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508B1 - 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508B1
KR101150508B1 KR1020110070975A KR20110070975A KR101150508B1 KR 101150508 B1 KR101150508 B1 KR 101150508B1 KR 1020110070975 A KR1020110070975 A KR 1020110070975A KR 20110070975 A KR20110070975 A KR 20110070975A KR 101150508 B1 KR101150508 B1 KR 10115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il
speaker
speaker frame
damp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종대
Original Assignee
광원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원텍(주) filed Critical 광원텍(주)
Priority to KR102011007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5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5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PURPOSE: A speaker frame and a speake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productivity by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manufacturing times of a speaker. CONSTITUTION: A speaker frame(100) forms an outer shape of a speaker. The speaker frame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speaker generating sound according to inputted electric signals. A voice coil part has a voice coil part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s. A damper(2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eaker frame. The damper includes a connection part(210) which is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to be vibrated and a voice coil fixing unit(220)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The connection part forms upward and downward curves. The speaker frame or the dampe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Description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피커의 외형을 이루며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는 스피커의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는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코일이 포함된 보이스코일부가 연결되며 보이스코일부가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댐퍼가 구비된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frame provid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speaker to generate sound according to the input electrical signal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and a speaker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 voice coil input electric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frame and a speaker using the same, wherein the voice coil unit is connected and a damper supporting the voice coil unit to vibrate in place.

스피커는 앰프 등에 의해서 생성된 전기신호를 음파, 즉 소리로 바꾸는 장치이다.A speaker is a device that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an amplifier into sound waves, that is, sound.

이러한 스피커에는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해서 진동되는 진동판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스피커에는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전기신호가 입력되며 진동판과 연결된 보이스코일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에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도 구비된다.Such a speaker is provided with a diaphragm vibrating by an input electrical signal. In addition, the speaker is provided with a voice coil in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and connected to the diaphragm so that the diaphragm vibrates according to the input electrical signal. The speaker is also provided with a magnet that forms a magnetic field.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보이스코일에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보이스코일에도 자기장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이스코일에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해서 보이스코일에 형성된 자기장과, 마그네트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보이스코일이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이스코일의 진동에 의해서 보이스코일에 연결된 진동판이 진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음파, 즉 소리가 발생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voice coil, a magnetic field is also formed in the voice coil.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voice coil and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interact with each other by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o the voice coil, thereby causing the voice coil to vibrate.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the diaphragm connected to the voice coil vibrates, thereby generating sound waves, that is, sound.

보이스코일에 전기신호가 입력되도록 하기 위해서, 앰프 등과 같은 전기신호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이 사용된다. 이러한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의 일측에는 보이스코일이 진동가능하게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에는 진동판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전기신호원에서 생성된 전기신호는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을 통해 보이스코일에 입력된다. 그리고, 보이스코일에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이 진동한다. In order to allow an electrical signal to be input to the voice coil, a voice coil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 signal source such as an amplifier is used. On one side of the voice coil terminal, the voice coil is vibrating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diaphragm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ccordingly,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electrical signal source is input to the voice coil through the voice coil terminal. Then, the voice coil vibrates as described above by the electric signal input to the voice coil.

이러한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신호원에서 생성된 전기신호가 보이스코일에 입력되도록 하는 것 이외에 보이스코일의 진동시 보이스코일이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댐퍼의 역할도 한다.The voice coil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electrical signal source is input to the voice coil serves as a damper for supporting the voice coil to vibrate in place when the voice coil vibrations.

종래, 이러한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을 사용하는 스피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접착제에 의해서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의 일측과 타측에 전술한 보이스코일과 진동판을 연결한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manufacture a speaker using such a voice coil terminal, first, the voice coil and the diaphragm are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oice coil terminal by an adhesive.

그리고, 보이스코일 또는 진동판이 연결된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을 스피커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접착제를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에 도포한다.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접착제를 건조시킨다. 그리고,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을 접착제에 의해서 스피커 프레임에 연결시킨다.Then, in order to connect the voice coil or the diaphragm terminal to which the voice coi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terminal. Thereafter, the adhesive is dri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n, the voice coi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by adhesive.

이와 같이 보이스코일로의 전기신호의 입력과 보이스코일의 진동시 보이스코일이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도록 별도의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피커의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며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얇기 때문에, 보이스코일용 터미널 자체 또는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에 전술한 보이스코일이나 진동판을 연결한 후 적재하는 경우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의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way, since a separate voice coil terminal is used to support the input of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voice coil and the voice coil to vibrate in place, the manufacturing of the speaker is not easy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long. There is a problem. Then, there exist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falls. In addition, since the voice coil terminal is generally th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defects occur when the voice coil or diaphragm is connected to the voice coil terminal itself or the voice coil terminal and then load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durability of the speaker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speake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코일이 포함되는 보이스코일부가 연결되어 보이스코일부가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댐퍼가 스피커 프레임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frame having a damper for supporting the voice coil to vibrate in place by connecting the voice coil unit including the voice coil to which the electrical signal is input.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스피커의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speaker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time.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스피커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적재중에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스피커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peaker so that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peaker is deformed during loading does not cause a failure.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스피커 프레임과 이를 사용한 스피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A speaker frame and a speak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코일이 포함된 보이스코일부가 연결되며 보이스코일부가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댐퍼가 스피커 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a voice coil unit including a voice coil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input is connected and a damper supporting the voice coil unit to vibrate in place is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 프레임은 스피커의 외형을 이루며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는 스피커의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는 스피커 프레임에 있어서,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코일이 포함된 보이스코일부가 연결되며 보이스코일부가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댐퍼가 스피커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댐퍼는 스피커 프레임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연결되며 보이스코일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보이스코일 고정부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상하방향의 곡선을 이룰 수 있다.A speak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frame including the components of a speaker that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of a speaker and generates sound according to an input electric signal, and includes a voice coil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input. A part is connected, and a damper for supporting the voice coil unit to vibrate in plac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eaker frame, and the damper is a voice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so as to be vibrated, an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to fix the voice coil unit. It includes a coil fixing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may form a vertical curve.

이 경우, 상기 스피커프레임 또는 댐퍼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peaker frame or damper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스피커 프레임에는 전기신호원과 보이스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이스코일에 전기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터미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 signal source and a voice coil to inpu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voice coil.

또한, 상기 터미널부재에는 전기신호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와, 제1단자와 보이스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가 구비되며, 스피커 프레임과 터미널부재 및 제2단자에는 보이스코일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member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 signal source,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voice coil, and a voice coil on the speaker frame, the terminal member, and the second terminal. An insertion hole to be inserted can be form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커는 전술한 스피커 프레임; 스피커 프레임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부; 및 자기장 형성부와 연계하여 진동하는 진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peaker frame described above; A magnetic field forming unit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and forming a magnetic field; And a vibrator vibr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As shown in FIG.

이 경우, 상기 자기장 형성부는 스피커 프레임에 구비되는 요크; 요크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요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트; 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yoke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A magnet provided inside the yok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yoke;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진동부는 일측은 자기장 형성부에 포함되는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진동가능하게 위치되며 타측은 스피커 프레임에 구비된 댐퍼에 연결되고 보이스코일이 포함되는 보이스코일부; 댐퍼에 연결되는 진동판; 및 진동판과 스피커 프레임에 연결되며 진동판과 함께 진동하는 에지 진동판; 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brating un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vibration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yoke and the magnet included in the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amper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and the voice coil unit includes a voice coil; A diaphragm connected to the damper; And an edge diaphragm connected to the diaphragm and the speaker frame and vibrating together with the diaphragm. It may inclu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코일이 포함되는 보이스코일부가 연결되어 보이스코일부가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댐퍼가 스피커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coil unit including a voice coil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input is connected, and a damper supporting the voice coil unit to vibrate in place may be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의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ion of the speaker is easy and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shorten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적재중에 변형되거나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스피커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rability of the speaker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peaker from being deformed or defective during loadin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과 도8은 도1의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사용한 스피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9 내지 도12는 도7과 도8의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일실시예를 제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peak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peak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peak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peak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speaker using one embodiment of a speake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9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manufacture of one embodiment of a speak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FIGS. 7 and 8.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peaker frame and a speak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Hereinafter, the 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most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to be exemplifi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have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extension numbers.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코일이 포함된 보이스코일부가 연결되며 보이스코일부가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댐퍼가 스피커 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voice coil unit including the voice coil into which the electric signal is input is connected, and a damper supporting the voice coil unit to vibrate in place is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프레임(100)은 스피커(S)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 프레임(100)에는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는 스피커(S)의 구성요소들, 예컨대 후술하고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기장 형성부(MC)와 진동부(P)가 구비될 수 있다.The speaker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n external shape of the speaker S. In addition, the speaker frame 100 includes components of the speaker S for generating sound according to an input electric signal, for example, a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as described later and illustrated in FIGS. 7 and 8. Vibration unit (P) may be provided.

이를 위해서, 스피커 프레임(100)에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진동부(P)에 포함되는 후술할 진동판(O,E), 즉 에지 진동판(E)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삽입홈(IG)이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FIGS. 1 to 4, the speaker frame 100 may include the diaphragms O and E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d in the vibrator P, that is, the edge diaphragm E. Insertion groove IG may be formed.

그리고, 스피커 프레임(100)에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자기장 형성부(MC)에 포함되는 요크(Y)와 마그네트(M) 및, 진동부(P)에 포함되는 보이스코일부(V)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홀(H)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4, the speaker frame 100 is included in the yoke Y, the magnet M, and the vibrator P included in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to be described later. A mounting hole H may be formed in which the voice coil unit V may be seated.

스피커 프레임(100)에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댐퍼(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100)에 댐퍼(200)가 구비되기 때문에, 보이스코일(C)에 전기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며 보이스코일(C)이 포함되는 보이스코일부(V)가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보이스코일용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게 된다.The speaker frame 100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200 as shown in FIGS. 1 to 4. Since the damper 200 is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as described above,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voice coil C and the voice coil part V including the voice coil C may vibrate in place. A supporting voice coil terminal (not shown) is not required separately.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보이스코일부(V)와 진동판(O,E)을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하고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을 스피커 프레임에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Therefore, as in the prior art, the voice coil unit V and the diaphragm O and 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oice coil terminal by an adhesive,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terminal, and dried to dry the voice coil terminal to the speaker frame. You do not need to connect.

즉, 도9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된 댐퍼(200)에 직접 보이스코일(C)이 포함된 보이스코일부(V)를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하고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00)에 직접 진동판(O,E)을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9 and described above, the voice coil part V including the voice coil C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amper 200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by an adhesive, and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diaphragm O and E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amper 200 by an adhesive.

이와 같이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에 보이스코일과 진동판을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하고, 보이스코일과 진동판이 연결된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을 접착제에 의해서 스피커 프레임에 연결하는 공정이 생략된다. 따라서, 스피커(S)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S)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S)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voice coil terminal is not used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voice coil and the diaphragm to the voice coil terminal by an adhesive and connecting the voice coil terminal connected to the voice coil and the diaphragm to the speaker frame by the adhesive is omitted. Therefore, the manufacture of the speaker S may be easy. And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speaker S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the productivity of the speaker S can be improved.

그리고,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얇은 보이스코일용 터미널 자체 또는 보이스코일용 터미널에 전술한 보이스코일이나 진동판을 연결한 후 적재시에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피커(S)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적재중에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oice coil terminal is not used, the above-described voice coil or diaphragm may be connected to the thin voice coil terminal itself or the voice coil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nd thus deformed at the time of loading. That is,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peaker S may be deformed during loading, so that a defect may not occur. 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speaker can be improved.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댐퍼(2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댐퍼(200)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면, 후술할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C)이 포함되는 보이스코일부(V)와 진동판(O)이 접착제에 의해서 용이하게 댐퍼(200)에 연결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댐퍼(200)는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며 보이스코일(C)이 포함되는 보이스코일부(V)와 진동판(O)이 용이하게 댐퍼(200)에 연결될 수 있다면 전술한 합성수지 뿐만 아니라 금속 등 어떠한 것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mper 200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When the damper 200 is made of synthetic resin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coil part V and the diaphragm O including the voice coil C may be easily connected to the damper 200 by an adhesive, as described below. . However, the damper 200 is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and if the voice coil part V and the diaphragm O including the voice coil C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damper 200, the metal as well as the above-described synthetic resin And the like.

댐퍼(200)가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서, 댐퍼(2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damper 200 to be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the damper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eaker frame 100 as shown in FIGS. 1 to 4.

그러나, 댐퍼(200)가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200)가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스피커 프레임(100)에 연결된다든지, 댐퍼(200)가 스피커 프레임(100)에 형성된 연결구(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서 연결된다든지, 댐퍼(200)가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damper 200 may be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amper 200 is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100 by a connecting member (not shown), or the damper ( As long as the 20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a connector (not shown) formed in the speaker frame 100, the damper 200 may be provided as long as the speaker frame 100 is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100)과 댐퍼(20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스피커 프레임(100)과 댐퍼(2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피커 프레임(100)과 댐퍼(20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방법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 이외에, 스피커 프레임(100)과 댐퍼(20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방법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Meanwhile, in order to form the speaker frame 100 and the damper 200 integrally as described above, the speaker frame 100 and the damper 200 ar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the synthetic resin. have. However, the method in which the speaker frame 100 and the damper 200 are integrally forme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in which the speaker frame 100 and the damper 200 ar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o being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Any method of is possible.

이러한 댐퍼(200)에는 도9에 도시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코일(C)이 포함된 보이스코일부(V)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200는 보이스코일부(V)가 제위치,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자기장 형성부(MC)에 포함되는 요크(Y)의 내면과 마그네트(M) 사이의 간격(G)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nd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amper 200 may be connected to a voice coil part V including a voice coil C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input. In addition, the damper 200 has the voice coil portion V in place, that is, between the magnet 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yoke Y included in the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MC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supported to vibrate at the interval (G).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댐퍼(200)는 연결부(210) 및, 보이스코일 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4, the damper 200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210 and a voice coil fixing part 220.

연결부(21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100)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210)는 스피커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스피커 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210)는 스피커 프레임(100)에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도 있고 스피커 프레임(100)에 형성된 연결구(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서 연결될 수도 있다.The connector 210 may be vibrably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100 as shown in FIGS. 1 to 4. To this end,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on unit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eaker frame 100 and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100.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100 by a connecting member (not shown) or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not shown) formed in the speaker frame 100.

그리고,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연결부(210)가 스피커 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연결부(210)가 안착홀(H) 양측의 스피커 프레임(100)에서 안착홀(H)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two connecting portions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100. And,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wo connecting portions 210 may extend from the speaker frame 100 at both sides of the seating hole H to the seating hole H, respectively.

또한,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4개의 연결부(210)가 스피커 프레임(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안착홀(H) 양측의 스피커 프레임(100)에서 각각 2개의 연결부(210)가 안착홀(H)로 연장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S. 2 and 3, four connection units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100. And,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speaker frame 100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hole (H), each of the two connecting portions 210 may extend to the mounting hole (H).

그리고,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3개의 연결부(210)가 스피커 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안착홀(H) 일측의 스피커 프레임(100)에서 3개의 연결부(210)가 안착홀(H)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210)는 스피커 프레임(100)에 복수개 형성된 안착홀(H)에 대응되어 각 안착홀(H) 일측의 스피커 프레임(100)에서 안착홀(H)로 연장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ree connection units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100. And,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speaker frame 100 on one side of the mounting hole (H) three connecting portion 210 may be extended to the mounting hole (H). In addition,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210 extends from the speaker frame 100 on one side of each seating hole H to the seating hole H in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seating holes H formed in the speaker frame 100. Can be.

한편,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연결부(2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피커 프레임(100)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vibrately connect to the speaker frame 100.

연결부(21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210)가 곡선을 이루면, 후술할 바와 같이 연결부(210)에 연결되는 보이스코일 고정부(220)에 고정되는 보이스코일부(V)의 진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이스코일부(V)를 제위치,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자기장 형성부(MC)에 포함되는 요크(Y)의 내면과 마그네트(M) 사이의 간격(G)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21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곡선에 한정되지 않고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nnection part 210 may be curved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As such, when the connection part 210 forms a curv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part V fixed to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10 may be easily perform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voice coil unit V may be easily positioned at a position G, that is, at an interval G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yoke Y included in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and the magnet M, as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ortion 210 is not limited to the curve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may be made in a straight line.

보이스코일 고정부(22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이스코일 고정부(220)는 연결부(210)와 함께 스피커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보이스코일 고정부(220)가 연결부(210)에 연결되는 것은 별도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보이스코일 고정부(220)가 연결부(210)에 연결된다든지, 보이스코일 고정부(220) 또는 연결부(210)에 형성된 연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보이스코일 고정부(220)와 연결부(210)가 연결된다든지, 보이스코일 고정부(220)가 연결부(210)에 연결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10 as shown in FIGS. 1 to 4. To this end,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eaker frame 100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art 210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210. However,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210 in addition to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210 by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not shown), or the voice coil fixing part. If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and the connecting part 21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or (not shown) formed in the 220 or the connecting part 210, or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210. Anything is possible.

그리고,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연결부(210)가 보이스코일 고정부(22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4개의 연결부(210)가 각각 2개씩 보이스코일 고정부(220)의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3개의 연결부(210)가 보이스코일 고정부(220)의 일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And,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two connecting portions 210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voice coil fixing portion 220, respectively.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four connecting portions 210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respectively. In addition,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ree connection parts 21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이러한 보이스코일 고정부(220)는 보이스코일부(V)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하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부(V)가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이스코일 고정부(220)는 보이스코일부(V)가 보이스코일 고정부(22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보이스코일부(V)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도9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이스코일부(V)가 원통형인 경우 보이스코일 고정부(220)는 적어도 일부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voice coil part V is fixed. That is, the voice coil part V may be fixed by an adhesive as described later and shown in FIG. 9. To this end,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il part V such that the voice coil part V is easily fixed to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For example, when the voice coil part V is cylindrical,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may have a circular shape.

한편, 스피커 프레임(100)에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부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부재(300)는, 예컨대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과 보이스코일부(V)에 포함되는 보이스코일(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신호원의 전기신호가 보이스코일(C)에 입력될 수 있다.Meanwhile, the speaker frame 100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member 300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terminal member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 example, an electrical signal source such as an amplifier and a voice coil C included in the voice coil unit V. Accordingly,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electrical signal source can be input to the voice coil (C).

이를 위해서,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터미널 부재(300)에는 제1단자(310)와 제2단자(320)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terminal memb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310 and a second terminal 320.

제1단자(310)는 전선 등에 의해서 전기신호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자(320)는 제1단자(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단자(310)와 제2단자(320)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자(320)는 보이스코일(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단자(320)가 보이스코일(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스피커 프레임(100)과 터미널 부재(300) 및 제2단자(320)에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삽입구멍(101,301,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부(V)에 포함된 보이스코일(C)이 스피커 프레임(100)에 형성된 삽입구멍(101)과 터미널 부재(300)에 형성된 삽입구멍(301) 및 제2단자(320)에 형성된 삽입구멍(32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보이스코일(C)과 제2단자(320)를 납땜 등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신호원에서 생성된 전기신호가 제1단자(310)와 제2단자(320)를 거쳐서 보이스코일(C)에 입력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3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 signal source by a wire or the like. The second terminal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310. To this end, the first terminal 310 and the second terminal 320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And, the second terminal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oice coil (C).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terminal 320 to the voice coil C, the speaker frame 100, the terminal member 300, and the second terminal 320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S. 7 and 8. Insertion holes 101, 301, and 321 may be form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 the voice coil C included in the voice coil part V includes the insertion hole 101 formed in the speaker frame 100 and the insertion hole 301 formed in the terminal member 300. 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1 formed in the second terminal 320. The voice coil C and the second terminal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soldering or the like. Accordingly,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electrical signal source may be input to the voice coil C via the first terminal 310 and the second terminal 320.

도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S)는 전술한 스피커 프레임(100), 자기장 형성부(MC) 및, 진동부(P)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 프레임(10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7, the speaker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peaker frame 100,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and the vibrating unit P described above.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speaker frame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omitted below.

자기장 형성부(MC)는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7과 도8 및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기장 형성부(MC)는 스피커 프레임(100)의 안착홀(H)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형성부(MC)는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may be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That is, as shown in FIGS. 7, 8, and 11,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may be provided in the mounting hole H of the speaker frame 100. In addition,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may form a magnetic field.

이를 위해서, 자기장 형성부(MC)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요크(Y)와 마그네트(M)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요크(Y)는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피커 프레임(100)에 형성된 안착홀(H)에 요크(Y)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요크(Y)는 후술할 마그네트(M)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may include the yoke Y and the magnet M, as shown in FIGS. 7 and 8.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yoke Y may be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That is, the yoke Y may be provided in the mounting hole H formed in the speaker frame 100. The yoke (Y)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the magnet (M)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도7과 도8 및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마그네트(M)는 요크(Y)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G)을 두고 요크(Y)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마그네트(M)에 의해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8, and 11, the magnet M may be provided inside the yoke 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yoke Y. And, the magnetic field can be formed by this magnet (M).

진동부(P)는 전술한 자기장 형성부(MC)와 연계하여 진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진동부(P)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이스코일부(V), 진동판(O) 및, 에지진동판(E)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or P may vibrate in associ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To this end, the vibrator P may include the voice coil unit V, the diaphragm O, and the edge vibrator E as shown in FIGS. 7 and 8.

보이스코일부(V)의 일측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Y)와 마그네트(M) 사이에 형성된 간극(G)에 진동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이스코일부(V)의 타측은 전술한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된 댐퍼(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이스코일부(V)의 타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에 의해서 댐퍼(200)의 보이스코일 고정부(220)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보이스코일부(V)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이스코일(C)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이스코일부(V)는 보이스코일(C)이 감기는 보이스코일 지지부재(B)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one side of the voice coil part V may be vibrated in a gap G formed between the yoke Y and the magnet M.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voice coil unit V may be connected to the damper 200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other side of the voice coil unit V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voice coil fixing unit 220 of the damper 200 by an adhesiv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voice coil unit V may include the voice coil C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voice coil unit V may include a voice coil support member B to which the voice coil C is wound.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진동판(O)은 댐퍼(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진동판(O)은 보이스코일부(V)가 고정되는 보이스코일 고정부(220)의 반대면에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the diaphragm O may be connected to the damper 200. That is,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aphragm O may be connected to an opposite surface of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to which the voice coil part V is fixed.

에지 진동판(E)은 도7과 도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진동판(O)과 스피커 프레임(100)에 접착제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즉, 에지 진동판(E)의 일측은 진동판(O)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에진 진동판(E)의 타측은 전술한 스피커 프레임(100)의 삽입홈(IG)에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서 스피커 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진동판(O)과 함께 진동할 수 있다.The edge diaphragm E may be connected to the aforementioned diaphragm O and the speaker frame 100 by an adhesive or the like, as shown in FIGS. 7 and 8. That is, one side of the edge diaphragm E may be connected to the diaphragm O. And, the other side of the vibration diaphragm (E)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G) of the speaker frame 100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100 by an adhesive. In addition, it can vibrate together with the vibration plate (O).

즉,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에서 생성된 전기신호는 먼저, 터미널 부재(300)의 제1단자(310)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1단자(310)에 입력된 전기신호는 제1단자(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320)를 통해 보이스코일부(V)에 포함되는 보이스코일(C)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보이스코일(C)에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과, 자기장 형성부(MC)의 마그네트(M)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보이스코일부(V)가 요크(Y)의 내면과 마그네트(M) 사이의 간극(G)에서 진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보이스코일부(V)의 진동에 따라 댐퍼(200)와 진동판(O,E)이 진동하게 되어, 음파 즉 소리가 발생한다.
That i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an electrical signal source such as an amplifier is first input to the first terminal 310 of the terminal member 300.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o the first terminal 310 is input to the voice coil C included in the voice coil part V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310. As such,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electric signal input to the voice coil C and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M of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inter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voice coil unit V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yoke Y. Vibration occurs in the gap G between the magnets M. FIG. In addition, the damper 200 and the vibration plates O and E vibrate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part V, thereby generating sound waves, that is, sounds.

이하, 도9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S)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peaker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먼저, 전술한 스피커 프레임(100)을 형성한다. 즉, 댐퍼(200)가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도록 한다. 예컨대, 스피커 프레임(100)과 댐퍼(20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스피커 프레임(100)을 형성한다.First, the speaker frame 100 described above is formed. That is, the damper 200 is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For example, the speaker frame 100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peaker frame 100 and the damper 200 are integrally formed.

이후,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00)에 보이스코일(C)을 포함하는 보이스코일부(V)를 연결한다. 즉, 보이스코일부(V)의 보이스코일 지지부재(B)를 댐퍼(200)의 보이스코일 고정부(220)에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하여 연결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9, the voice coil part V including the voice coil C is connected to the damper 200. That is, the voice coil support member B of the voice coil part V is bonded to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of the damper 200 with an adhesive.

그리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부재(300)가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도록 하고 터미널 부재(300)에 보이스코일(C)을 연결한다. 즉, 보이스코일(C)을 스피커 프레임(100)과 터미널 부재(300) 및 제2단자(320)에 형성된 삽입구멍(101,301,321)에 삽입한 후 보이스코일(C)과 제2단자(320)를 납땜 등에 의해서 연결한다.10, the terminal member 300 is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and the voice coil C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300. That is, the voice coil C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101, 301, and 321 formed in the speaker frame 100, the terminal member 300, and the second terminal 320, and then the voice coil C and the second terminal 320 are inserted. Connect by soldering or the like.

이후,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코일부(V)의 보이스코일 지지부재(B)와 스피커 프레임(100)에 진동판(O)과 에지 진동판(E)을 연결한다. 진동판(O)은 댐퍼(200)에 접착제에 의해서 연결한다. 그리고, 에지진동판(E)은 스피커 프레임(100)의 삽입홈(IG)에 삽입한 후 접착제 등에 의해서 진동판(O)과 스피커 프레임(100)에 연결한다.Thereafter,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diaphragm O and the edge diaphragm E are connected to the voice coil support member B of the voice coil part V and the speaker frame 100. The diaphragm O is connected to the damper 200 by an adhesive. The edge vibration plate 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G of the speaker frame 100 and then connected to the diaphragm O and the speaker frame 100 by adhesive.

그리고,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프레임(100)에 자기장 형성부(MC)가 구비되도록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형성부(MC)의 요크(Y)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G)을 이루도록 마그네트(M)를 요크(Y)에 삽입한 후 보이스코일부(V)의 일측이 상기 간격(G)에 위치하도록 자기장 형성부(MC)를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2,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is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That is, as shown, after the magnet M is inserted into the yoke Y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yoke Y of the magnetic field forming part MC, one side of the voice coil part V may be formed.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is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interval G.

한편, 자기장 형성부(MC)를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S) 제조의 마지막 단계에서 실시할 수도 있지만, 스피커 프레임(100)을 성형한 후에 바로 실시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may be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may be performed at the final stage of manufacturing the speaker S, but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speaker frame 100 is molded.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를 사용하면,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코일이 포함되는 보이스코일부가 연결되어 보이스코일부가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댐퍼가 스피커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피커의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피커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적재중에 변형되거나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스피커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such, when using the speaker frame and the speake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coil part including a voice coil in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input is connected, and a damper supporting the voice coil part to vibrate in place is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The speaker may be easily manufactured and may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the durability of the speaker may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peaker from being deformed or defective during loading.

상기와 같이 설명된 스피커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speaker frame and the speaker using the same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ar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100 : 스피커 프레임 101, 301, 321 : 삽입구멍
200 : 댐퍼 210 : 연결부
220 : 보이스코일 고정부 300 : 터미널부재
310 : 제1단자 320 : 제2단자
S : 스피커 V : 보이스코일부
C : 보이스코일 B : 보이스코일 지지부재
MC : 자기장 형성부 Y : 요크
M : 마그네트 P : 진동부
O : 진동판 E : 에지 진동판
IG : 삽입홈 H : 안착홀
100: speaker frame 101, 301, 321: insertion hole
200: damper 210: connection portion
220: voice coil fixing part 300: terminal member
310: first terminal 320: second terminal
S: Speaker V: Voice coil part
C: Voice coil B: Voice coil support member
MC: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Y: yoke
M: Magnet P: Vibration part
O: diaphragm E: edge diaphragm
IG: Insertion groove H: Mounting hole

Claims (12)

스피커(S)의 외형을 이루며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는 스피커(S)의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는 스피커 프레임(100)에 있어서,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보이스코일(C)이 포함된 보이스코일부(V)가 연결되며 상기 보이스코일부(V)가 제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댐퍼(200)가 상기 스피커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200)는 상기 스피커 프레임(100)에 진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210)와, 상기 연결부(210)에 연결되며 상기 보이스코일부(V)가 고정되도록 구성된 보이스코일 고정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10)는 상하방향의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프레임.
In the speaker frame 100 form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speaker (S) is provid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speaker (S) for generating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electrical signal,
The voice coil unit V including the voice coil C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input is connected, and a damper 200 supporting the voice coil unit V to vibrate in place is integral with the speaker frame 100. Formed into
The damper 200 is connected to the speaker frame 100 in a vibrating connection 210, and the voice coil fix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10 and configured to fix the voice coil portion (V) Including,
The connection part 210 is a speak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vertical cur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프레임(100) 또는 댐퍼(2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프레임.The speaker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aker frame (100) or the damper (200) is made of synthetic res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프레임(100)에는 전기신호원과 상기 보이스코일(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이스코일(C)에 전기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터미널부재(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프레임.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eaker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member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 signal source and the voice coil (C) so that the electrical signal is input to the voice coil (C). Speaker frame characterized b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재(300)에는 전기신호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310)와,
상기 제1단자(310)와 상기 보이스코일(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320)가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프레임(100)과 터미널부재(300) 및 제2단자(320)에는 상기 보이스코일(C)이 삽입되는 삽입구멍(101,301,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8, The terminal member 300 and the first terminal 3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ignal source,
A second terminal 3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310 and the voice coil (C) is provided,
The speaker frame (100), the terminal member (300) and the second terminal 320 is a speak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101,301,321) for inserting the voice coil (C) is formed.
제1항과 제2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피커 프레임(100);
상기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부(MC); 및
상기 자기장 형성부(MC)와 연계하여 진동하는 진동부(P);
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피커.
A speaker frame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8 and 9;
A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and forming a magnetic field; And
Vibration unit (P) vib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Speaker configured includ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형성부(MC)는
상기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요크(Y);
상기 요크(Y)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G)을 두고 상기 요크(Y)의 내부에 구비되는 마그네트(M);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Yoke (Y)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A magnet (M) provided inside the yoke (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yoke (Y);
Speak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P)는
일측은 상기 자기장 형성부(MC)에 포함되는 요크(Y)와 마그네트(M) 사이에 형성된 간극(G)에 진동가능하게 위치되며 타측은 상기 스피커 프레임(100)에 구비된 댐퍼(200)에 연결되고 보이스코일(C)이 포함되는 보이스코일부(V);
상기 댐퍼(200)에 연결되는 진동판(O); 및
상기 진동판(O)과 스피커 프레임(100)에 연결되며 상기 진동판(O)과 함께 진동하는 에지 진동판(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The vibration unit P of claim 10, wherein
One side of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MC) is located so as to vibrate in the gap (G) formed between the yoke (Y) and the magnet (M) and the other side to the damper (200) provided in the speaker frame 100 A voice coil unit V connected and including a voice coil C;
A diaphragm (O) connected to the damper (200); And
An edge diaphragm (E) connected to the diaphragm (O) and the speaker frame (100) and vibrating with the diaphragm (O);
Speaker comprising a.
KR1020110070975A 2011-07-18 2011-07-18 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KR1011505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975A KR101150508B1 (en) 2011-07-18 2011-07-18 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975A KR101150508B1 (en) 2011-07-18 2011-07-18 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508B1 true KR101150508B1 (en) 2012-05-31

Family

ID=4627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975A KR101150508B1 (en) 2011-07-18 2011-07-18 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50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27B1 (en) * 2015-06-11 2016-06-07 에스텍 주식회사 Thin type speaker
KR102133523B1 (en) * 2019-04-10 2020-07-13 주식회사 성주음향 Flat type speaker with integrated suspension
KR102317648B1 (en) * 2020-06-18 2021-10-26 주식회사 성주음향 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KR102646585B1 (en) 2022-12-14 2024-03-12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rame for speaker with damper
KR102646582B1 (en) 2022-12-14 2024-03-12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rame for spe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897A (en) * 2000-12-09 2002-06-21 이형도 A Magnetic circuit of micro speaker
JP3434384B2 (en) * 1995-03-28 2003-08-04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Speaker damper
JP2006191252A (en) * 2005-01-05 2006-07-20 Minebea Co Ltd Loudspeaker
KR101026987B1 (en) * 2009-05-11 2011-04-11 주식회사 성주음향 A speaker having b-damper and fpc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4384B2 (en) * 1995-03-28 2003-08-04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Speaker damper
KR20020046897A (en) * 2000-12-09 2002-06-21 이형도 A Magnetic circuit of micro speaker
JP2006191252A (en) * 2005-01-05 2006-07-20 Minebea Co Ltd Loudspeaker
KR101026987B1 (en) * 2009-05-11 2011-04-11 주식회사 성주음향 A speaker having b-damper and fpcb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27B1 (en) * 2015-06-11 2016-06-07 에스텍 주식회사 Thin type speaker
KR102133523B1 (en) * 2019-04-10 2020-07-13 주식회사 성주음향 Flat type speaker with integrated suspension
KR102317648B1 (en) * 2020-06-18 2021-10-26 주식회사 성주음향 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KR102646585B1 (en) 2022-12-14 2024-03-12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rame for speaker with damper
KR102646582B1 (en) 2022-12-14 2024-03-12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rame for spea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393B1 (en) Speaker frame and speaker having the same
KR101150508B1 (en) 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CN103209377A (en) Multi-functional loudspeaker
US8811652B2 (en) Electrodynamic spe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271237A1 (en) Speaker having improved sound-radiating function to both directions
CN207968951U (en) Microspeaker
CN209017299U (en) Loudspeaker
KR101052622B1 (en) Terminal for voice coil and speaker having the same
KR100910621B1 (en) Coaxial speaker
KR101341733B1 (en) Speaker Integrated with Damper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85840B1 (en) Sound transducer
KR101017070B1 (en) Speaker
KR101101696B1 (en) Micro speaker with dual suspension
CN106101964A (en) A kind of Microspeaker
KR101759065B1 (en) Speaker having tinsel wire insertion type damp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amper
KR101322853B1 (en) Bass enhancing speaker
KR100999485B1 (en) Speaker
KR102228315B1 (en) Panel excitation type speaker
JP6253101B2 (en) Electrodynam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diaphragm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ynam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318698B1 (en) Micro speaker
KR101330112B1 (en) Dynamic receiver
KR101822186B1 (en) Speaker having tinsel wire insertion type damp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amper
KR20090068706A (en) Slim type speaker
KR101558087B1 (en) Diaphragm for rectangle speak and rectangle slim speak havingthereof
KR101046786B1 (en)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