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634B1 -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634B1
KR101205634B1 KR20100063097A KR20100063097A KR101205634B1 KR 101205634 B1 KR101205634 B1 KR 101205634B1 KR 20100063097 A KR20100063097 A KR 20100063097A KR 20100063097 A KR20100063097 A KR 20100063097A KR 101205634 B1 KR101205634 B1 KR 101205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hock absorber
base shaft
stro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290A (ko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이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완 filed Critical 이재완
Priority to KR2010006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634B1/ko
Priority to PCT/KR2010/004293 priority patent/WO2012002596A1/ko
Priority to CN2010105278388A priority patent/CN102309177A/zh
Publication of KR2012000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wound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07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wound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8Resilient suspensions of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0Resilient wheel suspension usin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에 완충장치를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트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본체부;그리고 본체부를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베이스 부는 앞바퀴가 위치하는 제1 베이스와, 제1 베이스와 연결되어 뒷바퀴가 위치하는 제2 베이스로 구성되며, 바닥으로 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STROLLER HAVING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에 완충장치를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로사정은 선진국에 비해 열악하며, 특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의 공사로 인하여 도로의 파손이 심하다. 또한, 공사가 완료되어 도로를 원상복귀시켜도 계단이 생겨 인도나 골목길을 지나갈 때 충격을 유발시킨다.
특히, 유모차는 어린 아기를 태우고 있어 약간의 충격 및 흔들림에도 두뇌나 피부에 상처를 입힐 수 있으며, 특히 자고 있는 아기를 깨우기 쉽다.
도 1은 종래에 바퀴에 완충부재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유모차에 연결하는 브라켓(1)을 유모차의 바퀴부분 4곳에 볼트로 연결하여 고정하며, 바퀴(4)가 요철이 심한 도로 및 계단이 있는 도로를 지날 때 충격이 생기면 스프링(3)에 의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충격이 생기면 스프링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스프링의 반동힘은 오일쇼버(2)에 의하여 평형이 되어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유모차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바퀴에 용수철과 같은 완충부재를 설치하였으나, 이는 완충효과가 좋지 않으며, 각 바퀴 모두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완충효과의 문제로, 유모차에 타고 있는 아기의 안전에는 소홀히 하였으며, 비용은 소비자가 부담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유모차의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에 완충장치를 구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본체부;그리고 본체부를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베이스 부는 앞바퀴가 위치하는 제1 베이스와, 제1 베이스와 연결되어 뒷바퀴가 위치하는 제2 베이스로 구성되며, 바닥으로 부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베이스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베이스축; 제1 베이스축과 대향 하여 위치하며, 제2 베이스에 형성되는 제2 베이스 축;그리고 제1 베이스축과 제2 베이스축을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원호 형상의 제2 베이스의 중심에 제2 베이스축이 위치하며, 제2 베이스축은 제2 베이스의 중심에서 제2 베이스의 반원호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베이스축의 일단과 제2 베이스축의 일단은 연결대에 의해 연결되며, 제1 베이스축의 타단과 제2 베이스축의 타단은 완충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베이스축의 타단에는 앞바퀴를 용이하게 들 수 있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장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이루어지며,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끼워지는 오일쇼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유모차의 완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요철이 심하거나 계단이 있는 곳을 다닐 때 유모차에 승차하는 아기의 안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모차의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 사이에 하나의 완충장치만 구성하면 되므로, 유모차의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모차의 캐스터 홀더 및 바퀴에 반사판을 부착하여, 낮 특히 야간에 영유아를 태우고 유모차를 주행시에 반사판에 빛이 반사할 수 있도록 하여 영유아의 안전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모차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앞바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앞바퀴의 캐스터 홀더에 결합하는 반사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뒷바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뒷바퀴에 결합하는 반사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베이스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크게 아기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본체부(101) 및 본체부(101)와 프레임(140)에 의해 연결되며, 유모차(100)가 이동하면서 지지할 수 있는 베이스부(102)로 구분할 수 있다. 본체부(101)에는 아기가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시트(110)와 등받이(110)가 형성되며, 영유아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차양막(120)과 영유아가 앞쪽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드암(115) 및 안전벨트(116)가 위치한다.
베이스부(102)는 본체부(101)와 프레임(140)에 의해 연결되며, 한 쌍의 앞바퀴(183)와 결합하는 제1 베이스(150)와, 한 쌍의 뒷바퀴(186)와 결합하는 제2 베이스(155)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베이스(150)와 제2 베이스(155)는 연결대(160)에 의해서 결합되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장치(170)가 제1 베이스축(151)과 제2 베이스축(156) 사이에 결합하게 된다.
시트부는 영유아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시트(110)와 등받이(111)로 구성되어 있으며, 등받이(111)는 영유아의 편안함을 위해 그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시트(110)의 양측면에는 시트바(113)가 위치하며, 시트바(113)의 일부는 팔걸이(114)가 위치하고, 팔걸이(114)에 사이에 걸쳐진 착탈가능한 가드암(115)을 갖게 된다. 가드암(115)의 가운데에는 영유아가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116)가 위치하며, 유모차를 이동시에 영유아가 시트에 안전하게 앉을 수 있도록 안전벨트(117)가 구성된다. 또한, 시트부의 상부에는 햇빛과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막(120)이 위치하게 된다. 차양(120)은 역 U자 형상으로 굴곡된 복수의 차양 리브(121, 122, 123)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차양 리브(121, 122, 123)의 외면에 차양막(120)이 장설되어 있다. 또한, 차양리브(121, 122, 123)의 외면에 장설된 차양막(120)은 차양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 맞추어 장력을 갖도록 조정되고 있다. 또한, 각 차양리브(121, 122, 123)의 개방측 선단부는 서로 피벗 장착 연결되어 있으며, 그 피벗 장착점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요동함으로써 각 차양리브(121, 122, 123) 사이의 개방각도가 변화되고, 이것에 의해 차양막(120)의 개방 형태를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등받이(111)의 배면에는 프레임(140)과 연결되어 유모차를 끌거나 밀 수 있도록 손잡이(130)가 위치하게 된다. 프레임(140)에 손잡이 레버(132)가 결합되며, 손잡이 레버(132)는 중공홀이 있어, 손잡이(130)가 결합된 파이프(131)와 결합하게 된다. 파이프(131)는 손잡이 레버(132)의 중공홀에 삽입되며, 파이프(131)의 외주면 및 홀의 내측에 후크 및 요홈 등의 스토퍼(미도시)가 위치하여 손잡이가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체부(101)와 베이스부(102)는 프레임(140) 및 조인트(145)에 의해서 연결되고, 조인트(145)의 일단에는 시트바가 위치하며, 타단에는 베이스부(102)와 연결되는 프레임(140)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조인트(145)의 일면에는 손잡이 레버(132)가 위치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베이스부(102)는 한 쌍의 앞바퀴(183)가 결합하는 제1 베이스(150)와, 한 쌍의 뒷바퀴(186)가 위치하는 제2 베이스(155)로 구성된다. 이들 상호 간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대(160)를 통하여 결합하게 된다. 제1 베이스(150)는 V자 형상으로 일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캐스터 홀더(180)가 각각 결합되고, 캐스터 홀더(180)에 앞바퀴(183)가 결합하게 된다. 제1 베이스(150)의 타단은 제1 베이스축(151)이 위치하며 본체부(101)와 결합시키는 프레임(140)이 제1 베이스축(151)의 일측에 결합하고, 프레임(140)은 본체쪽으로 향하여 결합하게 된다. 프레임(140)은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베이스축(151)과 결합하여, 유모차(100)를 차에 적재할 때 유모차(100)를 평평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제1 베이스축(151)의 타측에는 후술할 제2 베이스(155)와 제2 베이스축(156)을 연결시키고,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장치(170)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베이스(150)와 제2 베이스(155)는 연결대(16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완충장치(170)에 의해 충격흡수가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베이스축(156)의 타단에는 누름판(153)이 부착되는데, 유모차가 단턱 또는 계단 등을 올라갈 때 누름판(153)을 발로 눌러 유모차의 앞바퀴를 용이하게 들 수 있어, 주행시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제2 베이스(155)는 반원호 형상으로 제1 베이스축(151)에 대응하여 제2 베이스 축(156)이 형성되며,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뒷바퀴(186)가 결합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제2 베이스축(156)은 제2 베이스(155)의 중심에서, 제2 베이스의 반원호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베이스축(156)의 일단은 연결대(160)가 위치하여 제1 베이스축(150)과 결합하며, 제2 베이스축(156)의 타단에는 홈(157) 형성되어 상술한 완충장치(17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연결대(160)가 제1 베이스(150)와 제2 베이스(155)를 결합하게 되고, 제1 베이스(150)와 제2 베이스(155) 사이에서 완충장치(170)가 위치하여 지면으로부터 영유아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완충장치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완충장치(170)는 제1 커버(171), 제2 커버(172) 및 오일쇼버(173)로 구성되며, 이 구성들이 결합한 상태에서 제1 커버(171)는 제1 베이스(150)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게 되며, 제2 커버(172)는 제2 베이스(155)에 나사결합을 하게 된다. 제1 커버(171) 및 제2 커버(172)는 일단이 막힌 원통 형상이고, 조립시 오일쇼버(173)는 각각의 커버 내측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제1 커버(171) 및 제2 커버(172)에는 제1 베이스축(151) 및 제2 베이스축(156)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74, 175)가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베이스(150)와 제2 베이스(155)는 연결대(160)를 통하여 결합하게 되며, 제2 베이스(155)의 제2 베이스축(156)은 제2 베이스(155) 중심에서, 제2 베이스의 반원호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베이스축과 제2 베이스축은 서로 마주보며,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게 되고, 완충장치(17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유모차의 진동을 감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완충장치(17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는 모습을 보이며, 연결대(160)는 제1 베이스 축(151)과 제2 베이스축(156)을 체결수단(161)에 의해 결합을 하고, 양자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와셔 및 핀 등이 추가된다. 즉, 제1 베이스(150) 및 제2 베이스(155)는 체결수단(161)을 축으로 해서 상, 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제2 베이스축(156)의 타단에서 결합하는 완충장치(170)에 의해서 상, 하 방향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제2 베이스(155)의 단부는 뒷바퀴(186)가 결합할 수 있도록 홀이 위치하며, 록결합부(미도시)와 뒷바퀴(186)가 홀을 통해 결합하게 되고, 외측에는 유모차(100)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하여 록 전환 조작기구(158)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유모차(100)가 움직일 수 있는 비탈길 또는 정차된 상태 등에서 유모차의 움직임을 막기 위해서 록 전환 조작기구(158)를 아래로 내리게 되면, 유모차의 뒷바퀴(186)가 잠금 상태로 되어 유모차를 고정하게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앞바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앞바퀴에 결합하는 반사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베이스(150)의 일단에는 한쌍의 캐스터 홀더(180)가 결합하게 되며, 캐스터 홀더(180)는 앞바퀴(183)를 수직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하여 그 주행 조작성을 좋게 하며, 각각의 캐스터 홀더(180)에 앞바퀴(183)를 결합하게 된다. 캐스터 홀더(180)는 손잡이(130)를 영유아의 배면에서 밀거나 끌었을 때 수직축선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유모차의 주행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캐스터 홀더(180)의 외측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91)이 결합할 수 있도록 반사판 지지부(181)가 위치하게 된다. 영유아를 태운 유모차가 인도 및 횡단보도 등을 주행하는 경우, 특히 저녁에는 차량의 운전자 및 도보자 등이 유모차를 인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캐스터 홀더(180)의 외측에 반사판(191)을 결합함으로써, 유모차(100)를 바로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영유아의 안전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반사판(191)의 전면은 표면 전체 또는 일부를 볼록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어 전면 또는 측면에서도 빛을 반사하게 된다. 반사판(191)의 배면은 반사판 지지대(181)와 결합할 수 있도록 후크부(193)가 형성되며, 후크부(193)는 복수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판 지지대에 형성된 홈(182)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반사판(191)을 캐스터 홀더(18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후에 반사판(191)이 파손 또는 오염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뒷바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뒷바퀴에 결합되는 반사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 쌍의 뒷바퀴(186)는 제2 베이스(155)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며, 양단에는 뒷바퀴가 축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뒷바퀴(186)는 휠과 타이어로 구성되며, 원형의 휠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바(187)가 휠의 중심을 가로질러 일체로 구성된다. 지지바(187)에는 반사판(196)이 부착될 수 있는데, 반사판(19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에 승차하는 영유아의 안전을 높이게 된다. 지지바(187)에는 반사판(196)이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188)이 위치하며, 반사판(196)의 배면에는 후크부(198)가 형성되어 결합홈(188)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후크부(198) 및 결합홈(188)은 복수개 형성되어 그 결합을 견고하게 함이 바람직하며, 반사판(196)의 전면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빛이 여러 각도에서 비추어도 반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 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 : 유모차 101 : 본체부
102 : 베이스부 150 : 제1 베이스
155 : 제2 베이스 160 : 연결대
170 : 완충장치 180 : 캐스터 홀더

Claims (6)

  1. 시트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본체부;
    본체부를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며 앞바퀴가 위치하는 제1 베이스와, 제1 베이스와 연결되어 뒷바퀴가 위치하는 제2 베이스로 구성되는 베이스부;
    제1 베이스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베이스축;
    제1 베이스축과 대향 하여 위치하며, 제2 베이스에 형성되는 제2 베이스축;
    제1 베이스축의 일단과 제2 베이스축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대;그리고
    제1 베이스축의 타단과 제2 베이스축의 타단을 연결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대는 제1 베이스축과 제2 베이스축을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제2 베이스의 중심에 반원호 형상의 제2 베이스축이 위치하며, 제2 베이스축은 제 2 베이스의 중심에서 제2 베이스의 반원호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베이스축의 타단에는 앞바퀴를 용이하게 들 수 있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완충장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이루어지며,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끼워지는 오일쇼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20100063097A 2010-06-30 2010-06-30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101205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3097A KR101205634B1 (ko) 2010-06-30 2010-06-30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PCT/KR2010/004293 WO2012002596A1 (ko) 2010-06-30 2010-07-01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CN2010105278388A CN102309177A (zh) 2010-06-30 2010-10-22 具备缓冲装置的婴儿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3097A KR101205634B1 (ko) 2010-06-30 2010-06-30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90A KR20120002290A (ko) 2012-01-05
KR101205634B1 true KR101205634B1 (ko) 2012-11-27

Family

ID=4540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3097A KR101205634B1 (ko) 2010-06-30 2010-06-30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05634B1 (ko)
CN (1) CN102309177A (ko)
WO (1) WO2012002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4409A1 (fr) * 2013-04-12 2014-10-17 Thierry Peltier Dispositif amortisseur des elements mobil d'un chassis a geometrie variable par triangulation, destine a equiper tout chariot muni d'au moins un essieu
CN109910987A (zh) * 2019-04-15 2019-06-21 钟颜聪 一种多功能婴儿车
WO2022080531A1 (ko) * 2020-10-15 2022-04-21 유상진 유모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686A (ja) * 2005-07-07 2007-01-25 Jane Sa 乳母車の折り畳み可能な外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8464Y (zh) * 1993-12-10 1994-10-05 龙翊实业股份有限公司 婴儿车前轮座
KR100274812B1 (ko) * 1998-05-20 2000-12-15 양현중 계단 및 경사면의 주행이 용이한 유모차
CN2806266Y (zh) * 2005-06-22 2006-08-16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可收合婴儿车车架
US7744102B2 (en) * 2005-07-09 2010-06-29 Eric Shawn Bailey Steerable carriage apparatus
US20090160162A1 (en) * 2007-11-19 2009-06-25 Daniel Lee Bizzell Stroller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CN101744475A (zh) * 2008-12-15 2010-06-23 吴玉刚 一种多功能婴儿车
CN101455497A (zh) * 2008-12-18 2009-06-1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的靠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5686A (ja) * 2005-07-07 2007-01-25 Jane Sa 乳母車の折り畳み可能な外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2596A1 (ko) 2012-01-05
CN102309177A (zh) 2012-01-11
KR20120002290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449B2 (en) Child buggy with wheel with suspension, wheel with suspension and swivel wheel with suspension
JP6206189B2 (ja) 小型移動体
JP6214943B2 (ja) 乳母車
US6203054B1 (en) Suspension for stroller
KR101205634B1 (ko)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JP6378991B2 (ja) 乳母車
GB2502683A (en) Baby carriage with dual canopy mechanisms
WO2013180014A1 (ja) 乳母車およびシートユニット
EP2671556A1 (fr) Fauteuil roulant motorisé
JP2010149653A (ja) 衝撃吸収キャスター
KR101877557B1 (ko) 접이식 왜건
KR20180046305A (ko) 유모차
CN112009548B (zh) 婴儿车
KR20120000227U (ko) 반사판이 결합된 유모차
JP6624893B2 (ja) 折り畳み式乳母車
GB2425288A (en) Structure of a wheelchair
JP200306341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ベビーカー
JP2016094048A (ja) ベビーカー
KR20110038365A (ko) 하중물 운반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다중 완충장치
JP7309525B2 (ja) 車輪装置および車両
JP6923930B2 (ja) 乳母車
JP3192384U (ja) 幼児用乗物
JP3755091B2 (ja) ベビーカー
JPH09150659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758905B2 (ja) 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