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648B1 - 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 Google Patents

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648B1
KR102317648B1 KR1020200074336A KR20200074336A KR102317648B1 KR 102317648 B1 KR102317648 B1 KR 102317648B1 KR 1020200074336 A KR1020200074336 A KR 1020200074336A KR 20200074336 A KR20200074336 A KR 20200074336A KR 102317648 B1 KR102317648 B1 KR 102317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frame
suspension
speaker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종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주음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주음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주음향
Priority to KR102020007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648B1/en
Priority to KR1020210139966A priority patent/KR1024400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1Centering
    • H04R9/043Inner suspension or damper, e.g. sp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 providing a speaker that is structurally slim and easy to assemb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peaker that generates a soun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provided is a flat plate-type speaker with an integrated vibration plate, a suspension, and a frame comprising: a frame part that forms an exterior of the speaker; a magnetic field forming part connected to the frame part and forming a magnetic field; a voice coil part that vibrates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in connection with the magnetic field forming part; a vibration plate connected to the voice coil part; and a suspension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part and the vibration plate to enable vibration of the vibration plate with respect to the frame part, wherein the voice coil part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vibration plate, and the suspension, the vibration plate, and the frame are integrally formed.

Description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본 발명은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speaker in which a diaphragm, a suspension and a frame are integrated, and an electronic product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앰프 등의 전기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내장된 마그넷을 활용한 자기장 내에서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보이스 코일의 움직임을 진동판의 진동으로 변환시켜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소리를 방출하는 음향 장치를 말한다. 즉, 스피커는 전기신호로 진동판을 진동시켜 음파를 만들어 내는 장치이다.In general, a speaker uses an electric signal input from an electric signal source such as an amplifier, and converts the movement of the voice coil into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voice coil in a magnetic field using a built-in magnet, thereby generating microscopic waves in the air. An acoustic device that emits sound by generating That is, a speaker is a device that generates sound waves by vibrating a diaphragm with an electric signal.

최근에는 스피커를 탑재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장치가 슬림화 됨에 따라, 이에 사용되는 부품인 스피커 또한 초소형화 및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devices such as a display mounted with a speaker have become slimmer, a speaker, which is a component used therefor, is also required to be miniaturized and slimmed down.

종래에는 스피커의 소형화를 위하여, 댐퍼(서스펜션)의 진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프레임(스피커)의 슬림화가 가능하도록 제작한 구조로서,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06520호에서 일체형의 프레임을 구비한 스피커로 제안된 바 있다.Conventionally, for the miniaturization of the speaker, it is a structure manufactured so that the frame (speaker) can be slimmed while securing space for vibration of the damper (suspension). It has been proposed as an equipped speaker.

선행기술문헌에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서스펜션을 사출성형 등의 공정을 통해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생산공정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구조적인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보이스코일과의 전기적 연결을위하여 서스펜션이 통전 가능한 금속으로 구비되는 한편, 이 서스펜션이 외부와 연결됨으로써 진동부의 역할과 함께 단자 또는 터미널의 역할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prior art literature, a suspension made of metal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rame through a process such as injection molding, thereby shorten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enabling structural miniaturization. That is, in the prior art document, the suspension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metal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voice coil, while the suspension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o have a structure that serves as a terminal or terminal along with the role of the vibrating unit.

하지만, 이와 같이 금속 소재의 서스펜션 일체형의 프레임을 제작하였으나, 기존의 금속 서스펜션은 스피커의 작동시 진동연결부의 진동에 의해 쇳소리가 발생한다는 점, 그리고 금속 재질이 갖는 한계로 인해 반복되는 진동에 의하여 진동부나 단자부 등의 연결부위가 끊어지는 취약점이 그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However, although a metal suspension-integrated frame wa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metal suspension vibrates due to repeated vibrations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connection par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and the limitation of the metal material. The weakness of the connection part such as part or terminal part is exposed as a problem.

한편, 종래에 금속 소재 대신 플라스틱 소재로 댐퍼를 형성하는 경우에, 플라스틱 댐퍼에 보이스코일을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코일부착판으로서링형의 금속판재가 필요한데, 이러한 링형의 금속판재의 경우 0.2mm 이하로 제조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제품의 높이를 단축시키는 것이 다소 난해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orming a damper using a plastic material instead of a metal material in the prior art, a ring-type metal plate is required as a separate coil attachment plate to connect and fix the voice coil to the plastic damper.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t, and this causes a problem that it is rather difficult to shorten the height of the product.

이에 더하여, 댐퍼에 연결하기 위한 보이스코일의 잔여선 또는 연결선 또한 보이스코일의 일정 높이 내에서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잔여선이나 연결선이 위치하는 높이를 단축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전체 높이 축소의 어려움을 갖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residual line or connecting line of the voice coil for connecting to the damper must also be located within a certain height of the voice coil, there is a limit to shortening the height at which the residual line or connecting line is located. make it difficult

또한, 스피커의 조립의 경우에 서로 다른 소재의 부품을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연결시키는데,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공정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부품 접속의 유격이 누적되는 경우에는 슬림화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connect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in the case of assembling a speaker, it is connected using an adhesive, and the process due to the use of adhesive is increased, and if the gap between parts connection is accumulated, it adversely affects slimming. There is a problem with giving.

KRUS 10-141039310-1410393 B1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슬림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having a structurally slim shape and easy assembly, and a whole produc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speaker and an electronic product including the sam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기신호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로서, 스피커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부; 상기 자기장 형성부와 연계하여 전기신호에 따라서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부; 상기 보이스 코일부에 연결되는 진동판; 및 상기 프레임부와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부에 대한 진동판의 진동을 가능하게 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판의 내면에 상기 보이스 코일부가 연결되며, 상기 서스펜션, 진동판 및 프레임은 일체로 성형된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that generates a soun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the frame portion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speaker; a magnetic field forming unit connected to the frame unit and forming a magnetic field; a voice coil unit which vibrates according to an electric signal in connection with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a diaphragm connected to the voice coil unit; and a suspension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part and the diaphragm and enabling vibration of the diaphragm with respect to the frame part, wherein the voice coil part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hragm, and the suspension, the diaphragm and the frame are integrally molded. Provides a flat-panel speaker with integrated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이때, 상기 보이스 코일부는 단자부를 통하여 전기신호를 공급받으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서스펜션에 의해서 일부분이 둘러쌓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oice coil unit may receive an electric signal through the terminal unit, and the terminal unit may be partially surrounded by the suspens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며, 상기 단자부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단자부의 타단부는 상기 진동판에서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erminal part may be insert injection molded into the diaphragm, the suspension, and the frame, one end of the terminal par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part may be exposed to the inside from the diaphragm.

일실시예에서, 상기 진동판은 중앙부에서의 두께가 외측부에 비해서 얇으며, 상기 외측부에서 상기 단자부의 상기 타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diaphragm may have a thickness in a central portion thinner than an outer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portion may be exposed in the outer por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단자부가 통과하는 상기 서스펜션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통과하는 단자부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suspension through which the terminal unit passes, so that a portion of the terminal unit through which the terminal unit passes may be exposed.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스펜션은 적어도 2번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은 수지재로 성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spension may have a shape that is curved at least twice, and the diaphragm, the suspension, and the frame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으로 상기 진동판은 전자 제품 외면으로 노출되는 전자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electronic product including a flat speaker in which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integrated, and the diaphragm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nic product.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슬림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peaker that has a structurally slim shape and is easy to assemble and a whole product includ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스피커의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4a 는 도 3 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b 는 도 4a의 변형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조립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in which a diaphragm, a suspension, and a frame of the speaker of FIG. 2 are integrated;
4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3 , and FIG. 4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odified embodiment of FIG. 4A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0 are assembly views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upper', 'upper', 'upper surface', 'lower', 'lower', 'lower surface', 'side', etc. are based on the drawings, and in fact, the components are arranged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you are going.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한다'로 언급된 구성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장의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plural forms are also included, and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include' do not exclude the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verb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스피커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도 2 의 스피커의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부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에는 도 3 의 저면 사시도가, 도 4b 에는 변형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to 5 show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the speaker of FIG.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in which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integrated is shown, FIG. 4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3 , FIG. 4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and FIG. 5 is a sp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1)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10)이 구비되고, 이 프레임(10)에 스피커의 구성요소들이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flat panel speaker 1 in which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integ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ame 10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speaker, and the frame ( 10) is provided with the components of the speaker.

스피커의 프레임(10)에는 자기장 형성부와 진동부가 구비되며, 이들에 의해서 입력된 전기신호가 진동으로 변화하여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The frame 10 of the speaker is provided with a magnetic field forming unit and a vibrating unit, and an electric signal input by them is changed into vibration to generate sound.

자기장 형성부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필수적으로 마그넷(70)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플레이트(60)와 요크(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마그넷(70)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플레이트(60)가 외측에는 요크(80)가 배치된다. 마그넷(70)은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전자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essentially includes a magnet 70 to form a magnetic field, and if necessary, may include a plate 60 and a yoke 80, and in this embodiment, based on the magnet 70, on the inside A yoke 8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plate 60 . The magnet 70 generally uses a permanent magnet,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electromagnet.

진동부는 자기장 형성부에 의해서 형성된 자기장 내에서 입력된 전기신호에 따라서 진동하는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스 코일부(50)와 진동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의 진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면서 진동에 대한 진폭을 감소하기 위한 댐퍼로서 서스펜션(40)이 구비될 수 있다. The vibrating unit means a configuration that vibrates according to an electric signal input in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and may include the voice coil unit 50 and the diaphragm 20 . The suspension 40 may be provided as a damper for stably inducing the vibration of the vibrating unit and reducing the amplitude of the vibration.

한편, 보이스 코일부(50)는 외부의 전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30)에 연결된다. 즉, 단자부(30)의 일단부(31)가 외부 전선에 연결되고, 타단부(35)가 보이스 코일부(50)에 연결됨으로 인하여 단자부(30)를 통하여 전기신호가 보이스 코일부(50)로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voice coil unit 5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30 for supplying an external electric signal. That is, since one end 31 of the terminal unit 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ire and the other end 35 is connected to the voice coil unit 50 ,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unit 30 to the voice coil unit 50 . can be provided as

프레임(10)은 평면상에서 진동판(20)을 둘러싸며, 진동판(20)과 프레임(10) 사이에는 진동판(20)의 프레임(10)에 대한 상대운동(진동)을 허용하면서도 진폭을 감소시키도록 진동판(20) 및 프레임(10)에 연결된 서스펜션(40)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동부를 구성하는 진동판(20), 서스펜션(40) 및 프레임(10)은 일체로 성형되어 단일 부품이며, 프레임(10)은 진동판(20), 서스펜션(40)이 일체로 연결된 부품을 대표하는 명칭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frame 10 surrounds the diaphragm 20 in a planar view, and between the diaphragm 20 and the frame 10, a relative motion (vibration) of the diaphragm 20 with respect to the frame 10 is allowed while reducing the amplitude. A suspension 40 connected to the diaphragm 20 and the frame 10 is dispo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phragm 20, the suspension 40, and the frame 10 constituting the vibrating unit are integrally molded to form a single part, and the frame 10 includes the diaphragm 20 and the suspension 40. It can be used as a name representing integrally connected parts.

프레임(10)은 모서리에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11)의 형성부에 프레임(10)의 외면으로는 단자부(30)의 일단부(31)가 노출될 수 있으며, 단자부(30)의 일단부(31)가 노출됨으로 인하여, 외부 전선의 연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The frame 10 has a through hole 11 formed at the corner, and one end 31 of the terminal unit 30 may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 in the form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1 , , because one end 31 of the terminal part 30 is exposed, the connection of an external wire may be facilitated.

진동판(20)과 서스펜션(40)이 일체화된 프레임(10)에 단자부(30)도 일체화될 수 있다. 진동판(20), 서스펜션(40) 및 프레임(10)의 경우에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단자부(30)의 경우에 전기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금속인 단자부(30)가 진동판(20), 서스펜션(40) 및 프레임(10)의 안에 들어간 상태로 성형되도록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 The terminal unit 30 may also be integrated into the frame 10 in which the diaphragm 20 and the suspension 40 are integrated. In the case of the diaphragm 20, the suspension 40, and the frame 10, i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in the case of the terminal part 30, since it must be made of metal with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metal terminal part 30 is a diaphragm. (20), the suspension 40 and the frame 1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insert injection to be molded into the inside state.

이때, 일반적인 스피커의 프레임(10) 재질에 관하여 살펴보면, 범용 고분자 합성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 알코올, EVA, 폴리우레탄,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셀룰로오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난연 고분자 합성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보네이트, COP,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looking at the material of the frame 10 of a general speaker, as general-purpose polymeric synthetic resins, polyethylene, polystyr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olefin, polyvinylidene chloride, polyvinyl alcohol, EVA, polyurethane, polymethylpentene, poly Methyl methacrylate, cellulose, etc. can be used, and polyester, polyacetal, polyacrylonitrile, polycarbonate, COP, polyethersulfone, polyarylate, etc. can be used as a flame retardant polymer synthetic resin.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에 서스펜션(40) 및 진동판(20)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구성한 바, 잦은 진동에 취약한 서스펜션(40)을 보강하기 위하여 이들의 재질을 기존의 플라스틱보다 강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pension 40 and the diaphragm 20 are integrally molded to the frame 10 and their materials are used to reinforce the suspension 40, which is vulnerable to frequent vibrations, than that of conventional plastics. It can be made of strong materials.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10)의 재질을 폴리아미드, 즉 나일론 수지를 선택하여 사용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수지에 유리 섬유를 추가하여 수지 혼합물을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상기한 특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하였다. 폴리아미드는 낮은 밀도와 마찰계수를 가지며, 높은 마모저항과, 비부식성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탄력성이 좋고 강도가 높다. 즉, 본 발명은 유리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프레임(10)을 제작함으로써 서스펜션(40)의 잦은 진동에도 내성을 갖는 스피커를 달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polyamide, that is, nylon resin, is selected as the material of the frame 10 and, if necessary, glass fiber is added to the resin to form a resin mixture, so that the material has superior properti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was made with Polyamide has low density and coefficient of friction, high wear resistance, non-corrosive properties, good elasticity and high strength.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having resistance to frequent vibration of the suspension 40 can be achieved by manufacturing the frame 10 using the glass fiber reinforce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한편, 이 실시예에서, 금속 재질의 단자부(30)가 일측은 진동판(20)에 연결되기 때문에, 진동판(20)의 진동에 따라서 함께 떨리게 되며, 이는 단자부 역시 진동에 노출되어 피로 파괴등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단자부(30)는 진동판(20), 서스펜션(40) 및 프레임(10)의 안에 들어간 상태로 성형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상술한 프레임(10), 서스펜션(40)에 의해서 강성을 보강받을 수 있어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since one side of the terminal part 30 made of a metal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diaphragm 20, it vibrates together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20, which is also exposed to the vibration, thereby risking fatigue failure. There is this. Therefore, the terminal part 30 is insert injection molded to be molded into the diaphragm 20 , the suspension 40 , and the frame 10 to receive rigidity reinforcement by the frame 10 and the suspension 40 .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단자부(30)는 상대적으로 얇고 긴 서스펜션(40)을 따라서 프레임(10)에서 진동판(20)으로 연장하게 되므로, 서스펜션(40)은 단자부(30)가 통과하지 않고 합성주지로만 형성되는 것과, 단자부(30)가 통과하는 서스펜션(41)을 포함한다. 단자부가 통과하는 서스펜션(41)는 진동판(20)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Since the terminal part 30 extends from the frame 10 to the diaphragm 20 along the relatively thin and long suspension 40, the suspension 40 is formed only of a synthetic base without the terminal part 30 passing through, and the terminal part and a suspension 41 through which 30 is passed. The suspension 41 through which the terminal part passes is disposed at a posit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diaphragm 20 , but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hereto.

단자부(30)가 통과하는 서스펜션(41)은 단자부(30)의 삽입되더라도 서스펜션(41)의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스펜션(41)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구멍(4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멍(42)은 서스펜션(41)이 댐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단자부(30)를 인서트 성형할 때, 서스펜션(41)의 형상이 정확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The suspension 41 through which the terminal part 30 passes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42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spension 41 so that the suspension 41 can perform the original role of the suspension 41 even when the terminal part 30 is inserted. . These holes 42 not only help the suspension 41 to perform a role as a damper, but also can help the shape of the suspension 41 to be accurately formed when the terminal portion 30 is insert-molded.

단자부(30)는 일단부(31)가 프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부(35)는 진동판(20)의 내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스피커(1) 조립시에 프레임(10)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30)의 일단부(31)로 전기신호를 제공하는 전선을 연결하기 용이하며, 진동판(20) 내부에 접착되는 보이스 코일부(50)의 전선이 타단부(35)에 연결되기도 용이하다. As for the terminal part 30 , one end 3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0 , and the other end 35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diaphragm 20 . 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speaker 1, it is easy to connect a wire provid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one end 31 of the terminal part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0, and the voice nos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iaphragm 20 It is also easy to connect a portion of the wire 50 to the other end 35 .

이 실시예에서, 단자부(30)는 평면 상에서 상기 일단부(31)로부터 진동판(20)의 중심으로 연장하는 제 1 연장부(32), 대략 진동판(2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연장부(33) 및 진동판의 중심으로 연장하는 제 3 연장부(34)를 포함하는데, 단자부(30)가 서스펜션(41)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서스펜션(41)과 적어도 일부분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제 3 연장부(34)는 진동판(20)의 내면에 밀착하면서 노출될 수 있도록 진동판(20)의 내면을 따라서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단자부(30)에서 적어도 제 2 연장부(33)는 서스펜션(41)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자부(30)에서 진동에 의해서 떨리는 부분을 서스펜션(41)이 잡아줌으로써 단자부(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part 3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32 extending from the one end 31 to the center of the diaphragm 20 on a plane,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approximate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aphragm 20 . It includes the portion 33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34 extending to the center of the diaphragm, and since the terminal portion 30 is disposed inside the suspension 41, at least a portion of the suspension 41 has the same shape. do. The third extension 34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hragm 20 so as to be exposed while closely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hragm 20 .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second extension part 33 of the terminal part 30 be surrounded by the suspension 41 , and the suspension 41 catches the part that vibrates due to vibration in the terminal part 30 ,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terminal part 30 . can improve

도 4a 에서 보이듯이, 진동판(20)은 이 실시예에서 평면상에서 원형 형상을 가지나, 진동판(20)은 원형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진동판(20)은 무게가 무거워지는 경우에 진동폭이 감소하므로, 얇은 두께, 예를 들면, 1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진동판(20) 형성 소재로 나일론 수지를 선택하고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경우에 진동판(20)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흐느적거릴 수 있기 때문에, 진동판(20)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중앙부(21)와 상기 중앙부(21)의 외측에서 중앙부(21)를 둘러싸며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외측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외측부(22)는 진동판(20)에 강성을 제공하고, 중앙부(21)의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인하여 진동판(20)의 무게를 경감하여 원하는 진동판(20)의 진폭을 얻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 the diaphragm 20 has a circular shape in plan view in this embodiment, but the diaphragm 20 is not limited to a circular shap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ince the vibration width is reduced when the weight of the diaphragm 20 is increased, the diaphragm 20 is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for example, 1 mm or less. In this embodiment, when nylon resin is selected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diaphragm 20 and the diaphragm 20 is formed to be thin, the diaphragm 20 may not maintain its shape and may sway, so the diaphragm 20 is a relatively thin central portion 21 and the outer portion 22 surrounding the central portion 21 from the outside of the central portion 21 and having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The relatively thick outer part 22 provides rigidity to the diaphragm 20, and due to the relatively thin thickness of the central part 21, the weight of the diaphragm 20 is reduced to obtain a desired amplitude of the diaphragm 20. have.

진동판(20)의 외측에는 진동판(20)과는 별도의 부품인 에지(25)가 연결되며, 에지(25)는 일측은 프레임(10)에 첩착되며, 타측은 진동판(20)에 접착되며, 스피커(1)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면서,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n edge 25, which i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diaphragm 2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diaphragm 20, and the edge 25 has one side attached to the frame 10, and th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diaphragm 20, While divid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peaker 1, it can serve as a damper for absorbing vibration.

한편, 도 4b 와 같이 진동판(20)은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도 4b 의 경우에 도 4a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면, 진동판(20)의 두께가 얇지 않아도 되는 경우 즉, 진폭이 크게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진동판(20)은 중앙부(21)와 외측부(22)로 구분되지 않고 단일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단자부(30)의 타단부(35)가 내부로 노출되는 것은 동일하며, 진동판(20)의 영역에서 단자부(30)가 노출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B , the diaphragm 20 may be deformed. In the case of FIG. 4B, if only a different part from FIG. 4A is described, when the thickness of the diaphragm 20 does not need to be thin, that is, when the amplitude is not large, the diaphragm 20 has a central portion 21 and an outer portion 22. It may be formed in a single thickness without being divided into . In this case, it is the same that the other end 35 of the terminal part 30 is exposed to the inside, and the terminal part 30 is exposed in the area of the diaphragm 20 .

도 4a 에서 보이듯이, 외측부(22)는 단자부(30)의 타단부(35)가 노출되는 2개의 간극(23)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즉, 단자부(30)의 타단부(35)는 중앙부(21)의 내면에 얹혀지며, 외측부(22)에는 일부가 삽입되어 간극(23) 부분만 스피커(1) 내부로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자부(30)의 타단부(35) 외측부(22)에 의해서 진동판(20)에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 the outer portion 22 may be disposed with two gaps 23 interposed therebetween through which the other end portion 35 of the terminal portion 30 is exposed. That is, the other end 35 of the terminal part 30 is plac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part 21 , and a part is inserted into the outer part 22 , so that only the gap 23 part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peaker 1 . Accordingly, it may be fixed to the diaphragm 20 by the outer 22 of the other end 35 of the terminal unit 30 .

서스펜션(40)은 이 실시예에서 프레임(10)과 진동판(20) 사이에서 충분히 긴 거리를 가져서 댐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면상에서 봤을 때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서스펜션(40)은 단자부(30)가 통과하는 서스펜션(41)과 단자부가 통과하지 않는 서스펜셔을 모두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서스펜션(40, 41)은 총 8개가 진동판(20)을 중심으로 등각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그 수가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uspension 40 in this embodiment has a long enough distance between the frame 10 and the diaphragm 20 to function as a damper, and has a bent shape in plan view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As described above, the suspension 40 includes both the suspension 41 through which the terminal unit 30 passes and the suspension through which the terminal unit does not pass.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eight suspensions 40 and 41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diaphragm 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suspensions 40 and 41 may be adjusted as necessary.

도 5 에서 보이듯이, 서스펜션(40, 41)에서 프레임(10)에 연결되는 부분과 진동판(20)에 연결되는 부분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어, 서스펜션(40, 41)으로 인하여 진동판(20)과 프레임(10) 사이의 높이차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in the suspensions 40 and 41 , the part connected to the frame 10 and the part connected to the diaphragm 20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nd the diaphragm 20 and the diaphragm 20 and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rames 10 is prevented from occurring. Therefore, thinning can be achieved.

한편, 요크(80)는 상기 진동판(20)의 떨림을 허용하면서도 서스펜션(40) 등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45)을 확보할 수 있도록 중심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절곡진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마그넷(70)을 수용하는 중심부는 움푹들어가며, 외측으로 나가면서 올라왔다가 다시 낮아지면서 공간을 확보하는 구조를 가진다. 요크(80)의 외측 단부는 프레임(20)에 끼워지도록 프레임(20) 및 요크(80)가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yoke 80 has a curved shape going outward from the center so as to secure the inner space 45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uspension 40 while allowing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20 . Specifically, the center accommodating the magnet 70 is recessed, and has a structure that secures a space while going up and lowering again while going out. The frame 20 and the yoke 80 are configured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yoke 80 is fitted to the frame 20 .

도 1 내지 5 의 실시예의 경우에 프레임(10)은 서스펜션(40) 및 진동판(20)과 일체로 성형되며, 단자부(30)까지 선택적으로 일체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일체화된 부품은 각 부품간의 유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피커(1)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1 to 5 , the frame 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spension 40 and the diaphragm 20 , an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integrate even the terminal part 30 . Such integrated parts do not require a gap between the respective parts, and thus the overall height of the speaker 1 can be reduced.

또한, 최근의 추세는 모든 전자 제품이 박형화, 소형화 되는 것인데, 이로 인하여 스피커(1)의 진동판(20)이 직접 외부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5 의 실시예의 경우에 진동파(20)이 합성 수지로 성형되기 때문에 스피커(1)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에 성형되는 수지를 조절하는 것으로도 외장과 동일한 재질/색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외장을 붙이지 않아도 되며, 이는 스피커(1)의 외부 노출로 인하여 진동판(20)의 무게가 증대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어서, 스피커(1)의 외부 노출에도 스피커(1)의 성능이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 recent trend is that all electronic products become thinner and smaller, which may cause the diaphragm 20 of the speaker 1 to be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5 , since the vibration wave 20 is molded of synthetic resin, the same material/color as that of the exterior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molded resin when the speaker 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attach a separate exterior, which means that the weight of the diaphragm 20 does not need to be increased due to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speaker 1,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peaker 1 does not deteriorate even when the speaker 1 is externally exposed. It offer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또한, 단자부(30)가 서스펜션(41)의 내부에 위치함으로 인하여, 단자부(30)의 금속 떨림음의 발생이 없으며, 서스펜션(41)으로 강성/내구성이 보완되어 단자부(30) 자체의 수명도 증대될 수 있으며, 이는 스피커(1)의 수명 및 성능향상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part 30 is located inside the suspension 41, there is no metal vibration of the terminal part 30, and the rigidity/durability is supplemented by the suspension 41, so the lifespan of the terminal part 30 itself is also improved. can be increased, which leads to improvement in the lifespan and performance of the speaker 1 .

도 6 내지 10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조립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6 to 10 show an assembly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0)은 서스펜션(40) 및 진동판(20)과 일체소 성형되며, 단자부(30)까지 선택적으로 일체화되는 것이 가능하여, 하나의 부품, 프레임(10)을 준비함으로써, 서스펜셔(40), 진동판 및 단자부(30)의 연결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도 6 에 보이듯이, 일체화된 부품, 프레임(10)의 진동판(20)에 보이스 코일부(50)를 접착시키고, 도 7 에서 보이듯이, 진동판(20) 내면으로 노출된 단자부(30)의 타단부(35)에 보이스 코일부(50)의 전선을 용접한다. 도 8 에서 보이듯이, 에지(25)를 진동판(20)의 외측에 접착시킴으로써, 프레임(10) 및 보이스 코일부(50)의 결합이 완료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0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suspension 40 and the diaphragm 20, an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integrate even the terminal part 30, so that one part, the frame 10 By preparing, the connection of the suspension 40, the diaphragm and the terminal part 30 is unnecessary.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the voice coil unit 50 is attached to the diaphragm 20 of the integrated component, frame 10 , and as shown in FIG. 7 , the terminal part 30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hragm 20 . The electric wire of the voice coil part 50 is welded to the other end part 35 of the As shown in FIG. 8 , by bonding the edge 25 to the outside of the diaphragm 20 , the coupling between the frame 10 and the voice coil unit 50 is completed.

상기 도 6 내지 8 과 동시에 혹은 별개로, 도 9 와 같은 자기장 형성부에 대한 조립이 가능하며, 조립된 자기장 형성부를 상기 프레임(10)과 보이스 코일부(50)가 결합된 부품에 조립함으로써, 스피커(1)의 조립이 완료된다.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as shown in Fig. 9 simultaneously with or separately from Figs. 6 to 8, and by assembling the assembled magnetic field forming unit to the component in which the frame 10 and the voice coil unit 50 are combined, The assembly of the speaker 1 is complet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는 제조 과정이 단순화/간편화 될 수 있으며, 이는 생산성의 증대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pe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implified/simplified manufacturing process, which may lead to an increase in productivit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스피커 10: 프레임
20: 진동판 30: 단자부
40, 41: 서스펜션 50: 보이스 코일부
60: 플레이트 70: 마그넷
80: 요크부
1: Speaker 10: Frame
20: diaphragm 30: terminal part
40, 41: suspension 50: voice coil unit
60: plate 70: magnet
80: yoke unit

Claims (8)

전기신호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로서,
스피커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부;
상기 자기장 형성부와 연계하여 전기신호에 따라서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부;
상기 보이스 코일부에 연결되는 진동판; 및
상기 프레임부와 진동판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부에 대한 진동판의 진동을 가능하게 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판의 내면에 상기 보이스 코일부가 연결되며,
상기 서스펜션, 진동판 및 프레임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
A speaker that generates soun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 frame part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speaker;
a magnetic field forming unit connected to the frame unit and forming a magnetic field;
a voice coil unit which vibrates according to an electric signal in connection with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a diaphragm connected to the voice coil unit; and
a suspension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part and the diaphragm and enabling vibration of the diaphragm with respect to the frame part;
The voice coil unit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hragm,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integrated flat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spension, the diaphragm and the frame are integrally mol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부는 단자부를 통하여 전기신호를 공급받으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서스펜션에 의해서 일부분이 둘러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1,
The voice coil unit receives an electric signal through the terminal unit,
wherein the terminal part is partially surrounded by the suspens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며,
상기 단자부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단자부의 타단부는 상기 진동판에서 내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rminal part is insert injection molded into the diaphragm, the suspension and the frame,
One end of the terminal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frame,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unit is a flat panel speaker in which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integr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phragm is exposed to the ins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중앙부에서의 두께가 외측부에 비해서 얇으며,
상기 외측부에서 상기 단자부의 상기 타단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aphragm has a thinner thickness in the central portion than in the outer portion,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integrated flat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part is exposed from the outer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가 통과하는 상기 서스펜션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integrated flat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suspension through which the terminal part passes.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동일 평면에서 적어도 2번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integrated flat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spension has a shape curved at least twice in the same plan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은 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integrated flat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are molded of a resin material.
제 7 항의 진동판, 서스펜션 및 프레임이 일체화된 평판형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으로,
상기 진동판은 전자 제품 외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품.
An electronic product comprising the flat speaker in which the diaphragm, suspension and frame of claim 7 are integrated,
The diaphragm is an electronic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nic product.
KR1020200074336A 2020-06-18 2020-06-18 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KR102317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36A KR102317648B1 (en) 2020-06-18 2020-06-18 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KR1020210139966A KR102440085B1 (en) 2020-06-18 2021-10-20 Flat Type Speaker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36A KR102317648B1 (en) 2020-06-18 2020-06-18 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966A Division KR102440085B1 (en) 2020-06-18 2021-10-20 Flat Type Speaker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648B1 true KR102317648B1 (en) 2021-10-26

Family

ID=782686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336A KR102317648B1 (en) 2020-06-18 2020-06-18 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KR1020210139966A KR102440085B1 (en) 2020-06-18 2021-10-20 Flat Type Speaker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966A KR102440085B1 (en) 2020-06-18 2021-10-20 Flat Type Speaker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764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885A (en) * 2004-02-20 2005-08-24 주식회사 진영음향 One channel 2-way speaker
KR20110111191A (en) * 2010-04-02 2011-10-10 주식회사 성주음향 Slim type micro-speaker having diaphragm module unifying suspension with diaphragm
KR101150508B1 (en) * 2011-07-18 2012-05-31 광원텍(주) 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KR20130002858U (en) * 2011-11-04 2013-05-14 황두용 A speaker assembly
KR101410393B1 (en) 2012-09-25 2014-06-23 주식회사 에스제이앤에스 Speaker frame and speaker having the same
KR20160029428A (en) * 2014-09-05 2016-03-15 유옥정 Vibration module for slim speaker and high-powered slim speaker including the vibration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014A (en) * 2003-06-12 2004-12-20 에스텍 주식회사 Lead terminal unity type damper for speaker
KR101330112B1 (en) * 2012-03-30 2013-11-15 주식회사 이엠텍 Dynamic receiv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885A (en) * 2004-02-20 2005-08-24 주식회사 진영음향 One channel 2-way speaker
KR20110111191A (en) * 2010-04-02 2011-10-10 주식회사 성주음향 Slim type micro-speaker having diaphragm module unifying suspension with diaphragm
KR101150508B1 (en) * 2011-07-18 2012-05-31 광원텍(주) Speaker frame and speaker using the same
KR20130002858U (en) * 2011-11-04 2013-05-14 황두용 A speaker assembly
KR101410393B1 (en) 2012-09-25 2014-06-23 주식회사 에스제이앤에스 Speaker frame and speaker having the same
KR20160029428A (en) * 2014-09-05 2016-03-15 유옥정 Vibration module for slim speaker and high-powered slim speaker including the vibratio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803A (en) 2021-12-27
KR102440085B1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9240B1 (en) Double-vibrating-diaphragm loudspeaker module
US8929583B2 (en) Multi-function vibration actuator
US10631080B2 (en) Structure of microspeaker
JP5086441B2 (en) Multi-function speaker
KR101697251B1 (en) speak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peaker
US7835538B2 (en) Loudspeaker
WO2005091674A1 (en) Multifunction vibration actuato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110274308A1 (en) Multifunctional micro speaker
EP2566192B1 (en) Ultra-slim speaker unit capable of improving low-pitched sound characteristic and sound pressure
CN107079221B (en) Electroacoustic transducing device
US20140153771A1 (en) Suspension support structure of multi-functional type vibration actuator
US10869132B2 (en) Speaker
US20170085979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2317648B1 (en) Flat Type Speaker Having Frame Intergrated With Suspension and Diaphragm and Electric Product Having It
KR100948227B1 (en) Flate speaker
US20070274542A1 (en) Damper for speaker device and speaker device
JP6394158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134612B1 (en) Rectangle speaker module
KR200454024Y1 (en) Multifunction micro speaker
US20070223712A1 (en) Composite damper for speaker
CN110012396A (en) Vibrator and the elastic coupling member for forming vibrator
CN110351640A (en) A kind of dust-proof cap assembly and Ultrathin speaker
KR102045267B1 (en) Copper plate damper for slim type speaker
CN220915424U (en) Vibration sounding monomer and electronic equipment
CN211321495U (en) Loud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