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381B1 -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 Google Patents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381B1
KR101230381B1 KR1020110012906A KR20110012906A KR101230381B1 KR 101230381 B1 KR101230381 B1 KR 101230381B1 KR 1020110012906 A KR1020110012906 A KR 1020110012906A KR 20110012906 A KR20110012906 A KR 20110012906A KR 101230381 B1 KR101230381 B1 KR 101230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fixing groove
height
rai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522A (ko
Inventor
정길운
조용희
유태일
박흥수
Original Assignee
코레일테크 주식회사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레일테크 주식회사,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코레일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3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28Rail tracks for guiding vehicles when running on road or similar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8Drainage of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1/00Track superstructure adapted for tramways in paved streets
    • E01B21/02Special supporting means; Draining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7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는 제1 레일부, 제1 레일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레일부,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의 하단에 형성하되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제1 지지부, 제1 지지부에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 지지부와 다른 물질로 형성되되,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 사이에 형성되면서 제1 레일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A Rail Bike Tracks}
본 발명은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레일바이크 궤도는 레일과 침목의 체결에 있어 레일과 침목 사이에 타이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각종 체결구로 침목과 레일을 고정하고 상기 레일과 침목은 깬 자갈을 사용하여 정해진 위치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종래 레일바이크 궤도는 지반침하 등으로 깬 자갈을 지속적으로 보충 및 보수해야 했다.
또한, 왼쪽레일과 오른쪽 레일을 침목으로 체결되어 있기에 양측 레일의 중간의 공간(궤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비효율적이었다. 즉, 기존 레일바이크가 운행시간 이전 또는 이후에 일반인들이 산책 및 보행 또는 달리기는 물론 자전거와 유모차 주행 등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레일을 직접 콘크리트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비용절감을 물론 레일바이크 운행구간을 보다 더 효율적이고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는 제1 레일부, 제1 레일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레일부,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의 하단에 형성하되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제1 지지부, 제1 지지부에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 지지부와 다른 물질로 형성되되,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 사이에 형성되면서 제1 레일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는 제1 레일부, 제1 레일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레일부,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되 제1 레일부가 위치하도록 제1 높이와 제1 면적을 가지면서 움푹 패어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제2 레일부가 위치하도록 제2 높이와 제2 면적을 가지면서 움푹 패어 형성되는 제2 고정홈 및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 사이에 형성하되 제3 높이와 제3 면적을 가지면서 움푹 패어 형성되는 제3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제1 고정홈에 형성된 제1 레일부와 제2 고정홈에 형성된 제2 레일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 고정홈과 제2 고정홈 사이에 형성되되 되면서 제3 고정홈에 삽입되어 제1 레일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는 레일이 직접 콘크리트에 체결되게 함으로써 비용절감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는 레일이 직접 콘크리트에 체결되게 하고, 레일 간의 궤간을 투수콘으로 형성함으로써, 레일바이크 운행 구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는 레일 간의 궤간을 투수콘으로 형성함으로써, 수분을 빠르게 투과시킬 수 있어 일반인들이 도보로 산책하거나 달리기 및 자전거타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궤간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궤간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100)는 제1 레일부(110a), 제2 레일부(110b), 제1 지지부(120), 체결부(130) 및 제2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제1 레일부(110a)는 철도 차량이나 전차 등등이 운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와 너비를 가지며 길게 형성하되, 강철 성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부(110b)는 제1 레일부(110a)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레일부(110b)는 제1 레일부(11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강철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지지부(120)는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하단에 형성하되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지지부(120)는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시멘트를 물과 혼합해 여러 크기의 골재(보통 자갈과 모래)를 결속시켜 만든 구조재인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120)는 제1 배수공부(121a)와 유공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수공부(121a)는 후술할 제2 지지부(140)에서 투수된 수분을 제1 지지부(120)의 상단에서 제1 지지부(120)의 하단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배수공부(121a)는 제1 지지부(120)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제2 지지부(140)의 상단으로부터 투수된 수분 또는 제2 지지부(140)에 형성된 제2 배수공부(121b)를 통해 흐르는 수분을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수공부(121a)는 제1 지지부(12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부(121a)를 통해 수분이 빠르게 배수 처리할 수 있다.
유공관부(122)는 제1 배수공부(121a)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배수공부(121a)로부터 유도된 수분을 외부로 배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공관부(122)는 제1 지지부(120)의 하단 또는 제1 지지부(120)의 하단 근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120)로부터 배수된 수분을 제공받아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공관부(122)의 반지름은 제1 배수공부(121a)의 반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배수공부(121a)로부터 제공받은 수분을 더욱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유공관부(122)와 제1 배수공부(121a)는 복수 개가 일대일로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유공관부(122)가 복수 개의 제1 배수공부(121a)와 동시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100)가 설치되는 주변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비 또는 안개가 많은 지역에서는 제1 배수공부(121a)와 유공관부(122)를 다른 지역보다 더 많이 설치함으로써, 배수의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체결부(130)는 제1 지지부(120)에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체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130)는 타이플레이트부(134), 완충부(135), 볼트부(139), 베이스플레이트(136), 스프링 와샤(132), 사각 와샤(133), 너트부(131,138) 등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완충부(135)는 제1 레일부(110a)의 하단과 제1 지지부(120) 사이 또는 제2 레일부(110b)의 하단과 제1 지지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레일부(110a)의 하단과 제1 지지부(120) 사이 또는 제2 레일부(110b)의 하단과 제1 지지부(1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압력을 완충하는 것이다. 이때 완충부(135)는 진동과 압력을 효율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는 고무 패드 또는 레일 패드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플레이트부(134)는 완충부(135)의 상단에 형성되어 제1 레일부(110a) 및 제2 레일부(110b)를 체결하여 제1 레일부(110a) 및 제2 레일부(110b)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부(130)가 완충부(135)와 타이플레이트부(134)를 포함함으로써, 제1 레일부(110a)의 하단과 제1 지지부(120) 사이 또는 제2 레일부(110b)의 하단과 제1 지지부(12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레일부(110a) 및 제2 레일부(110b)와 제1 지지부(1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압력을 완충하는 동시에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제1 지지부(1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완충부(135)는 제1 지지부(120)에 체결된 베이스플레이트(136) 상단에 배치되고, 타이플레이트부(134)는 제1 레일부(110a)과 제2 레일부(110b)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 레일부(110a)의 하단 및 제2 레일부(110b)의 하단 일부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타이플레이트부(134), 완충부(135), 베이스플레이트(136)와 볼트부(139) 사이에는 스프링 와샤(137)가 형성되어 이들 간의 체결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볼트부(139)는 타이플레이트부(134)를 관통하여 제1 지지부(12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볼트부(139)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139)와 타이플레이트부(134) 사이에는 스프링 와샤(132), 사각 와샤(133), 너트부(131,138) 등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너트부(131)는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고정할 때 사용되고, 너트부(138)는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높이를 조절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볼트부(139)와 타이플레이트부(134)를 더욱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제1 지지부(120)에 더욱더 견고하게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지지부(140)는 제1 지지부(120)와 다른 물질로 형성되되,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사이에 형성되면서 제1 레일부(110a)의 높이(h1)보다 낮은 높이(h1)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지지부(140)는 제1 레일부(110a)의 최고 높이와 실질적으로 1㎝ 이상 5㎝ 이하의 간격을 유지하며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에서 철도 차량이나 전차 등등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동시에 철도 차량이나 전차 등등이 운행하지 않을 경우 보행자가 산책 또는 트랙킹을 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140)는 제2 지지부(140)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분을 투수할 수 있는 물질인 투수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지지부(140)가 투수콘을 포함함으로써,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사이에 형성된 제2 지지부(140)의 상단인 도로 표면에 수분인 물이 고이지 않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산책 또는 트랙킹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40)는 제2 지지부(140)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분을 제2 지지부(140)의 상단에서 제2 지지부(140)의 하단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제2 배수공부(121b)와 제2 배수공부(121b)의 상단에 수분과 섞여 들어오는 불순물을 차단하는 그라이팅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수공부(121b)는 제1 배수공부(121a)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제2 지지부(140)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분을 빠르게 제1 배수공부(121a)로 흘려 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라이팅부(123)는 제2 배수공부(121b)의 상단에 수분과 섞여 들어오는 불순물인 낙엽 또는 쓰레기 등을 차단함으로써, 불순물에 의해 제1 배수공부(121a) 또는 제2 배수공부(121b)가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지지부(140)가 투수콘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2 배수공부(121b)와 그라이팅부(123)를 포함함으로써, 제2 지지부(140)의 상단인 도로 표면에 형성된 물을 빠르게 투수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 표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일반인들이 도보로 산책하거나 달리기 및 자전거타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100)는 제1 레일부(110a), 제2 레일부(110b), 제1 지지부(120), 체결부(130) 및 제2 지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가 체결부(130)를 통해 제1 지지부(120)에 체결되는 동시에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사이인 궤간에 제2 지지부(140)가 형성됨으로써, 철도 차량이나 전차 등등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동시에 도로 표면에 수분인 물이 고이지 않아 보행자가 산책 또는 트랙킹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궤간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궤간 고정부(150)는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궤간 고정부(150)는 일측이 제1 레일부(110a)와 체결되고, 타측이 제2 레일부(110b)와 체결되어,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궤간 고정부(150)는 소정의 너비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궤간 고정부(150)는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간격을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궤간 고정부(150)를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함으로써,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궤간 고정부(150)를 통해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궤간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철도 차량이나 전차 등등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궤간을 유지하는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궤간 고정부(150)는 제1 지지부(120) 또는 제2 지지부(140)에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궤간 고정부(150)는 제1 지지부(120) 또는 제2 지지부(140)에 삽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궤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지지부(140)는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영역의 두께(h3)과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의 두께(h4)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궤간에 배치되면서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영역에서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궤간의 중간영역으로 갈수록 제1 지지부(120)의 두께는 줄어드는 것이다. 즉,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140)의 두께(h3)는 제1 레일부(110a)에서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중간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140)의 두께(h3,h4)는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 중간 영역의 두께(h4)가 가장 얇고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와 근접할수록 제2 지지부(140)의 두께(h3)가 두꺼워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궤간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140)의 두께(h3,h4)가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궤간의 중간 영역으로 갈수록 줄어듬으로써, 수분들이 제2 지지부(140)를 투과하거나 제2 지지부(140)의 상단에 형성된 후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궤간의 중간 영역으로 모여 제2 배수공부(121b)를 통해 배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레일부(110a)와 제2 레일부(110b)의 궤간에 형성된 제2 지지부(140)의 두께를 다르게 하고, 제2 지지부(140)의 두께 중 가장 얇은 영역에 제2 배수공부(121b)과 그라이팅부(123)를 배치함으로써, 배수의 효율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g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200)를 형성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a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제1 지지부(220a)를 타설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후, 도 5b는 제1 지지부(220a)에 체결부(230) 중 볼트부(238)를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궤간만큼 궤간 보조부(300)를 이용하여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궤간 보조부(3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궤간 높이 보조부(310)를 이용하여 궤간 보조부(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궤간 보조부(300)의 위치가 고정되면 제1 지지부(220a)에 볼트부(238)가 견고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235)를 고정시키는 볼트 지지부(3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볼트부(238)는 알파벳인 엘(L)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엘(L)자형으로 형성된 볼트부(238)는 소정의 각도로 굽어진 부분이 제1 지지부(220a)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됨으로써, 볼트부(238)는 제1 지지부(220a)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도 5c는 제1 지지부(220a)에 체결된 볼트부(238)에 제1 레일부(210a) 및 제2 레일부(210b)가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볼트부(238)에 제1 레일부(210a) 및 제2 레일부(210b)가 체결되는 것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도 5d는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가 형성된 부분과 중첩되는 영역과 제2 지지부(240)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제1 지지부(220b)를 타설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제1 지지부(220b)는 제1 고정홈(224a) 내지 제3 고정홈(224c)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고정홈(224a)에는 제1 레일부(210a)가 형성되고, 제2 고정홈(224b)에는 제2 레일부(210b)가 형성되고, 제3 고정홈(224c)에는 제2 지지부(24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후, 도 5e는 제3 고정홈(224c)에 제2 지지부(240)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후, 도 5f는 제1 고정홈(224a)에 제1 지지부(220c)가 형성되고, 제2 고정홈(224b)에 제1 지지부(220c)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홈(224a)은 제1 레일부(210a)와 접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제1 바퀴후렌지홈(225a)을 형성하고, 제2 고정홈(224b)은 제2 레일부(210b)와 접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제2 바퀴후렌지홈(225b)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후, 도 5g는 레일바이크의 바퀴(310)가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상단과 접하면서 회전하며 동작하고, 바퀴(310)와 접하면서 형성되는 바퀴후렌지(320)가 제1 바퀴후렌지홈(225a)와 제2 바퀴후렌지홈(225b)에서 바퀴(3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200)가 형성되며, 이러한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200)는 제1 레일부(210a), 제2 레일부(210b), 제1 지지부(220a), 체결부(230) 및 제2 지지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2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2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지지부(220a)는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되 제1 고정홈(224a), 제2 고정홈(224b) 및 제3 고정홈(224c)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제1 고정홈(224a)은 제1 레일부(210a)가 위치하도록 제1 높이와 제1 면적을 가지면서 움푹 패어 형성되는 것이다. 제1 높이와 제1 면적을 가진 제1 고정홈(224a)에 제1 레일부(210a)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 고정홈(224a)은 제1 바퀴후렌지홈(225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퀴후렌지홈(225a)은 제1 레일부(210a)와 접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지지부(240)의 높이보다 낮게 제1 고정홈(224a)에 형성되는 것이다. 즉, 레일바이크에는 레일바이크의 바퀴(310)가 제1 레일부(210a)의 상단과 접하면서 회전하며 동작하고, 궤간 내측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바퀴(310)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310)와 접하면서 형성되는 바퀴후렌지(320)가 제1 바퀴후렌지홈(225a)에서 동작하는 것이다. 제1 바퀴후렌지홈(225a)은 바퀴후렌지(320)가 바퀴(310)와 함께 용이하게 동작하면서 바퀴(310)의 탈선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제2 고정홈(224b)은 제2 레일부(210b)가 위치하도록 제2 높이와 제2 면적을 가지면서 움푹 패어 형성되는 것이다. 제2 높이와 제2 면적을 가진 제2 고정홈(224b)에 제2 레일부(210b)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고정홈(224a)의 제1 높이와 제2 고정홈(224b)의 제2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제1 고정홈(224a)의 제1 면적과 제2 고정홈(224b)의 제2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것이다. 즉, 제1 고정홈(224a)과 제2 고정홈(224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2 고정홈(224b)은 제2 바퀴후렌지홈(22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퀴후렌지홈(225b)은 제2 레일부(210b)와 접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지지부(240)의 높이보다 낮게 제2 고정홈(224b)에 형성되는 것이다. 즉, 레일바이크에는 레일바이크의 바퀴(310)가 제2 레일부(210b)의 상단과 접하면서 회전하며 동작하고, 궤간 내측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바퀴(310)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퀴(310)와 접하면서 형성되는 바퀴후렌지(320)가 제1 바퀴후렌지홈(225b)에서 동작하는 것이다. 제1 바퀴후렌지홈(225b)은 바퀴후렌지(320)가 바퀴(310)와 함께 용이하게 동작하면서 바퀴(310)의 탈선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제3 고정홈(224c)은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 사이에 형성하되 제3 높이와 제3 면적을 가지면서 움푹 패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3 고정홈(224c)은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 궤간에 형성되되 제1 면적보다 넓은 면적 가진 제3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제3 고정홈(224c)의 제3 높이는 주변 환경 및 시공에 따라 제1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더 깊게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부(230)는 제1 고정홈(224a)에 형성된 제1 레일부(210a)와 제2 고정홈(224b)에 형성된 제2 레일부(210b)를 체결시키는 것이다.
제2 지지부(240)는 제1 고정홈(224a)과 제2 고정홈(224b) 사이에 형성되되 되면서 제3 고정홈(224c)에 삽입되어 제1 레일부(210a)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궤간 고정부(250)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궤간 고정부(250)는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궤간 고정부(250)는 일측이 제1 레일부(210a)와 체결되고, 타측이 제2 레일부(210b)와 체결되어,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궤간 고정부(250)는 제1 고정홈(224a), 제3 고정홈(224c), 제2 고정홈(224b)을 관통하되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함으로써,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궤간 고정부(250)를 통해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궤간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철도 차량이나 전차 등등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궤간을 유지하는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궤간 고정부(250)는 제1 지지부(220a) 또는 제2 지지부(240)에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궤간 고정부(250)는 제1 고정홈(224a), 제3 고정홈(224c), 제2 고정홈(224b)을 관통하여 제2 지지부(240)에 삽입되어 형성되거나 제1 고정홈(224a), 제2 고정홈(224b)을 관통하여 제2 지지부(240)에 삽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를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궤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지지부(240)는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 사이에 형성하되 두께를 달리할 수 있다.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궤간에 배치되면서 제2 지지부(240)는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궤간의 중간영역으로 갈수록 제2 지지부(240)의 두께가 줄어드는 것이다. 즉,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240)의 두께는 제1 레일부(210a)에서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 중간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지지부(240)의 두께가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궤간의 중간 영역으로 갈수록 줄어듬으로써, 제2 지지부(240)의 상단에 형성된 수분들이 제1 레일부(210a)와 제2 레일부(210b)의 궤간의 중간 영역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로 표면에서 투과한 수분을 더욱 빠르게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240)는 제2 배수공부(221b)와 그라이팅부(22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배수공부(221b)와 그라이팅부(223)는 제2 지지부(240)의 두께가 가장 얇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240)은 수분을 투수시키거나 제2 지지부(240)의 상단에 고인 수분을 제2 지지부(240)의 상단에서 제2 지지부(240)의 하단으로 더욱 효율적으로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240)의 상단에 고인 수분이 제2 지지부(240)의 상단에서 제2 지지부(240)의 하단으로 더욱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a: 제1 레일부 110b: 제2 레일부
120: 제1 지지부 121a: 제1 배수공부
121b: 제2 배수공부 122: 유공관부
123: 그라이팅부 130: 체결부
131: 너트부 132: 스프링 와샤
133: 사각 와샤 134: 타이플레이트부
135: 완충부 136: 베이스플레이트
137: 스프링 와샤 138: 너트부
139: 볼트부 140: 제2 지지부
150: 궤간 고정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레일부;
    상기 제1 레일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레일부;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레일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되, 상기 제1 레일부가 위치하도록 제1 높이와 제1 면적을 가지면서 움푹 패어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2 레일부가 위치하도록 제2 높이와 제2 면적을 가지면서 움푹 패어 형성되는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레일부 사이에 형성하되 제3 높이와 제3 면적을 가지면서 움푹 패어 형성되는 제3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고정홈에 형성된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고정홈에 형성된 상기 제2 레일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제1 고정홈과 상기 제2 고정홈 사이에 형성되되 되면서 상기 제3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레일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단에 형성되는 수분을 투수하는 물질인 투수콘을 포함하는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레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에서 투수된 수분을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단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제1 배수공부;와
    상기 제1 배수공부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배수공부로부터 유도된 수분을 외부로 배수하는 유공관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단에 형성되는 수분을 하단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제2 배수공부;와
    상기 제2 배수공부의 상단에 수분과 섞여 들어오는 불순물을 차단하는 그라이팅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레일부의 하단과 상기 제1 지지부 사이 또는 상기 제2 레일부의 하단과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레일부를 상기 제1 지지부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압력을 완충시키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레일부를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시키는 타이플레이트부; 및
    상기 타이플레이트와 상기 완충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지지부에 체결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1 레일부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레일부와 체결되어,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레일부의 간격을 유지하는 궤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레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2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제1 레일부에서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레일부 중간으로 진행하도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와 접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상기 제1 고정홈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바퀴후렌지홈과
    상기 제2 레일부와 접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높이보다 낮게 상기 제2 고정홈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바퀴후렌지홈을 더 포함하는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KR1020110012906A 2011-02-14 2011-02-14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KR101230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906A KR101230381B1 (ko) 2011-02-14 2011-02-14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906A KR101230381B1 (ko) 2011-02-14 2011-02-14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522A KR20110030522A (ko) 2011-03-23
KR101230381B1 true KR101230381B1 (ko) 2013-02-06

Family

ID=4393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906A KR101230381B1 (ko) 2011-02-14 2011-02-14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724A (ko)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에스프랜 철도레일의 레일바이크용 복선 개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745B1 (ko) * 2011-04-21 2012-04-06 주식회사 이알에스 노면트램용 궤도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967Y1 (ko) * 2001-02-15 2001-09-29 주식회사 태명실업 콘크리트도상 궤도 구조
KR20040097695A (ko) * 2003-05-13 2004-11-18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공사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절연레일이음매 체결장치
KR20050063778A (ko) * 2002-10-01 2005-06-28 하인 우베 레일 차량용 고정 트랙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93945A (ja) * 2005-01-12 2006-07-27 Asahi Glass Matex Co Ltd 吸音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軌道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967Y1 (ko) * 2001-02-15 2001-09-29 주식회사 태명실업 콘크리트도상 궤도 구조
KR20050063778A (ko) * 2002-10-01 2005-06-28 하인 우베 레일 차량용 고정 트랙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97695A (ko) * 2003-05-13 2004-11-18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공사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절연레일이음매 체결장치
JP2006193945A (ja) * 2005-01-12 2006-07-27 Asahi Glass Matex Co Ltd 吸音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軌道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724A (ko)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에스프랜 철도레일의 레일바이크용 복선 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522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811B1 (ko) 슬래브 트랙웨이 제조 방법
KR102164162B1 (ko) 자갈이 깔린 궤도를 슬래브 궤도로 변환하는 방법
KR101349948B1 (ko) 가설 인도교
AU2016231474A1 (en) Rail Track Sleeper Support
KR101230381B1 (ko)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KR101260947B1 (ko) 궤도지지 장치
KR20080103664A (ko) 진동차단 성능이 우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1229001B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0948279B1 (ko)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JP4892015B2 (ja) 車輪逸走防止装置
KR101670587B1 (ko) 철도궤도용 z형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구조
KR20130035150A (ko) 매립식 레일 구조
KR10122900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20060095891A (ko) +자형콘크리트침목
KR100769226B1 (ko)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CN208121497U (zh) 一种铁路橡胶道口铺面板
KR200235967Y1 (ko) 콘크리트도상 궤도 구조
JP6896740B2 (ja) 道路騒音減少装置および設置方法
KR101276083B1 (ko) 도시철도용 도상 흡음블록
KR200345471Y1 (ko) 강재를 이용한 2-아치형 도로 및 철로 낙석방지시설
KR102186237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JP3195311U (ja) 脱輪復帰スロープ固定金具
KR102433171B1 (ko) 무도상 철도교량의 침목 고정장치
KR200425469Y1 (ko) +자형콘크리트침목
CN207469072U (zh) 高架桥非连续墩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