 또는 분말야금 성형되어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촉매가 다공성 구조를 가지게 되면 기공 속까지 유체가 침투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유체와의 표면 접촉 면적이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에 비해 상당히 증가하게 되므로 많은 량의 음이온이 유체 속에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에 무기질 염류의 농도가 많은 유체의 경우 다공성 구조를 갖는 촉매가 다량의 (-)전자를 방충하게 되어 유체 속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하이드록실 작용 또는 계면활성 작용에 의한 스케일 및 부식을 분해 제거하는 능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관 내벽에 부식 발생이 진행되지 않게 되는 등 전반적인 수처리 능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회전형 반응관(300)의 재질은 일 실시 예로 아연 재질에 구리재질이 최대 0.5% 첨가된 반자성체로 구성됨으로써, 무기질 염류류 및 오염된 이물질의 부착을 억제시켜 지속적으로 아연 이온 용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회전형 반응관(300)의 재질은 다른 실시 예로 아연 재질에 비스무스 재질을 최대 0.3% 첨가함으로써, 주조시 아연금속의 조직 밀도를 강화시켜 일정한 아연 이온 용출량의 관리를 통해 회전형 반응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회전형 반응관(300)의 재질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아연 재질에 마그네슘 재질을 대략 최대 0.5% 첨가하여 아연 이온 용출량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회전형 반응관(300)의 외형은 평단면으로 보았을 때 예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육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될 필요 없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육각이 아닌 사각, 팔각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형 반응관(300)이 다각형으로 구성되면 유체가 회전형 반응관(300)과 접촉할 때 외주면(310)과 모서리(320)에 부딪치게 되면서 캐비테이션 효과와 와류현상을 일으키게 되면서 자연스러운 유체의 순환 및 공기방울 발생으로 아연이온의 용출 활성화를 통한 수질개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캐비테이션 효과는 유체 중에 증기 공동이 형성되어 액체가 없는 작은 구역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캐비테이션 효과는 강력한 산화제 및 환원제를 생성하고, 오염된 유기 화합물뿐만 아니라 일부 무기질 염류류 등을 효율적으로 분해하여 박멸시키는 화학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캐비테이션 효과는 미생물 및 유충의 세포벽 또는 외막을 물리적으로 파괴하거나 파열시키며, 또한 과산화물, 히드록실, 라디칼 등과 같은 살균 화합물을 생성하여, 미생물을 박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설치 공간부(120)를 통과하게 되는 유체는 회전형 반응관(300)의 외주면(310)과 모서리(320)에 부딪쳐 이동하게 되면서 압력 변화를 통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미세기포는 성장한 후, 압력 상승 영역에서 붕괴됨에 따라 와류 현상과 함께 유체 중의 다양한 분자를 해리시켜 강력한 산화제 또는 환원제인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물리적 및 화학적 반응을 통해 유체로부터 유기 및 기타 오염 물질이 제거되면서 수질이 정화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형 반응관(300)이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설치 공간부(120)의 내부 또한 다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인입관(110)을 통한 유체가 다각형의 회전형 반응관(300) 외부와 마찰을 일으킴과 동시에 회전형 반응관(300)의 회전에 따른 회전형 반응관(300)과 설치 공간부(120)의 내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됨에 따라 그 간격으로 이동되는 유체가 가속 내지 와류를 일으켜 마찰 충격을 일으키게 되어 유체의 캐비테이션 효과를 더욱 크게 함으로써, 아연 이온 용출량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회전형 반응관(300)의 외부가 다각형으로 구성되면 제작은 물론 부품 및 완제품의 적재 등 보관이 유리하게 되고, 타제품과의 외형적인 차별성으로 인해 제품의 홍보가 유리해지며, 소비자에게도 제품에 대한 강한 인상을 심어주어 매출의 향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회전형 반응관(30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는 통공(330)은 일정한 배열 또는 불규칙한 배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310)에 통공(330)을 형성함에 있어서 평면인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의 방향으로 관통시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회전형 반응관(300)과 유체와의 표면 마찰력 극대화를 위해 평면인 외주면(310)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관통시켜 형성되면 회전형 반응관(300)의 내부에 위치한 촉매의 마찰을 확대시켜 음이온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모서리(320)에도 통공(330)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와의 접촉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고, 유체 이동을 고르게 분산시켜주며, 유체와의 마찰 면적을 더욱 넓게 할 수 있고, 유체의 캐비테이션을 활성화시켜 아연 이온 용출량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유량 및 압력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형 반응관(300)이 설치 공간부(120)에 조립되어 지지 및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에 있어서, 상부축(340)의 경우, 돌출된 상태에서 덮개(200)의 내면에 별도의 설치홈부(210)를 두고 그러한 설치홈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축(350)의 경우, 설치 공간부(1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자리홈(1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축(340)과 하부축(350)의 외주면에는 테프론 또는 구리 재질의 슬리브 및 부싱 형태의 원형 캡이 조립됨으로써, 유체 마찰 충격에 의한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상부축(340)과 하부축(3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부축(340)과 하부축(350)의 다른 실시 예로 상부축(340)과 하부축(350)의 내부에 자석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자석부재로는 N,S 극의 자성을 지닌 네오디움 소재의 영구자석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축(340)과 하부축(350)의 내부에 자석부재가 구비되면 자석부재가 회전형 반응관(300)을 이동하는 유체에 포함된 양이온과 음이온의 무기질 입자 결합을 억제시키거나 결합된 무기질 입자들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는 아연의 희생양극원리를 통한 부식 억제 성능과 전기석이 지닌 천연광물질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을 이용한 녹 및 스케일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의 분해성능 등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인입관
111 : 이물질 배출부 112 : 개폐구
113 : 필터부재 120 : 설치 공간부
121 : 입구 122 : 자리홈
123 : 수용홈부 124 : 드레인공
125 : 드레인밸브 130 : 배출관
131 : 테프론 링 132 : 구멍
133 : 아연 이온 용출량 검침계 200 : 덮개
300 : 회전형 반응관 310 : 외주면
320 : 모서리 330 :통공
340 : 상부축 350 : 하부축

Claims (13)

  1. 설치 공간부(120)를 중심부으로 한쪽에는 인입관(110)이 구비되고, 다른 한쪽에는 배출관(130)이 구비되는 하우징(100);
    상기 설치 공간부(120) 상측의 입구(121)를 개폐해주는 덮개(200); 및
    상기 설치 공간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반응관(30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형 반응관(300)은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외주면(310)과 모서리(320)에 유체가 통과하는 통공(3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 공간부(120)의 내부와 상기 회전형 반응관(300)의 외부는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다각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치 공간부(120)의 내부와 상기 회전형 반응관(300)의 외부는 육각 또는 사각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입관(110)은 외주면 한쪽에 이물질 배출부(111)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부(111)의 끝단은 개폐구(112)로 개폐되며, 상기 이물질 배출부(111)의 내부에는 필터부재(113)가 설치되되, 상기 필터부재(113)의 상측이 상기 인입관(110)의 관로에 위치하여 상기 관로를 통과하는 이물질이 상기 필터부재(113)에 걸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113)는,
    테프론 재질의 망 또는 구리 재질의 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30)은 내부 관로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테프론 링(131)이 설치되되, 상기 테프론 링(131)의 양측면은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1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30)은 상기 테프론 링(131)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아연 이온 용출량 검침계(133)가 구비되어 상기 테프론 링(131)의 구멍(132)을 통과하기 전, 후 유체의 아연 이온 용출량이 검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연 이온 용출량 검침계(133)는 근거리 무선 기술이 포함되어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해 아연 이온 용출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물 인터넷 기능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 공간부(120)의 바닥면 중심에 수용홈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드레인공(124)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부(123)와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공(124)은 드레인밸브(125)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310)에 형성되는 통공(330)은 상기 외주면(310)에 대하여 직각방향 또는 경사지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반응관(300)은,
    상단 중심에 상부축(34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200)의 내면에 구비되는 설치홈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 중심에는 하부축(35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설치 공간부(1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자리홈(1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반응관(300)의 상부축(340)과 하부축(350) 내부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KR1020210018226A 2021-02-09 2021-02-09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KR10230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26A KR102306268B1 (ko) 2021-02-09 2021-02-09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26A KR102306268B1 (ko) 2021-02-09 2021-02-09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268B1 true KR102306268B1 (ko) 2021-09-29

Family

ID=7792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226A KR102306268B1 (ko) 2021-02-09 2021-02-09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2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568B1 (ko) * 2022-06-13 2023-01-27 주식회사 맑은가야 소량의 하수를 처리하는 하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502379B1 (ko) * 2022-05-26 2023-02-23 오주이엔씨(주) 수처리 장치가 구비된 수도 계량기
KR102621053B1 (ko) * 2023-06-15 2024-01-0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상수도 배관의 이물질 제거용 스트레이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478A (ko) * 2002-06-10 2003-12-24 주식회사 리독스 배관내의 물의 살균, 악취제거 및 스케일 발생 방지를위한 수처리 장치
KR20130018230A (ko) 2010-03-31 2013-02-20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여과 장치 및 수처리 장치
KR20130114406A (ko) * 2012-04-09 2013-10-18 신한정밀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조립체 및 그 청소방법
KR20170123163A (ko) * 2016-04-28 2017-11-07 (주)에너지원닥터 배관의 녹 및 스케일 방지장치
KR20180093164A (ko) * 2017-02-09 2018-08-21 (주)이지스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가지는 수처리 장치
KR101992683B1 (ko) * 2018-07-30 2019-09-30 (주)이지스 이물질 배출 기능과 점검 기능을 지닌 배관 부식 억제 및 녹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478A (ko) * 2002-06-10 2003-12-24 주식회사 리독스 배관내의 물의 살균, 악취제거 및 스케일 발생 방지를위한 수처리 장치
KR20130018230A (ko) 2010-03-31 2013-02-20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여과 장치 및 수처리 장치
KR20130114406A (ko) * 2012-04-09 2013-10-18 신한정밀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조립체 및 그 청소방법
KR20170123163A (ko) * 2016-04-28 2017-11-07 (주)에너지원닥터 배관의 녹 및 스케일 방지장치
KR20180093164A (ko) * 2017-02-09 2018-08-21 (주)이지스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가지는 수처리 장치
KR101992683B1 (ko) * 2018-07-30 2019-09-30 (주)이지스 이물질 배출 기능과 점검 기능을 지닌 배관 부식 억제 및 녹 제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379B1 (ko) * 2022-05-26 2023-02-23 오주이엔씨(주) 수처리 장치가 구비된 수도 계량기
KR102492568B1 (ko) * 2022-06-13 2023-01-27 주식회사 맑은가야 소량의 하수를 처리하는 하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621053B1 (ko) * 2023-06-15 2024-01-0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상수도 배관의 이물질 제거용 스트레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626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질 안정화용 수처리 장치
WO2005016832A1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KR101992683B1 (ko) 이물질 배출 기능과 점검 기능을 지닌 배관 부식 억제 및 녹 제거 장치
US10183875B2 (en) Point of use electrolysis system
KR20090046211A (ko) 상수도관 연결형 정수장치
CN205653219U (zh) 一种自动电化学水处理器
KR102172075B1 (ko) 튜브타입의 오·폐수 처리 전기 분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뇨 마쇄 소독 장치
US20040195181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systems and open loop systems
KR102012760B1 (ko) 이물질 배출 기능을 가진 수처리 장치
US20050218084A1 (en) Enhanced photocatalytic system
CA2513342C (en) Electrolytic cell for wastewater disinfection
KR101807670B1 (ko) 내부 점검 기능을 가지는 회전형 스케일필터를 가진 수처리 시스템
CN216023578U (zh) 一种切削液循环处理设备
KR102218048B1 (ko) 수질 안정화를 위한 반응수단을 갖는 수처리 장치
KR102502379B1 (ko) 수처리 장치가 구비된 수도 계량기
JP4584168B2 (ja) 抗菌水生成装置
US200601752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and hydrated electr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US116134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rine wastewater treatment
US20230365445A1 (en) Side stream filter fluid treatment for new and old systems
CN113144739A (zh) 一种切削液循环处理设备及其处理效率的确定方法
KR20230108009A (ko) 버블의 크기 및 oh라디칼의 투입량을 최적화하여 장치효율성을 향상시킨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JPH1190126A (ja) 殺菌部材を有するストレ―ナ
da Costa Production of functionalized particles with immobilized biocide for biofouling minimization in industrial water systems
JP2000039346A (ja) 面積式流量計及び液体貯留槽
JP2008291614A (ja) 排水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