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620B1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620B1
KR101110620B1 KR1020090003624A KR20090003624A KR101110620B1 KR 101110620 B1 KR101110620 B1 KR 101110620B1 KR 1020090003624 A KR1020090003624 A KR 1020090003624A KR 20090003624 A KR20090003624 A KR 20090003624A KR 101110620 B1 KR101110620 B1 KR 10111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mobile station
base station
tfci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177A (ko
Inventor
다쓰로 야지마
히데히코 오야네
아키히토 하나키
다이스케 다니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7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references to control power, e.g. look-up-t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sent by anoth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centralized, e.g. whe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or equivalent takes part in the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무선 기지국 사이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이동국 사이의 메시지를 이용하면서, 이동국에 대하여 허용할 수 있는 최대의 E-DPDCH와 E-DPCCH와의 송신 파워비인 SG의 결정에 관한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기지국(100)은, 이동국(300A)이 송신하는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포맷의 조합인 E-TFCI와, SG의 결정에 사용되고 이동국이 송신하는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파워 오프셋인 βed를 대응시킨 테이블을 저장하는 테이블 저장부(111); E-TFCI에 대응하는 βed를 테이블 중에서 선택하는 파라미터 선택부(107); 및 선택된 βed, 그리고 선택된 βed에 대응하는 E-TFCI에 기초하여 SG를 결정하고, 결정된 SG를 사용하여 이동국(3OOA)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0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업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과 업링크 물리 제어 채널과의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이동국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이 사용되는 제3 세대 휴대 전화기 시스템의 사양의 검토 및 작성을 행하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업링크 통신 속도를 향상시킨 인핸스드 업링크(Enhanced Uplink: EUL)가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3GPP TS 25.309 V.6.6.0 FDD Enhanced Uplink Overall description Stage 2(Release 6)", 3GPP, 2O06년 3월).
EUL에서는, 물리 데이터 채널, 구체적으로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E-DPDCH)이나, 물리 제어 채널, 구체적으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nhanced Dedicatcd Physical Control Channel: E-DPCCH) 등의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또한, EUL에서는, 이동국에 대하여 허용할 수 있는 최대의 E-DPDCH와 E-DPCCH와의 송신 파워비(transmission power ratio)가, SG(Scheduling Grant)로서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 통지된다.
무선 기지국은, SG를 결정하는 경우, 이동국에서의 송신 포맷의 조합(E-TFCI) 각각에 대하여, 송신 파워 오프셋인 βed를 인식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βed를 연산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예를 들면, Reference E-TFCI나 Reference E-TFCI PowerOffset)는, NBAP(Node B Application Part) 메시지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RNC)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통지된다. 또한, 전술한 파라미터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에 의해, RNC로부터 이동국에 통지된다.
그러나, 전술한 SG(Scheduling Grant)의 결정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무선 기지국은, SG를 결정하는 경우, RNC로부터 통지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이동국 사이에서 발생된 호마다 각각의 E-TFCI에서의 βed를 연산하고, 각각의 SG와 E-TFCI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해야만 한다. 또는, 무선 기지국은, 스케줄링마다 무선 기지국의 자원으로서 수신 가능한 TB(Transport Block) 사이즈에 기초하여 SG를 연산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에서는, SG의 결정에 필요한 연산에 의해 처리 부하가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무선 기지국 사이,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이동국 사이에서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국에 대하여 허용할 수 있는 최대의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물리 제어 채널(E-DPCCH)의 송신 파워비인 SG(Scheduling Grant)의 결정에 관한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업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업링크 물리 제어 채널(E-DPCCH)과의 송신 파워비(Scheduling Grant)를 사용하여 이동국[이동국(300A, 300B)]을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100)]과, 상기 무선 기지국과 접속되고, 상기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을 제어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무선 통신 시스템(10)]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포맷의 조합(E-TFCI)과,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고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파워의 오프셋값인 송신 파워 오프셋(βed)을 대응시킨 테이블[E-TFCI/βed 테이블(TB)]을 저장하는 저장부[테이블 저장부(111)]와, 상기 송신 포맷 조합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 오프셋을 상기 테이블 중에서 선택하는 선택부[파라미터 선택부(107)]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 및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는 소정 파라미터(예를 들면, Reference E-TFCI 및 Reference E-TFCI PowerOffset)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는,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된 상기 소정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소정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국의 송신 파워의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파라미터 통지부[파라미터 통지부(203)]를 포함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 기지국에는, 이동국이 송신하는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포맷의 조합과 송신 파워 오프셋을 대응시킨 테이블이 저장된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은, 이동국 사이에서 발생된 호마다 각각의 송신 포맷의 조합에서의 송신 파워 오프셋을 연산하여 각각의 송신 파워비와 송신 포맷의 조합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선택된 송신 파워 오프셋과 대응하는 송신 포맷의 조합에 기초하여,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는 소정 파라미터를,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무선 기지국 사이,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이동국 사이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무선 기지국 사이,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이동국 사이의 메시지를 이용하면서, 이동국에 대하여 허용할 수 있는 최대의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물리 제어 채널(E-DPCCH)과의 송신 파워비인 SG(Scheduling Grant)의 결정에 관한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업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과 상기 업링크 물리 제어 채널과의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이동국을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포맷의 조합과,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고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파워의 오프셋값인 송신 파워 오프셋을 대응시킨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 오프셋을 상기 테이블 중에서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 및 선택된 상기 파워 오프셋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파워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부[통신 제어부(109)]를 포함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과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는 소정 파라미터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Refererence E-TFCI 및 상기 Reference E-TFCI에 대응하는 Reference E-TFCI PowerOffset을 포함하는 상기 소정 파라미터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업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과 상기 업링크 물리 제어 채널과의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이동국을 제어하는 이동국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포맷의 조합과,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고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파워의 오프셋값인 송신 파워 오프셋을 대응시킨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대응하는 송신 파워 오프셋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 및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파워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무선 기지국 사이,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이동국 사이의 메시지를 이용하면서, 이동국에 대하여 허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E-DPDCH와 E-DPCCH와의 송신 파워비인 SG(Scheduling Grant)의 결정에 관한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1) 무선 통신 시스템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 (2)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 (3)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 (4)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5) 작용?효과 및 (6) 그 외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와는 상이한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 사이에도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서로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1) 무선 통신 시스템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무선 기지국(100),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200)[이하, RNC(200)라고 함] 및 이동국(300A, 300B)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포함되는 무선 기지국이나 이동국의 개수는, 도 1에 나타낸 개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1O)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규정된 무선 통신 방식, 구체적으로 말하면,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방식을 채용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10)에서는,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킨 인핸스드 업링크(Enhanced UpLink: EUL)가 사용되고 있다.
무선 기지국(100)은 이동국(300A, 300B)과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지국(100)은, 이동국(300A, 300B)이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 파워를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마다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무선 기지국(1O0)은, 업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인 E-DPDCH(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와 업링크 물리 제어 채널인 E-DPCCH(Enhanc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와의 송신 파워비, 구체적으로 말하면, Scheduling Grant(이하, "SG"라고 함)를 사용하여 이동국(300A, 300B)을 제어한다.
RNC(200)는 무선 기지국(100)과 접속된다. RNC(200)는 무선 기지국(100) 및 이동국(300A, 300B)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RNC(200)는, NBAP(Node-B Application Part)를 사용하여, 이동국(300A, 300B)의 송신 파워의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예를 들면, Reference E-TFCI Powe0ffset) 등을 무선 기지국(100)으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RNC(200)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을 사용하여, 이동국(30OA, 30OB)의 송신 파워의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이동국(300A, 300B)에 송신한다.
이동국(300A, 300B)은 무선 기지국(100)과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이동국(300A, 300B)은, 무선 기지국(100)에 의한 제어 및 RNC(200)로부터 통지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00)에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 파워를 조정한다.
(2)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 구성
도 2는 무선 기지국(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0)은, 무선 신호 송수신부(101),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 파라미터 선택부(107), 통신 제어부(109) 및 테이블 저장부(1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100)은, 무선 기지국(100)으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도시하지 않거나 또는 설명을 생략한 블록(전원부 등)을 포함한 경우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무선 신호 송수신부(101)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방식에 따른 무선 신호를 이동국(30OA, 30OB)에 송수신한다. 또한, 무선 신호 송수신부(101)는, 무선 신호와 베이스밴드 신호와의 변환을 실행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의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3)는, 파라미터 선택부(107)에 의해 선택된 송신 파워 오프셋인 βed, 및 선택된 βed에 대응하는 송신 포맷의 조합, 구체적으로는, E-TFCI(Enhanced-Transmission Format Combination Indicator)에 기 초하여, SG의 결정에 사용되는 소정 파라미터(예를 들면, Reference E-TFCI 및 Reference E-TFCI PowerOffset)를 RNC(200)에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3)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에 의해 통지부가 구성된다.
βed는, SG의 결정에 사용되며, 이동국(30OA, 30OB)이 송신하는 E-DPDCH의 송신 파워의 오프셋값이다. βed는, 3GPP TS25.214 Section 5.1.2.5B.2.3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하기 (식 1)을 사용하여 산출된다.
(식 1)
Figure 112009002858882-pat00001
여기서, i는 대상이 되는 E-TFCI의 인덱스이다. 또한, ref는 i의 값을 넘지 않는 최대의 Reference E-TFCI의 인덱스이다. Le,ref는 Reference E-TFCI에 사용되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PDPCH)의 수이고, Le,i는 대상이 되는 E-TFCI에 사용되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PDPCH)의 수이며, Ke는 다음 식으로 정의되며,
Figure 112010086037199-pat00010
(여기서, RMi는 전송 채널 i에 대한 세미-스태틱 레이트 매칭 속성(semi-static rate matching attribute)이고 Ni는 전송 채널 i에 대한 무선 프레임 세그먼트 블록(radio frame segmentation block)으로부터 출력되는 비트의 수임)
여기서, Ke,ref는 Reference E-TFCI 내의 모든 전송 채널 i에 대한 합이고, Ke,i는 대상이 되는 E-TFCI 내의 모든 전송 채널 i에 대한 합니다.
송신 파워 오프셋 βed의 결정에는, 이하의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i) Puncture Limit
(ii) Reference E-TFCI
(iii) Reference E-TFCI PowerOffset
(iv) E-DCH HARQ Offset
(v) Maximum Set of E-DPDCHs
(vi) E-TFCI Table Index
(vii) E-TTI
E-TFCI Table Index 및 E-TTI는, 송신 파워 오프셋의 연산에 사용하는 E-TFCI의 테이블을 정의(지정)하는 파라미터이며, 송신 파워 오프셋의 연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식 1을 사용한 연산은, E-TFCI Table Index 및 E-TTI에 의해, E-TFCI의 테이블이 확정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식 1에서, 사각형 A의 부분은, Reference E-TFCI 외의 각 E-TFCI에서의 파워 오프셋을 나타낸다. 사각형 B의 부분은, Reference E-TFCI에서의 송신 파워 오프셋(Reference E-TFCI PowerOffset)을 나타낸다.
사각형 C의 부분은, 사용 코드수를 나타내고, Puncture Limit 및 Maximum Set of E-DPDCHs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사각형 D의 부분은, 각 E-TFCI에서의 TB(Transport Block) 사이즈를 나타내며, E-TFCI Table Index 및 E-TTI에 의해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사각형 E의 부분은, 각 E-TFCI에서, 해당 E-TFCI 전체에 적용되는 송신 파워 오프셋을 나타내고, E-DCH HARQ Offset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복수의 E-DPDCH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SF=2의 경우, E-DPDCH의 송신 파워 오프셋은 하기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2)
Figure 112009002858882-pat00002
즉, 최종적인 송신 파워 오프셋의 값은, 각각의 E-DPDCH에서의 송신 파워 오프셋을 더한 값이 된다.
또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3)는, 전술한 파라미터 중에서, (i)~(iv) 를 소정 파라미터로 하여 RNC(200)에 통지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RNC(200)와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5)는, 유선 LAN 인터페이스 등에 의해 구성된다.
파라미터 선택부(107)는, 테이블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E-TFCI/βed 테이블(TB)(도 5를 참조) 중에서, E-TFCI에 대응하는 βed를 선택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라미터 선택부(107)는 선택부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라미터 선택부(107)는, 이동국(UE)의 E-DCH 카테고리마다, 전술한 (i)~(iii)의 파라미터를 유지한다. 또한, 파라미터 선택부(107)는, 전술한 (iv)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MAC-d 플로우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으로서 고정된 값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파라미터 선택부(107)는, 연산하지 않고 E-TFCI/βed 테이블(TB)로서 βed를 유지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09)는 이동국(300A, 300B)과의 통신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제어부(109)는, 파라미터 선택부(107)에 의해 선택된 βed, 및 선택된 βed에 대응하는 E-TFCI에 기초하여, 이동국(30OA, 30OB)이 송신하는 E-DPDCH와 E-DPCCH와의 송신 파워비, 구체적으로 말하면 SG를 결정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09)는, 결정된 SG를 사용하여 이동국(300A, 300B)의 송신 파워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제어부(109)는 기지국 제어부를 구성한다.
테이블 저장부(111)는 E-TFCI/βed 테이블(TB)(도 5를 참조)을 저장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E-TFCI/βed 테이블(TB)에서는, E-TFCI와 βed가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E-TFCI/βed 테이블(TB)에서는, 이동국(UE)의 E-DCH 카테고리마다(E-DCH 카테고리 #2, E-DCH 카테고리 #4, E-DCH 카테고리 #6)에, 각 E-TFCI(E-TFCI 1~E-TFCI 125)에 대응하는 βed와 MAC-d 플로우와의 조합이 나타내어진다.
E-TFCI/βed 테이블(TB)에 있어서, βed에서 연속되는 첨자는, MAC-d 플로우의 ID 번호를 나타낸다. MAC-d 플로우는 8개까지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MAC-d #1에는 논리 채널로서 데이터 채널(DTCH)이 설정되고, MAC-d #2에는 제어 체널(DCCH)이 설정된다. 혹은, MAC-d #1, MAC-d #2d에는 각각 DTCH가 설정되고, MAC-d #3에는 DCCH가 설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E-DCH 카데고리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시간 간격(TTI)이나 TB(Transport Block) 사이즈가 상이하고, 최대 전송 속도도 상이하다. 예를 들면, E-DCH 카테고리 #6에서는 최대 전송 속도가 약 5.76Mbps가 된다.
또한, 도 6은 3GPP에서 규정되는 Absolute Grant Value Table(TS25.212 Table 16B)의 예를 나타낸다. Absolute Grant Value Table에서는, AG(Absolute Grant)의 값과 E-AGCH(Enhanced-Absolute Grant Channel)의 인덱스가 대응한다. 여기서, 각 E-TFCT에 대응하는 βed에 대하여,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최대 AG가 SG로서 결정된다.
(식 3)
Figure 112009002858882-pat00003
그리고, m은 E-DCH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n은 E-TFCI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각 E-TFCI와 E-AGCH의 인덱스를 대응시킨 고정 테이블을, 도 5에 나타낸 E-TFCI /βed 테이블(TB)처럼 유지시켜 둘 수 있다.
(3)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
도 3은 RNC(2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NC(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 및 파라미터 통지부(2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RNC(200)는, RNC(200)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도시하지 않거나 또는 설명을 생략한 블록(전원부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무선 기지국(100)과의 통신, 및 무선 기지국(100)을 통한 이동국(300A, 300B)과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유선 LAN 인터페이스 등에 의해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무선 기지국(100)[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3)]에 의해 통지된 소정 파라미터, 즉 전술한 파라미터 중에서, (i)~(iv)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수신부를 구성한다.
파라미터 통지부(2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l)가 수신한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이동국(300A, 300B)의 송신 파워의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이동국(300A, 300B)에 통지한다. 즉, 파라미터 통지부(203)는 βed의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이동국(300A, 300B)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파라미터 통지부(203)는, NBAP(Node-B Application Part)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O)1가 수신한 (i)~(iv)의 파라미터[(i) Puncture Limit, (ii) Reference E-TFCI, (iii) Reference E-TFCI PowerOffset, (iv) E-DCH HARQ Offset]를 취득한다. 또한, 파라미터 통지부(2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가 수신한 (i)~(iv)의 파라미터, 및 전술한 (v)~(vii)의 파라미터[(v) Maximum Set of E-DPDCHs, (vi) E-TFCI Table Index, (vii) E-TTI]를, RRC(Radio Resource Control)을 사용하여 이동국(3OOA, 3OOB)에 통지한다.
(4)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다음에,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기지국(100) 및 RNC(200)가 이동국(300A)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무선 기지국(100) 및 RNC(200)가 이동국(300A)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기 위해 실행되는 통신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0에서, 이동국(300A)은, 무선 기지국(100)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RRC Connection Setup Request를 RNC(200)에 송신한다.
단계 S20에서, RNC(200)는, 이동국(30OA)으로부터 수신한 RRC Setup Request 에 기초하여, 무선 기지국(100)에 대하여 무선 통신로(RL)의 설정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NC(200)는, NBAP(Node-B Application Part)를 사용하여, Radio Link Setup Request를 무선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단계 S30에서, 무선 기지국(100)은, RNC(200)로부터 수신한 Radio Link Setup Request에 기초하여, 이동국(300A)과의 무선 통신로(RL)의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파라미터를 RNC(200)에 통지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지국(100)은 βed의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 구체적으로 말하면, (i) Puncture Limit, (ii) Reference E-TFCI, (iii) Reference E-TFCI PowerOffset, (iv) E-DCH HARQ Offset을 RNC(200)에 통지한다.
무선 기지국(10O)은, 도 5에 나타낸 E-TFCI/βed 테이블(TB)을 참조하여, βed의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선택한다. 무선 기지국(100)은, NBAP(Node-B Application Part)를 사용하여, 선택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adio Link Setup Response를 RNC(200)에 송신한다.
단계 S4O에서, RNC(200)는 무선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 Radio Link Setup Response에 기초하여, βed의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이동국(300A)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NC(200)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을 사용하여, 전술한 (i)~(vii)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Setup을 이동국(300A)에 송신한다.
단계 S50에서, 이동국(300A)은 RNC(200)로부터 수신한 RRC Connection Setup에 기초하여 βed를 설정하고,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을 RNC(200)에 송신 한다. 그리고, 이동국(300A)은, 설정된 βed에 따라 무선 기지국(10O)에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 파워를 제어한다.
(5) 작용?효과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의하면, 무선 기지국(100)에는, 이동국(300A, 300B)이 송신하는 E-DPDCH의 E-TFCI와 βed를 대응시킨 E-TFCI/βed 테이블(TB)이 저장된다. 그러므로, 무선 기지국(100)은, 이동국(300A, 300B) 사이에서 발생된 호마다 각각의 E-TFCI에서의 βed를 연산하여 각각의 SG와 E-TFCI의 대응 테이블을 작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선택된 βed에 대응하는 E-TFCI에 기초하여, SG의 결정에 사용되는 소정 파라미터를,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무선 기지국 사이,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이동국 사이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무선 기지국 사이,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와 이동국 사이의 메시지를 이용하면서, SG의 결정에 관한 처리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6) 그 외의 실시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기재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개시로부터 당업자는 다양한 대체 실시예를 명백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TFCI/βed 테이블(TB)에서는, E-DCH 카테고리 #2, E-DCH 카테고리 #4 및 E-DCH 카테고리 #6에, 각 E-TFCI(E-TFCI 1~E-TFCI 125)에 대응하는 βed와, 데이터 채널(DTCH) 및 제어 채널(DCCH)과의 조합을 나타내는 형태를 취하였으나, E-TFCI/βed 테이블(TB)은, E-TFCI와 βed가 대응하고 있다면, 반드시 도 5와 같은 포맷이 아니라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 전체를 개략적으로 타나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2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100) 및 RNC(200)가 이동국(300A)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기 위해 실행되는 통신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TFCI/βed 테이블(TB)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규정되는 Absolute Grant Value Table(TS25.212 Table 16B)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무선 통신 시스템 100: 무선 기지국
101: 무선 신호 송수신부 103: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
10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07: 파라미터 선택부
109: 통신 제어부 111: 테이블 저장부
200: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3: 통신 제어부 300A, 300B: 이동국
TB: E-TFCI/βed 테이블

Claims (5)

  1. 업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과 업링크 물리 제어 채널과의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이동국을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기지국과 접속되고, 상기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을 제어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포맷의 조합과,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고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파워의 오프셋값인 송신 파워 오프셋을 대응시킨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을 상기 테이블 중에서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 및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는 소정 파라미터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는,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된 상기 소정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소정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국의 송신 파워의 제어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상기 이동국에 통지하는 파라미터 통지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업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과 업링크 물리 제어 채널과의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이동국을 제어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포맷의 조합과,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고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파워의 오프셋값인 송신 파워 오프셋을 대응시킨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을 상기 테이블 중에서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 및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파워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 및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는 소정 파라미터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Reference E-TFCI 및 상기 Reference E-TFCI에 대응하는 Reference E-TFCI PowerOffset을 포함하는 상기 소정 파라미터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5. 업링크 물리 데이터 채널과 업링크 물리 제어 채널과의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이동국을 제어하는 이동국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포맷의 조합과, 상기 송신 파워비의 결정에 사용되고 상기 이동국이 송신하는 상기 물리 데이터 채널의 송신 파워의 오프셋값인 송신 파워 오프셋을 대응시킨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 및 선택된 상기 송신 파워 오프셋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포맷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파워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송신 파워비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국 제어 방법.
KR1020090003624A 2008-01-16 2009-01-16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 KR101110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7219 2008-01-16
JP2008007219A JP5165397B2 (ja) 2008-01-16 2008-01-16 無線基地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177A KR20090079177A (ko) 2009-07-21
KR101110620B1 true KR101110620B1 (ko) 2012-03-13

Family

ID=4051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24A KR101110620B1 (ko) 2008-01-16 2009-01-16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92928B2 (ko)
EP (1) EP2081411B1 (ko)
JP (1) JP5165397B2 (ko)
KR (1) KR101110620B1 (ko)
CN (1) CN1014892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7491B (zh) * 2008-06-30 2015-01-14 北方电讯网络有限公司 控制对用于控制信息的部分共享信道的分配
CN101938786B (zh) * 2009-07-01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授权的分配方法与通信设备
CN104270808B (zh) 2009-10-02 2018-02-1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对上行链路中的多天线传输进行发射功率控制的方法和wtru
KR101716494B1 (ko) * 2009-11-14 201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064100A2 (ko) * 2010-11-09 201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US9185660B2 (en) * 2011-04-21 2015-11-10 Mediatek Inc. Power adaptation apparatus and power adaptation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downlink power
CN102811479A (zh) * 2011-05-30 2012-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度授权的确定方法及用户设备
KR101885131B1 (ko) 2012-02-24 201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스크롤 방법 및 그 장치
WO2014101235A1 (zh) 2012-12-31 2014-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资源配置方法、装置、基站及用户设备
CN109151970B (zh) 2017-06-16 2023-10-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功率的确定方法、处理芯片及通信设备
CN108811066B (zh) * 2017-06-16 2019-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功率的确定方法、处理芯片及通信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4290B1 (en) * 1999-09-30 2005-06-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ontrol
US20060176866A1 (en) * 2003-08-08 2006-08-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96907A (ko) * 2005-03-01 2006-09-13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US7209749B2 (en) * 2003-01-04 2007-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data rate of user equipment supporting EUDCH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1970B1 (en) * 1999-08-27 2004-08-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mapping for telecommunications
KR100735402B1 (ko) * 2000-11-07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 공유 채널에 사용하는 송신 형식 결합 지시기의 전송 장치 및 방법
DE60130616T2 (de) * 2000-11-18 2008-07-17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zur Leistungssteuerung des TFCI-Datenfeldes des DSCH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der dritten Generation
KR100832117B1 (ko) * 2002-02-17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 오프셋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7149245B2 (en) * 2002-04-29 2006-12-12 Lucent Technologies Inc. Link adaption in 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networks
JP2005072900A (ja) * 2003-08-22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US20050220042A1 (en) * 2004-02-26 200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cheduling grant information using a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in Node B controlled scheduling of an uplink packet transmission
KR101061117B1 (ko) * 2004-09-15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한 재전송 패킷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WO2006082627A1 (ja) * 2005-02-01 2006-08-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送信制御方法、移動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191743B2 (ja) * 2005-03-29 2008-12-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JP4761890B2 (ja) * 2005-08-23 2011-08-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US20100128663A1 (en) * 2005-10-07 2010-05-27 Nec Corpor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station,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JP4788436B2 (ja) * 2006-03-29 2011-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装置並びに基地局
CN100563120C (zh) * 2006-04-12 2009-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调整用户终端上行链路功率配比的方法
JP2008007219A (ja) 2006-06-27 2008-01-17 Shimizu Corp コンテナの位置決め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4290B1 (en) * 1999-09-30 2005-06-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ontrol
US7209749B2 (en) * 2003-01-04 2007-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data rate of user equipment supporting EUDCH service
US20060176866A1 (en) * 2003-08-08 2006-08-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96907A (ko) * 2005-03-01 2006-09-13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65397B2 (ja) 2013-03-21
JP2009171243A (ja) 2009-07-30
CN101489297B (zh) 2011-06-15
US20090181714A1 (en) 2009-07-16
EP2081411A2 (en) 2009-07-22
KR20090079177A (ko) 2009-07-21
EP2081411A3 (en) 2016-10-12
CN101489297A (zh) 2009-07-22
US8792928B2 (en) 2014-07-29
EP2081411B1 (en)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6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제어 방법
EP3595369B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
JP4592547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937370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국
JP4649496B2 (ja) 移動局、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EP1845746B1 (en)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KR20060095523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788860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US20070047487A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53581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20060116738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EP2557865A1 (en)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KR20070104576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20060095524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JP4105196B2 (ja)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4326535B2 (ja) 伝送速度制御方法及び移動局
JP4598866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4249195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2006222639A (ja) 相対速度制御チャネル送信方法、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2006270941A (ja)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2005073290A (ja) 送信電力補正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
JP2006222910A (ja) 伝送速度制御方法及び移動局
JP2006203375A (ja) 伝送速度制御方法及び移動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