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291B1 -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291B1
KR101188291B1 KR1020050030770A KR20050030770A KR101188291B1 KR 101188291 B1 KR101188291 B1 KR 101188291B1 KR 1020050030770 A KR1020050030770 A KR 1020050030770A KR 20050030770 A KR20050030770 A KR 20050030770A KR 101188291 B1 KR101188291 B1 KR 10118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over
reel
side plate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676A (ko
Inventor
쇼지 나카가와
아키라 나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48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235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542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532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4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1Frame disassembly features
    • A01K89/01922Hinged fram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2 측부 커버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고, 릴 본체를 잡았을 때 손바닥에 닿지 않고 제2 측부 커버를 개폐 조작 가능하게 하며, 릴 전체를 소형화하면서, 릴 외관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서, 제2 측판(9)의 후부 안쪽에는, 제2 측부 커버(7)를 개폐하기 위한 조작 레버(14)가 피봇 가능하게 노출되어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14)는,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에 지지된 피봇축(15)에 장착되어 있다. 피봇축(15)의 선단에는, 제2 측부 커버(7)가 고정되어 있고, 제2 측부 커버(7)는,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제2 측판(9)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제2 측부 커버(7) 측의 피봇축(15)에는, 직경 방향의 상하로 돌출된 핀 부재(15a)가 스프링 부재(16)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Figure R1020050030770
낚시대, 핸들, 낚시줄, 스풀, 본체, 제1 측판, 제2 측판, 연결 부재, 프레임, 제1 측부 커버, 제2 측부 커버, 조작부, 개폐 기구.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평면도.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배면도.
도 3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평면 단면도.
도 4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측면도.
도 5는 제2 측부 커버를 열었을 때의 개폐 기구 주변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닫았을 때의 도 5에 대응하는 도면.
도 7은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열었을 때의 레버 부재 주변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회전시켰을 때의 도 7에 대응하는 도면.
도 9는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닫았을 때의 도 7에 대응하는 도면.
도 10은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회전시켰을 때의 도 7에 대응하는 도면.
도 11은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열었을 때의 상기 레버 부재 주변의 확대 측면도.
도 12는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이동시켰을 때의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
도 13은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닫았을 때의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
도 14는 상기 레버 부재를 피봇시켰을 때의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
도 15는 상기 제2 측부 커버의 피봇축 장착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의 제1 위치를 나타내는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의 제2 위치를 나타내는 도 13에 대응하는 도면.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
도 20은 도 18의 XX-XX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릴 본체 2: 핸들
4: 로드 장착 다리부 5: 프레임
6: 제1 측부 커버 7: 제2 측부 커버
8: 제1 측판 9: 제2 측판
10: 연결 부재 11: 개구부
12: 스풀 14: 조작 레버
14a: 장착부 14b: 조작부
14c: 관통공 14d: 제1 오목부
14e: 제2 오목부 14f: 홈부
14g: 0링 14h: 경사면
15: 피봇축 15a: 핀 부재
15b: 제한 부재 15c: 관통공
16: 스프링 부재 40: 전방 커버
41: 제1 상부 커버 42: 제2 상부 커버
50: 제1 가드 부재 51: 제2 가드 부재
52: 제3 가드 부재
본 발명은, 릴 본체, 특히,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스풀이 배치된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일반적으로, 낚시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스풀과, 릴 본체의 일측에 장착된 핸들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양쪽을 덮는 한 쌍의 제1 측부 커버 및 제2 측부 커버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은, 한 쌍의 제1 측판 및 제2 측판과,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측부 커버 및 제2 측부 커버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바깥쪽으로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1 측부 커버의 바깥쪽으로는, 핸들이나 스타 드래그가 장착되어 있다. 핸들 장착측과 반대측의 제2 측부 커버는, 스풀이나 브레이크 기구를 착탈하기 위하여, 제2 측판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제2 측부 커버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개폐 기구는, 제1 측부 커버 또는 제2 측부 커버의 측방으로 노출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핸들 장착측의 제1 측부 커버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된 개폐 기구는, 예를 들 면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조작부로서의 헤드부가 제1 측부 커버로부터 노출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나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145443호 참조).
또한, 핸들 장착측과 반대측의 제2 측부 커버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된 개폐 기구는, 예를 들면 절첩 가능한 조작부와, 조작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걸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는, 제2 측판에 형성된 스풀 통과용 개구의 주위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1-54342호 참조).
상기 종래의 조작 부재가 제1 측부 커버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제2 측부 커버를 착탈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왼손으로 제2 측부 커버 측을 파지하여 우측 손으로 제1 측부 커버의 조작부를 조작하고 나사를 느슨하게 한 후, 우측 손으로 제1 측부 커버 측을 파지하고 다시 왼손으로 제2 측부 커버를 착탈한다. 이와 같이, 제2 측부 커버를 착탈하기 위해서는, 릴을 몇번이라도 다시 파지할 필요가 생겨, 제2 측부 커버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없다.
또한, 제1 측부 커버의 바깥쪽에는 핸들이나 스타 드래그(star drag)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핸들이나 스타 드래그를 회전시킬 필요가 생긴다. 특히, 조작 부재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제2 측부 커버를 착탈하기 위해서는, 핸들이나 스타 드래그를 여러번 회전시켜야 하므로, 제2 측부 커버의 착탈에 시간이 걸려, 제2 측부 커버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없다.
또, 상기 종래의 조작부가 제2 측부 커버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파밍 조작(palming motion)에 의해 릴 본체와 낚시대를 함께 잡으면, 손바닥에 개 폐 기구의 조작부가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손바닥에 조작부가 접촉하면, 손바닥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또, 조작부의 구조에 따라서는, 조작부가 잘못 조작되는 경우가 있다.
또, 특히, 릴 전체를 파지할 수 있는 로우 프로필형(low-profile type)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조작부를 제1 측부 커버 또는 제2 측부 커버의 바깥쪽에 설치하면, 조작부가 릴 외형의 윤곽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우가 있다. 이과 같이 조작부가 릴 외형의 윤곽으로부터 돌출하면, 릴 전체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동시에, 릴 외관의 미관을 해칠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2 측부 커버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고, 또한 릴 본체를 잡았을 때 손바닥에 닿지 않고 제2 측부 커버를 개폐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 전체를 소형화하면서, 릴 외관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 측부 커버가 제2 측판으로 개폐 가능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 제2 측판과 제2 측부 커버 사이에 틈새가 쉽게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낚시대에 장착되며,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낚시줄을 전방으로 계속 내보내는 스풀이 내부에 배치된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측판과 제2 측판, 및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제1 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있으며, 바깥쪽에 상기 핸들이 장착되어 있는 제1 측부 커버, 상기 제2 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있으며, 상기 제2 측판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2 측부 커버, 및 선단부가 상기 제2 측부 커버의 일단측에 장착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심에 따르도록 설치되는 축 부재를 가지고, 상기 축 부재의 축심 주위에 피봇 가능하게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상기 제2 측판에 개폐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부 커버 및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상기 제2 측판에 대하여 닫을 때에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측부 커버와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제2 측부 커버가 열린 상태로, 상기 제2 측부 커버의 접촉면이 상기 축 부재의 축심에 직교하는 면과 경사지도록 상기 축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측부 커버의 접촉면의 타단측이 일단측보다 상기 스풀 측에 위치한다. 개폐 기구는, 제2 측부 커버가 열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측부 커버가 닫히는 제2 위치로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조작부는 제2 측판으로부터 안쪽으로 노출되어 설치된다.
이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서는, 제2 측부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의 조작부가 제2 측판으로부터 안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작부가 제1 측부 커버 또는 제2 측부 커버의 측방으로 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왼손으로 제2 측부 커버 측을 파지하면서 그 손으로 조작부를 조작하여 제2 측부 커버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 조작부는 제1 측부 커버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핸들이나 스타 드래그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제2 측부 커버의 착탈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한편, 조작부는 제2 측부 커버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릴 본체를 잡았을 때 손바닥에 닿는 일 없이 파밍을 행할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제2 측부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의 조작부가 제2 측판으로부터 안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작부가 제1 측부 커버 또는 제2 측부 커버의 측방에 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조작부가 릴 외형의 윤곽을 벗어나는 일이 없으므로, 릴 전체를 소형화하면서, 릴 외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1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측부 커버는,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피봇축에 관해 피봇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2 측판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측부 커버가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피봇축에 관해 피봇하기 때문에, 착탈 시에 회전축 방향의 공간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아, 제2 측부 커버를 컴팩트하게 착탈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2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측부 커버를 제2 측판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 제2 측판으로부터 제2 측부 커버가 벗어나면, 제2 측부 커버가 제2 측판으로부터 이탈하므로, 자중에 의해 제2 측부 커버가 자동적으로 피봇하여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2 발명 또는 제3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측부 커버의 일단측은, 피봇축을 따라 배치되고 제2 측판에 회동 가능하며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축 부재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측부 커버가 피봇축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봇축을 소정의 축 방향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제2 측부 커버를 제2 측판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4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측부 커버는, 타단측이 제2 측판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상기 축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서는, 제2 측부 커버의 타단측이 제2 측판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축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즉 제2 측부 커버의 제2 측판과의 대향면이 제2 측판의 제2 측부 커버와의 대향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측부 커버를 닫았을 때 제2 측부 커버의 타단측이 제2 측판에 접촉하고, 제2 측부 커버를 고정했을 때 제2 측부 커버의 일단측이 제2 측판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2 측부 커버를 닫았을 때 상승하기 쉬운 제2 측부 커버의 타단측이 먼저 제2 측판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2 측부 커버의 제2 측판과의 대향면이 왜곡되어 있어도, 제2 측판과 제2 측부 커버 사이에 틈새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제6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5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제2 측부 커버는 제2 측판과의 대향면이 축 부재의 선단면과 교차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된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 제2 측부 커버의 안쪽으로 일체 또는 별개로 설치된 장착부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제2 측부 커버를 제2 측판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7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4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축 부재는, 기단부가 제1 측판에 회동 가능하고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축 부재를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축 부재를 제2 측판에 캔틸레버 지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축 부재의 지지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제8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4 발명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축 부재의 기단부에 설치되고, 축 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 제한 부재에 의해 축 부재가 소정 범위 이상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2 측부 커버가 제2 측판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4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조작부는, 제2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부재이다. 이 경우에, 레버 부재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제2 측부 커버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제10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9 발명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조작부는, 제2 측부 커버가 열리는 제1 위치와 제2 측부 커버가 닫히는 제2 위치로 피봇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개폐 기구는, 조작부를 제1 위치로 피봇시켰을 때 축 부재가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조작부를 제2 위치로 피봇시켰을 때 축 부재가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 종래의 나사식의 조작부에 비하여 회전량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레버 부재의 회전 조작이 간단하게 된다.
제11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1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스풀의 아래에 배치된 연결 부재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하면에 낚시대가 장착되는 로드 장착 다리부를 더 구비하며, 프레임의 상면과 로드 장착 다리부의 하면 사이의 상하 방향 길이는 프레임의 낚시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 길이보다 작다. 이 경우에, 프레임의 상하 방향 길이가 프레임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작은, 이른바 로우 프로필형의 듀얼 베어링 릴이 므로, 제2 측부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의 조작부를 제2 측판으로부터 안쪽으로 노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릴 전체를 소형화하면서, 릴 외관의 미관을 향샹시키는 효과가 현저하게 된다.
제12 발명에 따른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는, 제1 발명 내지 제11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 본체에 있어서, 프레임의 상부의 적어도 3개의 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위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프레임으로부터의 돌출양이 0.lmm 이상 0.5mm 이하인 가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릴 본체의 상부의 적어도 3개의 점을 포함하는 부분, 즉 릴을 낚시대에 장착한 상태로 릴의 상부를 아래쪽으로 하여 낚시대를 지면에 두었을 때 땅에 닿을 가능성이 있는 적어도 3개의 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가드 부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릴의 상부를 아래쪽으로 하여 낚시대를 지면에 두었을 때, 가드 부재의 적어도 3개의 점을 포함하는 부분이 확실하게 땅에 닿으므로, 릴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드 부재의 프레임으로부터의 돌출양은, 비교적 미소량인 0.l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이므로, 서밍이나 파밍을 행할 때, 낚시꾼이 위화감을 느끼는 일 없이 릴을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용한 듀얼 베어링 릴은, 베이트 캐스트용의 소형 듀얼 베어링 릴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로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부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0)의 선단에 고정된 판 모양의 핸들 암(2a)과, 핸들 암(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2b)를 구비하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다.
릴 본체(1)는, 도 1로부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며,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된 제1 측부 커버(6) 및 제2 측부 커버(7)와, 프레임(5)의 상부 전방에 프레임(5)과 일체로 성형된 전방 커버(40)와, 전방 커버(40)의 양쪽 후단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된 전방 커버(40) 및 프레임(5)과 일체로 성형된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를 가지고 있다. 제1 측 커버(6)의 바깥쪽에는, 핸들(2)이 장착되어 있다. 전방 커버(40),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의 상부의 3개의 위치에는, 각각 제1 가드(guard)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릴 본체(1),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는 본 발명의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프레임(5)은, 도 1로부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과,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부재(10)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8)의 바깥쪽에는, 제1 측부 커버(6)가 장착되고, 제2 측판(9)의 바깥쪽에는, 제2 측부 커버(7)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아래쪽의 연결 부재(1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에 1쌍 설치되어 있고, 릴을 낚시대에 장착하기 위한 앞뒤로 긴 금속제의 로드 장착 다리부(4)가 고정되어 있다. 또, 프레임(5)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의 상면과 로드(rod) 장착 다리부(4)의 하면 사이의 상하 길이(A)는 프레임(5)의 낚시대의 길이 방향의 전후 길이(B)보다 작게 되어 있고, 이른바 릴 전체를 파지할 수 있는 로우 프로필형의 듀얼 베어링 릴을 구성하고 있다.
프레임(5)의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축(20)에 지지된 스풀(12)과,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에 엄지 손가락 받침대가 되는 클러치 레버(17)와,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시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딩 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레벨 와인딩 기구(18)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부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나선축(18a)과, 기단부가 나선축(18a)에 걸어맞추어져 선단 개구부가 낚시줄을 안내하는 낚시줄 안내부(18b)와, 나선축(18a)의 주위에 배치되어 낚시줄 안내부(18b)의 기단부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 모양의 가드 부재(18c)를 구비하고 있다. 낚시줄 안내부(18b)의 기단부 후방(스풀(12)측)에, 낚시줄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라인 가이드(18d, 18e)가 나선축(18a)을 따라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라인 가이드(18e)는, 낚시줄 안내부(18b)의 기단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가드 부재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낚시줄 안내부(18b)의 기단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가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의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다.
프레임(5)과 제1 측부 커버(6)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딩 기구(18)에 전하기 위한 기어 기구(19)와, 클러치 기구(21) 와,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1)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22)와,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와, 스풀(12)의 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 기구(19)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통 모양의 피니언 기어(32)를 구비하고 있다. 또, 프레임(5)과 제2 측부 커버(7) 사이에는, 캐스팅시의 백래쉬(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 기구(25)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외형은, 도 1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형으로 되도록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측부 커버(6) 및 제2 측부 커버(7)의 외형은,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이다.
제2 측판(9)의 중심부의 약간 위쪽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을 착탈하기 위한 원형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1)의 내주에는, 스풀축(20)의 좌측단을 지지하는 스풀 지지부(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방 커버(40),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의 상부에 프레임(5)과 일체로 성형된 대략 U자 모양의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부재이며, 서밍이나 파밍을 행할 때 파지되는, 이른바 엄지 손가락 받침대이다. 전방 커버(40),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의 표면에는, 알루마이트 처리나 양극 산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 도 금 처리, 도장 처리 등의 각종의 처리가 행해졌다. 전방 커버(40),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의 상부의 3개의 위치에는, 각각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의 금속 박판에 의해 형성된 3개의 판형 부재이다.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의 전방 커버(40),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로부터의 돌출량은, 0.l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0.3mm 이하의 범위이다.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는,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3개의 장착 오목부에 매설되어 있고, 내부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1 가드 부재(50)는, 전방 커버(40)의 길이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으로 긴 장변형이며,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는,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의 길이 방향(도 1의 전후 방향)으로 긴 장변형이다.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는, 전방 커버(40),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의 상부에 있어서, 릴을 낚시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릴의 상부를 아래쪽으로 하여 낚시대를 지면에 두었을 때 접지할 가능성이 있는 3개의 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낚시대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3개의 점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제2 측부 커버(7)는, 도 2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이 제2 측판 (9)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피봇축(15)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측부 커버(7)는, 도 15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면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성형된 저부 실린더의 장착부(7a)를 가지고 있다. 피봇축(15)은, 선단부(15c)가 장착부(7a)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착부(7a)의 제2 측판(9)과의 대향면에 접촉하는 대직경부(15d)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7a)의 제2 측판(9)과의 대향면은, 제2 측부 커버(7)의 선단측이 제2 측판(9)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고, 피봇축(15)의 대직경부(15d)의 선단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 선단부(15c)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암나사(15e)가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6각 구멍 멈춤 나사(Allen set-screw)(15f)에 의해 장착부(7a)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측부 커버(7)는, 장착부(7a)의 제2 측판(9)과의 대향면이 피봇축(15)의 축심(X)과 직교하는 축(Y)과 교차하는 축(Z)을 따라 경사져 있다. 축(Y)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9)의 제2 측부 커버(7)와의 대향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축(Z)은, 제2 측부 커버(7)의 선단측이 제2 측판(9)에 근접 하도록 축(Y)과 교차하도록 경사져 배치되고, 축(Z)과 축(Y)의 경사각(α)(도 15 참조)은, 0.5도 이상 3도 이하, 구체적으로는 약 1도이다.
제2 측판(9)의 후부 안쪽에는, 도 1로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부 커버(7)를 개폐하기 위한 조작 레버(14)가 피봇 가능하게 노출되어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14)는,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에 지지된 피봇축(15)에 장착되어 있다. 피봇축(15)의 선단에는, 제2 측부 커버(7)가 고정되어 있고, 제2 측부 커버(7)는,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제2 측판(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 된다. 제2 측부 커버(7) 측의 피봇축(15)에는, 직경 방향의 상하로 돌출하는 핀 부재(15a)가, 스프링 부재(16)의 단부가 접촉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14)는, 도 1으로부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피봇 가능하게 피봇축(15)에 장착된 레버 모양의 부재이다. 조작 레버(14)는, 도 11로부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축(15)에 장착되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장착부(14a)와, 장착부(14a)로부터 아래로 일체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손가락으로 잡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4b)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14a)는, 도 7으로부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4c)과, 관통공(14c)의 좌측 단부와 연통하고 관통공(14c)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1 오목부(14d)와, 관통공(14c)의 우측 단부와 연통하고 관통공(14c)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2 오목부(14e)를 가지고 있다.
또, 장착부(14a)는, 제1 오목부(14d)의 외주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14f)를 더 갖고 있고, 홈부(14f)에는 O링(14g)이 장착되어 있다. O링(14g)은, 조작 레버(14)가 제2 측판(9)에 대하여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홈부(14f)와 제2 측판(9)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O링(14g)은, 합성 수지제의 부재로서, 조작 레버(14)가 작은 힘으로는 피봇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조작 레버(14)가 소정의 피봇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조작부(14b)는, 도 11으로부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14a)의 외형과 유연하게 연속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조작부(14b)의 선단부는, 둥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을 손가락으로 잡아 전후로 피봇 조작 가능하 다. 조작부(14b)는, 도 11로부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피봇되어 선단부가 아래에 위치된 때(이하, 제1 위치라고 말함), 제2 측부 커버(7)가 개방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 조작부(14b)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피봇되어 선단부가 후방에 위치된 때(이하, 제2 위치라고 말함), 제2 측부 커버(7)가 폐쇄된다.
관통공(14c)은, 도 11로부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축(15)의 핀 부재(15a)가 삽입 가능하도록 비원형으로 되어 있다. 제1 오목부(14d) 및 제2 오목부(14e)는, 도 7로부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축(15)의 핀 부재(15a)가 회전 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측면에서 볼 때 원형인 오목부이다. 제2 오목부(14e)의 저면에는, 도 7로부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축(15)의 핀 부재(15a)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경사면(14h)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4h)은, 조작부(14b)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피봇시키는 방향으로 경사도가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4h)은, 도 11로부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2개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좌측의 경사면(14h)은,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해 경사도가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면 중 우측의 경사면(14h)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경사도가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봇축(15)은, 도 2로부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축(20) 및 핸들축(30)과 평행하게 배치된 축 부재이다. 피봇축(15)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의 후부의 클러치 레버(17)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피봇축(15)의 양단은,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봇축(15)의 선단은, 제2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부 커버(7)의 안쪽면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2 측판(9)과 제2 측부 커버(7) 사이에 배치되는 피봇축(15)에는, 전술한 핀 부재(15a)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측판(8)과 제1 측부 커버(6) 사이에 배치되는 피봇축(15)의 기단에는,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축(15)의 축 방향 이동을 소정 범위로 제한하는 제한 부재(15b)가 장착되어 있다.
핀 부재(15a)는,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축(15)에 형성된 관통공(15c)에 코킹에 의해 고정되는 봉형 부재이며, 피봇축(15)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핀 부재(15a)는, 조작 레버(14)의 관통공(14c) 및 제1 오목부(14d)에 삽입 가능하며, 제2 측부 커버(7)를 닫았을 때 제2 오목부(14e)의 경사면(14h)에 접촉 가능하다.
제한 부재(15b)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축(l5)의 기단부에 고정된 E자 모양의 유지(retaining) 링이다. 이와 같은 제한 부재(15b)를 설치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부 커버(7)를 열었을 때 제2 측부 커버(7)가 릴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스프링 부재(16)는,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부 커버(7)와 핀 부재(15a) 사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으로서, 제2 측부 커버(7)를 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16)는, 핀 부재(15a)가 관통공(14c) 및 제2 오목부(14e)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오목부 (14d)의 저부에 접촉한다. 그러므로, 제2 측부 커버(7)는 항상 여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과 같은 구성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예를 들면 백래쉬 등에 의해 낚시줄이 스풀(12)에 얽히는 등 하여 스풀(12)을 릴 본체(1)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제2 측부 커버(7)를 열어 제2 측판(9)의 개구부(11)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제2 측부 커버(7)를 열려면, 조작 레버(14)를 도 14에 나타낸 제2 위치로부터, 도 12에 나타낸 제1 위치로 피봇시킨다. 다음에, 제2 측부 커버(7)를 회전시키고, 피봇축(15)의 핀 부재(15a)를 관통공(14c)에 삽입 불가능한 위치(도 10 및 도 13 참조)로부터 관통공(14c)에 삽입 가능한 위치(도 9 및 도 12참조)로 회전시킨다. 이 때, 제2 측부 커버(7) 및 피봇축(15)은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좌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핀 부재(15a)가 관통공(14c)에 삽입되고 제1 오목부(14d)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도 5에 나타낸 제한 부재(15b)가 제1 측판(8)에 맞닿을 때까지, 제2 측부 커버(7) 및 피봇축(15)이 좌측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도 8 참조). 그러면 도 7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부 커버(7)의 자중에 의해 제2 측부 커버(7) 및 피봇축(15)이 회전하고, 제2 측부 커버(7)가 개방된다.
또, 제2 측부 커버(7)를 닫으려면, 제2 측부 커버(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봇축(15)의 핀 부재(15a)를 관통공(14c)에 삽입 불가능한 위치(도 7 및 도 11 참조)로부터 관통공(14c)에 삽입 가능한 위치(도 8 및 도 12 참조)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그리고, 핀 부재(15a)를 관통공(14c)에 삽입시켜 제2 오목부(14e)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스프링 부재(1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측부 커버 (7) 및 피봇축(15)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도 9 참조). 그리고, 피봇축(15)의 핀 부재(15a)가 관통공(14c)에 삽입될 수 없는 위치(도 10 및 도 13 참조)까지 제2 측부 커버(7)를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조작 레버(14)를 도 13에 나타낸 제1 위치로부터, 도 14에 나타낸 제2 위치로 피봇시켜, 경사면(14h)에 핀 부재(15a)를 접촉시킨다. 이 때, 제2 측부 커버(7) 및 피봇축(15)은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좌측으로 가압되고, 경사면(14h)은 조작부(14b)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에 피봇시키는 방향으로 경사도가 작게 되어 있으므로, 제2 측부 커버(7)는 제2 측판(9)으로 끌여들여지도록 걸린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릴 본체(1)에서는, 제2 측부 커버(7)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14)가 제2 측판(9)으로부터 안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왼손으로 제2 측부 커버(7) 측을 파지하면서 그 손으로 조작 레버(14)를 조작하여 제2 측부 커버(7)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 조작 레버(14)는 제1 측부 커버(6)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핸들(2) 또는 스타 드래그(3)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져, 제2 측부 커버(7)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조작 레버(14)는 제2 측부 커버(7)의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릴 본체(1)를 잡았을 때 손바닥에 닿는 일 없이 파밍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부 커버(7)의 선단측이 제2 측판(9)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피봇축(15)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측부 커버(7)를 닫았을 때, 상승되기 쉬운 제2 측부 커버(7)의 선단측이 먼저 제2 측판(9)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2 측부 커버 (7)의 제2 측판(9)과의 대향면이 왜곡된 상태로 제조되어도, 제2 측부 커버(7)와 제2 측판(9) 사이에 틈새가 생기기 어렵다.
또, 전방 커버(40),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의 상부에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릴을 낚시대에 장착한 상태로 릴의 상부를 아래쪽으로 하여 낚시대를 지면에 두었을 때 접지할 가능성이 있는 3개의 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의 상부를 아래쪽으로 하여 낚시대를 지면에 두었을 때,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의 3개의 점을 포함하는 부분이 확실하게 접지되므로, 릴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의 전방 커버(40),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로부터의 돌출양은, 비교적 미소량인 0.l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0.3mm 이하의 범위이므로, 서밍이나 파밍을 행할 때, 낚시꾼이 불편함을 느끼는 일 없이 릴을 파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형이 비원형인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듀얼 베어링 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외형이 원형인 환형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로우 프로필형의 듀얼 베어링 릴에 한정되지 않는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측부 커버(7)의 걸림 기구와 스프링 부재(16) 또는 경사면(14h)을 설치하였으나, 걸림 기구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2 측부 커버(7)와 제2 측판(9)에 각각 걸림 돌기 및 걸림 오목부를 설치하여 걸어맞추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는, 바요넷트(bayonet) 구조 등의 탄성 압입 걸어맞추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 레버(14)는, 제2 측판(9)의 후부 아래에 배치하였지만, 제2 측판(9)의 안쪽면의 어떠한 위치에 배치하여도 된다. 또, 조작 레버(14)의 형상은 레버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한 부재(15b)를 피봇축(15)의 기단부에 설치하였지만, 예를 들면 조작 레버(14)에 맞닿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봇축(15)은,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에 지지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제1 측판(8)에 캔틸레버 지지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착부(7a)는 제2 측부 커버(7)와 일체로 성형되었지만, 별개로 형성해도 된다. 또, 장착부(7a)의 제2 측판과의 대향면이 피봇축(15)의 대직경부(15d)의 선단면과 교차하는 경사면으로 되었지만, 장착부(7a)의 제2 측판과의 대향면을 피봇축(15)의 축심(X)과 직교시켜, 피봇축(15)의 대직경부(15d)의 선단면을 경사면으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는, 전방 커버(40), 제1 상부 커버(41) 및 제2 상부 커버(42)의 상부의 3개의 위치에 별개로 설치되었지만,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를 대략 U자 모양으로 일체로 성형해도 된 다. 또, 제1 가드 부재(50), 제2 가드 부재(51) 및 제3 가드 부재(52)는, 릴을 낚시대에 장착한 상태로 릴의 상부를 아래쪽으로 하여 낚시대를 지면에 두었을 때 접지할 가능성이 있는 3개의 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장착되는 한,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h)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위치에 조작 레버(14)를 위치시켰을 때,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자동적으로 제2 커버(7)가 열리지 않게 하였다. 이로써, 조작 레버(14)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오동작에 의해 이동되어도 제2 측부 커버(7)가 열리지 않는다. 그러나, 제1 위치에 조작 레버(114)를 위치시켰을 때, 도 12에 대응하는 도 17에 나타낸 위치로 되도록 핀 부재(15a)와 조작 레버(114)의 관통공(114c)을 배치하여, 핀 부재(l5a)가 관통공(114c)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14)의 제2 오목부(114e)에 있어서, 핀 부재(15a)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14c)은 양단이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14h)은, 관통공(114c)의 둘레부로부터 도 20의 좌측(도 17 반시계방향)으로 감에 따라 경사도가 높게 되도록 형성된 경사부(114i)와, 피봇축(15)의 축심과 직교하는 평면부(114j)를 가지고 있다. 평면부(114j)의 중간부에는, 핀 부재(15a)의 외주면이 걸어맞추어지는 단면에 원호형의 걸림홈(114k)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114k)은, 조작 레버(114)가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핀 부재(15a)가 걸림 홈(114k)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측부 커버(7)를 열기 위해, 조작 레버(114)를 도 18에 나타 낸 제2 위치로부터, 도 17에 나타낸 제1 위치로 피봇시킨다. 그러면 피봇축(15)의 핀 부재(15a)가 관통공(114c)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 제2 측부 커버(7) 및 피봇축(15)은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핀 부재(15a)가 관통공(114c)을 관통하여 제1 오목부(14d)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도 5에 나타낸 제한 부재(15b)가 제1 측판(8)에 맞닿을 때까지, 제2 측부 커버(7) 및 피봇축(15)이 좌측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도 8참조). 그러면 도 7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부 커버(7)의 자중에 의해 제2 측부 커버(7) 및 피봇축(15)이 회전하고, 제2 측부 커버(7)가 개방된다.
또, 제2 측부 커버(7)를 닫으려면, 피봇축(15)의 핀 부재(15a)가 관통공(114c)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도 7 및 도 17 참조)에 도달할 때까지, 제2 측부 커버(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핀 부재(15a)를 관통공(114c)에 삽입시켜 제2 오목부(114e)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스프링 부재(1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측부 커버(7) 및 피봇축(15)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도 9 참조). 그리고, 조작 레버(114)를 도 17에 나타낸 제1 위치로부터 도 18에 나타낸 제2 위치로 피봇시켜, 경사면(114h)의 경사부(114i)에 핀 부재(15a)를 접촉시킨다. 이 때, 제2 측부 커버(7) 및 피봇축(15)은 스프링 부재(16)에 의해 좌측으로 가압되고, 경사부(114i)는 조작부(114b)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피봇시키는 방향으로 경사도가 작게 되어 있으므로, 제2 측부 커버(7)는 제2 측판(9)으로 끌여들여지도록 걸린다. 그리고, 조작 레버(114)가 제2 위치에 위치되면, 핀 부재(15a)가 평면부(114j)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홈(114k)에 배치되고, 조작 레버(114)의 피봇이 제한 된다. 따라서, 제2 위치에 있는 조작 레버(114)에 오조작에 의해 손이 닿아도, 조작 레버(114)가 오동작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작 레버(14)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제2 측부 커버를 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측부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 기구의 조작부가 제2 측판으로부터 안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측부 커버를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고, 또한 릴 본체를 잡았을 때 손바닥에 닿는 일 없이 제2 측부 커버를 개폐 조작할 수 있다. 또, 릴 전체를 소형화하면서, 릴 외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측부 커버가 제2 측판으로 개폐 가능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2 측부 커버의 타단측이 제2 측판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축 부재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측판과 제2 측부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는다.

Claims (12)

  1. 낚시대에 장착되며, 핸들이 일측면에 배치되고, 낚시줄을 전방으로 계속 내보내는 스풀이 내부에 배치된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측판과 제2 측판, 및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제1 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있으며, 바깥쪽에 상기 핸들이 장착되어 있는 제1 측부 커버,
    상기 제2 측판의 바깥쪽을 덮고 있으며, 상기 제2 측판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제2 측부 커버, 및
    선단부가 상기 제2 측부 커버의 일단측에 장착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심에 따르도록 설치되는 축 부재를 가지고, 상기 축 부재의 축심 주위에 피봇 가능하게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상기 제2 측판에 개폐하는 개폐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부 커버 및 상기 제2 측판은,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상기 제2 측판에 대하여 닫을 때에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측부 커버와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제2 측부 커버가 열린 상태로, 상기 제2 측부 커버의 접촉면이 상기 축 부재의 축심에 직교하는 면과 경사지도록 상기 축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측부 커버의 접촉면의 타단측이 일단측보다 상기 스풀 측에 위치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부 커버는, 상기 축 부재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측판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측부 커버를 상기 제2 측판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는, 기단부가 상기 제1 측판에 회동 가능하고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의 기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 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소정 범위로 제한하는 제한 부재를 더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제2 측부 커버가 열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측부 커버가 닫히는 제2 위치로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로 피봇되었을 때 상기 축 부재가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로 피봇되었을 때 상기 축 부재가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 기구를 더 구비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아래에 배치된 상기 연결 부재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하면에 상기 낚시대가 장착되는 로드 장착 다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로드 장착 다리부의 하면 사이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낚시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 길이보다 작은,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30770A 2004-04-13 2005-04-13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KR101188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7788 2004-04-13
JP2004117788 2004-04-13
JPJP-P-2004-00144826 2004-05-14
JP2004144826A JP2005323544A (ja) 2004-05-14 2004-05-14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JP-P-2004-00154246 2004-05-25
JP2004154246A JP4445329B2 (ja) 2004-05-25 2004-05-25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676A KR20060045676A (ko) 2006-05-17
KR101188291B1 true KR101188291B1 (ko) 2012-10-09

Family

ID=3505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770A KR101188291B1 (ko) 2004-04-13 2005-04-13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70139B2 (ko)
KR (1) KR101188291B1 (ko)
CN (1) CN1682588B (ko)
MY (1) MY130528A (ko)
SG (1) SG116585A1 (ko)
TW (1) TWI34595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5226B2 (en) 2017-07-12 2019-11-26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US10492480B2 (en) 2017-05-24 2019-12-03 Doyo Engineering Co., Ltd. Universal fishing re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604Y1 (ko) * 2006-04-20 2006-09-1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사이드 커버 착탈장치
JP4934358B2 (ja) * 2006-06-22 2012-05-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7552886B2 (en) 2007-07-10 2009-06-30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Double drag, pre-set adjust and unitary end assembly for trolling reel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WO2012112560A1 (en) 2011-02-14 2012-08-23 Arribe Manufacturing, Llc Fishing reel
JP6072422B2 (ja) * 2012-03-12 2017-02-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418029B1 (ko) * 2012-12-07 2014-07-0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사이드커버 분실 방지용 낚시용 릴
CN103027017B (zh) * 2012-12-28 2015-04-29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一种安装有清洁饰盖的可快速保养的垂钓卷线器
JP6517466B2 (ja) * 2012-12-2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66558B2 (ja) * 2013-03-13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98538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198537B2 (ja) * 2013-09-13 2017-09-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261990B2 (ja) * 2014-01-23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15139392A (ja) * 2014-01-28 2015-08-0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6284497B2 (ja) * 2015-03-24 2018-02-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US9763434B2 (en) * 2015-05-28 2017-09-19 DQC International Corp., Inc. Fishing reel having openable side cover
KR101887510B1 (ko) * 2015-06-18 2018-08-10 주식회사 코커스 베이트 캐스팅 릴의 커버 착탈장치
JP6559036B2 (ja) * 2015-10-06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99776B2 (ja) 2016-01-13 2019-10-3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JP6691343B2 (ja) 2016-10-31 2020-04-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KR101823115B1 (ko) * 2017-01-13 2018-01-29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사이드 커버 분리 방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낚시 릴
KR102127297B1 (ko) * 2017-08-10 2020-06-2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팜측 제1 사이드커버용 출몰식 락레버를 구비한 낚시 릴
KR102083429B1 (ko) * 2017-10-26 2020-03-0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프론트커버의 탈착이 편리한 낚시 릴
JP6941558B2 (ja) * 2017-12-27 2021-09-2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184732B1 (ko) 2018-05-10 2020-11-3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JP7094169B2 (ja) * 2018-07-13 2022-07-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127299B1 (ko) 2018-09-07 2020-06-2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
JP7202877B2 (ja) * 2018-12-25 2023-01-12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KR102246497B1 (ko) * 2019-02-08 2021-04-30 주식회사 바낙스 힌지타입 팜 사이드커버 고정부가 구비된 베이트 캐스트 릴
JP1705290S (ja) * 2021-05-12 2022-01-18 釣用リール
KR200497934Y1 (ko) * 2021-12-28 2024-04-16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힌지타입 팜 사이드커버 개폐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819A (ja) 1998-02-27 1999-09-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JP2001145443A (ja) 1999-11-19 2001-05-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281541A (ja) 2000-03-28 2001-10-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赤外線伝送素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094Y2 (ja) * 1992-01-2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5839682A (en) * 1996-07-12 1998-11-24 Zebco Corporation Fishing reel with removable side cover assembly
US6189823B1 (en) * 1998-03-30 2001-02-20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having side plates efficient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frames of reel body
JP2001054342A (ja) 1999-08-13 2001-02-2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TW467718B (en) * 1999-10-05 2001-12-11 Shimano Kk Reel body of double bearing reel
JP4314108B2 (ja) * 2003-08-20 2009-08-1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3819A (ja) 1998-02-27 1999-09-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JP2001145443A (ja) 1999-11-19 2001-05-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281541A (ja) 2000-03-28 2001-10-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赤外線伝送素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2480B2 (en) 2017-05-24 2019-12-03 Doyo Engineering Co., Ltd. Universal fishing reel
US10485226B2 (en) 2017-07-12 2019-11-26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5955B (en) 2011-08-01
US7070139B2 (en) 2006-07-04
CN1682588B (zh) 2011-04-13
US20050224617A1 (en) 2005-10-13
SG116585A1 (en) 2005-11-28
KR20060045676A (ko) 2006-05-17
CN1682588A (zh) 2005-10-19
MY130528A (en) 2007-06-29
TW200536474A (en)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291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
CA2315442C (en) Fishing rod handle
US9439408B2 (en) Dual-bearing reel
EP2002716B1 (en) Reel unit for spinning reel
KR102329829B1 (ko)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EP1958504A1 (en) Spinning reel handle assembly
KR20010067291A (ko) 양베어링릴의 릴 본체
EP2644028A1 (en) Spinning 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and spinning reel
EP1500330B1 (en) Dual-bearing reel
JP2001145442A5 (ko)
KR100994411B1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US20040075005A1 (en) Dual-bearing reel
US5829701A (en) Double-bearing fishing reel with finger placing members
EP1949786A1 (en) Spool assembly for spinning reel
JP4572125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6978957B2 (en) Spool support structure for a spinning reel
EP1234500A2 (en) Spinning reel spool
KR101935724B1 (ko) 낚시대
KR102633701B1 (ko) 양 베어링 릴
JP2006238746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US20040178290A1 (en) Spinning reel sound producing mechanism
US6003801A (en) Double-bearing type fishing reel with low-resistance line feed
EP2617285B1 (en) Spinning reel and drag switching device thereof
JP2006304688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JP4445329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