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890B1 -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890B1
KR101333890B1 KR1020110102253A KR20110102253A KR101333890B1 KR 101333890 B1 KR101333890 B1 KR 101333890B1 KR 1020110102253 A KR1020110102253 A KR 1020110102253A KR 20110102253 A KR20110102253 A KR 20110102253A KR 101333890 B1 KR101333890 B1 KR 101333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doors
terminal
solar ce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806A (ko
Inventor
차광석
조호규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8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측에 설치되고, 각각은 실외창과 상기 실외창을 지지하는 실외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실외측 도어들, 실외측 도어들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각각은 실내창과 실내창을 지지하는 실내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실내측 도어들,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실외측 도어들과 실내측 도어들 각각이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실외측 도어들과 실내측 도어들 사이에 위치하고 하측이 프레임에 고정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방화난간, 실외창 들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들, 실외측 도어들 각각에 구비되어 각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들을 포함하고, 각 연결단자들은 인접하는 연결단자들과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실외측 도어들의 개폐 시에도 태양전지의 전기적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확장 발코니용 베란다 창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Sliding door assembly having solar cell and fire balustrade }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광기전력 소자로써, 태양으로부터 지구에 전달되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청정에너지원으로 꾸준한 연구와 더불어, 이러한 태양전지에 대한 다양한 활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상기한 태양전지의 활용에 있어서, 가정에서 도어창에 상기 태양전지를 적용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가정에서 가장 채광이 좋고 채광면적이 넓은 베란다창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베란다창은 대부분이 개폐 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수시로 변동하는 미닫이 도어구조이기 때문에, 상기한 미닫이 도어구조에 태양전지를 적용하기에는 각 미닫이 도어들에 구비되는 태양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공동주택에 대한 화재가 윗층 및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들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공동주택에서 거실을 베란다 공간까지 확장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화재가 발생한 아래층으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의 화재 가스가 베란다 창호의 유리를 전파시킨 후, 윗층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아래층의 화재 가스에 의하여 윗층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피해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726627호에서는 발코니에 적용되는 방화 창호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창호의 프레임을 구획하여, 하부에는 방화유리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환기를 할 수 있는 여닫이창을 설치한다. 하지만, 이러한 창호는 전체적으로 환기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확장 발코니용 베란다 창호로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의 개폐 시에도 태양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확장 발코니용 베란다 창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측에 설치되고, 각각은 실외창과 상기 실외창을 지지하는 실외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실외측 도어들, 상기 실외측 도어들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각각은 실내창과 상기 실내창을 지지하는 실내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실내측 도어들,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실외측 도어들과 상기 실내측 도어들 각각이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실외측 도어들과 상기 실내측 도어들 사이에 위치하고 하측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방화난간, 상기 실외창 들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들, 상기 실외측 도어들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연결단자들은 인접하는 상기 연결단자들과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미닫이 도어 조립체의 개폐 시에도 태양전지의 전기적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확장 발코니용 베란다 창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방화난간과 실외 및 실내측도어가 동일한 프레임에 설치되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셋째, 방화난간이 발코니 난간의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발코니 난간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넷째, 방화난간을 설치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미닫이 창호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환기성이 좋으며, 투광성도 좋다.
다섯째, 미닫이 창호를 가지면서도, 도어들 사이에 태양전지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여섯째, 확장 발코니용 베란다 창호에 이용될 때,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에 의하여 아래층에서 유입되는 화재연기가 방화난간에 의하여 차폐되기 때문에, 화재 전파의 위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외측 도어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미닫이 도어 조립체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실외측 도어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연결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의 연결단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가변전기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실외측 도어에 접속레일을 구비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실외측 도어에 프레임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미닫이 도어 조립체에서 컨트롤러를 비롯한 단락신호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900; 이하 " 미닫이 도어 조립체"라고 한다)는, 복수개의 실외측 도어(100a,100b)들과, 복수개의 실내측 도어(100c,100d)들과, 프레임(200)과, 방화난간(800)과, 태양전지(300a,300b)들과, 연결단자(400)들을 포함한다.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은, 건축물의 외측에 설치되고, 각각은 실외창(110a,110b)과, 상기 실외창(110a,110b)을 지지하는 실외창틀(120a,120b)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은 상기 실외창(110a,110b)의 테두리 또는 상기 프레임(200)과 대면하는 상기 실외창(110a,110b)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내측 도어(100c,100d)들은,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로부터 일정공간을 두고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각각은 실내창(110c,100d)과, 상기 실내창(110c,100d)을 지지하는 실내창틀(120c,120d)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실외창틀(120a,120b)과 마찬가지로, 상기 실내창틀(120c,120d)은 상기 실내창(110c,100d)의 테두리 또는 상기 프레임(200)과 대면하는 상기 실내창(110c,100d)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과 상기 실내측 도어(100c,100d)들 각각이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방화난간(800)은, 화재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를 막고 내부의 안전을 위하는 것으로서,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과 상기 실내측 도어(100c,100d)들 사이에 위치하고, 하측이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되며, 난간요구높이 만큼이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방화난간(800)은 채광성이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내화성이 있는 내화유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미닫이 도어 조립체(900)는, 환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확장 발코니용 베란다 창호로 적용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미닫이 도어 조립체(900)는, 상기 실외측 도어들(100a,100b), 상기 실내측 도어(100c,100d)들 및 상기 방화난간(800) 모두가 동일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상기한 방화난간(800)이 발코니 난간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발코니 난간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미닫이 도어 조립체(900)는 상기 방화난간(800)을 설치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미닫이 창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환기성이 좋고 투광성이 좋으며, 나아가 상기 미닫이 도어 조립체(900)를 확장 발코니용 베란다 창호에 이용될 경우,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에 의하여 아래층에서 유입되는 화재연기가 방화난간에 의하여 차폐되기 때문에, 화재 전파의 위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은, 상기 실외창(110a,110b)들 각각에 구비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태양전지(300a,300b)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지의 광투과성 박막형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A-Si; Amorphous Silicon Cells)로서, 제조가 용이하도록 상기 실외창(110a,110b) 하나에 대하여 하나의 셀(Cell)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300a,300b)는, 상기 실외창(110a,110b)에 대하여 일측이 양극(+)이고, 타측이 음극(-)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닫이 도어 조립체(900)는, 회로 및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전기 배선이 단순하며, 미닫이 도어구조에 적용하기가 용이하며 실용적이다.
여기에서, 상기 태양전지(300a,300b)는, 상기한 광투과성 박막형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300a,300b)를 예로 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태양전지(300a,300b)는 상기 실외창(110a,110b)에 적용될 수 있는 박막형구조와 광투과성구조를 가지고 있는 태양전지라면 모두 가능하고, 또한 하나의 셀이 아닌 복수개의 셀이 연결되어 전체적인 셀구조가 일측이 양극(+)이고, 타측이 음극(-)의 구조를 띄는 구조라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태양전지(300a,300b)가 상기 실외창(110a,110b)들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실내창(110c,100d)들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실내창(110c,100d)은 실질적으로 채광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인 측면이나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했을 때 상기 태양전지(300a,300b)를 실외창(110a,110b)들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단자(400)는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300a,3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각 실외측 도어(100a,100b)의 연결단자(400)는 인접하는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의 상기 연결단자(400)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기 연결단자(4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의 서로 대면하는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접촉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의 슬라이딩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의 구조 및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의 이동경로 등을 고려하여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의 상측 또는 하측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레일단자(410)와, 접속단자(420,420b), 제1 및 제2접촉단자(442,444)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단자(410)는,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의 상측 또는 하측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의 슬라이딩 이동경로를 따라 레일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420,420b)는, 상기 레일단자(410)와 대면하는 상기 실외창틀(120a,120b)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단자(410)와 접촉하면서 상기 레일단자(4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세하게,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상기 창틀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레일홈(411)과 단자홈(421,422)에 구비되어, 상기 미닫이 도어의 개폐 동작 시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레일단자(410)는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의 측면으로부터 설정된 일정 깊이를 갖는 레일홈(411)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홈(411)은 상기 레일단자(410)의 내측부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단자(410)의 형상 등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420,420b)는 상기 레일홈(411)과 대면하는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를 갖는 단자홈(421,422)에 배치되되, 상기 실외창틀(120a,120b)에 자유회동하면서 상기 레일단자(4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접속단자(420,420b)는 상기 단자홈(421,422)에 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대략 원통형상이며, 상기 레일단자(410)와의 마찰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롤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레일단자(410)와는 선 또는 면접촉을 이루면서 회동한다.
한편, 상기 접속단자(420,420b)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단자(420,420b)는 단자홈(421,422)에 끼워지며 구형상의 볼단자로서, 상기 레일단자(410)와 점접촉을 이루면서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단자홈(421,422)은, 구형상의 상기 볼단자의 형상에 대응하고 상기 볼단자가 빠지지 않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420,420b)는, 상기 레일단자(4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접촉할 수 있는 구조로, 상기한 원통형의 롤러(도 6참조)와, 구형상의 볼단자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접속단자(420,420b)는 상기 레일단자(410)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는, 상기 레일홈(411)과 상기 단자홈(421,422)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단자(410)와 상기 접속단자(420,420b)가 서로 탄력적으로 밀착 접촉되도록,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43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스프링(430)은, 일단이 상기 레일홈(411) 또는 상기 단자홈(421,422)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레일단자(410) 또는 상기 접속단자(420,420b)와 결합하되, 상기 접속단자(420,420b)와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공지의 지지스프링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프링(430)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단자(420,420b)와 상기 레일단자(410) 모두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레일단자(410)와 상기 접속단자(420,42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단자(400)는,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이 일반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태양전지(300a,300b)가 연속적으로 가동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태양전지(300a,300b)가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의 특정한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가 슬라이딩 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전기적 연결이 온(on)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전기적 연결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태양전지(300a,300b)가 특정부분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가동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결단자(400)들은, 제1접촉단자(442)와, 제2접촉단자(4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접촉단자(442)는,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의 좌측 및 우측의 각각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접촉단자(444)는, 상기 제1접촉단자(442)와 대면하는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의 개폐 시 상기 제1접촉단자(442)와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단자(442)와, 상기 제2접촉단자(444)의 상세한 구성은, 상기 접속단자(420,420b)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도면에서 상기 제1접촉단자(442)와 상기 제2접촉단자(444)는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이 닫힐 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제1접촉단자(442)와 상기 제2접촉단자(444)의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이 열릴 시에만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연결단자(400)는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가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와 같은 특정부분에만 서로 접촉할 수 있는 구조로서, 시스템 창호와 같이 도어들이 직선방향운동으로 이동하지 않는 창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상기 실외창(110a,110b)의 양끝단의 위치가 상기 프레임(2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양단자의 위치도 바뀌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는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와, 접속레일(600a,600b)과, 프레임 연결단자(610a,610b)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각 태양전지(300a,300b) 모두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위치가 이동을 하더라도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 간의 전기적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는, 상기 프레임(200)의 상측 또는 하측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길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의 슬라이딩 이동 시에도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 전체가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는, 단부가 상기 태양전지(300a,300b)와 연결되는 전선부(510)와, 스프링과 같은 탄력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전선부(510)가 길게 노출된 상태에서도 쳐지지 않고 일정 텐션을 갖고 있도록 하고, 다시 복귀할 때 상기 전선부(510)를 탄력 있게 권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권취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부(510)는 단부에 상기 태양전지(300a,300b)와 연결되는 단자(53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부(510)는 상기 단자(530) 외에 터미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단자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의 구조는 청소기의 전선코드와 같이 탄력적인 권취릴선의 구조와 유사하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태양전지(300a,300b)는 그 단자가 상기 전선부(510)의 연결단자(400)와 대응되는 단자형태를 갖고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전선부(510)가 상기 프레임(200) 내에서 그 길이가 가변될 때 엉키지 않도록, 상기 전선부(5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20; 도 5참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가이드홈(220) 외에 가이드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돌출부들 사이에 상기 전선부(510)가 안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홈(220)과 가이드돌출부 외 상기 프레임(200)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부(510)가 엉키지 않게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가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의 고장 시 수리 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에 개폐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210)는 사용자에 의하여 개구할 수 있는 구조이며, 작업을 마친 후에는 다시 폐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도어방식 또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방식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닫이 도어들과 상기 프레임(200)의 구성은 공지의 미닫이구조의 도어와 프레임(2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레일(600a,600b)은,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프레임(200)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단자(400)와 접촉하여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접속레일(600a,600b)은 동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레일(600a,600b)은 상기 프레임(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접속레일(600a,600b)을 상기 프레임(200)의 하측에 배치할 경우 결로발생으로 인한 전기합선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400)는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의 상측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레일(600a,600b)은 상기 연결단자(400)와 대면하는 상기 프레임(200)의 상측에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레일(600a,600b)의 구성은, 상기 연결단자(400)의 레일단자(410)와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400)는 리미트 스위치 등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연결단자(610a,610b)는, 상기 프레임(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을 닫을 경우에만 상기 연결단자(400)와 접촉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단자(400)는 상기 제1 및 제2접촉단자(442,444)로 하고 상기 프레임(200)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실외창틀(120a,120b)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 연결단자(610a,610b)는 상기 제1 및 제2접촉단자(442,444)와 대면하는 상기 프레임(2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을 닫을 경우에만 상기 제1 및 제2접촉단자(442,444)와 접촉한다. 한편, 상기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접촉단자(442,444)와 상기 프레임 연결단자(610a,610b)는, 상기 실외측 도어(100a,100b)들을 닫을 경우, 재실자의 접촉이 불가능하게 엄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측 도어들을 닫을 경우에만 상기 태양전지의 전기적연결이 온(on)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태양전지의 전기적연결이 온(on)된 상태에서 연결단자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실외측 도어들 사이에서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연결단자에 접촉되어 감전되는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의 작동을 감시하기 위하여,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 간의 단락정도를 미리 파악하기 위한 단락신호검출부(7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단락신호검출부(730)는, 단락신호부(710)와, 디스플레이부(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락신호부(710)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의 단락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연결단자(400) 또는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500a,500b) 또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락이 의심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20)는, 상기 단락신호부(710)로부터 단락위치 및 단락유무와 같은 단락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락정보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화면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단락신호검출부(730)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들과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러(700)와 연결되어, 상기 단락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컨트롤러(700)는, 상기 태양전지(300a,300b)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저장충전하고, 전체적인 태양전지(300a,300b)의 작동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100b... 실외측 도어 100c,100d... 실내측 도어
110a,110b... 실외창 110c,110d... 실내창
120a,120b... 실외창틀 120c,120d... 실내창틀
200... 프레임 300a,300b... 태양전지
400... 연결단자 410... 레일단자
420,420b... 접속단자 430... 지지스프링
442,444... 제1 및 제2접촉단자 500a,500b... 가변전기 연결부
600a,600b... 접속레일 610a,610b... 프레임 연결단자
700... 컨트롤러 710... 단락신호부
720... 디스플레이부 730... 단락신호검출부
800... 방화난간 900... 미닫이 도어 조립체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건축물의 외측에 설치되고, 각각은 실외창과 상기 실외창을 지지하는 실외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실외측 도어들;
    상기 실외측 도어들로부터 실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각각은 실내창과 상기 실내창을 지지하는 실내창틀을 포함하고, 서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하는 복수개의 실내측 도어들;
    벽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실외측 도어들과 상기 실내측 도어들 각각이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설정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실외측 도어들과 상기 실내측 도어들 사이에 위치하고 하측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방화난간;
    상기 실외창 들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태양전지들;
    상기 실외측 도어들 각각 또는 상기 실외창틀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실외측 도어의 연결단자는 인접하는 상기 실외측 도어의 상기 연결단자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태양전지의 단락정보를 송신하는 단락신호부와,
    상기 단락신호로부터 상기 단락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락정보를 외부로 알리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락신호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들은,
    상기 실외측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실외창틀의 상측 또는 하측 측면에 구비되는 레일단자와,
    상기 레일단자와 대면하는 상기 실외창틀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단자와 접촉하면서 상기 레일단자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단자 또는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레일단자와 상기 접속단자 서로가 탄력적으로 밀착 접촉되도록,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일단자는, 상기 실외창틀의 측면으로부터 설정된 일정 깊이를 갖는 레일홈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레일홈과 대면하는 상기 실외창틀의 측면으로부터 설정된 일정 깊이를 갖는 단자홈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단자를 따라 선접촉 또는 면접촉을 하면서 자유회동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인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일단자는, 상기 실외창틀의 측면으로부터 설정된 일정 깊이를 갖는 레일홈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레일홈과 대면하는 상기 실외창틀의 측면으로부터 설정된 일정 깊이를 갖는 단자홈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단자를 따라 점접촉을 하면서 자유회동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볼단자인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들은,
    상기 실외창틀의 각각에 구비되는 제1접촉단자와,
    상기 제1접촉단자와 대면하는 상기 실외창틀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측 도어들의 개폐 시 상기 제1접촉단자와 접촉하는 제2접촉단자인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실외창 들에 구비되고,
    상기 실외창의 일측이 양(+)극이고, 상기 실외창의 타측이 음(-)극으로 되어 있어, 상기 실외측 도어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도어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태양전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레일을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실외측 도어들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접속레일은 상기 연결단자와 대면하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실외창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미닫이 도어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실외측 도어들을 닫을 경우에만 상기 연결단자와 접촉하는 프레임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도어들을 닫을 경우, 상기 연결단자 및 상기 프레임 연결단자는 재실자의 접촉이 불가능하게 엄폐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 구비되어 상기 각 태양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길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가변전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전기 연결부는,
    단부가 상기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전선부와,
    상기 전선부를 탄력있게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14.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도어들은,
    상기 실내창 들에 상기 태양전지가 더 구비되는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20110102253A 2011-10-07 2011-10-07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333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253A KR101333890B1 (ko) 2011-10-07 2011-10-07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253A KR101333890B1 (ko) 2011-10-07 2011-10-07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389A Division KR101325837B1 (ko) 2013-09-23 2013-09-23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806A KR20130037806A (ko) 2013-04-17
KR101333890B1 true KR101333890B1 (ko) 2013-12-02

Family

ID=4843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253A KR101333890B1 (ko) 2011-10-07 2011-10-07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2990A (zh) * 2016-12-14 2017-04-26 安徽瑞研新材料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太阳能窗家庭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30Y1 (ko) 2009-07-28 2010-02-16 백은주 아파트용 화염 차단장치
KR20100095106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 네오셈 마스터 프로세서와 다수의 슬레이브 프로세서간 통신시스템및 방법
JP4671734B2 (ja) * 2005-03-31 2011-04-20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犯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防犯機能付インターホン装置
KR20110092951A (ko) * 2010-02-11 2011-08-18 (주)네이버후드엠케이 방화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1734B2 (ja) * 2005-03-31 2011-04-20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犯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防犯機能付インターホン装置
KR20100095106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 네오셈 마스터 프로세서와 다수의 슬레이브 프로세서간 통신시스템및 방법
KR200447730Y1 (ko) 2009-07-28 2010-02-16 백은주 아파트용 화염 차단장치
KR20110092951A (ko) * 2010-02-11 2011-08-18 (주)네이버후드엠케이 방화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2990A (zh) * 2016-12-14 2017-04-26 安徽瑞研新材料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太阳能窗家庭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806A (ko)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1776B2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US8165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al insulating shutter system
US10763778B2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US11489483B2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KR102233075B1 (ko)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KR20190041575A (ko) 태양광 발전형 슬라이딩 창호 조립체
KR101325837B1 (ko)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101271942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KR20110087202A (ko)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및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가 구비된 창
KR20130102287A (ko) 태양광발전 미닫이 창호
KR101315272B1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KR101333890B1 (ko) 태양전지 및 방화난간을 구비하는 미닫이 도어 조립체
JP4094510B2 (ja) 可動屋根構造
US20200181974A1 (en) Sunshade system for indoor brightness and temperature control
KR101028141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
KR100765965B1 (ko) 창호
KR102174448B1 (ko) 스마트 실내 인출입 시스템
KR10253402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업그레이드 시스템
KR101180122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미닫이 도어 조립체
CN101769082B (zh) 一种集装箱套房
KR101071944B1 (ko) 태양광 발전 아파트
CN211313829U (zh) 一种内外窗一体化智能控制装置
KR102239502B1 (ko) 태양광패널 덧문이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363160B1 (ko)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KR102363161B1 (ko) 조립식 주택용 창문 방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