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451B1 -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451B1
KR101989451B1 KR1020180125456A KR20180125456A KR101989451B1 KR 101989451 B1 KR101989451 B1 KR 101989451B1 KR 1020180125456 A KR1020180125456 A KR 1020180125456A KR 20180125456 A KR20180125456 A KR 20180125456A KR 101989451 B1 KR101989451 B1 KR 101989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glass
incident light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돈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 일측에 설치되는 창호프레임과, 상단부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상방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창호프레임 중 상기 실외측에 설치되는 제1 글래스와, 상기 창호프레임 일측 중 상기 제1 글래스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글래스와 및 상기 창호프레임 중 상기 제2 글래스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글래스를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제1 글래스 중 일측에 국부적으로 부착되는 투명재질의 제1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제1 글래스에서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제1 미부착영역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상기 제2 글래스의 입사광 입사영역과 대응되는 일측 중 일부영역에 국부적으로 부착되는 제2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제2 글래스에서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제2 미부착영역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상기 제3 글래스의 입사광 입사영역과 대응되는 일측에 부착되는 제3 태양전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제3 태양전지모듈은 입사되는 입사광 중 수평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글래스, 제2 글래스 및 제3 글래스의 일측에 각각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을 부착하되, 각 창호에 입사되는 입사광의 입사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태양전지모듈을 국부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실내로 광을 투과할 수 있으면서도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태양광 발전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Window with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광을 투과할 수 있으면서도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태양광 발전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에너지고갈이라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사용되는 에너지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1인당 연평균 에너지 소비량이 우리 소득의 4배 수준인 일본과 비슷한 점에서 에너지의 과소비국가임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물 내의 조명 부하를 저감하거나 대체에너지로서 태양에너지와 같은 자연에너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한 태양에너지 중에서도 태양광을 활용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건축물의 외벽 중 일조량이 많은 곳에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하고, 태양전지모듈에서 태양광을 집광한 후 집광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건축물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기에너지의 일부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건축물의 자재 외에 태양전지모듈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써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됨은 물론 별도의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시공시간과 인력비용이 증대됨에 따라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0923219호의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이하 종래의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라 한다)를 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는 건물의 외벽 일측에 설치되는 창호에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함으로써 태양전지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협소한 공간에서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에 시공시간을 크게 단출할 수 있고, 인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종래의 태양전지 셀이 구비되는 창호의 기본적인 구조, 즉 건물 외벽에 부착설치되는 창호에 태양전지를 부착하는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태양광 전지의 발전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 셀이 구비되는 창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글래스, 제2 글래스 및 제3 글래스의 일측에 각각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을 부착하되, 각 창호에 입사되는 입사광의 입사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국부적으로 부착함과 아울러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일부영역이 상호 중첩되게 부착함으로써 실내로 광을 투과할 수 있으면서도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추가적인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광흡수면적이 증대되도록 하여 태양광 발전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벽 일측에 설치되는 창호프레임과, 상단부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상방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측 중 상기 건축물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제1 글래스와,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측 중 상기 제1 글래스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글래스와 및 상기 창호프레임 중 상기 제2 글래스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글래스를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제1 글래스 중 일측에 국부적으로 부착되는 투명재질의 제1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제1 글래스에서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제1 미부착영역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상기 제2 글래스의 입사광 입사영역 중 일부영역에 국부적으로 부착되되, 일측이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과 중첩되게 부착되는 제2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제2 글래스에서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제2 미부착영역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상기 제3 글래스의 입사광 입사영역에 부착되되, 일측이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과 중첩되게 부착되는 제3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부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투과하는 광을 굴절하여 상기 제1 미부착영역의 상부방향으로 입사되도록 하는 굴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제3 태양전지모듈은 입사되는 입사광 중 수평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성하되, 상기 제1 글래스 및 상기 제2 글래스는 상기 제1 미부착영역과, 상기 제2 미부착영역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1 미부착영역을 통과하는 입사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에 입사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미부착영역을 통과하는 입사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3 태양전지모듈에 입사되도록 하는 집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를 제공한다.
삭제
아울러,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제1 글래스 및 상기 제2 글래스의 이격거리와, 상기 제2 글래스 및 상기 제3 글래스의 이격거리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글래스, 제2 글래스 및 제3 글래스의 일측에 각각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을 부착하되, 각 창호에 입사되는 입사광의 입사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국부적으로 부착함과 아울러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일부영역이 상호 중첩되게 부착함으로써 실내로 광을 투과할 수 있으면서도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추가적인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광흡수면적이 증대되도록 하여 태양광 발전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광유닛에 의해 입사광이 집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1)는 창호프레임(10)과, 윈도우부(20)와, 제1 태양전지모듈(30)과, 제2 태양전지모듈(40)과, 제3 태양전지모듈(50) 및 굴절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창호프레임(10)은 다수의 금속바를 상호 결합하여 대략 직사각형의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의 외벽면 일측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윈도우부(20)의 일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윈도우부(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부(20)는 창호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과, 지지프레임(21)의 내부 중 실외측에 설치되는 제1 글래스(22)와, 지지프레임(21)의 내부 중 제1 글래스(22)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글래스(23) 및 지지프레임(21)의 내부 중 제2 글래스(23)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3 글래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풍 및 외부소음등을 차폐함과 아울러 건축물 실내에 태양광이 유입되도록 하며, 후술하는 제1 태양전지모듈(30)과, 제2 태양전지모듈(40) 및 제3 태양전지모듈(5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프레임(21)은 대략 창호프레임(10)의 내측과 대응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창호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방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개구(21a)가 형성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제1 글래스(22), 제2 글래스(23) 및 제3 글래스(2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지지프레임(21)은 내면에 제1 글래스(22)의 외주가 삽입결합되는 제1 설치홈(21b)이 형성되고, 내면 중 제1 설치홈(21b)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 글래스(23)의 외주가 삽입결합되는 제2 설치홈(21c)이 형성되며, 내면 중 제2 설치홈(21c)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3 글래스(24)의 외주가 삽입되는 제3 설치홈(21d)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프레임(21)은 제1 설치홈(21b)과 제2 설치홈(21c)의 이격간격과, 제2 설치홈(21c)과 제3 설치홈(21d)의 이격간격이 상호 다른 이격값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제1 글래스(22)와 제2 글래스(23) 사이의 공간부와, 제2 글래스(23)와 제3 글래스(24)의 사이의 공간부 체적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외부소음의 차폐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글래스(22)는 유리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개구(21a)의 형상과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가 제1 설치홈(21b)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21)에 결합된다.
제2 글래스(23)는 제1 글래스(22)와 같이 유리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개구(21a)의 형상과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가 제2 설치홈(21c)에 삽입되어 제1 글래스(22)와 실내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3 글래스(24)는 제1 및 제2 글래스(23)와 같이 유리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개구(21a)의 형상과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가 제3 설치홈(21d)에 삽입되어 제2 글래스(23)와 실내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 태양전지모듈(30)은 투명재질의 태양전지모듈이 사용되며, 제1 글래스(22)의 일측면 중 실내측과 대응되는 일면에 설치되되, 제1 글래스(22) 일측에 국부적으로 부착되고, 제1 글래스(22)로 입사된 입사광 중 일부 입사광을 흡수하여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태양전지모듈(30)은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기 위한 광전변환층을 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제조함으로써 입사되는 입사광 중 수평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성하고, 수직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투과함에 따라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할 수 있으면서도 수평방향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한다.
제2 태양전지모듈(40)은 제1 태양전지모듈(30)과 같이 투명재질의 태양전지모듈이 사용되고, 제1 글래스(22)에서 제1 태양전지모듈(30)이 부착되지 않은 제1 미부착영역(22a)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제2 글래스(23)의 입사광 입사영역 중 일부영역에 국부적으로 부착되되, 일측이 제1 태양전지모듈(30)과 중첩되게 부착된다.
이러한, 제2 태양전지모듈(40)은 제2 글래스(23) 중 제1 미부착영역(22a)의 일부영역과 대응되는 입사광 뿐 아니라 제1 태양전지모듈(30)과 중첩되는 일측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성하며, 제1 태양전지모듈(30)과 같이 흡수되는 입사광 중 수평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제3 태양전지모듈(50)은 제1 및 제2 태양전지모듈(40)과 같이 투명재질의 태양전지모듈이 사용되고, 제2 글래스(23)에서 제2 태양전지모듈(40)이 부착되지 않은 제2 미부착영역(23a)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제3 글래스(24)의 입사광 입사영역에 부착되되, 일측이 제2 태양전지모듈(40)과 중첩되게 부착된다.
이러한, 제3 태양전지모듈(50)은 제3 글래스(24) 중 제2 미부착영역(23a)의 일부영역과 대응되는 입사광 뿐 아니라 제2 태양전지모듈(40)과 중첩되는 일측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성하며, 제2 태양전지모듈(40)과 같이 흡수되는 입사광 중 수평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2,3 글래스에 각각 부착되는 제1,2,3 태양전지모듈(30,40,50) 일부를 상호 중첩되게 배치하는 이유는 제1 미부착영역(22a)을 통과하여 제2 글래스(23)로 입사되는 입사광의 일부가 제1 글래스(22) 및 제2 글래스(23)에 의해 산란 또는 반사됨에 따라 제2 글래스(23)로 입사되는 입사광의 영역이 제1 미부착영역(22a) 보다 넓은 영역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제3 글래스(24) 입사되는 입사광 또한 제2 글래스(23) 및 제3 글래스(24)에 의해 산란 또는 반사됨에 따라 제3 글래스(24)로 입사되는 입사광의 영역이 제2 미부착영역(23a) 보다 넓은 영역을 갖도록 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2,3 태양전지 모듈(30,40,50)이 태양광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태양광 흡수 면적이 크게 증대되도록 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1)의 경우 기존 태양전지모듈이 제1 글래스에 전체적으로 부착된 구조에 비해 태양광 흡수면적이 대략 1.4배 증가되었으며, 이로 인해 태양광 발전효율이 1.25배 향상되었다.
굴절유닛(60)은 창호프레임(10) 또는 지지프레임(21)의 상부 일측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투과하는 태양광을 굴절하여 제1 미부착영역(22a)의 상부방향으로 입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술하면, 굴절유닛(60)은 태양의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윈도우부(20)의 상측에 음영영역이 발생될 수 있는데, 입사되는 입사광 중 일부를 굴절하여 제1 미부착영역(22a)의 상측으로 광이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이 제1 글래스(22)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입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1)의 동작을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1)가 건물의 외벽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글래스(22)로 태양광이 입사되는데, 제1 글래스(22)로 입사되는 태양광 중 일부는 굴절유닛(60)을 투과하면서 굴절되어 제1 글래스(22)의 상부방향으로 입사된다.
제1 글래스(22)로 입사된 입사광 중 제1 태양전지모듈(30)로 입사된 입사광은 제1 태양전지모듈(30)에 흡수되고, 제1 태양전지모듈(30)은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1차 생산한다.
이때, 제1 태양전지모듈(30)은 입사광 중 수평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수직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은 투과한다.
아울러, 제1 글래스(22) 중 제1 태양전지모듈(30)이 부착되지 않은 제1 미부착영역(22a)을 투과한 입사광은 제2 글래스(23)로 입사되는데, 그 중 일부가 제2 글래스(23)로 입사되는 과정에서 산란 또는 반사되어 제1 미부착영역(22a) 보다 넓은 영역으로 제2 글래스(23)에 입사된다.
제2 태양전지모듈(40)은 제2 글래스(23)로 입사된 입사광 중 일부를 흡수하되, 수평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2차 생산하고, 수직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은 투과한다.
이어서, 제2 글래스(23) 중 제2 태양전지모듈(40)이 부착되지 않은 제2 미부착영역(23a)을 투과한 입사광은 제3 글래스(24)로 입사되는데, 이 또한 그 중 일부가 제3 글래스(24)로 입사되는 과정에서 산란 또는 반사되어 제2 미부착영역(23a) 보다 넓은 영역으로 제3 글래스(24)에 입사된다.
제3 태양전지모듈(50)은 제3 글래스(24)로 입사된 입사광을 흡수하되, 수평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3차 생산하고, 수직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은 투과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글래스(22)와, 제2 글래스(23) 및 제3 글래스(24)에 각각 국부적으로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하고, 입사광 일부가 후단의 글래스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산란 또는 반사되어 전단의 글래스 중 투과한 영역보다 넓은 영역으로 후단의 글래스에 입사되도록 하고, 이를 흡수하여 발전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총 광량이 크게 증대되도록 하여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광유닛에 의해 입사광이 집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1 내지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2 태양전지모듈(40) 및 제3 태양전지모듈(50)에서 흡수하는 입사광의 광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제1 미부착영역(22a) 및 제2 미부착영역(23a)에 각각 부착되는 집광유닛(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집광유닛(70)은 제1 미부착영역(22a)에 부착되는 제1 집광렌즈(71)와, 제2 미부착영역(23a)에 부착되는 제2 집광렌즈(72)를 포함하며, 제1 미부착영역(22a) 및 제2 미부착영역(23a)을 투과하는 입사광을 집광하여 제2 태양전지모듈(40) 및 제3 태양전지모듈(50)에 흡수되는 입사광의 광밀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술하면, 도7에서는 바와 같이 제1 집광렌즈(71)에서는 제1 미부착영역(22a)을 투과하면서 산란 또는 반사되는 입사광을 집광하여 제2 글래스(23) 방향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2 태양전지모듈(40) 및 제2 글래스(23)의 제2 미부착영역(23a)에 집중적으로 입사되도록 하고, 제2 집광렌즈(72)에서는 제2 미부착영역(23a)을 투과하면서 산란 또는 반사되는 입사광을 집광하여 제3 글래스(24) 방향으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3 태양전지모듈(50)에 집중적으로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입사광의 일부가 태양전지모듈을 벗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발전손실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광밀도가 향상되도록 하여 발전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창호프레임 20 : 윈도우부
21 : 지지프레임 21a : 개구
21b : 제1 설치홈 21c : 제2 설치홈
21d : 제3 설치홈 22 : 제1 글래스
22a : 제1 미부착영역 23 : 제2 글래스
23a : 제2 미부착영역 24 : 제3 글래스
30 : 제1 태양전지모듈 40 : 제2 태양전지모듈
50 : 제3 태양전지모듈 60 : 굴절유닛
70 : 집광유닛 71 : 제1 집광렌즈
72 : 제2 집광렌즈

Claims (3)

  1. 건축물의 외벽 일측에 설치되는 창호프레임과;
    상단부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상방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측 중 상기 건축물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제1 글래스와,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측 중 상기 제1 글래스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글래스와 및 상기 창호프레임 중 상기 제2 글래스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글래스를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제1 글래스 중 일측에 국부적으로 부착되는 투명재질의 제1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제1 글래스에서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제1 미부착영역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상기 제2 글래스의 입사광 입사영역 중 일부영역에 국부적으로 부착되되, 일측이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과 중첩되게 부착되는 제2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제2 글래스에서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제2 미부착영역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상기 제3 글래스의 입사광 입사영역에 부착되되, 일측이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과 중첩되게 부착되는 제3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부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투과하는 광을 굴절하여 상기 제1 미부착영역의 상부방향으로 입사되도록 하는 굴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제3 태양전지모듈은 입사되는 입사광 중 수평방향으로 편광된 입사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성하되,
    상기 제1 글래스 및 상기 제2 글래스는 상기 제1 미부착영역과, 상기 제2 미부착영역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1 미부착영역을 통과하는 입사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2 태양전지모듈에 입사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미부착영역을 통과하는 입사광을 집광하여 상기 제3 태양전지모듈에 입사되도록 하는 집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창호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제1 글래스 및 상기 제2 글래스의 이격거리와, 상기 제2 글래스 및 상기 제3 글래스의 이격거리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KR1020180125456A 2018-10-19 2018-10-19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KR101989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456A KR101989451B1 (ko) 2018-10-19 2018-10-19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456A KR101989451B1 (ko) 2018-10-19 2018-10-19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451B1 true KR101989451B1 (ko) 2019-06-14

Family

ID=6684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456A KR101989451B1 (ko) 2018-10-19 2018-10-19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728B1 (ko) * 2021-05-12 2021-10-19 한국철도공사 창호형 태양광 모듈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19B1 (ko) * 2009-06-11 2009-10-27 (주)선우 발코니 난간 대용 태양전지 셀이 구비된 창호
JP3180413U (ja) * 2012-09-25 2012-12-20 フジケース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KR20130083606A (ko) * 2012-01-13 2013-07-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19B1 (ko) * 2009-06-11 2009-10-27 (주)선우 발코니 난간 대용 태양전지 셀이 구비된 창호
KR20130083606A (ko) * 2012-01-13 2013-07-2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JP3180413U (ja) * 2012-09-25 2012-12-20 フジケース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728B1 (ko) * 2021-05-12 2021-10-19 한국철도공사 창호형 태양광 모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6579A1 (en) Energy Channeling Sun Shade System and Apparatus
KR10108382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WO2004111548A3 (en) Concentrating type solar collection and daylighting system within glazed building envelopes
KR20190004243A (ko) 햇빛전구와 반사판을 이용하는 양면태양광모듈 발전기와 그 발전방법
WO2007111959A2 (en) Non-equatorial photovoltaic module
CN103022206B (zh) 一种槽式复合抛物面聚光发电组件
KR101244406B1 (ko) 태양광발전 시스템
JP5927948B2 (ja) 集光型太陽光発電パネル及び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
JPH10507312A (ja) 太陽発電設備
Cappelletti et al. Integration and architectural issues of a photovoltaic/thermal linear solar concentrator
JP3173523U (ja) 集光器、集光システム、太陽光発電装置、及び、ソーラーシステム
KR101989451B1 (ko)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창호
TW202020295A (zh) 側聚光型太陽能百葉窗
KR101195518B1 (ko) 방화 창호
CN207458952U (zh) 防尘、易安装的屋面太阳能电池组件
KR20090045474A (ko) 광학시트 부착형 태양광모듈
CN105577093B (zh) 新洁净光伏板
KR20090050527A (ko) 태양전지판이 결합 된 갤러리 창호
CN105674587A (zh) 一种反射聚光太阳能发电站
WO2010008169A2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건축자재
CN215120719U (zh) 一种基于聚焦透镜组的太阳光汇聚太阳能板装置
JP4978848B2 (ja) 集光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190079755A (ko) 태양광의 실내유입 제어 기능의 가변식 천창시스템
KR20090047074A (ko) 태양전지판 및 태양열 집열관이 결합 된 갤러리 창호
CN202977491U (zh) 一种槽式复合抛物面聚光发电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