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639B1 -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639B1
KR101189639B1 KR1020080127289A KR20080127289A KR101189639B1 KR 101189639 B1 KR101189639 B1 KR 101189639B1 KR 1020080127289 A KR1020080127289 A KR 1020080127289A KR 20080127289 A KR20080127289 A KR 20080127289A KR 101189639 B1 KR101189639 B1 KR 101189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formin
hydroxypropyl cellulose
solution
preparation
gran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811A (ko
Inventor
조일환
홍일기
안태군
이용택
정선오
윤명식
권오억
이시범
오다원
최낙현
이희정
노현정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08012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639B1/ko
Priority to CN2013100288368A priority patent/CN103143018A/zh
Priority to JP2011540605A priority patent/JP5371068B2/ja
Priority to PCT/KR2009/007383 priority patent/WO2010071321A2/ko
Priority to CN2009801504351A priority patent/CN102245172B/zh
Publication of KR2010006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639B1/ko
Priority to JP2013118910A priority patent/JP5671767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7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with an outer layer or coating comprising drug; with chemically bound drugs or non-active substances on thei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트포르민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혼합 분말에 대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결합액으로 해서 제조한 1 차 습식 과립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혼합 수용액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2 차 습식 과립을 포함하는 경구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트포르민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혼합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분무하여 1 차 습식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유동층 과립기에서 상기 1차 습식 과립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혼합 수용액을 분무하여 2차 습식 과립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Oral formulations comprising metformin and α-glycosidase inhibitor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를 함유하는 제 2 형 당뇨병 치료에 유용한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를 각각 별개의 제제로 병용 투여하는 경우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면서 복용이 간편하여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인 제 2 형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약 5%의 유병율을 나타내는 가장 흔한 대사성 질환의 하나이며 향후 2010년 내에 7%까지 증가할 추세이며 전세계의 총 당뇨병 환자의 수는 향후 10 년동안 약 2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 2 형 당뇨병의 병태생리는 인슐린 분비장애와 인슐린 저항성이 특징이며, 인슐린 저항성은 췌장의 베타세포로부터 과인슐린 분비를 초래할 수 있고 이는 다시 과인슐린혈증으로 이어지는데 과인슐린혈증은 당뇨병으로 진단되기 전부터 이미 존재하여 여러 다른 질병들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결국 베타세포의 기능이 저하하여 인슐린 부족이 일어나게 되고 그 결과 식사 후에 내당능 저하 및 공복시 고혈당를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이 발병하게 되는 것이다. 당뇨병이 장기간 지속되면 마침내 망막증, 신경변증, 또는 심장병증과 같은 미세혈관 합병증이나 심혈관, 뇌혈관 또는 말초동맥혈관과 같은 대혈관 합병증 등 여러 만성 합병증이 발생된다. 이러한 만성 합병증들은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사망률을 크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제2형 당뇨병의 관리는 만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다시 말하면 이러한 만성합병증의 발병과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다.
당뇨로 인한 만성 합병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는 당뇨병 환자는 엄격한 당뇨병 치료 과정에 참여하여 정상적인 혹은 최소한 정상에 가까운 당화혈색소(HbA1c)를 유지하도록 만족스러운 대사조절을 이루어야 한다. 혈당조절과 합병증 연구(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 Trial)와 영국 당뇨병 전향적 연구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의 결과는 엄격한 혈당 조절이 당뇨로 인한 만성 합병증의 발생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많은 수의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이 미국 당뇨병 학회가 제시한 목표치 이하로 혈당을 조절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또한, 상기 UKPDS의 분석결과를 보면 경구용 혈당강하제 단독 요법의 실패율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며,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혈당 조절을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타 약물과의 병용이 필요하다.
병용요법에 있어서 적절한 약제의 선택은 개인의 여건에 따라 각각 다를 수는 있으나 상호보완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기전을 가지는 약물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α-글루코시다제 억제 약물과 메트포르민과의 병용은 제2형 당뇨병의 두 가지 병리학적 기전인 식후 혈당 증가와 인슐린저항성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이상적인 병용요법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이미 많은 임상 시험들을 통해 α-글루코시다제 억제 약물과 메트포르민의 병용요법이 각각의 단독요법에 비해 혈당조절의 측면에서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된 바 있다(Clinical therapeutics vol.25 No.12 2003, Diabetes Care vol.24 No.6 June 2001).
그러나, 2 가지 이상의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병용요법은 실제 임상에서 환자들이 불특정 장기간 지속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낮은 순응도는 결국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병용요법을 필요로 하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상당수가 혈당조절에 실패하는 하나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2가지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한가지 제형으로 결합시킨 복합제는 복용이 편리하므로 약물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를 개선시켜, 장기적인 효과적인 혈당 조절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병용요법에서 투여방식에 따른 환자의 순응도를 비교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각각을 따로 복용한 피험자군의 순응도는 54%에 머무른 데 비해 복합제를 복용한 피험자군의 순응도는 77%로 나타나 이러한 복합제의 장점이 단순한 가능성을 뛰어넘어 장기간 병용요법이 요구되는 상당수의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실제적인 이득을 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비구아나이드계 당뇨병 치료제인 메트포르민은 염산염의 형태로서 글루코파지(Glucophage)라는 등록상표로 판매되고 있다. 메트포르민 염산염은 간에서의 당생성을 감소시키고, 말단에서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인슐린의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약물이다. 또한 50-60%의 경구 생체이용율을 가진 친수성 약물로서 1.5~4.5시간의 다양한 생물학적 반감기로 인하여, 효과적인 혈장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하루에 3 회 500 mg씩 반복 투여해야 하는 약물이다. 메트포르민 염산염은 본질적으로 대부분 상부 위장관에서 흡수되고 소장, 대장, 결장 등의 하부 위장관에서 침투력이 나쁘다. 따라서, 메트포르민을 함유하는 제제가 메트포르민을 신속하게 방출되지 않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위장관의 하부로 이동하면, 메트포르민의 생체이용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보글리보오스 등과 같은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치료제로서 기존 설포닐우레아계와는 다른 결합방식으로 위장관세포에 존재하는 α-글루코시다제를 억제함으로 포도당으로의 전환을 억제함으로써 식사 직후의 급격한 혈당농도의 상승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여 우수한 혈당강하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저혈당의 발현 없이 충분한 혈당조절효과를 발휘하여 환자 순응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 또한 식사 직후 급격한 혈당 농도 상승을 억제하여야 하므로, 충분한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제제 중에서 신속하게 방출되어 흡수되어야 한다.
한편, 투여되는 약물의 용량은 메트포르민은 1 회 250-1000 으로 매우 높고,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에 해당하는 보글리보오스는 1 회 0.2-0.3 mg으로 매우 낮 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 약물의 복합 제제를 제조할 경우 보글리보오스의 낮은 용량으로 인해 제제간 균일한 혼합도 및 용출을 나타내기 어려움이 있으며, 각각의 약물 동태학적 특성 및 약물 동역학적 특성에 따라 필요한 약물의 흡수 조건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면서도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2 가지 이상의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함유하는 복합 제제를 제조 시 각각의 약물을 별개의 약물로서 병용 투여 시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제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제간 균일한 혼합도 및 용출 특성을 나타내면서, 각각의 약물을 별개의 약물로서 병용 투여 시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메트포르민 및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은 상기 메트포르민 및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트포르민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혼합 분말에 대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결합액으로 해서 제조한 1 차 습식 과립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혼합 수용액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2 차 습식 과립을 포함하는 경구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트포르민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혼합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분무하여 1 차 습식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유동층 과립기에서 상기 1차 습식 과립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혼합 수용액을 분무하여 2차 습식 과립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경구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 제제는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제로서,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제제간 균일한 혼합도 및 용출을 나타내면서, 각각의 활성성분이 개별적으로 투여될 경우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내도록 하는 용출 패턴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제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이러한 용출패턴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서,
메트포르민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혼합 분말에 대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결합액으로 하여 형성시킨 1 차 습식 과립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혼합 수용액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2 차 습식 과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제는 1차 습식 과립 중에 메트포르민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균질하게 혼합되어 있고, 그 각각의 과립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코팅되어 있어, 제제 중에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가 균질한 형태는 아니지만, 메트포르민 중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가 균일하게 분포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제제간 활성성분의 혼합도에 있어서 편차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약물의 특성상 식전 투여하여 신속 효과를 내야 하는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가 과립의 외부에 코팅되어 있고 친수성 중합체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함께 분산되어 있어, 투여 시 과립 외부에서 신속하게 붕해되어 방출될 수 있으므로 복합 제제 중에서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단독 투여 시의 효과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메트포르민을 포함하는 1 차 과립부 또한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함유하는 코팅 층의 붕해 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함께 신속하게 붕해 및 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구 제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각각의 단일 제제에 비해 각각의 성분을 더 신속하게 방출하여 혈중에 신속하게 흡수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경구 제제에서 1 차 습식 과립의 제조 및 2 차 습식 과립의 제제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과립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트포르민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혼합물을 유동층 과립기에서 유동시키면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 결합액을 분무하여 1 차 과립을 형성시킨 다음, 유동층 과립기 중에서 1 차 과립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혼합 수용액을 결합액으로 분무하여 2 차 과립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경구 제제는 상기 1차 습식 과립은 메트포르민 100 중량부에 대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1-50 중량부로 포함하고,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혼합 수용액은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100 중량부에 대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500-5000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활성성분에 대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양은 제조하고자 하는 과립의 크기 및 세기와 과립의 비표면적 그리고 활성성분의 함량과 원하는 활성성분의 용출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경구 제제는 상기 2 차 과립의 형태로 그대로 과립제일 수도 있으며, 과립제를 포하하는 캅셀제 또는 정제로 더욱 제제화된 형태일 수 있다. 캅셀제는 약제학 분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캅셀에 상기 2 차 과립을 단독으로 또는 전분류, 유당류, 셀룰로오스류 등의 부형제와 함께 충진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경구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정제이며, 정제는 상기 2차 과립을 활택제와 함께 타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탈크, 칼슘 스테아레이트, 카르나우바 왁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 제제에 활성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메트포르민은 메트포르민 또는 메트포르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트포르민 염산염일 수 있다. 또 다른 활성성분인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는 아카르보오스, 미글리톨, 또는 보글리보오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보글리보오스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 제제는 1 회 투여분량 당 메트포르민 염산염은 250-1000 mg, 보글리보오스는 0.1-0.4 mg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약물의 세기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상기 경구 제는 각 성분의 효과적인 작용을 위해 식사 중 또는 식후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 제제는 하기 실험예에 따르면 종래의 메트포르민 단일 제제인 글루코파지에 비해 메트포르민을 pH 1.2 내지 7의 매질 내에서 보다 신속하게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글리보오스 단일 제제인 베이슨과 동등 이상으로 보글리보오스를 방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글견을 통한 생체 이용율 시험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 제제는 글루코파지에 비해 메트포르민에 대한 생체이용율이 동등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 제제는 각각의 활성성분이 별개의 약물로서 병용 투여 시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 혈당 조절용 복합 제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메트포르민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혼합 분말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분무하여 1 차 습식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유동층 과립기에서 상기 1차 습식 과립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혼합 수용액을 분무하여 2차 습식 과립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경구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 차 습식 과립 및 2 차 습식 과립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한 과립의 제조는 50-7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1 차 습식 과립 및 2 차 습식 과립의 제조 후에는 각각 체로 체과하여 75 ~ 500 m 크기의 과립을 이후의 단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구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제조된 2 차 습식 과립을 활택제와 함께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부가하여,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탈크, 칼슘 스테아레이트, 카르나우바 왁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제간 균일한 혼합도 및 용출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메트포르민 및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를 별개의 약물로서 병용 투여 시와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 혈당 조절용 복합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제제는 2 가지 약물의 복합 투여에 의해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면서도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어 장기간 혈당 조절이 필요한 당뇨병의 혈당 관리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의 복합 제제 제조(1)
메트포르민 염산염 300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36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20 메쉬의 체를 사용하여 체과한 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60℃에서 10 분간 예열을 가했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6g을 물 120 mL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제조한 결합액을 분당 7 mL의 속도로 분무하여 1차 과립을 제조하고 20 메쉬의 체로 체과하였다.
보글리보오스 0.18g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6g을 물 120mL에 잘 교반하여 용해한 후 이를 상기 제조한 과립에 분무하여 2차 과립을 제조하였다. 20 메쉬의 체로 체과한 다음 건조 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2: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의 복합 제제 제조(2)
메트포르민 염산염 300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36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20 메쉬의 체를 사용하여 체과한 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60℃에서 10 분간 예열을 가했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6g을 물 120 mL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제조한 결합액을 분당 7 mL의 속도로 분무하여 1차 과립을 제조하고 20 메쉬의 체로 체과하였다.
보글리보오스 0.12g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6g을 물 120mL에 잘 교반하여 용해한 후 이를 상기 제조한 과립에 분무하여 2차 과립을 제조하였다. 20 메쉬의 체로 체과한 다음 건조 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3: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의 복합 제제 제조(3)
메트포르민 염산염 300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36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20 메쉬의 체를 사용하여 체과한 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60℃에서 10 분간 예열을 가했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6g을 물 120 mL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제조한 결합액을 분당 7 mL의 속도로 분무하여 1차 과립을 제조하고 20 메쉬의 체로 체과하였다.
보글리보오스 0.36g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6g을 물 120mL에 잘 교반하여 용해한 후 이를 상기 제조한 과립에 분무하여 2차 과립을 제조하였다. 20 메쉬의 체로 체과한 다음 건조 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4: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의 복합 제제 제조(4)
메트포르민 염산염 300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36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20 메쉬의 체를 사용하여 체과한 후 유동층 과립기에 넣고 60℃에서 10 분간 예 열을 가했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6g을 물 120 mL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제조한 결합액을 분당 7 mL의 속도로 분무하여 1차 과립을 제조하고 20 메쉬의 체로 체과하였다.
보글리보오스 0.24g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6g을 물 120mL에 잘 교반하여 용해한 후 이를 상기 제조한 과립에 분무하여 2차 과립을 제조하였다. 20 메쉬의 체로 체과한 다음 건조 하여 완성하였다.
실시예 5: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의 복합 제제 제조(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과립을 활택제인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 g과 적정시간 동안 혼합한 후 585.3±30mg의 중량으로 타원형 정제로 압축 성형하였다. 각각의 정제는 평균 메트포르민 염산염 500mg과 보글리보오스 0.3mg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6: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의 복합 제제 제조(6)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과립을 활택제인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g과 적정시간 동안 혼합한 후 585.3±30mg의 중량으로 타원형 정제로 압축 성형하였다. 각각의 정제는 평균 메트포르민 염산염 500mg과 보글리보오스 0.2mg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7: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의 복합 제제 제조(7)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과립을 활택제인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g과 적정시간 동안 혼합한 후 292.8±15mg의 중량으로 타원형 정제로 압축 성형하였다. 각각의 정제는 평균 메트포르민 염산염 250mg과 보글리보오스 0.3mg을 포함하였다.
실시예 8: 메트포르민 및 보글리보오스의 복합 제제 제조(8)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과립을 활택제인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3g과 적정 시간 동안 혼합한 후 292.8±15mg의 중량으로 타원형 정제로 압축 성형하였다. 각각의 정제는 평균 메트포르민 염산염 292.8ㅁ15mg과 보글리보오스 0.2mg을 포함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정제를 글루코파지에 대해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용출시험의 조건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 용출액: 정제수, pH 6.8 인산염완충액, pH 4.0 초산염완충액, pH 1.2 완충액
pH 1.2 완충액(붕해시험법 제1액)은 NaCl 2.0 g에 c-HCl 7.0 mL 및 물을 넣어 녹여 1 L로 한 것이며, 이 액은 무색투명하며 그 pH는 약 1.2이다. pH 4.0 초산염완충액(초산염완충액)은 0.05 mol/L 초산액, 0.05 mol/L 초산나트륨액 혼합액(41:9)을 만들어 pH 4.0으로 조절한 것이다.
- 용출 기기: Hanson Dissolution Tester(USA)
- 용출 속도: 50 rpm
- 용출시간: 60 분
- 검액 제조: 용출시험 개시 30분 후에 용출액 10mL를 취하여 0.45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다. 처음 여액을 5mL를 버리고 나머지 5mL를 취하여 100mL 용량 플라스크에 넣는다. 용출액으로 표선을 맞추어 검액으로 사용한다.
- 표준액 제조: 메트포르민 표준품 50 mg을 정밀하게 취하여 2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용출액으로 표선을 맞춘다. 이 액 1mL를 정확하게 취하여 20 mL 용량 플라스크에 넣고 용출액으로 표선을 맞춘다. 다시 이 액 5 mL를 정확하게 취하여 50 mL 용량 플라스크에 넣고 용출액으로 표선을 맞추어 표준액으로 사용한다.
- 조작: 검액과 표준액을 233 nm에서 자외가시부흡광도 측정법에 따라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상기 조건으로 용출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도 1a 내지 1d에 나타내었다.
도 1a 내지 1d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가 종래의 시판 제제인 글루코파지에 비해 pH 1.2-7의 매질에서 신속하게 메트포르민을 방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잇다.
실험예 2: 생체이용율 시험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정제를 글루코파지을 대조약으로 하여 비글견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경구투여하여 생체이용율을 시험하였다.
- 시험기기:
Vortex Mixer (Thermolyne, USA; Type 37600 Mixer)
냉동고 (㈜LASSELE; DY-110F
Micro Centrifuge (Hanil Co., Korea; Micro 17TR)
HPLC (SHISEIDO; NANOSPACE)
MS/MS (Applied Biosystems; API 5000)
- 시험기구
Dispenser (Eppendorf)
Micro Pipette (Gilson Co., France; P-20, P-100, P-200, P-1000)
- 시험 방법
스탁용액의 제조: 표준물질로 사용할 메트로포르민, IS (펜포르민)를 각각 유리 바이알 (물과 ACN으로 닦아 건조된 5 ml용량의 바이알)에 3 mg 이상 무게를 측정한 후 마이크로피펫을 사용하여 1 mg/ml 의 농도가 되도록 메탄올에 녹여서 실험에 사용한다. 사용하기 전까지 4℃에 보관하여 사용한다. 1 mg/ml의 메트포르민 스탁용액은 50% ACN으로 10배 희석하여 100 ㎍/ml의 스탁용액을 만들고 2 배 희석하여 50, 25, 12.5, 6.25, 3.13, 1.56, 0.78, 0.39 ㎍/ml의 스탁 용액을 만들어 검량선 작성에 사용하며 이중 고, 중, 저 농도와 LLOQ 농도를 검증(validation) 시료로 사용한다.
시료의 전처리: 100 ㎕의 블랭크 혈장에 10 ㎕의 IS (펜포르민, 25 ㎍/ml)를 첨가한 다음 5초간 보르텍싱한 뒤 500 ㎕의 ACN을 넣어 2분간 보르텍싱한다. 원심분리기에서 13,000 rpm, 4℃ 에서 5 분간 원심분리를 한 다음 상층액 50 ㎕는 새 튜브로 옮기고 여기에 이동상을 500 ㎕넣어 1분간 보르텍싱한다. 원심분리 (13,000 rpm, 4℃, 2 분)와 여과(0.2 ㎛) 을 거친 후 LC/MS/MS로 분석한다.
HPLC 조건 :
칼럼- CAPCELL PAK CR 5μ (50 x 2.00 mm)
칼럼 온도- 40℃
용리액- ACN(0.1% 포름산):10 mM 아세트산암모늄(0.1% 포름산) = 250:50
유속- 0.3 ml/min
주입 부피- 2 ㎕
러닝 시간- 3.0 분
MS/MS 조건
극성: ES+
주입 전압(Entrance Potential) : 10V
디클러스터링 전압(Declustering Potential): 81V (메트포르민), 86V(펜포르민)
충돌 에너지 (Collision Energy) : 35V(메트포르민), 25V(펜포르민)
충돌 세포 출구 전압(Collision Cell Exit Potential): 14V (메트포르민), 10 V(펜포르민)
충돌 기체 : 10
커튼 기체(Curtain Gas) : 20
이온 발생원 기체(Ion Source Gas) 1 : 50
이온 발생원 기체(Ion Source Gas) 2 : 50
이온스프레이 전압 : 5500
온도 : 450 ℃
상기 시험 조건에 따른 생체이용율 시험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제제가 종래의 시판 제제인 베이슨와 동등 이상의 생체이용율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정제를 글루코파지 및 베이슨과 함께 안정성 시험 을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 시험조건 : 가속안정성시험(45℃, 75%)
- 시험기간 : 6개월
- 시험방법 :
검액 조제
이 약 10정을 취하여 이동상 200mL를 정확히 가해 진탕 혼합하여 완전히 분해한 후 원심분리 한다. 상징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다. 처음 여액 1mL을 버리고 다음액을 시료용액으로 한다.
표준액 조제
정량용 보글리보스 약 10mg을 정밀히 취하여 이동상에 녹여 정확히 20mL로 한 후, 2mL를 취해 각각 100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이동상으로 표선을 맞춘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 조작조건
검출기 : 형광 광도계 (여기파장 : 350nm 형광파장 : 430nm )
컬럼 : YMC-Pack 폴리아민(4.6 mm I.D. x 250 mm L, 5 ㎛)
컬럼온도 : 25℃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 : 인산나트륨완충액(pH 6.5) 혼합액 = 1:1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6.5)은 인산이수소나트륨일수화물 1.38g에 물을 가하여 녹이고 500mL로 한 액과, 인산일수소나트륨 1.42 g에 물을 가하여 녹이고 500 mL로 한 액을 합하여 pH 6.5로 조정한 것이다.
유속 : 보글리보스 유지시간이 약 15분이 되도록 조정한다,
발형광시액 : 타우린 6.25g 및 과요오드산 나트륨 2.56g을 물에 녹여 1 L가 되게 한다.
반응코일용 항온조의 온도 : 100℃
냉각코일용 항온조의 온도 : 25℃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8086104157-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보관 안정성의 측면에 있어서도 각 성분의 단일 제제와 동등 이상의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제를 글루코파지를 대조약으로 하여 물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제를 글루코파지를 대조약으로 하여 pH 6.8의 인산염완충용액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제를 글루코파지를 대조약으로 하여 pH 4.0의 초산염완충용액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제를 글루코파지를 대조약으로 하여 pH 1.2의 완충용액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제를 글루코파지를 대조약으로 하여 비글견을 대상으로 경구투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메트포르민의 혈장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부호 설명>
F0801: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정제

Claims (4)

  1. 메트포르민 염산염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의 혼합 분말에 대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용액을 결합액으로 해서 제조한 1 차 습식 과립에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인 보글리보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혼합 수용액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2 차 습식 과립을 포함하며,
    상기 1차 습식 과립은 메트포르민 100 중량부에 대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1-5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혼합 수용액은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 100 중량부에 대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500-500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제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1 회 투여분량 당 상기 메트포르민 염산염은 250-1000 mg, 보글리보오스는 0.1-0.4 mg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제제.
KR1020080127289A 2008-12-15 2008-12-15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89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89A KR101189639B1 (ko) 2008-12-15 2008-12-15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CN2013100288368A CN103143018A (zh) 2008-12-15 2009-12-10 包含二甲双胍和α-糖苷酶抑制剂的口服制剂及其制备方法
JP2011540605A JP5371068B2 (ja) 2008-12-15 2009-12-10 メトホルミンおよびα−グリコシダーゼ抑制剤を含む経口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KR2009/007383 WO2010071321A2 (ko) 2008-12-15 2009-12-10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CN2009801504351A CN102245172B (zh) 2008-12-15 2009-12-10 包含二甲双胍和α-糖苷酶抑制剂的口服制剂及其制备方法
JP2013118910A JP5671767B2 (ja) 2008-12-15 2013-06-05 メトホルミンおよびα−グリコシダーゼ抑制剤を含む経口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89A KR101189639B1 (ko) 2008-12-15 2008-12-15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811A KR20100068811A (ko) 2010-06-24
KR101189639B1 true KR101189639B1 (ko) 2012-10-12

Family

ID=4226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289A KR101189639B1 (ko) 2008-12-15 2008-12-15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371068B2 (ko)
KR (1) KR101189639B1 (ko)
CN (2) CN103143018A (ko)
WO (1) WO201007132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499B1 (ko) * 2013-03-06 2013-12-03 씨제이제일제당 (주)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64047A1 (en) * 2017-05-19 2020-05-28 Università Degli Studi Di Milano Therapy and diagnosis of disease characterized by alterations in the dna damage response
CN111374952B (zh) * 2018-12-29 2022-07-26 甘李药业江苏有限公司 阿卡波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3273A1 (en) * 1998-11-12 2007-08-01 Smithkline Beecham Pl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modified release of an insulin sensitiser and another antidiabetic agent
US6586438B2 (en) * 1999-11-03 2003-07-01 Bristol-Myers Squibb Co. Antidiabetic formulation and method
WO2006080630A1 (en) * 2004-09-23 2006-08-03 Handok Pharmaceuticals Co., Ltd. Pharmaceutical combination preparation for oral delivery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MXPA05010977A (es) * 2005-10-12 2007-04-11 Abdala Leopoldo Espinosa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comprenden sustancias antidiabeticas combinadas para su uso en diabetes mellitus.
KR100812538B1 (ko) * 2006-10-23 2008-03-11 한올제약주식회사 약물 제어방출형 메트포르민-글리메피리드 복합제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abetes Care, 26(2), 2003, pp.269-27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499B1 (ko) * 2013-03-06 2013-12-03 씨제이제일제당 (주)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복합 조성물
WO2014137090A1 (en) * 2013-03-06 2014-09-12 Cj Healthcare Corporation Formula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45172A (zh) 2011-11-16
CN102245172B (zh) 2013-04-10
JP5671767B2 (ja) 2015-02-18
KR20100068811A (ko) 2010-06-24
JP2013189466A (ja) 2013-09-26
WO2010071321A3 (ko) 2010-10-21
CN103143018A (zh) 2013-06-12
JP5371068B2 (ja) 2013-12-18
WO2010071321A2 (ko) 2010-06-24
JP2012511568A (ja)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0503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thods for treating and uses thereof
RU2226396C2 (ru) Твердая дозированная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для ораль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комбинацию метформина и глибенкламида
TWI483943B (zh) 醫藥組合物、醫藥劑型、其製備方法及其用途
US2020029763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A021796B1 (ru) Способы улучшения гликем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и снижения жира в организме, или профилактики увеличения жира в организме, или ускорения снижения жира в организме путем применения ингибитора sglt-2
CN103655570B (zh) 西格列汀与二甲双胍复方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00133024A (ko) 경구고형의약
CN102499923B (zh) 一种药物组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CN103181923B (zh) 包含瑞格列奈的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189639B1 (ko) 메트포르민 및 α-글리코시다제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878204A (zh) 一种盐酸二甲双胍渗透泵控释片及其制备方法
KR20060096728A (ko) 서방성 펠렛을 포함하는 서방성 제제 및 복합 서방성 정제
KR100774774B1 (ko) 메트포르민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63157A (ko) 빌다글립틴 및 메트포르민을 이용한 조합 요법
KR20210003786A (ko) 당뇨병의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트리아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필름 코팅정
KR102573842B1 (ko) 방출특성이 우수한 에스오메프라졸 및 탄산수소나트륨의 약제학적 조성물
CN102949406B (zh) 一种复方艾夫他滨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1029294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rimeporide for treating disease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β-cell dysfunction
RU2706706C1 (ru) Пероральная осмотическ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илдаглиптина
Chetty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propranolol sustained release dosage forms separately and in combination with hydrochlorothiazide
PATTANAIK STRATEGIES TO DEVELOP FIXED DOSE COMBINATION OF DRONEDARONE HCL AND RANOLAZINE EXTENDED RELEASE TABLETS USING QUALITY BY DESIGN
Jyoti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ifampicin and Ranitidine on the Pharmacodynamics and Pharmacokinetics of Vildagliptin in Rats and Rabbits
Khamanga Formulation and assessment of verapamil sustained release tablets
Yeasmin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release kinetics of an anti diabetic formulation
Mamatha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iltiazem hydrochloride tablets for controlled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