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522B1 -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522B1
KR101161522B1 KR1020107016710A KR20107016710A KR101161522B1 KR 101161522 B1 KR101161522 B1 KR 101161522B1 KR 1020107016710 A KR1020107016710 A KR 1020107016710A KR 20107016710 A KR20107016710 A KR 20107016710A KR 101161522 B1 KR101161522 B1 KR 10116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ssion intensity
region
small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713A (ko
Inventor
료스케 노나카
마사히로 바바
유마 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13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는, 개별 제어가 가능한 제1 발광 강도로 점등되는 복수의 광원과,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액정 패널(30)과, 복수의 광원의 공간적인 배치에 대응하여 표시 영역을 가상적으로 분할한 조명 영역보다 미세하게 표시 영역을 공간적으로 분할한 소영역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소영역 각각에 할당되는 제2 발광 강도를 산출하는 제1 산출부와, 조명 영역과 복수의 상기 소영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복수의 소영역에 할당되는 복수의 제2 발광 강도를 조합해 연산하여,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 할당되는 제1 발광 강도를 산출하는 제2 산출부와, 제1 발광 강도에 따라서 복수의 광원의 각각을 점등시키는 제어부(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 백라이트의 발광 강도 제어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백라이트로부터의 조명광을 액정 패널에서 변조하여 원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에 포함되는 광원은 복수개일 수도 있다. 또한, 백라이트에 포함되는 각 광원의 발광 강도는 같지 않을 수도 있고, 개별 제어될 수도 있다. 각 광원의 발광 강도를 개별 제어함으로써, 표시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의 확대, 저소비 전력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의 표시 화면을 분할한 복수 영역의 각각에 대응하는 백라이트 휘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 영역 내의 영상 신호의 최대치에 기초하여 그 영역에 대응하는 백라이트 휘도를 결정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08-12271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투과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라이트 휘도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영역(발광 영역)의 각각에서 포함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대표값을 정하고, 그 대표값에 기초하여 백라이트 휘도를 결정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휘도의 제어는 관찰자가 보기에 부자연스런 휘도 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쏘아 올리는 불꽃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밝은(고휘도의) 오브젝트(이하, 휘점이라 부름)가 어두운(저휘도의) 배경 속을 점차로 이동하는 영상이 표시 대상이 된다. 상기 종래기술의 백라이트 휘도 제어에 의하면, 휘점을 포함하는 발광 영역에는 높은 백라이트 휘도가 주어지고, 휘점을 포함하지 않는 발광 영역에는 낮은 백라이트 휘도가 주어진다. 그리고, 이동에 따라서 휘점이 발광 영역의 경계를 걸칠 때마다 백라이트 휘도의 고저가 역전(逆轉)된다. 즉, 휘점이 유입되는 발광 영역의 백라이트 휘도는 급격하게 상승하고, 휘점이 유출되는 발광 영역의 백라이트 휘도는 급격히 하강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휘도 변동은 관찰자에 의해 지각될 수 있기 때문에,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자연스런 휘도 변동의 발생을 억제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개별 제어가 가능한 제1 발광 강도로 점등되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복수의 광원의 공간적인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 영역을 가상적으로 분할한 조명 영역보다 미세하게 상기 표시 영역을 공간적으로 분할한 소(小)영역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소영역 각각에 할당되는 제2 발광 강도를 산출하는 제1 산출부와, 상기 조명 영역과 복수의 상기 소영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그 복수의 소영역에 할당되는 복수의 상기 제2 발광 강도를 조합해 연산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에 할당되는 상기 제1 발광 강도를 산출하는 제2 산출부와, 상기 제1 발광 강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광원의 각각을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자연스런 휘도 변동의 발생을 억제하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백라이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의 백라이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c는 도 1의 백라이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d는 도 1의 백라이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발광 강도 결정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발광 강도 결정부의 처리 대상이 되는 소영역 및 조명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에 의한 가중 계수의 할당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에 의해서 할당되는 가중 계수의 공간적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도 10a는 도 3의 발광 강도 결정부에 의한 처리의 효과에 대해 보충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쏘아 올리는 불꽃의 각 궤적 단면에서의 입력 영상 및 각 점등 패턴의 휘도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신호 보정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백라이트에 포함되는 광원에 의해서 조명되는 조명 영역에서의 휘도의 공간적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액정 패널 및 액정 제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신호 보정부(10), 액정 제어부(20), 액정 패널(30), 백라이트 제어부(40), 백라이트(50) 및 발광 강도 결정부(100)를 갖는다.
백라이트(50)는 백라이트 제어부(4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액정 패널(30)을 조명한다. 백라이트(50)는 발광 강도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광원(51)을 포함한다. 백라이트(50)는 임의의 기존 또는 장래의 구성에 의해서 실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50)는 액정 패널(30)의 배면을 직접 조명하는 점 형상의 복수의 광원(51)을 분포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50)는 액정 패널(30)의 배면을 직접 조명하는 판형의 광원(51)을 병렬시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은 광원(51)의 배치 방식은 직하식(直下式)이라고 불린다. 한편, 도 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위 엣지 라이트식으로 광원(51)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엣지 라이트식에서는, 액정 패널(30)의 배면이 아니라 측면에 광원(51)이 배치되어, 도광판 또는 리플렉터(도 2d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광원(51)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액정 패널(30)의 배면으로 유도된다.
복수의 광원(51) 각각은 단일의 발광 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공간적으로 근접 배치된 일군의 발광 소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광원(51)을 구성하는 발광 소자로서, LED, 냉음극관, 열음극관 등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LED는 발광 가능한 최대 휘도 및 최소 휘도의 폭이 넓고, 넓은 동작 범위를 실현하기 쉽기 때문에, 발광 소자로서 적합하다. 광원(51) 각각은 백라이트 제어부(40)에 의해서 발광 강도(발광 휘도) 및 발광 타이밍이 개별 제어된다.
백라이트 제어부(40)는 발광 강도 결정부(100)에 의해서 결정된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에 따라서 각 광원(51)을 소정의 발광 타이밍에 점등시킨다.
발광 강도 결정부(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를 결정하여, 신호 보정부(10) 및 백라이트 제어부(40)에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발광 강도 결정부(100)는 2단계의 발광 강도 산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를 결정한다. 발광 강도 결정부(100)는, 상기 2단계의 발광 강도 산출 처리를 각각 수행하기 위한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110) 및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를 포함한다.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11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각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소영역이란,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을 공간적으로 분할한 영역을 가리킨다. 한편, 소영역에 대한 용어로서 조명 영역이라고 하는 용어가 본원 명세서에서 이용된다. 조명 영역이란, 각 광원(51)이 액정 패널(30)을 조명하는 영역을 가리킨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조명한다」란, 「전적으로 조명한다」 정도의 의미이다. 즉, 어느 조명 영역의 일부가 다른 조명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51)으로부터의 조명광에 의해서 조명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조명 영역은, 광원(51)의 공간적인 배치에 따라서,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을 가상적으로 분할한 영역이다. 그리고, 상기 소영역은 액정 패널(30)의 표시영역을 조명 영역보다 미세하게 분할한 영역이다.
예컨대, 도 4에 있어서, 각 광원(51)에 대응하는 조명 영역(401)(중심을 검은 동그라미로 표시)은 각 광원(51)의 공간적인 배치에 따라서,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을 조명 영역 경계(402)(실선으로 표시)에 의해서 가상적으로 분할한 영역이다. 그리고, 소영역(403)(예컨대, 사선을 그은 영역으로 표시)은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을 소영역 경계(404)(파선으로 표시)에 의해서 상기 조명 영역(401)보다 미세하게 분할한 영역이다.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110)는 이 소영역에 대응하는 산출 영역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그 소영역의 발광 강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산출 영역은 소영역과 동일한 영역일 수도 있고, 소영역의 일부분을 포함하지만 다른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일 수도 있으며, 소영역 전체 및 그 밖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소영역 사이에서 산출 영역의 결정 수법이 다를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산출 영역은 소영역의 발광 강도를 산출하기 위한 임의의 영역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110)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의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110)는 최대치 산출부(111) 및 감마 변환부(112)를 포함한다.
최대치 산출부(111)는 각 소영역에 대응하는 산출 영역 내의 영상 신호의 최대치를 산출한다. 즉, 최대치 산출부(111)는 산출 영역 내의 최대 영상 신호치를 산출한다. 최대치 산출부(111)는 최대 영상 신호치를 감마 변환부(112)에 입력한다.
감마 변환부(112)는 최대치 산출부(111)로부터의 최대 영상 신호치에 대하여 감마 변환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감마 변환부(112)는 영상 신호치를 상대 휘도로 변환하기 위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예컨대, 영상 신호치의 변역(變域)이 0 이상 255 이하(8 비트치)라면, 감마 변환부(112)는 다음의 수식 (1)에 따라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Figure 112010048117994-pct00001
수식 (1)에 있어서, α 및 γ는 상수를 나타내고, S는 영상 신호치[본 예에 서는 최대치 산출부(111)로부터의 최대 영상치]를 나타내며, L은 상대 휘도를 나타낸다. 한편, 통상, α=0.0, γ=2.2로 설정되지만, α 및 γ는 이들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감마 변환부(112)의 하드웨어 구성으로서는, 곱셈기 등을 조합하여 실제로 수식 (1)을 연산하는 양태일 수도 있고, 영상 신호치(S)에 대응하는 상대 휘도(L)를 검색할 수 있는 룩업 테이블(LUT)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감마 변환부(112)는 상대 휘도(L)를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로서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에 입력한다.
도 5의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110)에 따르면, 각 소영역에 대응하는 산출 영역 내의 최대 영상 신호치에 기초하여, 각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가 산출된다.
그런데,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110)는 각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를 산출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일 수도 있다. 예컨대,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110)는 도 6에 도시하는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210), 및 도 7에 도시하는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310)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6의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210)는 RGB 최대치 산출부(211), 감마 변환부(212), 평균치 산출부(213) 및 곱셈부(214)를 갖는다.
RGB 최대치 산출부(211)는 입력 영상 신호의 각 화소에 있어서, RGB 신호치[R(적) 신호치, G(녹) 신호치 및 B(청) 신호치]의 최대치(이하, 단순히 RGB 최대치라 부름)를 산출한다. 즉, RGB 최대치 산출부(211)는 산출 영역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RGB 최대치를 산출한다. RGB 최대치 산출부(211)는 산출 영역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RGB 최대치를 감마 변환부(212)에 입력한다.
감마 변환부(212)는 RGB 최대치 산출부(211)로부터의 각 RGB 최대치에 대하여 감마 변환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감마 변환부(212)는 각 RGB 최대치를 상대 휘도로 변환하기 위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예컨대, 감마 변환부(212)는 전술한 감마 변환부(112)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감마 변환부(212)는 상대 휘도로 변환된 각 RGB 최대치(이하, 단순히 최대 RGB 휘도라 부름)를 평균치 산출부(213)에 입력한다.
평균치 산출부(213)는 감마 변환부(212)로부터의 각 최대 RGB 휘도의 평균치(이하, 단순히 평균 상대 휘도라고 부름)를 산출한다. 예컨대, 평균치 산출부(213)는 산출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수로 최대 RGB 휘도의 총합을 나눔으로써 평균 상대 휘도를 산출한다. 평균치 산출부(213)는 평균 상대 휘도를 곱셈부(214)에 입력한다.
곱셈부(214)는 평균 상대 휘도에 소정의 상수를 곱하여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를 산출한다. 또한, 곱셈부(214)의 하드웨어 구성은 승산기 등에 의해서 실제로 상수를 곱하는 양태일 수도 있고, 평균 상대 휘도에 대응하는 발광 강도를 검색할 수 있는 LUT를 이용하는 양태일 수도 있다. 곱셈부(214)는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를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에 입력한다.
도 6의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210)에 따르면, 각 소영역에 대응하는 산출 영역에서의 각 화소의 최대 RGB 휘도의 평균치에 기초하여, 각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가 산출된다.
도 7의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310)는 최대치/최소치 산출부(311), 제1 감마 변환부(312), 중심치 산출부(313), 곱셈부(314) 및 제2 감마 변환부(315)를 갖는다.
최대치/최소치 산출부(311)는 각 소영역에 대응하는 산출 영역의 영상 신호의 최대치 및 최소치를 각각 산출한다. 즉, 최대치/최소치 산출부(311)는 산출 영역 내의 최대 영상 신호치 및 최소 영상 신호치를 각각 산출한다. 최대치/최소치 산출부(311)는 산출 영역 내의 최대 영상 신호치 및 최소 영상 신호치를 제1 감마 변환부(312)에 입력한다.
제1 감마 변환부(312)는 최대치/최소치 산출부(311)로부터의 최대 영상 신호치 및 최소 영상 신호치에 대하여 감마 변환을 각각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감마 변환부(312)는 영상 신호치를 상대 명도로 변환하기 위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1 감마 변환부(312)는 α=0.0, γ=2.2/3.0으로 설정한 다음에, 수식 (1)에 따라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제1 감마 변환부(312)는 최대 영상 신호치의 변환 결과인 상대 명도(이하, 단순히 최대 명도라 부름) 및 최소 영상 신호치의 변환 결과인 상대 명도(이하, 단순히 최소 명도라 부름)를 중심치 산출부(313)에 입력한다.
중심치 산출부(313)는 제1 감마 변환부(312)로부터의 최대 명도 및 최소 명도 사이의 중심치를 산출한다. 이 중심치는 산출 영역 내의 명도의 중심치에 상당한다. 예컨대, 중심치 산출부(313)는 최대 명도 및 최소 명도의 평균치를 중심치로서 산출한다. 중심치 산출부(313)는 중심치를 곱셈부(314)에 입력한다.
곱셈부(314)는 중심치 산출부(313)로부터의 중심치에 소정의 상수를 곱한다. 곱셈부(314)는 이 곱셈 결과(이하, 단순히 명도 변조율이라 부름)를 제2 감마 변환부(315)에 입력한다.
제2 감마 변환부(315)는 곱셈부(314)로부터의 명도 변조율에 대하여 감마 변환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제2 감마 변환부(315)는 명도 변조율을 상대 휘도로 변환하기 위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2 감마 변환부(315)는 다음 수식 (2)에 따라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Figure 112010048117994-pct00002
수식 (2)에 있어서, α 및 γ는 상수를 나타내고, L은 상대 휘도를 나타내며, L*는 명도 변조율을 나타낸다. 한편, 통상, α=0.0, γ=3.0으로 설정되지만, α 및 γ는 이들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감마 변환부(315)의 하드웨어 구성으로서는, 곱셈기 등을 조합하여 실제로 수식 (2)를 연산하는 양태일 수도 있고, 명도 변조율(L*)에 대응하는 상대 휘도(L)를 검색할 수 있는 LUT를 이용하는 양태일 수도 있다. 제2 감마 변환부(315)는 상대 휘도(L)를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로서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에 입력한다.
도 7의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310)에 따르면, 각 소영역에 대응하는 산출 영역 내의 명도의 최대치 및 최소치 사이의 중심치에 기초하여, 각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가 산출된다.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는 각 조명 영역과 그 부근의 복수의 소영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그 복수의 소영역에 할당되는 복수의 발광 강도를 조합해 연산하여, 각 광원(51)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를 산출한다.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는 각 광원(51)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를 신호 보정부(10) 및 백라이트 제어부(40)에 입력한다.
예컨대,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는 각 조명 영역과 그 부근의 복수의 소영역과의 위치 관계(예컨대 조명 영역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그 복수의 소영역의 발광 강도에 가중 계수를 할당해, 가중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도 8은 가중 계수의 할당 양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는 중심(501)의 조명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51)의 발광 강도를, 그 중심(501) 부근의 범위(502)에 포함되는 소영역의 발광 강도 각각에 가중 계수를 할당하여, 그 가중 평균으로서 산출한다. 한편, 도 8에 있어서 소영역은 파선으로 분할된 영역(503) 등을 가리킨다. 여기서, 범위(502)에 포함되는 소영역 사이에서 가중 계수는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 영역의 중심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로 작아지는 가중 계수의 분포는 적합하다. 또한, 조명 영역의 중심에 대해서 가중 계수의 분포를 대칭으로 하면, 복수의 소영역에 대해서 가중 계수의 곱셈을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가중 평균의 연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가우스 필터와 같은 저영역 통과형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 저영역 통과형 필터 계수도 가중 계수로서 적합하다. 저영역 통과형 필터 계수를 가중 계수로서 이용하면, 보다 순조롭게 광원(51)의 발광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접해 있는 조명 영역 사이를 휘점 등이 이동하는 경우에 생기기 쉬운 급격한 휘도 변동을 완화할 수 있다.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는 예컨대 다음 수식 (3)에 따라서,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로서의 가중 평균을 산출한다.
Figure 112010048117994-pct00003
수식 (3)에 있어서, Lc(x,y)는 좌표 (x,y)에 대응하는 광원(51)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고, w(△x,△y)는 상대 좌표 (△x,△y)에 있어서의 가중 계수의 분포치를 나타내며, LF(x+△x,y+△y)는 좌표 (x+△x,y+△y)에 대응하는 소영역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고, rx 및 ry는 가중 계수의 할당 테이블(본 예에서는 직사각형의 범위를 지정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음)의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는 별도의 수법으로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는 가중 계수를 공간 필터 계수로서 이용하여, 각 소영역의 발광 강도에 대하여 공간 필터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120)는 공간 필터 처리가 끝난 각 소영역의 발광 강도와 조명 영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보간 처리(예컨대, 선형 보간 처리)를 수행하여,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를 산출한다. 이러한 보간 처리에 기초한 산출 수법에 따르면, 각 소영역의 발광 강도에 일정한 가중 계수를 할당하는 것만으로 전술한 가중 평균에 기초한 산출 수법과 같은 산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가중 평균에 기초한 산출 수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소영역의 발광 강도에 할당되는 가중 계수가 복수의 조명 영역에 대해서 각각 다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보간 처리에 기초한 산출 수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조명 영역에 대해서 공통의 가중 계수를 각 소영역의 발광 강도에 할당할 수 있다.
신호 보정부(1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서의 각 화소의 광투과율(휘도)을, 발광 강도 결정부(100)로부터의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에 기초하여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보정부(10)는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 단위로 영상 신호의 광투과율을 보정한다. 신호 보정부(10)는 광투과율에 대한 보정이 반영된 영상 신호(이하, 단순히 보정된 영상 신호라 부름)를 액정 제어부(20)에 입력한다.
이하, 도 11을 이용하여 신호 보정부(10)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의 신호 보정부(10)는 휘도 분포 산출부(11), 감마 변환부(12), 나눗셈부(13) 및 감마 보정부(14)를 갖는다.
휘도 분포 산출부(11)는 발광 강도 결정부(100)로부터의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의 예측치를 산출한다. 즉, 휘도 분포 산출부(11)는 발광 강도 결정부(100)에 의해서 결정된 발광 강도에 따라서 각 광원(51)을 점등시켰을 때에,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에 생기는 휘도 분포를 산출한다. 휘도 분포 산출부(11)는 산출된 휘도 분포를 나눗셈부(13)에 입력한다. 이하, 휘도 분포의 산출 수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각 광원(51)의 발광 분포는 현실의 하드웨어 구성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각 광원(51)의 점등에 의해서 액정 패널(30)의 배면에 입사하는 조명광의 강도 분포는 각 광원(51)의 발광 분포에 기초한 것이다. 이후, 조명광의 강도 분포를 백라이트 휘도 또는 광원(51)의 휘도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12에 있어서, 단일 광원(51)의 휘도 분포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휘도 분포는, 광원(51)에 대응하는 조명 영역의 중심에 대해서 대칭이며, 이 조명 영역의 중심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감소한다. 단일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에 기초한 백라이트 휘도는, 예컨대 다음 수식 (4)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0048117994-pct00004
수식 (4)에 있어서, LSET,n은 제n번째 광원[n은 임의의 정수이며, 광원(51)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편의적인 번호(이후의 설명에서는, 1부터 광원의 총수 N까지의 연속 정수 중 어느 하나임)임]의 발광 강도를 나타내고, LP,n(xn',yn')는 제n번째의 광원에 대응하는 조명 영역의 중심으로부터의 상대 좌표 (xn',yn')에 따른 휘도 분포치를 나타내며, LBL(xn',yn')은 상대 좌표 (xn',yn')에 따른 제n번째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에 기초한 백라이트 휘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대 좌표에 있어서의 휘도 분포치는 광원(51)의 휘도 분포를 근사하는 임의의 함수에 상대 좌표(또는 거리)를 대입함으로써 산출될 수도 있고, 상대 좌표(또는 거리)에 대응하는 휘도 분포치를 검색할 수 있는 LUT를 이용함으로써 도출될 수도 있다.
한편, 실제로, 복수의 광원(51)으로부터의 조명광 사이가 겹칠 수 있기 때문에,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좌표 (x,y)에 따른 백라이트 휘도 LBL(x,y)는 다음 수식 (5)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0048117994-pct00005
수식 (5)에 있어서, 좌표 (x0,n,y0,n)는 제n번째 광원에 대응하는 조명 영역의 중심 위치의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 상에서의 좌표를 나타낸다. 또한, 수식 (5)에서는 모든 광원(51)을 백라이트 휘도의 산출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광원(51)의 휘도 분포를 고려하여 산출 대상을 일부 솎아낼 수도 있다. 예컨대, 좌표 (x,y)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는 조명 영역에 대응하는 광원(51)이 그 좌표 (x,y)에 따른 백라이트 휘도의 산출 대상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감마 변환부(1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RGB 형식)에 대하여 감마 변환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감마 변환부(12)는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R 신호치, G 신호치및 B 신호치를 광투과율로 각각 변환하기 위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예컨대, 영상 신호치의 변역이 0 이상 255 이하(8 비트치)라면, 감마 변환부(12)는 다음 수식 (6)에 따라서 감마 변환을 수행한다.
Figure 112010048117994-pct00006
수식 (6)에 있어서, α3 및 γ3은 상수를 나타내고, SR, SG 및 SB는 영상 신호에 포함되는 R 신호치, G 신호치 및 B 신호치를 각각 나타내며, TR, TG 및 TB는 각 색(RGB)의 광투과율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통상, α3=O.O, γ3=2.2로 설정되지만, α3 및 γ3은 이들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마 변환부(12)는 각 화소의 광투과율을 나눗셈부(13)에 입력한다.
나눗셈부(13)는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의 각 화소의 광투과율을 그 화소의 휘도 분포치로 나눈다. 나눗셈부(13)는 나눗셈 결과인 광투과율(이하, 단순히 보정된 광투과율이라고 부름)을 감마 보정부(14)에 입력한다. 한편, 나눗셈부(13)는 광투과율 및 휘도 분포치로부터 대응하는 보정된 광투과율을 검색할 수 있는 LUT를 이용할 수도 있다.
감마 보정부(14)는 나눗셈부(13)로부터의 보정된 광투과율에 대하여 감마 보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감마 보정부(14)는 광투과율을 다시 영상 신호치(RGB 형식)로 변환하기 위한 감마 보정을 실시한다. 예컨대, 영상 신호치의 변역이 0 이상 255 이하(8 비트치)라면, 감마 보정부(14)는 다음 수식 (7)에 따라서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Figure 112010048117994-pct00007
수식 (7)에 있어서, α4 및 γ4는 상수를 나타내고, TR', TG' 및 TB'는 각 색(RGB)의 보정된 광투과율을 각각 나타내며, SR', SG' 및 SB'는 R 신호치, G 신호치 및 B 신호치를 각각 나타낸다. 감마 보정부(14)는 SR', SG' 및 SB'를 보정된 영상 신호로서 액정 제어부(20)에 입력한다. 한편, 통상,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충실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α4로서 액정 패널(30)의 최소 광투과율, γ4로서 액정 패널(30)의 감마치가 각각 설정되는데, α4 및 γ4는 이들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감마 보정부(14)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감마 보정은 수식 (7)에 기초한 변환 방식이 아닐 수도 있고, 기존 또는 장래의 변환 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감마 보정부(14)는 액정 패널(30)의 감마 변환 테이블에 대응하는 역변환을 감마 보정으로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감마 보정부(14)의 하드웨어 구성은 승산기 등에 의한 연산을 통해 감마 보정을 실현하는 양태일 수도 있고, 적절한 LUT를 이용하여 감마 보정을 실현하는 양태일 수도 있다.
액정 제어부(20)는 신호 보정부(10)로부터의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라서 액정 패널(3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액정 제어부(20)는 보정된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액정 패널(30)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액정 패널(30)의 광투과율을 화소 단위로 제어한다.
액정 패널(30)은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는 표시 영역을 구비하며, 이 표시 영역에 영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액정 패널(30)은 백라이트(50)로부터의 조명광을, 액정 제어부(20)에 따라서 제어되는 광투과율로 변조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하, 도 13을 이용하여 액정 제어부(20) 및 액정 패널(30)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3의 예에 있어서, 액정 패널(30)은 소위 액티브 매트릭스형이다. 액정 패널(30)은 어레이 기판(31)을 구비한다. 어레이 기판(31) 상에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라인의 신호선(38)과 이들에 교차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라인의 주사선(39)이 절연막(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배치된다. 신호선(38) 및 주사선(39)의 교차 영역의 각각에는 화소(32)가 형성된다. 화소(32)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로 구성되는 스위치 소자(33), 화소 전극(34), 액정층(35), 대향 전극(36) 및 보조 용량(37)을 갖는다. 한편, 모든 화소(32)에 있어서 대향 전극(36)은 공통의 전극이다.
스위치 소자(33)는 액정 제어부(20)에 의해서 제어되는 화상 기록용의 스위치 소자이다. 스위치 소자(33)의 게이트 단자는 복수의 주사선(39)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스위치 소자(33)의 소스 단자는 복수의 신호선(38)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또한, 스위치 소자(33)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가 어느 주사선(39) 및 신호선(38)에 접속되는지는 그 스위치 소자(33)를 포함하는 화소(32)의 좌표 (수직 방향 위치 및 수평 방향 위치)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스위치 소자(33)의 드레인 단자는 그 스위치 소자(33)를 포함하는 화소(32)에 있어서의 화소 전극(34)과, 보조 용량(37)의 일단에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각 보조 용량(37)의 타단은 접지된다.
각 화소 전극(34)은 어레이 기판(31) 상에 형성된다. 한편, 각 대향 전극(36)은 화소 전극(34)과 전기적으로 상대하며, 어레이 기판(31)과는 별도의 대향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형성된다. 각 대향 전극(36)에는, 도시하지 않는 대향 전압 발생 회로로부터 소정의 대향 전압이 인가된다. 화소 전극(34) 및 대향 전극(36) 사이에는 액정층(35)이 유지되며, 어레이 기판(31) 및 대향 기판의 주위에 형성되는 시일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된다. 액정층(35)으로서 이용되는 액정 재료는 임의의 액정 재료일 수도 있지만, 예컨대 강유전성 액정,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의 액정 등이 적합하다.
도 13의 예에 있어서, 액정 제어부(20)는 각 신호선(38)의 일단이 접속되는 신호선 구동 회로(21) 및 각 주사선(39)의 일단이 접속되는 주사선 구동 회로(22)를 갖는다. 신호선 구동 회로(21)는 각 신호선(38)을 통해 각 스위치 소자(33)의 소스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22)는 각 주사선(39)을 통해 각 스위치 소자(33)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신호선 구동 회로(21)는, 예컨대 아날로그 스위치, 시프트 레지스터, 샘플 홀드 회로 및 비디오 버스 등으로 구성된다. 신호선 구동 회로(21)에는, 도시하지않는 표시 비율 제어부로부터 수평 스타트 신호 및 수평 클록 신호가 제어 신호로서 입력되고, 영상 신호(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보정된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22)는, 예컨대 시프트 트랜지스터, 레벨 시프터 및 버퍼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22)에는, 표시 비율 제어부로부터 수직 스타터 신호 및 수직 클록 신호가 제어 신호로서 입력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22)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 주사선(39)에 행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원의 발광 강도를, 각 광원에 대응하는 조명 영역보다 미세하게 분할된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따르면, 조명 영역보다 미세한 소영역 단위에서의 영상 신호의 변동을 반영하여 각 광원의 발광 강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조명 영역에서의 부자연스런 휘도 변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한 각 광원(51)의 발광 강도 결정 처리의 효과에 대해 보충 설명한다. 도 10a에는 5 프레임(프레임 #24, #32, #40, #48, #56)의 입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3 종류의 수법으로 각 광원의 발광 강도를 결정한 경우에 각 광원의 점등 패턴의 양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a에 있어서, 입력 영상은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쏘아 올리는 불꽃의 영상이다. 그리고, 도 10b는 상기 쏘아 올리는 불꽃의 궤적 단면에 있어서의 도 10a의 입력 영상 및 각 점등 패턴의 휘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점등 패턴 1에 있어서 각 광원의 발광 강도는 광원의 공간적인 배치에 대응하여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을 가상적으로 분할한 영역(전술한 조명 영역에 상당함)에 포함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10a 및 도 10b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점등 패턴 1은 쏘아 올리는 불꽃의 이동에 충분히 추종할 수 없었다. 구체적으로, 쏘아 올리는 불꽃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프레임 #24 및 #32에 있어서의 상기 궤적 단면의 휘도 분포가 일치하고, 프레임 #48 및 프레임 #56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프레임 #32 및 #40의 사이와, 프레임 #40 및 #48의 사이에는 각각 급격한 휘도 변동이 생긴다. 따라서, 점등 패턴 1에 의해서 입력 영상을 표시한 경우에는, 관찰자가 보기에 부자연스런(불연속적인) 휘도 변동을 지각할 수 있게 된다.
점등 패턴 2에 있어서 각 광원의 발광 강도는 점등 패턴 1과 같은 수법으로 얻어진 각 광원의 발광 강도에 대하여 저역 통과형 공간 필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결정된다. 도 10a 및 도 10b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점등 패턴 2는 점등 패턴 1에 비하여 각 프레임에 있어서 휘도 분포의 공간적인 격차(기복)가 완화되었다. 즉, 점등 패턴 2에 따르면 각 프레임에 있어서 단일 조명 영역이 그 주위의 조명 영역에 비하여 매우 높은 휘도를 보이는 사태는 점등 패턴 1에 비해서 일어나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점등 패턴 2는 쏘아 올리는 불꽃의 이동에 충분히 추종하지 못한다고 하는 점등 패턴 1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한다(프레임 #24 및 #32, 프레임 #48 및 #56을 각각 참조).
점등 패턴 3에 있어서 각 광원의 발광 강도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발광 강도 결정 처리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10a 및 도 10b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점등 패턴 3은 점등 패턴 1 및 2에 비해서, 쏘아 올리는 불꽃의 이동에 추종한다고 할 수 있다. 점등 패턴 3에서는, 프레임 #24부터 #56까지 각 조명 영역의 휘도는 순조롭게(단계적으로) 변화한다. 예컨대, 점등 패턴 1 및 2에 있어서 프레임 #32의 점등 패턴은 프레임 #24의 점등 패턴과 동일했지만, 점등 패턴 3에 있어서 프레임 #32의 점등 패턴은 프레임 #24 및 #40 사이의 중간적인 것이 된다. 또한, 점등 패턴 1 및 2에 있어서 프레임 #48의 점등 패턴은 프레임 #56의 점등 패턴과 동일했지만, 점등 패턴 3에 있어서 프레임 #48의 점등 패턴은 프레임 #40 및 #56 사이의 중간적인 것이 된다. 즉, 점등 패턴 3에 따르면, 각 조명 영역의 휘도는 쏘아 올리는 불꽃의 이동에 따라 순조롭게 변동하기 때문에, 휘도 변동에 따른 위화감을 관찰자에게 주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2 단계의 발광 강도 산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각 광원의 발광 강도를 결정한다. 그러나, 제1 단계의 발광 강도 산출 처리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소영역 및 이것에 대응하는 산출 영역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서, 조명 영역과 복수의 화소와의 위치 관계에 기초해, 예컨대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그 복수 화소의 영상 신호치를 조합해 연산함으로써, 각 광원의 발광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단, 이러한 변형은 연산 비용의 관점으로 볼 때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2 단계의 발광 강도 산출 처리는 제1 단계의 발광 강도 산출 처리에 비해서 연산 비용이 높고, 산출 대상이 확대되면 더욱 연산 비용이 증대된다. 이것을 감안하면, 제1 단계의 발광 강도 산출 처리는 제2 단계의 발광 강도 산출 처리의 산출 대상을 화소 단위에서 소영역 단위로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제1 단계의 발광 강도 산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각 광원의 발광 강도를 결정하기는 데에 필요한 연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백라이트(50)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원(51)의 발광색(분광 특성)은 언급되지 않았다. 각 광원(51)의 발광색이 단일(예컨대 의사 백색)이면 상기 제1 실시형태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각 광원(51)의 발광색이 복수개[예컨대, RGB(적청녹)]라면, 상기 제1 실시형태를 다음과 같이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강도 결정부(100)는 각 광원(51)의 발광색마다 발광 강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영상 신호가 RGB 형식이고 각 광원(51)의 발광색도 RGB라면, 발광 강도 결정부(100)는 영상 신호의 R 신호치에 기초하여 적색 광원의 발광 강도를 결정하고, G 신호치에 기초하여 녹색 광원의 발광 강도를 결정하며, B 신호치에 기초하여 청색 광원의 발광 강도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영상 신호의 구성색과 각 광원(51)의 발광색이 일치하면, 발광 강도 결정부(100)는 영상 신호의 각 색의 신호치에 기초하여, 각 광원(51)의 발광색마다 발광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신호의 구성색과 각 광원(51)의 발광색이 일치하지 않으면, 발광 강도 결정부(100)는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색을 각 광원(51)의 복수의 발광색의 조합으로 변환한 뒤에, 각 광원(51)의 발광색마다 발광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원의 발광 강도를, 각 광원에 대응하는 조명 영역보다 미세하게 분할된 소영역에 할당되는 발광 강도에 기초하여 발광색마다 결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발광색을 갖는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각 조명 영역에서의 부자연스런 휘도 변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 그대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여러 가지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각 실시형태에 개시되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한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10 : 신호 보정부 11 : 휘도 분포 산출부
12 : 감마 변환부 13 : 나눗셈부
14 : 감마 보정부 20 : 액정 제어부
21 : 신호선 구동 회로 22 : 주사선 구동 회로
30 : 액정 패널 31 : 어레이 기판
32 : 화소 33 : 스위치 소자
34 : 화소 전극 35 : 액정층
36 : 대향 전극 37 : 보조 용량
38 : 신호선 39 : 주사선
40 : 백라이트 제어부 50 : 백라이트
51 : 광원 100 : 발광 강도 결정부
110 : 소영역 발광 강도산출부 111 : 최대치 산출부
112 : 감마 변환부 120 : 광원 발광 강도 산출부
210 :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 211 : RGB 최대치 산출부
212 : 감마 변환부 213 : 평균치 산출부
214 : 곱셈부 310 : 소영역 발광 강도 산출부
311 : 최대치/최소치 산출부 312 : 제1 감마 변환부
313 : 중심치 산출부 314 : 곱셈부
315 : 제2 감마 변환부

Claims (6)

  1. 개별 제어가 가능한 제1 발광 강도로 점등되는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표시 영역에 화소 단위로 표시가능한 액정 패널과,
    상기 복수의 광원의 공간적인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 영역을 가상적으로 분할한 조명 영역보다는 미세하고 상기 화소보다는 성글게 상기 표시 영역을 공간적으로 분할한 소영역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영역 각각에 할당되는 제2 발광 강도를 산출하는 제1 산출부와,
    상기 조명 영역과 복수의 상기 소영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그 복수의 소영역에 할당되는 복수의 상기 제2 발광 강도를 조합해 연산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에 할당되는 상기 제1 발광 강도를 산출하는 제2 산출부와,
    상기 제1 발광 강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을 점등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산출부는 상기 조명 영역과 상기 복수의 소영역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주어지는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강도의 가중 평균으로부터 상기 제1 발광 강도를 산출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계수는 상기 조명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소영역으로의 공간적인 거리가 커짐에 따라서 작아지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부는 상기 소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의 최대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강도 각각을 산출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부는 상기 소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산출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에서의 명도의 최대치 및 최소치 사이의 중심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발광 강도 각각을 산출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부는 상기 소영역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상 신호에서의 휘도의 평균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발광 강도 각각을 산출하는 것인 영상 표시 장치.
KR1020107016710A 2009-05-15 2009-05-15 영상 표시 장치 KR101161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9069 WO2010131359A1 (ja) 2009-05-15 2009-05-15 映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713A KR20100135713A (ko) 2010-12-27
KR101161522B1 true KR101161522B1 (ko) 2012-07-02

Family

ID=4308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710A KR101161522B1 (ko) 2009-05-15 2009-05-15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44983B2 (ko)
JP (1) JP4960507B2 (ko)
KR (1) KR101161522B1 (ko)
CN (1) CN101983400B (ko)
WO (1) WO2010131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2927B2 (ja) * 2007-12-04 2013-01-16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11013458A (ja) * 2009-07-02 2011-01-20 Panasonic Corp 液晶表示装置
KR101327883B1 (ko) * 2009-12-14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로컬 디밍 구동 방법 및 장치
US20110157322A1 (en) 2009-12-31 2011-06-30 Broadcom Corporation Controlling a pixel array to support an adaptable light manipulator
US9247286B2 (en) 2009-12-31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Frame formatting supporting mixed two and three dimensional video data communication
CN101984488B (zh) * 2010-10-15 2012-07-25 广州创维平面显示科技有限公司 侧光式led背光动态分区控制方法
US9305495B2 (en) 2011-02-23 2016-04-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for estimating backlight luminance distribution
JP5989789B2 (ja) * 2011-11-11 2016-09-07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改良型電力プロファイル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のための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JP5950654B2 (ja) * 2012-03-30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4087898A1 (ja) * 2012-12-04 2014-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2073685B1 (ko) * 2013-09-06 2020-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81174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6770420B2 (ja) * 2016-12-14 2020-10-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CN109920393A (zh) * 2017-12-12 2019-06-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背光亮度调节方法及装置
JPWO2020013194A1 (ja) * 2018-07-12 2021-05-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0040016A1 (ja) * 2018-08-21 2020-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光強度算出方法
US11972739B2 (en) 2021-02-26 2024-04-30 Nichia Corporation Luminance control of backlight in display of image
JP7460913B2 (ja) 2021-02-26 2024-04-0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2132062A (ja) * 2021-02-26 2022-09-0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250A (ja) 2000-09-21 2002-04-05 Toshiba Corp 表示装置
JP2007322944A (ja) 2006-06-03 2007-12-13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484A (en) * 1991-12-06 1995-08-01 Canon Kabushiki Kaisha Surface lighting device and a display having such a lighting device
CN100474388C (zh) * 2005-03-24 2009-04-01 索尼株式会社 显示装置和显示方法
JP4904783B2 (ja) * 2005-03-24 2012-03-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4951973B2 (ja) 2006-01-10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5180436B2 (ja) * 2006-01-10 2013-04-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495801B (zh) * 2006-07-28 2011-03-16 富士胶片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4237220B2 (ja) 2006-11-13 2009-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透過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044180A (ja) * 2008-08-12 2010-02-25 Victor Co Of Japan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映像信号処理方法
JP2009282459A (ja) * 2008-05-26 2009-12-03 Toshiba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20100141571A1 (en) * 2008-12-09 2010-06-10 Tony Chiang Image Sensor with Integrated Light Meter for Controlling Display Brightn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250A (ja) 2000-09-21 2002-04-05 Toshiba Corp 表示装置
JP2007322944A (ja) 2006-06-03 2007-12-13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31359A1 (ja) 2012-11-01
CN101983400A (zh) 2011-03-02
US8044983B2 (en) 2011-10-25
WO2010131359A1 (ja) 2010-11-18
US20110043547A1 (en) 2011-02-24
KR20100135713A (ko) 2010-12-27
JP4960507B2 (ja) 2012-06-27
CN101983400B (zh)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522B1 (ko) 영상 표시 장치
JP512292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8207953B2 (en) Backlight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95146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8681087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JP5491702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1612455B1 (ko) 화소 데이터의 보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512047B1 (ko) 광원 로컬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광원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90140665A1 (en) Light source module, method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module, display device having the light source module
EP248521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90146277A1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JP2009053687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90278134A1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120092790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895288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1028561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952009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20189768A1 (ja) 表示装置
JP2012068655A (ja) 映像表示装置
JP5197697B2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8026895B2 (en) Backlight controll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1025487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5642133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を制御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