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906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906B1
KR101132906B1 KR1020100021931A KR20100021931A KR101132906B1 KR 101132906 B1 KR101132906 B1 KR 101132906B1 KR 1020100021931 A KR1020100021931 A KR 1020100021931A KR 20100021931 A KR20100021931 A KR 20100021931A KR 101132906 B1 KR101132906 B1 KR 101132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rbidity
washing water
wat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404A (ko
Inventor
신이치로 고바야시
마사요시 우에사키
다쿠히로 미시마
후미히코 사사하라
가즈히코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602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15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567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816770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0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0Water cloudiness or dirtiness, e.g. turbidity, foaming or level of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세정조의 내부의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세정수의 최고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탁도 검출부를 구비하고, 탁도 검출부는 세정부에 마련된 액분사구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부에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탁도 검출부에 세정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세정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물때 또는 기름 등의 오염물이 탁도 검출부에 부착되는 것이 경감되어, 탁도 검출부에 의한 세정수의 탁도가 정확하게 검출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를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의 세정으로 채용한 액체의 탁도(투과도)를 검출하기 위한 광 센서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6-204565 호(특허문헌 1)에 기재의 식기 세척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를 수용하는 세정조와, 세정조의 내부에 배설된 복수의 세정 노즐과, 복수의 세정 노즐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펌프를 구비한다. 이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식기의 세정이 행하여지는 때에는, 세정조의 내부에 식기가 수용되는 동시에, 세정조의 내부에 소정량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세정조의 하부에 저류된 세정수가 세정 펌프에 의해, 각 세정 노즐에 공급된다.
세정조의 내부에 수용된 식기에, 각 세정 노즐로부터의 세정수가 분사되어, 식기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식기에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조의 저부에 저류되어, 세정 펌프에 의해 다시 각 세정 노즐에 보내진다.
특허문헌 1에 기재의 식기 세척기는 또한 분수부(分水部)를 갖는다. 분수부는 세정 펌프의 하류에서, 복수의 세정 노즐에 접속된다. 분수부의 내부에는 밸브 본체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본체가 동작하는 것에 의해, 세정 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세정수가 복수의 세정 노즐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분수부에는, 그 내부를 흐르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동시에, 밸브 본체의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장착할 수 있다. 검출부로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뤄지는 투과형의 광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각 세정 노즐에 의한 세정시의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 노즐마다에, 식기의 세정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세정조의 내부에 세정수가 존재하는 한, 분수부의 내부에는 항상 세정수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분수부의 내표면이 물때 등에 의해 경시적으로 더럽혀질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세정이나 배수의 때에, 저수부의 내부의 수위가 상하한다. 저수부에 모인 세정수의 수면에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에 부착되어 있었던 기름 등의 오염물이 부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세정수의 최고 수위보다 낮은 개소에 위치하는 광 센서의 표면에는, 세정수의 수면에 모인 기름 등의 오염물이 부착된다. 따라서, 광 센서의 표면이 기름 등의 오염물에 오염되는 것에 의해, 광 센서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하고, 세정수의 탁도가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세정 노즐마다에 식기의 세정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세정수의 탁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부와, 세정부로 세정수를 압송하는 세정 펌프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조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정수를 저류하는 저류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조의 내부의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세정수의 최고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탁도 검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탁도 검출부는 세정부에 마련되는 액분사구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탁도 검출부는 세정조내에서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세정수의 최고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정부에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탁도 검출부에 세정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 등의 오염물이 탁도 검출부에 부착되는 것이 경감된다. 그 결과, 탁도 검출부에 의해 세정수의 탁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요점부 파탄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분수 기구에 접속되는 복수의 유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탁도 검출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제어계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세정 스텝에 있어서 탁도 검출부의 검출 결과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세정 스텝 및 헹굼 스텝에 있어서 플로우 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세정 스텝 및 헹굼 스텝에 있어서 다른 플로우 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세정 스텝 및 헹굼 스텝에 있어서 다른 플로우 챠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기 세척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식기 등의 피세정물의 세정 및 헹굼에 이용되는 액체를 세정수라고 칭한다.
(1) 식기 세척기의 구성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요점부 파탄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의 요점부 파탄 정면도에 있어서는, 식기 세척기(1)의 정면의 일부가 절단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는 하우징(1a)을 구비한다. 하우징(1a)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6)(도 2)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16)의 일부에는 윈도우부(16a)(도 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a)의 내부에, 식기 등의 피세정물(10)의 세정을 행하기 위한 세정조(2)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의 상단부에는, 상단 식기 바구니(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단 식기 바구니(8)는 세정조(2)의 한쪽의 측면측에 마련되는 좌측 수용부(8a), 및 세정조(2)의 다른쪽의 측면측에 마련되는 우측 수용부(8b)를 갖는다. 좌측 수용부(8a)는 우측 수용부(8b)보다도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세정조(2)의 하단부에는, 하단 식기 바구니(9)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하단 식기 바구니(9)는 세정조(2)의 한쪽의 측면측에 마련되는 좌측 수용부(9a), 및 세정조(2)의 다른쪽의 측면측에 마련되는 우측 수용부(9b)를 갖는다. 좌측 수용부(9a)와 우측 수용부(9b)는 같은 높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단 식기 바구니(8)의 좌측 수용부(8a) 및 우측 수용부(8b)와, 하단 식기 바구니(9)의 좌측 수용부(9a) 및 우측 수용부(9b)에 각종의 피세정물(10)이 수용된다.
세정조(2)의 배면에는, 세정부로서 대략 십자형상의 고정 세정 노즐(5)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 세정 노즐(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노즐부(5a) 및 그 세로 노즐부(5a)의 대략 중앙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노즐부(5b)를 갖는다. 세로 노즐부(5a)의 상단에는, 세정조(2)의 다른쪽의 측면을 향해서 횡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부(5c)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5c)에는, 복수의 액분사구(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로 노즐부(5a)의 상단의 바로 위에는 탁도 검출부(60)가 마련되어 있다. 탁도 검출부(6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세정조(2)의 한쪽의 측면측에 있어서, 고정 세정 노즐(5)의 가로 노즐부(5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도수관(6)이 장착되어 있다. 도수관(6)의 선단에, 회전 세정 노즐(7)이 연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 세정 노즐(7)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방향 및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갖고, 이들 날개부의 상면에 복수의 액분사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세정 노즐(7)은 상단 식기 바구니(8)의 좌측 수용부(8a)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세정조(2)의 다른쪽의 측면측에 있어서 가로 노즐부(5b)에는 복수의 액분사구(20b)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조(2)의 저부에는 회전 세정 노즐(3, 4)이 연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 세정 노즐(3, 4)의 각각은, 회전 세정 노즐(7)과 마찬가지로, 회전 중심에서 일방향 및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갖고, 이들의 날개부의 상면에는 복수의 액분사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세정 노즐(3)은 하단 식기 바구니(9)의 좌측 수용부(9a)의 하방에 배치되고, 회전 세정 노즐(4)은 하단 식기 바구니(9)의 우측 수용부(9b)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 노즐(3, 4, 7)도 세정부의 일 예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 식기 바구니(9)의 하방에 있어서 세정조(2)의 전면측에는, 피세정물(10)의 세정 또는 헹굼에 이용되는 세정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저류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조(2)의 배면의 하단 근방에, 급수관(3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급수관(31)은 하우징(1a)의 외부로 연장되는 동시에, 그 타단이 수도 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하우징(1a)의 내부에 있어서, 급수관(31)에는 급수 밸브(31a)가 마련되어 있다. 급수 밸브(31a)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세정조(2)의 내부에, 수도물이 세정수로서 도입된다. 세정조(2)의 내부에 도입된 세정수는 저류부(12)에 저류된다.
저류부(12)에는, 저류된 세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그리고 세정조(2)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세정조(2)의 저면의 외벽에는 온도 센서(17)가 마련되어 있다. 온도 센서(17)는 세정조(2)의 저면의 외벽을 거쳐서, 저류부(12)에 저류된 세정수의 온도 및 세정조(2)의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검출한다.
저류부(12)의 저부에는 배수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12a)의 바로 위에는, 피세정물(10)로부터 제거된 잔채(殘菜)를 수집하기 위한 잔채 필터(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잔채는 세정 또는 헹굼에 의해 피세정물(10)로부터 제거된 오염물중의 고형물을 말한다.
배수구(12a)의 하부에는 세정수 도입 도출부(G)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수 도입 도출부(G)에는 배관(11a)을 거쳐서 펌프(11)가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펌프(11)의 내부 공간과 세정수 도입 도출부(G)의 내부 공간이 연통한다. 펌프(11)에는, 하우징(1a)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32) 및 분수 기구(1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펌프(11)로서 가역회전형의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배수관(32)은 트랩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펌프(11)의 측방에는 건조 기구(72)가 마련되어 있다. 건조 기구(72)는, 예를 들면 팬 등을 포함하고, 공기 도입관(도시하지 않음)을 통과해서, 세정조(2)의 배면에서 세정조(2)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피세정물(10)의 건조 스텝에서, 세정조(2)의 내부의 공간에 기류가 발생한다.
상기의 분수 기구(15)에는 복수의 유로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복수의 유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분수 기구(15)에 접속되는 복수의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정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3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수 기구(15)에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로(Ra, Rb, Rc, Rd)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유로(Ra)는 분수 기구(15)와 회전 세정 노즐(3)을 접속한다. 이 제 1 유로(Ra)는, 분수 기구(15)의 내부의 세정수를 회전 세정 노즐(3)에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제 2 유로(Rb)는 분수 기구(15)와 회전 세정 노즐(4)을 접속한다. 이 제 2 유로(Rb)는 분수 기구(15)의 내부의 세정수를 회전 세정 노즐(4)에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제 3 유로(Rc)는 고정 세정 노즐(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유로(Rc)는 고정 세정 노즐(5)의 세로 노즐부(5a)를 통과하고, 분수 기구(15)와 탁도 검출부(60)를 접속한다. 또한, 제 3 유로(Rc)는 고정 세정 노즐(5)의 세로 노즐부(5a) 및 굴곡부(5c)를 통과하고, 분수 기구(15)와 복수의 액분사구(20a)를 접속한다. 또한, 제 3 유로(Rc)는 고정 세정 노즐(5)의 세로 노즐부(5a), 및 세정조(2)의 가로 노즐부(5b)를 통과하고, 분수 기구(15)와 복수의 액분사구(20b)를 접속한다. 이 제 3 유로(Rc)는, 분수 기구(15)의 내부의 세정수를, 탁도 검출부(60) 및 고정 세정 노즐(5)의 복수의 액분사구(20a, 20b)에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제 4 유로(Rd)도 고정 세정 노즐(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4 유로(Rd)는 고정 세정 노즐(5)의 세로 노즐부(5a), 세정조(2)의 가로 노즐부(5b), 및 도수관(6)을 통해서 분수 기구(15)와 회전 세정 노즐(7)을 접속한다. 이 제 4 유로(Rd)는 분수 기구(15)의 내부의 세정수를 회전 세정 노즐(7)에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분수 기구(15)의 내부에는 밸브 본체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밸브 본체는 펌프(11)의 동작에 따라서 분수 기구(15)의 내부 공간을 제 1 내지 제 4 유로(Ra 내지 Rd)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이 밸브 본체는, 펌프(11)의 모터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펌프(11)의 모터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이행할 때에, 분수 기구(15)의 내부 공간과 제 1 내지 제 4 유로(Ra 내지 Rd)와의 연통 상태를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펌프(11)의 모터가 단속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펌프(11)가 정지 상태로부터 동작할 때마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로(Ra, Rb, Rc, Rd)가 이 순서로 분수 기구(15)의 내부 공간에 연통된다.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 피세정물(10)의 세정 또는 헹굼이 행하여질 경우에는, 우선 급수 밸브(31a)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급수관(31)으로부터 세정조(2)의 저면을 통과하고, 저류부(12)의 내부에 세정수(수도물)가 공급된다.
소정량의 세정수가 저류부(12)의 내부에 저류된 후, 펌프(11)의 모터가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저류부(12)에 저류된 세정수가 펌프(11)에 의해 흡인되고, 분수 기구(15)에 압송된다. 분수 기구(15)에 있어서는, 펌프(11)로부터 압송된 세정수가 밸브 본체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유로(Ra 내지 Rd)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세정수가 제 1 유로(Ra)에 공급되면, 회전 세정 노즐(3)의 액분사구로부터 하단 식기 바구니(9)의 좌측 수용부(9a)에 수용된 피세정물(10)을 향해서 세정수가 분사된다. 세정수가 제 2 유로(Rb)에 공급되면, 회전 세정 노즐(4)의 액분사구로부터 하단 식기 바구니(9)의 우측 수용부(9b)에 수용된 피세정물(10)을 향해서 세정수가 분사된다. 세정수가 제 4 유로(Rd)에 공급되면, 회전 세정 노즐(7)의 액분사구로부터 상단 식기 바구니(8)의 좌측 수용부(8a)에 수용된 피세정물(10)을 향해서 세정수가 분사된다.
회전 세정 노즐(3, 4, 7)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는 때에는, 세정수의 분사에 따라 날개부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해, 회전 세정 노즐(3, 4, 7)이 연직축 둘레로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 회전 세정 노즐(4)로부터 피세정물(10)로의 세정수의 분사 방향이 연속적으로 변화된다.
세정수가 제 3 유로(Rc)에 공급되면, 고정 세정 노즐(5)의 액분사구(20a, 20b)로부터 상단 식기 바구니(8)의 우측 수용부(8b)에 수용된 피세정물(10)을 향해서 세정수가 분사된다. 또한, 탁도 검출부(60)에 세정수가 공급되고, 세정수의 탁도가 검출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상기의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 피세정물(10)의 세정 또는 헹굼이 종료하면, 펌프(11)의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저류부(12)에 저류된 세정수 및 분수 기구(15)에 잔류하는 세정수가 배수구(12a) 및 세정수 도입 도출부(G)를 통해서 펌프(11)에 의해 흡인되고, 배수관(32)을 통해서 세정조(2)의 외부로 배출된다.
(2) 식기 세척기의 동작 개요
식기 세척기(1)의 동작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식기 세척기(1)의 동작 개요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세정조(2)의 내부에 잔류하는 세정수가 배출되고, 급수 밸브(31a)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급수관(31)으로부터 저류부(12)의 내부에 수도물이 공급된다(스텝 S1 : 배수/급수 스텝).
다음에, 세정조(2)의 내부에 공급된 수도물에 세제가 용해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를 얻을 수 있다. 그 세정수가, 펌프(11)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유로(Ra 내지 Rd)에 압송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 세정 노즐(3, 4, 7) 및 고정 세정 노즐(5)로부터 피세정물(10)에 세정수가 분사되어, 피세정물(10)의 세정이 행하여진다(스텝 S2 : 세정 스텝).
이 경우, 피세정물(10)에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조(2)의 벽면 등을 타고서 저류부(12)에 유입하고, 다시 저류부(12)에 저류된다. 저류부(12)에 저류된 세정수는, 다시 펌프(11)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유로(Ra 내지 Rd)에 압송되어, 각 노즐(3, 4, 5, 7)로부터 피세정물(10)에 분사된다. 이와 같이, 피세정물(10)의 세정시에는, 세정조(2)의 내부에서 세정수가 순환한다. 또한, 각 노즐은 회전 세정 노즐(3, 4, 7)과 고정 세정 노즐(5)을 총칭한 것을 가리킨다.
피세정물(10)의 세정이 종료하면, 피세정물(10)의 세정에 이용된 세정수가 펌프(11)에 의해 배수관(32)을 통해서 배출된다. 그 후, 급수 밸브(31a)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세정조(2)의 저류부(12)에 다시 수도물이 공급된다(스텝 S3 : 배수/급수 스텝).
다음에, 세정조(2)의 내부에 공급된 수도물이 세정수로서 펌프(11)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유로(Ra 내지 Rd)에 압송된다. 이것에 의해, 각 노즐(3, 4, 5, 7)로부터 피세정물(10)에 세정수가 분사되고, 피세정물(10)의 헹굼이 행하여진다(스텝 S4 : 헹굼 스텝).
피세정물(10)의 헹굼이 종료하면, 헹굼에 이용된 세정수가 펌프(11)에 의해 배수관(32)을 통해서 배출된다. 그 후, 급수 밸브(31a)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세정조(2)의 저류부(12)에 다시 수도물이 공급된다(스텝 S5 : 배수/급수 스텝).
다음에, 히터(14)가 동작하는 것에 의해, 저류부(12)의 내부에 저류된 수도물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그 후, 가열된 수도물이, 세정수로서 펌프(11)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유로(Ra 내지 Rd)에 압송된다. 이것에 의해, 각 노즐(3, 4, 5, 7)로부터 피세정물(10)에 소정 온도로 가열된 세정수가 분사되어, 피세정물(10)의 가열 헹굼이 행하여진다(스텝 S6 : 헹굼 스텝). 이 경우, 열에 의해 피세정물(10)의 제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열에 의해 피세정물(10)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이후의 건조 스텝에 있어서 피세정물(10)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피세정물(10)의 가열 헹굼이 종료하면, 가열 헹굼에 이용된 세정수가, 펌프(11)에 의해, 배수관(32)을 통해서 배출된다(스텝 S7 : 배수 스텝).
마지막으로, 펌프(11)의 동작이 정지되고, 건조 기구(72)가 동작한다. 건조 기구(72)는 세정조(2)의 내부 공간에 기류를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히터(14)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세정조(2)의 내부를 순환한다. 가열된 공기에 의해, 피세정물(10)이 건조된다(스텝 S8 : 건조 스텝). 피세정물(10)의 건조가 완료하는 것에 의해,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 일련의 동작이 종료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실제로는 스텝 S2의 세정 스텝에 있어서도, 세정수가 히터(14)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한편, 스텝 S4의 헹굼 스텝에 있어서는, 세정수는 히터(14)에 의해 가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세정 조건이 조정되는 것에 의해, 스텝 S4의 헹굼 스텝에 있어서도 세정수가 히터(14)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될 경우도 있다.
상기의 일련의 동작중, 스텝 S1의 배수/급수 스텝 및 스텝 S2의 세정 스텝, 또한, 스텝 S3의 배수/급수 스텝 및 S4의 헹굼 스텝의 회수는, 탁도 검출부(60)에 의해 검출되는 세정수의 탁도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스텝 S2 및 헹굼 스텝 S4에 있어서는, 탁도 검출부(60)에 의해 검출되는 세정수의 탁도에 따라서, 세정수의 온도, 및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세정수의 탁도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3) 탁도 검출부의 상세
탁도 검출부(60)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5는 탁도 검출부(60)의 조립도이다. 도 6은 탁도 검출부(60)를 종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탁도 검출부(60)는 주로 하부 커버(610), 패킹(620), 센서 수용 커버(630), 센서 지지 케이스(640), 상부 커버(650), 프린트 기판(64P), 광 센서(64) 및 탁도 검출 노즐(5x)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610)는 도 1의 세정조(2)에 있어서 천정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 세정조(2)의 천정면은 그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커버(610)의 중앙부에는 개구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커버(610)에는, 개구부(611)에 근접해서 2개의 나사 구멍(612)이 형성되어 있다.
세정조(2)의 배면, 측면, 저면, 및 천정면(각각, 도 2에 있어서 세정조(2)의 우측면, 안쪽면, 하면, 상면)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차광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가 이용된다. 또한, 세정조(2)의 전면(도 2에 있어서 세정조(2)의 좌측면)을 구성하는 도어(16)의 윈도우부(16a)를 제외한 부분의 재료로서도,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이용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어(16)의 윈도우부(16a)의 재료로서는, 투광성을 갖는 폴리메틸펜텐(PMP) 수지를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식기 세척기(1)의 사용자는 도어(16)의 윈도우부(16a)로부터 세정조(2)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탁도 검출부(60)의 조립시에는, 하부 커버(610)의 개구부(611)의 내연에 따르도록, 패킹(620)을 장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대략 배형상을 갖는 센서 수용 커버(630)가 패킹(620)을 거쳐서, 하부 커버(610)의 개구부(611)에 끼워맞춰진다. 센서 수용 커버(63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펜텐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수용 커버(630)는 투광성을 갖는다.
센서 수용 커버(630)의 중앙부에는, 센서 지지 케이스(6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630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서 수용 커버(630)에는, 수용 공간(630S)에 근접하고, 2개의 관통 구멍(639)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 수용 커버(630)가 하부 커버(610)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센서 수용 커버(630)의 2개의 관통 구멍(639)을 통과하고, 하부 커버(610)의 2개의 나사 구멍(612)에 나사(N)를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센서 수용 커버(630)가 하부 커버(610)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패킹(620)에 의해 센서 수용 커버(630)와 하부 커버(610)의 사이의 수밀성이 확보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630S)을 형성하는 센서 수용 커버(630)의 저면 중앙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단면 직사각형의 오목형상부(631)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지지 케이스(640)에는 프린트 기판(64P) 및 광 센서(64)가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 센서(64)로서는 투과형의 광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광 센서(64)는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64a), 및 포토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수광 소자(64b)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64a) 및 수광 소자(64b)의 단자는 프린트 기판(64P)에 접속된다.
프린트 기판(64P) 및 광 센서(64)를 장착한 센서 지지 케이스(640)가 센서 수용 커버(630)의 수용 공간(630S)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센서 지지 케이스(640)에 의해 지지된 발광 소자(64a) 및 수광 소자(64b)가 센서 수용 커버(630)의 오목형상부(631)를 협지해서 서로에 대향한다. 이렇게 하여, 발광부인 발광 소자(64a)와, 수광부인 수광 소자(64b)는 오목형상부(631)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의 외측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센서 지지 케이스(640)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상부 커버(650)가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센서 지지 케이스(640)가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센서 지지 케이스(640)가 센서 수용 커버(630)에 고정된다. 그것에 의해, 발광 소자(64a) 및 수광 소자(64b)도 위치 결정된다.
상부 커버(650)의 상면은 세정조(2)를 덮는 하우징(1a)의 천정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탁도 검출부(60)의 각 구성 부재가 확실하게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의 고정 세정 노즐(5)의 상단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탁도 검출부(60)를 향해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탁도 검출 노즐(5x)이 장착되어 있다. 탁도 검출 노즐(5x)의 선단에, 탁도 검출부(60)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액분사구(20c)가 형성되어 있다. 탁도 검출 노즐(5x)의 내부 공간은 도 3의 제 3 유로(Rc)의 일부를 구성한다.
탁도 검출 노즐(5x)의 선단의 액분사구(20c)는 센서 수용 커버(630)의 오목형상부(631)에 대향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세정수가 제 3 유로(Rc)에 공급될 경우에는, 세정수가 탁도 검출 노즐(5x)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속적으로 토출된다. 오목형상부(631)에 토출된 세정수는 순차 유출되지만, 세정수는 연속적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오목형상부(631)의 내부에는 세정수가 저류된 상태가 보지된다. 즉, 오목형상부(631)의 내부에는, 탁도 검출 노즐(5x)로부터 토출된 세정수가 순차 치환되면서 저류된다.
이 상태에서, 광 센서(64)가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수용 커버(630)는 투광성을 갖는다. 따라서, 발광 소자(64a)에 의해 발생된 광은, 센서 수용 커버(630)의 오목형상부(631)의 측벽 및 그 오목형상부(631)에 저류된 세정수를 통과하고, 수광 소자(64b)에 의해 수광된다.
발광 소자(64a)의 발광량이 일정할 경우에는, 수광 소자(64b)의 수광량은 오목형상부(631)에 저류된 세정수의 오염물, 즉 흐리기 정도에 따라서 변화된다. 이 때문에, 수광 소자(64b)로부터 출력되는 수광 신호의 전압값에 의거하여, 세정수의 탁도가 검출된다. 또한, 제 3 유로(Rc)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되면, 오목형상부(631)에 저류된 세정수는 그 내주면 등을 타고서 하방으로 흘러내린다.
(4) 탁도 검출부의 특징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는, 탁도 검출부(60)가 저류부(12)에 저류되는 세정수의 최고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가 제 3 유로(Rc) 이외의 유로(Ra, Rb, Rd)에 공급되는 때에는, 탁도 검출부(60)에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부분(오목형상부(631))에 세정수가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세정조(2)로부터 세정수를 배출하는 때에는, 탁도 검출부(60)에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부분(오목형상부(631))에 세정수가 잔류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탁도 검출부(60)에 오염물이 부착하는 일이 없다.
또한, 탁도 검출부(60)에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부분(오목형상부(631))에는, 세정수중에 포함되는 잔채나 기름 등의 오염물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탁도 검출 노즐(5x)의 액분사구(20c)로부터 오목형상부(631)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므로, 오목형상부(631)에 부착되고 있었던 오염물이 제거된다. 즉, 오목형상부(631)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때에는, 셀프 클리닝의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센서 수용 커버(630)의 오목형상부(631)에 물때나 기름 등의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결과,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오차가 저감되고, 장기에 걸쳐서 정확하게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탁도 검출부(60)는 세정조(2)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이 닿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만일 오목형상부(631)가 오염된 경우라도, 그 오염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식기 세척기(1)를 제조하는 때에는, 광 센서(64)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서, 광 센서(64)가 구동된다. 광 센서(64)가 세정조(2)의 천정면의 오목형상부(631)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조 작업자가 오목형상부(631)에 백지 등을 삽입하고, 광 센서(64)의 광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시의 동작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는, 탁도 검출부(60)는 제 3 유로(Rc)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한다. 세정 스텝 및 헹굼 스텝에서는, 탁도 검출부(60)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분수 기구(15)의 내부 공간과 제 3 유로(Rc)와의 연통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탁도 검출부(60)에 있어서는, 센서 수용 커버(630)의 오목형상부(631)에 탁도 검출 노즐(5x)로부터 세정수가 토출된다. 오목형상부(631)의 내부에 세정수가 저류되는 것에 의해, 광 센서(64)에서 세정수의 탁도가 검출된다.
여기에서, 탁도 검출 노즐(5x)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탁도 검출 노즐(5x)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오목형상부(631)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목형상부(631)의 저면부(632)는 수평으로 넓혀지고, 또한 하방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목형상부(631)에 탁도 검출 노즐(5x)로부터 연직방향에 세정수가 토출되면, 오목형상부(631)의 저면부(632)에 거의 균일한 수압이 가해진다. 그것에 의하여, 오목형상부(631)에 도입된 세정수에 기포가 혼입되어 있을 경우, 그 기포는 수압에 의해 오목형상부(631)로부터 하방으로 균일하게 압출된다. 이 때문에, 오목형상부(631)에 계속해서 세정수가 토출되는 경우, 오목형상부(631)에는 기포 등의 기상이 대부분 잔류하지 않는다. 즉, 발광 소자(64a)와 수광 소자(64b)와의 사이에 도입되는 세정수에 기상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오차가 저감된다.
탁도 검출 노즐(5x)을 수평방향에 배치하고, 또한 센서 수용 커버(630)를 오목형상부(631)가 탁도 검출 노즐(5x)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배치한 경우, 오목형상부(631)에 탁도 검출 노즐(5x)로부터 세정수가 토출되면, 중력의 영향에 의해, 오목형상부(631)의 연직방향에 따른 저면부(632)에 가해지는 수압이 균일해지기 어렵다. 이 때문에, 오목형상부(631)에 도입된 세정수에 기포가 혼입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기포는 오목형상부(631)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해서 체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탁도 검출 노즐(5x) 및 센서 수용 커버(630)는, 탁도 검출 노즐(5x)이 연직방향에 배치되고, 또한 오목형상부(631)가 탁도 검출 노즐(5x)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센서 수용 커버(6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탁도의 검출 오차가 저감된다.
또한, 세정수에 혼입하는 기포가 탁도의 검출 오차에 대부분 영향을 주지 않을 경우에는, 탁도 검출 노즐(5x)을 수평방향에 배치하고 또한 센서 수용 커버(630)를 오목형상부(631)가 탁도 검출 노즐(5x)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또한, 탁도 검출 노즐(5x)을 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도록 배치하고, 또한 센서 수용 커버(630)를 오목형상부(631)가 탁도 검출 노즐(5x)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탁도 검출부(60)가 저류부(12)에 저류되는 세정수의 최고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세정수가 제 3 유로(Rc) 이외의 유로(Ra, Rb, Rd)에 공급되는 때에는 오목형상부(631)에 세정수가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세정조(2)로부터 세정수가 배출될 때에도 오목형상부(631)에 세정수가 잔류하지 않는다. 따라서, 센서 수용 커버(630)의 오목형상부(631)에 물때나 기름 등의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조(2)의 전면을 구성하는 도어(16)의 윈도우부(16a)는 투광성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도어(16)를 폐쇄한 상태에서 윈도우부(16a)로부터 세정조(2)내에 외부의 광이 입사한다. 이 경우,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면, 외란 광에 의해, 광 센서(64)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탁도 검출부(60)에 있어서는, 세정수의 탁도가 검출되는 오목형상부(631)가 하부 커버(61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커버(610)는 세정조(2)의 천정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그 천정면은 차광성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도어(16)를 폐쇄한 상태에서 세정조(2)의 내부에 외부의 광이 입사할 경우라도, 그 광이 하부 커버(610)의 내측의 오목형상부(631)에 억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즉, 하부 커버(610)가 차광성의 벽부의 일 예이다. 이 결과,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시에, 외란 광에 의한 광 센서(64)의 검출 정밀도의 저하가 방지된다.
세정수를 받는 센서 수용 커버(630)의 오목형상부(631)의 내표면이 방수성을 가질 경우, 탁도 검출 노즐(5x)로부터 오목형상부(631)로의 세정수의 토출이 종료하면, 오목형상부(631)의 내표면에 세정수가 액적으로서 부착되기 쉽다. 오목형상부(631)의 내표면에 부착된 액적이 건조하면, 액적에 포함되는 오염물이 오목형상부(631)의 내표면에서 불균일하게 부착된다. 이 경우, 오목형상부(631)의 내표면이 불균일하게 더럽혀지는 것에 의해, 광 센서(64)에 의한 탁도의 검출이 불안정으로 된다.
따라서, 세정수를 받는 센서 수용 커버(630)의 오목형상부(631)의 표면은 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오목형상부(631)의 내표면에 친수성 수지를 피복한다.
이 경우, 탁도 검출 노즐(5x)로부터 오목형상부(631)로의 세정수의 토출이 종료했을 경우에, 오목형상부(631)의 내표면에 세정수가 액적으로서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오목형상부(631)의 내표면에 불균일하게 오염물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결과,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이 행하여질 때마다 오목형상부(631)에 부착된 액적에 의해 탁도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5) 식기 세척기의 제어계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식기 세척기(1)의 제어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식기 세척기(1)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제어부(70)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70a), 메모리(70b) 및 타이머(70c)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70)에는, 탁도 검출부(60), 온도 센서(17), 급수 밸브(31a), 펌프(11), 히터(14) 및 건조 기구(72)가 접속된다.
제어부(70)는, 세정수의 탁도, 및 세정수의 온도 또는 세정조(2)의 내부의 온도에 의거해서, 급수 밸브(31a), 펌프(11), 히터(14) 및 건조 기구(72)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세정수의 탁도로서는,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검출 결과인 검출값을 이용한다. 또한, 세정수의 온도 또는 세정조(2)의 내부의 온도로서는, 온도 센서(17)로 의한 검출 결과인 검출값을 이용한다. 또한, 탁도 검출부(60)의 검출값, 및 온도 센서(17)의 검출값은 통상은 전압값이다.
(6)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예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있어서 세정조(2)의 내부중 하단 식기 바구니(9)의 좌측 수용부(9a)에 대응하는 영역을 세정 영역(A)이라고 하고, 하단 식기 바구니(9)의 우측 수용부(9b)에 대응하는 영역을 세정 영역(B)이라고 하고, 상단 식기 바구니(8)의 우측 수용부(8b)에 대응하는 영역을 세정 영역(C)이라고 하고, 상단 식기 바구니(8)의 좌측 수용부(8a)에 대응하는 영역을 세정 영역(D)이라고 한다(도 3 참조).
세정 스텝 및 헹굼 스텝에 있어서는, CPU(70a)는, 예를 들면 펌프(11)의 모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펌프(11)의 모터를 30초마다 일시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로(Ra, Rb, Rc, Rd)에 순번으로 세정수가 공급되고, 세정 영역(A, B, C, D)에는 30초마다 순번으로 세정수가 분사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2분으로 세정 영역(A, B, C, D)에서의 피세정물(10)의 세정 또는 헹굼이 일순한다.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기(1)는,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로부터, 세정 영역(A, B, C, D)중 어느 세정 영역이 세정되어 있을지를 판정한다. 이하에, 세정 스텝에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에 대해서 일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세정 스텝에 있어서, 탁도 검출부(60)의 검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종축은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본 예에서는 전압값)을 나타내고,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본 예에서는, 세정수의 탁도가 높은 만큼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검출값은 낮아진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은, 시점(t0)으로부터 시점(t1)의 기간, 시점(t2)으로부터 시점(t3)의 기간, 및 시점(t4) 이후에서, 각각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시점(t1)으로부터 시점(t2)의 기간 및 시점(t3)으로부터 시점(t4)의 기간에서 크게 저하하는 동시에, 변동도 커지고 있다.
여기에서,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로(Ra, Rb, Rc, Rd)에 순번으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따라서, 세정수가 제 3 유로(Rc)에 공급되지 않는 기간에 있어서는, 도 6의 오목형상부(631)의 내부에 세정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검출값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검출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검출값이 크게 저하하는 기간(본 예에서는 시점(t1)으로부터 시점(t2)의 기간 및 시점(t3)으로부터 시점(t4)의 기간)에서 제 3 유로(Rc)를 통과해서 세정 영역(C)에 세정수가 분사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세정부인 복수의 세정 노즐(회전 세정 노즐(3, 4, 7), 고정 세정 노즐(5))에는, 순차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들 복수의 세정 노즐중 적어도 하나의 세정 노즐인 고정 세정 노즐(5)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노즐인 고정 세정 노즐(5)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타이밍을 판정하고 있다.
상기에 있어서는, 세정 스텝에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헹굼 스텝에 있어서도 거의 마찬가지의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헹굼 스텝에 있어서도,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검출값이 크게 저하하는 기간에서 세정 영역(C)에 세정수가 분사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검출값이 크게 저하하는 기간은,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해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세정 영역(A, B, C, D)에서의 피세정물(10)의 세정 또는 헹굼이 일순하는 기간을 1사이클 기간이라고 한다.
우선, 1사이클 기간으로서 미리 정해진 기간중에서, 일정의 시간 간격으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을 샘플링하고, 그 1사이클 기간 종료시에 샘플링된 검출값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다음 1사이클 기간에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이, 직전의 1사이클 기간의 종료시에 산출된 평균값(Av)(도 8의 일점 쇄선)에 대하여 높을지 낮을지를 판별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이 평균값(Av) 이상일 경우는, 세정 영역(C)에 세정수가 분사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이 평균값(Av)보다도 낮을 경우는, 세정 영역(C)에 세정수가 분사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즉, 탁도 검출부(6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탁도에 근거해서 산출한 평균값(Av)을 기준값으로 하고, 이 기준값에 근거해서 고정 세정 노즐(5)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타이밍(후술의 변동 기간)을 판정한다. 상기의 샘플링 처리, 평균값의 산출 처리, 및 판별 처리가 1사이클 기간마다에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검출값이 크게 저하하는 기간이 검출된다.
(7) 식기 세척기의 제어 예
이하, 세정 스텝 및 헹굼 스텝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1)의 제어 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이 크게 저하하는 기간(예를 들면, 도 8에 있어서, 시점(t1)으로부터 시점(t2)의 기간, 시점(t3)으로부터 시점(t4)의 기간)을 변동 기간이라고 한다.
(7-a) 제어 예 1
도 9는 세정 스텝 및 헹굼 스텝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1)의 제어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본 예에 있어서, 세정 스텝 또는 헹굼 스텝이 개시되면, CPU(70a)는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을 개시한다(스텝 S11). 또한, CPU(70a)는 펌프(11)의 단속 구동을 개시한다(스텝 S12). 여기에서, 펌프(11)의 단속 구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11)의 모터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펌프(11)의 모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본 예에서는 30초)마다 일시 정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펌프(11)의 단속 구동이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도 3의 제 1 내지 제 4 유로(Ra 내지 Rd)에 순번으로 세정수가 공급되고, 세정 영역(A 내지 D)에 순번으로 세정수가 분사된다. 제 3 유로(Rc)에 세정수가 공급되었을 때에,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이 크게 저하한다.
CPU(70a)는, 탁도 검출부(60)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술의 변동 기간을 검출하면(스텝 S13의 예), 그 변동 기간에 있어서 탁도의 검출값을 메모리(70b)에 기억한다(스텝 S14).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CPU(70a)는 그 변동 기간의 사이에서 가장 높은 탁도를 나타내는 검출값(가장 낮은 전압값)을, 그 변동 기간에 있어서 검출값으로서 메모리(70b)에 기억한다. 또한, 스텝 S13에 있어서, CPU(70a)가, 상술의 변동 기간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는(스텝 S13의 아니오), 스텝 S1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펌프(11)는, 세정 스텝 또는 헹굼 스텝 마다에 미리 설정된 스텝 시간(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의 사이에서 단속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각 유로(Ra 내지 Rd)로의 세정수의 공급이 일순하고, 다시 제 3 유로(Rc)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때에는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이 다시 크게 저하한다.
이것에 의해, CPU(70a)는,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검출값에 의거해서 다시 변동 기간을 검출하면(스텝 S15의 예), 그 변동 기간에 있어서 탁도의 검출값을 메모리(70b)에 기억하는 동시에, 그 검출값과 전회의 변동 기간에 기억된 검출값을 비교한다(스텝 S16). 스텝 S16에서의 비교 처리에 있어서, CPU(70a)는, 이 2개의 검출값의 차이를 산출하고, 탁도의 변화량이라고 한다. 또한, 스텝 S15에 있어서, CPU(70a)가 상술의 변동 기간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는(스텝 S15의 아니오), 스텝 15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CPU(70a)는 스텝 S16에서 산출된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값 이하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스텝 S17).
여기에서, 각 유로(Ra 내지 Rd)로의 세정수의 공급이 일순할 때마다 산출되는 세정수의 탁도의 변화량은 피세정물(10)의 오염물에 따라서 변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피세정물(10)의 오염의 정도가 클 경우에는, 세정수의 탁도의 변화량도 커지고, 피세정물(10)의 오염의 정도가 작을 경우에는, 세정수의 탁도의 변화량도 작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변화량이 문턱값 이하일 경우, 즉 피세정물(10)의 오염의 정도가 작을 경우(스텝 S17의 예), CPU(70a)는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을 종료하고, 펌프(11)를 정지하는 것에 의해 세정 스텝 또는 헹굼 스텝을 종료한다. 한편, 변화량이 문턱값 이하가 아닐 경우, 즉 변화량이 문턱값보다도 클 경우(스텝 S17의 아니오), CPU(70a)는 스텝 S15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상기의 제어 예에 있어서는, 탁도의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값보다도 클 경우, 즉 피세정물(10)의 오염의 정도가 클 경우에, 세정 스텝 또는 헹굼 스텝이 다시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의 내부의 피세정물(10)의 오염에 따라서,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이 연장되므로, 피세정물(10)이 충분하고 또한 확실하게 세정된다.
(7-b) 제어 예 2
상기의 제어 예 1에서는, 어떤 사이클 기간에 있어서 변동 기간의 탁도의 검출값과, 다음 사이클 기간에 있어서 변동 기간의 탁도의 검출값과의 차이(즉, 탁도의 변화량)에 의거해서 제어를 행한다. 제어 예 2에서는, 변동 기간의 사이에서의 탁도의 검출값의 변화량에 의거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세정 스텝 및 헹굼 스텝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1)의 다른 제어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또한, 도 10과 도 11은 도면중의 J 및 L을 거쳐서 플로우가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세정 스텝 또는 헹굼 스텝이 개시되면, CPU(70a)는 타이머(70c)를 스타트시키는 동시에(스텝 S20),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을 개시한다(스텝 S21). 또한, CPU(70a)는 펌프(11)의 단속 구동을 개시한다(스텝 S22).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유로(Rc)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이 크게 저하한다. 이것에 의해, CPU(70a)는, 탁도 검출부(60)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상술의 변동 기간을 검출하면(스텝 S23의 예), 그 변동 기간의 초기의 탁도의 검출값을 메모리(70b)에 기억한다(스텝 S24).
여기에서, 제 3 유로(Rc)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시점에서는, 도 6의 오목형상부(631)에 세정수가 충분히 저류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값이 불안정으로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변동 기간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변동 기간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면, 2초 정도) 경과후의 탁도의 검출값을 변동 기간의 초기의 탁도의 검출값으로서 메모리(70b)에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텝 S23에 있어서, CPU(70a)가 상술의 변동 기간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는(스텝 S23의 아니오), 스텝 2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계속해서, CPU(70a)는, 그 변동 기간의 사이에서 가장 높은 탁도를 나타내는 검출값(가장 낮은 전압값)을, 그 변동 기간에 있어서 검출값으로서 메모리(70b)에 기억한다(스텝 S25). CPU(70a)는, 변동 기간이 종료하는 것에 의해(스텝 S26의 예), 변동 기간의 초기의 탁도의 검출값과 변동 기간의 사이의 최대 탁도를 나타내는 검출값을 비교한다(스텝 S27). 스텝 S27에서의 비교 처리에 있어서는, CPU(70a)는, 이 2개의 검출값의 차이, 즉 변동 기간의 초기의 탁도의 검출값과 변동 기간의 사이의 최대 탁도를 도시하는 검출값의 차이를 산출하고, 탁도의 변화량이라고 한다. 또한, 스텝 S26에 있어서, 변동 기간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스텝 S26의 아니오), 스텝 25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CPU(70a)는 산출된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문턱값 이하일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스텝 S28). 변화량이 문턱값 이하일 경우(스텝 S28의 예), CPU(70a)는 타이머(70c)의 시간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스텝 시간(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스텝 S29).
미리 정해진 스텝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스텝 S29의 예), CPU(70a)는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을 종료하고, 펌프(11)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 스텝 또는 헹굼 스텝을 종료한다. 한편, 미리 정해진 스텝 시간이 경과하지 않고 있는 경우(스텝 S29의 아니오), CPU(70a)는 스텝 S2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상기의 스텝 S28에 있어서, 변화량이 문턱값 이하가 아닐 경우, 즉 변화량이 문턱값보다도 클 경우(스텝 S28의 아니오), 스텝 S31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S31에 있어서, 변동 기간이 다시 검출되면(스텝 S31 예), CPU(70a)는 펌프(11)의 구동의 정지 간격, 즉 펌프(11)의 구동의 정지로부터 다음 정지까지의 간격을 일시적으로 장시간화하는 것에 의해, 펌프(11)의 구동 시간을 장시간화한다(스텝 S32).
이것에 의해, 펌프(11)의 모터가 구동하는 시간이 일시적으로 길게 된다. 이 때문에, 세정 영역(C)으로의 세정수의 분사 시간이 다른 세정 영역(A, B, D)으로의 세정수의 분사 시간에 비교해서 길어진다. 따라서, 세정 영역(C)에 오염의 정도가 큰 피세정물(10)이 존재할 경우에는, 그 피세정물(10)의 오염에 따라서,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이 연장된다. 이 결과, 세정 영역(C)의 내부의 피세정물(10)이 충분하게 또한 확실하게 세정된다.
또한, 스텝 S32의 처리의 다음은 스텝 S29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31에 있어서, CPU(70a)는 다시 변동 기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스텝 S31 아니오), 스텝 S31 처리로 되돌아간다.
(8) 효과
이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는, 탁도 검출부(60)가 저류부(12)에 저류되는 세정수의 최고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3 유로(Rc)를 흐르는 세정수의 탁도가 장기에 걸쳐서 정확하게 검출된다.
또한, 제 3 유로(Rc)를 흐르는 세정수의 탁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에 의해, 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복수의 세정 영역(A 내지 D)에 있어서 세정 조건 또는 헹굼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피세정물(10)의 오염에 따른 적절한 세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탁도의 검출값에 의거해서, 복수의 세정 영역(A 내지 D)중 하나의 세정 영역(C)에서 세정수의 탁도의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산출된 변화량에 의거하여, 복수의 세정 영역(A 내지 D)중 하나의 세정 영역(C)의 세정 조건 또는 헹굼 조건을 개별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세정조(2)의 내부에서의 피세정물(10)의 배치 상태 및 피세정물(10)의 오염 정도에 따라서 적절하고 동시에 효율적인 세정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 스텝 및 헹굼 스텝에 있어서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유로(Ra, Rb, Rc, Rd)에 순번으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즉, 펌프(11)로부터 토출된 세정수는 각 유로에 분류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펌프(11)의 최대 능력으로 각 유로(Ra, Rb, Rc, Rd)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세정 영역(A 내지 D)에 충분히 높은 압력으로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으므로, 피세정물(10)의 보다 효율적인 세정이 가능해진다.
(9) 변형 예
제어 예 1 및 제어 예 2에 있어서는, 탁도 검출부(60)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탁도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그 변화량에 의거해서 세정 조건 또는 헹굼 조건을 조정하고 있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탁도의 정도에 따라서, 세정 조건 또는 헹굼 조건을 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검출된 탁도가 높을 경우에는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을 길게 조정하고, 검출된 탁도가 낮을 경우에는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을 짧게 조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피세정물(10)의 오염에 따른 적절한 세정이 가능해진다.
제어 예 1에 있어서는,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을 조정하고 있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CPU(70a)가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히터(1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의 온도를 조정해도 좋다. 또한, CPU(70a)가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세정 스텝 또는 헹굼 스텝의 회수를 증감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피세정물(10)의 오염에 따른 보다 적절한 세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 예 2에 있어서도,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세정 영역(C)에 있어서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을 조정하고 있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CPU(70a)가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히터(1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의 온도를 조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피세정물(10)의 오염에 따른 보다 적절한 세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 예 2에 있어서는, 세정 영역(C)에 있어서 세정수의 탁도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화량에 의거하여, 세정 영역(C)에 있어서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을, 다른 세정 영역(A, B, D)에 있어서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과는 독립으로 조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의 조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더해서, CPU(70a)가 상기 스텝 S25에서 기억한 최대 탁도를 나타내는 검출값과, 스텝 S23 또는 스텝 S31에서 검출되는 다음 변동 검출 기간의 초기의 탁도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세정 영역(A, B, D)에 있어서 세정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을 조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의 내부에서의 피세정물(10)의 배치 상태 및 피세정물(10)의 오염에 따라서 보다 적절하게 동시에 효율적인 세정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식기 세척기(1)에 있어서는, 제 3 유로(Rc)에 대응하는 하나의 탁도 검출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내지 제 4 유로(Ra 내지 Rd)에 대응해서, 복수의 탁도 검출부(60)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탁도 검출부(60)에 의한 세정수의 탁도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각 세정 영역(A 내지 D)에 대해서 개별로 세정 조건 또는 헹굼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1 : 식기 세척기 2 : 세정조
3, 4, 5, 7 : 노즐 5x : 탁도 검출 노즐
8 : 상단 식기 바구니 9 : 하단 식기 바구니
10 : 피세정물 11 : 펌프
12 : 저류부 14 : 세정수 히터
15 : 분수 기구 16 : 도어
20a, 20b : 액분사구 32 : 배수관
60 : 탁도 검출부 64 : 광 센서
70 : 제어부 70a : CPU
70b : 메모리 72 : 건조 기구
630 : 센서 수용 커버 631 : 오목형상부

Claims (12)

  1.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부로 세정수를 압송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세정수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세정조의 내부의 상기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세정수의 최고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탁도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탁도 검출부는,
    상기 세정부에 마련되는 액분사구에 대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액분사구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를 받는 저면부를 갖는 오목형상부와,
    상기 오목형상부 내의 세정수를 투과하는 광에 의거해서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광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탁도 검출부는 상기 액분사구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부는 투광성의 측벽을 갖고,
    상기 광 센서는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와,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는 상기 오목형상부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서로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분사구는 세정수를 상방으로 분사하고,
    상기 오목형상부는 상기 저면부가 하향으로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 검출부는 상기 오목형상부 및 상기 광 센서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차광성의 벽부를 더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부의 내표면이 친수성을 갖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세정조의 내벽 배면에 마련되는 고정 세정 노즐을 갖고,
    상기 탁도 검출부는 상기 고정 세정 노즐에 마련한 상기 액분사구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세정 노즐은, 상기 고정 세정 노즐의 상단에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탁도 검출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탁도 검출 노즐을 갖고,
    상기 액분사구를 상기 탁도 검출 노즐의 선단에 마련한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복수의 세정 노즐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세정 노즐에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를 순차 전환하는 분수(分水)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탁도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세정 노즐 중 적어도 하나의 세정 노즐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탁도를 검출하고,
    상기 탁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탁도에 의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노즐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타이밍을 판정하는 동시에, 상기 피세정물의 세정 조건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세정 노즐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기간에 있어서, 상기 탁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세정수의 탁도에 의거해서 기준값을 산출하고, 상기 기준값에 의거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정 노즐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타이밍을 판정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조건은 세정수를 분사해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시간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조건은 세정수를 분사해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회수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00021931A 2009-03-12 2010-03-11 식기 세척기 KR101132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60266 2009-03-12
JP2009060266A JP5341578B2 (ja) 2009-03-12 2009-03-12 食器洗い機
JPJP-P-2009-156702 2009-07-01
JP2009156702A JP4816770B2 (ja) 2009-07-01 2009-07-01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404A KR20100103404A (ko) 2010-09-27
KR101132906B1 true KR101132906B1 (ko) 2012-04-03

Family

ID=4271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931A KR101132906B1 (ko) 2009-03-12 2010-03-11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2906B1 (ko)
CN (1) CN1018288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3523B (zh) * 2011-05-24 2014-09-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餐具清洗机
JP5360180B2 (ja) * 2011-10-12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08205049A (zh) * 2016-12-16 2018-06-26 南京菜宝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能即时监测并提示净化效能的净化方法、装置及***
CN107755336A (zh) * 2017-09-05 2018-03-06 安徽省富邦天成食品有限公司 一种米线加工智能化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030A (ko) * 2003-08-25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KR100769777B1 (ko) 2005-04-14 2007-10-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20080051369A (ko) * 2006-12-05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세척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531A (en) * 1994-05-20 1995-08-22 Honeywell Inc. Sensor with led current control for use in machines for washing articles
CN1682636A (zh) * 2004-04-12 2005-10-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碗机的混浊度通知方法
CN1714733A (zh) * 2004-06-14 2006-01-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餐具洗涤机以及其过程控制方法
CN1778256A (zh) * 2004-11-26 2006-05-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碗机混浊度传感器安装结构
JP4442447B2 (ja) * 2005-01-28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DE102007031480B4 (de) * 2007-07-06 2009-05-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enso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der Trübung von Spülflot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030A (ko) * 2003-08-25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KR100769777B1 (ko) 2005-04-14 2007-10-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20080051369A (ko) * 2006-12-05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세척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404A (ko) 2010-09-27
CN101828895A (zh) 2010-09-15
CN101828895B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482B1 (ko) 식기세척기
KR100773645B1 (ko) 식기 세척기
KR101132906B1 (ko) 식기 세척기
KR960013156B1 (ko) 식기 세척기
JP2011092316A (ja) 食器洗い機
JP5257419B2 (ja) 食器洗い機
JP4752960B2 (ja) 食器洗い機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JPH0724647B2 (ja) 食器洗浄機
JP5278201B2 (ja) 食器洗い機
KR100640870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및 그 제어방법
JP5341578B2 (ja) 食器洗い機
KR20170139804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120123102A (ko) 식기 세척기
KR100651858B1 (ko) 식기세척기
KR20060024597A (ko) 식기세척기의 구조
JP4816770B2 (ja) 食器洗い機
KR101217384B1 (ko) 식기 세척기
KR100640796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JP5669702B2 (ja) 食器洗浄機
JP2012125495A (ja) 食器洗い機
KR101053572B1 (ko)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KR20080012599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JP4939561B2 (ja) 食器洗い機
KR20210099912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