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050B1 -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050B1
KR101254050B1 KR1020110051731A KR20110051731A KR101254050B1 KR 101254050 B1 KR101254050 B1 KR 101254050B1 KR 1020110051731 A KR1020110051731 A KR 1020110051731A KR 20110051731 A KR20110051731 A KR 20110051731A KR 101254050 B1 KR101254050 B1 KR 10125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urved
mold
suspension memb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191A (ko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1005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0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가부재와 다른 현가부재 사이의 연결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절곡시키고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본체와, 다른 현가부재가 연결되도록 본체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현가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금형에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제1금형에 제2금형을 결합시켜 작업 대상물의 일측면을 성형하고 다른 현가부재가 연결되는 확관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제3금형에 작업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제3금형에 제4금형을 결합시켜 작업 대상물의 타측면을 성형하는 단계와, 작업 대상물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가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SUSPENSION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가부재와 다른 현가부재 사이의 연결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는 차체에 장착되는 요동암과 연결되는 트레일링암과, 한 쌍의 트레일링암 중앙부를 연결하는 토션빔과, 토션빔과 트레일링암에 각각 연결되는 토션빔패널을 포함한다.
토션빔의 양단부에는 트레일링암의 원통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접합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한 쌍의 오목홈은 트레일링암과 각각'T' 모양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트레일링암은 토션빔의 양측 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트레일링암의 전방에는 차체에 장착을 위한 부시가 설치되고, 트레일링암의 후방에는 캘리퍼의 연결을 위한 캐리어가 설치된다.
트레일링암은 파이프 모양의 관재로 이루어지며,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종료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현가부재는 단면적이 균일한 파이프 모양의 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현가부재와 연결되는 부위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없어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현가부재와 다른 현가부재 사이의 연결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현가부재와 다른 현가부재 사이의 연결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절곡시키고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본체와, 다른 현가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평면 형상에는 상기 본체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평면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 형상에는 상기 본체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측면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판재의 작업 대상물 단부를 접합하는 용접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용접라인은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라인은 상기 평면곡선부를 따라 절곡되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라인은 상기 측면곡선부를 따라 절곡되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절곡시키고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제1홀부와 제2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홀부의 단면 형상은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제1금형에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b) 상기 제1금형에 제2금형을 결합시켜 작업 대상물의 일측면을 성형하고 다른 현가부재가 연결되는 확관부를 성형하는 단계와, (c) 상기 제3금형에 상기 작업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d) 상기 제3금형에 상기 제4금형을 결합시켜 작업 대상물의 타측면을 성형하는 단계와, (e) 상기 작업 대상물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4금형이 상기 작업 대상물의 개구부를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제3금형과 상기 제4금형이 결합되어 상기 제3금형과 상기 제4금형의 내부 공간에 상기 작업 대상물이 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부재는 다른 현가부재가 용접되는 연결부위의 단면적이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므로 다른 현가부재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연결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가부재는 용접라인이 복수의 방향으로 절곡되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용접라인의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현가부재의 변형 또는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가부재의 제조방법은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절곡시키고 용접하여 관재의 현가부재를 제조하므로 현가부재의 단면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확관부를 구비하는 현가부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가부재의 제조방법은 개구부가 형성되는 작업 대상물에 금형공정을 행할 때에 금형이 결합되기 전에 금형이 개구부를 가압하여 곡면의 용접라인을 성형하므로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관재의 현가부재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의 연결부위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1금형과 제2금형 결합단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3금형과 제4금형 결합단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3금형과 제4금형의 제1결합단계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3금형과 제4금형의 제2결합단계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3금형과 제4금형의 제3결합단계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의 연결부위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1금형과 제2금형 결합단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3금형과 제4금형 결합단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는, 판재의 작업 대상물(10)을 절곡시키고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본체(32)와, 다른 현가부재가 연결되도록 본체(32)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단면적(a)이 넓게 형성되는 확관부(34)를 포함한다.
확관부(34)는 본체(32)의 다른 부위의 단면적(b)과 비교하여 단면적(a)이 넓게 형성되는 구간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의 본체(32)는 트레일링암(30)을 예로 들어 설명하므로 본 실시예의 확관부(34)에 용접되는 다른 현가부재는 토션빔(50)을 의미한다.
토션빔(50)의 단부에는 본체(32)의 확관부(34)가 삽입되도록 토션빔(50)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결합홈부(52)가 형성되는데, 확관부(34)의 단면적(a)이 본체(32)의 다른 부위의 단면적(b)과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므로 확관부(34)와 결합홈부(52)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확관부(34)의 단면 형상은 링 모양의 본체(32) 형상에서 토션빔(50)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측으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단면 형상이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본체(32)와 토션빔(50)의 결합홈부(52)가 결합될 때에는 본체(32)와 결합홈부(52) 사이의 용접부 단면 형상이 반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확관부(34)와 연결홈부 사이의 용접부 단면 형상은 반원 모양에서 단부가 확관부(34)를 따라 연장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확관부(34)는 본체(32)와 토션빔(50)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며, 본체(32)와 토션빔(50)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용접되면 본체(32)와 토션빔(50) 연결부위의 강도가 향상된다.
본체(32)의 평면 형상에는 본체(32)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평면곡선부(38a, 38b)가 형성되고, 평면곡선부(38a, 38b)는 트레일링암(30)의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부재들과 트레일링암(3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평면곡선부(38a, 38b)는, 본체(3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곡선부(38a)와, 본체(3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곡선부(38b)를 포함하므로 'S' 모양과 유사하게 두 차례 절곡되는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평면곡선부(38a, 38b)는 본체(32)가 설치되는 차종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고, 본체(32)가 한 차례 절곡되어 'C'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본체(32)가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32)의 측면 형상에는 본체(32)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측면곡선부(39)가 형성되고, 측면곡선부(39)는 트레일링암(30)의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부재들과 트레일링암(3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본체(32)에는 판재의 작업 대상물(10) 단부를 접합하는 용접라인(36)이 구비되고, 용접라인(36)은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32)에 형성되는 용접라인(36)은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용접라인(36)과 비교하여 본체(32)에 전달되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직선 모양의 용접라인(36)에 수직 방향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와, 곡선 모양의 용접라인(36)에 수직 방향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를 비교할 때에 직선 모양의 용접라인(36)은 쉽게 절단되어 크랙이 발생된다.
반면에, 곡선 모양의 용접라인(36)은 수직방향으로 충격이 전달될 때에 충격이 곡선 모양의 용접라인(36)을 따라 분사되고, 용접라인(36)이 본체(32)와 함께 일정량 변형되었다 복원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므로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용접라인(36)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용접라인(36)은 평면곡선부(38a, 38b)를 따라 절곡되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용접라인(36)은 측면곡선부(39)를 따라 절곡되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용접라인(36)은 본체(32) 및 확관부(34)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평면곡선부(38a, 38b) 및 측면곡선부(39)를 따라 나사산 모양으로 절곡되는 곡선 모양을 이루게 된다.
본체(32)에는 판재의 작업 대상물(10)을 절곡시키고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제1홀부(35)와 제2홀부(37)가 구비되고, 제1홀부(35)의 단면 형상은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1홀부(35)에는 장착홈부(35a)가 형성된다.
제1홀부(35)에는 부시가 압입되는 링 모양의 연결홀부가 용접되므로 연결홀부와 제1홀부(35)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되도록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장착홈부(35a)가 형성된다.
연결홀부의 높이는 본체(32)의 지름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므로 본체(32)와 연결홀부를 용접할 때에 본체(32)가 연결홀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홀부(35)는 타원 모양으로 납작하게 형성된다.
제1홀부(35)의 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장착홈부(35a)가 형성되므로 장착홈부(35a)에 연결홀부가 삽입되면 연결홀부와 장착홈부(35a)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체(32)와 연결홀부 사이의 연결부위의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3금형과 제4금형의 제1결합단계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3금형과 제4금형의 제2결합단계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의 제3금형과 제4금형의 제3결합단계가 도시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가부재 제조방법은, 제1금형(72)에 판재의 작업 대상물(10)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제1금형(72)에 제2금형(74)을 결합시켜 작업 대상물(10)의 일측면을 성형하고 다른 현가부재가 연결되는 확관부(34)를 성형하는 단계와, 제3금형(82)에 작업 대상물(10)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제3금형(82)에 제4금형(84)을 결합시켜 작업 대상물(10)의 타측면을 성형하는 단계와, 작업 대상물(1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연결부위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판재의 작업 대상물(10)을 성형홈부(72a)가 형성되는 제1금형(72)에 안착시킨 후에 돌출부(74a)가 형성되는 제2금형(74)을 하강시켜 제1금형(72)과 제2금형(74)을 결합시키면, 돌출부(74a)가 성형홈부(72a)에 삽입되면서 판재의 작업 대상물(10)의 오목하게 성형한다.
이때, 작업 대상물(10)은 성형홈부(72a)와 돌출부(74a)위 형상에 따라 단면 형상이 '⊃'모양으로 성형되어 작업 대상물(10)의 일측면에 오목한 곡면이 형성된다.
성형홈부(72a)에는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더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이 구비되고, 돌출부(74a)에는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더 볼록하게 돌출되는 부분이 구비되므로 제1금형(72)과 제2금형(74)에 의해 성형되는 작업 대상물(10)에는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더 돌출되는 확관부(34)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측면에 곡면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성형된 작업 대상물(10)은 제3금형(82)의 안착홈부(82a)에 개구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안착시킨다.
이후에, 곡면가압부(84a)를 구비하는 제4금형(84)을 제3금형(82)과 결합하면 곡면가압부(84a)가 작업 대상물(10)의 개구부를 가압하여 단면 형상이 원 또는 타원과 유사한 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때, 안착홈부(82a)의 양측 단부에는 제1코어(86) 및 제2코어(88)가 삽입되므로 작업 대상물(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홀부(35) 및 제2홀부(37)를 작업 대상물(10)의 내벽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제1코어(86)는 단면 형상이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제1홀부(35)의 단면 형상을 타원 모양으로 가공하게 된다.
제3금형(82)과 제4금형(84)을 결합하는 단계(S40)는, 제4금형(84)이 작업 대상물(10)의 개구부를 가압하는 단계와, 제3금형(82)과 제4금형(84)이 결합되어 제3금형(82)과 제4금형(84)의 내부 공간에 작업 대상물(10)이 밀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작업 대상물(10)을 제3금형(82)의 안착홈부(82a)에 삽입하면 작업 대상물(10)의 개구부가 안착홈부(82a)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제4금형(84)을 하강시키면 제3금형(82)과 제4금형(84)이 결합되기 전에 곡면가압부(84a)가 작업 대상물(10)의 개구부를 안착홈부(82a) 내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곡면가압부(84a)는 중앙부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곡면가압부(84a)에 의해 가압되는 작업 대상물(10)의 개구부는 곡면가압부(84a)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중앙 측으로 절곡되어 작업 대상물(10)의 단면 형상이 원 또는 타원과 유사한 모양을 이루게 한다.
또한, 성형홈부(72a) 및 돌출부(74a)의 양측 단부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곡면이 형성되므로 제1금형(72) 및 제2금형(74)에 의해 성형되는 본체(32)에는 제1곡선부(38a)와 제2곡선부(38b)가 성형된다.
제1곡선부(38a) 및 제2곡선부(38b)는 본체(32)와 다른 부재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에 의해 형성되며, 본체(32)에 가해지는 충격을 제1곡선부(38a) 및 제2곡선부(38b)를 따라 분산시키므로 본체(3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작업 대상물(10)의 개구부가 곡면가압부(84a)에 의해 가압되기 시작하여 제4금형(84)의 하강이 지속되면 작업 대상물(10)의 개구부가 서로 맞닿도록 중앙 측으로 절곡되고, 제3금형(82)과 제4금형(84)의 결합이 완료되면 작업 대상물(10)의 개구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안착홈부(82a) 및 곡면가압부(84a)의 내벽에 작업 대상물(10)이 밀착된다.
이때, 안착홈부(82a) 및 곡면가압부(84a)에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므로 제3금형(82)과 제4금형(84)의 결합에 의해 성형되는 본체(32)에 측면곡선부(39)가 성형된다.
측면곡선부(39)는 본체(32)와 다른 부재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에 의해 형성되며, 본체(32)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면곡선부(39)를 따라 분산시키므로 본체(3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현가부재와 다른 현가부재 사이의 연결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작업 대상물 30 : 트레일링암
32 : 본체 34 : 확관부
35 : 제1홀부 36 : 용접라인
37 : 제2홀부 38a : 제1곡선부
38b : 제2곡선부 39 : 측면곡선부
50 : 토션빔 52 : 결합홈부
72 : 제1금형 72a : 성형홈부
74 : 제2금형 74a : 돌출부
82 : 제3금형 82a : 안착홈부
86 : 제1코어 88 : 제2코어
84 : 제4금형 84a : 곡면가압부

Claims (9)

  1.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절곡시키고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본체; 및
    다른 현가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평면 형상에는 상기 본체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평면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곡선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곡선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곡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곡선부와 상기 제2곡선부는 두 차례 절곡되는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측면 형상에는 상기 본체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측면곡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판재의 작업 대상물 단부를 접합하는 용접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용접라인은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접라인은 상기 평면곡선부를 따라 절곡되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접라인은 상기 측면곡선부를 따라 절곡되는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접라인은, 상기 본체 및 상기 확관부에 전달되는 충격이 곡선 모양의 상기 용접라인을 따라 분산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확관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평면곡선부 및 상기 측면곡선부를 따라 나사산 모양으로 절곡되는 곡선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에는 판재의 작업 대상물을 절곡시키고 용접하여 이루어지는 제1홀부와 제2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홀부의 단면 형상은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홀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홀부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장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확관부는 트레일링암이며, 상기 다른 현가부재는 토션빔이고;
    상기 본체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는, 상기 토션빔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링 모양의 상기 본체 형상에서 상기 토션빔이 연결되는 부위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토션빔에는 상기 확관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확관부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토션빔의 단부에 상기 토션빔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51731A 2011-05-30 2011-05-30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5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31A KR101254050B1 (ko) 2011-05-30 2011-05-30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31A KR101254050B1 (ko) 2011-05-30 2011-05-30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91A KR20120133191A (ko) 2012-12-10
KR101254050B1 true KR101254050B1 (ko) 2013-04-12

Family

ID=4751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731A KR101254050B1 (ko) 2011-05-30 2011-05-30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6173A (zh) * 2017-12-04 2020-07-07 雷诺股份公司 用于将金属部件附接到通过弯曲和焊接金属片材获得的金属管上的方法;相对应的轴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3456A1 (de) * 2018-09-24 2020-03-26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U-O-Formen eines um drei Raumachsen gekrümmten Bautei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5446A (ja) * 1995-12-01 1997-06-17 Toyota Motor Corp 湾曲中空パイプ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5446A (ja) * 1995-12-01 1997-06-17 Toyota Motor Corp 湾曲中空パイプ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6173A (zh) * 2017-12-04 2020-07-07 雷诺股份公司 用于将金属部件附接到通过弯曲和焊接金属片材获得的金属管上的方法;相对应的轴头
CN111386173B (zh) * 2017-12-04 2022-10-25 雷诺股份公司 金属管上组装金属件的方法、构建机动车辆底盘的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91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0534B1 (en) Suspension structure, bush structure and suspension characteristic adjusting method
JP2019506328A (ja) 車両用ハイブリッド懸架ア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75647B1 (ko) 리어 프레임과 프론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전거 프레임구조
WO2012124733A1 (ja) 車両用のアーム部品とその製造方法
WO2014033933A1 (ja) 車両用のアーム部品とその製造方法
KR101152093B1 (ko) 비틀림 프로파일 형상의 자동차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WO2014148513A1 (ja) 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40454B1 (ko) 토크로드 구조체 및 그 토크로드의 제조방법
KR20140135164A (ko) 차량용 서스펜션 암
JP2011046232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254050B1 (ko) 현가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6418980B2 (ja) リンクブラケット
JP5595702B2 (ja) トルクロッド
JP2008030513A (ja) トーションビーム、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並びにトーションビームの製造方法
JP2008195155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2010023713A (ja) 金属製アー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347990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20170087266A (ko) 프론트 로어암 장치
KR101282637B1 (ko) 차량용 서스펜션암의 제조방법
KR20130006096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
JP2015009354A (ja) ブッシュ取付部具備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48742B1 (ko) 연료탱크의 배플결합구조
KR101813949B1 (ko) 이종소재 서브 프레임 및 이종소재 서브 프레임 제조방법
JP6131787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6447466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