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379B1 - 데커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데커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379B1
KR101215379B1 KR1020100051645A KR20100051645A KR101215379B1 KR 101215379 B1 KR101215379 B1 KR 101215379B1 KR 1020100051645 A KR1020100051645 A KR 1020100051645A KR 20100051645 A KR20100051645 A KR 20100051645A KR 101215379 B1 KR101215379 B1 KR 101215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composition
derivative
active ingredient
decursi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942A (ko
Inventor
원무호
전종갑
유기연
황인구
최정훈
이충현
이현주
양덕모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1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379B1/ko
Priority to PCT/KR2010/009453 priority patent/WO2011129516A1/ko
Publication of KR2011013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규한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F-κB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는 세포독성이 낮고, 세포독성이 문제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NO 저해 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NF-κB 활성 저해능이 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염증 예방 및 염증과 관련된 각종 질병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의 목적 및 NF-κB와 관련된 질병, 구체적으로 다발성 골수종,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커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DECURSINOL DERIVATIVES}
본 발명은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은 조직(세포)이 손상되거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에 존재하는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유도한다. 그러나 항원이 계속 제거되지 않거나 특정한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과민성질환이나 만성 염증이 되며, 수혈, 약물투여, 장기이식 등의 치료과정에서도 장해요인이 된다.
생체에 있어서 염증의 발생 원인으로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매우 불안정하며 반응성이 강한 물질로서 생체 내에서 다양한 작용을 함)를 발생시키는 효소인 니트릭옥사이드 신타제(nitric oxide synthase; NOS)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은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 헴옥시게나아제-1(HO-1)은 항산화제인 빌리베르딘(biliverdin)과 빌리루빈(bilirubin)을 생산해 염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NOS로는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cNOS (constitutive NOS: 이미 세포내에서 존재하는 단백질로 어떤 자극에 의하여 활성을 갖게 되는 것)인 뇌에 존재하는 bNOS(brain NOS), 신경계에 존재하는 nNOS(neuronal NOS), 혈관계에 존재하는 eNOS(endothelial NOS) 등은 체내에 항상 일정수준으로 발현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소량 생성되는 NO는 신경전달이나 혈관확장을 유도하는 등 정상적인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s)이나 외부 자극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iNOS(inducible NOS)에 의해 급격히 과량 발생되는 NO는 세포독성이나 각종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 염증은 iNOS 활성의 증가와도 관련 있다(Miller M. J. et al., Mediators of inflammation, 4, pp 387-396, 1995: Appleton L. et al., Adv. Pharmacol., 35, pp 27-28, 1996).
현재까지 알려진 항염증 약물은 염증 감소 및 통증을 완화시켜 주기는 하나 위장 장애 등의 부작용 때문에 장기적으로 사용하기가 곤란하여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거나 기존 치료제를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대부분 인간의 질병은 병이 일어나는 시기 또는 진행과정에서 비정상적인 요소와 유전자 발현으로 생성된 물질이 연관되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질병으로는 자가면역이상에 의한 관절염(autoimmune arthritis)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천식(Asthma), 염증성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패혈증성 쇼크(Septic shock), 폐섬유증(Lung Fibrosis), 발암기전(carcinogenesis) 즉, 각종 암(cancer), 그리고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전자 등은 생물학적이거나 물리학적 과정에서 활동이 없거나 매우 미미한 활동을 한다. 그러나 환경오염의 노출과 같은 명확한 조건에서 이런 유전자들의 발현은 미리 존재하고 있는 유전적 요소에 의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은 유전적 요소는 사이토카인(cytokine), 케모카인(chemokine), 성장인자(growth factor), 접착분자(adhesion molecule), 급성병기단백질(acute phase proteins)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필수적인 전사요소인 nuclear factor-κB(NF-κB)에 의해 조절된다.
NF-κB는 면역 글로블린의 κ-light chain 유전자의 B 세포에 특이적인 전사 활성물질로 처음 확인되었다. 이후 NF-κB는 다양한 세포에서 확인되었으며 많은 요소들에 의해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포유류 핵 전사 인자로 세포자살(apoptosis)의 조절을 포함하는 유전자 전사의 활성화와 관련된 다중-소단위의 복합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Baeuerle, Henkel, Ann. Rev. Immunol., 12:141-179(1994); Baldwin, Ann. Rev. Immunol. 14, 649-683(1996)). 이와 같은 NF-κB는 면역학, 분자생물학, 생화학, 유전학, 세포생물학 및 발생생물학 등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NF-κB는 다수의 사이토카인(cytokine; TNF, IL-1, IL-2, IL-6 및 IL iNOS 등), 케모카인(chemokine), 세포접착분자(adhesion molecule), 급성병기단백질(acute phase proteins), 면역조절 단백질,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세포 표면 수용체(cell surface receptor), 항-고사(anti-apoptotic) 유전자,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및 cyclooxygenase 2(COX-2) 등을 발현하는 유전자들의 전사단계를 활성화 한다(Barnes, P. J. et al ., N. Engl . J. Med . 366:1066-1071 (1997); Xie, Q et al ., J. Biol . Chem. 269:4705-4708 (1994); Yamamoto, K. et al ., J. Biol . Chem . 270:31315-31320 (1995)).
비정상적인 NF-κB 활성화는 골수종을 포함한 각종 암, 관절염 등 각종 염증질환, 동맥협착증, 천식 등 염증반응이 동반되는 난치성 질환 및 암 질환의 원인이나 악성화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radhya, S. et al ., Curr. Opin. Genet, Dev, 11:300-7 (2001); Orlowski, R. Z. et al ., Trnds Mol. Med., 8:385-9 (2002)).
또한, NF-κB 활성화는 염증성 질환에 상당한 역할을 한다. NF-κB는 TNF 및 다른 향 염증성(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또한, 천식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만성 기도 염증은 사이토킨이라는 염증성 단백질의 과도한 발현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IL-1 및 TNF와 같은 다른 염증성 매개체는 류머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관절 질환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이들 염증성 단백질 모두는 NF-κB에 의하여 고도로 조절된다(Yamamoto, Y., et al., J. Clin Invest 107 135-142(2001) 및 Hart, L. A.,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158 1585-1592(1998)).
따라서, 비-독성 억제제에 의한 NF-κB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성분은 많은 염증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한 각종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골관절염, 골다공증 및 섬유화질환(fibrotic disease)의 치료에 임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항-염증성 약물에 의한 이들 조절 단백질 또는 이들의 키나아제의 억제는 이들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천식, 관절염 등 각종 염증질환 등의 난치성 질환 및 다발성 골수종, 암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NF-κB의 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O의 분비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항염 효과 및 염증성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고, 나아가 NF-κB의 활성화로 인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진 천식, 다발성 골수종,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암 등의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고 부작용이 적은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과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다발성 골수종,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F-κB 저해제를 제공한다.
상기 NF-κB 저해제는 NF-κB와 관련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다발성 골수종,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항염 활성이 뛰어난 신규 화합물에 대해 연구하던 중, 세포독성이 낮고, 세포독성이 문제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NO 저해 활성이 뛰어난 화합물의 경우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합물의 경우 새로운 항염제로 응용될 수 있다는 점과 NF-κB 활성화를 저해하면 천식, 염증, 다발성 골수종 및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연구를 진행하던 중, 본 발명자들에 의해 새롭게 합성된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가 세포독성이 낮고, NO 저해 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허혈을 유도한 경우에 NF-κB 활성화를 저해한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일 예로, 항염 조성물, NF-κB 저해제 또는 천식, 다발성 골수종,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3524985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상기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 할로겐, 히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및 티올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알킬은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C1) 내지 탄소수 7(C5) 또는 탄수소 1(C1) 내지 탄소수 5(C5)인 직쇄 및 분쇄 알킬일 수 있으며, 상기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 등의 방향환계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탄소수 6(C6) 내지 30(C30) 또는 탄소수 6(C6) 내지 12(C12)인 아릴일 수 있으며, 상기 알콕시는 탄소수 1(C1) 내지 탄소수 10(C10)인 알콕시일 수 있다. 상기 알킬, 아릴 및 알콕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할로겐은 플루오르(F), 클로라이드(Cl), 브롬(Br) 또는 요오드(I)일 수 있다.
상기 데커시놀 유도체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진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35249851-pat00002
상기 항염 조성물은 체내에서 비정상적인 염증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억제 또는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그 억제 또는 저해 경로는 어떤 특정 경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면역세포인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NO의 분비량을 Griess reagent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상기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된 NO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항염 조성물은 염증 예방과 관련된 다양한 용도의 피부외용제로 응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의 일 태양으로 화장료 조성물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상기 항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는 파우더, 젤, 연고, 크림, 액체, 에어로졸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상기 항염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염,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맞게 임의로 선정된 부형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첨가가 가능한 물질은 정제수,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고급 알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방부제, 왁스, pH 조절제 또는 향료 등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F-κB 저해제 즉, NF-κB 저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35249851-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상기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 할로겐, 히드록시, 알콕시, 아미노 및 티올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알킬은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C1) 내지 탄소수 7(C5) 또는 탄수소 1(C1) 내지 탄소수 5(C5)인 직쇄 및 분쇄 알킬일 수 있으며, 상기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 등의 방향환계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탄소수 6(C6) 내지 30(C30) 또는 탄소수 6(C6) 내지 12(C12)인 아릴일 수 있으며, 상기 알콕시는 탄소수 1(C1) 내지 탄소수 10(C10)인 알콕시일 수 있다. 상기 알킬, 아릴 및 알콕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할로겐은 플루오르(F), 클로라이드(Cl), 브롬(Br) 또는 요오드(I)일 수 있다.
상기 데커시놀 유도체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진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35249851-pat00004
상기 NF-κB 저해제는 상기 NF-κB의 발현(expression) 및/또는 활성화(activation)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그 저해 경로는 어떤 특정 경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실험동물의 뇌허혈을 유도한 후, 뇌허혈이 유도된 실험동물의 신경세포에서 NF-κB의 변화를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 상기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뇌허혈의 유도에 의한 NF-κB 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F-κB는 핵 안으로 전위하여 핵 안에서 전사과정을 유도하므로, NF-κB 활성화를 억제하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이토카인(cytokine), 케모카인(chemokine), 접착분자(adhesion molecule), 급성병기단백질(acute phase proteins),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al peptide), 세포 표면 수용체(cell surface receptor),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및 cyclooxygenase 2(COX-2) 유전자들의 전사단계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상기 유전자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천식, 다발성 골수종,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신규한 데커시놀 유도체는 효과적으로 NF-κB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NF-κB와 관련된 다양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다발성 골수종,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염 조성물, NF-κB 저해용 조성물 또는 상기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고, 소화나 배설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는 상기 항염 조성물, NF-κB 저해용 조성물 또는 상기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내에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약제로 사용되거나, 의약 또는 약학적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거나 희석제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 내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영되는 염의 함량은 0.001 중량 % 내지 99.9 중량 %, 0.1 중량% 내지 99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의 사용태양 및 사용방법에 따라 상기 화합물의 함량은 바람직한 함량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시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 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인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의 항염 효과가 인정되는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NF-κB 저해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의 NF-κB의 저해제로 사용되는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각각의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인정되는 물질을 각 치료 목적이 되는 질병의 종류에 따라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염 조성물, 상기 NF-κB 저해용 조성물 및 상기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이 약제로 사용하는 경우 투여방법은 각각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가능하며, 일 예로는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염 조성물, 상기 NF-κB 저해용 조성물 및 상기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제형은 각각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TABLETS), 알약,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CAPSULES), 환제(PILLS), 산제(POWDERS) 및 과립제(GRANULES)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SUSTESIONS), 내용액제, 유제(EMULSIONS) 및 시럽제(SYRUPS)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형태는 크림(CREAM), 로션제(LOTIONS), 연고제(ONITMENTS), 경고제(PLASTERS), 액제(LIQUIDS AND SOUL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유동엑스제(FRUIDEXTRACTS), 엘릭서(ELIXIR), 침제(INFUSIONS), 향낭(SACHET), 패취제(PATCH) 또는 주사제(INJECTIONS)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항염 조성물, 상기 NF-κB 저해용 조성물 및 상기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각각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항염 조성물, 상기 NF-κB 저해용 조성물 및 상기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각각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의 중증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일 예로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01 mg/kg(체중) 내지 100 mg/kg(체중), 0.1 mg/kg(체중) 내지 50 mg/kg(체중) 또는 0.5 mg/kg(체중) 내지 10 mg/kg(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규 데커시놀 유도체 화합물은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발되는 면역세포 내의 NO 분비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실험동물에서 뇌허혈에 의해 유발되는 NF-κB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항염증 효과 및 NF-κB 저해효과가 인정되므로, 상기 데커시놀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 저해 및 NF-κB 저해 효과가 인정되어, 항염 조성물, NF-κB 저해제 및 NF-κB와 관련된 질병인 다발성 골수종,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C-12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MTT assay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가로축의 수치는 HC-12의 투여량(μmol/L)량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가로축의 투여량 아래에 'LPS'로 표시된 실험군은 LPS(lipopolysaccharide, μg/mL)를 함께 처리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세로축의 수치는 570nm에서 측정된 흡광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C-12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에 LPS 처리 후, NO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가로축의 수치는 HC-12의 투여량(μmol/L)량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가로축의 투여량 아래에 'LPS'로 표시된 실험군은 LPS(lipopolysaccharide, μg/mL)를 함께 처리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세로축의 수치는 NO 분비량(μmol/L)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C-12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뇌졸중에서 매우 중요한 염증반응인자로 알려진 NF-kB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수행한 후 관찰한 사진으로, Sham(A)은 뇌허혈을 일으키지 않은 정상군을 의미하고, Vehicle(B)은 증류수만을 투여한 대조군을 의미하고, 20mg/kg(C) 및 40mg/kg(D)은 각각 실험동물의 체중 1kg당 HC-12를 각각 20mg 또는 40mg 투여한 실험군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NF-kB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나타낸 면역반응성을 O.D.(optical density)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NF-kB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O.D.로 측정한 후, 상기 측정 결과를 뇌허혈을 일으키지 않은 정상군(Sham)을 기준으로 상대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데커시놀로부터 HC -11의 제조.
살리실산(Salicylic acid, 0.033 g, 0.243 mmol), DCC(0.053 g, 0.255 mmol)과 DMAP(0.003 g, 0.024 mmol)을 CH2Cl2(5 mL)에 녹인 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질소 하에서 교반 한 뒤, (+)-decursinol(0.03 g, 0.121 mmol)을 넣어주었다. 상기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질소기류 하에서 환류시키면서 반응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상기 냉각한 반응액을 Celite filter로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고 CH2Cl2로 희석시켰다. 상기 유기층을 brine으로 씻어내고, MgSO4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남은 물질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EtOAc:Hexane=1:1)로 분리하여 하얀색 고체인 HC-11(7R-(2-hydroxybenzoate)-8,8-dimethyl-8-oxo-7,8-dihydro-6H- pyrano[3,2g]chromen-2-one) 0.041g을 수득하였다. 상기 HC-11의 수율은 93%이었다.
R f 0.67 (EtOAc:Hexane=1:1);
m.p. 120-128℃;
1H NMR (300 MHz, CDCl3) δ 1.43 (3H, s), 1.48 (3H, s), 3.01 (1H, dd, J=4.8, 17.1 Hz), 3.31 (1H, dd, J=4.8, 17.1 Hz), 5.31 (1H, t, J=5.4 Hz), 6.23 (1H, d, J=9.3 Hz), 6.80-6.85 (2H, m), 6.97 (1H, d, J=7.8 Hz), 7.17 (1H, s), 7.44 (1H, br t, J=7.8 Hz), 7.57 (1H, d, J=9.3 Hz), 7.68 (1H, dd, J=1.8, 7.8 Hz), 10.56 (1H, s).
13C NMR (75 MHz, CDCl3) δ 23.8 (Me), 25.3(Me), 28.2 , 71.5 , 76.9 , 105.1 , 112.1 , 113.3 , 113.8 , 115.4 , 117.9 , 119.6 , 128.9 , 130.1 , 136.4 , 143.2 , 154.4 , 156.3 , 161.3 , 161.9 , 169.4 (C=O).
실시예 2: HC-11부터 HC-12의 제조.
HC-11(0.033 g, 0.090 mmol)과 DMAP(0.002 g, 0.018 mmol)을 CH2Cl2(5 mL)에 녹인 후 Et3N(0.06 mL, 0.450 mmol)을 넣어주고, 이 혼합물을 1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상기 교분 후, 아세트산 무수물(Acetic anhydride, 0.04 mL, 0.360 mmol)을 넣어주고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키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상기 반응물에 에탄올을 넣어주고 물로 처리한 뒤 CH2Cl2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brine으로 씻어내고, MgSO4로 건조시킨 후 감압 증류하여 남은 물질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EtOAc:Hexane=1:1)로 분리하여 하얀색 고체인 7R-(2-acetosybenzoate)-8,8-dimethyl-8-oxo-7,8-dihydro-6H- pyrano[3,2g]chromen-2-one 0.03 g을 수득하였다. 상기 HC-12의 수율은 83%이었다.
R f 0.41 (EtOAc:Hexane=1:1);
m.p. 78-82℃;
1H NMR (300 MHz, CDCl3) δ 1.40 (3H, s), 1.46 (3H, s), 2.30 (3H, s), 2.97 (1H, dd, J=4.5, 17.1 Hz), 3.27 (1H, dd, J=4.5, 17.1 Hz), 5.26 (1H, t, J=4.5 Hz), 6.22 (1H, d, J=9.6 Hz), 6.82 (1H, s), 7.07 (1H, d, J=8.1 Hz), 7.16 (1H, s), 7.28 (1H, d, J=7.8 Hz), 7.54-7.58 (2H, m), 7.89 (1H, dd, J=1.8 8.1 Hz).
13C NMR (75 MHz, CDCl3) δ 21.4 , 24.0 (Me), 25.3(Me), 28.1 , 71.1 , 76.9 , 105.0 , 113.2 , 113.6 , 115.7 , 122.7 , 124.1 , 126.3 , 129.0 , 131.9 , 134.6 , 143.3, 151.0 , 154.3 , 156.4 , 161.4 , 163.8 , 169.8(C=O).
실시예 3: 항염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HC-12의 항염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우선 세포 독성이 나타나는 HC-12의 함량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고, 세포 독성이 문제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항염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1. 세포 독성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HC-12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ATCC에서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상기 세포의 배양(Cell culture)에 사용된 DMEM/F12(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Nutrient Mixture Ham's F12), FBS(fetal bovine serum), L-glutamine,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인슐린(Insulin)은 Gibco/BRL(USA)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RAW264.7 세포는 DMEM/F12 배지에 10% FBS, 1%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1% L-글루타민 및 20 μg/mL 인슐린을 첨가한 배양액을 사용하여 배양하였고, 37℃ 습윤한 CO₂배양기(5% CO₂/95% air)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가 배양접시의 약 80%가 차게 배양된 후, PBS(pH 7.4)로 세포의 단층을 씻어낸 후세척하고, 0.25% 트립신 및 2.56 mmol/L EDTA를 처리하여 계대 배양하였다. 배지는 2일마다 교환하였다.
상기 배양한 세포는 50,000 cells/well의 밀도로 24 well-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24시간 배양한 뒤, 1% charcoal stripped FBS가 포함된 serum-deprivation medium(SDM)으로 24시간동안 serum deprivation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배지를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과 LPS 및 다양한 농도의 상기 실시예 2의 HC-12를 포함하는 SDM으로 교환한 후, 24시간에 MTT 분석(MTT assay) 방법으로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MTT 분석이란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테트라졸리움을 청자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MTT 포르마잔 크리스탈로 환원시키는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이용하는 검사법이다.
상기 HC-12를 녹이기 위한 용매로는 세포 생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DMSO를 사용하였다. 상기 MTT 분석을 위하여, 각 시간대 별로 세포배양 배지를 제거한 후 MTT를 1 mg/mL 포함하는 DMEM/F12 배지를 웰 당 1 mL씩 처리하고, 37℃ 습윤한 CO₂배양기에서 3시간 더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한 후, 0.5 mL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포르마잔 크리스탈을 용해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리더(BIO-RAD)에서 570 ㎚파장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24시간 동안 HC-12로 처리한 상기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4시간을 처리한 경우에도,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예와 LPS와 함께 제조된 HC-12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경우 모두 세포의 증식에 별다른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HC-12은 100 μmol/L까지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2. 항염 효과 측정 - NO 분비량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HC-12의 항염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1의 RAW264.7 세포를 이용하였다. 상기 RAW264.7 세포의 배양에 필요한 배지 및 배양 방법은 상기 실시예 3-1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염 효과의 측정은 상기 RAW264.7 세포에 HC-12와 LPS를 함께 첨가한 후,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으로 24시간 배양한 뒤, 상기 24시간 배양한 후의 배양액을 수집하여, NO의 분비량을 Griess reagent system(Promeg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Griess reagent system을 이용한 측정법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스템의 제조사인 Promega에서 제공한 실험방법(protocol)에 의하였고, 상기 수집된 세포배양액에 Sulfanilamide solution을 먼저 넣고, NED solution을 넣은 후에,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LPS를 첨가한 경우에 NO의 분비량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LPS의 첨가는 RAW264.7 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NO의 분비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HC-12를 첨가시키는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NO 분비량이 감소되었으며, HC-12를 세포 안전성이 확인된 100 μmol/L의 절반에 해당하는 50 μmol/L 첨가한 경우에는 HC-12 무첨가군에 비하여 약 40% 정도의 NO 함량이 측정되어 NO 분비의 억제를 통한 매우 우수한 항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HC -12의 허혈 조건에서의 NF - kB 발현 억제 효과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얻어진 목적 화합물인 HC-12의 생물학적 효능, 구체적으로 허혈 조건에서의 NF-κB 발현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1. 실험동물의 사육
체중 65 내지 75g의 수컷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 Meriones unguiculatus, Halan, USA) 40 마리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빛을 가하는 일정한 명암주기 조건, 21℃ 내지 25℃의 온도 조건 및 45% 내지 6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의 사료는 일반적인 펠렛 건조 사료(대한실험동물, 대한민국)를 사용하였고, 사료와 물은 상시로 섭취할 수 있게 하였다.
실시예 4-2. HC -12의 NF - kappaB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HC-12의 NF-κB 발현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1에서 사육한 실험동물을 마취시켜 온목동맥(common carotid artery)을 노출 후 결찰하여 뇌허혈을 유발시킨 후 동물의 해마조직을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 염색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는 방법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실험동물에 HC-12를 체중 1kg당 20mg 또는 40mg이 되도록 함량을 조절하여 증류수 500ul에 녹인 후, 이것을 수술 전 3일간 복강투여 하였다. 수술 당일에는 수술 30분 전에 HC-12를 동일한 용량 및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의 전신마취는 질소와 산소가 7 : 3으로 혼합된 가스에 3% 이소플루란(isoflurane , Baxtor, USA)을 혼합한 가스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의 질소와 산소 혼합가스에 3% 이소플루란을 혼합한 가스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마취상태를 유지하면서 실험동물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에 대한 수술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목 부위의 털을 깎고 소독한 다음, 상기 소독한 부위를 절개하여 양쪽 온목동맥을 노출시켰다. 상기 노출된 온목동맥을 동맥류 클립(aneurysm clip, Staelting, USA)을 이용하여 5분 동안 결찰하여 뇌허혈을 일으킨 후, 클립을 제거하여 재관류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때, 각 실험군은 검안경(ophthalmoscope)을 이용하여 망막중심동맥(central artery of retina)의 혈액 순환 유무를 관찰함으로써, 완전한 온목동맥의 폐쇄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뇌허혈을 유발시키는 동안 직장 내 체온계를 삽입하여 체온을 측정하였으며, 실험동물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온열 패드를 사용하여 체온을 정상 체온인 36.5℃ 내지 37.5℃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대조군에 대한 실험은 HC-12를 녹이는데 이용된 증류수만을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정상군에 대해서는 허혈-재관류 수술을 시행하지 아니하였을 뿐만 아니라 HC-12를 비롯한 어떠한 물질도 투여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 동물은 뇌허혈 유발 4일 후에 티오펜탈 소듐(thiopental sodium, 유한양행, 한국)을 체중 1㎏ 당 각각 30㎎ 의 용량으로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시킨 다음, 1,000㎖ 당 헤파린 1,000 IU를 함유한 4℃의 생리식염수를 좌심실로 주입하여 관류 세척하였다. 상기 관류 세척이 완료된 상기 동물에 대해 4℃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in 0.1M 인산완충액(PB), pH 7.4)를 이용하여 관류고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관류 고정이 끝난 실험동물의 머리뼈 공간을 뼈절단기를 이용하여 열고, 뇌를 적출하였다. 상기 적출된 실험동물의 뇌를 4℃의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in 0.1M 인산완충액(PB), pH 7.4)를 이용하여 4시간 동안 후고정하였다. 상기 후고정이 끝난 뇌는 30% 수크로스 용액(in 0.1M 인산 완충액(PB), pH 7.4)에 넣어 바닥에 가라앉을 때까지 침강시킨 후, 상기 침강시킨 뇌의 조직을 슬라이드 마이크로톰(sliding microtome, Reichert-Jung, 독일)으로 30㎛ 두께로 잘라 조직절편을 만들었다. 상기의 조직절편을 보존액(storing solution)이 들어있는 6웰 플레이트에 넣어 염색을 수행할 때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조직절편 중에서 해마형성체(hippocampal formation)가 잘 나와 있는 조직을 선택하고, 조직절편에 묻어있는 보존액을 없애기 위해 0.01M PBS로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 상기의 세척된 조직절편을 젤라틴을 입힌 슬라이드에 도말하여 37℃에서 충분히 건조시켰다. 충분히 건조시킨 상기 조직절편을 증류수에 잠시 담가 둔 후, 2% 크레실 바이오렛 아세테이트(cresyl violet acetate, Sigma, USA) 용액에 1분간 담가 조직절편의 염색을 수행하였다. 상기의 염색한 조직절편을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하여 슬라이드에 묻어 있는 과량의 염료를 제거하였다. 상기 과량의 염료를 제거한 조직절편을 증류수에 잠시 담근 후에 50%, 70%, 80%, 90%, 95% 및 100% 에탄올 용액으로 처리하여 탈수 및 과량의 크레실 바이올렛 세척을 수행하였다. 상기 조직절편에서 니슬소체(Nissle body)가 보이는 것을 확인한 후, 자일렌(Junsei, Japan)에 담가 투명화한 다음, 카나다 발삼(Canada Balsam, Kanto, 일본)으로 봉입하였다.
상기 봉입시킨 조직절편은 조직에 존재하는 내인성 페록시다아제(peroxidase)를 제거하기 위하여 0.3% H2O2(in 0.001M PBS)와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비특이적인 면역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된 조직절편을 3%의 정상 염소 혈청으로 30분간 반응시켰다. 상기 3%의 정상 염소 혈청과 반응한 조직절편과 1:00으로 희석한 1차 항체인 토끼 항-NF-κB (Vector, CA, USA)를 4℃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이 끝난 조직절편은 각각 1:200으로 희석한 2차 항체인 항 마우스 IgG(Vector)로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1:200으로 희석한 3차 항체인 ABC용액(Vector)으로 2시간 반응시켰으며, 3,3'-DAB(diaminobezidine)를 기질로 발색하였다. 상기 항체와 반응시키는 과정의 각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 단계 별로 상기 조직절편을 0.01M PBS를 사용하여 10분씩 3회 세척하였다.
상기 3차 반응이 끝난 조직절편을 젤라틴 코팅된 슬라이드 글라스에 도말한 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상기 건조된 조직절편은 통상적인 탈수투명화 과정을 거쳐 봉입하였다. 상기 봉입한 조직절편을 디지털 카메라(Axiocam, Cal Zeiss, 독일)가 부착되어 있는 악시오엠1 현미경(AxioM1 microscope, Carl Zeiss, 독일)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관찰결과를 촬영한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사진은 상기 현미경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였고, 상기 관찰결과는 정상군, 대조군과 20mg/kg 또는 40mg/kg HC-12를 투여한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사진 촬영은 CA1 영역을 200배로 각각 확대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도 3의 A는 정상군, B는 대조군, C 및 D는 20mg/kg HC-12 투여군 및 40mg/kg HC-12를 투여한 것이며, 상기 사진은 해마의 CA1 영역을 나타낸 것으로 유의성의 검증을 위하여, 각 군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부분을 골라 촬영하였다.
또한, 상기 효능에 대한 평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이미지 분석기(Optimas 6.5,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염색된 상기 조직절편의 신경세포를 계수하였다. 각 군에 대한 유의성의 검증을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est)을 수행하였으며, 각 데이터, 구체적으로 조직절편의 신경세포를 계수한 결과의 평균값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는 상기 계수된 결과를 정상군에 대한 상대값(정상군을 100%로 설정하였을 때의 비교값)으로 구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3 및 상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에서는 NF-κB의 발현이 거의 없었으나(도 3A 및 도 4), 대조군에서는 NF-κB의 발현이 급격히 증가하여 신경염증이 유발되었음이 확인되었다(도 3B 및 도 4). 또한, 본 발명의 HC-12를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정상군과 거의 유사한 정도의 NF-κB의 발현량이 측정되어, 허혈에 의한 NF-κB의 추가발현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NF-κB의 발현 감소량이 측정되어, 상기 HC-12는 뇌허혈에 의한 신경염증을 억제 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신경염증에 의한 추가적인 질환의 발생 및 질환의 심화를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였다 (도 3C, D 및 도 4).

Claims (4)

  1.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2063814896-pat00013
  2.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다발성 골수종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2063814896-pat00014
  3.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발성 골수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2063814896-pat00015
  4.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데커시놀 유도체(decursinol derivative)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12063814896-pat00016
KR1020100051645A 2010-04-13 2010-06-01 데커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21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45A KR101215379B1 (ko) 2010-06-01 2010-06-01 데커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CT/KR2010/009453 WO2011129516A1 (ko) 2010-04-13 2010-12-28 데커시놀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45A KR101215379B1 (ko) 2010-06-01 2010-06-01 데커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42A KR20110131942A (ko) 2011-12-07
KR101215379B1 true KR101215379B1 (ko) 2012-12-26

Family

ID=4550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645A KR101215379B1 (ko) 2010-04-13 2010-06-01 데커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3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45B1 (ko) 2015-08-12 2016-11-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데쿠르시놀 카바메이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21068A (ko) 2015-06-15 2018-02-28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전하 수송성 바니시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
KR102109744B1 (ko) 2019-03-04 2020-05-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데커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33B1 (ko) 2007-02-22 2008-06-13 김주환 데쿠르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33B1 (ko) 2007-02-22 2008-06-13 김주환 데쿠르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068A (ko) 2015-06-15 2018-02-28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전하 수송성 바니시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슨스 소자
KR101674145B1 (ko) 2015-08-12 2016-11-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데쿠르시놀 카바메이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09744B1 (ko) 2019-03-04 2020-05-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데커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42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0981B2 (ja) 皮膚美白、抗酸化及びppar活性を有する新規化合物及びその医学的用途
MX2011001426A (es) Metodos para tratar la talasemia.
EA014070B1 (ru) Применение растительной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ечения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нарушений
JP3194964B2 (ja) 臓器または組織保護剤
JP5246834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強化剤
US2022031363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Weng et al. Caffeic acid phenylethyl amide protects against the metabolic consequences in diabetes mellitus induced by diet and streptozocin
KR101215379B1 (ko) 데커시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JP2005526768A (ja) 炎症関連遺伝子を調節するデキサナビノール及びデキサナビノール類似体
JPH1067656A (ja) 細胞接着抑制剤
US9505757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bicyclic pyridinol derivative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angiogenesis
KR101317668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CN113214097B (zh) 治疗阿尔茨海默病的化合物
CN108904481B (zh) 邻羟基查尔酮类似物在制备抗氧化药物中的应用
KR100912735B1 (ko) 루틴 함유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조성물
US20160193265A1 (en) Medical composition containing stauntonia hexaphylla extract
CN110117302B (zh) 神经退行性疾病的治疗药物及其应用
US10272124B2 (en) Use of helminthostachys, ugonins or flavone-based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metabolic diseases
KR101246682B1 (ko) 아릴티오우레아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용 조성물
KR100759467B1 (ko) 차가버섯 또는 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통풍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4483B1 (ko) 데커시놀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EP1967187B1 (fr) Composition à base de rutine et de L-lysine
KR100880712B1 (ko) 탄닌 함유 목천료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 조성물
CN114072380B (zh) 氨基甲酸酯取代的苯乙烯基砜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80094466A (ko) 대사증후군 치료용 약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