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327B1 -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327B1
KR101272327B1 KR1020050020491A KR20050020491A KR101272327B1 KR 101272327 B1 KR101272327 B1 KR 101272327B1 KR 1020050020491 A KR1020050020491 A KR 1020050020491A KR 20050020491 A KR20050020491 A KR 20050020491A KR 101272327 B1 KR101272327 B1 KR 10127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panel
panel unit
display devic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308A (ko
Inventor
이경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327B1/ko
Priority to TW095105747A priority patent/TWI395995B/zh
Priority to US11/359,211 priority patent/US8446540B2/en
Priority to JP2006064464A priority patent/JP5099536B2/ja
Priority to CNB2006100678814A priority patent/CN100545708C/zh
Publication of KR2006009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패널 유닛, 패널 유닛을 수납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1 고정 부재의 외면을 감싸면서 제1 고정 부재와 결합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의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후크가 제2 고정 부재에 형성된 홀더에 결합된다.
표시 장치, 패널 가이드부, 고정 부재, 표시 면적, 후크, 홀더

Description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FOR MAGNIFYING DISPLAY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간접적으로 표시 면적을 최대로 넓힌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오면서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을 중심으로 하여, 소형 및 경량화되면서 성능이 더욱 향상된 표시 장치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 중에서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표시 장치를 필요로 하는 소형 제품인 핸드폰 및 PDA(portable digital assistor) 등의 모바일용 제품뿐만 아니라 중대형 제품인 모니터 및 TV 등의 사무용/가전용 제품으로도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특정한 분자 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 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2색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액정셀에 의한 광의 변조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다.
핸드폰 등의 소형 표시 장치의 대부분에 전술한 액정표시패널이 채택되고 있다. 최근에는 슬라이드형 핸드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면적이 비교적 큰 액정표시패널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소형 표시 장치가 TV 등을 시청할 수 있는 장치로도 발전할 것이기 때문에, 액정표시패널을 최대한 크게 제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시 면적이 큰 액정표시패널을 제조하는 경우, 액정표시패널을 고정하는 몰드(mold)나 섀시(chassis)의 크기를 더욱 줄여야 한다. 이에 맞추어 몰드를 제거하고 섀시로 가이드하는 경우, 외부 충격시 유리로 된 액정표시패널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섀시에 후크(hook)를 형성하지 않고, 테이프로 몰드와 부착하여 섀시 두께 만큼 액정표시패널의 전체 크기를 줄이는 방법도 있으나 생산성이 떨어지고, 액정표시패널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표시 면적을 효율적으로 확대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패널 유닛, 패널 유닛을 수납하는 제1 고정 부재, 및 제1 고정 부재의 외면을 감싸면서 제1 고정 부재와 결합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의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후크가 제2 고정 부재에 형성된 홀더에 결합된다.
제1 고정 부재는 바닥부의 가장자리 일부를 둘러싸는 패널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패널 가이드부 사이에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의 패널 가이드부에 형성된 홈에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 부재의 홀더는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는 제2 고정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홈에 삽입된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의 높이는 0.4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는, 패널 유닛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연장면과 이격될 수 있다.
패널 가이드부의 외면에 또다른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는 패널 유닛과 이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와 패널 유닛의 이격 거리는 0.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 유닛은 2개 이상일 수 있다.
패널 유닛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널 유닛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핸드폰(celluar phone)용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분해하여 나타낸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패널 유닛 어셈블리(panel unit assembly)(3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70)를 포함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유닛 어셈블리(30)는 화상을 표시하는 패널 유닛(20), 집적회로칩(integrated circuit chip, IC chip)(620),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350), 및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90) 등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70)는 패널 유닛(20)에 광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백 라이트 어셈블리(70)는, 광학 시트(342), 도광판(341) 및 반사 시트(343), 광원(60), 및 회로기판(61) 등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부재(50) 및 제2 고정 부재(8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패널 유닛 어셈블리(30)와 백라이트 어셈블리(70)를 합체할 수 있다.
도 1에는 패널 유닛(20)으로서 편광판(203a)이 부착된 액정표시패널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액정표시패널 대신에 유기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자체발광형 소자이므로, 광원(60)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집적회로칩(620)의 주위에는 보호막(621)이 도포되어 집적회로칩(620)을 보호한다. 인쇄회로기판(90)은 외부 구동 신호를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50)을 통해 패널 유닛(20)에 전송하여 이를 구동한다. 광원(60)이 실장된 회로기판(61)도 인쇄회로기판(90)에 전기 접속되어 구동 신호를 인가받는다. 도 1에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50)이 끊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연결되어 있다.
패널 유닛(20)은 제1 패널인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01), 제2 패널인 컬러필터패널(203), 및 이들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미도시)을 포함한다. TFT 패널(201)은 컬러필터패널(203)에 대향 배치되는 패널로서 다수의 TFT가 형성되어 있다. TFT 패널(201)은 TFT가 매트릭스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패널로서,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드레인 단자에는 도전성 재질로서 투명한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형성된다.
전술한 패널 유닛(20)의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35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쇄회로기판(90)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면 TFT의 소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따라 TFT는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드레인 단자로 출력된다. 집적회로칩(620)은 TFT 패널(201)상에 실장되어 패널 유닛(20)을 제어한다. 집적회로칩(620)은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데이터 구동 신호 및 게이트 구동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켜서, 게이트 구동 신호 및 데이터 구동 신호를 패널 유닛(20)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각각 인가한다.
한편, TFT 패널(201)에 대향하여 그 위에 컬러필터패널(203)이 배치되어 있다. 컬러필터패널(203)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 화소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으로, 전면에 ITO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TFT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면, 화소 전극과 컬러 필터 기판의 공통 전극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TFT 패널(201)과 컬러필터패널(203)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소를 얻게 된다. 편광판(203a)은 패널 유닛(20)을 통과하는 광을 편광시킨다.
패널 유닛 어셈블리(30)의 하부에는 패널 유닛(20)에 균일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70)가 구비되어 있다. 회로기판(61)에 전기 접속된 광원(60)( 점선 도시)은 제1 고정 부재(50)에 수납된다. 도 1에는 광원(60)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원(6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도광판(341)을 거치면서 가이드된다. 광의 일부는 반사 시트(343)에 의해 반사되어 패널 유닛(20)으로 향하므로 광손실이 최소화된다. 가이드된 광은 광학 시트(342)를 거치면서 휘도가 향상되어 패널 유닛(20)에 공급된다.
패널 유닛(20), 광학 시트(342), 도광판(341), 반사 시트(343) 및 광원(60)을 제1 고정 부재(50)에 수납한다. 제2 고정 부재(80)는 제1 고정 부재(50)의 외면을 감싸면서 제1 고정 부재(50)와 결합한다. 제1 고정 부재(50)는 복잡한 형상을 가지므로 사출 성형한 몰드 프레임(mold frame)을 사용할 수 있고, 제2 고정 부재(80)는 sus(stainless use steel,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금속판을 가공한 섀시(chassis)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단지 제1 고정 부재 및 제2 고정 부재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른 소재를사용할 수도 있다.
제1 고정 부재(50)의 바닥부(501)에는 반사 시트(343)가 인접한다. 후크(hook)(5011)는 제1 고정 부재(50)의 바닥부(501)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부(501)와 동일한 방향(X축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다.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5011)는 제2 고정 부재(80)에 형성된 홀더(holder)(80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 부재(50)를 제2 고정 부재(8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50)는 바닥부(501)의 가장자리 일부를 둘러싸는 패널 가이드부(503)를 더 포함한다. 패널 가이드부(503)는 패널 유닛(20)을 안내하여 제1 고정 부재(50)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패널 가이드부(503) 하부에는 홈(503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 부재(80)의 측면부(803)는 홈(5033)에 결합되어 제2 고정 부재(80)가 제1 고정 부재(5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패널 가이드부(503)의 측면에는 또다른 후크(5031)가 형성되어 있다. 또다른 후크(5031)는 거래처(customer)에서 표시 장치(100)를 다른 제품으로 조립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때로는 패널 유닛을 덮는 섀시를 준비하여 섀시를 또다른 후크(5031)를 사용해 고정할 수도 있다.
제2 고정 부재(80)의 측면부(803)는 제2 고정 부재(80)를 절곡하여 형성한다. 굽힘 가공 등을 통하여 제2 고정 부재(80)를 형성하므로, 벤딩(bending)에 따라 강도가 향상된다. 홀더(801)는 측면부(803)에 같이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100)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 부재(50) 및 제2 고정 부재(8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패널 유닛(20)의 표시 면적을 비교적 크게 넓힌다.
제2 고정 부재(80)가 제1 고정 부재(50)의 패널 가이드부(503) 하부에 형성된 홈(5033)(도 1에 도시)에 삽입되어 제2 고정 부재(80)가 제1 고정 부재(5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지 않는다. 즉, X축 방향으로 제2 고정 부재(80)가 제1 고정 부재(50)의 연장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동일선상에 위치하므로, 제1 고정 부재(50) 및 제2 고정 부재(8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유닛(20)의 표시 면적을 좀더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부재(80)의 홀더(801)에 결합되는 제1 고정 부재(50)의 후크(5011)는 제1 고정 부재(50)의 패널 가이드부(503)에 형성되지 않는다. 만약 패널 가이드부(503)에 후크가 형성되면, X축 방향으로 제1 고정 부재(50)가 지나치게 뻗어서 패널 유닛(20)의 표시 면적 확대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 고정 부재(50)의 바닥부(501)의 가장자리로부터 패널 가이드부(503)를 형성하지 않고 후크(5011)를 바로 형성한다. 후크(5011)는 패널 가이드부(503)의 사이에 위치하여 패널 가이드부(503)와는 별개로 형성된다. 제1 고정 부재(50)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측면에 패널 가이드부(503)와 후크(5011)가 혼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고정 부재(50)의 측면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패널 유닛(20)의 표시 면적을 최대한 확대할 수 있다.
도 2의 확대원에는 C 지점에서 화살표 방향(Z축 방향)을 따라 표시 장치(100)를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의 확대원에는 후크(5011) 부분이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도 2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5011)는 제1 고정 부재(50)의 바닥부에 바로 이어서 형성되므로, 외측으로 그리 많이 돌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홀더(801)와의 컴팩트(compact)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도 3)와 도 2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 면도(도 4)를 통하여 제1 고정 부재(50), 제2 고정 부재(80) 및 패널 유닛(20)간의 관계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는 제1 고정 부재(50)의 후크(5011)를 중심으로 하여 표시 장치를 자른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홀더(801)는 제1 고정 부재(50)의 바닥부(501)에 이어서 연장된 후크(5011)와 결합된다. 홀더(801)가 금속 소재인 경우, 패널 유닛(20)과 접촉시 스크래치가 발생하므로 패널 유닛(20)이 손상되기 쉽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홀더(801)와 패널 유닛(20)을 이격시킨다.
여기서 홀더(801)와 패널 유닛(20)과의 이격 거리(h1)는 0.2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거리(h1)가 0.2mm보다 작은 경우, 외부 충격시 홀더(801)가 패널 유닛(20)에 닿아서 패널 유닛(20)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이격 거리(h1)는 홀더(801)의 제작상의 공차를 감안하여 2.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는 제1 고정 부재(50)의 홈(5011)를 중심으로 하여 표시 장치를 자른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제1 고정 부재(50)의 패널 가이드부(503)에 형성된 홈(5033)에 제2 고정 부재(80)의 측면부(803)가 결합된다. 제2 고정 부재(80)가 제1 고정 부재(50)의 외면을 감싸고 있으므로,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는 데 있어서 제2 고정 부재(80)의 역할이 중요하다. 따라서 측면부(803)의 높이(h2)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고정 부재(50)와 제2 고정 부재(8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홈(5033)에 삽입된 측면부(803)의 높이(h2)는 0.4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803)의 높이(h2)가 0.4mm 미만인 경우, 제1 고정 부재(50)와 제2 고정 부재(8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측면부(803)의 높이는 TFT 패널(201)의 편광판(201a)보다 높지 않도록 1.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유닛(20)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연장면을 P라고 한다. 여기서, 제2 고정 부재(80)의 측면부(803)가 연장면(P)와 이격되도록 하여 제2 고정 부재(80)의 측면부(803)의 높이를 최소화한다. 그러므로 제2 고정 부재(80)의 측면부(803)를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50)의 홈(5033)이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얇은 두께를 가진 패널 가이드부(503)에 형성되는 홈(5033)의 점유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홈(5033)의 점유 면적이 작아서 패널 가이드부(503)를 더 얇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패널 가이드부(503)를 사출하기가 용이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를 분해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는 2개의 패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와 그 근본 구조가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표시 장치(200)는 패널 유닛을 2개 포함하며, 주로 폴더형 핸 드폰의 전면 표시창 및 후면 표시창으로 사용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이에따라 패널 유닛의 표시 면적을 최대화하여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표시 패널을 2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을 2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패널 유닛은 주 패널 유닛(20) 및 부 패널 유닛(30)을 포함한다. 부 패널 유닛(30)의 구조는 주 패널 유닛(2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부 패널 유닛(30)은 제2 고정 부재(80)에 형성된 개구부(805)를 통하여 광원(60)으로부터 광을 공급받는다. 반사 시트(343)를 통해 광의 투과 및 반사가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광원(6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반사 시트(343)에서 일부 투과되어 또다른 광학 시트(340)로 공급된다. 광학 시트(340)를 통하여 휘도가 향상된 광이 부 패널 유닛(30)에 공급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부 패널 유닛(30)은 인쇄회로기판(90)과 연결되어 구동 신호를 공급받는다. 부 패널 유닛(30)은 화상 표시를 위하여 인쇄회로기판(90)에 형성된 개구부(90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고정 부재(50) 및 제2 고정 부재(80)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주 패널 유닛(20)의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주 패널 유닛(20)이 표시 면적을 크게 확대하면서도 그 고정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해 주 패널 유닛(20)이 손상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고정 부재의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후크가 제2 고정 부재의 홀더에 결합되도록 하여, 표시 장치를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패널 가이드부 사이에 후크가 형성되므로, 제1 고정 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패널 유닛의 표시 면적을 효율적으로 늘릴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의 패널 가이드부에 형성된 홈에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를 결합하여 제2 고정 부재로 인해 그 면적이 더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의 홀더는 그 측면부에 형성되므로, 측면부 형성시 홀더를 같이 형성하여 제조가 용이하다.
제1 고정 부재의 패널 가이드의 홈에 삽입된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의 높이는 0.4mm 이상이므로,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는 패널 유닛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연장면과 이격되도록 하여,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의 높이를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홈을 형성해야 하는 제1 고정 부재의 사출이 용이하다.
패널 가이드부의 외면에 또다른 후크를 형성하여 표시 장치를 다른 제품에 수납시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의 홀더는 패널 유닛과 이격 설치되므로, 패널 유닛과의 접촉으로 패널 유닛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적다.
홀더와 패널 유닛의 이격 거리는 0.2mm 이상이므로, 패널 유닛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패널 유닛은 2개 이상이므로, 폴더형 핸드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패널 유닛은 액정표시패널이므로,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패널 유닛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므로, 액정표시장치에 적합하다.
표시 장치는 핸드폰용이므로, 소형 표시 장치에 사용하면서도 표시 면적을 극대화하여 많은 양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14)

  1. 화상을 표시하는 패널 유닛(panel unit),
    상기 패널 유닛을 수납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용 후크(hook) 및 복수의 패널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결합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용 홀더(holder) 및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상기 복수의 패널 가이드부 각각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상기 결합용 후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결합용 홀더와 결합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의 상기 홈은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에 형성된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홈에 삽입된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의 높이는 0.4mm 이상인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제2 고정 부재의 측면부는, 상기 패널 유닛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연장면과 이격된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패널 가이드부의 외면에 또다른 후크가 형성된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패널 유닛과 이격 설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홀더와 상기 패널 유닛의 이격 거리는 0.2mm 이상인 표시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패널 유닛은 2개 이상인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패널 유닛은 액정표시패널인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패널 유닛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핸드폰(celluar phone)용인 표시 장치.
KR1020050020491A 2005-03-11 2005-03-11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KR10127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491A KR101272327B1 (ko) 2005-03-11 2005-03-11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TW095105747A TWI395995B (zh) 2005-03-11 2006-02-21 具有一增大之顯示區域的顯示裝置
US11/359,211 US8446540B2 (en) 2005-03-11 2006-02-21 Display device having an enlarged display area
JP2006064464A JP5099536B2 (ja) 2005-03-11 2006-03-09 表示装置
CNB2006100678814A CN100545708C (zh) 2005-03-11 2006-03-13 具有放大显示区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491A KR101272327B1 (ko) 2005-03-11 2005-03-11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308A KR20060098308A (ko) 2006-09-18
KR101272327B1 true KR101272327B1 (ko) 2013-06-10

Family

ID=3697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491A KR101272327B1 (ko) 2005-03-11 2005-03-11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46540B2 (ko)
JP (1) JP5099536B2 (ko)
KR (1) KR101272327B1 (ko)
CN (1) CN100545708C (ko)
TW (1) TWI3959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3556A (ja) * 2005-12-09 2007-06-28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4894414B2 (ja) * 2006-08-25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照明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TWI344571B (en) 2006-12-06 2011-07-01 Au Op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module
JP4910672B2 (ja) * 2006-12-12 2012-04-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46976B1 (ko) * 2007-01-09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918063B1 (ko) * 2008-01-16 2009-09-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TWI402575B (zh) * 2009-12-18 2013-07-21 Au Optronics Corp 具片狀光學元件定位效果之背光模組及顯示裝置
TWI671721B (zh) 2014-09-15 2019-09-11 比利時商巴而可公司 顯示磚、用於顯示磚的框架及其製作方法
CN110392222B (zh) * 2018-04-23 2022-05-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板及电视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394A (ja) * 2000-07-28 2002-02-06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KR20040082316A (ko) * 2003-03-18 2004-09-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표시장치
KR20040086188A (ko) * 2003-03-31 2004-10-08 후지쯔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97092A (ko) * 2004-10-26 2004-11-17 주식회사 덕우전자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751A (en) 1992-10-14 1995-06-06 Apple Computer, Inc. Liquid crystal display assembly employing front bezel, frame holding liquid crystal cell attached to bezel, and light source and back plate attached to bezel
US5640216A (en) * 1994-04-13 1997-06-17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video signal driving circuit mounted on one side and housing
JP4060441B2 (ja) 1998-05-22 2008-03-12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
JP2001249324A (ja) * 2000-03-03 2001-09-1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2182204A (ja) 2000-12-12 2002-06-26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用バックライト
US6900984B2 (en) * 2001-04-24 2005-05-31 Apple Computer, Inc. Computer component protection
JP2003149629A (ja) 2001-06-01 2003-05-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057646A (ja) 2001-08-10 2003-02-2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840235B1 (ko) * 2001-08-29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US6842333B2 (en) * 2001-09-13 2005-01-1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LCD and touch screen
US6976781B2 (en) * 2002-10-25 2005-12-20 Au Optronics Corp. Frame and bezel structure for backlight unit
TW584208U (en) * 2003-02-14 2004-04-1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backlight device thereof
JP4325915B2 (ja) 2003-03-31 2009-09-02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222543B (en) * 2003-09-26 2004-10-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LCM)
JP4639714B2 (ja) * 2004-09-17 2011-02-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この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KR101119200B1 (ko) * 2005-01-11 2012-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샤시,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394A (ja) * 2000-07-28 2002-02-06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KR20040082316A (ko) * 2003-03-18 2004-09-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표시장치
KR20040086188A (ko) * 2003-03-31 2004-10-08 후지쯔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97092A (ko) * 2004-10-26 2004-11-17 주식회사 덕우전자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1595A (zh) 2006-09-13
US20060203141A1 (en) 2006-09-14
JP5099536B2 (ja) 2012-12-19
US8446540B2 (en) 2013-05-21
JP2006251808A (ja) 2006-09-21
KR20060098308A (ko) 2006-09-18
TWI395995B (zh) 2013-05-11
TW200634385A (en) 2006-10-01
CN100545708C (zh)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5220B2 (en) Display device
KR101272327B1 (ko)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KR101386566B1 (ko) 액정표시장치
US752889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KR2005010703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79694A (ko)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보호용 필름 부재 및 이를 이용한평판표시장치
KR10080510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59429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필름
KR10079354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US7751182B2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10066941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3372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79353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86472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96683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4219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2858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66401A (ko) 액정 표시 패널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15909A (ko) 바텀 섀시를 변형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18646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97992A (ko) 휘도를 균일화한 표시 장치
KR2007005051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100930A (ko) 광의 방사 특성을 개선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79707A (ko) 광원의 실장 구조를 개선한 평판표시장치
KR20050106545A (ko) 휘도를 극대화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