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518B1 - 방화 창호 - Google Patents

방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518B1
KR101195518B1 KR1020100012678A KR20100012678A KR101195518B1 KR 101195518 B1 KR101195518 B1 KR 101195518B1 KR 1020100012678 A KR1020100012678 A KR 1020100012678A KR 20100012678 A KR20100012678 A KR 20100012678A KR 101195518 B1 KR101195518 B1 KR 10119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firewall
fire protection
window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951A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알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알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알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0001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5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20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energy storag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방화 창호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모듈을 결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방화벽과, 상기 방화벽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을 지지하고 건물에 설치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화부와, 상기 방화벽에 설치되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셀, 태양전지셀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태양전지셀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및 태양전지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의 충전과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부를 포함하는 방화 창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 창호{FIREWALL GLASS WINDOW}
본 발명은 건물의 발코니 등에 설치되는 방화 창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이 가능한 방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형태의 아파트나 빌라 등에는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다.
아파트의 발코니는 거실 또는 방과 구분된 공간이다. 최근들어 발코니를 거실이나 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됨에 따라 발코니를 확장하여 기존의 용도는 물론이고 거실, 창고, 놀이방 등의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추세이다.
현재,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다세대 집합 건물은 발코니 확장을 위해서 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몇 가지 안전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 이러한 안전 조치 중 중요한 것은 화재의 확산 즉, 화재시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염이 위층의 발코니 창호를 통하여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난간과 거실 창호 사이에 방화벽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에 발코니 확장공사를 하는 경우 통상 아파트의 발코니에 방화 창호를 설치하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태양전지는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무공해이며 무한대의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이용하므로 미래의 새로운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현재에는 태양광발전소나 건축물, 자동차 등의 발전 전력을 얻는데 이용되고 있다.
상기 태양전지는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각각이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을 띠는 2장의 반도체 박막으로 구성되며, 다수의 태양전지 셀(cell)들이 직/병렬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태양전지에서 발생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광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을 수 있도록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 테라스 등 비스듬한 경사면에 설치하게 된다.
최근들어 에너지 절감과 탄소배출량 감소 규제로 인해 친환경적인 건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건물의 창호에 대해서도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모듈을 결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된 방화 창호를 제공한다.
또한, 에너지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방화 창호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방화 창호는 방화벽과, 상기 방화벽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을 지지하고 건물에 설치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화부와,
상기 방화벽에 설치되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셀, 태양전지셀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태양전지셀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및 태양전지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의 충전과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화 창호는 상기 방화부 상단에 구비되는 창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셀은 상기 창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화벽은 투명 재질의 방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화유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적층된 복층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방화벽은 불투명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부는 방화벽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쪽을 향하는 보조태양전지셀과, 상기 방화벽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상기 보조태양전지셀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또는 축전지는 상기 프레임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셀은 후면에 보조태양전지셀이 구비된 양면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셀은 상기 방화벽의 외주부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셀은 상기 방화벽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은 내주면에 상기 방화벽이 끼워지는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방화벽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되는 수평부재와, 수평부재 선단에 연결되고 내주면에 상기 방화벽이 고정되는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방화벽의 측단에 설치되는 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화 창호는 방화부를 건물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방화 창호에 의하면, 방화를 목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방화 유리에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셀을 설치함으로써, 건물 내에서 개별적인 자가 발전이 가능하게 되어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화석연료 사용을 줄임으로써 이산화탄소 등 발생을 줄이는 등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판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셀로 빛을 되반사시켜 단위 면적당 에너지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태양전지셀을 설치면적을 최소화하여 방화유리의 전면 시야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결정으로 투과율이 높은 방화유리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의 태양전지모듈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에서 태양전지셀과 반사판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방화창호의 태양전지셀과 반사판의 또다른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방화 창호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방화 창호의 평단면도와 측단면도이다.
본 방화 창호(10)는 건물의 발코니의 실외측 가장자리에 양 쪽 벽면(100)와 바닥면(110)에 접하여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화 창호(10)는 방화벽(20)과, 상기 방화벽(20)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방화벽(20)을 지지하고 건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30)을 포함하는 방화부(12)와, 상기 방화부(12)에 설치되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모듈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방화 창호(10)는 방화부(12) 상부에 창호부(14)가 구비되며, 상기 창호부(14)에도 역시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모듈부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먼저 상기 방화부(12)와 창호부(14)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방화부(12)의 방화벽(20)은 측단을 따라 설치되는 격자형태의 프레임(30)에 의해 발코니 벽면(100)과 바닥면(110)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방화벽(20)은 프레임(3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벽(20)은 방화유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화유리는 두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내부 빈 공간을 갖는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설명에서 방화벽(20)을 이루는 두 개의 방화 유리 중 건물의 외측에 위치한 방화유리를 외측방화유리(22)라 하고, 내측에 위치한 방화유리를 내측방화유리(24)라 칭한다. 상기 방화벽(20)은 방화유리 외에 화염을 차단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30)은 방화벽(20)을 고정하면서 방화벽(20)의 각 측단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수평부재(32)와 수직부재(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부재(32)와 수직부재(34)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30)은 수평부재(32)와 수직부재(34)가 서로 연결되어 격자틀 구조를 이룬다. 상기 수평부재(32)와 수직부재(34)의 각 내면에는 방화벽(20)이 끼워져 결합되는 홈(3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32)와 수직부재(34)는 각 홈(36)이 형성되도록 홈을 기준으로 양쪽이 지지체(38)를 이룬다. 이 지지체(38)는 내부가 빈 사각단면의 중공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38)의 내부 공간에는 태양전지모듈부의 일부 구성부가 설치된다. 이에 상기 지지체의 크기는 삽입되는 구성부의 구조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화부(12)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프레임(30) 사이에 측면고정부(40)가 설치되어 각 프레임(30)을 연결하여 지지하게 된다. 상기 측면고정부(40)는 프레임(30)과 프레임(30)이 적층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T 자 형태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분리된 방화부(12)의 각 프레임(30)이 측면고정부에 의해 그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부(12)의 상단은 상단고정부(42)에 의해 고정되며, 이 상단고정부(42) 상부에 창호부(14)가 지지 설치된다.
상기 상단고정부(42)는 방화부(12)의 상단에 설치되어 방화부(12)를 발코니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상단고정부(42)는 상기 프레임(30) 상단에 놓여지고 전단과 후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프레임(30)의 수평부재(32)를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단고정부(42)의 전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창호부(14)를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측면고정부(40) 및 상단고정부(42)는 상기한 구조에서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창호부(14)는 방화부(12)와 같이 복층 구조로 된 유리창(60)과 이 유리창을 지지하는 사각의 프레임(50)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서 두 개의 유리창 중 건물의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을 외측유리창(62)이라 하고, 내측에 위치한 유리창을 내측유리창(64)이라 칭한다. 상기 유리창은 방화부(12)와 같이 방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의 창호에 사용되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50)은 유리창(60)을 고정하면서 유리창의 각 측단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수평부재(52)와 수직부재(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부재(52)와 수직부재(54)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50)은 수평부재(52)와 수직부재(54)가 서로 연결되어 격자틀 구조를 이룬다. 상기 수평부재(52)와 수직부재(54)의 각 내면에는 유리창(60)이 끼워져 결합되는 홈(5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32)와 수직부재(34)는 각 홈(56)이 형성되도록 홈을 기준으로 양쪽이 지지체(58)를 이룬다. 이 지지체(58)는 내부가 빈 사각단면의 중공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의 내부 공간에는 태양전지모듈부의 일부 구성부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의 방화부(12)와 창호부(14)에 있어서, 방화부(12)와 창호부(14)에 태양전지모듈부가 설치되어 태양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태양전지모듈부(70)는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셀(72), 태양전지셀(72)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변환하는 인버터(74), 태양전지셀(72)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76) 및 태양전지셀(72)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의 충전과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78)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74)는 태양전지셀(72)로부터 생성된 직류 전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사용개소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인버터(74)는 건물 내의 콘센트와 연결되어 다양한 전기 기구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버터(74)는 방화부(12)의 프레임(30)에 형성되는 지지체(38)의 내부 공간과 창호부(14)의 프레임(30)에 형성되는 지지체(58)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축전지(76)는 태양전지셀(72)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게 되며 필요시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인버터로 전력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축전지는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내부 또는 본 방화 창호 외측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78)는 태양전지셀(72)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에너지의 총량과 인버터(74)를 통해 사용되는 출력량 등을 검출하고 전력량을 사용환경에 맞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기(78)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건물의 실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셀(72)과 인버터(74) 및 제어기(7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은 프레임(30)의 내부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태양전지셀(7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에너지 생성이 이루어지는 전면이 건물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방화벽(20)의 외주부와 창호부(14)의 유리창(60) 외주부에 프레임(30)을 따라 북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각 태양전지셀(7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태양전지셀(72)은 비정질 실리콘(a-Si:H), 미결정 실리콘(uc-Si:H), CIS(CuInSe), CdTe 등과 같은 실리콘형 태양전지 또는 박막형 태양전지로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은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태양전지셀(72)은 전면이 외측을 향해 설치되어, 태양전지셀(72)로 바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태양전지모듈부(70)는 방화벽(20)에 설치되어 전면이 건물 내부쪽을 향하는 보조태양전지셀(80)과, 상기 방화벽(20)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상기 보조태양전지셀(80)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82)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셀(72)과 보조태양전지셀(80)과 반사판(82)은 창호부(14)에도 동일하게 설치되며, 이하 설명에서는 방화부(12)에 설치되는 구조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태양전지셀(80)은 태양전지셀(72)과 동일한 구조로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상기 반사판(82)은 태양광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태양전지셀(72)은 방화벽(20)을 이루는 복층의 방화 유리 중 외측 방화유리의 외측면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태양전지셀(80)은 복층의 방화 유리 중 외측방화유리(22)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태양전지셀(80)은 태양전지셀(72)과 마찬가지로 방화벽(20)의 외주부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82)은 복층의 방화유리 중 내측방화유리(24)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82)은 내측방화유리(24)의 외주부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보조태양전지셀(80)은 건물의 내측을 향해 설치되어 반사판(82)에 의해 반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반사판(82)은 보조태양전지셀(8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보조태양전지셀(80)의 상단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태양광을 충분히 되 반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조사되는 태양광은 태양전지셀(72)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생성된다. 또한, 태양전지셀(72)과 같은 위치에 대향 배치되어 있는 보조태양전지셀(80)은 반사판(82)에 의해 반사되는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방화 유리에서 태양전지셀(72)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동일 면적에서 종래와 비교하여 전기에너지의 생산량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태양전지모듈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태양전지모듈부는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셀(84)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셀(84)은 전면과 후면 모두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양면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태양전지모듈부는 상기 방화벽(20)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상기 태양전지셀(84)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82)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전지셀(84)과 반사판(82)은 창호부(14)에도 동일하게 설치되며, 이하 설명에서는 방화부(12)에 설치되는 구조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태양전지셀(84)은 방화벽(20)을 이루는 복층의 방화 유리 중 외측방화유리(22)의 내측면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태양전지셀(84)는 외측방화유리(22)의 외주부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82)은 복층의 방화유리 중 내측방화유리(24)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82) 또한 내측방화유리(24)의 외주부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 태양전지셀(84)의 양면 중 건물의 외측을 향하는 면(이하 전면(86)이라 한다)은 태양으로부터 직접 조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태양전지셀(84)의 양면 중 건물의 내측을 향하는 면(이하 후면(88)이라 한다)은 반사판(82)에 의해 반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반사판(82)은 태양전지셀(84)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태양전지셀(84)의 상단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태양광을 충분히 되반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태양전지셀(84)을 이용하여 전면(86)은 직접 조사되는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후면(88)은 반사판(82)에 의해 반사되는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창호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방화 창호(10)는 방화부(12)의 방화벽이 방화유리가 아닌 불투명한 재질의 방화구조물(90)로 이루어진다.
방화벽(20)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부는 이미 설명한 방화 창호(10)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방화벽(20)을 구성하는 방화구조물(90)은 각재(92)와 스티로플(94) 및 규칼보드(96)가 중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방화구조물(90)은 방화 재질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방화구조물(90)의 외측면에는 태양전지셀(72)이 부착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화구조물(90)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 태양전지셀(72)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방화구조물(90)의 전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셀(7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태양전지셀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구조물(90)을 지지하는 프레임(30) 내에 구비되는 인버터(7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방화구조물(90) 전면에 보다 많은 개수의 태양전지셀(72)의 설치가 가능하며, 대량의 태양전지셀(72)의 설치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화구조물(90)에 설치되는 태양전지셀(72)는 위에서 언급한 실리콘형 태양전지 또는 박막형 태양전지셀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화구조물 전면에 걸쳐 태양전지셀이 설치되므로 비용이 보다 저렴한 박막형 태양전지셀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2 : 방화부 14 : 창호부
20 : 방화벽 22 : 외측방화유리
24 : 내측방화유리 30 : 프레임
70 : 태양전지모듈부 72,84 : 태양전지셀
74 : 인버터 76 : 축전지
78 : 제어기 80 : 보조태양전지셀
82 : 반사판 90 : 방화구조물

Claims (8)

  1. 두 개의 방화유리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층 구조의 방화벽과, 상기 방화벽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며 건물 발코니의 실외측 가장자리 양쪽 벽면과 바닥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방화벽을 지지하는 격자 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화부와, 상기 방화벽에 설치되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셀, 태양전지셀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태양전지셀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및 태양전지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의 충전과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부는 상기 방화벽의 방화유리 중 외측방화유리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보조태양전지셀과, 내측 방화유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보조태양전지셀로 반사시키고 상기 보조태양전지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커 보조태양전지셀의 상단 위로 길게 연장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방화 창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 상단에 구비되는 창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창호부는 유리창과 유리창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어 유리창을 지지하는 격자 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부의 태양전지셀이 상기 유리창에 설치되는 방화 창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부는 유리창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쪽을 향하는 보조태양전지셀과, 상기 유리창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상기 보조태양전지셀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방화 창호.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불투명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태양전지셀은 상기 방화벽의 전면 전체에 설치되는 방화 창호.
  7. 두 개의 방화유리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층 구조의 방화벽과, 상기 방화벽의 측단을 따라 설치되며 건물 발코니의 실외측 가장자리 양쪽 벽면과 바닥면에 접하여 설치되어 방화벽을 지지하는 격자 형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화부와, 상기 방화벽에 설치되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셀, 태양전지셀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태양전지셀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및 태양전지셀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의 충전과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셀은 상기 방화벽의 방화유리 중 외측방화유리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 모두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양면셀 구조이고, 내측 방화유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상기 태양전지셀의 후면에 반사시키고 상기 태양전지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커 태양전지셀의 상단 위로 길게 연장된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방화 창호.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또는 축전지는 상기 프레임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방화 창호.
KR1020100012678A 2010-02-11 2010-02-11 방화 창호 KR10119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78A KR101195518B1 (ko) 2010-02-11 2010-02-11 방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78A KR101195518B1 (ko) 2010-02-11 2010-02-11 방화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51A KR20110092951A (ko) 2011-08-18
KR101195518B1 true KR101195518B1 (ko) 2012-10-29

Family

ID=4492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678A KR101195518B1 (ko) 2010-02-11 2010-02-11 방화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262B1 (ko) 2022-10-12 2023-10-27 주식회사 티에스창호 방화용 창호 시스템
KR102646816B1 (ko) 2023-10-24 2024-03-12 주식회사 티에스창호 방화 기능을 향상시킨 창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890B1 (ko) * 2011-10-07 2013-12-02 현대건설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EP2870635A1 (en) * 2012-07-03 2015-05-13 Sunlego Enerji Sistem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n ac solar panel system
KR101325837B1 (ko) * 2013-09-23 2013-11-05 현대건설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761A (ja) * 2002-01-28 2003-10-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採光窓の防火構造
JP2006339682A (ja) * 2006-09-25 2006-12-14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761A (ja) * 2002-01-28 2003-10-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採光窓の防火構造
JP2006339682A (ja) * 2006-09-25 2006-12-14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固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262B1 (ko) 2022-10-12 2023-10-27 주식회사 티에스창호 방화용 창호 시스템
KR102646816B1 (ko) 2023-10-24 2024-03-12 주식회사 티에스창호 방화 기능을 향상시킨 창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51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371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7804023B2 (en) Bifacial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841573B1 (ko)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KR101195518B1 (ko) 방화 창호
JP5043244B1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123686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창호
JP2010192854A (ja) ガラススクリーン
JP2012028658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0933722B1 (ko) 태양광 수상발전 모듈장치
US20120285533A1 (en) Construction material structure for use with solar power
KR20210004125A (ko) 건물 일체형 태양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복층 창호 시스템
JP200610043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135974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KR102164382B1 (ko) 단열 기능이 갖추어진 건물 설치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639770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壁面形成部材
KR101989451B1 (ko)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KR20090047074A (ko) 태양전지판 및 태양열 집열관이 결합 된 갤러리 창호
JPH02308086A (ja) 太陽電池付きブラインド
KR20090047928A (ko) 태양전지판을 결합시킨 복층 유리
KR101857739B1 (ko) 창호용 태양광 발전 어셈블리
JP7066587B2 (ja) 太陽光発電装置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2015202007A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設置構造
JP2013123017A (ja) 光透過型の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体
KR102668621B1 (ko) 벽면 일체형 태양광모듈 조립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20120007029U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