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316B1 - 충전용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용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316B1
KR101251316B1 KR1020110098010A KR20110098010A KR101251316B1 KR 101251316 B1 KR101251316 B1 KR 101251316B1 KR 1020110098010 A KR1020110098010 A KR 1020110098010A KR 20110098010 A KR20110098010 A KR 20110098010A KR 101251316 B1 KR101251316 B1 KR 101251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apter
magnetic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윤대영
정승주
김효남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
Priority to KR102011009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arranged for operation in series, e.g. for multiplication of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 전극을 이용하여 어댑터와 배터리 충전기를 서로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어댑터와 배터리 충전기의 결합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전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어댑터는, 전원변환회로가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타면에 형성되며 자기적으로 결합된 충전기로 상기 전원변환회로에 의해 변환된 전원을 전달하는 마그네틱 전원단자;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변환회로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USB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배터리가 내장 또는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로부터 전달된 충전전원을 배터리로 전달하는 마그네틱 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전용 전원장치{POWER SUPPLY FOR CHARGING A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와 휴대용 기기로 충전전원 또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이나 모바일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기기는 직류전원을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배터리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고 있다. 배터리는 비교적 고가로서 배터리만을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휴대용 기기는 이동하면서 사용될 경우에 배터리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공급받고, 가정과 사무실 등과 같은 고정된 장소에서는 교류전원(AC; Alternative Current)을 직류전원(DC; Direct Current)으로 변환하는 별도의 직류변환장치, 즉 교류 어댑터(AC adaptor)를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이와 같이, 교류 어댑터(AC adaptor)는 휴대용 기기에 직류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하여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소정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어댑터는 각종 휴대용 기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어댑터와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배터리 충전기로 나눌 수 있다.
일례로, 전원공급용 어댑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콘센트와 연결되는 플러그(13)와,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케이블을 매개로 소정의 휴대용 기기의 전원 입력단과 연결되어 휴대용 기기로 충전전원 또는 동작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15), 및 충전전원 또는 동작전원을 휴대용 기기의 USB 단자로 제공하는 USB 포트(17)를 구비할 수 있다. USB 포트(17)에는 USB 단자가 형성된 접속 인터페이스(20)가 연결되어 외부의 휴대용 기기로 충전전원 또는 동작전원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어댑터는 휴대용 기기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와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기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전원공급용 어댑터와 배터리 충전기를 상호 연결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케이블이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이나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방식은 사용상에 불편함과 제조단가의 상승 및 커넥터의 불량 등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마그네틱 전극을 이용하여 어댑터와 배터리 충전기를 서로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어댑터와 배터리 충전기의 결합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전용 전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전용 전원장치는,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와 결합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구비한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전원변환회로가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자기적으로 결합된 충전기로 상기 전원변환회로에 의해 변환된 전원을 전달하는 마그네틱 전원단자;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변환회로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USB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배터리가 내장 또는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로부터 전달된 충전전원을 배터리로 전달하는 마그네틱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스위칭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턴온되어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로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는 마그네틱 단자 중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는 어댑터의 스위칭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USB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와 마그네틱 단자는 영구자석, 강자성체 및 상자성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장치는, 어댑터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어댑터와의 결합 방향성을 위해 충전기의 일측면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요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마그네틱 전원단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댑터와 충전기를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자기유도 방식의 무접점 충전기와 같이 결합 방식이 간단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어댑터와 충전기에 USB 단자를 각각 구성함에 따라 이를 통해 USB 보조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류 어댑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용 전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마그네틱 전원단자와 마그네틱 단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어댑터와 충전기에 내장된 회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용 전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어댑터의 출력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용 전원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용 전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충전용 전원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원장치는 어댑터(100)와 충전기(200)를 포함한다.
어댑터(100)는 본체(101)와 플러그(105), 마그네틱 전원단자(130)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150)를 포함한다.
본체(101)에는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회로(110; 하기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됨)가 내장되어 있다.
플러그(105)는 본체(101)의 일면에 플립 타입으로 형성되어 콘센트를 통해 교류전원을 입력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그네틱 전원단자(130)는 본체(101)의 타면에 형성되며 자기적으로 결합된 충전기(200)로 상기 전원변환회로(110)에 의해 변환된 전원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USB 단자(150)는 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원변환회로(11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기(200)는 본체(201)와 마그네틱 단자(210) 및 USB 단자(25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20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240)가 내장 또는 장착된다. 여기서, 배터리(240)는 2차 전지로 리튬이온(Li-ion), 니켈메탈하이드라이드(Ni-Mh), 및 니켈 카드뮴(Ni-Cd) 등이 있으며, 이들은 원통형, 각형, 동전형, 버튼형 및 핀형 등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 단자(210)는 본체(201)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130)로부터 전달된 충전전원을 충전회로(230)를 통해 배터리(24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USB 단자(250)는 본체(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240)에 충전된 전원을 외부의 휴대용 기기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와 마그네틱 단자(210)는 영구자석, 강자성체 및 상자성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마그네틱 전원단자(130)가 영구자석일 경우에 마그네틱 단자(210)는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와 마그네틱 단자(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영구자석이면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어댑터(100)의 마그네틱 전원단자(130)과 그에 대응되는 충전기(200)의 마그네틱 단자(210)는 도 3과 같이 요철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어댑터(100)의 마그네틱 전원단자(130)는 내측으로 대략 0.5 내지 1.5mm 정도가 내삽(凹)될 수 있고, 충전기(200)의 마그네틱 단자(210)는 대략 0.5 내지 1.5mm 정도가 돌출(凸)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틱 단자(210)의 돌출 높이는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의 홈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아야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마그네틱 전원단자(130) 및 마그네틱 단자(210)는 결합의 방향성을 위해 서로 다른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어댑터(100)의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에서 어느 하나가 N극이면 다른 하나는 S극일 수 있다. 물론, 충전기(200)의 마그네틱 단자(210)에서도 어느 하나가 S극이면 다른 하나는 N극일 수 있다.
어댑터(100)에 형성되는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와 그에 대응되는 충전기(200)의 마그네틱 단자(210)는 도 2의 배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100)와 충전기(200) 간의 결합의 방향성을 위하여, 어댑터(100)의 일정 위치에 돌출부(17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충전기(200)에는 돌출부(170)에 대응되는 위치에 요홈(270)이 형성된다. 물론, 어댑터(100)에 요홈이 형성되고 충전기(200)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170)와 요홈(27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100)와 충전기(200)에 돌출부(170)와 요홈(270)이 각각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어댑터(100)의 복수의 마그네틱 전원단자(130)가 동일한 자극(N극 또는 S극)의 영구자석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충전기(200)는 영구자석이 아니라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어댑터(100)의 본체(101)에 내장된 전원변환회로(110)는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변환회로(110)는 안정화부(111), 평활부(113), 변압부(115), 및 정류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정화부(11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압, 예컨대 AC 110V 또는 AC 220V를 대략 1.414배로 승압시키거나 입력된 교류전압을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평활부(113)는 안정화부(11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평활시켜서 직류전압에 가까운 전압을 출력한다. 즉, 평활부(113)는 안정화부(111)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포함된 리플(ripple)을 최소화시켜 리플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변압부(115)는 평활부(113)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필요한 전압 레벨로 강하시켜서 출력한다. 변압부(115)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으로 구성된다.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수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어댑터(100)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예컨대, 1차 권선을 83∼90T(Turn), 2차 권선을 9∼14T 범위에서 적절히 조정하면 어댑터(100)의 출력단에 발생하는 노이즈가 최소로 감소된다. 1차 권선은 매우 얇은 두께의 절연 테이프(tape)로 감겨진다. 이와 같이 변압부(115)를 구성함으로써 변압부(115)의 온도 특성과 누설 인덕턴스(leakage inductance)가 향상되며, 리플 노이즈(ripple noise)도 감소된다.
정류부(117)는 변압부(115)의 2차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정류하여 마그네틱 전원단자(130) 및 USB 단자(150)를 통해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변압부(115)의 2차측에 발생하는 전압은 구형파에 가깝기 때문에 정류부(117)는 이를 정류하여 어댑터(10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만들어준다. 정류부(117)는 인덕터 코일(inductor coil)을 사용하여 리플 노이즈를 최소화시킴에 따라 출력전압을 보다 직류전압에 가깝도록 만들 수 있다.
정류부(117)에서 마그네틱 전원단자(130)로 출력된 직류전압은 자기적으로 결합된 충전기(200)의 마그네틱 단자(210)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 충전기(200)에 장착된 배터리(240)는 충전되게 된다.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은 예컨대, 5V 정도가 될 수 있다.
충전기(200)에는 배터리(240)의 충전을 위하여 마그네틱 단자(210)와, 배터리(24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충전단자(미 도시됨)만 구비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도 5와 같은 충전회로(230)가 내장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회로(230)는, 마그네틱 단자(2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이 설정된 기준전류 또는 기준전압을 초과할 경우 출력을 일시 차단하여 후단의 회로로 과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류방지부(231)와, 과전류방지부(231)를 통해 입력된 직류전압을 배터리(240)에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충전부(2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전류방지부(231)를 통해 출력된 전원은 USB 단자(25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240)에 충전된 직류전압은 USB 단자(25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는 데, 이때 배터리(24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필요한 전압으로 강압 또는 승압하여 출력하는 전압변환부(23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압변환부(235)는 DC전원을 DC전원으로 만드는 DC/DC 컨버터이지만, 낮은 입력전압을 높은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압변환부(235)는 DC전원을 스위칭시켜 펄스신호로 만들고, 이 펄스신호를 필요에 따라 코일과 커패시터, 트랜스포머 등을 이용하여 승압 또는 강압시킨 다음 다시 정류시켜 DC전원으로 만든다.
상기 전압변환부(235)는, 큰 입력전압을 작은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벅(Buck) 컨버터와, 작은 입력전압을 큰 출력전압으로 변환하는 부스트(Boost) 컨버터, 및 스위칭 제어에 따라 입력전압을 작은 출력전압 또는 큰 출력전압으로 가변하는 것이 가능한 벅/부스트 컨버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USB 단자(250)는 외부의 USB 커넥터와 연결되어 상기 과전류방지부(231) 또는 전압변환부(235)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예컨대, DC 5V)을 출력한다.
배터리(240)에서는 DC 1.5V 내지 5V가 출력될 수 있다. 만일 리튬이온 배터리일 경우 출력전압은 대략 3.7V가 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용 전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원장치는 어댑터(100)와 충전기(200)를 포함한다.
어댑터(100)와 충전기(200)는 도 2와 다르게 각각 스위칭단자(140; S)와 접속단자(220; C)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기(200)의 마그네틱 단자 중 -단자(215)는 접속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되어 있다. 여기서, 스위칭단자(140)와 접속단자(220)는 마그네트, 자성체 및 금속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어댑터(100)와 충전기(200)의 결합력을 위해 마그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댑터(100)와 충전기(200)가 결합되면 각 접점(130/210, 140/2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충전기(200)의 -단자(215)는 접속단자(2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댑터(100)의 스위칭단자(140)도 -전원이 된다.
이때, 도 7의 어댑터(100)의 출력회로를 보면, 어댑터(100)의 스위칭단자(140)가 충전기(200)의 접속단자(220)와 연결되어 어댑터(100)의 스위칭단자(140)도 -전원이 되므로, 스위칭수단(Q1)의 전기적으로 턴온되어 마그네틱 전원단자(130)를 통해 전원이 충전기(200) 측으로 출력되게 된다.
스위칭소자(Q1)는 PNP형 트랜지스터나 P채널 FET와 같은 전자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100)와 충전기(200)에 스위칭단자(140)와 접속단자(220)를 구비하는 것은 안전성을 위한 것이다.
또한, 충전기(200)의 접속단자(220)는 경우에 따라 -전원(215)과 연결되지 않고 독자적인 ID를 갖는 저항 또는 정보를 갖고 있는 메모리나 디지털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어댑터(100)의 스위칭단자(140)는 이를 인식하기 위한 리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전용 전원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어댑터(100)와 충전기(200)의 결합 구조가 도 2와 상이하다. 본 발명에 기재된 충전기(200)는 배터리(240)를 충전하는 충전용 거치대 또는 배터리팩일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의 경우에는 어댑터(100)의 상단면에 마그네틱 전원단자(130)가 배치되어 있어 충전기(200)가 어댑터(100)의 상단면에서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 경우 어댑터(100)의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와 USB 단자(150)는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 8에서는 어댑터(100)의 하측면에 마그네틱 전원단자(130)가 배치되어 있어 충전기(200)가 어댑터(100)의 하단면에서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 어댑터(100)의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와 USB 단자(150)는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마그네틱 전원단자(130)의 사이에 USB 단자(1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은 구조는 어댑터(100)에 충전기(200)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어댑터(100)의 USB 단자(15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도 8과 같은 구조는 어댑터(100)와 충전기(200)가 일렬로 결합됨에 따라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어댑터(100)를 연결할 경우 돌출 높이가 낮아 사용상에 유리한 이점이 있을 것이다.
도 9는 배터리(245)가 원통형 2차 건전지(예를들어, Ni-Mh)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도 2는 배터리의 종류만 다르고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물론, 리튬이온(Li-ion) 배터리(240)의 출력전압이 DC 3.7V이고, 니켈메탈하이드라이드(Ni-Mh) 배터리(245)의 출력전압이 DC 4.5V(1.5V×3개)이므로, 도 9와 도 2에서 어댑터(100)의 전원변환회로(110)와 충전기(200)의 충전회로(230)가 다소 달라질 수 있으나,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동일 내지 유사할 것이다.
어댑터(100)와 충전기(200)의 USB 단자(150, 250)에 연결되는 기기로는 휴대폰, PDA, 스마트폰 및 MP3 플레이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의 커넥터(15)와 같은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로 충전전원 또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어댑터(100)와 충전기(200)를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결합 방식이 간단하고, 어댑터(100)와 충전기(200)에 USB 단자(150, 250)를 각각 구성함에 따라 이를 통해 USB 보조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류 어댑터 101: 본체
105: 플러그 110: 전원변환회로
130: 마그네틱 전원단자 140: 스위칭단자
150: USB 단자 170: 돌출부
200: 충전기 210: 마그네틱 단자
220: 접속단자 230: 충전회로
240,245: 배터리 250: USB 단자
270: 요홈 Q1: 스위칭수단

Claims (9)

  1. 입력된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와 결합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구비한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전원변환회로가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자기적으로 결합된 충전기로 상기 전원변환회로에 의해 변환된 전원을 전달하는 마그네틱 전원단자;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변환회로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USB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배터리가 내장 또는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로부터 전달된 충전전원을 배터리로 전달하는 마그네틱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스위칭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단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턴온되어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로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기는 마그네틱 단자 중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기의 접속단자는 상기 어댑터의 스위칭단자와 결합되는, 충전용 전원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USB 단자를 더 포함하는 충전용 전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체로 형성되는 충전용 전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와 마그네틱 단자는 영구자석, 강자성체 및 상자성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충전용 전원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어댑터와의 결합 방향성을 위해 충전기의 일측면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요홈;을 더 포함하는 충전용 전원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마그네틱 전원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충전용 전원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서, 상기 마그네틱 전원단자와 USB 단자는 동일한 면에 형성되는 충전용 전원장치.
KR1020110098010A 2011-09-28 2011-09-28 충전용 전원장치 KR10125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010A KR101251316B1 (ko) 2011-09-28 2011-09-28 충전용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010A KR101251316B1 (ko) 2011-09-28 2011-09-28 충전용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316B1 true KR101251316B1 (ko) 2013-04-05

Family

ID=4844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010A KR101251316B1 (ko) 2011-09-28 2011-09-28 충전용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3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672A (ko) * 2014-09-11 2016-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20170045909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그네틱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CN107342609A (zh) * 2017-07-18 2017-11-10 深圳诺欧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充电装置、***及方法
KR101926809B1 (ko) * 2018-08-22 2018-12-07 우석기 어댑터와 보조 배터리가 분리 가능한 유무선 충전기
CN109193888A (zh) * 2018-10-23 2019-01-11 珠海市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Type-c接口的无线充电电源***和充电方法
KR20200135030A (ko) * 2019-05-24 2020-12-02 주식회사 브로나인 배터리용 프리전압 멀티 충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599A (ko) * 2002-08-19 2004-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접속장치
KR20040025400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알앤디아이 휴대폰 충전기
JP2004199910A (ja) 2002-12-17 2004-07-15 Sharp Corp 電池パック、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充電器、充電システム
KR20080000027U (ko) * 2007-12-07 2008-01-07 김창웅 휴대폰 배터리 충전용 어댑터를 이용한 멀티 디씨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599A (ko) * 2002-08-19 2004-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접속장치
KR20040025400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알앤디아이 휴대폰 충전기
JP2004199910A (ja) 2002-12-17 2004-07-15 Sharp Corp 電池パック、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充電器、充電システム
KR20080000027U (ko) * 2007-12-07 2008-01-07 김창웅 휴대폰 배터리 충전용 어댑터를 이용한 멀티 디씨 충전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672A (ko) * 2014-09-11 2016-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20170045909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그네틱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KR102063936B1 (ko) * 2015-10-20 2020-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그네틱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CN107342609A (zh) * 2017-07-18 2017-11-10 深圳诺欧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充电装置、***及方法
CN107342609B (zh) * 2017-07-18 2020-11-10 深圳儒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充电装置、***及方法
KR101926809B1 (ko) * 2018-08-22 2018-12-07 우석기 어댑터와 보조 배터리가 분리 가능한 유무선 충전기
CN109193888A (zh) * 2018-10-23 2019-01-11 珠海市微半导体有限公司 一种Type-c接口的无线充电电源***和充电方法
CN109193888B (zh) * 2018-10-23 2024-04-02 珠海一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Type-c接口的无线充电电源***和充电方法
KR20200135030A (ko) * 2019-05-24 2020-12-02 주식회사 브로나인 배터리용 프리전압 멀티 충전장치
KR102200387B1 (ko) * 2019-05-24 2021-01-11 주식회사 브로나인 배터리용 프리전압 멀티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878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충전 장치
US5889384A (en) Power transfer and voltage level conversion for a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
KR101251316B1 (ko) 충전용 전원장치
EP2654173B1 (en) Wired/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circuit
KR20120129488A (ko) 마그네틱 커넥팅 장치
US200801168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8350524B2 (en)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charging system
US20130049675A1 (en) Output connector equipped battery pack, battery-pack-and-battery-driven-device system, and charging method by using battery pack
US20090075704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harging module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685542B1 (en) Mobile charger
JP5960280B2 (ja) 充電器
WO2009044350A1 (en) Household device battery charger
JP2013532461A (ja) 非接触型の誘導電力伝送システムの回路
CN108701878B (zh) 能够收发无线电力的辅助电池
KR20160105287A (ko) 회로 장치, 휴대 기기 및 충전 시스템 등
CN102005784A (zh) 一种无线充电***
CN104011960A (zh) 电子设备和馈电***
CN207868878U (zh) 无线充电电池
KR101549438B1 (ko)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KR20150002044A (ko) 엔에프씨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식별 배터리팩
US8958220B2 (en) Power-saving voltage converter operation
JP5816814B2 (ja) 充電器
CN102761143A (zh) 一种便携式手机充电器
EP2475065A1 (en)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and wireless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