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196B1 -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196B1
KR101237196B1 KR1020120013216A KR20120013216A KR101237196B1 KR 101237196 B1 KR101237196 B1 KR 101237196B1 KR 1020120013216 A KR1020120013216 A KR 1020120013216A KR 20120013216 A KR20120013216 A KR 20120013216A KR 101237196 B1 KR101237196 B1 KR 10123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weaving
woven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102012001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05Woven fabrics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2Tubular fabr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각종 고처의 산업현장에서 낙하사고로 추락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하여 고무사가 늘어지면서 추락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흡수하여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완화시켜 작업자를 보호하고 지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로프원단에 관한 것으로 고무사로 된 경사(204), 화섬사로 된 경사(202)와 화섬사로 된 위사(201)로 제직하는데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다수개의 위사(201a)와 제직하지 아니하고 미스니트(miss knit)한 후에 위사(201b)와 제직하는 것을 반복하여 만든 튜브직물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03)가 있는 탄성부(200)와 화섬사로 평직한 상부직물(310)과 하부직물(320)을 연결사(311)로 교호적으로 교차시켜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을 일체로 만든 제직부(300)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A safety belt fabric using a safety belt for high place work}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현장이나 전선주 등과 같이 각종 고처(高處)의 산업현장에서 불의의 낙하사고 등으로 작업자가 추락시 작업자의 체중에 의하여 고무사가 늘어지면서 추락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흡수하여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을 완화시켜 작업자를 보호하고 지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소작업에 사용되어 낙하사고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로프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교량과 같은 고층구조물을 건설하는 건축공사장이나, 대형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 및 전신주나 철탑의 보수작업과 같은 전기설비를 행하는 공사현장에서는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된 각종 디딤틀이나 구조물에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하는데, 이러한 높은 곳에서 작업시에 불의의 추락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보호장구는 작업자가 안전그네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그네에 연결하는 생명줄인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와 안전모 등의 개인용 안전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는 안전대와 고정지지대 상간에 양단이 걸고리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로프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안전로프에는 별도의 다양한 형태의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er)를 설치하여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완충하고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안전벨트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소작업자의 추락사고의 방지와 안전도를 높이기 위해 마와 같은 천연 재료, 화섬사 등과 같은 탄성이 없는 재료로 꼬아 만든 지지로프의 일단은 작업자에 걸고 타단은 지지구나 지지 파이프에 걸어 작업도중 작업자의 추락사고 발생시에 작업자가 지면과 충돌하는 것은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길이가 긴 지지 로프를 느슨한 상태로 연결되어 사용하는 관계로 작업자의 활동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추락시에 생기는 강한 추락하중을 직접적으로 작업자에게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에게 큰 충격이 가해져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한 공개특허공보 2001-0044130호는 일단은 작업자 허리벨트(3)에 타단은 작업장 안전구조물에 후크(4)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추락시 작업자 몸무게에 의하여 안전로프에 가해지면 안전로프의 이중으로 직조된 이중직조부(1)를 만들어 추락시에 낙하충격이 가해지면 이중조직부(1)에 만들어진 직조연결부(5)가 절단되어 직조연결부(5)의 절단된 구간에 걸쳐 복수개의 이중직조부(1)가 분리되면서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도록하는 구성을 만들어 작업자가 지상으로 직접 떨어지는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를 개발하였으나 이중조직부가 두 갈래로 갈라지려고 하는 순간에 작업자에 일시적으로 큰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 충격력이 허리 척추부분에 바로 전달되어 작업자가 허리부상이나 척추탈골과 같은 중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추락시 지면과 충돌을 방지하고, 추락사고시 작업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발한 발명특허 제626420호인 충격흡수용 고소작업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10)은 중앙부는 내부를 탄성이 있는 탄성부재(22)로 구성하고 상기 탄성부재(22)의 외부에는 탄성이 없는 실로 직조한 직물로 된 직물튜브(21)를 만들어 탄성부재(22)를 보호하는 탄성부(20)를 만들고 탄성부(20)의 양단은 탄성이 없는 화섬사 등의 실로 제직한 제직부(30)를 탄성부(20)에 연속하여 일체로 만들어 제직부(30)의 일단은 훅(40)을 연결하는 훅고리(31)를 타단은 연결간(50)을 연결하는 연결간고리(31)를 형성하여 연결간고리(31)에는 연결간(50)을 훅고리(32)에는 훅(4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만든 안전벨트원단(10)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안전벨트원단(10)은 탄성이 없는 실로 제직하여 직물튜브를 만들어 직물튜브 내부에 탄성부재(22)를 넣고 보호하면서 힘을 가하면 늘어나는 탄성부(20)를 만들고 탄성부(20)의 양단은 탄성이 없는 실로 제직한 제직부(30)를 탄성부(20)에 연속하여 일체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므로 힘을 가하지 아니할시는 튜브직물(21)의 내부에 있는 탄성부재(22)에 의하여 탄성부(20)가 주름이 형성되면서 탄성부(20)가 줄어지고 힘을 가하면 늘어나도록 구성되어 탄성부는 단순히 길이가 줄어들고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효과와 충격흡수용 고소작업 안전벨트의 길이가 짧아지는 효과는 있지만 탄성부의 줄어진 부분의 주름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일부는 크고 일부는 적게 형성되거나 또는 주름이 일부에는 형성되고 일부는 형성되지 않아 탄성부의 주름의 크기가 일정하지 못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작업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1-004413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264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부에 형성되는 주름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면서도 추락시 탄성부의 충격흡수기능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일단은 작업자의 허리벨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각종 고처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탄성부와 제직부로 구성된 안전로프원단에 있어서,
다수개의 위사와는 제직되지 아니한 후에 위사와 제직되고 다시 다수개의 위사와는 제직되지 않고 위사와 제직되는 것을 반복하는 고무사로 된 경사·화섬사로 된 경사 및 위사로 제직하여 튜브형상으로 제직하여 탄성부재를 보호하는 상부직물과 하부직물로 된 튜브직물과 상기 튜브직물의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상·하부직물(210,220) 각각의 위사와 경사로 제직하여 탄성부(200)의 양단에 연속하여 일체로 상·하부직물(210,220)로 구성하되 상·하부직물(210,220) 사이에 탄성부재(203)를 위치시키도록하고 연결사로 상기 제직한 상·하부직물(210,220)의 위사(201a)와 위사(201b) 사이를 교호적으로 교차시켜 제직하는 제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다수개의 위사와 미스니트(miss knit, welt 편직) 후에 하나의 위사와 제직하고 다시 다수개의 위사(201)와 미스니트(miss knit, welt 편직) 하고 하나의 위사와 제직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사로 된 경사(204)가 상부직물(210)과 하부직물(220)에 제직되는 위치를 교호적으로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사로 된 경사(204)의 미스니트(miss knit, welt 편직)와 제직을 6피크(pick) 내지 24피크(pick)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3개 내지 8개의 화섬사 천연사(이하 화섬사)의 사이에 고무사를 1개가 반복되도록 경사(202)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는 반연신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성부(200)에 형성되는 주름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여 탄성부(200)에 형성된 주름의 크기가 달라 착용자가 착용시에 이질감을 느끼는 것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튜브직물을 고무사 또는 반연신사를 사용하여 제직하므로 충격을 가할시에 늘어나게 착용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추락시 일시에 큰 힘으로 가해지지 않고 순간적으로 여러 번으로 나누어져 작업자에게 충격을 가해지는 것이므로 일시에 큰 힘으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방지하여 작업자에게 충격을 최소화하여 낙하시에 충격으로 인한 제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 있는 것입니다.
도1은 종래의 충격흡수벨트를 것으로 보인 도면으로
도 1a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를 보인 것이고,
도 1b는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에 충격이 가해져 안전벨트가 벌어지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2a는 일반적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보인 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의 탄성부의 조직도
도 3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원단의 개략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안전벨트원단 탄성부의 조직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원단 탄성부의 다른 조직도
도 6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원단 탄성부의 또 다른 조직도
도 7a은 본 발명의 안전벨트원단 제직부의 조직도
도 7b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원단 제직부의 다른 조직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안전벨트원단 탄성부의 조직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직부의 조직도를 보인 것으로
안전벨트의 일단인 연결간(500)은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그네의 허리벨트에 연결하고 타단의 훅(400)은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각종 고처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탄성부(200)와 제직부(300)로 구성된 안전벨트원단(100)은 중앙에는 충격을 가하면 늘어나는 탄성부(200)를 만들고 상기 탄성부(200)의 양측에 일체로 제직부를 만들어 제직부(300)의 일단은 훅(400)을 연결하는 훅고리(320)를 타단은 연결간(500)을 연결하는 연결간고리(310)를 형성한 안전로프원단(100)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안전벨트원단(100)의 탄성부(200)는 고무사로 된 경사(204), 화섬사로 된 경사(202)와 화섬사로 된 위사(201)로 제직하는데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다수개의 위사(201a)와 제직하지 아니하고 미스니트(miss knit, welt 편직)한 후에 위사(201b)와 제직하고 다시 다수개의 위사(201a)와 제직하지 않고 미스니트(miss knit, welt 편직)한 후 다시 위사(201b)와 제직되는 것을 반복하여 상부직물(210)과 하부직물(220)로 된 튜브직물 만들고 튜브직물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03)가 있게 되어 탄성부재(203)를 보호하는 된다.
상기 상.하부직물(210,220)은 각각 위사와 경사를 사용하여 평직하여 튜브형상의 튜브직물로 제직하게 된다.
즉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상.하부직물(210,220)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제직되지 아니할시는 심사로 되고 제직시에는 경사로 사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200)의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위사(201b)와 제직하여 경사(204)로 사용되는 경우에 하나의 위사(201b)와 제직될수도 있고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개의 위사(201a)와 제직될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소정의 간극을 갖고 제직되므로 미스니트(miss knit, welt 편직)된 부분의 경사가 심사는 줄어지게 되어 튜브직물은 주름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심사로 사용된 고무사에 의하여 탄성부(200)는 줄어져 주름이 형성되어 탄성부(200)의 길이가 짧아짐으로서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작업하는 작업자가 작업시에 편리하게 작업활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직물(210), 하부직물(220)과 제직되는 고무사로 된 경사(204)의 위치를 동일한 위치에서 하지않고 다른 곳에 위치하도록 교호적으로 제직할수도 있다.
이는 상부직물(210)이 형성하는 주름와 하부직물(220)이 형성하는 주름의 위치를 엇갈려 교호적으로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6 피크(pick : 가로방향의 위사) 내지 24피크(pick)의 사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6피크(pick) 이하일 경우에는 주름의 개수가 많고 24피크(pick) 이상일 경우에는 주름의 크기가 크게 되는 튜브직물로 된 안전벨트원단(100)의 지름이 커지는 되는 문제점이 있어 피크(pick : 가로방향의 위사)는 6피크(pick) 내지 24피크(pick : 가로방향의 위사) 사이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3개 내지 8개의 화섬사 천연사(이하 화섬사)로 만든 경사(202) 사이에 고무사인 경사 1개가 반복되도록 경사를 형성하여 한다.
고무사로 된 경사(204)를 경사로 많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성부(200)의 인장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고무사의 개수를 적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름이 형성되지 아니하거나 완전한 주름이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경사로 사용하는 고무사(204)는 화섬사의 경사(202) 3개 내지 8개 사이에 고무사로 된 경사(204)를 1개씩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섬사는 화학 섬유로 만든 실을 의미하고, 원료를 가열 처리하여 가늘고 긴 화섬사를 제조하는 공지의 화섬사의 제조방법인 합성수지 97중량% ∼ 99.9중량%와 나노실버 0.1중량% ∼ 3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혼합물한 원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실을 비롯하여 공지된 다양한 방법 종류 및 형태의 실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 화섬사로 만든 경사중에서 일부는 반연신사를 사용할수도 있다
반연신사는 포이사(POY, Partially Oriented Yarn), 예비 배향사, 부분 연신사라고도 불리워 지는 것으로 화섬사를 만들때 보통의 방사속도로 방사된 것은 3 내지 4배로 연신을 해주어야 사용할 수 실로 만들어져 실오 사용할 수 있으나 방사속도가 3,500m/min 전후가 되면 방사되는 실은 자연적으로 상당한 연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 1.5배만 연신해도 종래의 사와 같은 물성을 얻을 수 있어, 원가를 낮추는 등의 이점이 있어 반연신사를 사용하는데 반연신사는 연신이 전부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일러나게 되어 있는 관계로 큰 힘을 가하면 연신이 되어 아니한 부분은 연신될 수 있는 것이므로 고공에서 추락시 가해지는 충격으로 반연신사로 만든 튜브직물이 늘어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강한 충격을 완화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03)는 추락시에 가해지는 추락하중에 의하여 늘어나 충격하중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굵고 강한 하나의 러버(rubber)로 된 고무사를 사용할 수 도 있고 다수개의 고무사를 사용하거나 또는 고무사의 외면을 실로 감싸 만든 고무사를 다수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탄성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03)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만들지 아니하고 일부의 탄성부재는 짧고 일부는 상대적으로 길이를 길게 한 탄성부재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03)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고 길게 만드는 것에 의하여 길이가 짧은 탄성부재가 충격을 먼저 흡수하고 연이어 상대적으로 긴 탄성부재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낙하충격을 다단계를 거쳐 낙하충격을 흡수하므로 낙하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탄성부(200)의 상.하직물(210,220)로 구성되어 있는 튜브직물은 화섬사 또는 천연사 등의 탄성이 없는 실로 제직하여 튜브직물의 내측에 있는 탄성부재(203)를 보호함으로서 탄성부재(20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추락할 시에 큰 충격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인장강도를 갖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탄성부(200)를 내부에는 탄성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외부에는 화섬사로 제직된 튜브직물로 구성함으로서 튜브직물에 의하여 인장강도를 부여하여 고소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지상으로 추락하시에 안전벨트가 끊어지지 않아 지상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추락시에 탄성부에 추락하중이 가해지면 일차적으로는 탄성부재가 늘어나면서 추락하는 낙하충격을 일차로 흡수하고 탄성부재가 늘어나 직물튜브의 길이만큼 늘어나게 되면 탄성이 없는 직물튜브의 탄성체가 늘어나 2차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여 탄성부에서 추락하는 작업자에게 일시에 큰 충격을 가해지지 않고 시간적 차이를 두고 순차적으로 나누어 낙하충격을 흡수하므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낙하충격의 강도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제직부(300)는 상부직물(310)과 하부직물(320)로 구성하되 상.하부직물(310,320)을 각각 화섬사 등의 탄성이 없고 질긴 실로 제직한 것으로 위사와 경사를 사용하여 평직하여 상부직물(310)과 하부직물(320)은 사이에 탄성부재(203)가 위치하도록 하여 연결사(311)로 상기 평직한 상.하부직물(310,320)을 교호적으로 교차시켜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을 일체로 만들어 추락시 가해지는 낙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인장강도를 갖게 하였다.
상기 제직부(300)의 양단에는 제직부를 절곡하여 양단에 고리를 만들어 훅(400)과 연결간(500)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원단(100)을 만든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작업자는 안전벨트의 연결간(500)을 연결하고 훅(400)은 작업장의 파이프나 지지간 등의 안전구조물에 연결하여 높은 곳에서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안전벨트원단(100)의 중앙부에 제직된 탄성부(20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203)를 사용하여 안전벨트에 힘을 가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탄성부재(203)의 길이가 줄어 안전벨트의 길이가 짧아 작업시에 외부의 물체와 부딪치거나 걸림을 방지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고소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203)가 튜브직물의 탄성부재의 길이만큼 늘어져 작업자를 안전구조물에 매달려 있으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작업자가 작업장 바닥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추락시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203)가 먼저 늘어나게 되어 1차로 충격을 흡수하고 연속하여 튜브직물과 탄성부재(203)의 길이가 같게 되면 탄성이 없는 탄성부재를 감싸고 있는 튜브직물에 의하여 2차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고 연속하여 탄성체와 탄성이 없는 화섬사나 천연사로 제직한 제직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므로 다단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낙하추락시에 발생하는 추락 충격을 여러단계로 흡수하여 작업자에게 충격을 최소화하여 낙하시에 충격으로 인한 제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안전벨트원단 200 : 탄성부 201 : 위사
202 : 경사 203 : 탄성부재 204 : 고무사로된 경사
300 : 제직부 400 : 훅 500 : 연결간

Claims (5)

  1. 일단은 작업자의 허리벨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작업장의 안전구조물에 탈착가능하게 설치하여 각종 고처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탄성부와 제직부로 구성된 안전로프원단에 있어서
    다수개의 위사(201a)와는 제직되지 아니하고 미스니트(miss knit, welt) 후에 위사(201b)와 제직되고 다시 다수개의 위사(201a)와는 제직되지 않고 다시 위사(201b)와 제직되는 것을 반복하는 고무사로 된 경사(204). 화섬사로 된 경사(202) 및 위사(201)로 제직하고 튜브형상으로 제직하여 탄성부재(203)를 보호하는 상부직물(210)과 하부직물(220)로 된 튜브직물과 상기 튜브직물의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03)로 구성되는 탄성부(200)와 상기 상.하부직물(210,220) 각각의 위사(201)와 경사(202)로 제직하여 탄성부(200)의 양단에 연속하여 일체로 상.하부직물(210,220)로 구성하되 상.하부직물(210,220) 사이에 탄성부재(203)를 위치시키도록하고 연결사로 상기 제직한 상.하부직물(210,220)의 위사(201a)와 위사(201b) 사이를 교호적으로 교차시켜 제직하는 제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다수개의 위사(201a)와 미스니트(miss knit) 후에 하나의 위사(201b)와 제직하고 다시 다수개의 위사(201a)와 미스니트(miss knit)하고 하나의 위사(201b)와 제직하는 것을 반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무사로 된 경사의 미스니트(miss knit)와 제직을 6피크(pick) 내지 24피크(pick)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4. 제1항에 있어서,
    고무사로 된 경사(204)는 3개 내지 8개의 화섬사 천연사의 사이에 고무사를 1개가 반복되도록 경사(202)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5. 제1항에 있어서,
    화섬사로 된 경사(202)는 반연신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20120013216A 2012-02-09 2012-02-09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23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16A KR101237196B1 (ko) 2012-02-09 2012-02-09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16A KR101237196B1 (ko) 2012-02-09 2012-02-09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196B1 true KR101237196B1 (ko) 2013-02-25

Family

ID=4790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216A KR101237196B1 (ko) 2012-02-09 2012-02-09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1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537B1 (ko) 2013-10-08 2015-04-08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23031A (ko) 2014-08-21 2016-03-03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20160061949A (ko) 2016-05-20 2016-06-01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797672B1 (ko) * 2017-07-24 2017-11-15 박준영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1825806B1 (ko) * 2016-02-17 2018-02-06 김도연 엘라스틱 일체형 충격흡수밴드
KR101893009B1 (ko) * 2017-09-18 2018-08-30 박준영 탄력성을 갖는 벨트 끈
KR102513879B1 (ko) * 2022-06-14 2023-03-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706A (ja) 2004-08-20 2005-01-27 Fujii Denko Co Ltd 高所作業用の安全帯
JP2005281923A (ja) 2004-03-30 2005-10-13 Ykk Corp 衝撃吸収ロープ
US7743885B2 (en) 2006-03-09 2010-06-29 Arc'teryx Equipment Inc. Load bearing system, and an article including such load bearing system
KR20110009822A (ko) * 2009-07-23 2011-01-31 김정석 신축안전로프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1923A (ja) 2004-03-30 2005-10-13 Ykk Corp 衝撃吸収ロープ
JP2005021706A (ja) 2004-08-20 2005-01-27 Fujii Denko Co Ltd 高所作業用の安全帯
US7743885B2 (en) 2006-03-09 2010-06-29 Arc'teryx Equipment Inc. Load bearing system, and an article including such load bearing system
KR20110009822A (ko) * 2009-07-23 2011-01-31 김정석 신축안전로프원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537B1 (ko) 2013-10-08 2015-04-08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23031A (ko) 2014-08-21 2016-03-03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825806B1 (ko) * 2016-02-17 2018-02-06 김도연 엘라스틱 일체형 충격흡수밴드
KR20160061949A (ko) 2016-05-20 2016-06-01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797672B1 (ko) * 2017-07-24 2017-11-15 박준영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1893009B1 (ko) * 2017-09-18 2018-08-30 박준영 탄력성을 갖는 벨트 끈
KR102513879B1 (ko) * 2022-06-14 2023-03-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WO2023243872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19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EP2971300B1 (en) Energy absorbing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JP5091348B2 (ja) 衝撃吸収繊維構造体
US8997317B2 (en) Connector for fall protection
US8567559B2 (en) Shock absorbing fabric structures
KR100788519B1 (ko) 신축성 구명줄
JP2010106492A (ja) 衝撃吸収ネ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防護体
JP2005281923A (ja) 衝撃吸収ロープ
KR10151053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3269B1 (ko) 슬라이딩 하우스 내 안전벨트 시스템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EP43175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ck absorption lanyard including partially-oriented yarn having easily adjustable length
KR100791148B1 (ko) 안전로프원단
KR101893009B1 (ko) 탄력성을 갖는 벨트 끈
KR101637149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20180047799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5394856B2 (ja) 衝撃吸収ロープ及び衝撃吸収ロープの製造方法
JP2013540903A (ja) リトラクタブルエネルギー吸収性帯ひも及びその製造方法
JP6223689B2 (ja) 衝撃荷重緩和ロープ及びランヤード
KR102537382B1 (ko)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KR20160023031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JP2009174245A (ja) 安全ネット用ロープおよび安全ネット
JP7487915B2 (ja) エネルギー吸収ランヤード
KR20130117918A (ko) 충격흡수용 안전벨트의 직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