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357B1 - 제 1, 제 2 및 제 3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요소 - Google Patents

제 1, 제 2 및 제 3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357B1
KR101254357B1 KR1020077024475A KR20077024475A KR101254357B1 KR 101254357 B1 KR101254357 B1 KR 101254357B1 KR 1020077024475 A KR1020077024475 A KR 1020077024475A KR 20077024475 A KR20077024475 A KR 20077024475A KR 101254357 B1 KR101254357 B1 KR 101254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element
mating member
seal
needle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610A (ko
Inventor
홀리 오글
존 엘 테일러
마크 에이 발드윈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08000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36Protection of cartridges or parts thereof, e.g. tape

Landscapes

  • Ink Jet (AREA)
  • Gasket Seal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밀봉 요소(106)는 탄성중합체 재료(302)를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재료의 외측면(304)은 밀봉 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외부 정합 부재(104)와 함께 적어도 제 1 밀봉부(306, 308)를 형성한다. 탄성중합체 재료의 내측면(320)은 밀봉 요소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제 2 외부 정합 부재(110)와 함께 제 2 밀봉부(324) 및 제 3 밀봉부(322)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제 1, 제 2 및 제 3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요소{SEALING COMPONENT DEFINING FIRST, SECOND, AND THIRD SEALS}
잉크젯 프린터 등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잉크를 매체 상에 토출하여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작업을 한다. 예를 들어, 프린트헤드는 매체를 가로질러 앞뒤로 이동할 수 있으며 매체는 매체를 가로지르는 프린트헤드의 이동에 수직으로 전진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매체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동안에 잉크를 매체 상에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적어도 일부 유형의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는, 전통적으로 잉크젯 프린트헤드와 잉크가 잉크젯 카트리지로 알려진 폐쇄체(enclosure)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카트리지의 잉크는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교체가 필요하기 전까지 전부 소모된다. 따라서, 잉크가 떨어지면 새로운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삽입되어야 한다. 보다 최근에는,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독립적으로 교체 가능한 소모품으로서 잉크 공급부(ink supply)와 분리되었다.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잉크젯 인쇄 장치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직후에 잉크의 공급부가 인쇄 장치 내에 이미 설치된 프린트헤드와 또는 프린트헤드가 설치되기 전에 정합될 수 있다.
잉크가 잉크젯 프린트헤드와 분리된 공급부 내에 수납되는 경우, 프린트헤드와 공급부 사이의 정합 과정에서 유체 누설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 다. 더욱이, 공급부는 그 안에 수납된 잉크가 전부 소모되기 전에 프린트헤드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공급부가 프린트헤드와 최초 정합되기 전은 물론, 공급부가 중간에 제거될 때에도 유체 누설은 없어야 한다.
이하 참조되는 도면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만을 예시하는 것이며,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유체 폐쇄체 내로 삽입된 밀봉 요소와, 밀봉 요소를 통해 폐쇄체에 삽입되고 폐쇄체로부터 제거되는 기본적인 프린트헤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헤드 어댑터가 밀봉 요소를 통해 유체 폐쇄체 내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2c는 도 2a 및 도 2b의 발명과 동일한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공급부 또는 폐쇄체의 도면,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요소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밀봉 요소 내로 삽입되는 정합 부재의 비부가 삽입력(non-additive insertion force)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동일한 본 발명의 실시예 에 따른 밀봉 요소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 내로 삽입되지 않을 때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의 하부면에 대해 가압되는 정합 부재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용 방법의 플로 차트.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며, 이 도면들에는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기재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논리적인 변경, 기계적인 변경, 기타 변경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요소(106)를 통해 유체(108)의 폐쇄체(104)에 삽입되거나 폐쇄체(104)로부터 제거되는 프린트헤드(102)를 도시한다. 프린트헤드(102)는 밀봉 요소(106)를 관통하여 폐쇄체(104) 내에 수납된 유체(108)에 접근할 수 있는 니들(110) 또는 기타 정합 부재를 구비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프린트헤드(102)는 외부 정합 부재, 특히 밀봉 요소(106)와 정합하며 밀봉 요소(106)의 외부에 놓이는 부재이다.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장치에 사용되는 각각의 상이한 색의 잉크에 대한 폐쇄체(104)의 사례의 경우, 프린트헤드(102)는 잉크젯 프린터와 같은 잉크젯 인쇄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폐쇄체(104) 내에 수납된 유체(108)는 잉크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폐쇄체(104)는 잉크 공급부일 수도 있고 또 잉크 공급부의 일부일 수도 있다고 여겨진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특히 도 1a에서 폐쇄체(104)와 밀봉 요소(106)를 둘러싸는 점선(107)은 폐쇄체(104)와, 밀봉 요소(106)와, 잠재적으로 유체(108)를 포함할 수 있는 잉크 공급부를 나타낸다.
또한, 폐쇄체(104)는 일반적으로 정합 부재, 특히 밀봉 요소(106)와 정합하는 부재이다. 밀봉 요소(106)만을 고려할 때, 폐쇄체(104)는 밀봉 요소(106)의 외부에 놓이기 때문에 외부 정합 부재이다. 잉크 공급부의 두 부분으로서 폐쇄체(104)와 함께 밀봉 요소(106)를 고려하면, 폐쇄체(104)는 밀봉 요소(106)를 일부로 하는 동일한 공급부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폐쇄체(104)는 내부 정합 부재이다.
일반적으로, 밀봉 요소(106)는 폐쇄체(104)를 밀봉하여 유체(108)가 누설되거나 새어나오지 못하게 한다. 밀봉 요소(106)는 특히 폐쇄체(104)의 구멍 또는 기타 개구부 내로 삽입된다. 도 1a에서, 프린트헤드(102)의 니들(needle; 110)은 아직 밀봉 요소(106)를 통해 폐쇄체(104) 내로 삽입되지 않았다. 따라서, 밀봉 요소(106)가 도 1a에서 폐쇄체(104)를 밀봉하고, 밀봉 요소(106)는 자체적으로도 밀봉할 수 있어 유체(108)가 누설되거나 새어나오지 못한다. 니들(110)은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내부 채널을 가짐으로써, 니들(110)이 폐쇄체(104)에 삽입될 때 폐쇄체(104)에 수납되어 있는 유체(108)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110)은 중공 니들일 수 있으며, 보다 일반적으로는 정합 부재이다.
도 1b에서, 프린트헤드(102)의 니들(110)은 화살표(122)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06)를 통해 폐쇄체(104)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 있다. 니들(110)이 밀봉 요소(106)를 통해 삽입될 때, 밀봉 요소(106)가 니들(110)을 밀봉하기 때문에 유체(108)는 누설되거나 새어나오지 못한다. 따라서, 도 1b에 있어서, 밀봉 요소(106)에 의해 수행되는 2개의 밀봉 작용이 있는데, 하나는 밀봉 요소(106)가 폐쇄체(104)를 밀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밀봉 요소(106)가 프린트헤드(102)의 니들(110)을 밀봉하는 것이다.
도 1c에서, 프린트헤드(102)의 니들(110)은 밀봉 요소(106)를 통해 폐쇄체(104) 내로 완전히 삽입되었다. 따라서, 이제 프린트헤드(102)는 니들(110)을 통해 폐쇄체(104) 내에 수납된 유체(108)에 접근할 수 있다. 밀봉 요소(106)가 재차 니들(110)과 폐쇄체(104)를 밀봉하기 때문에, 유체(108)는 누설되거나 새어나오지 못한다.
도 1d에서, 프린트헤드(102)의 니들(110)은 화살표(124)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06)를 통해 폐쇄체(104)로부터 제거되는 과정에 있다. 니들(110)이 밀봉 요소(106)를 통해 제거될 때, 밀봉 요소(106)가 여전히 니들(110)을 밀봉하기 때문에 유체(108)는 누설되거나 새어나오지 못한다. 따라서, 도 1d에 있어서, 밀봉 요소(106)에 의해 여전히 수행되는 2개의 밀봉 작용이 있는데, 하나는 밀봉 요소(106)가 폐쇄체(104)를 밀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밀봉 요소(106)가 니들(110)을 밀봉하는 것이다. 도 1d에 도시된 공정을 수행하여 니들(110)이 폐쇄체(104)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후, 폐쇄체(104)는 다시 도 1a에 도시된 상태가 된 다. 따라서, 밀봉 요소(106)는 다시 자체적으로 밀봉되기 때문에, 폐쇄체(104)는 유체(108)의 누설을 방지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프린트헤드 어댑터(201)의 보다 특정한 실시예가 밀봉 요소(106A 및 106B)를 통해 유체(108)의 폐쇄체(104)의 보다 특정한 실시예와 정합하는 것을 도시한다. 궁극적으로 프린트헤드 어댑터(201)는 적절한 튜브 및/또는 하우징을 통해 프린트헤드(102)와 정합되거나 프린트헤드(102)에 결합된다. 2개의 니들(110A, 110B)이 2개의 밀봉 요소(106A, 106B)에 대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체(104)에 수납된 유체(108)는 잉크일 수 있으며, 폐쇄체(104)는 잉크 공급부 또는 잉크 공급부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a에서, 프린트헤드 어댑터(201)는 화살표(112)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06A, 106B)를 통해 폐쇄체(104) 내로 삽입되는 니들(110A, 110B)에 의해 폐쇄체(104)와 정합되는 과정에 있다. 도 2b에서, 프린트헤드 어댑터(201)는 밀봉 요소(106A, 106B)를 통해 폐쇄체(104)에 삽입되어 있는 니들(110A, 110B)에 의해 폐쇄체(104)와 정합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니들(110B)이 폐쇄체(104)로부터 유체(108)를 흡인하는 동안에 상부 니들(110A)은 폐쇄체(104)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2개의 밀봉 요소(106A, 106B)를 구비함으로써 니들(110A, 110B) 모두에 대한 밀봉이 보장된다. 유체(108)가 폐쇄체(104)로부터 흡인되는 동안에 폐쇄체(104)로의 공기의 배출을 허용함으로써, 유체(108)가 폐쇄체(104)로부 터 소모되는 동안에 폐쇄체(104) 내부의 압력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도 2c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폐쇄체(104)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체(104)는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2a 및 도 2b의 유체(108)와 같은 유체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며, 잉크 공급부이거나 잉크 공급부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c는 밀봉 요소(106)가 삽입되는, 폐쇄체(104)의 내측 부분 내에 성곽부(castellation; 252)로서 도시된 특징부를 갖는 폐쇄체(104)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성곽부(252)는 밀봉 요소(106)가 삽입되는 폐쇄체(104)의 내측 부분 둘레에서 연장하는 태브 또는 태브 구성의 홈이나 노치이다.
성곽부(252)에 의해, 밀봉 요소(106)는 성곽부(252)가 없는 것에 비해 더 확실한 방식으로 폐쇄체(104)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밀봉 요소(106)가 폐쇄체(104) 내로 삽입될 때, 공기가 포획될 수 있어 밀봉 요소(106)가 완전하게 안착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요소(106)가 삽입되는 폐쇄체(104)의 내측 부분 둘레에 밀봉 요소(106)가 가압되는 중실의 단차부가 있을 수 있다. 폐쇄체(104) 내로 밀봉 요소(106)를 삽입할 때 공기가 포획될 수 있으며, 이 공기는 중실의 단차부 외에는 빠져 나갈 공간이 없기 때문에, 밀봉 요소(106)는 완전하게 안착되지 못한다.
이에 비해, 성곽부(252)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공기가 성곽부(252)의 노치 또는 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밀봉 요소(106)는 보다 완전하게 안착될 수 있다. 즉, 밀봉 요소(106)의 삽입 동안에 포획되는 모든 공기는 성곽부(252)의 노치 또는 홈 내로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요소(106)는 들어갈 수 있는 한 폐쇄체(104) 내부로 밀어 넣어질 수 있어서 폐쇄체(104) 내에 완전히 안착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요소(106)의 특정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밀봉 요소(106)의 상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반면에, 도 3b는 밀봉 요소(106)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니들(110)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밀봉 요소(106)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d는 니들(110)이 삽입되어 있는 밀봉 요소(106)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밀봉 요소(106)는 고무 등의 탄성중합체 재료(302)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밀봉 요소(106)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c 및 도 3d의 측단면도를 주로 참조하고, 도 3a 및 도 3b의 사시도를 보충적으로 참조한다.
밀봉 요소(106)는 외측면(304)을 구비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체(104)의 구멍 또는 개구부 등의 외부 또는 내부 정합 부재 내로 밀봉 요소(106)를 삽입할 때, 외측면(304)은 정합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즉, 정합 부재는 밀봉 요소(106)와 정합하여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 310)로 지시된 밀봉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한다. 정합 부재의 구멍 또는 개구부와 밀봉 요소(106)가 모두 둥근 형상인 경우, 이들 밀봉부는 환형 밀봉부일 수 있다.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로 지시된 밀봉부는, 밀봉 요소(106)가 삽입되는 정합 부재와 외측면(304)에 의해 형성된 1차 밀봉부이다. 즉, 밀봉 요소(106)의 외측면(304)은, 밀봉 요소(106)가 정합 부재에 삽입될 때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로 지시된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이에 비해,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10)로 지시된 밀봉부는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이하의 두 단락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밀봉 요소(106)가 정합 부재에 삽입될 때 반드시 이 밀봉부가 형성되도록 외측면(304)이 설계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밀봉 요소(106)가 정합 부재에 삽입될 때,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로 지시된 밀봉부가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외측면(304)의 이들 지점에서의 탄성중합체 재료(302)가 압축 영역(312) 내로 밀리거나 가압되기 때문이다. 압축 영역(312)은 외측면(304) 내에 제조되거나 형성된 홈이나 노치 등이기 때문에, 이들 밀봉부가 형성될 때 탄성중합체 재료(302)는 압축 영역(312) 내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영역(314)은 외측면(304)에 의해 형성된 압축 영역일 수 있으며, 이 영역 내로 탄성중합체 재료(302)가 밀리거나 가압되어 도면부호(310)로 지시된 밀봉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영역(314)과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10)로 지시된 구역은 보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차 영역을 구성하며, 이 영역의 치수는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로 지시된 밀봉부의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공차 영역의 치수는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로 지시된 밀봉부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밀봉 요소(106)의 제조 또는 제작 중에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10)로 지시된 밀봉부는 밀봉 요소(106)의 제조에 따라 형성될 수도,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밀봉 요소(106)의 외측면(304)은 비대칭 형상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 는 밀봉 요소(106)를 정합 부재에 삽입할 때 밀봉 요소(106)의 적절한 배향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밀봉 요소(106)가 특정 배향으로 정합 부재에 삽입됨으로써, 화살표(310)로 지시된 밀봉 요소(106)의 부분이 먼저 정합 부재에 삽입되고, 화살표(306)로 지시된 밀봉 요소(106)의 부분이 나중에 정합 부재에 삽입된다. 따라서, 영역(314)은 외측면(304)이 비대칭이 되도록 외측면(304)에 형성된 배향 영역일 수 있어서, 사용자는 밀봉 요소(106)의 적절한 배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의 프린트헤드(102)의 니들(110)과 같은 외부 정합 부재인 다른 정합 부재가, 도 3c의 화살표(316)[및 도 1b의 화살표(122)]로 지시된 바와 같이, 또한 특히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0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밀봉 요소(106)는 내측면(3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에 삽입될 때, 내측면(320)은 정합 부재와 함께, 도 3d에 화살표(322)로 지시된 하나의 밀봉부와 도 3d에 화살표(324)로 지시된 다른 밀봉부인 적어도 두 개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화살표(322, 324)로 지시된 밀봉부들은 정합부재가 밀봉 요소(106)에 삽입되지 않으면 제공되지 않는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에 최초 삽입될 때, 밀봉 요소(106)의 유도 영역(318)이 정합 부재를 밀봉 요소(106) 내로 안내한다. 따라서, 유도 영역(318)은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하향 경사 영역이며,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에 삽입될 때 정합 부재가 접촉하게 되면 이 정합 부재를 밀봉 요소(106)의 더 내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 내로 더 삽입되면, 내측 면(320)은 도 3d에 화살표(324)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정합 부재와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 밀봉부는 내측면(320)과 정합 부재 모두가 둥근 형상인 경우 환형 밀봉부일 수 있다. 정합 부재가 도 3d의 화살표(324, 322) 및 도 3c의 화살표(338)로 지시된 내측면(320)의 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윤활액, 윤활유, 또는 기타 유형의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 내로 더 삽입되면, 슬릿(326)과 만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슬릿(326)은 둥근 니들을 밀봉 요소(106)에 삽입하여 만들어지는 밀봉 요소(106)의 천공부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슬릿(326)은 둥글거나 부분적으로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도 3d에 슬릿(326)이 보다 명료하게 도시될 수 있도록, 도 3d에서 밀봉 요소(106)와 니들(110)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도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간극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정합 부재가 슬릿(326)에 도달하기 전에, 밀봉 요소(106)의 내측면(320)은 도 3c에 화살표(338)로 지시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밀봉부를 형성한다. 즉, 밀봉 요소(106)의 탄성중합체 재료(302)는 슬릿(326)의 양 측면에 충분한 힘을 가하여, 도 3c에 화살표(338)로 지시된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밀봉부는 밀봉 요소(106)의 바닥 측에서 유체가 누설되거나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정합 부재가 슬릿(326)과 만나면, 정합 부재는 밀봉 요소(106)의 다른 측면에 있는 유체에 도달하도록 슬릿(326)을 밀고 지나가서 상기 유체에 접근한다. 밀봉 요소(106)의 내측면(320)은 정합 부재가 슬릿(326)을 통해 밀어 넣어졌을 때 정합 부재와 함께 도 3d에서 화살표(322)로 지시된 다른 밀봉부를 형성한다. 따라 서, 밀봉 요소(106)의 내측면(320)과 정합 부재 사이에는 도 3d에 화살표(324)로 지시된 밀봉부와 도 3d에 화살표(322)로 지시된 밀봉부인 2개의 밀봉부가 형성된다.
밀봉 요소(106)의 내측면(320)과 밀봉 요소(106)에 삽입된 정합 부재 사이에 2개의 밀봉부가 중복되어 형성된다. 한 밀봉부가 작동하지 못할 경우, 다른 밀봉부가 여전히 존재하여 유체가 누설되거나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화살표(322, 324)로 지시된 밀봉부는 내측면(320)의 이들 지점에서의 탄성중합체 재료(302)가 압축 영역(328)으로 밀리거나 가압됨으로써 형성된다. 압축 영역(328)은 내측면(320)으로부터 제거되거나 제조되어 내측면(320)으로 형성된 홈이나 노치 등이기 때문에, 이들 밀봉부가 형성될 때 탄성중합체 재료(302)는 압축 영역(328) 내로 가압될 수 있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 내로 삽입되면, 정합 부재는 밀봉 요소(106)로부터 당겨짐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당겨질 때, 화살표(322)로 지시된 밀봉부가 제일 먼저 해제된다. 그러나, 동시에 도 3c에 화살표(338)로 지시된 내측면(320)에 의한 자체적인 밀봉부가 형성되어 유체는 밀봉 요소(106)의 다른 측면으로 누설되거나 새어나오지 않는다. 슬릿(326)에서 내측면(320)에 의한 이러한 자체적인 밀봉부는, 니들(110)이 슬릿(32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지 않을 때에는 언제든지 형성된다. 따라서, 니들(110)이 슬릿(326)을 지나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된 후에는, 화살표(338)로 지시된 밀봉부가 형성된다. 유사하게, 니들(110)이 슬릿(326)에 도달하기 전까지 밀봉 요 소(106)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화살표(338)로 지시된 밀봉부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니들(110)이 밀봉 요소(106) 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밀봉부가 형성된다.
화살표(324)로 지시된 내측면(320)에서의 탄성중합체 재료(302)의 돌출부는,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될 때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 이외의 추가의 기능을 발휘한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당겨질 때, 정합 부재의 측면에 잔류하는 잉크와 같은 임의의 유체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닦여지거나 깨끗이 된다. 즉, 화살표(324)는,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될 때 정합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정하는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와이핑(wiping) 영역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정합 부재가 화살표(324)로 지지된 돌출부를 떠나도록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충분히 제거되면, 정합 부재와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화살표(324)로 지시된 밀봉부가 해제된다. 따라서,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될 때, 제일 먼저 화살표(322)로 지시된 정합 부재와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가 해제된 다음에, 화살표(324)로 지시된 정합 부재와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가 해제된다. 이러한 밀봉부의 순서는 밀봉 요소(106)의 삽입에 의한 밀봉부의 형성 시에는 역전되는데, 제일 먼저 화살표(324)로 지시된 밀봉부가 정합 부재와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다음에, 화살표(322)로 지시된 밀봉부가 정합 부재와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예시적인 밀봉 요소(106) 내로 외부 부재인 니들을 삽입하는데 필요한 비교적 낮은 삽입력을 나타내는 그래프(400)이다. 그래프(400)는 x축(402) 상의 니들이 밀봉 요소(106) 내로 삽입되는 상대 거리의 함수로서 y축(404) 상의 니들의 삽입에 필요한 힘을 도시한다. 선(406)은, 니들이 윤활액의 도움으로 화살표(316)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06)의 적절한 단부에서 삽입되어 화살표(324)와 화살표(322)로 지시된 내측면(320)의 영역을 지나서 밀어 넣어지는 경우의 힘-거리 플롯(plot)을 도시한다. 이에 비해, 선(408)은 니들이 화살표(316)와 반대인 밀봉 요소(106)의 잘못된 대향 단부에서 삽입되어 니들이 화살표(324)로 지시된 영역보다 먼저 슬릿(326)과 만나는 경우의 힘-거리 플롯을 도시한다.
선(406)은, 니들을 밀어 넣어 화살표(324)로 지시된 내측면(320)의 영역을 먼저 지나는데 필요한 힘이 니들을 슬릿(326)을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후속의 힘에 부가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선(406)에서의 첫 번째 봉우리는 니들을 화살표(324)로 지시된 내측면(320)의 영역을 지나서 밀어 넣는데 필요한 힘이다. 이 영역을 지나게 되면, 니들을 밀봉 요소(106)로 더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은 슬릿(326)을 만나기 전까지 감소된다. 선(406)에서의 두 번째 봉우리는 니들을 슬릿(326)을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힘이다. 요구되는 힘은 니들이 화살표(324)로 지시된 내측면(320)의 영역을 지난 후 슬릿(326)과 만나서 다시 증가하기 전까지 감소되기 때문에, 화살표(324)로 지시된 영역(320)을 통과하도록 니들을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은 슬릿(326)을 통과하도록 니들을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에 부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선(408)은 먼저 슬릿(326)을 통과하도록 니들을 밀어 넣는데 필요한 힘이 화살표(324)로 지시된 내측면(320)의 영역을 통과하도록 니들을 밀어 넣는데 필요한 후속적인 힘에 부가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일단 슬릿(326)이 니들과 만나게 되면, 화살표(324)로 지시된 내측면(320)의 영역을 지나서 밀봉 요소(106)를 통과하도록 니들을 계속해서 밀어 넣는데 필요한 힘은 계속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이들 두 힘은 더해진다. 밀봉 요소(106)를 통과하도록 니들을 완전히 밀어 넣는데 드는 전체 힘이 적고 어떤 때라도 밀봉 요소(106)를 통해 니들을 계속해서 밀어 넣는데 드는 힘이 적기 때문에, 선(406)에서와 같이 힘들이 합해지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요소(106)의 특정 실시를 도시한다. 도 5a는 밀봉 요소(106)의 상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반면에, 도 5b는 밀봉 요소(106)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c는 밀봉 요소(106)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밀봉 요소(106)는 고무 등의 탄성중합체 재료(302)로 제조된다.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106)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5c의 측단면도를 주로 참조하고, 도 5a 및 도 5b의 사시도를 보충적으로 참조한다.
밀봉 요소(106)는 외측면(304)을 구비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체(104)의 구멍 또는 개구부 등의 외부 또는 내부 정합 부재 내로 밀봉 요소(106)를 삽입할 때, 외측면(304)은 정합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즉, 정합 부재는 밀봉 요소(106)와 정합하여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로 지시된 밀봉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한다. 정합 부재의 구멍 또는 개구부와 밀봉 요소(106)가 모두 둥근 형상인 경우, 이들 밀봉부는 환형 밀봉부일 수 있다.
밀봉 요소(106)가 정합 부재에 삽입될 때,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로 지시된 밀봉부가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외측면(304)의 이들 지점에서 탄성중합체 재료(302)가 압축 영역(312) 내로 밀리거나 가압되기 때문이다. 압축 영역(312)은 외측면(304) 내에 제조되거나 형성된 홈이나 노치 등이기 때문에, 이들 밀봉부가 형성될 때 탄성중합체 재료(302)는 압축 영역(312) 내로 가압될 수 있다.
영역(314)은 제조 공차 영역이며, 이 영역의 치수는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로 지시된 밀봉부의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공차 영역의 치수는 도면부호 또는 화살표(306, 308)로 지시된 밀봉부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밀봉 요소(106)의 제조 또는 제작 중에 변경될 수 있다.
밀봉 요소(106)의 외측면(304)은 비대칭 형상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밀봉 요소(106)를 정합 부재에 삽입할 때 밀봉 요소(106)의 적절한 배향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106)가 먼저 정합 부재의 바닥 단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영역(314)은 외측면(304)이 비대칭이 되도록 외측면(304)에 형성된 배향 영역일 수 있어서, 사용자는 밀봉 요소(106)의 적절한 배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106)의 외측면(304)은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밀봉 요소(106)의 외측면(304)과 비교할 때 위쪽이 아래로 배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외측면(304)의 영역(314)은 도 5a, 도 5b 및 도 5c에서는 밀봉 요소(106)의 일 단부 측으로 배치되는 반면에,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에서는 외측면(304)의 영역(314)이 밀봉 요소(106)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의 프린트헤드(102)의 니들(110)과 같은 외부 정합 부재인 다른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밀봉 요소(106)는 내측면(320)을 구비한다. 내측면(320)은 정합 부재와 함께, 화살표(322)로 지시된 하나의 밀봉부와 화살표(324)로 지시된 다른 밀봉부인 두 개의 밀봉부를 형성한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에 최초 삽입될 때, 밀봉 요소(106)의 유도 영역(318)이 정합 부재를 밀봉 요소(106) 내로 안내한다. 따라서, 유도 영역은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하향 경사 영역이며,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에 삽입될 때 정합 부재가 접촉하게 되면 이 정합 부재를 밀봉 요소(106)의 더 내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정합 부재가 화살표(324)로 지시된 내측면(320)의 영역을 통과할 때, 내측면(320)은 이 영역에서 정합 부재와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 밀봉부는 내측면(320)과 정합 부재 모두가 둥근 형상인 경우 환형 밀봉부일 수 있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 내로 더 삽입되면, 화살표(322)로 지시된 내측면(320)의 영역을 통과한다. 이 영역에서 내측면(320)은 정합 부재와 다른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 밀봉부도 내측면(320)과 정합 부재 모두가 둥근 형상인 경우 환형 밀봉부일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요소(106)의 내측면(320)과 정합 부재 사이에는 화살표(324)로 지시된 밀봉부와 화살표(322)로 지시된 밀봉부인 2개의 밀봉부가 형성된다.
밀봉 요소(106)의 내측면(320)과 밀봉 요소(106)에 삽입된 정합 부재 사이에 2개의 밀봉부가 중복되어 형성된다. 한 밀봉부가 작동하지 못할 경우, 다른 밀봉부가 여전히 존재하여 유체가 누설되거나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화살표(322, 324)로 지시된 밀봉부는 내측면(320)의 이들 지점에서의 탄성중합체 재료(302)가 압축 영역(328)으로 밀리거나 가압됨으로써 형성된다. 압축 영역(328)은 내측면(320)으로부터 제거되거나 제조되어 내측면(320)으로 형성된 홈이나 노치 등이기 때문에, 이들 밀봉부가 형성될 때 탄성중합체 재료(302)는 압축 영역(328) 내로 가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살표(322, 324)로 지시된 밀봉부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 내로 삽입되면, 정합 부재는 밀봉 요소(106)로부터 당겨짐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당겨질 때, 화살표(322)로 지시된 밀봉부가 제일 먼저 해제된다. 그 다음에,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더 당겨지면, 화살표(324)로 지시된 밀봉부가 해제된다. 이러한 밀봉부의 순서는 밀봉 요소(106)의 삽입에 의한 밀봉부의 형성 시에는 역전되는데, 제일 먼저 화살표(324)로 지시된 밀봉부가 정합 부재와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다음에, 화살표(322)로 지시된 밀봉부가 정합 부재와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더 당겨지면, 정합 부재는 화살표(325)로 지시된 내측면(320)에서 탄성중합체 재료(302)의 돌출부를 통과한 다.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당겨질 때, 정합 부재의 측면에 잔류하는 잉크와 같은 임의의 유체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닦여지거나 깨끗이 된다. 즉, 화살표(325)는,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될 때 정합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정하는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와이핑 영역을 나타낸다.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106)는, 니들과 같은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되거나 밀봉 요소(106)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자체 밀봉을 이루지 않는다. 이것이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밀봉 요소(106)와의 차이점이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밀봉 요소(106)는 자체 밀봉 성능을 특징으로 하는데, 밀봉 요소(106)의 슬릿(326)은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되거나 밀봉 요소(106)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자체적으로 밀봉부를 형성한다. 그러한 밀봉 요소(106)의 밀봉은,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되거나 밀봉 요소(106)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유체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누설되거나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프링 부하식 볼(spring-loaded ball)과 같은 외부 정합 부재인 (제 3의) 부재가 화살표(332)로 지시된 바와 같이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의 외측 하부면(330)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하부면(330)은, 니들과 같은 다른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되거나 밀봉 요소(106)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볼과 같은 내부 정합 부재와 함께 밀봉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정합 부재는 특히 볼인 경우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반면에, 밀봉 요 소(106)에 삽입되는 정합 부재는 특히 니들인 경우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때문에, 이들 두 정합 부재간의 구별은 용이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두 정합 부재 모두 여전히 정합 부재이며, 볼과 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니들이 밀봉 요소(106)에 삽입되기 전에, 볼과 외측 하부면(330)이 화살표(332)로 지시된 밀봉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체는 밀봉 요소(106)로부터 누설되지 못한다. 니들이 밀봉 요소(106)에 삽입될 때, 밀봉 요소(106)가 삽입되어 있는 공급부 또는 폐쇄체 내로 니들이 볼을 하향으로 밀어 낸다. 그러므로, 니들은 유체에 접근할 수 있다. 니들이 다시 제거될 때, 스프링 부하식 속성에 의해 볼이 다시 외측 하부면(330)을 가압하여 화살표(332)로 지시된 밀봉부를 다시 형성하기 때문에, 유체는 밀봉 요소(106)로부터 누설되지 못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106)에는 현저한 2가지 다른 특징이 있다. 첫 번째는, 도면부호(329)로 지시된, 밀봉 요소(106)의 내측면(320) 내부의 약간의 만입부 또는 노치나 홈이 그것이다. 이 만입부는, 화살표(332)로 지시된 바와 같은 볼과 외측 하부면(330)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의 기능과, 화살표(322, 324)로 지시된 바와 같은 니들과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의 기능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리는, 니들에 대하여 탄성중합체 재료(302)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부가 볼에 대하여 탄성중합체 재료(302)에 의해 제공되는 밀봉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니들이 밀봉 요소(106)에 삽입될 때, 이러한 약간의 만입부는 볼과의 밀봉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탄성중합체 재료(302)의 변형이나 압축을 완 전히 제거하지는 못할지라도 적어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즉, 탄성중합체 재료(302)가 볼과의 밀봉부를 변형시켜 악영향을 줄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결국, 도면부호(329)로 지시된 만입부가 존재함으로 인해, 니들의 삽입 중에 볼과의 밀봉부에서 누설이 일어날 가능성이 감소된다. 니들과의 밀봉부가 2개 존재함으로써 압축 영역(328)이 이들 두 밀봉부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한 탄성중합체 재료(302)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이나 압축이 더욱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두 번째는, 화살표(322, 324)로 지시된 니들과의 밀봉부로부터 밀봉 요소(106)의 상부를 분리시키는 노치 또는 홈(321)이 그것이다. 이 노치(321)는 내측면(320) 내에 화살표(325)로 지시된 와이핑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더욱이, 노치(321)는 화살표(322, 324)로 지시된 밀봉부를 밀봉 요소(106)의 상부로부터 격리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밀봉 요소(106)의 상부를 눌러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밀봉 요소(106)의 상부에 대한 임의의 불규칙한 압력은, 화살표(322, 324)로 지시된 밀봉부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탄성중합체 재료(302)의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요소(106)의 외측 하부면(330)을 가압하는 내부 정합 부재(601)의 특정 실시예이다. 정합 부재(601)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볼(602)과 스프링(604)을 포함한다. 볼(602)은 스프링(604)과의 결합에 의해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06)는 폐쇄체(104) 내에 삽입되어 있어서, 밀봉 요소(106)의 외측면(304)이 폐쇄체(104)와 밀봉부를 형성하여 유체는 외측면(304)을 따라서 밀봉 요소(106) 주위로 누설될 수 없다.
니들과 같은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되었거나 밀봉 요소(106)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볼(602)은 스프링(604)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밀봉 요소(106)의 외측 하부면(330)을 가압한다. 따라서, 외측 하부면(330)이 정합 부재(601), 특히 볼(602)과 함께 밀봉부를 형성하여, 유체는 내측면(320)을 따라 밀봉 요소(106)를 통해 누설되거나 새어나오지 못한다. 니들 또는 기타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에 삽입될 때, 볼(602)을 아래로 가압한다. 따라서, 정합 부재(601)와 외측 하부면(330)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는 해제되고, 니들 또는 기타 정합 부재는 유체에 접근할 수 있다. 즉, 니들이 볼(602)을 가압해서 떨어뜨려 유체에 접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니들과 내측면(320)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로 인해, 유체는 상기 니들 또는 기타 정합 부재 주위에서 내측면(320)을 따라 누설되거나 새어나오지 못한다.
니들 또는 기타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106)로부터 제거되면, 스프링(604)이 볼(602)을 외측 하부면(330)으로 가압하여, 정합 부재(601)와 외측 하부면에 의해 다시 밀봉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체가 밀봉 요소(106)의 내측면(320)을 따라서 밀봉 요소(106)를 통해 누설되거나 새어나오는 순간이 없을 수 있다. 어떤 시간이라도, 내측면(320)이 니들과 하나 이상의 밀봉부를 형성하고 있거나, 외측 하부면(330)이 정합 부재(601)와 밀봉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700)을 도시한다. 방법(700)은 전술한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밀봉 요소에 대해 실시될 수도 있고, 전술한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에 대해 실시될 수도 있다. 먼저, 밀봉 요소는 밀봉 요소의 배향 영역에 기초하여 폐쇄체의 개구부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배향된다(702). 그 다음, 밀봉 요소는 적절하게 배향되었으므로 폐쇄체의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어 바른 방향을 위로 하여 삽입된다(704). 밀봉 요소를 폐쇄체 내로 삽입함으로써 밀봉 요소의 탄성중합체 재료가 밀봉 요소의 외측면의 압축 영역 내로 압축되어(706), 외측면이 폐쇄체의 개구부에서 폐쇄체와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를 형성한다(708).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밀봉 요소가 폐쇄체에 삽입되기 전이나 삽입 후에 폐쇄체에 잉크와 같은 유체가 채워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밀봉 요소가 폐쇄체에 삽입된 후에 유체가 폐쇄체에 채워진다.
다음에, 니들과 같은 외부 정합 부재가 밀봉 요소를 통해 폐쇄체 내로 삽입된다(710). 밀봉 요소의 유도 영역이 폐쇄체 내로의 니들의 삽입을 안내할 수도 있다(712). 밀봉 요소 내로 니들을 삽입함으로써 밀봉 요소의 탄성중합체 재료가 밀봉 요소의 내측면의 압축 영역 내로 압축된다(714). 그 결과, 내측면은 니들이 밀봉 요소 내로 삽입될 때 연속적으로 니들과 적어도 2개의 밀봉부를 형성한다(716). 또한, 밀봉 요소가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요소 내로 니들을 삽입하면, 니들이 볼을 밀봉 요소의 외측 하부면으로부터 밀어낸다(718).
어느 시점에서, 니들은 폐쇄체로부터 제거된다(720). 예를 들어, 니들은 폐쇄체에 유체를 채우는데 이용되거나, 폐쇄체로부터 유체를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어서, 그러한 공정이 완료되면 니들은 제거된다. 밀봉 요소가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의 밀봉 요소인 일 실시예에서는, 니들을 제거하면 밀봉 요소의 내측면이 슬릿을 통해 자체적으로 밀봉부를 형성한다(722). 밀봉 요소가 도 5a, 도 5b 및 도 5c의 밀봉 요소인 다른 실시예에서는, 니들을 제거하면 볼이 밀봉 요소의 외측 하부면을 가압하여(724), 외측 하부면은 볼과 함께 밀봉부를 형성한다(726). 마지막으로, 니들이 밀봉 요소를 통해 폐쇄체로부터 제거될 때, 밀봉 요소의 와이핑 영역이 니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정한다(728).
비록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 도시된 특정 실시예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구성으로 치환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잉크젯 프린트 헤드 또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부품과 정합되는 잉크 공급부를 위한 밀봉 요소에 대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잉크젯 인쇄 장치 이외의 분야에 대하여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의 어떠한 개량례나 변형례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0)

  1. 밀봉 요소(106)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재료(302)와,
    상기 밀봉 요소가 제 1 외부 정합 부재(104)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 1 외부 정합 부재(104)와 함께 제 1 환형 밀봉부(306) 및 제 2 환형 밀봉부(308)를 형성하는,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의 외측면(304)과,
    제 2 외부 정합 부재(110)가 상기 밀봉 요소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 2 외부 정합 부재(110)와 함께 제 3 밀봉부(324) 및 제 4 밀봉부(322)를 형성하는,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의 내측면(32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의 상기 외측면은 압축 영역(312)을 더 형성하며, 상기 밀봉 요소가 상기 제 1 외부 정합 부재에 삽입될 때 상기 압축 영역 내로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가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 영역은 상기 외측면(304) 내에서 상기 제 1 환형 밀봉부(306)와 제 2 환형 밀봉부(308) 사이에 형성된 홈인
    밀봉 요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의 상기 외측면은, 상기 밀봉 요소를 적절하게 배향시키도록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는 배향 영역(314)을 더 형성하며, 이에 의해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의 상기 외측면이 비대칭 형상을 갖는
    밀봉 요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 2 외부 정합 부재가 상기 밀봉 요소에 삽입될 때 상기 제 2 외부 정합 부재를 안내하는 유도 영역(318)을 더 형성하는
    밀봉 요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상기 제 2 외부 정합 부재가 상기 밀봉 요소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제 2 외부 정합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정하는 와이핑 영역(324, 325)을 더 형성하는
    밀봉 요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의 동일한 부분에 와이핑 영역과 제 3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요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압축 영역(328)을 더 형성하며, 상기 제 2 외부 정합 부재가 상기 밀봉 요소에 삽입될 때 상기 압축 영역 내로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가 압축될 수 있는
    밀봉 요소.
  8.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면(3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면은 이 하부면에 대해 가압될 수 있는 제 3 외부 정합 부재(602)와 함께 제 5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요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밀봉부는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 내에서 상기 내측면에 의해 슬릿(326)으로서 형성되는
    밀봉 요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 2 외부 정합 부재가 상기 밀봉 요소에 삽입되기 전이나 상기 밀봉 요소로부터 제거된 후에 자체적으로 제 5 밀봉부(338)를 더 형성하는
    밀봉 요소.
KR1020077024475A 2005-04-27 2006-04-26 제 1, 제 2 및 제 3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요소 KR101254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5,586 2005-04-27
US11/115,586 US7533976B2 (en) 2005-04-27 2005-04-27 Sealing component defining first, second, and third seals
PCT/US2006/016288 WO2006116698A2 (en) 2005-04-27 2006-04-26 Sealing component defining first, second, and third se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10A KR20080000610A (ko) 2008-01-02
KR101254357B1 true KR101254357B1 (ko) 2013-04-12

Family

ID=3695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475A KR101254357B1 (ko) 2005-04-27 2006-04-26 제 1, 제 2 및 제 3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요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533976B2 (ko)
EP (1) EP1874548B1 (ko)
JP (1) JP5064381B2 (ko)
KR (1) KR101254357B1 (ko)
CN (1) CN101166629B (ko)
AR (1) AR053368A1 (ko)
AT (1) ATE554933T1 (ko)
BR (1) BRPI0613206B1 (ko)
CA (1) CA2603739C (ko)
MX (1) MX2007013369A (ko)
TW (1) TWI468304B (ko)
WO (1) WO20061166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63042Y (zh) * 2005-01-19 2006-03-08 珠海纳思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机墨盒使用的密封件
WO2009142625A1 (en) * 2008-05-20 2009-11-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al and seal/boss assembly
BR112012011090A2 (pt) * 2009-11-11 2017-12-12 Teledyne Instruments Inc conector de ambiente adverso, unidade de plugagem para engate de acoplagem liberável com uma unidade de receptáculo e unidade de receptáculo para engate de acoplagem liberável com uma unidade de plugagem para um conector de ambiente adverso.
US8900000B2 (en) * 2010-02-19 2014-12-02 Teledyne Odi, Inc. Robotically mateable rotary joint electrical connector
GB201008553D0 (en) * 2010-05-22 2010-07-07 Domino Printing Sciences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inuous inkjet printers
KR101730500B1 (ko) 2010-11-25 2017-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530347B2 (ja) * 2010-12-20 2014-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印刷用液体容器、印刷用液体充填済み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印刷用液体充填済み容器の製造方法
JP5213973B2 (ja) * 2011-02-18 2013-06-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用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3015788A1 (en) 2011-07-26 2013-01-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supply device, septum usable with fluid supply device and method thereof
ES2819510T3 (es) 2014-08-13 2021-04-16 Durst Phototechnik Ag Módulo de impresión con cabezal de impresión sustituible por el lado frontal
JP6711637B2 (ja) * 2015-05-29 2020-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における装着機構
US20200376763A1 (en) * 2017-10-05 2020-1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iner with orienting hand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9076A2 (en) * 1982-11-15 1984-05-23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Speed control apparatus of polyphase induction motors
US5544858A (en) * 1995-07-26 1996-08-13 Aeroquip Corporation Quick disconnect fluid coupling
US20040233260A1 (en) * 1998-11-11 2004-11-25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0281A (en) * 1964-08-21 1967-07-11 Upjohn Co Combination syringe and vial mixing container
US4185628A (en) * 1978-05-31 1980-01-29 Kopfer Rudolph J Compartmental syringe
US4516967A (en) * 1981-12-21 1985-05-14 Kopfer Rudolph J Wet-dry compartmental syringe
JPH0698774B2 (ja) * 1984-02-09 1994-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容器
US5790158A (en) 1992-01-28 1998-08-04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cartridge therefor
US5464578A (en) 1992-03-18 1995-11-07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making a compact fluid coupler for thermal inkjet print cartridge ink reservoir
US5232109A (en) * 1992-06-02 1993-08-03 Sterling Winthrop Inc. Double-seal stopper for parenteral bottle
EP0745480B1 (en) 1995-05-16 1999-12-22 Dynamic Cassette International Limited An ink cartridge for an ink jet printer
JP3177137B2 (ja) 1995-09-29 2001-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該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開口部封止方法
DE19604819A1 (de) 1996-02-10 1997-08-14 Elvira Ahrens Patrone für Schreibgeräte
JP3761748B2 (ja) * 1998-11-25 2006-03-29 ハナコメディカル株式会社 ニードルレス混注管
JP2001199082A (ja) 1999-10-08 2001-07-24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装着方法
JP4453164B2 (ja) * 2000-05-22 2010-04-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cカード
US6511166B2 (en) 2000-08-30 2003-01-28 Hewlett-Packard Company Long-life spring-backed fluid interconnect seal
US6682184B2 (en) 2000-10-06 2004-01-27 Seiko Epson Corporation Septum seal plug used in inkjet cartridge
DE10100171B4 (de) 2001-01-04 2005-02-24 Artech Gmbh Design + Production In Plastic Durchstechbares Verschlusselement und Tintenbehälter mit durchstechbarem Verschlusselement
JP2002306610A (ja) * 2001-02-09 2002-10-22 Fukai Kogyo Kk 薬液等注入抽出口用シール弁
US6948801B2 (en) 2002-04-04 2005-09-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interconnect with sealant
US6702434B2 (en) * 2002-04-30 2004-03-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ic interconnect structures
US6739709B2 (en) 2002-07-01 2004-05-25 Cyber Imaging Limited Ink cartridge sealing member
US20040257412A1 (en) 2003-06-18 2004-12-23 Anderson James D. Sealed fluidic interfaces for an ink source regulator for an inkjet printer
TWM246502U (en) 2003-08-19 2004-10-11 Lite On It Corp A sealing design of a piston
EP1520707B1 (en) * 2003-09-30 2007-08-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7141739B2 (en) * 2004-04-30 2006-11-28 Taiwan Semiconductor Mfg Sealing device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9076A2 (en) * 1982-11-15 1984-05-23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Speed control apparatus of polyphase induction motors
US5544858A (en) * 1995-07-26 1996-08-13 Aeroquip Corporation Quick disconnect fluid coupling
US20040233260A1 (en) * 1998-11-11 2004-11-25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6698A3 (en) 2006-12-14
CA2603739C (en) 2013-09-10
MX2007013369A (es) 2008-01-14
US20060246760A1 (en) 2006-11-02
TWI468304B (zh) 2015-01-11
BRPI0613206A2 (pt) 2010-12-28
EP1874548A2 (en) 2008-01-09
JP5064381B2 (ja) 2012-10-31
ATE554933T1 (de) 2012-05-15
CN101166629A (zh) 2008-04-23
CN101166629B (zh) 2010-06-02
AR053368A1 (es) 2007-05-02
BRPI0613206B1 (pt) 2018-04-24
KR20080000610A (ko) 2008-01-02
TW200700241A (en) 2007-01-01
CA2603739A1 (en) 2006-11-02
US20090191742A1 (en) 2009-07-30
WO2006116698A2 (en) 2006-11-02
JP2008539110A (ja) 2008-11-13
US7669995B2 (en) 2010-03-02
EP1874548B1 (en) 2012-04-25
US7533976B2 (en)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357B1 (ko) 제 1, 제 2 및 제 3 밀봉부를 형성하는 밀봉 요소
KR100456251B1 (ko) 액체 용기, 액체 용기용 탄성 부재 및 기록 장치
AU2006201249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US5796419A (en) Self-sealing fluid interconnect
KR20050076776A (ko) 잉크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한 잉크젯 프린터
US9254671B2 (en) Liquid supplying device and liquid cartridge mountable therein
US7455398B2 (en) Ink cartridge
US7147309B2 (en) Liquid cartridge
US20070296774A1 (en) Ink suppl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JP4403560B2 (ja) 液体噴射装置
US9150028B2 (en) Liquid cartridge capable of reducing force required to open air channel and liquid channel
JP4645080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392831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162457B2 (en) Ink supply device
JP2012000851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100584621C (zh) 液体盒
JP2005138545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0054018A (ja) バルブユニット
JP437498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6027195A (ja) 液体収容容器、液体収容容器の液体供給機構、及び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