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786B1 - 아민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786B1
KR101222786B1 KR1020077000409A KR20077000409A KR101222786B1 KR 101222786 B1 KR101222786 B1 KR 101222786B1 KR 1020077000409 A KR1020077000409 A KR 1020077000409A KR 20077000409 A KR20077000409 A KR 20077000409A KR 101222786 B1 KR101222786 B1 KR 101222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formula
amine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034A (ko
Inventor
외르크 폴레
미카엘 포겔
Original Assignee
훈츠만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스위처랜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훈츠만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스위처랜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훈츠만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스위처랜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5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81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C08G18/3271 and/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85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C08G18/3271 and/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25 or polyamine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33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59/1438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59/1444Mono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oxy Resi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화학식 I>
Figure 112007001548313-pct00005
a) 화학식 I의 폴리에테르디아민, (여기서 n은 10 내지 70임) 30 내지 70 중량%,
b) 화학식 R1-NH2 (여기서 R1은 5개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라디칼임)의 모노아민 또는 400 g/mol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단관능성 폴리에테르아민 3 내지 30 중량%,
c) 디- 또는 트리아민 3 내지 30 중량%, 및
d) 화학식 II의 알킬페놀 5 내지 40 중량% (여기서, R2는 5개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라디칼임)
를 포함하는 특별한 아민 조성물,
및 가교결합도가 낮고, 저온에서도 탄성이며, 내약품성인 열경화성 수지를 얻게하는, 이들 특별한 아민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들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성형품 및 코팅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아민 조성물, 경화제, 열경화성 수지, 에폭시드 수지, 저-점도

Description

아민 조성물 {AMINE COMPOSITIONS}
본 발명은 특별한 아민 조성물 및 이들 특별한 아민 조성물을 함유하는, 가교결합도가 낮고 내약품성인 탄성 열경화성 수지를 얻게하는 경화성 혼합물, 및 이들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성형품 및 코팅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에폭시 수지는 방식 도료, 마모 코팅, 주형봉입 재료 및 접착제의 생산에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이들은 탁월한 기계적 강도 및 우수한 내약품성을 갖는다. 에폭시 수지의 높은 가교결합 밀도로 인해, 아민-경화 에폭시 수지, 특히 디페닐프로판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을 기재로 한 것은 부서지기 쉽고 단단하며, 20℃ 초과의 유리 전이 범위를 갖는다.
실제로, 아민-경화 에폭시 수지의 고경도 및 고강도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며, 동시에 탄성화 및 취성 감소가 종종 요망된다. 특히 유연화 성형품 또는 균열-브릿징 막의 제조를 위해서는, 비교적 저온에서도 높은 가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항상 만족스럽지만은 않은 다양한 방법들이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원칙적으로, 탄성화도는 가교결합 밀도의 감소에 의해 내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가소제의 첨가에 의해 외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외부 탄성화제는 반응성이지 않고 열경화 네트워크에 혼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개질 방법은 특정 용도에만 적합하다. 이들은 공간을 충전하는 것에 의해서만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외부 가소제로는 타르, 프탈릭 에스테르, 고비점 알코올, 글리콜, 케톤 수지, 비닐 중합체, 및 에폭시 수지 및 아민 경화제와 반응성이 아닌 유사한 생성물들이 있다. 에폭시 수지의 내부 탄성화는, 예를 들어, DE-A 2 200 717에 기술된 바와 같이 경화제의 관능가를 감소시켜 달성할 수 있다.
이합체 및 삼합체 지방산을 기재로 하는 장쇄 저관능가 아미노아미드가 오랫동안 통상적이었고, 상당한 양으로 사용되었으며, 에폭시 수지에 대한 연질 경화제의 만족스러운 특성 스펙트럼을 달성하지만, 비교적 높은 점도 및 낮은 가요성 때문에 원하는 만큼 보편적으로는 사용되지 못한다.
폴리우레탄을 동시에 사용하여 상기 시스템을 개질할 수 있다는 것이 DE-A 10 90 803으로부터 또한 알려져 있다. 상기 시스템은 DE-A 21 52 606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탄성화 플라스틱에 대하여 더욱 개발되었다.
DE-C 24 18 041에서는, 우레탄기를 포함하는 DE-C 24 62 791에 기술된 폴리에테르아민이 경화제로서 동시에 사용되는 탄성화 성형품 및 시트상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은 열경화성 수지가 뛰어난 탄성을 갖게 하지만, 실제로 경화성 조성물의 비교적 높은 점도는 다루기 힘든 것으로 밝혀졌다. 높은 점도에서는 경화성 혼합물의 탈기가 불량하며, 셀프-레벨링 코팅에서의 사용 가능성이 희박하다.
DE 696 31 314 T2 = EP 0 767 189 B1에서는 (A) 20℃에서 증기압이 133 파스 칼 미만이고 1차 및 3차 아민을 둘다 함유하는 디아민 5-75 중량%, (B) 아미도아민 경화제 25-70 중량% 및 (C) 3개 이상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폴리(알킬렌 옥시드)-디- 또는 트리아민 5-50 중량%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의 코팅 조성물의 경화를 위한 아민 경화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경화된 코팅은 비교적 부서지기 쉽고 따라서 여러가지 용도에 적합하지 못하다.
WO 02/44240 A1은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아민 첨가생성물을 기술한다. 이들 폴리에테르아민 첨가생성물은 분자당 2개 이상의 반응성 아민 수소를 갖는 아민과 함께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부터 제조된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어 폴리에테르아민을 제공하고, 후속적으로 분자당 1개 이상의 에폭시드기를 갖는 에폭시드 화합물과 상기 폴리에테르아민의 첨가생성물을 형성한다. 이들 생성물들은 고가요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생성물들의 점도 역시 비교적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강도와 함께 고가요성 외에도 낮은 점도를 가짐으로써, 셀프-레벨링 코팅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경화제 및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별한 신규 아민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에 와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I의 폴리에테르디아민 3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
b) 화학식 R1-NH2 (여기서 R1은 5개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라디칼임)의 모노아민 또는 400 g/mol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단관능성 폴리에테르아민 3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c) 디- 또는 트리아민 3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및
d) 하기 화학식 II의 알킬페놀 5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01548313-pct00001
(상기 식에서, n은 1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임)
Figure 112007001548313-pct00002
(상기 식에서, R2는 5개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라디칼임)
폴리에테르디아민 a)는 훈츠만 (Huntsman)의 상표명 제파민 (Jeffamine: 등록상표)으로 입수할 수 있다.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2400이거나 n이 약 16 내 지 40에 상응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폴리에테르아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다른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테르아민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균 분자량 1500 내지 2200을 갖는, 특히 n이 대략 33에 상응하는 평균 분자량 2000을 갖는 폴리에테르아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모노아민 b)로서는, 8개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 쇄를 갖는 불포화 모노알킬아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코코넛 지방 아민 (주로 C12-C14) 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디아민 c)로서는, 원칙적으로 2개 이상의 반응성 아민 수소 원자를 갖는 모든 아민, 예를 들어 헤테로시클릭 아민, 예컨대 피페라진, N-아미노에틸피페라진; 시클로지방족 아민, 예컨대 이소포론디아민, 1,2-(1,3;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트리시클로도데칸디아민 (TCD); 아르지방족 아민, 예컨대 크실릴렌디아민;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 아민, 예컨대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2,2,4- 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에테르 아민, 예컨대 1,7-디아미노-4-옥사헵탄, 1,10-디아미노-4,7-디옥사데칸, 1,14-디아미노-4,7,10-트리옥사테트라데칸, 1,20-디아미노-4,17-디옥사에이코산 및 1,12-디아미노-4,9-디옥시도데칸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폴리알킬렌폴리아민,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트리프로필렌테트라민 및 고분자량 아민, 또는 자유 아민수소를 포함하는 첨가생성물 또는 축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아미노에틸피페라진, 크실릴렌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및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알킬페놀 d)로서는, 노닐페놀 및/또는 스티렌화 페놀,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티렌화 페놀이 사용된다.
이렇게 수득된 아민 조성물은 비교적 저-점도 액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민 조성물은 탄성 성형품, 코팅 및 발포체 제조용 에폭시 수지를 위한 경화성 조성물의 제형 성분으로서 (단독으로 또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인 다른 아민 경화제와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놀랍게도, 경화된 열경화성 수지는 여전히 -10℃의 극한 온도에서도 80% 이상의 탁월한 연신율을 가지며, 동시에 강도값 또한 매우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아민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에 더해, 분자 상에 평균 1개 초과의 에폭시드기를 갖는 에폭시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민 조성물 자체 및 경화성 조성물 모두 공지된 폴리우레탄아민 및 폴리우레탄아민 첨가생성물 및 이들로부터 제조된 경화성 조성물보다 훨씬 낮은 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득된 열경화성 수지는 경화가 완료된 후에 탁월한 저온 가요성의 특징을 갖는다.
코팅, 접착체 결합 또는 주형봉입을 위한 반응 수지 물질의 제형화를 위해 통상적인 첨가제, 예컨대 무기 및 유기 충전재, 안료, 가소제, 가속화제, 용매 및 다른 첨가제가 적합하다. 발포체의 제조를 위해서는, 이 분야에 통상적인 블로킹 제, 특히 수소-제거 실란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민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으로 다른 제형 성분, 예컨대 점도 조절제, 가속화제 (예컨대, 3차 아민,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또는 알킬페놀), 또는 신속 경화제, 예컨대 마니히 (Mannich) 염기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동시에 사용되는 에폭시드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 또는 경화제 혼합물로 고온 상태 및 저온 상태에서 경화 가능하다. 이들은 분자 상에 평균 하나 초과의 에폭시드기를 함유하고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글리세롤, 수소화 디페닐올프로판, 또는 다가 페놀, 예컨대 레소르시놀, 디페닐올프로판 또는 페놀/알데히드 축합물의 글리시딜 에테르일 수 있다. 또한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예컨대 헥사히드로프탈산 또는 이량체화 지방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의 사용도 가능하다.
수지 100 g당 에폭시드 0.4 내지 0.7 당량의 에폭시드값을 갖는, 에피클로로히드린 및 디페닐올프로판 및/또는 디페닐메탄을 기재로 한 액체 에폭시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희석제로 희석된, 그리고 예를 들어, 단관능성 지방족 및 방향족 글리시딜 에테르, 예컨대 부틸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페닐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글리시딜 에스테르, 예컨대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폭시드, 예컨대 스티렌 옥시드, 또는 다관능성, 특히 저분자량의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 에테르를 반응성 희석제로서 함유하는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고도로 가교결합된 아민 제제와 장쇄의 약한 가교결합 폴리에테르아민의 조합이 점도, 반응성 등에 대한 반응 수지 물질의 특성, 및 탄성, 가교 밀도, 기계적 강도 및 내약품성에 대한 열경화성 수지의 특성을 넓은 범위에서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기판에서의 균열 브릿징 및 내부 응력의 제거를 위해 기판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 우수한 내약품성 및 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의 중요한 분야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의 균열-브릿징 코팅, 예를 들어 산업용 바닥재 또는 불침투성 안전 트로우 (trough), 예를 들어 가열 오일 탱크이다. 이들의 철 및 콘크리트에 대한 탁월한 접착성 및 조절가능한 탄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로 조인트의 실링 재료, 접착제 및 액밀 균열-브릿징 막으로서 적합하다. 저-수축 및 저-응력 경화는 또한 대형 성형물 또는 성형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성형품의 제조에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코팅 및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결합제 제형으로부터 출발하여, 충전된 탄성 바닥 커버링, 주형봉입 재료 및 탄성화 접착제 및 탄성 에폭시 수지/경화제 발포체의 생산 또한 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름)
액밀 균열-브릿징 막의 실시예.
a)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제파민 (등록상표) D 2000 51.75 g,
b) 코코넛 지방 아민 9.14 g,
c)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이성질체 혼합물) 9.14 g 및
d) 노닐페놀 26.73 g 및 트리스(2,4,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3.25 g을 서로 혼합하였다. 점도: 275 mPa·s; 아민 당량 이론치 (Th.): 약 250.
실시예 2 (비교예)
WO 02/44240로부터 실시예 14에 따른 경화제
점도: 약 1000 mPa·s; 아민 당량 Th.: 약 230
실시예 3: (비교예)
아라두르 (Aradur 76: 등록상표) (고도의 연성 결합제를 위한 훈츠만의 폴리에테르폴리아민)
점도: 1500 mPa·s; 아민 당량 Th.: 약 250
실시예 4: (비교예)
a)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제파민 D 2000 51.75 g
b) 코코넛 지방 아민 18.28 g
d) 노닐페놀 26.73 g 및 트리스(2,4,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3.25 g을 서로 혼합하였다. 점도: 248 mPa·s, 아민 당량: 353
실시예 5: (비교예)
a)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제파민 D 2000 51.75 g
c)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이성질체 혼합물) 18.28 g
d) 노닐페놀 26.73 g 및 트리스(2,4,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3.25 g을 서로 혼합하였다. 점도: 320 mPa·s, 아민 당량: 178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름)
노닐페놀 대신에 스티렌화 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상응하는 조성물.
점도: 260 mPa·s, 아민 당량: 250
실시예 7: (비교예)
DE-A 2 200 717의 실시예 1a)에 따른 경화제:
a) 코코넛 지방 아민 50 g,
b)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50 g 및
c) p-노닐페놀 147 g을 서로 혼합하였다.
점도: 300 mPa·s, 아민 당량: 140
사용예
각각의 경우:
실시예 1의 아민 조성물 131 g,
WO 02/44240 A1의 실시예 14의 경화제 122 g (실시예 2),
경화제 아라두르 76 131 g (실시예 3)
실시예 4의 경화제 185 g,
실시예 5의 경화제 94 g,
실시예 6의 경화제 131 g 및
실시예 7의 경화제 73 g
을 수지 100 g당 0.52 당량의 에폭시드값을 갖는 디안 수지 (비스페놀 A) 86 중량% 및 에폭시드값 0.33을 갖는 C12-C14-지방 알코올을 기재로 한 14 중량%의 장쇄 단관능성 반응 희석제의 혼합물 100 g을 철저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두께 3 mm정도의 시험 몰드에 분배하였다. 실온에서 약 24시간 후에, 막은 사용하기에 적합해졌고, 23℃에서 7일 동안 경화한 후에, 하기의 물성 값들을 실온 및 -10℃에서 측정하였다 (표 1 참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점도/25℃1) [mPa·s] 275 1000 1500 248 320 260 300
경화 조건 7일/23℃ 7일/23℃ 7일/23℃ 7일/23℃ 7일/23℃ 7일/23℃ 7일/23℃
RT에서의 인장강도 [MPa] [DIN 54455] 4.3 10 4.7 N.m.*) 11.6 5.7 5.8
RT에서의 연신율 (장력) [%] [DIN 53507] 109 34 93 N.m. 41 95 69
RT에서의 TP [N/mm] [DIN 53515] 7.8 8.9 8.5 N.m. 45.9 11.3 16.1
-10℃에서의 인장강도 [MPa] [DIN 54455] 15.9 16.5 16.3 N.m. 34.8 18.4 49.8
-10℃에서의 연신율 (장력) [%] [DIN 53507] 81 35 56 N.m. 20 75 9
-10℃에서의 TP [N/mm] [DIN 53515] 30.4 13.8 43.4 N.m. 72.2 29.5 29
23℃에서의 250 g 겔 시간 [분] 86 53 46 N.m. 52 74 20
*) 경화제 혼합물은 실온에서 7일 후에도 여전히 점착성이었고 완전히 경화되지 않았다.
1) 모든 점도 데이터는 25℃에 대한 것이며 하아케 (Haake)의 회전 점도계 Vt 550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2) TP = 그레이브스 (Graves) 인열 파급 저항성.
결과의 논의: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6의 경화제는 각각 275 mPa·s 및 260 mPa·s의 비교적 낮은 점도를 갖는다. 이에 더해, 실시예 1 및 6의 경화된 열경화성 수지는 실온에서 (7일) 비교적 높은 인장강도 및 인열 파급 저항성과 함께 연신율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10℃에서 놀랍게도 여전히 매우 높은 연신율값을 갖는 반면, 비교예의 연신율값은 일부의 경우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 특히 비교예 7 (DE-A 2 200 717의 실시예 1)에서는, -10℃에서 연신율값이 특히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로도 연신율값의 이러한 감소는 예상되었고, 또 높은 연신율값과 함께 낮은 강도값이 예상되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는 놀라운 것이며, 예측할 수 없었던 것이다. 상기 폴리에테르디아민, 모노아민, 디아민 및 알킬페놀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그리고 추가의 비교예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매우 유리하다. 실시예 4에서, 경화제는 디아민 또는 트리아민의 부분 없이 제형화 되었다. 생성물은 실온에서 7일 후에도 완전히 경화되지 않았고, 따라서 산업용으로 거의 사용될 수 없다. 실시예 5에서는, 경화제를 또한 모노아민을 첨가하지 않고 디아민으로 제형화하였다. 경화된 열경화 수지의 연신율은 특히 -10℃에서 비교적 낮았다.

Claims (14)

  1. a) 하기 화학식 I의 폴리에테르디아민 30 내지 70 중량%,
    b) 화학식 R1-NH2 (여기서 R1은 5개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라디칼임)의 모노아민 또는 400 g/mol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단관능성 폴리에테르아민 3 내지 30 중량%,
    c) 디- 또는 트리아민 3 내지 30 중량%, 및
    d) 하기 화학식 II의 알킬페놀 5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는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07001548313-pct00003
    (상기 식에서, n은 10 내지 70임)
    <화학식 II>
    Figure 112007001548313-pct00004
    (상기 식에서, R2는 5개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의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라디칼임)
  2. 제1항에 있어서,
    a) 화학식 I의 폴리에테르디아민 40 내지 60 중량%,
    b) 화학식 R1-NH2의 모노아민 5 내지 20 중량%,
    c) 디- 또는 트리아민 5 내지 20 중량%, 및
    d) 화학식 II의 알킬페놀 10 내지 30 중량%
    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디아민 a)가 n = 16 내지 40인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모노아민 b)가 8개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 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모노아민 b)가 불포화 지방 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 c)가 이소포론디아민, 아미노에틸피페라진, 크실릴렌디아민 및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알킬페놀이 노닐페놀, 스티렌화 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알킬페놀이 스티렌화 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분자상에 평균적으로 1개 초과의 에폭시드기를 갖는 에폭시드 화합물 및 경화제로서의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에폭시드 화합물이 1가 또는 다가 페놀, 4 내지 18 탄소 원자를 갖는 1가 또는 다가 지방족 알코올,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또는 알킬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의 글리시딜 에테르로부터 선택된 글리시딜 에테르이거나, 또는 직접 에폭시드화에 의해 제조된 에폭시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에폭시드 화합물이 글리시딜화 C12-C14-알코올과 함께 비스페놀 A 수지, 비스페놀 F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성 조성물.
  12. 제9항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3. 제9항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14. 제9항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KR1020077000409A 2004-07-09 2005-07-08 아민 조성물 KR101222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3340.8 2004-07-09
DE102004033340 2004-07-09
PCT/EP2005/053269 WO2006005723A1 (en) 2004-07-09 2005-07-08 Amine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034A KR20070056034A (ko) 2007-05-31
KR101222786B1 true KR101222786B1 (ko) 2013-01-15

Family

ID=3498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409A KR101222786B1 (ko) 2004-07-09 2005-07-08 아민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70499B2 (ko)
EP (1) EP1769032B1 (ko)
JP (1) JP5021469B2 (ko)
KR (1) KR101222786B1 (ko)
CN (1) CN100549090C (ko)
AU (1) AU2005261704B2 (ko)
ES (1) ES2432114T3 (ko)
WO (1) WO2006005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4621A (ja) * 2006-04-19 2007-11-01 Murata Mfg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エポキシ樹脂硬化物
PT2307360E (pt) * 2008-07-22 2012-01-11 Basf S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corpos moldados com misturas de aminas com derivados de guanidina
ES2377376T3 (es) * 2008-07-22 2012-03-27 Basf Se Mezclas de aminas con derivados de guanidina
ES2379691T3 (es) * 2008-07-22 2012-04-30 Basf Se Preparados que contienen resina de epóxido y mezclas de aminas con derivados de guanidina
JP2012508168A (ja) * 2008-11-07 2012-04-05 ハンツマン ペトロケミカル エルエルシー ポリアミノアセトニトリル、これらの製造および使用方法
CA2755854A1 (en) * 2009-03-17 2010-09-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urable compositions containing cyclic diamine and cured products therefrom
KR20120094163A (ko) 2009-09-25 2012-08-23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체
US8796391B2 (en) 2009-12-18 2014-08-05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Inc. Epoxy resin curing compositions and epoxy resin systems including same
JP5680108B2 (ja) * 2009-12-22 2015-03-04 ハンツマン ペトロケミカル エルエルシーHuntsman Petrochemical LLC エーテルアミンおよびそれらを重合体合成時に中間体として用いる使用
KR101910577B1 (ko) * 2011-11-16 201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극과 복합막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CN103183810B (zh) * 2011-12-30 2017-05-10 上海市涂料研究所 一种水性环氧固化剂的制备方法及其在地坪涂料中的应用
JP2015512467A (ja) * 2012-04-09 2015-04-27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常温硬化性エポキシ系用の硬化剤
JP2016500732A (ja) * 2012-10-31 2016-01-1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硬化性組成物
KR101638871B1 (ko) * 2013-09-26 2016-07-1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스티렌네이티드 페놀 부가물 및 그 제조방법
US9771310B2 (en) * 2013-11-25 2017-09-26 Korea Kumho Petrochemical Co., Ltd. Styrenated phenol useful as curing agent or plasticizing agent for epoxy resin
CN106488942A (zh) * 2014-07-01 2017-03-08 蓝立方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硬化剂组合物
CN107041142A (zh) 2014-12-03 2017-08-11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可固化环氧树脂组合物和用于其的固化剂
EP3230037B1 (en) * 2014-12-09 2020-04-08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Additive to prevent phase separation of low profile additive in unsaturated thermoset polyester compositions
JP6715523B2 (ja) * 2015-05-13 2020-07-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組成物
CN106832255B (zh) 2015-12-03 2019-09-2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胺基聚合物、其制造方法及其用途
KR102027489B1 (ko) * 2018-03-15 2019-10-0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포팅재용 조성물
JP7354789B2 (ja) 2018-12-10 2023-10-03 Dic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用硬化剤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及びエポキシ樹脂モルタル
CN111675989A (zh) * 2019-12-26 2020-09-18 上海多迪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低应力环氧灌封胶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7805A (en) 1984-03-15 1984-12-11 Texaco Inc. Decorative epoxy resin aggregate binder formulation
JPS63243170A (ja) 1987-03-31 1988-10-11 Atom Kagaku Toryo Kk 新規塗料組成物
JPH11343397A (ja) 1998-02-23 1999-12-14 Delphi Technol Inc 導電性エポキシ樹脂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90803B (de) 1959-06-10 1960-10-13 Schering Ag UEberzugsmittel bzw. Reaktionslacke
US3740373A (en) * 1971-07-28 1973-06-19 Jefferson Chem Co Inc Epoxy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xyalkylenepolyamine,substituted piperazine,salicylic acid and a phenol
BE790295A (fr) 1971-10-22 1973-04-19 Bayer Ag Matieres plastiques elastifiees
BE793700A (fr) 1972-01-07 1973-07-05 Schering Ag Durcisseurs pour les resines epoxydiques
DE2462791C2 (de) 1974-04-13 1982-12-23 Schering Ag, 1000 Berlin Und 4619 Bergkamen Hochmolekulare Aminverbindungen
DE2418041C3 (de) 1974-04-13 1982-04-29 Schering Ag, 1000 Berlin Und 4619 Bergkam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astifizierten Formteilen nach Flächengebilden
JPS5554326A (en) * 1978-10-16 1980-04-21 Texaco Development Corp Manufacture of epoxy resin
JPS578221A (en) * 1980-06-20 1982-01-16 Asahi Denka Kogyo Kk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
US4487806A (en) * 1984-03-15 1984-12-11 Texaco Inc. Decorative epoxy resin aggregate binder formulation
US5049411A (en) * 1989-12-20 1991-09-17 Texaco Chemical Company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for cementitious road repair and overlay on wet and dry surfaces
US5688905A (en) 1995-09-20 1997-11-1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imary-tertiary diamines mixed with polyamines as epoxy resin hardeners
EP1366102B1 (en) 2000-11-21 2004-09-22 Huntsman Advanced Materials (Switzerland) GmbH Hydroxyl-group-containing polyether amine adducts
US6888257B2 (en) * 2002-06-28 2005-05-03 Lord Corporation Interface adhesive
WO2004003050A1 (en) * 2002-07-01 2004-01-08 Huntsman Advanced Materials (Switzerland) Gmbh Polyether urethane amin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7805A (en) 1984-03-15 1984-12-11 Texaco Inc. Decorative epoxy resin aggregate binder formulation
JPS63243170A (ja) 1987-03-31 1988-10-11 Atom Kagaku Toryo Kk 新規塗料組成物
JPH11343397A (ja) 1998-02-23 1999-12-14 Delphi Technol Inc 導電性エポキシ樹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61704B2 (en) 2010-04-08
JP2008505996A (ja) 2008-02-28
CN1997707A (zh) 2007-07-11
EP1769032A1 (en) 2007-04-04
US7670499B2 (en) 2010-03-02
ES2432114T3 (es) 2013-11-29
EP1769032B1 (en) 2013-09-25
JP5021469B2 (ja) 2012-09-05
CN100549090C (zh) 2009-10-14
WO2006005723A1 (en) 2006-01-19
AU2005261704A1 (en) 2006-01-19
KR20070056034A (ko) 2007-05-31
US20070292620A1 (en)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786B1 (ko) 아민 조성물
EP1980542B1 (en) Polyalkyleneamine adducts as curing agents for thick layer water-based epoxy systems
EP1956034B1 (en) Alkylated polyalkyleneamines and uses thereof
KR101919308B1 (ko) 경화성 수지 시스템용 수계 아민 경화제
EP3110870B1 (en) Furan-based amines as curing agents for epoxy resins in low voc applications
US8063157B2 (en) Curing agents for epoxy resins
EP1954737B1 (en) Curing agent for epoxy resins
DE60105853T2 (de) Hydroxylgruppen enthaltende polyether-amin-addukte
EP1761581B1 (en) Curing agents for epoxy resins
US5426169A (en) Flexiblized polyepoxide resins incorporating aliphatic diglycidyl ethers
WO2018212766A1 (en) Epoxy curing agent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04003050A1 (en) Polyether urethane amines
WO2005123797A1 (en) Urethane am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