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964B1 - 높은 측면 해상도를 갖는 굴절률 구배층을 제조하기 위한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소자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측면 해상도를 갖는 굴절률 구배층을 제조하기 위한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소자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964B1
KR101272964B1 KR1020077013845A KR20077013845A KR101272964B1 KR 101272964 B1 KR101272964 B1 KR 101272964B1 KR 1020077013845 A KR1020077013845 A KR 1020077013845A KR 20077013845 A KR20077013845 A KR 20077013845A KR 101272964 B1 KR101272964 B1 KR 101272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brid material
organic
refractive index
weight
inorganic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040A (ko
Inventor
마틴 메니히
페터 윌리암 올리베이라
Original Assignee
에페게 (엔지니어드 나노프로덕츠 저머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페게 (엔지니어드 나노프로덕츠 저머니) 아게 filed Critical 에페게 (엔지니어드 나노프로덕츠 저머니)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9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 C03C17/00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aterials of composite character comprising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C03C17/02, C03C17/06, C03C17/22 and C03C17/28
    • C03C17/009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e.g. ormosils and ormo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olo Graph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용성 유기 중합체 및 광중합가능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리간드를 갖는 단핵 또는 다핵 고굴절률 금속 착체 및 임의적으로 가교결합가능한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 가소제 및 다른 첨가제를 포함하며, 굴절률 구배의 형성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물질에 관한 것이다. 고체 또는 점성의 하이브리드 물질의 국부적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금속 착체의 농도 구배가 발생하며, 따라서 조사된 영역에서 굴절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굴절률 구배 구조는 경화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굴절율 구배를 갖는 형성된 물질은 예를 들면 이미징 광학소자에 사용하기 위한 구배 구조를 갖는 광학 엘레멘트, 평면 도파로, 홀로그래피 이미지, 도광 엘레멘트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매체에 특히 적합하다.
하이브리드 물질, 굴절률 구배, 광학소자

Description

높은 측면 해상도를 갖는 굴절률 구배층을 제조하기 위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OPTICAL COMPONENT COMPRISING AN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FOR PRODUCING REFRACTIVE INDEX GRADIENT LAYERS WITH HIGH LATERAL RESOLUTION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본 발명은 굴절률 구배를 갖는 광학소자, 그의 용도,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에 의한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 5,552,261 호 및 미국 특허 제 5,529,473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주위의 액체 매트릭스보다 더 높거나 또는 더 낮은 굴절률을 갖는 단량체의 확산이 굴절률 구배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광중합체로 공지되고, 가열되거나 또는 노출된 영역에서 후속 중합에 의한 유도 확산에 관련된 콜번-헤인즈(Colburn-Haines) 효과는 밀도의 증가를 초래하고, 따라서 굴절률(RI)의 증가 또는 감소를 초래한다. 그러나, 유기 단량체의 경우, 발생하는 밀도의 변화가 몰 굴절에 단지 작은 영향만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작다. 그 후, 굴절률 구배 프로파일은 후속 가교결합, 예를 들어 광중합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물질들의 단점은 비교적 작은 굴절률 증가, 긴 작동시간, 및 높은 산란손실이다. 굴절률 구배가 또한 광중합가능한 액체 매트릭스(졸) 중에서 높거나 또는 낮은 굴절률을 갖는 나노입자의 이동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후속 가교결합(중합, 축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이 국제특허공개(WO) 제 97/38333 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의 중요한 결점은 그것이 액체 매트릭스 상(phase)으로 제한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홀로그래피 기법 또는 마스크 노출 기법을 적용하면 취급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콜번-헤인스 효과에 의해서도 중합체의 굴절률 차이가 상기 물질의 물리적 특성 때문에 비교적 작다는 추가적인 요인이 있다. 예를 들어 지머만(Zimmermann) 등의 문헌[Light-Management Films Based on Nanocomposite Coatings, paper at 5th Int. Conf. Coatings on Glass, Saarbrucken, Germany, 2004년 7월 4 내지 8일]과 같은 다른 연구에서는 구배-형성 수단의 영향 하에서 불완전하게 압축된 중합체 매트릭스 중에서의 나노입자의 확산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상기 굴절률 차이는 비교적 높은 굴절률을 갖는 무기 나노입자를 농축시킴으로써 성취된다. 상기 공정의 결점은 상기 입자의 확산율이 유기 단량체의 확산율보다 10배 이상 작으며, 상기 작동이 반드시 가수분해가능한 또는 가수분해된 실란을 동반한다는 것이다. 이들 실란은 상기 물질에 비교적 높은 습기 민감성을 부여한다(예: 브링커 및 (C.J. Brinker) 및 쉐러(G.W. Scherer)의 문헌[Sol-Gel Science: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Sol-Gel Processing, Academic Press 1990]).
독일특허공개(DE-A) 제 10200648 호에서는 홀로그래피 필름 및 확산 필름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공정에서는 가수분해가능한 또는 가수분해된 실란과 결합된 나노입자가 홀로그래피 구조의 생성에 필요하다. 이들 화합물 및 그들의 제조는 각각 상기에서 언급된 결점을 드러낸다. 상기 실란의 축합은 또한 3차원 가교결합 및 이에 의한 상기 물질의 부서짐을 초래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실시예 9에 따라 얻은 게인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을 갖지 않는 외부장의 적용 또는 구배-형성 수단의 사용에 의해 충분히 높은 굴절률 구배를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상기 목적은 고체 또는 점성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특정 금속 착체(complex) 화합물이 실란 또는 나노 입자없이 분산 또는 용해되는 중합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가용성 유기 중합체, 및 b)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리간드를 갖는 단핵 또는 다핵 금속 착체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본 발명의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기판에 도포시키거나 금형 내에 또는 금형 상에 위치시키고, b)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필요에 따라 고체 또는 점성이 되도록 건조시키고, c)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에 굴절률 구배를 생성하도록 상기 고체 또는 점성 하이브리드 물질을 패턴식으로 가열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패턴식으로 조사(照射)시키고, d) 이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열에 의해 및/또는 광화학적으로 완전히 경화시켜 상기 굴절률 구배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광학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가용성 유기 중합체 및 금속 착체 이외에,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물질은 용매, 유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가소제 및/또는 다른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은,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a) 4.9 내지 95.9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중량%, 특히 20 내지 40중량%의 가용성 중합체;
b)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리간드를 갖는, 0.5 내지 50중량%의 단핵 또는 다핵 금속 착체;
c) 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의 상업적으로 상용되는 가소제;
d) 열 또는 광화학적 중합 또는 가교결합 개시제, 증감제(增感劑), 습윤 보조제, 접착 촉진제, 항산화제, 유동 조절제, 안정제, 염료, 광색성 및 열색성 화합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되는 0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의 하나 이상의 첨가제; 및
e) 0 내지 4.9중량%의 유기 단량체 및/또는 0 내지 50중량%의 유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 건조중량은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의 총 중량을 나타낸다. 성분 a) 내지 e)는 총 건조중량의 100중량% 까지를 차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들 성분 및 임의적인 용매를 제외하면, 하이브리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하이브리드 물질이 가수분해가능하거나 또는 가수분해된 어떠한 실란도 함유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것의 어떠한 축합 생성물(부분적으로 및 완전히 축합된 실란 둘 다)도 함유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어떠한 나노 입자가 하이브리드 물질에 첨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가용성 중합체는 모든 통상의 가용성 유기 중합체를 포함하며, 가용성 중합체의 혼합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과 같은 알콜, 아세톤과 같은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에테르, 에틸렌 글라이콜과 같은 글라이콜, 및 헥산, 벤젠, 톨루엔 및 클로로폼과 같은 지방족, 방향족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중에서 가용성인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용성 중합체의 예로는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폭사이드,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및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들 수 있다. 가용성 중합체로서, 예를 들어, 사용된 용매 중의 20℃에서 20g/ℓ 이상의 용해도를 갖는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단핵 또는 다핵 금속 착체는 하나 이상의 중심 금속 원자를 갖는 금속의 착체이다. 상기 착체로서 임의의 금속, 예를 들어 주기율표의 전형족 제 2 내지 6 번 금속, 바람직하게는 제 2 내지 5 번 금속 또는 주기율표의 전이족 제 1 내지 8번 금속, 또는 란탄족 원소 및 악티늄족 원소를 포함하는 전이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예로는 Zn, Ti, Zr, Ce, Sn, La, Fe, Ta, Hf, Nb, Al, Cu, V, M, W, Ag 및 Cu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예로는 Ti, Zr, Ta 및 Nb를 들 수 있다. Si, B 및 As와 같은 반금속은 금속이 아니다.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기를 함유하는 리간드 또는 리간드들 이외에, 착체는 착체 리간드로서 전형적인 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착체 리간드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리간드의 예로는 알콕사이드, 바람직하게는 C1 -6 알콕사이드, 페녹시, 할로겐화물(F, Cl, Br, I), 옥소 및 아민을 들 수 있다. 유기 리간드의 예로는 카복실산, β-다이케톤, 예컨대 아세토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틸아세토네이트, CH-산 화합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아미노, 옥소 및/또는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킬레이트 리간드, 예컨대 EDTA 또는 에틸렌다이아민, 아미노산, 펩타이드 및 단백질 또는 이들 화합물의 대응하는 염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복실산의 대응하는 염기는 카복실산염 화합물, 예컨대 아세트산염 음이온이다. 또한, 리간드는 예를 들어 문헌[Holleman, Wiberg,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vol 91-100, deGruyter, 1985, p. 970]에 예시되어 있다.
열에 의해 또는 광화학적으로 중합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하는 리간드는 유기 리간드, 특히 상기에서 제시된 유기 리간드의 예들 중 하나로서, 이것은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작용기를 함유한다. 이들 리간드는 보통 2작용성 화합물로서, 상기 금속에 부착되기 위한 작용기, 및 중합가능한 기를 갖는다. 상기 중합가능한 기는 그 자신 또는 다른 기와 함께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개시될 수 있는 결합 반응이 가능한 반응성 기이다. 여기에서 "중합" 및 "중합가능한"은 또한 중축합 및 중축합가능한, 및 중부가 및 중부가가능한 것을 포함하며, 가교결합 반응 및 경화 반응을 포괄한다. 상기 중합가능한 기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 있다.
중합가능한 기의 예로는 C=C 이중 결합, OH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또는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이러한 결합의 형성이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다른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관련된 결합은 서로 다른 기들 사이의 결합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결합에 있어서 결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금속 착체로서 다른 기를 함유하는 착체가 사용된다. (메트)아크릴로일, 알릴, 비닐 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기가 바람직하며,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에폭시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미노기가 또한 열에 의해 또는 광화학적으로 중합가능한 기로서 적합하며 예를 들어 에폭사이드기, OH기 또는 산 염화물과 축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1차 모노아미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화학적으로 중합가능한 기가 바람직하다.
중합가능한 기를 함유하지 않는 바람직한 리간드는 알콕사이드이다. 따라서, 금속 착체는 바람직하게는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작용기, 및 필요에 따라 추가의 리간드를 함유하는 리간드와 전형적인 금속 알콕사이드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착체는 추가의 반응에 의해 칼코제나이드, 황화물, 할로겐화물 또는 금속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착체는 가수분해 또는 가산분해에 의해 칼코제나이드 또는 할로겐화물로 전환될 수 있다. 금속 착체는 바람직하게는 이중 결합, 또는 공지된 커플링(예: 착체 결합을 형성하는 기)에 의해 착체-형성 금속의 중심 원자에 결합되고, 실란을 함유하지 않는 다른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가교결합가능한 유기기를 갖는 리간드를 갖는 착체이다.
적합한 가소제는 원칙적으로 예를 들어 DIN 55945(1988년 12월)에 따른 상업적으로 통상적인 모든 화합물을 포함하다. 다음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비환식 지방족 다이카복실 에스테르, 예컨대 다이-n-옥틸 아디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아디페이트, 다이아이소데실 아디페이트, 다이부틸 세바케이트, 다이옥틸 세바케이트 및 비스(2-에틸헥실) 세바케이트와 같은 아디프산의 에스테르;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비스(n-헵타노에이트),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비스(아이소노나노에이트)과 같은 C6-C12 다이카복실산과 폴리알킬렌 글라이콜과의 에스테르;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비스(2-에틸부티레이트)와 같은 C6-C12 카복실산과 폴리알킬렌 글라이콜과의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 또는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다이아크릴레이트 또는 다이메타크릴레이트(예: 테트라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트)아크릴산 및 폴리알킬렌 글라이콜의 다이에스테르.
하이브리드 물질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열적 또는 광화학적 가교결합 개시제, 증감제, 습윤 보조제, 접착 촉진제, 항산화제, 유동 조절제, 안정제, 염료, 광색성 및 열색성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다른 첨가제(성분 d)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물질은 열적 및/또는 광화학적 가교결합 및 경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중합 촉매(중부가 촉매 및/또는 중축합 촉매 포함)("중합 또는 가교결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사용할 수 있는 광개시제의 예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개시제이다. 이들의 예로는 등록상표 이르가큐어(Irgacure) 184(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등록상표 이르가큐어 500(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벤조페논) 및 등록상표 이르가큐어 유형의 다른 광개시제인 등록상표 다로커(Darocur) 1173, 1116, 1398, 1174 및 1120, 2-클로로싸이오잔톤, 2-메틸싸이오잔톤, 2-아이소프로필싸이오잔톤, 벤조인, 4,4'-다이메톡시벤조인,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아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질 다이메틸 케탈, 1,1,1-트라이클로로아세토페논, 다이에톡시아세토페논 및 다이벤조수베론이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에 의해 여기되는 광개시제 및 상보성 증감제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적합한 열개시제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아실퍼옥사이드, 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알킬 퍼에스테르, 다이알킬 퍼옥사이드, 퍼케탈, 케톤 퍼옥사이드 및 알킬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형태의 유기 퍼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열 개시제의 예로는 다이벤조일 퍼옥사이드, 3차-부틸 퍼벤조에이트 및 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나이트릴이 있다. 양이온 열 개시제의 하나의 예는 1-메틸이미다졸이다. 유동 조절제의 예로는 등록상표 Byk 306과 같은 폴리에테르-개질된 다이메틸폴리실록세인이 있다. 증감제의 예로는 등록상표 크로다머스(Crodamers)와 같은 아민-개질된 올리고에테르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사용되는 유기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는 특히 사용되는 용매 중에서 가용성인 것들이다. 적합한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예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 b)에서 명시된 중합가능한 또는 가교결합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모든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광화학적으로 중합가능한 또는 가교결합가능한 기를 갖는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성분 d)와 관련하여 명시된 광화학적 또는 열적 개시제의 도움으로 중합 또는 가교결합될 수 있다. 그 양은,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0 내지 54.9중량%의 유기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이며, 0 내지 4.9중량%의 단량체 및/또는 0 내지 50중량%의 올리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의 바람직한 예로는 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또는 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헥산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헥산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도데케인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또는 도데케인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다이아크릴레이트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물질은 일반적으로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에서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은 코팅 조성물 또는 성형 화합물로서 작용을 한다. 적합한 용매는 가용성 중합체를 용해시킬 수 있는 모든 전형적인 용매를 포함한다. 유기 용매 및 물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혼합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용매의 예로는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과 같은 알콜, 아세톤과 같은 케톤, 아세트산 에틸과 같은 에스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같은 에테르 및 에틸렌 글라이콜과 같은 글라이콜, 및 헥산, 벤젠, 톨루엔 및 클로로폼과 같은 지방족, 방향족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가 있다.
하이브리드 물질은 매트릭스-형성 물질이며, 굴절률 구배를 갖는 성형물 또는 코팅을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굴절률 구배를 갖는 층 및 성형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결과로서 수득되는 제품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 상기 방법이 코팅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성형물의 제조와 관련하여서는, 동일한 서술 내용이 변경없이 적용되되, 성형물은 별도로 전형적인 성형 공정, 예를 들어, 금형에 유입시키거나 금형에 도포시키고, 경화 후 금형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공정은 또한 필름 캐스팅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중합성 물질로 제조된 기판, 바람직하게는 배킹(backing) 필름이,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물질로 코팅되고, 경화된 후, 형성된 코팅이 기판으로부터 분리(이층)되어 굴절률 구배를 갖는 광학소자로서 자기-지지(self-supporting)형 필름 또는 시이트(sheet)를 형성한다.
굴절률 구배를 갖는 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기판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합한 기판, 바람직하게는 유리 또는 중합성 기판, 예컨대 중합성 시이트 또는 중합체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은 투명하다. 굴절률 구배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중합가능한 하이브리드 물질이 바람직하게는 투명 기판,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 중합성 필름, 특히 PET, PE, PP, TAC 또는 PC에 도포된다.
하이브리드 물질을 사용한 코팅은 침지, 플러딩(flooding), 나이프 코팅, 주입(pouring), 스핀 코팅, 사출(injecting), 브러싱, 슬롯 코팅, 메니스커스 코팅(meniscus coating), 필름 캐스팅, 롤러 도포, 인쇄, 예컨대 플렉소 인쇄, 또는 스프레이와 같은 전형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요구되는 구체적인 점도는 사용되는 용매의 양, 중합체의 종류, 또는 필요에 따라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의 종류 및 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층 두께(건조된 또는 경화된 상태)는 1 내지 100㎛이다.
굴절률 구배는 하이브리드 물질 중의 무기 물질의 농도 구배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고굴절률의 무기 농축 물질의 대역에 의해 초래된다. 상기 농도 구배 및 이로부터의 굴절률 구배는 임의의 원하는 구배-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배-형성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또는 점성인 하이브리드 물질에 대해 실시된다. 구배-형성 수단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은 예를 들어 25℃에서 2 내지 3500Pas,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Pa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용매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제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배-형성 수단을 통해, 예를 들어 상술된 콜번-헤인스 효과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위 차이가 화학 전위(화학 화합물 또는 화학기의 농도)의 차이에 의해 중합가능한 금속 착체의 유도된 확산을 위한 추진력으로서 발생된다.
특히 상기 구배-형성 수단은 농도 구배의 형성을 초래하는 중합을 타겟된 부위에서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개시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층을 국부적으로 또는 패턴식으로 조사 또는 가열하는 것이다. 구배-형성 수단으로서 홀로그래피, 예컨대 2광파 혼합, 리토그래피 또는 국부 조사 또는 노출이 바람직하다. 레이저광, 자외선 또는 가시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식 조사는 필요에 따라 30 내지 90℃ 및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승온에서 실시될 수 있다.
구배-형성 수단의 영향, 예를 들어 국부 노출의 영향과, 가교결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자유롭게 확산하는 금속 착체가 중합가능한 또는 가교결합가능한 리간드의 결합을 통해 가교결합 또는 중합되며, 이로부터 증가된 굴절률을 갖는 국부적 대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산화성, 황화성 또는 금속성 결합과 같은 새로운 무기 결합이 또한 형성될 수 있고, 이것은 또한 굴절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농도 구배가 생성된다.
투명한 중합성 필름에 도포되고 예를 들어 홀로그래피, 리토그래피 또는 국부 노출에 의해 굴절률 구배를 갖는 광학 구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 물질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물질이 습식-화학적 방법에 의해 투명 중합성 필름에 도포되고 용매가 건조에 의해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0 내지 20중량%, 특히 0 내지 10중량%의 잔류 함량을 가질 때까지 실질적으로 제거되는,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기판으로부터 이층된 형태로, 상기 필름은 권선 상태의 제품으로 보관될 수 있다. 감광성 물질의 경우에 통상적인 바와 같이, 원하지 않는 후속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필름은 차광 포장되어 조절 조건(15 내지 30℃) 하에서 보관된다.
패턴식 조사, 예컨대 홀로그래피, 리토그래피 또는 국부 노출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은 굴절률 구배가 하이브리드 층에 생성된다. 가교결합가능한 결합을 갖는 착체 분자의 열 확산에 의해 유발되는 전달 작동에 의해, 이들 분자는 국부 노출의 영역으로 유입되고, 그 지점에서 서로 또는 가교결합가능한 매트릭스 성분과 가교결합한다. 상기 조성물에 의해 제공되는 비교적 높은 굴절률의 무기 부분의 결과로서, 상기 성분은 노출 지점에서 비교적 높은 굴절률 영역을 형성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더 낮은 굴절률을 갖는 영역은 비노출 인접 대역에 존재한다. 또한, 착체 분자는 인접 대역으로부터 노출 대역으로 확산된다. 유도된 확산으로 상기 작동은 노출 과정 중에 발생하며, 노출 조건 및 온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1 내지 수 초와 수 분 사이 동안 계속된다. 비교적 높은 굴절률 영역과 낮은 굴절률 영역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국부적 굴절률 구배를 생성한다.
놀랍게도,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 중에서의 결합가능한 또는 중합가능한/가교결합가능한 착체의 이동은 하이브리드 물질 또는 매트릭스가 고체 또는 점성인 경우에서도 발생한다.
이 작동에 뒤이어 그 때까지 가교결합되지 않은 기를 갖는 성분을 여전히 함유하는 하이브리드 물질(매트릭스)이 완전히 가교결합되며, 이때 가교결합은 바람직하게는 국부 광중합 및/또는 열적으로 개시되는 중합에 의해 발생되어 형성된 구배를 고정시킨다. 여전히 존재하는 잔류 용매는 상기 작동(층의 안정화)동안 제거된다.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사용하는 조사가 하이브리드 물질의 완전한 경화 및 수반되는 구배의 고정에 바람직하다.
굴절률 구배를 함유하는 층의 상술된 안정화는 바람직하게는 국부 노출을 통해 달성되며, 비교적 높은 굴절률의 영역으로 확산되지 않은 상기 중합가능한 기들은 서로 가교결합하여 전체 층의 영역을 안정화시킨다. 이 공정 동안에 이중 결합 또는 다른 중합가능한 기들은 그에 대응하는 단일 결합으로 전환된다.
전환도는 착체 리간드 또는 매트릭스(유기 성분) 중에 존재하는 반응성 기(예를 들어 C=C 이중 결합 또는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의 정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95%의 유기 전환도는 모든 C=C 이중 결합 또는 에폭시기 중 95%가 반응되었음을 의미한다. 전환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외선 측정 방법과 같은 다양한 측정 방법이 기술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중합은 통상의 개시제에 의해 열적으로 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개시제는 상기에서 명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성된 굴절률 구배를 갖는 코팅된 기판 및 성형물은 굴절률 구배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층, 특히 홀로그래피 및 광리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제조된 굴절률 분포형 렌즈, 홀로그래피 이미지, 도광(light-guide) 소자 및 이미징 광학소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굴절률 구배 물질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조명 엘레멘트를 위한 수동형 도파로 엘레멘트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매체를 제조하기 위해, 보안 홀로그램, 영상 홀로그램, 정보 저장을 위한 디지털 홀로그램을 위해, 빛 파면을 가공하는 소자의 시스템을 위해, 평면 도파로(광학 도파로)로서의 용도를 위해, 빛의 분극화 유도를 위해, 광선 분할기 및 렌즈로서의 용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달성된 굴절률 조절의 척도로서 측정된 파라미터는 회절 효율 또는 다르게는 "게인 프로파일(gain profile)"로 지칭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가교결합가능한 비교적 높은 굴절률의 성분의 이동 및 상기 매트릭스의 완전한 경화(굴절률 구배의 고정) 후, 기판에 도포된 하이브리드 물질의 직접적 투과는 산란투과계(hazemeter)를 사용하여 광축에 대하여 -30℃ 내지 +30℃의 경사각에서 측정된다.
실시예 1 : 홀로그래피용 광하이브리드(PH)의 제조
Zr 착체(Zr/메타크릴산 착체; Zr/MAA)의 제조
187.2g(0.40몰)의 Zr(OPr)4(부탄올 중의 82%)를 500ml의 3 목 플라스크에 충전시키고 얼음 배스에서 냉각시켰다. 34.44g(0.40몰)의 메타크릴산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을 25℃로 가온시키고, 15분 동안 교반시켰다.
중합체 용액의 제조
250g의 PVAc 펠렛을 1000g의 아세트산 부틸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80℃에서 교반시켰다. 100g의 등록상표 에베크릴(Ebecryl) 150(메타크릴레이트-개질된 비스페놀 A)을 첨가한 후, 이 반응 혼합물을 투명해질 때까지 추가적으로 10분 동안 25℃에서 교반시켰다. 계속하여 150g의 등록상표 울트라몰 M(아디픽 에스테르 유도체)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20분 동안 25℃에서 교반시켰다.
코팅 용액의 제조
이어서, 제조된 22.27g의 Zr/MAA을 교반하면서 상기 중합체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25℃에서 10분 동안 교반시켰다. 교반 후, 1중량%(고체 기준)의 광개시제(등록상표 이르가큐어 2020)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2
Ti 착체( Ti / 다이케토네이트 착체)의 제조
250ml의 3 목 플라스크에 68g(0.20몰)의 테트라부틸 오쏘티타네이트(부탄올 중의 98중량%, Ti)을 충전시키고 얼음 배스에서 냉각하였다. 48.24g(0.20몰)의 아세토아세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AAEM)를 교반하면서 서서히(15분) 적가(滴加)하였다. 첨가의 완료에 뒤이어 상기 반응 혼합물을 30분 후에 얼음 배스로부터 제거하고, 이어서 25℃에서 교반하였다.
코팅 용액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중합체 용액을 교반하면서 17g의 Ti/AAEM와 서서히 혼 합시켰다. 첨가를 완료한 후, 10분 동안 25℃에서 교반시켰다. 교반 후, 1중량%(고체 기준)의 광개시제 H-Nu470x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3
Ta 착체(Ta/다이케토네이트 착체)의 제조
250ml의 3 목 플라스크에 90.28g(0.20몰)의 탄탈륨 에톡사이드(에탄올 중의 90중량%, Ta)를 충전시키고, 얼음 배스에서 냉각하였다. 48.24g(0.20몰)의 아세토아세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AAEM)를 교반하면서 서서히(15분) 적가하였다. 첨가의 완료에 뒤이어 상기 반응 혼합물을 30분 후에 얼음 배스로부터 제거하고, 이어서 25℃에서 교반시켰다.
코팅 용액의 제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중합체 용액을 교반하면서 20.31g의 Ta/AAEM과 서서히 혼합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10분 동안 25℃에서 교반시켰다. 교반 후, 1중량(고체 기준)의 광개시제 등록상표 이르가큐어 651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4
중합성 필름 상의 PH 층의 생성
투명 PET 필름 상부에 100㎛ 두께의 층을 나이프코팅 방법에 의해 도포하였다. 상기 층을 120℃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층의 두께는 50㎛이었다. 실시예 5
유리 상의 PH 층의 생성
코팅 용액을 10cm x 10cm의 평면 유리 기판 상에 나이프코팅하고 120℃의 강 제통풍 건조 오븐 내에서 15분 동안 건조하였다. 그 후 상기 층의 두께는 약 50㎛였다. 계속하여 상기 층에 투명 PET 필름을 라이닝(lining)시켰다.
실시예 6
λ=315 nm 에서 간섭 회절 격자의 생성
이광파 혼합에 의해, 위상-변조된 부피 홀로그램을 투과 홀로그램 및 반사 홀로그램 둘 다로서 생성한다. 사용된 간섭성 광원은 아르곤 이온 레이저였다. 상기 레이저 광선(14mW/㎠)의 초점의 직경을 약 0.5mm으로 하고 광선 분할기에 의해 동일한 강도의 두 개의 성분 광선으로 분할시켰다. 이들 두 광선의 간섭에 의하여 광도가 공간적 및 주기적으로 변화되었다. 층의 제조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포토하이브리드(photohybrid)를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유리 기판(10cm x 10cm)에 도포시키고 간섭하는 레이저 광선을 포토하이브리드로 향하게 하였다. 상기 이광파 혼합에 의해 생성된 광도 변조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를 갖는 회절 격자 구조가 형성된다. 굴절률 프로파일을 포토하이브리드의 국부적 후-노출에 의해 광화학적으로 고정시키되, 본 실험에서 사용된 기록 광선(write beam) 중 하나는 차폐되고 나머지 광선은 후중합에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65%(633nm에서)의 회절 효율을 갖는 부피 홀로그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λ=488 nm 에서 간섭 회절 격자의 생성
이광파 혼합 실험을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실시하였다. 사용된 간섭성 광원은 65 mW/㎠에서의 아르곤 이온 레이저였고, 488nm으로 보정되었다. 사용된 홀로 그래피 물질은 실시예 2의 포토하이브리드였다. 층의 제조를 위해, 상기 포토하이브리드를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유리 기판에 도포시켰다. 노출 및 고정은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45%(633nm에서)의 회절 효율을 갖는 부피 홀로그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λ=244 nm 에서 간섭 회절 격자의 생성
상기 이광파 혼합 실험을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실시하였다. 사용된 간섭성 광원은 65 mW/㎠(488nm에서)에서의 아르곤 이온 레이저 및 레이저 2배 주파수 증폭기(최초 광도= 10 mW/㎠)였다. 사용된 홀로그래피 물질은 실시예 3의 포토하이브리드였다. 층의 제조를 위해, 상기 포토하이브리드를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유리 기판에 도포하였다. 노출 및 고정이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82%(633nm에서)의 회절 효율을 갖는 부피 홀로그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접촉 리토그래피에 의한 확산자의 제조
본 목적을 위해 실시예 1의 코팅 용액을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중합성 필름 상에 적층하고 확률적 미세 천공 마스크(전체 흡광도 0.55)로 밀착시켜 덮었다. 이러한 샌드위치 배열을 5°의 각도로 3분 동안 60℃에서 평행 자외선(고압 Hg 램프, 출력: 500W)에 노출시켰다. 상기 제조된 굴절률 구배를 균질의 비-평행 자외선(1200 W)을 이용하여 이면에 5분 동안 노출시킴으로써 고정시켰다. 이어서, 상기 마스크를 제거하였다. 수득한 게인 프로파일이 도 1에 제시되었다. 겉보기 프 로파일은 5°에서 국부적 최대 투과율을 갖는 비대칭 확산자의 겉보기 프로파일이다.

Claims (26)

  1. 용매, a) 용매 중의 20℃에서 20g/ℓ 이상의 용해도를 갖는 가용성 유기 중합체, 및 b)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리간드를 갖는 단핵 또는 다핵 금속 착체를 포함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로서,
    상기 가용성 중합체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폭사이드,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및 폴리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가소제 및 다른 첨가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로서,
    상기 유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가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및 이것들의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a) 가용성 중합체 4.9 내지 95.9중량%;
    b)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리간드를 갖는 단핵 또는 다핵 금속 착체 0.5 내지 50중량%;
    c) 가소제 0 내지 50중량%;
    d) 열 또는 광화학적 중합 또는 가교결합 개시제, 증감제(增感劑), 습윤 보조제, 접착 촉진제, 항산화제, 유동 조절제, 안정제, 염료, 광색성 및 열색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 0 내지 5중량%; 및
    e) 유기 단량체 0 내지 4.9중량% 및/또는 유기 올리고머 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 또는 점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단핵 또는 다핵 금속 착체가 중심 금속 원자 또는 원자들 상에 하나 이상의 알콕사이드 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8. 제 1 항에 있어서,
    단핵 또는 다핵 금속 착체에서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는 리간드가 카복실산, β-다이케톤, CH-산 화합물, 킬레이트 리간드, 아미노산, 펩타이드 및 단백질 또는 이들 화합물의 대응하는 염기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9. 제 1 항에 있어서,
    광화학적으로 또는 열에 의해 중합가능한 작용기가 C=C 이중 결합, 하이드록실, 에폭시 또는 아미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10. 제 1 항에 있어서,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가용성 중합체 1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가 광화학적으로 중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12. 제 1 항에 있어서,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가소제 0.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13. 제 1 항에 있어서,
    총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열 및/또는 광화학적 중합 또는 가교결합 개시제 0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
  14. a)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기판에 도포시키거나 금형 내에 또는 금형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b)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고체 또는 점성이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에 굴절률 구배를 형성하도록 상기 고체 또는 점성 하이브리드 물질을 패턴식으로 가열하거나 패턴식으로 조사(照射)시키는 단계,
    d) 상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열 및/또는 광화학적으로 완전히 경화시켜 상기 굴절률 구배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의 패턴식 조사를 30 내지 90℃의 승온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물질이 투명 중합성 필름에 도포되고, 투명한 라이너(liner) 필름이 비건조 또는 건조된 하이브리드 층 상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홀로그래피, 리토그래피 또는 국부 조사에 의해 패턴식 조사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층에서 굴절률 구배가 조사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에서 국부 조사에 의해 조사 방향에 수직하는 굴절률 구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형성된 하이브리드 층이 기판으로부터 이층되어 필름 또는 시이트 형태의 하이브리드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의 제조방법.
  21. 제 14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광학소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코팅된 기판 또는 금형 또는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23. 제 21 항에 있어서,
    굴절률 구배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하이브리드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24. 제 21 항에 있어서,
    굴절률 구배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25. 제 24 항에 있어서,
    굴절률 구배 필름이, 굴절률 구배를 갖는 하이브리드 물질로 코팅된 하나 이상의 투명한 중합성 필름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26. 제 21 항에 있어서,
    이미징 광학 엘레멘트에서의 도광 광학소자 또는 홀로그래피 데이터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광학소자.
KR1020077013845A 2004-12-20 2005-12-19 높은 측면 해상도를 갖는 굴절률 구배층을 제조하기 위한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소자 및 그의제조방법 KR101272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61323A DE102004061323A1 (de) 2004-12-20 2004-12-20 Optische Komponente aus einem anorganisch-organischen Hybridmaterial zur Herstellung von Brechzahlgradientenschichten mit hoher lateraler Auflös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04061323.0 2004-12-20
PCT/EP2005/013685 WO2006066858A1 (de) 2004-12-20 2005-12-19 Optische komponente aus einem anorganisch-organischen hybridmaterial zur herstellung von brechzahlgradientenschichten mit hoher lateraler auflös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040A KR20070097040A (ko) 2007-10-02
KR101272964B1 true KR101272964B1 (ko) 2013-06-10

Family

ID=3598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845A KR101272964B1 (ko) 2004-12-20 2005-12-19 높은 측면 해상도를 갖는 굴절률 구배층을 제조하기 위한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소자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98018B2 (ko)
EP (1) EP1828814B1 (ko)
JP (1) JP5137584B2 (ko)
KR (1) KR101272964B1 (ko)
CN (1) CN101069108A (ko)
DE (1) DE102004061323A1 (ko)
TW (1) TWI432506B (ko)
WO (1) WO2006066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1324A1 (de) * 2004-12-20 2006-06-22 Epg (Engineered Nanoproducts Germany)Gmbh Optische Komponente aus einem anorganisch-organischen Hybridmaterial zur Herstellung von Brechzahlgradientenschichten mit schneller Kinetik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06011949A1 (de) 2006-03-15 2007-09-20 Epg (Engineered Nanoproducts German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fektfreien mikrooptischen Lichtlenkelementen grosser Breite
US8322754B2 (en) 2006-12-01 2012-12-04 Tenaris Connections Limited Nanocomposite coatings for threaded connections
JP5371202B2 (ja) * 2007-04-27 2013-12-18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硬化膜
DE102008052586A1 (de) * 2008-10-21 2010-04-22 Leibniz-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einnützige Gmbh 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optischer Elemente mit Gradientenstruktur
DE102008064168A1 (de) 2008-12-22 2010-06-24 Leibniz-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einnützige Gmbh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optischer Elemente mit Gradientenstruktur
EP2243622A3 (en) * 2009-04-22 2015-06-0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part
JP5839830B2 (ja) * 2010-04-28 2016-01-06 昭和電工株式会社 有機金属錯体化合物、有機金属錯体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金属錯体化合物を含む光硬化性組成物
EP2563826A2 (en) 2010-04-29 2013-03-06 Battelle Memorial Institute High refractive index composition
JP5832428B2 (ja) * 2010-05-24 2015-12-16 昭和電工株式会社 有機タンタル錯体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40151B (zh) * 2010-10-20 2016-07-01 可隆股份有限公司 可光聚合的組成物及光學片
CN102866439A (zh) * 2012-09-21 2013-01-09 蚌埠玻璃工业设计研究院 一种基于高分子聚合物的cpv技术用梯度折射率透镜及其制备方法
KR102351281B1 (ko) * 2013-09-11 2022-01-14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다층 레지스트 프로세스용 무기 막 형성 조성물 및 패턴 형성 방법
AR100953A1 (es) 2014-02-19 2016-11-16 Tenaris Connections Bv Empalme roscado para una tubería de pozo de petróleo
WO2017057617A1 (ja) * 2015-10-02 2017-04-06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金属化合物含有組成物
JP6841629B2 (ja) 2015-10-02 2021-03-10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金属化合物含有組成物
JPWO2017104402A1 (ja) * 2015-12-16 2018-10-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ホログラム記録材料、体積ホログラム媒体及び体積ホログラム媒体の製造方法
SG11202001132SA (en) * 2017-08-08 2020-03-30 Supriya Jaiswal Materials, component, and methods for use with extreme ultraviolet radiation in lithography and other applications
US10857724B1 (en) 2018-12-11 2020-12-08 Facebook Technologies, Llc Reducing adhesive failure during nanoimprint lithography demolding
US11294278B1 (en) 2018-12-11 2022-04-05 Facebook Technologies, Llc Reducing adhesive failure during nanoimprint lithography demolding
US11262650B1 (en) 2018-12-11 2022-03-01 Facebook Technologies, Llc Reducing adhesive failure during nanoimprint lithography demold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9473A (en) * 1990-07-05 1996-06-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olid imaging system using differential tension elastomerc film
US5552261A (en) * 1992-09-25 1996-09-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ycling the recording layer of flexographic printing plates
WO1997038333A1 (de) 1996-04-04 1997-10-16 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 Gmbh Optische bauteile mit gradienten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03058292A1 (de) 2002-01-10 2003-07-17 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optischer elemente mit gradientenstruktu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7652A (fr) * 1969-10-17 1971-04-01 Mitsui Mining & Smelting Cy Lt Composition resineuse photosensible
US3650927A (en) * 1969-12-02 1972-03-21 Keuffel & Esser Co Photopolymerization utilizing dye-sensitized sulfones
US4043819A (en) * 1974-06-11 1977-08-23 Ciba-Geigy Ag Photo-polymerizable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stable polymeric images and process for making them by photopolymerization in a matrix
JPS5232704A (en) * 1975-09-08 1977-03-12 Nippon Paint Co Ltd Photoosensitive resin intaglio press plate
JPS5315152A (en) * 1976-07-27 1978-02-10 Canon Inc Hologram
US4164422A (en) * 1977-09-19 1979-08-14 Napp Systems (Usa), Inc. Water developable, photopolymer printing plates having ink-repulsive non-image areas
JPS575705A (en) * 1980-06-12 1982-01-12 Seiko Epson Corp Resin for plastic lens
DE3366938D1 (en) * 1982-11-01 1986-11-20 Hitachi Ltd Transparent resin material containing metal atoms
US4588664A (en) * 1983-08-24 1986-05-13 Polaroid Corporatio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used in holograms
US4696876A (en) * 1986-05-12 1987-09-29 Polaroid Corporatio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GB8714863D0 (en) * 1987-06-25 1987-07-29 Ciba Geigy Ag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i
GB8718528D0 (en) * 1987-08-05 1987-09-09 Ciba Geigy Ag Photopolymerisable composition
US4942112A (en) * 1988-01-15 1990-07-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and elements for refractive index imaging
FR2646930B1 (fr) 1989-05-12 1993-04-09 Essilor Int Procede de realisation d'un element diffractif, utilisable notamment dans la fabrication de lentilles optiques artificielles, et lentilles ainsi obtenues
US5247038A (en) * 1989-11-29 1993-09-21 Mitsubishi Rayon Co., Ltd. Poly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resin composition for cast polymerization
JPH05202110A (ja) * 1991-07-10 1993-08-10 Seiko Epson Corp 透明プラスチック材料
US5412016A (en) * 1992-09-28 1995-05-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polymeric inorganic-organic compositions
FR2707763B1 (fr) 1993-07-16 1995-08-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atériau composite à indice de réfraction élevé,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 matériau composite et matériau optiquement actif comprenant ce matériau composite.
US6391286B1 (en) * 1995-11-17 2002-05-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se of metallofluorocomplexes for dental compositions
JP4499916B2 (ja) * 1998-02-03 2010-07-14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ピラン誘導体とその用途
DE19805977A1 (de) * 1998-02-13 1999-08-19 Inst Neue Mat Gemein Gmbh Photochrom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und damit beschichtete Substrate
EP1231511B1 (en) * 2001-02-09 2014-04-02 Dai Nippon Printing Co., Ltd. Photosensitive composition for volume hologram recording and photosensitive medium for volume hologram recording
JP4212802B2 (ja) * 2001-12-04 2009-01-21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86004B2 (ja) * 2001-08-09 2012-07-25 昭和電工株式会社 重合性イリジウム錯体、その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760A1 (de) 2002-01-10 2003-07-24 Clariant Gmbh Nanokompositmaterial zur Herstellung von Brechzahlgradientenfolien
US6728456B1 (en) * 2002-10-11 2004-04-27 Eastman Kodak Company Waveguide with nanoparticle induced refractive index gradient
US7407568B1 (en) * 2002-11-08 2008-08-05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ethod of using sol-gel coatings for on-line preconcentration of amino acids in capillary electrophoresis
JP2004177752A (ja) * 2002-11-28 2004-06-2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感光性組成物及び感光性平版印刷版
DE102004061324A1 (de) * 2004-12-20 2006-06-22 Epg (Engineered Nanoproducts Germany)Gmbh Optische Komponente aus einem anorganisch-organischen Hybridmaterial zur Herstellung von Brechzahlgradientenschichten mit schneller Kinetik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9473A (en) * 1990-07-05 1996-06-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olid imaging system using differential tension elastomerc film
US5552261A (en) * 1992-09-25 1996-09-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ycling the recording layer of flexographic printing plates
WO1997038333A1 (de) 1996-04-04 1997-10-16 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 Gmbh Optische bauteile mit gradientenstruktu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03058292A1 (de) 2002-01-10 2003-07-17 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optischer elemente mit gradientenstrukt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61323A1 (de) 2006-06-22
CN101069108A (zh) 2007-11-07
WO2006066858A1 (de) 2006-06-29
US8198018B2 (en) 2012-06-12
TWI432506B (zh) 2014-04-01
JP2008524353A (ja) 2008-07-10
KR20070097040A (ko) 2007-10-02
EP1828814A1 (de) 2007-09-05
TW200630430A (en) 2006-09-01
EP1828814B1 (de) 2014-04-16
JP5137584B2 (ja) 2013-02-06
US20080247009A1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964B1 (ko) 높은 측면 해상도를 갖는 굴절률 구배층을 제조하기 위한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소자 및 그의제조방법
KR101276419B1 (ko) 급속 운동성을 갖는 굴절률 구배층을 제조하기 위한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포함하는 광학소자 및 그의제조방법
JP4893433B2 (ja) 体積型ホログラム記録材料及び体積型ホログラム記録媒体
CN1963668B (zh) 全息照相记录材料及全息照相记录介质
CN1954272B (zh) 全息照相记录材料及全息照相记录介质
TWI276657B (en) Nanocompositions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films with a refractive index gradient
TW581746B (en) Photosensitive composition, optical waveguide elemen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JP4536275B2 (ja) 体積型ホログラム記録用感光性組成物及び体積型ホログラム記録用感光性媒体
US20070111108A1 (en) Hologram recording material and hologram recording medium
WO2005109116A1 (ja) ホログラム記録材料及びホ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80145766A1 (en) Holographic recording medium
JP2005031279A (ja) ホログラム記録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ホログラム記録媒体
JP6572608B2 (ja) ホログラム記録媒体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ホ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化合物
JP4702814B2 (ja) ホ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4204206A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硬化物
WO2021100654A1 (ja) 化合物、重合性組成物、重合体、ホログラム記録媒体、光学材料、及び光学部品
JP5286660B2 (ja) ホログラム記録材料及びホログラム記録媒体
EP0980025A1 (en) Hologram recording material composition, hologram recording mediu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