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703B1 -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703B1
KR101232703B1 KR1020077023897A KR20077023897A KR101232703B1 KR 101232703 B1 KR101232703 B1 KR 101232703B1 KR 1020077023897 A KR1020077023897 A KR 1020077023897A KR 20077023897 A KR20077023897 A KR 20077023897A KR 101232703 B1 KR101232703 B1 KR 10123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knitting
boundary
finger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348A (ko
Inventor
가즈요시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0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tubular portions of variable diameter or distinct axial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Glov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착용하기 쉽고 착용했을 때에 조르는 기분이 적어 착용감이 높고 3개 이상의 통모양부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한다. 통모양부의 접합은, 2개의 통모양부를 전후의 편성포의 경계부에 있어서 접합하여 하나의 통모양부로 형성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한다. 적어도 1개의 통모양부는, 접합 직전에 있어서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달라지도록 경계부를 설정한다.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다르게 되고,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통모양부에 대하여, 이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킨 후에, 니들베드 사이에서 경계부가 대향하는 2개가 이웃하는 통모양부를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접합한다.

Description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고 3개 이상의 독립 편성된 통모양부가 접합된 통모양 편성포로서, 착용했을 때에 착용감이 좋은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3개 이상의 독립 편성된 통모양부가 접합된 통모양 편성포로서는, 예를 들면 손가락부 또는 발가락부(이하, 구별하지 않고 손가락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구비하는 장갑 또는 양말, 스웨터 등을 들 수 있다. 횡편기를 사용하여 스웨터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특허문헌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몸통은 옷단 부분에서부터, 소매는 커프스 부분에서부터 편성하여, 통모양의 몸통(통모양부)과 통모양의 소매(통모양부)를 진동 둘레 부분에서 접합한다.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장갑이나 양말은,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보통은 각 손가락부를 하나의 통모양부로서 손가락 선단에서부터 편성하여 간다. 그리고 각 손가락부는, 손가락 연결부에 있어서 접합된다. 장갑의 경우에는, 보통 새끼 손가락, 약지, 중지, 검지의 각 손가락부를 편성하여 두고, 이들의 손가락부를 손가락 연결부에서 상호 접합하면서 하나의 통모양부로 하여 4지(指) 몸통을 편성한 후에, 엄지의 손가락부를 편성하여 엄지의 손가락부와 4지 몸통을 한데 합친 5지 몸통을 편성한다.
또한 장갑이나 양말의 편성은, 1개씩 손가락부를 편성하고 손가락부 상호간을 손가락 연결부에서 접합하여 편성하는 경우도 있고(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3개의 손가락부를 접합하여 3지 몸통을 편성한 후에, 3지 몸통에 다른 손가락부를 1개 접합하여 4지 몸통을 편성하고, 나머지의 손가락부를 4지 몸통에 접합하여 5지 몸통을 편성하는 경우도 있다(특허문헌3을 참조). 또한 장갑에서는, 엄지의 손가락부를 사람의 손의 형상을 따르도록, 4지 몸통에 대한 엄지 손가락부의 접합위치를 손바닥의 중심 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하여, 엄지 손가락부를 4지 몸통에 접합하는 경우도 있다(특허문헌4를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66047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39950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20064호 공보
특허문헌4 : 국제공개 제2004/020719호 팸플릿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특히, 손가락부가 있는 장갑 또는 양말에서는, 일반적으로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후 일방의 니들베드에서 손가락부A에 있어서의 손등/발등(이하, 단지 손등이리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측의 편성포A1을 편성하고, 타방의 니들베드에서 손가락부A에 있어서의 손바닥/발바닥(이하, 단지 손바닥 또는 바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쪽의 편성포A2의 편성을 한다. 여기에서 손가락부A는,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통 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stitch 數)(일방의 니들베드로 편성되는 스티치수)와, 바닥쪽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타방의 니들베드로 편성되는 스티치수)가 동수(同數)가 되도록 통모양으로 편성하고 있다.
그리고 손등측 편성포와 손바닥측 편성포의 경계(X)가,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고, 이 경계 부분에서 손가락부A 상호간이 접합되어서 손가락 연결부B가 형성된다. 따라서 장갑 및 양말에 형성되는 손가락 연결부B는, 장갑이나 양말을 손 또는 발에 착용했을 때의 손발의 두께에 대하여, 두께의 중간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그런데 실제의 손이나 발의 형상은, 손가락 연결부분의 선단의 위치가, 발이나 손의 두께에 대하여 바닥에 치우치는 위치에 있고, 손가락 연결부분은, 이 선단에서부터 발등이나 손등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하고 있다. 거기에서, 이 손가락 연결부분의 선단의 위치를, 손가락의 손등 측과 손바닥의 경계라고 하면, 손가락의 주위의 길이는, 상기 경계에 대하여 손등 측의 길이가 바닥 측의 길이보다 길어진다.
이와 같이 실제의 손이나 발은, 손가락 연결부분의 선단이 손이나 발의 두께에 대하여, 손등 측이 아니라 바닥 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장갑이나 양말에서는, 손발의 두께방향 중간위치에 손가락 연결부가 형성되므로, 장갑 또는 양말 착용 시에 실제의 사람의 손발에 있어서의 손가락 연결부분의 위치와 장갑 및 양말의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가 어긋나 버린다. 그 결과, 장갑이나 양말의 착용감이 그다지 좋지 않아 착용하기 어렵다고 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장갑의 경우에, 특허문헌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엄지의 손가락부는, 4지 몸통에 대하여 손바닥측(안쪽)으로 치우치도록 접합하면, 사람의 손의 형상을 따르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4지 몸통에 단지 엄지의 손가락부를 바닥 중심으로 치우치도록 접합한다고 하여도, 각 손가락부가 접합되는 손가락 연결부의 위치는 사람의 손가락 연결부 선단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가 되어, 여전히 착용감이 그다지 좋지 않다.
또한 3개의 통모양부가 접합되어서 구성되는 스웨터의 경우에, 몸통부분을 통모양으로 편성할 때에는, 보통은 앞몸통의 편성포(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와 뒷몸통의 편성포(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편성하고 있다.
그런데 사람의 팔의 움직임은, 몸체에 대하여 팔을 앞으로 내미는 동작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팔의 움직임을 고려하면, 스웨터는, 통모양의 몸통에 대하여, 소매를,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같은 위치가 되도록 접합하는 것 보다,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접합하는 것이 팔의 동작을 쉽게 한다.
본 발명은, 인체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통모양부에 대하여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달라지도록 3개 이상의 통모양부를 접합함으로써, 착용하기 쉽고 착용했을 때에 조이는 기분이 적어 착용감이 좋은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3개 이상의 독립한 통모양부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통모양부의 접합은, 2개의 통모양부를 전후의 편성포의 경계부에 있어서 접합하여 하나의 통모양부로 형성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하고, 적어도 1개의 통모양부는, 접합 직전에 있어서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달라지도록 경계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다르게 되어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통모양부에 대하여는, 이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킨 후에, 니들베드 사이에서 경계부가 대향하는 2개가 이웃하는 통모양부를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접합하는 것도 특징으로 한다.
적어도 1개의 통모양부는, 접합 직전에 있어서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달라지도록 경계부가 설정되지만, 이 경계부의 설정은, 2개의 통모양부의 접합이 이루어지기 전의 각 통모양부에 관하여 접합 직전에 있어서의 니들베드 상에서의 경계부의 위치를 가상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 경계부의 위치의 설정은, 고어 형성의 유무에 관계 없이, 통모양부의 접합이 완료했을 때에,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다르게 되도록 설정을 한다.
예를 들면 2개의 통모양부를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접합할 때, 고어가 형성되지 않고 접합될 경우나, 고어의 길이가 전후의 편성포에서 같은 길이가 되도록 고어가 형성되어 접합될 경우나, 고어의 길이가 전후의 편성포에서 달라지도록 고어가 형성되어서 접합되는 경우가 있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접합 부분을 제외한 편성포 부분에 대하여,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달라지도록 경계부를 설정한다.
또한 경계부의 설정은, 독립 편성되는 통모양부에 대하여는 통모양부의 편성시작 단계에서 경계부를 설정하여도 좋고, 접합 시작위치에 이르는 도중의 편성단계에서 경계부를 설정하여도 좋고, 접합개시 직전에서 경계부를 설정하여도 좋다. 통모양부의 편성시작 단계라 함은, 예를 들면 장갑이나 양말의 경우에는 손가락부의 손가락 선단에서부터 편성하기 시작하여 웨일수가 같은 상태에서 통모양으로 편성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말하고, 스웨터의 경우에는 리브 편성으로 편성되는 커프스 또는 옷단의 편성을 시작하는 시점 또는 리브 편성의 커프스 또는 옷단의 편성이 완료되고 그것에 계속되어서 형성되는 편성포 부분을 편성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말한다.
독립 편성되는 통모양부에 대하여, 통모양부의 편성시작 단계 또는 접합 시작위치에 이르는 도중의 편성단계에서,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달라지도록 경계부를 설정한 경우에는, 통모양부를 접합 시작위치까지 편성한 후에,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켜,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부에서 통모양부 상호간을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편성시작 단계 또는 접합 시작위치에 이르는 도중의 편성단계에서 경계부를 설정하였을 경우에는, 접합 시작위치에 이르는 도중의 편성단계에서,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킨 후에, 통모양부를 접합 시작위치까지 편성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부에서 통모양부 상호간을 접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또한 이하의 스텝을 포함하도록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접합을 하는 2개의 통모양부에 관하여,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통모양부를,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스텝,
b)2개의 통모양부에 관하여, 앞측 편성포 상호간, 뒤측 편성포 상호간을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더블 루프를 하여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접합하는 스텝,
c)2개의 통모양부가 접합되어서 1개의 통모양으로 형성된 통모양부와 다음에 접합하는 통모양부에 관하여,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통모양부를,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스텝,
d)스텝c의 상태의 2개의 통모양부에 대하여, 앞측 편성포 상호간, 뒤측 편성포 상호간을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더블 루프를 하여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접합하는 스텝,
e)접합하는 통모양부가 4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모든 통모양부가 접합될 때까지, 스텝c에서부터 스텝d를 반복하는 스텝.
그리고 2개의 통모양부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접합 부분에 고어를 형성할 수 있다. 고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앞측 편성포 상호간, 뒤측 편성포 상호간을 더블 루프 한 후에,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어를 형성하고 통모양부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이 고어 형성에 의하여 접합 후의 통모양부의 스티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고어 형성에 의하여 스티치수를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어 형성 후에 통모양부를 편성하면서, 스티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통모양부는 웨일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접합 부분에 고어를 형성하는 경우에, 전후의 편성포에서 고어 크기가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더블 루프와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고어를 형성하고, 더블 루프를 하는 스티치수를 전후의 편성포에서 달라지도록 한다. 또한 통모양부의 접합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도 달라지도록 하고 전후의 고어의 길이도 달라지도록 하면, 편성포의 형상을 인체형상에 더 맞는 형상이 되도록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고어 부분의 길이가 다른 경우로서는, 일방의 편성포에 고어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고어 크기가 전후의 편성포에서 달라지도록 하여 2개의 통모양부를 접합할 때에는, 통모양부에 있어서 접합되지 않은 측의 경계부의 위치가, 접합 직전과 접합된 후에 있어서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가 같은 위치가 되도록, 니들베드 상에서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야만 하는 통모양부에 관하여, 통모양부를 회전시키는 전단계에서, 접합이 되지 않는 측의 경계부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와, 고어 형성 완료 후에 있어서의 접합이 되지 않은 경계부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가 같은 위치가 되도록, 경계부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 경계부의 위치는, 편성하는 편성포의 고어의 전후 차이와, 고어의 전후차이에 의하여 생기는 스티치의 회전량에 의거하여 설정한다.
그리고 통모양부의 고어 형성 전후에서, 편성폭 단부에 대하여 같은 위치가 되도록 경계부를 설정하기 위하여는, 통모양부의 편성시작의 단계로부터 경계부를 가상적으로 설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편성시작에서부터 경계부를 설정한 경우에는, 통모양부를 편성시작에서부터 접합 시작위치까지 통모양으로 편성하고, 통모양부를 접합하기 직전에 있어서 회전시켜, 접합측 경계부를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시켜, 통모양부의 스티치를 돌려 넣으면서, 통모양부를 경계부에서 더블 루프 한 후에 코빼기 처리하여 고어를 형성하여 간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예를 들면 장갑이나 양말의 경우에, 손가락부가 되는 통모양부는, 손가락 연결부 형성 위치까지 편성했을 때에, 통모양부에 있어서의 손가락 연결부(전후의 편성포의 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통모양부의 손가락 연결부 형성 위치에 있어서의 손등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와, 바닥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달라지도록 경계부가 설정된다.
장갑이나 양말에 있어서의 경계부의 위치의 설정은, 모든 손가락부 또는 일부의 손가락부에 대하여, 손등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바닥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부의 손가락부에 대하여 손등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길게 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다른 손가락부는, 손등 측과 바닥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를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여도 좋고, 손등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바닥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보다 짧게 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엄지의 손가락부는, 손등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바닥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보다 짧게 되도록 설정하고, 엄지 손가락부 이외는, 손등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바닥 측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스웨터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뒷몸통의 편성포(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앞몸통의 편성포(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앞몸통의 편성포와 뒷몸통의 편성포의 경계부를 설정하고, 좌우 소매에 관해서도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경계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모양부 상호간을 접합하려고 할 때에는,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접합하기 전에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경계부가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켜 둔다. 그리고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된 2개의 통모양부를 경계부에 있어서 접합한다.
또한 통모양부의 편성과 접합은, 복수의 통모양부를 접합 시작위치까지 편성한 후에, 2개씩 통모양부를 접합하여 가도록 하여도 좋고, 1개씩 통모양부를 편성하면서 통모양부를 접합하여 가도 좋다.
이와 같이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다른 통모양부를 포함한 복수의 통모양부의 접합이 완료되면, 접합 전의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다른 통모양부에 관해서는, 통모양부가 접합된 부분의 코스는, 통모양부의 앞측 편성포의 스티치수와 뒤측 편성포의 스티치수가 다르게 된다. 그리고 전후의 편성포의 스티치수의 차이에 의하여 통모양부가 스티치수가 많은 측으로 부풀어 커진 상태가 되도록, 복수의 통모양부가 접합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통모양부의 회전이라 함은, 통모양부의 편성폭 양단부의 스티치 중에서 니들베드 상에서 대각선 상에 위치되는 스티치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바늘로 이동하면서 편성포 전체를 돌리는 동작을 말한다. 또한 상기한 편성포의 돌리기라 함은, 통모양 편성포의 스티치를 더블 루프에 의하여 삭감하면서, 이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를 대향하는 니들베드로 이동하면서 편성폭 중심 측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동작을 말한다.
또한 통모양 편성포가, 손가락 선단에서부터 편성하는 손가락부가 있는 장갑 또는 양말인 경우에는, 통모양부는, 손가락부를 형성하는 통모양부, 2개의 손가락부가 접합되어서 형성되는 통모양부, 3개 이상의 손가락부가 순차적으로 접합되어서 형성된 통모양부를 말한다. 3개 이상의 손가락부가 순차적으로 접합되어서 형성된 통모양부라 함은, 2개의 손가락부가 접합되어서 형성되는 통모양부(2지 몸통)에 손가락부인 통모양부를 접합하여 형성된 통모양부(3지 몸통)이나, 3지 몸통에 손가락부인 통모양부를 접합하여 형성된 통모양부(4지 몸통)이나, 2개의 손가락부가 접합되어서 형성되는 통모양부(2지 몸통)를 2개 형성하고 이들을 접합하여 형성되는 통모양부(4지 몸통)를 말한다.
5개 손가락부의 장갑이나 양말의 경우에, 2개의 손가락부(통모양부)를 접합하여 2지 몸통(통모양부)을 형성하고, 이 2지 몸통을 다음에 접합하는 손가락부(통모양부)와 접합하여 3지 몸통(통모양부)을 형성하고, 3지 몸통을 다음에 접합하는 손가락부(통모양부)와 접합하여 4지 몸통(통모양부)을 형성하고, 4지 몸통을 다음에 접합하는 손가락부(통모양부)와 접합하여 5지 몸통(통모양부)을 형성함으로써 5개의 손가락부가 손가락 연결부에서 접합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손가락부가 아닌 2지 몸통, 3지 몸통 등의 통모양부도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달라지도록 경계부가 설정되고, 2지 몸통 등의 통모양부를 손가락부와 접합하는 경우에는, 2지 몸통 등의 통모양부는,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킨다.
또한 스웨터의 경우의 통모양부라 함은, 통모양으로 편성되는 몸통, 좌우 소매, 몸통과 한 쪽의 소매가 접합되어서 형성되는 통모양부를 말한다. 그리고 스웨터의 경우의 통모양부의 접합은, 몸통을 형성하는 통모양부와 일방의 소매를 형성하는 통모양부를 접합한 후에, 이 2개의 통모양부가 접합된 통모양부와 타방의 소매를 형성하는 통모양부를 접합한다.
상기한 경계부의 설정이나 통모양부의 회전동작을 할 것인가 아닌가의 설정은,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 설정한다. 디자인 시스템에서는, 독립 편성되는 통모양부에 관하여, 접합 시작위치까지 편성된 시점에 있어서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를 설정하는 설정명령을 구비하는 편성 프로그램과, 경계부가 설정된 통모양부에 대하여 회전 동작을 하는 회전명령을 구비하는 편성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둔다.
편성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명령을 구비한다. 접합하는 2개의 통모양부를 결정하는 결정명령. 결정명령에 의하여 접합이 결정된 통모양부에 대하여 통모양부를 접합함으로써,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원하는 길이가 되도록, 접합 직전에 있어서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명령. 이 설정명령에 의하여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다르게 되고,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통모양부에 대하여는, 접합 직전에 있어서, 이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명령. 결정명령에 의하여 접합이 결정된 통모양부에 대하여, 설정명령과 회전명령에 따라 니들베드 사이에서 경계부가 대향하는 2개가 이웃하는 통모양부를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접합하여 하나의 통모양부로 형성하는 접합명령. 통모양부의 모두가 접합될 때까지, 결정명령, 설정명령, 회전명령, 접합명령을 반복하는 반복명령.
설정명령에서 설정하는 경계부의 위치는,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보다 많게 되도록 설정하여도 좋고,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보다 적게 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디자인 시스템에서 설정한 각 통모양부의 경계부는, 통모양부 상호간을 접합한 후에도, 접합되어 있지 않은 측의 경계부가 접합 후의 통모양부의 경계부로서, 다른 통모양부와 접합하기 위한 경계부가 되도록 프로그램 된다. 또한 디자인 시스템에서는, 디자인에 따라서 통모양 편성포를 횡편기로 편성하기 위한 편성 프로그램도 작성한다.
그리고 이들의 프로그램에 따라 통모양부에 대하여, 접합하는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없는 경우에는,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키거나, 경계부에 있어서 통모양부 상호간을 접합하거나 하는 제어를 횡편기에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편침을 장착한 니들베드를 전후로 대향하여 설치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상기한 편성방법에 의하여 손가락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1개의 통모양부에 대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달라지도록, 통모양부가 접합된 장갑 또는 양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편침을 장착한 니들베드를 전후로 대향하여 설치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손가락부에서부터 무봉제(無縫製)로 편성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장갑 또는 양말은, 손가락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1개의 통모양부에 대하여, 접합 직전에 있어서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가,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달라지도록 설정되고, 이웃하는 통모양부가 대향하는 경계부에서 접합되어 손가락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편침을 장착한 니들베드를 전후로 대향하여 설치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상기한 편성방법에 의하여 몸통을 형성하는 통모양부와, 소매를 형성하는 통모양부가,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달라지도록 접합된 스웨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편침을 장착한 니들베드를 전후로 대향하여 설치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옷단에서부터 무봉제로 편성되는 몸통과 소매를 구비하는 스웨터는, 접합 직전에 있어서 몸통과 소매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가, 몸통을 형성하는 통모양부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다르고, 소매를 형성하는 통모양부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같도록 설정되고, 몸통을 형성하는 통모양부와 소매를 형성하는 통모양부가 대향하는 경계부에서 접합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3개 이상의 독립 편성된 통모양부를 접합하는 경우에, 이들의 통모양부 중에서 적어도 1개의 통모양부에 관하여,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달라지도록, 전후의 편성포의 경계부를 설정한다. 그리고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다르게 되고,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키고 나서, 경계부에 있어서 통모양부를 접합하여 가도록 하고 있으므로, 입체적이고 인체의 형상에 맞은 형상의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특히, 손가락부가 있는 장갑이나 양말을 편성하는 경우에는, 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손바닥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손가락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장갑 또는 양말의 편성이 완료된 시점에서 각 손가락부는, 손가락부의 접합부가 되는 손가락 연결부에 있어서, 손등 측이 입체적으로 부풀어 커진 상태가 되고 또한 손가락 연결부가 양말의 경우에는 발바닥 측으로 치우치도록 하고 또한 장갑의 경우에는 손바닥 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장갑 또는 양말이 착용하기 쉽고 착용 시의 착용감이 양호해진다.
또한 소매가 있는 스웨터의 경우에는, 통모양의 몸통에 대하여,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접합한 상태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웨터 착용 시의 착용감이 좋고 움직임이 좋아진다.
또한 통모양부를 접합할 때에, 전후의 길이가 다른 고어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접합이 되지 않는 경계부의 위치를 회전시키지 않고 있는 접합 직전에서의 위치와, 고어 형성 후의 위치가,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의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같은 위치가 되도록 경계부의 위치를 설정하여 둠으로써 스티치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는 웨일로 할 수 있다. 즉 편성포의 돌리기를 하면서 고어가 형성되어도, 고어 형성 후에 스티치의 꼬임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져, 웨일의 차이도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갑이나 양말의 경우에, 새끼 손가락으로부터 4지 몸통 그리고 5지 몸통에 걸쳐서, 또한 엄지로부터 5지 몸통에 걸쳐서 스티치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는 웨일로 할 수 있다.
또한 장갑이나 양말을 편성하는 경우에,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에 있어서의 원주(주위)방향의 스티치수를 유지한 채로 5지 몸통을 편성하면, 5지 몸통의 둘레의 길이가 지나치게 커져 버려, 5지 몸통을 편성하고 있을 때에 스티치를 감소시켜 갈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고어를 형성하고 있는 사이에 스티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5지 몸통을 편성하고 있을 때에 스티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장갑의 편성방법의 제1실시예로서, 장갑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제1실시예에 관한 장갑의 편성 공정도이다.
도3은, 제1실시예의 장갑의 손가락부의 단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제2실시예에 관한 장갑의 편성 공정도이다.
도5는, 제2실시예의 장갑의 손가락부의 단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스웨터의 편성방법 실시예(제3실시예)로서, 스웨터의 부분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제3실시예에 관한 스웨터의 편성 공정도이다.
도8은, 종래의 장갑의 손가락부의 단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장갑 12 손 삽입구
21 엄지 손가락부 22 검지 손가락부
23 중지 손가락부 24 약지 손가락부
25 새끼 손가락부 31 제1손가락 연결부
32 제2손가락 연결부 33 제3손가락 연결부
34 제4손가락 연결부 40 2지 몸통
50 3지 몸통 60 4지 몸통
70 5지 몸통 100 스웨터
2 몸통 2a 앞측 몸통
2b 뒤측 몸통 81 옷단부
82 겨드랑이부 83 진동 둘레부
84 네크라인부 3 좌측 소매
3a 앞측 편성포 3b 뒤측 편성포
30 커프스 부분 4 우측 소매
4a 앞측 편성포 4b 뒤측 편성포
40커프스 부분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뒤측 니들베드가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또한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한 소위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손가락부가 있는 장갑을 제작한다.
이하에 나타나 있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는, 2베드 횡편기는, 선단에 훅을 구비한 바늘 본체와, 2장의 박판(薄板)을 중첩시켜 구성한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복합바늘을 구비한 2베드 횡편기(예를 들면 시마세이키세이사쿠쇼(島精機製作所) 제품인 SWG021)를 사용한다. 상기 복합바늘을 구비한 횡편기를 사용함으로써, 2베드이면서 공침(空針)을 형성하지 않아 모든 바늘을 사용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상기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에서는, 일방의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복합바늘의 슬라이더에서 스티치를 타방의 니들베드로 진출시켜, 타방의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복합바늘의 슬라이더에 스티치를 걸어 두도록 한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438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스티치 홀딩 방법).
또한 상기 슬라이더를 구비하지 않는 바늘을 사용한 통상의 2베드 횡편기에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전후의 각 니들베드에 있어서 각각 하나 걸러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예를 들면 앞측 니들베드의 홀수번째의 바늘을 주로 하여 장갑의 손바닥측의 편성포(이하 앞측 편 성포라고 한다)를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뒤측 니들베드의 짝수번째의 바늘을 주로 하여 장갑의 손등 측의 편성포(이하, 뒤측 편성포라고 한다)를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또한 통상의 2베드 횡편기에서는, 앞측 니들베드로 앞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앞측 니들베드에 있어서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는 바늘과 대향하는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은 공침이 된다. 또한 뒤측 니들베드로 뒤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뒤측 니들베드에 있어서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는 바늘과 대향하는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은 공침이 된다. 따라서 전후의 편성포는 각각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대한 코이동용의 공침을 항상 확보할 수 있다.
2베드 횡편기에서는, 상기한 슬라이더나 공침을 사용함으로써 링크스(links), 가터(garter), 리브(rib) 등의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혼재된 조직 패턴(structure pattern)을 편성하거나, 전후의 스티치를 편성폭 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접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후 니들베드의 일방 또는 양방의 위쪽에 트랜스퍼잭(transfer jack)을 나란히 설치한 트랜스퍼잭 베드를 설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장갑을 편성하는 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앞측 상부 니들베드, 앞측 하부 니들베드, 뒤측 상부 니들베드 그리고 뒤측 하부 니들베드로 이루어지는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할 수도 있다.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앞측 하부 니들베드에 앞측 편성포를 부속되게 하고, 뒤측 하부 니들베드에 뒤측 편성포를 부속되게 한다. 그리고 뒤측 상부 니들베드를, 앞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공침으로서 앞측 편성포의 코이동, 백 스티치의 형성 등에 사용하고, 앞측 상부 니들베드를, 뒤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공침으로서 뒤측 편성포의 코이동, 백 스티치의 형성 등에 사용한다.
이하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는, 상기한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복합바늘이 배치된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손가락부가 있는 장갑을 편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가락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통모양으로 편성하고, 이들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감으로써 장갑을 편성한다.
<제1실시예>
도1은, 제1실시예에 관한 5개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장갑의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장갑의 편성방법의 편성 공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손가락부의 접합 전의 상태와 접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장갑10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지 손가락부23의 선단이 가장 돌출하고 있고, 다음에 검지 손가락부22,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 엄지 손가락부21의 순으로 손가락 선단부의 위치가 내려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엄지 손가락부21과 검지 손가락부22의 사이에 제1손가락 연결부31 을,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의 사이에 제2손가락 연결부32를, 중지 손가락부23과 약지 손가락부24의 사이에 제3손가락 연결부33을, 약지 손가락부24와 새끼 손가락부25의 사이에 제4손가락 연결부34를 형성한다. 제1실시예의 장갑10은, 손가락 연결부가 형성되는 위치가, 제2손가락 연결부32, 제3손가락 연결부33, 제4손가락 연결부34, 제1손가락 연결부31의 순차적으로 손목측으로 내려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지 손가락부22,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 엄지 손가락부21의 순으로 개별적으로 손가락부를 편성하여 간다.
그리고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을 편성한 후에,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을 제2손가락 연결부32에서 접합하여 2지 몸통40을 형성한다. 다음에 약지 손가락부24를 편성하고, 이 약지 손가락부24와 2지 몸통40의 중지 손가락부23 부분을 제3손가락 연결부33에서 접합하여 3지 몸통50을 형성한다. 새끼 손가락부25를 편성하여 새끼 손가락부25와 3지 몸통50의 약지 손가락부24 부분을 제4손가락 연결부34에서 접합하여 4지 몸통60을 형성한다. 엄지 손가락부21을 편성하여 엄지 손가락부21과 4지 몸통60의 검지 손가락부22 부분을 제1손가락 연결부31에서 접합하여 5지 몸통70을 형성한다. 5지 몸통70을 손 삽입구12까지 편성하여 장갑1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엄지 손가락부21, 검지 손가락부22,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 2지 몸통40, 3지 몸통50, 4지 몸통60, 5 지 몸통70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모양부가 되고, 특히 엄지 손가락부21, 검지 손가락부22,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가 독립 편성된 통모양부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장갑의 손등 측의 편성포를 주로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하고, 손바닥측의 편성포를 주로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하지만, 장갑의 손등 측의 편성포를 주로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하고, 손바닥측의 편성포를 주로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하여도 좋다.
장갑10의 편성조직은, 제2실시예도 포함하여 설명의 편의상 평편성(平編成)의 무지(無地)로 하고, 손 삽입구12의 편성조직은 리브 편조직(rib stitch)으로 하고 있지만, 손 삽입구12 이외의 부분은, 자카드(Jacquard)나 리브(rib) 등의 조직 패턴(structure pattern)이라도 좋다.
본 실시예의 손가락부의 편성 및 접합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에 있어서, 왼쪽의 숫자는 편성공정의 스텝을 나타내고 있고, 각 스텝에서 나타내는 사각형상은 통모양 편성포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사각형상의 하부의 선이 앞측 니들베드의 바늘에 결합되는 편성포를 나타내고, 상부의 선이 뒤측 니들베드의 바늘에 결합되는 편성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각형상의 선상에 적혀 있는 X는, 앞측 편성포(손바닥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손등측 편성포)의 경계부를 나타낸다.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편성 공정도도 동일하다.
우선, 편성을 하기 전에 엄지 손가락부21, 검지 손가락부22, 중지 손 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가 손가락 연결부 형성위치까지 편성된 시점에 있어서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X를 설정하는 프로그램을, 디자인 시스템에 있어서 작성하여 둔다. 이 프로그램은, 횡편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컴퓨터 등의 제어장치에 설정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서는, 5개의 손가락부의 편성 순서나 장갑의 형상에 따른 편성방법도 설정한다.
또한 상기한 경계부의 설정, 손가락부의 편성 순서의 설정을 디자인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하는 것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이하의 편성공정에 의하여 각 손가락부를 편성하고, 이들 손가락부를 접합하여 간다. 우선, 검지 손가락부22에 대하여, 제2손가락 연결부32의 형성위치까지 편성한다(스텝1).
스텝1의 편성 후에, 검지 손가락부22에는, 앞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편성폭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이 되도록 2곳의 경계부X가 설정된다. 이들 경계부X는, 손등 측의 편성포(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손바닥측의 편성포(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나 있는,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 엄지 손가락부21에 관해서도, 경계부X는, 손등 측의 편성포(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손바닥측의 편성포(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검지 손가락부22의 편성포를, 중지 손가락부23과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2).
중지 손가락부23을, 제2손가락 연결부32의 형성위치까지 편성한다(스텝3). 스텝3의 편성 후에, 중지 손가락부23에는, 앞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편성폭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이 되도록 2곳의 경계부X가 설정된다.
중지 손가락부23의 편성포를, 검지 손가락부22와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4).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가 검지 손가락부22의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와 인접하도록, 중지 손가락부23을 이동시킨다. 중지 손가락부23의 이동은, 예를 들면 검지 손가락부22에 있어서 뒤측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앞측 니들베드로 코이동 하고, 중지 손가락부23에 있어서 앞측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뒤측 니들베드로 코이동 하고, 그리고 뒤측 니들베드를 검지 손가락부22 측으로 래킹 시킨 후에, 뒤측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중지 손가락부23의 스티치 중에서 래킹 전에 앞측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던 스티치를 앞측 니들베드에, 앞측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검지 손가락부22의 스티치 중에서 래킹 전에 뒤측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던 스티치를 뒤측 니들베드로 되돌림으로써 실현된다. 이 중지 손가락부23의 이동에 의하여 검지 손가락부22의 경계부X와 중지 손가락부23의 경계부X 가 대향한 상태가 된다(스텝5). 또한 중지 손가락부23의 이동은, 스텝4의 중지 손가락부23의 회전동작을 하면서 이동시켜도 좋다.
그리고 스텝5의 상태로부터,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을 경계부X에서부터 접합하여 간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을, 경계부X로부터 앞측 편성포 상호간, 뒤측 편성포 상호간에 더블 루프(double loop)를 한 후에 코빼기(bind off) 처리를 함으로써 접합한다.
코빼기 처리는, 검지 손가락부22에 대하여 앞측 편성포는 b1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1의 위치까지 하고, 중지 손가락부23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는 b2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2의 위치까지 한다.
코빼기 처리에 의한 접합이 종료한 시점이 스텝6의 상태가 되어,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의 접합부에 고어(gore)를 구비하는 제2손가락 연결부3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손가락 연결부32의 고어는, 뒤측 편성포(손등측)의 고어의 길이가 앞측 편성포(손바닥측)의 고어의 길이보다 길어져 있다. 이 고어를 형성할 때의 더블 루프에 의하여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의 둘레의 길이의 총스티치수(總stitch數)보다 스티치수가 적은 2지 몸통4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3손가락 연결부33, 제4손가락 연결부34, 제1손가락 연결부31의 고어도, 뒤측 편성포(손등측)의 고어의 길이가 앞측 편성포(손바닥측)의 고어의 길이보다 길어져 있다.
그리고 고어의 형성이 완료된 2지 몸통40을, 제3손가락 연결부33을 형성하는 위치까지 주회편성 한다. 이 때의 주회편성은, 접합을 위하여 편 성포를 회전시키기 전의 검지 손가락부22 및 중지 손가락부23의 경계부X의 앞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가, 고어 형성 후의 2지 몸통40의 경계부X의 앞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와 같은 위치가 되므로, 2지 몸통40에는 꼬인 스티치가 형성되지 않아 고어 형성 후에 그대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3지 몸통50, 4지 몸통60, 5지 몸통70도, 통모양부의 접합 전후에서 경계부X의 비접합 측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가 같은 위치가 되어 꼬인 스티치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고어 형성 후에 그대로 주회편성 할 수 있다.
2지 몸통40의 주회편성의 뒤에, 2지 몸통40에 있어서의 중지 손가락부23 측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2지 몸통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7).
다음에 약지 손가락부24를, 제3손가락 연결부33의 형성위치까지 편성한다(스텝8). 스텝8의 편성 후에, 약지 손가락부24에는, 앞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편성폭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이 되도록2곳의 경계부X가 설정된다.
약지 손가락부24의 편성포를, 2지 몸통40과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9). 그리고 약지 손가락부24를,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가 2지 몸통40의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와 인접하도록, 약지 손가락부24를 이동시킨다. 약지 손가락부24의 이동은, 상기한 중지 손가락부23의 이동과 동일하게 한다. 약지 손가락 부24의 이동에 의하여 약지 손가락부24의 경계부X와 2지 몸통40의 경계부X가 대향한 상태가 된다(스텝10).
그리고 스텝10의 상태로부터, 2지 몸통40과 약지 손가락부24를 경계부X에서부터 접합하여 간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의 접합과 동일하게, 더블 루프를 한 후에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양쪽 통모양부의 접합을 한다. 코빼기 처리는, 2지 몸통40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는 b3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3의 위치까지 하고, 약지 손가락부24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는 b4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4의 위치까지 한다.
코빼기 처리에 의한 접합이 종료한 시점이 스텝11의 상태가 되고, 2지 몸통40과 약지 손가락부24의 접합부에 고어를 구비하는 제3손가락 연결부33이 형성된다. 이 고어를 형성할 때의 더블 루프에 의하여 2지 몸통40과 약지 손가락부24의 둘레의 길이의 총스티치수보다 스티치수가 적은 3지 몸통5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어 형성이 완료된 3지 몸통50을, 제4손가락 연결부34를 형성하는 위치까지 주회편성 한다.
3지 몸통50의 주회편성의 뒤에, 3지 몸통50에 있어서의 약지 손가락부24 측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3지 몸통5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12).
다음에 새끼 손가락부25를, 제4손가락 연결부34의 형성위치까지 편성한다(스텝13). 스텝13의 편성 후에, 새끼 손가락부25는, 도2의 스텝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3지 몸통50과의 접속측의 경계부X가 앞측 니들베드 상 에 위치하고, 타단 측의 경계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2곳의 경계부X가 설정된다.
새끼 손가락부25의 편성포를, 3지 몸통50과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14). 그리고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가 3지 몸통50의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와 인접하도록, 새끼 손가락부25를 이동시킨다. 새끼 손가락부25의 이동도, 상기한 중지 손가락부23의 이동과 동일하게 한다. 새끼 손가락부25의 이동에 의하여 새끼 손가락부25의 경계부X와 3지 몸통50의 경계부X가 대향한 상태가 된다(스텝15).
그리고 스텝15의 상태로부터, 3지 몸통50과 새끼 손가락부25를 경계부X로부터 접합하여 간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의 접합과 같이, 더블 루프를 한 후에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양쪽 통모양부의 접합을 한다. 코빼기 처리는, 3지 몸통50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는 b5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5의 위치까지 하고, 새끼 손가락부25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는 b6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6의 위치까지 한다.
코빼기 처리에 의한 접합이 종료한 시점이 스텝16의 상태가 되고, 3지 몸통50과 새끼 손가락부25의 접합부에 고어를 구비하는 제4손가락 연결부34가 형성된다. 이 고어를 형성할 때의 더블 루프에 의하여 3지 몸통50과 새끼 손가락부25의 둘레의 길이의 총스티치수보다 스티치수가 적은 4지 몸통6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어 형성이 완료된 4지 몸통60을, 제1손가 락 연결부31을 형성하는 위치까지 주회편성 한다.
4지 몸통60의 주회편성의 뒤에, 4지 몸통60에 있어서의 검지 손가락부22 측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4지 몸통60을 시계주위로 회전시킨다(스텝17).
다음에 엄지 손가락부21을, 제1손가락 연결부31의 형성위치까지 편성한다(스텝18). 스텝18의 편성 후에, 엄지 손가락부21은, 도2의 스텝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4지 몸통60과의 접속측의 경계부X가 앞측 니들베드 상에 위치하고, 타단 측의 경계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2곳의 경계부X가 설정된다.
엄지 손가락부21의 편성포를, 4지 몸통60과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19). 그리고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가 4지 몸통60의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와 인접하도록, 엄지 손가락부21을 이동시킨다. 새끼 손가락부25의 이동은, 상기한 중지 손가락부23의 이동과는 스티치의 코이동은 동일하게 하지만, 뒤측 니들베드의 래킹 방향은 반대로 한다. 엄지 손가락부21의 이동에 의하여 엄지 손가락부21의 경계부X와 4지 몸통60의 경계부X가 대향한 상태가 된다(스텝20).
그리고 스텝20의 상태로부터, 4지 몸통60과 엄지 손가락부21을 경계부X에서부터 접합하여 간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과의 접합과 같이, 더블 루프를 한 후에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양쪽 통 모양부의 접합을 한다. 코빼기 처리는, 4지 몸통60에 대하여는 앞측 편성포는 b8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8의 위치까지 하고, 엄지 손가락부21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는 b7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7의 위치까지 한다.
코빼기 처리에 의한 접합이 종료한 시점이 스텝21의 상태가 되고, 4지 몸통60과 엄지 손가락부21의 접합부에 고어를 구비하는 제1손가락 연결부31이 형성된다. 이 고어를 형성할 때의 더블 루프에 의하여4지 몸통60과 엄지 손가락부21의 둘레의 길이의 총스티치수보다 스티치수가 적은 5지 몸통7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어 형성이 완료된 5지 몸통70을 손 삽입구12의 부근까지 같은 스티치수로 주회편성 하고, 그 후는 손 삽입구12가 되는 리브 편성 부분까지 스티치를 감소시키면서 편성한다. 또한 고어 형성이 완료된 5지 몸통70은, 양쪽의 경계부X의 앞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가, 접합 전의 새끼 손가락부25의 비접합 측의 경계부X의 위치 및 접합 전의 엄지 손가락부21의 비접합 측의 경계부X의 위치와 같은 위치가 된다. 그 때문에 엄지 손가락부21에 있어서의 편성폭 방향 외측의 경계부X를 에워싸는 웨일은, 그대로 5지 몸통70에 있어서의 경계부X를 에워싸는 웨일이 되고, 또한 새끼 손가락부25에 있어서의 편성폭 방향 외측의 경계부X를 에워싸는 웨일도, 그대로 5지 몸통70에 있어서의 경계부X를 에워싸는 웨일이 되어, 똑바로 웨일이 형성되므로 외관이 양호해진다.
또한 손가락부 상호간을 경계부에 있어서 접합하여 2지 몸통40을 형 성한 경우에는, 손가락부에 있어서 접합하지 않고 있는 측의 경계부가 2지 몸통40의 경계부(2곳)가 된다. 그리고 2지 몸통40과 다른 손가락부를 경계부에서 접합하였을 경우에는, 손가락부에 있어서 접합하지 않고 있는 측의 경계부와 2지 몸통40에 있어서 접합하지 않고 있는 측의 경계부가 접합 후의 3지 몸통50의 경계부가 된다. 3지 몸통50과 다른 손가락부를 경계부에서 접합하였을 경우에는, 손가락부에 있어서 접합하지 않고 있는 측의 경계부와 3지 몸통50에 있어서 접합하지 않고 있는 측의 경계부가, 접합 후의 4지 몸통60의 경계부가 된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도 동일하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3의(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부21, 검지 손가락부22,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는, 이웃하는 손가락부가 대향하는 경계부X 상호간이 접속되어 손가락 연결부를 형성한다. 경계부X의 위치는, 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손바닥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경계부X에서 손가락부를 접합하면, 도3의(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손가락부의 편성포는, 손가락 연결부에 대하여, 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손바닥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져, 사람의 손의 형상을 따르는 장갑 형상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손가락 연결부를 형성할 때에, 더블 루프와 코빼기 처리에 의한 고어를 형성하여 스티치를 접합 단계에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5개의 손가락부의 각각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 치수(통모양부 일주(一周)에 필요한 스티치수)의 총스티치수보다 적은 스티치수가 되도록 몸통부(5지 몸통)를 형성할 수 있어, 장갑을 착용했을 때의 착용감이 좋아진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를 도4의 편성 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도 5개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엄지 손가락부21은, 앞측 편성포(손바닥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뒤측 편성포(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경계부X를 설정하고, 검지 손가락부22는, 앞측 편성포(손바닥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와 뒤측 편성포(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같은 길이가 되도록 경계부X를 설정하고 있다.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의 경계부X는 제1실시예와 같다. 또한 엄지 손가락부21과 검지 손가락부22가 접합되어서 형성되는 제1손가락 연결부31의 고어 크기는, 앞측 편성포(손바닥측 편성포)의 고어의 길이가 뒤측 편성포(손등측 편성포)의 고어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하고 있다.
제2실시예의 장갑의 편성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편성공정에 의하여 각 손가락부를 편성하고, 이들 손가락부를 접합하여 간다. 우선, 검지 손가락부22에 대하여 제2손가락 연결부32의 형성위치까지 편성한다(스텝1). 스텝1의 편성 후에, 검지 손가락부22에는,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같은 길이(동일한 스티치수)가 되도록 경계부X가 설정되고, 또한 이 경계부는, 도4의 스텝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부21 측의 경계부X가 뒤측 니들베드 상에 위치되고, 중지 손가락부23 측의 경계부X가 앞측 니들베드 상에 위치되도록 설정된다.
검지 손가락부22의 편성포를, 중지 손가락부23과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2).
스텝3의 중지 손가락부23의 편성으로부터, 스텝17의 4지 몸통60의 회전동작까지의 공정은, 제1실시예와 같은 편성을 한다. 따라서 스텝3으로부터 스텝17의 편성공정이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엄지 손가락부21을, 제1손가락 연결부31의 형성위치까지 편성한다(스텝18). 스텝18의 편성 후에, 엄지 손가락부21은, 도4의 스텝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4지 몸통60과의 접속측의 경계부X가 뒤측 니들베드 상에 위치하고, 타단 측의 경계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2곳의 경계부X가 설정된다. 이들 경계부X는, 손바닥측의 편성포(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손등 측의 편성포(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엄지 손가락부21의 편성포를, 4지 몸통60과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19). 그리고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가 4지 몸통60의 편성폭 단부의 스티치와 인접하도록, 엄지 손가락부21을 이동시킨다. 엄지 손가락부21의 이동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중지 손가락부23의 이동과는 스티치의 코이동은 동일하게 하지만, 뒤측 니들베드의 래킹 방향은 반대로 한다. 엄지 손가락부21의 이동에 의하여 엄지 손가락부21의 경계부X와 4지 몸통60의 경계부X가 대향한 상태가 된다(스텝20).
그리고 스텝20의 상태로부터, 4지 몸통60과 엄지 손가락부21을 경계부X로부터 접합하여 간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손가락부22와 중지 손가락부23의 접합과 같이, 더블 루프를 한 후에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4지 몸통60과 엄지 손가락부21의 접합을 한다. 코빼기 처리는, 4지 몸통60에 대하여는 앞측 편성포는 b8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8의 위치까지 하고, 엄지 손가락부21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는 b7의 위치까지 뒤측 편성포는 a7의 위치까지 한다.
코빼기 처리에 의한 접합이 종료한 시점이 스텝21의 상태가 되는데, 4지 몸통60과 엄지 손가락부21과의 접합부에 고어를 구비하는 제1손가락 연결부31이 형성된다. 제1손가락 연결부31의 고어는, 뒤측 편성포(손등측)의 고어의 길이가 앞측 편성포(손바닥측)의 고어의 길이보다 짧아져 있다. 이 고어를 형성할 때의 더블 루프에 의하여 4지 몸통60과 엄지 손가락부21의 총스티치수보다 스티치수가 적은 5지 몸통7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어 형성이 완료된 5지 몸통70을 손 삽입구12의 부근까지 같은 스티치수로 주회편성 하고, 그 후는 손 삽입구12가 되는 리브 편성 부분까지 스티치를 감소시키면서 편성한다. 5지 몸통70의 주회편성은, 접합을 위하여 편성포를 회전시키기 전의 4지 몸통60 및 엄지 손가락부21의 경계부X의 앞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가, 고어 형성 후의 5지 몸통70의 경계부X의 앞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와 같은 위치가 되고, 5지 몸통70에는 꼬인 스티치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고어 형성 후에 그대로 주회편성 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같이, 5지 몸통70의 편성폭 양단에 위치하는 경계부X를 에워싸는 웨일은, 엄지 손가락부21 및 새끼 손가락부25에 있어서의 편성폭 방향 외측의 경계부X를 에워싸는 웨일과 연속하여, 똑바로 웨일이 형성되므로 외관이 양호해진다.
제2실시예는, 도5의(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부21, 검지 손가락부22,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는, 이웃하는 손가락부가 대향하는 경계부X 상호간에서 접속하여 손가락 연결부를 형성한다. 경계부X의 위치는, 엄지 손가락부21은, 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손바닥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보다 적게 되도록 설정하고, 검지 손가락부22는, 전후의 편성포의 스티치수를 동수로 설정하고,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는, 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손바닥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보다 많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고어 크기를, 제1손가락 연결부31은, 앞측 편성포(손바닥측 편성포)의 고어 크기가 뒤측 편성포(손등측 편성포)보다 커지게 되도록 하고, 제2손가락 연결부32로부터 제4손가락 연결부34에 관해서는, 뒤측 편성포(손등측 편성포)의 고어 크기가 앞측 편성포(손바닥측 편성포)보다 커지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경계부X에서 손가락부를 접합하여 손가락 연결부를 형성하면, 도3의(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검지 손가락부22, 중지 손가락부23, 약지 손가락부24, 새끼 손가락부25는, 손가락 연결부에 대하여 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손바닥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지고, 엄지 손가락부21은, 손가락 연결부에 대하여 손등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손바닥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져서, 사람 손의 형상에 따른 장갑형상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도, 각각의 손가락 연결부를 형성할 때에 더블 루프와 코빼기 처리에 의한 고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5개의 손가락부의 각각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통모양부 일주에 필요한 스티치수)의 총스티치수보다 적은 스티치수가 되도록 몸통부(5지 몸통)를 형성할 수 있어 장갑을 착용했을 때의 착용감이 좋아진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는, 장갑의 편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5개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의 편성에 대하여도 같은 편성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상기한 각 실시예는 장갑에 관한 실시예이었지만,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스웨터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편성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제3실시예는, 통상의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통모양의 몸통(통모양부) 및 통모양의 소매(통모양부)를 독립 편성하고, 이들 몸통과 소매를 접합하여 스웨터를 편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스웨터100에 대하여 앞몸통 측에서 본 몸통과 소매 부분품 평면도이다. 도7은, 상기 스웨터100을 본 발명의 편성방법으로 편성하기 위한 편성 공정도면으로서, 몸통과 소매를 접합할 때의 편성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실시예에서 편성되는 스웨터100은, 네크라인을 구비하는 긴 소매 타입의 스웨터로서, 앞몸통2a, 뒷몸통2b, 좌측 소매3, 우측 소매4를 구비하고 있다. 앞몸통2a와 뒷몸통2b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옷단부81, 겨드랑이부82, 진동 둘레부83, 네크라인부8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몸통2a와 뒷몸통2b는 품의 치수가 다르게 되어, 앞몸통2a의 품이 뒷몸통2b의 품보다 작아져 있다. 또한 좌측 소매3, 우측 소매4는, 앞측 편성포3a, 4a의 폭의 치수와 뒤측 편성포3b, 4b의 폭의 치수는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통 부분은, 앞몸통2a와 뒷몸통2b가 통모양으로 편성되고, 좌우 소매3, 4도 통모양으로 편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몸 통, 소매의 좌우를 나타내는 용어, 예를 들면 좌측 소매3이나 우측 소매4 등의 우(右)와 좌(左)는, 스웨터100을 착용한 상태의 착용자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스웨터100의 편성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뒷몸통2b, 좌측 소매3 및 우측 소매4의 뒤측 편성포는, 주로 뒤측 니들베드 상의 짝수번째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된다. 앞몸통2a, 좌측 소매3 및 우측 소매4의 앞측 편성포는, 주로 앞측 니들베드 상의 홀수번째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된다.
스웨터100에 있어서의 앞몸통2a, 뒷몸통2b, 소매3, 4의 편성조직은 설명의 편의상 평편성의 무지로 하고, 앞몸통2a, 뒷몸통2b의 옷단부81과 소매3, 4의 커프스 부분30, 40은 리브 편조직(rib stitch)으로 하고 있지만, 앞몸통2a, 뒷몸통2b, 우측 소매4, 좌측 소매3은, 자카드나 리브 등의 조직 패턴이어도 좋다.
우선, 몸통 편성용과 좌우 소매 편성용으로 3개의 급사구를 준비하고, 각 급사구로부터 니들베드의 바늘에 편사를 공급하여 우측 소매, 몸통, 좌측 소매의 3스티치 통모양체를 편성하여 간다.
구체적으로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몸통2a, 뒷몸통2b는, 옷단으로부터 소매의 접합 시작위치(A, a, C, c)까지 통모양으로 편성하여 간다. 좌측 소매3과 우측 소매4는, 커프스로부터 몸통과의 접합 시작위치(E, e, G, g)까지 통모양으로 편성하여 간다.
그리고 몸통2와 좌측 소매3은, 앞몸통2a의 점A와 좌측 소매3의 점E, 점G와 뒷몸통2b의 점C에 있어서 접합되기 시작한다. 또한 몸통2와 우측 소매4는, 앞몸통2a의 점a와 우측 소매4의 점e, 점g와 뒷몸통2b의 점c에 있어서 접합되기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통과 소매의 접합을 시작하기까지의 사이에는, 몸통2와 좌측 소매3과 우측 소매4는, 각각 독립한 통모양 편성포로 하여 편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점A와 점C가, 몸통2를 연속한 통모양으로 편성했을 때의 앞몸통2a와 뒷몸통2b의 일방의 경계부Z가 되고, 상기한 점a와 점c가, 몸통2를 연속한 통모양으로 편성했을 때의 앞몸통2a와 뒷몸통2b의 타방의 경계부Z가 된다. 또한 상기한 점E와 점G가, 도7에 나타내는 좌측 소매3을 연속한 통모양으로 편성했을 때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접합측 경계부Y가 되고, 상기한 점e와 점g가, 도7에 나타내는 우측 소매4를 연속한 통모양으로 편성했을 때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접합측 경계부X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몸통2a의 A-B, a-b, 뒷몸통2b의 C-D, c-d, 좌측 소매3의 앞측 편성포의 E-F, 좌측 소매3의 뒤측 편성포의 G-H, 우측 소매4의 앞측 편성포의 e-f, 우측 소매4의 뒤측 편성포의 g-h가 고어가 된다. 앞몸통2a의 A-B와 좌측 소매3의 앞측 편성포의 E-F가 접합되고, 앞몸통2a의 a-b와 우측 소매4의 앞측 편성포의 e-f가 접합된다. 또한 뒷몸통2b의 C-D와 좌측 소매3의 뒤측 편성포의 G-H가 접합되고, 뒷몸통2b의 c-d와 우측 소매4 의 뒤측 편성포의 g-h가 접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측 편성포의 고어의 길이와 뒤측 편성포의 고어의 길이를 같은 길이로 하고 있다. 그리고 고어 부분의 접합이 완료되면, 몸통과 소매가 통합되어서 하나의 통모양부가 된다.
몸통2와 좌우 소매3, 4의 접합이 시작되면, 몸통의 진동 둘레부83에 좌우 소매3, 4를 접합하여 간다. 몸통2와 소매3, 4의 접합이 완료된 후에, 앞몸통2a와 뒷몸통2b의 어깨 부분을 접합하여 스웨터100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는, 몸통과 소매가, 앞측 편성포의 고어 부분(웨일수)과 뒤측 편성포의 고어 부분(웨일수)이 같은 크기이면서, 몸통의 통모양부는,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웨일수)를,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하여 스웨터를 편성한다. 도7의 편성 공정도면에서는, 몸통2와 소매3, 4의 접합을 시작하기 직전부터 고어 형성이 완료할 때까지의 편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에 의거하여 이하에 편성순서를 설명한다. 도7에 있어서 좌단의 숫자는 스텝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7에 나타내는 스텝1은, 몸통2와 좌우 소매3, 4를, 몸통2와 소매3, 4의 접합을 시작하기 직전까지, 각각 독립하여 통모양으로 편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중앙이 몸통2로서, 그 양측에서 좌우 소매3, 4가 편성된다. 도7에 있어서, 몸통의 앞몸통2a와 뒷몸통2b의 경계부를 Z로 나타내고 있다. 좌측 소매3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3a와 뒤측 편성포3b의 경계부를 Y, Y 로 나타내고, 우측 소매4에 대하여는 앞측 편성포4a와 뒤측 편성포4b의 경계부를 X, X로 나타내고 있다.
스텝1에서는, 몸통2의 경계부Z, 좌측 소매3의 경계부Y, 우측 소매4의 경계부X는, 모두 앞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편성폭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들 경계부Z, Y, X 중에서 몸통2의 경계부Z는,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보다 많게 되도록 설정하고 있고, 좌측 소매3의 경계부Y, 우측 소매4의 경계부X는,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스티치수가 동수(同數)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몸통2의 편성포를, 좌측 소매3과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Z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좌측 소매3을 몸통2에 가까이 하여, 몸통2와 좌측 소매3을 인접시킨다(스텝2). 좌측 소매3의 이동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중지 손가락부23의 이동과 동일하게 한다. 이 스텝2에서의 동작에 의하여 몸통2의 경계부Z와 좌측 소매3의 경계부Y가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대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스텝2의 상태로부터, 몸통2와 좌측 소매3을 경계부Z, Y에서부터 접합하여 간다. 구체적으로는, 몸통2와 좌측 소매3을, 경계부Z, Y에서부터 앞측 편성포 상호간, 뒤측 편성포 상호간을 더블 루프를 한 후에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접합을 한다. 고어 형성은, 몸통2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는 점A로부터 점B까지 뒤측 편성포는 점C로부터 점D까지 하고, 좌측 소매3에 대하여는 앞측 편성포는 점E로부터 점F까지 뒤측 편성포는 점G로부터 점H까지 한다(스텝3). 코빼기 처리에 의한 접합이 종료한 시점이 스텝4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몸통2와 좌측 소매3이 접합되어서 소매 형성이 완료된 후에, 우측 소매4를 몸통2에 가까이 한다. 또한 몸통2의 편성포를, 우측 소매4와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Z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스텝5). 이 스텝5에서의 동작에 의하여 몸통2의 경계부Z와 우측 소매4의 경계부X가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대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스텝5의 상태로부터, 몸통2와 우측 소매4를 경계부Z, X에서부터 접합하여 간다. 구체적으로는, 몸통2와 우측 소매4를, 경계부Z, X에서부터 앞측 편성포 상호간, 뒤측 편성포 상호간에 대하여 더블 루프를 한 후에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접합을 한다. 고어 형성은, 몸통2에 관해서는 앞측 편성포는 점a로부터 점b까지 뒤측 편성포는 점c로부터 점d까지 하고, 우측 소매4에 대하여는 앞측 편성포는 점e로부터 점f까지 뒤측 편성포는 점g에서부터 점h까지 한다(스텝6). 코빼기 처리에 의한 접합이 종료한 시점이 스텝7의 상태가 된다. 스텝7에 의하여 몸통2에 좌측 소매3과 우측 소매4가 접합되어서 하나의 통모양부가 된다.
다음에, 접합되지 않은 좌측 소매 측의 경계부Y와 우측 소매 측의 경계부X가, 앞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의 편성폭 중심에 대하여 좌우대칭이 되도록, 통모양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텝8의 상태로 한다. 이 상태로부터 몸통2와 좌우 소매가 어깨까지 접합되어 가도록 통모양으로 연속 편성하여 간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는 좌우 소매3, 4의 비접합측 경계부에 관해서는, 접합개시 직전에서의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와, 고어 형성 직후에서의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가 다르게 된다. 이와 같이 경계부의 위치가 다르게 되어 버리면, 접합 시작위치까지 소매를 통상의 동작으로 편성한 후에, 일방의 니들베드로부터 타방의 니들베드로 코이동을 함으로써 소매를 회전시켜 고어가 형성되었을 때에, 경계부에서도 편성폭 방향 외측의 스티치에 꼬임이 발생해버린다.
따라서 스텝1의 상태의 경계부의 위치와 스텝8의 상태의 경계부의 위치로부터, 경계부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스티치수에 대하여는, 접합개시 직전에서의 편성의 단계에서 미리 스티치를 비틀도록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소매3과 우측 소매4를 독립 편성할 때에는, 소매의 회전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주회편성 한다. 그리고 접합 직전의 최종 코스의 편성에 있어서, 일방의 니들베드로부터 타방의 니들베드로 코이동 하는 스티치에서, 고어 형성 후에 일방의 니들베드로 되돌려지지 않는 스티치를, 코이동에 의하여 꼬임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미리 비틀어서 형성하여 둔다. 이와 같이 스티치를 미리 비틀어 둠으로써, 코이동을 했을 때에 스티치에 꼬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횡편기를 사용하여 무봉제로 편성되는 손가락부가 있는 장갑 또는 양말을 편성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11)

  1. 좌우방향으로 연장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코이동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3개 이상의 독립 편성된 통모양부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통모양부의 접합(接合)은, 2개의 통모양부를 전후의 편성포의 경계부에 있어서 접합하여 하나의 통모양부로 형성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하고,
    적어도 1개의 통모양부는, 접합 직전에 있어서 앞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달라지도록 경계부가 설정되고,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다르게 되어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통모양부에 대하여는, 이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킨 후에,
    니들베드 사이에서 경계부가 대향하는 2개의 이웃하는 통모양부를,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접합을 하는 2개의 통모양부에 대하여,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통모양부를,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스텝,
    b)2개의 통모양부에 대하여, 앞측 편성포 상호간, 뒤측 편성포 상호간을,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더블 루프(double loop)를 하여 코빼기(bind off) 처리를 함으로써 접합하는 스텝,
    c)2개의 통모양부가 접합되어서 하나의 통모양으로 형성된 통모양부와 다음에 접합하는 통모양부에 대하여,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통모양부를, 접합 측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스텝,
    d)스텝c의 상태의 2개의 통모양부에 관하여, 앞측 편성포 상호간, 뒤측 편성포 상호간을,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더블 루프를 하여 코빼기 처리를 함으로써 접합하는 스텝,
    e)접합하는 통모양부가 4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모든 통모양부가 접합될 때까지, 스텝c에서부터 스텝d를 반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통모양부의 접합 부분에 고어(gor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통모양부의 접합 부분에 고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통모양부의 접합 시에 형성하는 고어 크기를, 전후의 편성포에서 달라지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통모양부에 있어서의 접합되지 않는 측의 경계부는, 접합 직전과 접합된 후에 있어서 편성폭 단부로부터의 위치가 같은 위치가 되도록, 니들베드 상에서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7. 제1항에서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모양 편성포가 손가락 선단에서부터 편성하는 손가락부가 있는 장갑 또는 양말이며,
    통모양부는, 손가락부를 형성하는 통모양부, 2개의 손가락부가 접합되어서 형성되는 통모양부, 3개 이상의 손가락부가 순차적으로 접합되어서 형성된 통모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8. 제1항에서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모양 편성포가 몸통과 소매를 구비하는 스웨터이며,
    몸통을 형성하는 통모양부와 일방의 소매를 형성하는 통모양부를 접합한 후에, 이 2개의 통모양부가 접합된 통모양부와 타방의 소매를 형성하는 통모양부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9.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이동이 가능하고, 컴퓨터가 내장된 횡편기를 사용하여 3개 이상의 독립 편성된 통모양부를 접합하기 위한 편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로서,
    편성 프로그램은,
    접합하는 2개의 통모양부를 결정하는 결정명령,
    결정명령에 의하여 접합이 결정된 통모양부에 관하여, 통모양부를 접합함으로써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원하는 길이가 되도록, 접합 직전에 있어서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설정명령,
    이 설정명령에 의하여 전후의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 길이가 다르게 되어 접합하는 쪽의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지 않은 통모양부에 대하여는, 접합 직전에 있어서 이 경계부가 전후의 니들베드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통모양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명령,
    결정명령에 의하여 접합이 결정된 통모양부에 관하여, 설정명령과 회전명령에 따라 니들베드 사이에서 경계부가 대향하는 2개가 이웃하는 통모양부를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접합하여 하나의 통모양부로 형성하는 접합명령,
    통모양부의 모두가 접합될 때까지, 결정명령, 설정명령, 회전명령, 접합명령을 반복하는 반복명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10. 다수의 편침을 장착한 니들베드를 전후로 대향하여 설치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손가락부에서부터 무봉제(無縫製)로 편성되는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장갑 또는 양말로서,
    손가락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1개의 통모양부에 대하여, 접합 직전에 있어서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가,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달라지도록 설정되고, 이웃하는 통모양부가 대향하는 경계부에서 접합되어 손가락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또는 양말.
  11. 다수의 편침을 장착한 니들베드를 전후로 대향하여 설치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옷단에서부터 무봉제로 편성되는 몸통과 소매를 구비하는 스웨터로서,
    접합 직전에 있어서 몸통과 소매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경계부가, 몸통을 형성하는 통모양부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다르고, 소매를 형성하는 통모양부의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의 길이가 같도록 설정되고, 몸통을 형성하는 통모양부와 소매를 형성하는 통모양부가 대향하는 경계부에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웨터.
KR1020077023897A 2005-04-12 2006-04-11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232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5129 2005-04-12
JP2005115129 2005-04-12
PCT/JP2006/307602 WO2006109782A1 (ja) 2005-04-12 2006-04-11 筒状編地の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348A KR20080003348A (ko) 2008-01-07
KR101232703B1 true KR101232703B1 (ko) 2013-02-13

Family

ID=3708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897A KR101232703B1 (ko) 2005-04-12 2006-04-11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0926B2 (ko)
EP (1) EP1882763B1 (ko)
JP (1) JP4848365B2 (ko)
KR (1) KR101232703B1 (ko)
CN (1) CN101155953B (ko)
WO (1) WO2006109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006B2 (ja) * 1994-08-02 2003-10-20 昭文 山中 高粘性液体注射装置
JP5466948B2 (ja) * 2007-11-06 2014-04-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二重筒状編地の端部接続方法
DE502008003010D1 (de) * 2008-06-20 2011-05-12 Hugo Boss Trade Mark Man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üßlings
GB0814152D0 (en) * 2008-08-01 2008-09-10 Engineered Fibre Structures Lt Sleeve for trans-dermal patches
WO2010016205A1 (ja) * 2008-08-08 2010-02-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CN102333912B (zh) * 2009-02-25 2013-10-16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筒状针织物及其编织方法
JP5443250B2 (ja) * 2010-04-20 2014-03-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5774354B2 (ja) * 2011-04-13 2015-09-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WO2013129336A1 (ja) 2012-03-01 2013-09-06 ショーワグローブ株式会社 手袋製造方法、コーティング手袋製造方法、手袋及びコーティング手袋
JP2014025159A (ja) * 2012-07-25 2014-02-06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
US8973410B1 (en) * 2014-02-03 2015-03-10 Nike, Inc. Method of knitting a gusseted tongue for a knitted component
JP6211482B2 (ja) * 2014-08-08 2017-10-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US9863070B2 (en) 2014-12-08 2018-01-09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ubular protective sleeve with curl resistant knit end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6195867B2 (ja) * 2015-05-15 2017-09-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指袋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05113074A (zh) * 2015-09-10 2015-12-02 南通强生安全防护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纱线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113076A (zh) * 2015-09-17 2015-12-02 南通强生安全防护科技有限公司 抗静电纱线及手套的制备方法
JP6667830B2 (ja) * 2016-10-03 2020-03-18 岡本株式会社 筒状編地、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靴下
JP6738788B2 (ja) * 2017-11-27 2020-08-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JP6435435B1 (ja) * 2018-06-18 2018-12-05 ショーワグローブ株式会社 作業用手袋
DE102018130930A1 (de) * 2018-12-05 2020-06-10 Julius Zorn Gmbh Gestricktes Bekleidungsteil
DE102018130932A1 (de) * 2018-12-05 2020-06-10 Julius Zorn Gmbh Gestrickter Kompressionsartikel
CN113604953B (zh) * 2021-08-20 2023-05-23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横编织机的自动整理其织物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015A (ja) * 1985-07-19 1987-01-29 Yokogawa Electric Corp 光フアイバジヤイロ装置
WO2005001184A1 (ja) 2003-06-30 2005-01-06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くり違いのある衣類の編成方法とくり違いのある衣類及びニットデザイン装置
WO2005012611A1 (ja) 2003-08-01 2005-02-10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くり違いのある衣類の編成方法とくり違いのある衣類及びニットデザイ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015U (ko) * 1985-07-16 1987-02-07
JP3121283B2 (ja) * 1997-03-26 2000-12-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946325B2 (ja) 1997-05-27 1999-09-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目ループの預け置き方法
JP2000220064A (ja) * 1999-01-29 2000-08-08 Shima Seiki Mfg Ltd 手袋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0239950A (ja) 1999-02-18 2000-09-05 Shima Seiki Mfg Ltd 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TW480299B (en) * 2000-01-26 2002-03-21 Shima Seiki Mfg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US6658899B2 (en) * 2000-02-29 2003-12-09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neck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KR100706656B1 (ko) * 2001-02-02 2007-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 모양 편성포 상호간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 편성포
CN100420781C (zh) * 2001-10-05 2008-09-2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拼角的形成方法以及形成有拼角的针织物
CN100404742C (zh) * 2002-08-28 2008-07-23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手套及其编织方法
JP4374310B2 (ja) 2004-12-01 2009-12-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015A (ja) * 1985-07-19 1987-01-29 Yokogawa Electric Corp 光フアイバジヤイロ装置
WO2005001184A1 (ja) 2003-06-30 2005-01-06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くり違いのある衣類の編成方法とくり違いのある衣類及びニットデザイン装置
WO2005012611A1 (ja) 2003-08-01 2005-02-10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くり違いのある衣類の編成方法とくり違いのある衣類及びニットデザイ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9782A1 (ja) 2006-10-19
CN101155953B (zh) 2011-03-02
US20080141729A1 (en) 2008-06-19
EP1882763A4 (en) 2013-07-03
KR20080003348A (ko) 2008-01-07
CN101155953A (zh) 2008-04-02
US7460926B2 (en) 2008-12-02
JP4848365B2 (ja) 2011-12-28
EP1882763A1 (en) 2008-01-30
EP1882763B1 (en) 2014-07-23
JPWO2006109782A1 (ja)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703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172342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112451B1 (ko) 니트 팬츠의 편성방법, 니트 팬츠 및 횡편기로 팬츠를편성하기 위한 편성 프로그램
WO2010098052A1 (ja)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1232701B1 (ko) 몸통 통모양부에 트임부를 구비하는 니트웨어 및 그편성방법
KR101484988B1 (ko)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JP4848374B2 (ja) 衿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の編成方法
JP4848378B2 (ja)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
KR100706656B1 (ko) 통 모양 편성포 상호간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 편성포
KR100976769B1 (ko) 장갑 및 그 편성방법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4002926B2 (ja) 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JPWO2003102284A1 (ja) 前衿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および前衿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
WO2004020718A1 (ja)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6188779A (ja)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指袋部の編成方法
CN113529256A (zh) 手套及手套的编织方法
JP2002013049A (ja) 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