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195B1 -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195B1
KR101202195B1 KR1020120017709A KR20120017709A KR101202195B1 KR 101202195 B1 KR101202195 B1 KR 101202195B1 KR 1020120017709 A KR1020120017709 A KR 1020120017709A KR 20120017709 A KR20120017709 A KR 20120017709A KR 101202195 B1 KR101202195 B1 KR 101202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filter
buoyancy
filtr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붕전
김현태
임원규
최병진
정수호
백명수
김재영
소세영
박준
정재환
Original Assignee
한붕전
실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붕전, 실리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붕전
Priority to KR102012001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 준설(浚渫, Dredge)을 위해 슬러지탱크로 임시저장되는 오수 중 슬러지 농도가 가장 낮은 상층부의 오수만을 여과 및 배수시킬 수 있도록 일정량의 오수를 임시저장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안으로 흡입 저장되는 오수의 담수량변화에 대응하여 자동 부양작용케 된 부체와, 상기 부체의 하측에 더 구비결합된 상태로 상기 부체를 따라 동시 승강하되 오수의 수면과 근접한 수중 잠수상태를 유지한 채 오수로부터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낼 수 있는 여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오수로부터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내기에 용이한 메시 또는 망이 형성된 평행육면체 또는 원통형 구조체인 한편,
여과된 오수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출관이 일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여과필터의 승강궤도에 대응하여 길이 신장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인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SLUDGE TANKS FOR GUTTER DREDGING VEHICLE HAVING A FILTERING FUNCTION USING THE BUOYANCY}
본 발명은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 준설(浚渫, Dredge)을 위해 슬러지탱크로 임시저장되는 오수 중 슬러지 농도가 가장 낮은 상층부의 오수만을 여과 및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에 관한 것이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전후로 한강종합개발사업(漢江綜合開發事業)을 비롯한 하수처리시설건설사업과 하수관거정비사업을 꾸준히 시행해 왔으며, 한동안 하수도정비방법론이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하수도정비 방향을 제시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한 방편으로, 주택과 도로와 같은 생활기반시설에는 하수의 신속한 배제(排除)를 위하여 적정 유속을 확보토록 한 하수관거(下水管渠)가 설계시공되지만, 굴착심(掘鑿深度, Excavation Depth)도 증가 등의 이유로 인한 유속의 정체구간에는 관로 내벽에서 떨어져 나오는 콘크리트 부식물 및 각종 오물과 더불어 하수처리과정에서 생긴 슬러지(Sludge / 汚泥)가 퇴적(堆積, Sedimentation)되기 마련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하수관로를 막아 유체(流體, Fluid)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더욱이, 퇴적물로 인한 하수관로 단면축소의 경우, 관로 내 압력상승으로 인하여 관 이음부나 틈새에서 하수가 유출되거나 강우시 토구로부터 공공수역으로 월류(越流, Overflow)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빗물받이나 맨홀의 악취발생원으로 작용하여 시민들에게 큰 불쾌감과 함께 하수도에 대한 불신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할 목적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0674138호를 통해, 회수된 오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고 여과처리한 후 청소용 살수펌프로 공급하여 세척수로 재사용이 가능토록 한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하수구 준설차량에 탑재되는 오수 처리 장치의 계통도로써, 종래의 상기 오수 처리 장치는, 진공흡입장치에 의해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흡입호스(911)를 통해서 오수를 흡입받는 슬러지탱크(910)와; 상기 슬러지탱크(910)의 내부에 격벽으로 설치된 상태로 오수를 우선 여과하도록 된 1차여과필터(920)와; 상기 1차여과필터(920)를 통해 여과된 오수를 추가로 여과하는 2차여과필터(930)와; 상기 2차여과필터(930)에 의해 여과된 오수를 상기 슬러지탱크(910)의 외부로 양수하는 제1양수펌프(940)와; 상기 제1양수펌프(940)에 의해 양수된 오수를 섬유필터(951)를 이용하여 최종 여과하는 필터탱크(950)와; 상기 섬유필터(951)로의 오수 흡입 및 여과된 오수(이하 "여과수"라 함)의 펌핑을 위한 제2양수펌프(960)와; 상기 제2양수펌프(960)에 의해 펌핑되는 여과수를 재활용 세척수로 저장하는 세척수탱크(970);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에 의하면, 상기 세척수탱크(970)에 미리 채워둔 세척수를 작업현장에서 고압 분사함을 통해 하수관 및 맨홀(h) 내부를 청소한다.
이때, 상기 슬러지탱크(910)의 내부공간을 진공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진공상태로 만들어, 상기한 슬러지탱크(910)의 후단부 개폐를 위한 해치도어(910-1) 일 부위로 관통삽입된 흡입호스(911)를 통하여 오수의 강제 회수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탱크(910) 내부로 담수(저장)된 오수는 1차여과필터(920)에 의하여 입자가 큰 각종 이물질 및 슬러지가 우선 걸러지고, 그 다음으로 상기 2차여과필터(930)에 의해서 추가로 더 걸러진다.
그리고, 상기 제1양수펌프(940) 구동에 의해, 상기의 2차여과필터(930)를 통과한 슬러지탱크(910) 내에 담수되어 있던 오수가 상기한 필터탱크(950) 안으로 급수되고, 상기 섬유필터(951)에 의해서 최종 여과되는 것이며, 상기 제2양수펌프(960)를 통해 세척수탱크(970)로 저장됨에 따라 하수구(및 맨홀)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1,2차여과필터(920)(930)가 각각 상기한 슬러지탱크(910) 내부공간을 단순 구획하고 또한 배수관 선단에 단순 고정된 구조임에 따라, 오수의 수위(水位)와 수심(水深)에 상관없이 오로지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의 목적만 수행한다.
결국, 중력의 영향으로 상기 슬러지탱크(910) 내부 바닥으로 쌓이게 되는 슬러지와 근접한 하층의 오수일수록 상기 1,2차여과필터(920)(930)에 의한 여과효과가 극히 미미할 뿐더러, 상기 슬러지탱크(910) 내에 담수된 오수의 슬러지 함유량(농도)이 과다하면 여과력 저하를 초래하고, 이는 결국 종래의 상기 오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하수도 준설작업을 실시할 때마다 제각기 다른 여과효과를 나타내는 폐단으로 이어져 왔다.
더욱이, 상기 필터탱크(950)를 이용하여 추가 여과과정을 거치더라도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완벽히 여과하는데 한계가 뒤따를 수밖에 없으며, 이렇듯 슬러지가 완벽히 여과되지 않을 경우 하수구 및 맨홀 청소를 위한 세척수로써 재활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러지탱크 내부로 강제흡입 및 저장되는 오수의 담수량 변화에 대응한 부양작용을 이룰 수 있는 부체를 여과필터 상단에 연계구성하여, 상기한 부체에 의해 여과필터가 수면과 근접 잠수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슬러지의 농도가 낮은 상층의 오수만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량의 오수를 임시저장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안으로 흡입 저장되는 오수의 담수량변화에 대응하여 자동 부양작용케 된 부체와, 상기 부체의 하측에 더 구비결합된 상태로 상기 부체를 따라 동시 승강하되 오수의 수면과 근접한 수중 잠수상태를 유지한 채 오수로부터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낼 수 있는 여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오수로부터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내기에 용이한 메시 또는 망이 형성된 평행육면체 또는 원통형 구조체인 한편,
여과된 오수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출관이 일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여과필터의 승강궤도에 대응하여 길이 신장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여과필터의 상승 및 하강 제어를 위한 승강가이더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부체는, 부력을 받아서 액체 가운데나 표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공기 또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주입된 부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승강가이더는, 상기 본체의 내벽면 및 상기 여과필터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들을 연잇게 된 와이어로프로 조합됨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승강가이더는, 상기 본체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여과필터 일측에 구비조립된 상태로 상기 레일을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회동롤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는, 슬러지탱크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와 근접한 하층의 오수 여과를 배제하고 오로지 슬러지의 농도가 낮은 상층의 오수만을 여과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슬러지탱크 내에 구비되는 여과필터만으로도 대부분의 슬러지가 필터링되어 이후의 추가 여과과정시 완전히 정제된 청정수로써 하수구 및 맨홀 청소를 위한 최적의 세척수로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여과효과의 증대에 따라, 세척수로 재활용을 위해 방수되는 과정에서의 오수 함유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와 함께, 부체에 의해 슬러지의 농도가 낮은 상층의 오수만 여과함에 따른 여과능력 극대화로, 기존의 1차여과필터 및 2차여과필터와 같은 다중의 필터구조 생략이 가능함과 더불어 준설작업 이후의 해당 필터 세척을 간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장치구성의 간략화 달성을 통한 장비제조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하수구 준설차량에 탑재되는 오수 처리 장치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에 있어, 여과필터와 승강가이더의 연관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탱크가 탑재된 하수구 준설차량을 이용하여 오수를 강제흡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에 있어 여과필터와 승강가이더의 연관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탱크가 탑재된 하수구 준설차량을 이용하여 오수를 강제흡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A)는, 일정량의 오수를 임시저장할 수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안으로 저장되는 오수의 담수량변화에 대응하여 자동 부양케 된 부체(2)와, 상기 부체(2)를 따라 동시 승강하되 오수의 수면과 근접한 잠수상태를 유지한 채로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낼 수 있는 여과필터(3)로 구성된다.
본체(1)는, 하수구 또는 맨홀의 준설작업시 오수의 최초 흡입 및 우선 여과를 위한 것으로, 오수 저장을 위한 내부공간(1a)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공간(1a) 바닥면에 침전된 각종 이물질 및 슬러지의 배출목적으로 개구된 일측 단부 개폐를 위한 해치도어(11)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해치도어(11)의 하측부에는, 상기 내부공간(1a)으로의 오수 강제흡입을 이룰 수 있게 된 별도의 흡입관(12)이 추가로 더 관통삽입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흡입관(12)은, 상기 본체(1) 안으로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 및 슬러지가 상기한 내부공간(1a) 바닥면으로 신속히 침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해치도어(11)의 하측부로부터 상향 수직형 구조로 관통삽입됨과 더불어 그 선단부가 하향 곡선형 굴곡을 형성함에 따라 오수가 낙하저장되도록 한다.
부체(浮體, 2)는, 상기 여과필터(3)가 상기 본체(1) 안으로 흡입 저장되는 오수의 수면에 근접한 잠수상태를 항시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부력을 받아서 액체 가운데나 표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공기 또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질소 또는 헬륨)가 주입된 부레(Air bladder)인 것이 바람직하나, 부양능력이 우수한 스티로폼(Styrpfoam)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여과필터(3)는, 상기 내부공간(1a)에 임시저장되는 오수로부터 각종 이물질과 슬러지를 우선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오수로부터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내기에 용이한 메시(Mesh) 또는 망(Net)이 형성된 평행육면체 또는 원통형 구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과필터(3)의 일측 단부에는, 여과된 오수를 상기한 본체(1) 외부로의 배수목적을 갖는 배출관(31)이 더 연결되되, 대향 타측 선단이 상기 본체(1)의 일 선단 하측부를 관통하도록 구비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배출관(31)은, 상기 여과필터(3)의 승강작용시 그 궤도에 따라 길이의 신장(伸張)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플렉시블관(Flexible pipe)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에 있어 여과필터와 승강가이더의 연관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필터(3)의 상승 및 하강의 제어를 위한 승강가이더(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배출관(31)에 의한 간섭으로 상기한 여과필터(3)의 승강작용이 원활치 못하게 됨을 미연에 방지키 위함으로, 이를 위해, 상기 승강가이더(4)는, 상기 본체(1)의 내벽면과 상기 여과필터(3)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걸고리(41)와, 각각의 상기 걸고리(41)에 연이어 연결된 와이어로프(42)로 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걸고리(41)와 와이어로프(42)와 달리, 풀리 및 와이어를 조합한 구성, 혹은 상기 본체(1) 내에 상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과 그 레일을 타고 오르내리는 회동롤이 상기한 여과필터(3) 일측에 결합된 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탱크(A)가 탑재된 준설차량을 작업현장으로 이동시키되, 그 이전에 상기 세척수탱크(970)에 세척수를 미리 채워둔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탱크(970)에 저장된 세척수를 고압분사시켜 하수구 또는 맨홀(h) 내부를 청소하는 것으로써 하수구 또는 맨홀(h) 준설작업을 시작한다.
동시에, 상기 본체(1)의 내부공간(1a)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상기한 해치도어(11)에 관통삽입된 흡입관(12)을 통한 오수의 강제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관(12) 선단에 일정길이를 갖는 별도의 흡입호스(911)를 더 연결한 다음 하수구 또는 맨홀(h) 내부로 투입시켜서, 상기한 하수구 또는 맨홀(h) 내부의 오수와 함께 하수관거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과 더불어 슬러지(s)의 흡입이 가능토록 한다.
이후, 상기 흡입관(12)을 통해서 본체(1) 내부로 강제흡입 및 임시저장된 오수는, 상기한 여과필터(2)에 의해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과 슬러지(s)가 우선 걸러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 안으로 임시저장되는 오수의 담수량(저장량)변화에 따라, 상기한 부체(2)가 수면 위로 일부 떠오르는 자동 부양작용을 이룬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체(2) 하측에 일체로 연계결합된 상기 여과필터(3)가 동시 상승하여 오수의 수면에 근접한 수중 잠수상태를 항시 유지한 상태로 오수의 여과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필터(3)가 오수의 수면과 근접한 수중 잠수상태를 유지케 됨으로써, 중력에 의해 슬러지(s)가 침전되는 상기 본체(1) 내 바닥면과 근접한 하층부의 오수를 배제하고 슬러지(s)의 농도가 극히 낮은 상층부의 오수만을 여과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한 여과필터(3) 하나만으로도 오수에 함유된 대부분의 슬러지(s)를 걸러낼 수 있는 여과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관(31)에 의해 우선 여과된 오수가 상기 본체(1) 외부로 배수됨에 따른 본체(1) 내 오수의 수위변화시, 그에 대응하여 하강하는 상기 부체(2)와 함께 상기 여과필터(3) 역시 동시 하강케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필터(3) 일측에 연계된 배출관(31)은 상기한 여과필터(3)의 하향 이동 궤도에 대응하여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상기 승강가이더(4)에 의해 일률적인 승강궤도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여과필터(3)에 의한 우선 여과과정을 거친 오수는, 상기한 배출관(31)을 통해서 본 발명의 슬러지탱크(A) 외부로 배수된 다음, 제1양수펌프(940)에 의해 필터탱크(950)를 통과하는 동안 추가로 더 여과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으로 완전히 여과된 처리수(여과된 오수)는 제2양수펌프(960)에 의하여 세척수로써의 재활용을 위해 상기한 세척수탱크(970) 내부에 저장되는 것이다.
결국, 오수의 담수량 변화에 대응해서 자동 부양작용을 이루는 상기 부체(2)로 인해 상기한 여과필터(3)가 오수의 수면과 근접한 수중 위치에서 잠수상태를 항시 유지한 채로 슬러지(s)의 농도가 가장 낮은 상층부의 오수만을 여과하게 됨으로써, 기존과 같이 슬러지탱크 내부에 다수의 여과필터를 구비시켜두지 않고도 슬러지탱크를 이용한 여과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뿐더러 여과단계를 최대한 간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슬러지탱크, 1 : 본체, 1a : 내부공간
2 : 부체, 3 : 여과필터, 4 : 승강가이더
11 : 해치도어, 12 : 흡입관, 31 : 배출관

Claims (6)

  1. 일정량의 오수를 임시저장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안으로 흡입 저장되는 오수의 담수량변화에 대응하여 자동 부양작용케 된 부체와, 상기 부체의 하측에 더 구비결합된 상태로 상기 부체를 따라 동시 승강하되 오수의 수면과 근접한 수중 잠수상태를 유지한 채 오수로부터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낼 수 있는 여과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오수로부터 이물질과 슬러지를 걸러내기에 용이한 메시 또는 망이 형성된 평행육면체 또는 원통형 구조체인 한편,
    여과된 오수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출관이 일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여과필터의 승강궤도에 대응하여 길이 신장이 가능한 플렉시블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여과필터의 상승 및 하강 제어를 위한 승강가이더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는, 부력을 받아서 액체 가운데나 표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공기 또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주입된 부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더는, 상기 본체의 내벽면 및 상기 여과필터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들을 연잇게 된 와이어로프로 조합됨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더는, 상기 본체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여과필터 일측에 구비조립된 상태로 상기 레일을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회동롤로 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KR1020120017709A 2012-02-21 2012-02-21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KR10120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09A KR101202195B1 (ko) 2012-02-21 2012-02-21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09A KR101202195B1 (ko) 2012-02-21 2012-02-21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195B1 true KR101202195B1 (ko) 2012-11-16

Family

ID=4756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709A KR101202195B1 (ko) 2012-02-21 2012-02-21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21B1 (ko) 2020-08-03 2021-01-14 박천호 이동형 하수도 준설토 탈수장치
KR102222397B1 (ko) 2020-08-03 2021-03-02 박천호 하수도 준설토 탈수 차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73A (ja) 1998-11-27 2000-06-13 Isuzu Shatai Kaihatsu Kk 汚泥等回収装置
KR100566441B1 (ko) 2006-01-10 2006-03-31 이텍산업 주식회사 교량용 배수관 및 오수통 준설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73A (ja) 1998-11-27 2000-06-13 Isuzu Shatai Kaihatsu Kk 汚泥等回収装置
KR100566441B1 (ko) 2006-01-10 2006-03-31 이텍산업 주식회사 교량용 배수관 및 오수통 준설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821B1 (ko) 2020-08-03 2021-01-14 박천호 이동형 하수도 준설토 탈수장치
KR102222397B1 (ko) 2020-08-03 2021-03-02 박천호 하수도 준설토 탈수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567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KR1009918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101637562B1 (ko) 우수 처리 장치
JP6242097B2 (ja) 地下排水ポンプ設備
CN106958287B (zh) 一种处理初期雨水的生物滞留池***
KR10248810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6930397B (zh) 一种可以在干旱期内持续处理初期雨水的生物滞留池
CN205709989U (zh) 一种油田污水除油除砂沉降***
KR101878395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0805877B1 (ko)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KR101202195B1 (ko) 부력을 이용한 여과기능을 갖는 하수구 준설차량용 슬러지탱크
KR101053995B1 (ko) 유수분리기
CN210917658U (zh) 一种垂直式深层雨水调蓄收集结构
CN210078926U (zh) 用于江、河、湖、库、海排污口的雨污水过滤沉淀装置
KR100810691B1 (ko) 저장탱크용 지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우수처리 방법
CN207512815U (zh) 一种高效排淤装置
KR101845068B1 (ko) 지중 침투형 빗물받이
CN110180255A (zh) 一种废水回收利用***
JP2006082005A (ja) 濁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濁水処理方法
CN210331937U (zh) 一种废水回收利用***
JP2006299509A (ja) 雨水貯水装置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CN108360646A (zh) 综合管廊雨水过滤排污调蓄装置
KR100719496B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CN209817065U (zh) 一种真空冲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