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412B1 -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412B1
KR101233412B1 KR1020100140703A KR20100140703A KR101233412B1 KR 101233412 B1 KR101233412 B1 KR 101233412B1 KR 1020100140703 A KR1020100140703 A KR 1020100140703A KR 20100140703 A KR20100140703 A KR 20100140703A KR 101233412 B1 KR101233412 B1 KR 10123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rajectory information
input
comparing
refere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415A (ko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서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to KR102010014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4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위급상황을 나타내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위급상황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영상 중 저장되어 있는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영상만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위급상황에서 빠르게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촬영되는 각도가 기준영상이 촬영된 각도와 다르더라도 사용자가 보내는 신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Method for sending signal of crisis through comparing motion picture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경비시스템의 감시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고, 자동으로 위급상황신호를 송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위급상황을 나타내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위급상황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갈수록 지능화, 고도화되어가는 범죄들에 대하여 개인의 재산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방범 및 경계 수단으로서 개인용 호신용 장비나 유.무인 경비 시스템을 갖춘 경비용역업체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공간적 요소 및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유인경비 시스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용이 유리한 무인경비 시스템을 이용한 경비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이러한 무인 경비시스템은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처했다고 판단되면 그에 따라 경찰서, 경비회사, 경비 시스템 관리자 등에 자동으로 위험상황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경비시스템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무인 경비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자세를 유지한 채 정해진 시간 이상을 정지하고 있으면 위급 상황을 알리는 것으로 인식하여 경보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급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 영상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기준화면 설정부(12)와, 감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동영상에서 정지영상을 검출하는 영상 검출부(11)와, 영상 검출부(11)에서 검출된 영상과, 기준화면 설정부(12)에 기 설정된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영상 비교부(13)와, 영상 비교부(13)의 비교 결과에 의해 영상 검출부(11)에서 검출된 영상과 기준화면 설정부(12)에 기 설정된 영상이 일정 오차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그 상황을 위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위기 상황 판독부(14)와, 위기 상황 판독부(14)에서 출력되는 경보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경보 신호 송출부(15)로 구성된다.
상기한 위기 상황 판독부(14)는 두 화면의 비교에 의해 위기 상황을 인식하는데, 사용자가 물건을 꺼낸다거나, 무의식적인 몸 동작 중 상기 기준화면에 저장된 자세와 유사한 자세를 취하게 될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위기 상황 송출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위기 상황 판독을 위한 일정 시간을 미리 설정한 후, 사용자가 상기 기준 화면과 유사한 자세를 그 시간 이상 계속하고 있는 경우만을 위기 상황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무인 경비시스템은 감시시스템의 조작이나 리모콘등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 비해 강도와 마주한 위급상황에 있어서 강도에게 발각되지 않고 경보를 발신 할 수 있는 면에서 효과적이지만, 일정한 제약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위급 상황을 알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정해진 자세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위급 상황에서 특정한 자세를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도를 당하고 있는 경우 강도를 앞에 두고 특정한 자세를 일정시간 유지하고 있으면, 강도 등을 자극하여 이차적인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영상 중 정지 영상을 분리하여 기준이 되는 화면과 비교를 하는 방식의 경우 촬영되는 사용자의 각도가 기준화면에서 촬영된 각도와 조금만 달라져도 동일한 자세를 취하더라도 오차가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촬영된 사용자가 위급 상황을 알리고 있는 것인지 분간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만약 오차 범위를 넓게 하여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면 실제 위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며, 반대로 오차범위를 좁게 하여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면 실제 위급상황이 발생하였고 사용자가 요구되는 자세를 취한 경우에도 약간의 자세의 차이, 촬영되는 각도의 차이, 카메라와 사용자간의 거리차로 인한 화면에서 차지하는 사용자 영상의 크기 차이 등으로 인해 위급상황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어 문제가 많이 되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촬영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여 정지영상만을 비교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 예상되는 부정확성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기준영상저장부;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저장하는 궤적정보저장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중 상기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영상비교부; 상기 기준영상비교부에서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상기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궤적정보비교부; 및 상기 궤적정보비교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영상 중 저장되어 있는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영상저장부에는 각각 촬영각도를 달리하여 촬영된 복수의 정지영상이 기준영상으로 저장되고, 상기 기준영상비교부는 상기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궤적정보비교부는 상기 추출된 촬영각도를 이용하여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준영상비교부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궤적정보비교부는 상기 비교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입력된 영상을 녹화한 영상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지영상만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비교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위급상황에서 빠르게 신호를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촬영되는 각도가 기준영상이 촬영된 각도와 다르더라도 사용자가 보내는 신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비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궤적추적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영상입력부(110), 기준영상저장부(120), 궤적정보저장부(130), 기준영상비교부(140), 궤적정보비교부(150) 및 신호전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입력부(110)는 외부의 카메라 등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와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을 입력받는다.
기준영상저장부(120)는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을 저장한다.
이 기준영상은 궤적 추적을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짓는 기준이 되는 영상이다. 도 4의 경우를 예를 들면 (a)에 도시된 영상과 같은 영상이 된다.
한편, 기준영상저장부(120)에는 하나의 기준영상만 저장이 될 수도 있지만, 각각 촬영각도를 달리하여 촬영된 복수의 기준영상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영상의 경우 촬영을 당하는 사람이 동일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경우라도 촬영 각도가 조금만 달라지면 비교시 오차가 많이 발생하므로 각기 다른 각도로 촬영된 기준영상을 여러개 저장하여 두고 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면, 오차 발생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궤적정보저장부(130)는 위급신호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궤적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위급신호를 판단할 때에는 특정 부위의 궤적을 추적하여 그 궤적이 저장되어 있는 궤적과 동일한 패턴의 궤적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 때 궤적을 그리는 부위를 기준요소로 설정하여 두고, 그 기준요소가 움직이는 궤적을 추적하게 된다.
궤적정보저장부(130)는 이러한 기준요소가 그리는 궤적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 궤적에 관한 정보가 기준궤적정보로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기준요소는 손, 발, 머리 등 인체의 일부분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몸전체가 되거나 사용자가 들고 있는 특수한 물체가 될 수도 있다.
기준영상비교부(140)는 기준영상저장부(120)에 저장된 기준영상과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서 추출되는 정지영상을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동일한 자세를 각각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복수의 기준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의 피사체인 사용자가 카메라를 정면으로 바라보지 않고 있더라도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영상입력부(110)을 통하여 영상이 입력되면, 기준영상비교부(140)는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정지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지영상을 저장된 복수의 기준영상과 비교를 하게 된다.
정지영상의 비교를 통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와는 달리, 본 발명의 경우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정지영상을 비교하는 이유는 위급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위급상황을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한 궤적 비교를 시작할 것인지 말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정지영상을 비교할 때에는 오차범위를 넓게 설정하여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정지영상만을 비교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경우에는 오차범위를 넓게 하면 실제로 위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위급상황인 것으로 알리는 신호가 남발이 되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위급상황 여부는 후술하는 궤적정보비교부(150)에서 궤적정보를 비교하여 결정하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정지영상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서의 사용자 영상의 크기와 기준영상에서의 기준 사용자 영상의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의 비를 산출하고, 그 크기의 비만큼 기준영상 또는 입력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비교를 한다.
피사체의 영상의 크기를 비교할 때에는 피사체 전체 영상의 윤곽선 또는 머리 등 피사체의 특정 부위의 윤곽을 추출한 후, 그 윤곽선이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영상에서 사람 또는 사람의 특정 부위의 윤곽선을 잡아내는 기술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정지영상을 비교할 때에는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는 작업도 수행한다.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 기준영상이 많이 저장되어 있어서 거의 모든 각도에서 촬영이 된 영상들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순히 입력된 영상과 저장된 복수의 기준영상 중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장 일치하는 기준영상이 촬영된 각도를 알면 그 각도가 좔영각도가 될 것이므로 특별한 연산이 필요하지는 않다.
그러나, 입력된 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기준영상의 촬영각도와 다른 촬영각도로 촬영된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촬영각도를 추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영상이 피사체의 오른쪽 10도 각도에서 촬영된 제1기준영상과 오른쪽 20도 각도에서 촬영된 제2기준영상의 중간 정도의 촬영각도에서 촬영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입력된 영상이 제1기준영상에 가까운지, 제2기준영상에 가까운지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10~20 사이의 촬영 각도 사이에서 촬영각도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된 영상의 촬영각도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장의 기준영상의 필요할 것이다.
2장의 기준영상의 촬영각도가 90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에서의 피사체의 모습이 너무 다르기 때문에 그 중간의 촬영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의 촬영각도가 어느 정도가 될지 연산하는 것이 힘들지만, 기준영상들의 촬영각도 차이가 그 보다 작은 각도, 예를 들어 30도 이하의 각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신뢰성 있는 예측이 가능할 것이다.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는 저장된 기준영상들간의 촬영각도의 차가 작아지도록 더 많은 기준영상을 저장하면 될 것이다.
정리하면, 기준영상비교부(140)는 입력된 영상과 저장된 기준영상들을 비교하며, 입력된 영상과 기준영상에서의 피사체 영상의 전체 또는 몸의 일부의 영상의 크기를 이용하여 크기의 비를 연산하고, 그 연산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 또는 기준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양 영상이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된 복수의 기준영상 중 어떤 기준영상에 유사한지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각도를 추출해낼 수 있다.
궤적정보비교부(150)는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준요소의 궤적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준요소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사체인 사용자의 몸의 전체 또는 일부를 말하며 시스템 관리자 또는 설계자가 설정한 부위를 말한다.
도 4는 손을 기준요소로 하였을 때 궤적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a)에서와 같이 손을 가슴에 모았다가 (b), (c), (d), (e), (f), (g)의 순으로 손을 벌리는 경우, 궤적은 (g)에 도시된 것과 같이 된다.
궤적정보비교부(150)는 입력된 영상에서 기준요소가 움직이는 궤적을 추출하고 그 궤적을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기준궤적정보와 비교하여 궤적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영상에서 사람의 특정부위를 추출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궤적정보비교부(150)에서 궤적정보를 비교할 때에는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산출된 크기의 비에 대한 정보와 촬영각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기의 비는 궤적의 크기를 비교하는데 이용된다. 입력된 영상에서의 피사체의 크기가 저장된 기준영상에서의 피사체의 크기보다 작다면, 입력된 영상에서 추출된 궤적도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궤적보다 작을 것이므로,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산출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에서 추출된 궤적을 확대하거나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궤적정보의 궤적을 축소하여 비교를 한다.
한편, 궤적정보저장부(130)에 하나의 궤적정보만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궤적정보를 추출한 영상과 촬영각도가 다른 상태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추출한 궤적과는 그 모양이 달라질 것이므로 촬영각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궤적을 수정한 후 비교를 하게 된다.
정지영상의 경우에는 하나의 영상에서 그 영상내의 피사체가 각도를 달리한 모습을 연산을 통하여 추출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동영상의 경우에는 벡터기술을 이용하면 촬영되는 각도를 달리하였을 때 현재 보이는 궤적이 어떻게 변경될 것인지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촬영각도만 알 수 있으면 하나의 궤적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의 궤적정보와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궤적정보를 이용하여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촬영되는 사용자의 촬영각도가 조금 달라지더라도 정확한 비교를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지영상의 비교보다 복잡한 연산이 수행이 되는 궤적정보의 비교를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비교되는 정지영상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수행이 되므로, 처음부터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경우에 비해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신호전송부(160)는 궤적정보비교부(150)에서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가 그리는 궤적과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궤적정보의 궤적이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된 사용자가 위급상황을 알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한다.
신호를 송출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입력된 영상을 관리하는 관리사무실 등에 경보음이 송출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경찰서나 경비회사 등에 직접적으로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송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관리자의 휴대폰 등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에 문자메시지 등의 형식으로 위급상황이 신고되었다는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송출될 때에는 위급상황을 알리는 모습이 촬영된 영상이 같이 송출되도록 하여, 신호를 받은 사람이 영상을 보고 위급상황이 맞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은 생략했지만, 통상적인 감시 시스템, 경비 시스템 등에서는 촬영된 영상을 일정 분량 이상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 중 위급상황을 알리는 모습이 촬영된 분량을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이다.
한편,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송출될 때에는 그 신호가 발생된 위치정보가 같이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감시카메라는 고정된 곳에 설치되어서, 신호가 발생된 위치정보는 그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정보와 일치하므로, 신호가 발생된 위치정보는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정보가 될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입력부(110)는 외부의 카메라 등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와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을 입력받는다(201).
기준영상비교부(140)는 기준영상저장부(120)에 저장된 기준영상과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서 추출되는 정지영상을 비교하여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02).
만약, 오차범위 내에서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203), 기준영상비교부(140)는 입력된 영상과 기준영상의 크기의 비 및 입력된 영상이 촬영된 각도를 추출한다(204).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정지영상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영상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서의 사용자 영상의 크기와 기준영상에서의 기준 사용자 영상의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의 비를 산출하고, 그 크기의 비만큼 기준영상 또는 입력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비교를 하며, 이 때 피사체 전체 영상의 윤곽선 또는 머리 등 피사체의 특정 부위의 윤곽을 이용하여 크기의 비를 산출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기준영상저장부(120)에 각기 다른 각도에서 동일한 자세를 촬영한 복수의 기준영상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는 작업도 수행될 수 있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3에서는 먼저 입력된 영상과 기준영상이 일치하는 경우에 양 영상의 크기의 비나 촬영된 각도를 산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크기의 비나 촬영각도의 추출은 입력된 영상과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추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단계(202) 및 단계(204)의 순서는 도 3과 다르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궤적정보비교부(150)는 기준영상비교부(140)에서 추출된 크기의 비 및 입력된 영상의 촬영각도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 또는 궤적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궤적정보를 수정한 후 양 궤적정보의 궤적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05).
만약 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신호전송부(160)는 촬영된 사용자가 위급상황을 알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한다(206).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가 송출될 때에는 위급상황을 알리는 모습이 촬영된 영상 및 그 신호가 발생된 위치정보가 같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까지 미친다.
예를 들어, 앞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및 기준영상의 크기의 비나 입력되는 영상의 촬영각도 등을 추출하는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을 생략하고, 단순하게 기준영상을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영상과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준요소의 궤적을 비교하는 구성만으로 수행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기준영상저장부;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저장하는 궤적정보저장부;
    상기 영상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중 상기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영상비교부;
    상기 기준영상비교부에서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상기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궤적정보비교부; 및
    상기 궤적정보비교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저장부에는 각각 촬영각도를 달리하여 촬영된 복수의 정지영상이 기준영상으로 저장되고,
    상기 기준영상비교부는 상기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궤적정보비교부는 상기 추출된 촬영각도를 이용하여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비교부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궤적정보비교부는 상기 비교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부는
    상기 입력된 영상을 녹화한 영상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시스템.
  5.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영상 중 저장되어 있는 기준이 되는 정지영상인 기준영상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
    상기 기준영상과 일치하는 영상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준영상의 피사체의 특정 부위인 기준요소의 움직이는 궤적에 관한 정보인 기준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와 기준궤적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에는 각각 촬영각도를 달리하여 촬영된 복수의 정지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영상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과 입력된 영상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피사체의 촬영각도를 추출하고,
    상기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촬영각도를 이용하여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영상과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피사체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된 크기의 비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궤적정보와 상기 입력된 영상의 기준요소의 궤적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을 녹화한 영상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140703A 2010-12-31 2010-12-31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KR101233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703A KR101233412B1 (ko) 2010-12-31 2010-12-31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703A KR101233412B1 (ko) 2010-12-31 2010-12-31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15A KR20120078415A (ko) 2012-07-10
KR101233412B1 true KR101233412B1 (ko) 2013-02-15

Family

ID=4671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703A KR101233412B1 (ko) 2010-12-31 2010-12-31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69B1 (ko) * 2013-03-22 2014-09-24 에프엔엔(주) 지능형 객체감지를 통한 범죄행위 판별방법 및 그 장치
EP3557549B1 (de) 2018-04-19 2024-02-21 PKE Holding AG Verfahren zur bewertung eines bewegungsereignisses
KR102529549B1 (ko) * 2022-10-31 2023-05-08 더죤환경기술(주) 하수관거의 악취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2529548B1 (ko) * 2022-10-31 2023-05-08 더죤환경기술(주)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 장치 및 제거 방법
KR102558747B1 (ko) * 2022-12-27 2023-07-25 주식회사 한결가치 내진 기능을 갖춘 하수관거의 유독가스 배출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56262B1 (ko) * 2022-12-27 2023-07-18 주식회사 한결가치 자동 통풍기능을 갖춘 하수관거용 자동 통풍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558746B1 (ko) * 2022-12-27 2023-07-25 주식회사 한결가치 친환경 하수관거의 악취 저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6596650B (zh) * 2023-07-17 2023-09-22 上海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识别技术的银行实物管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586A (ko) * 2008-09-18 2010-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기반의 상황 인식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586A (ko) * 2008-09-18 2010-03-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기반의 상황 인식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415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412B1 (ko) 모션영상 비교를 통한 위급상황 신호 송출방법 및 송출시스템
US10558863B2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video surveillance method
US20140146172A1 (en) Distributed image processing system
KR101464344B1 (ko) 감시 영상의 정상 상태 학습을 통한 이상 상태 감지 방법과 이를 적용한 감시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시스템
KR101467352B1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KR101328246B1 (ko) 이동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485022B1 (ko) 행동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20124785A (ko)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JP5114924B2 (ja) 防犯ロボットシステムによる警告方法及び防犯ロボットシステム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5186A (ko) 딥 러닝 기법을 활용한 지능형 무인 보안 시스템
KR101894399B1 (ko)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을 포함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2669B1 (ko) 지능형 객체감지를 통한 범죄행위 판별방법 및 그 장치
KR101084914B1 (ko) 차량번호 및 사람 이미지의 인덱싱 관리시스템
KR101005568B1 (ko) 지능형 방범 시스템
KR102233679B1 (ko) Ess 침입자 및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90072323A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영상 감시방법
CN106572324A (zh) 一种节能型智能监控装置
KR101772391B1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분석 모듈을 이용하는 확장형 감시 장비
KR102143873B1 (ko) 액션 캠 모듈을 이용한 사람 및 사물 인식 시스템
KR101848320B1 (ko) 총소리 감지 및 영상촬영 방법
KR20160123410A (ko) 능동형 상황 감지 시스템
KR20100135103A (ko)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09074710B (zh) 闭路电视机顶盒防盗方法及装置
KR101634622B1 (ko) 위치정보 및 cctv를 이용한 통합관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