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576A -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 Google Patents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576A
KR20070104576A KR20077017597A KR20077017597A KR20070104576A KR 20070104576 A KR20070104576 A KR 20070104576A KR 20077017597 A KR20077017597 A KR 20077017597A KR 20077017597 A KR20077017597 A KR 20077017597A KR 20070104576 A KR20070104576 A KR 20070104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transmission rate
mobile station
func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1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031B1 (ko
Inventor
마사후미 우스다
아닐 우메시
다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677653&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10457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7010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증가 방법을 유연하게 결정한다. 본 발명은,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해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송 속도 제어 방법은, 이동국(UE)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는 공정과, 취득한 함수에 따라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동으로 높이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WIRELESS LINE CONTROL STATION}
본 발명은,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이, 이동국(UE)으로부터 무선 기지국(Node B)으로 향하는 업링크에서, 무선 기지국(Node B)의 무선 리소스, 업링크에서의 간섭량, 이동국(UE)의 송신 전력, 이동국(UE)의 송신 처리 성능, 또는 상위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전송 속도 등을 감안하여, 전용 채널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전용 채널의 전송 속도를, 계층-3(Radio Resource Control Layer)의 메시지에 의해, 이동국(UE) 및 무선 기지국(Node B)의 각각에 대하여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무선 기지국(Node B)의 상위에 위치해서, 무선 기지국(Node B)이나 이동국(UE)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은, 음성 통신이나 TV 통신에 비해서, 트래픽이 버스트적(burst)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채널의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많은 무선 기지국(Node B)을 총괄하여 제어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처리 부하나 처리 지연 등의 이유에 의해, 채널의 전송 속도의 변경을 고속(예를 들면, 1~10Oms 정도)으로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채널의 전송 속도의 변경을 고속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해도, 장치의 실장 비용이나 네트워크의 운용 비용이 크게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백 밀리 초~수 초 정도로 채널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가 버스트적으로 송신되는 경우,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 높은 지연 및 낮은 전송 효율을 허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를 확보하고, 이용 가능한 상태의 무선 대역 리소스나 무선 기지국(Node B)에서의 하드웨어 리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허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다만, 도 2의 (a)~(c)에서, 세로축의 무선 리소스에는, 전술한 무선 대역 리소스 및 하드웨어 리소스의 양쪽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국제 표준화 단체인 "3GPP" 및 "3GPP2"에서, 무선 리소스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무선 기지국(Node B)과 이동 국(UE) 사이의 계층-1 및 MAC 하위 계층(계층-2)에서의 고속의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검토 또는 검토된 기능을 총칭해서, "인핸스드 업링크(EUL: Enhanced Uplink)"라고 한다.
종래부터 "인핸스드 업링크" 중에서 검토되고 있는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첫째로, "Time & Rate Control"이라고 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서는, 무선 기지국(Node B)이, 소정의 타이밍마다,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을 허가하는 이동국(UE) 및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이동국 ID와 함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그리고,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해 지정된 이동국(UE)은, 지정된 타이밍 및 전송 속도(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범위 내)로,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둘째로, "Rate Control per UE"라고 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서는, 각 이동국(UE)이, 무선 기지국(Node B)에 송신해야 할 사용자 데이터가 있으면, 해당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지만, 해당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관해서는, 송신 프레임마다 또는 복수 개의 송신 프레임마다,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해 결정되어 각 이동국(UE)에 통지된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Node B)은,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할 때는, 그 타이밍에서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 그 자체, 또는 해당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상대값(예를 들면, Up 커맨드/Down 커맨드의 2치 값)을 통지한다.
셋째로, "Rate Control per Cell"이라고 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서는, 무선 기지국(Node B)이, 통신 중인 이동국(UE)에 공통인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해당 전송 속도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통보하고, 각 이동국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한다.
"Time & Rate Control" 및 "Rate Control per UE"는, 이상적으로는, 업링크에서의 무선 용량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양호한 제어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이동국(UE)의 버퍼에 체류하고 있는 데이터량이나 이동국(UE)에서의 송신 전력 등을 파악한 다음에,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한 제어 부하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서는,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 것에 의한 오버헤드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Rate Control per Cell"은, 무선 기지국(Node B)이 셀에 공통된 정보를 통보하고, 각 이동국(UE)이,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 도를 자율적으로 구하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한 제어 부하가 적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무선 기지국(Node B)은, 어느 이동국(UE)이, 업링크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해도 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으므로, 업링크에서의 무선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기지국(Node B)의 장치 규모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참조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동국(UE)이, 미리 통지된 초기 전송 속도로부터, 소정의 규칙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증가시켜 감으로써,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한 과도한 무선 용량의 할당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무선 기지국의 장치 규모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Autonomous ramping: 자동 램핑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무선 기지국이, 각 섹터에서의 하드웨어 리소스 또는 무선 리소스(예컨대,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통신 중인 이동국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한다. 이하, 하드웨어 리소스에 기초하는 제어 방식 및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제어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드웨어 리소스에 기초하는 제어 방식에서는, 무선 기지국이,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에 대해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은,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에서의 사용자 데 이터의 전송 속도가 높아지고, 하드웨어 리소스가 충분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낮게 설정하여, 하드웨어 리소스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무선 기지국은,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한 경우 등과 같이, 하드웨어 리소스에 여유가 생긴 경우에는, 다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높게 설정한다.
또한,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제어 방식에서는, 무선 기지국이,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에 대해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은,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높아지고, 업링크에서의 측정 간섭량(예를 들면, 노이즈라이즈)이 허용값(예를 들면, 최대 허용 노이즈라이즈)을 초과한 경우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낮게 설정하여,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이 허용값 범위 내에 속하도록 하고 있다(도 3 참조).
한편, 무선 기지국은,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한 경우 등과 같이,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예를 들면, 노이즈라이즈)이 허용값(예를 들면, 최대 허용 노이즈라이즈)의 범위 내에 속해서 여유가 생긴 경우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다시 높게 설정한다(도 3 참조).
또한, 이러한 방식에서는, 참조 문헌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은, 설정된 스텝(예를 들면, dB 스텝이나 선형 스텝 등)으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dB 스텝으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상승시키는 경우의 소정의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나타낸다.
도 5에는, 선형 스텝으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상승시키는 경우의 소정의 송신 시간 간격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은,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직선의 경사를 지정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증가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dB 스텝으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상승시키는 경우, 직선의 경사를 가파르게 하면,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빠르게 된 경우, 하나의 송신 시간 간격의 단위로, 큰 리소스를 추가하여 할당할 필요가 있고, 직선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면,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느린 경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상승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형 스텝으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상승시키는 경우, 직선의 경사를 가파르게 하면,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느린 경우에,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상승이 너무 빠르게 되고, 직선의 경사를 완만하게 하면,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상승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참조 문헌 1: 3GPP TSG-RAN R1-040773
참조 문헌 2: 3GPP TSG-RAN RP-040486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증가 방법을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으로서, 이동국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는 단계와, 이동국이, 취득한 함수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업링크를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국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함수 취득부와, 취득한 함수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있어서,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서, 이동국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도록, 이동국에 대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함수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있어서,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으로서, 이동국이,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는 단계와, 이동국이, 취득한 함수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있어서,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업링크를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국으로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함수 취득부와, 취득한 함수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있어서,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서, 이동국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도록, 이동국에 대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함수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있어서,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의 (a)~(c)는,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버스트적으로 송신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에서의 전송 속도를 제어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할 때에 사용하는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할 때에 사용하는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 중의 MAC-e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 중의 MAC-e 처리부의 E-TFC 선택부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할 때에 사용하는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에서의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용 구성)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에서의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용 구성)의 MAC-e 기능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 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무선 기지국(Node B #1~#5)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UE)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경우, 다운링크에서는 "HSDPA"가 사용되고 있으며, 업링크에서는 "EUL(인핸스드 업링크)"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HSDPA" 및 "EUL"은 모두, HARQ에 의한 재송신 제어(N 프로세스 스톱 앤드 웨이트)가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업링크에서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및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로 구성되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채널(E-DP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Channel)과,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및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로 구성되는 전용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은, E-DPDCH의 송신 포맷(송신 블록 사이즈 등)을 규정하기 위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재송신 횟수 등), 스케줄링 관련 정보[이동국(UE)에서의 송신 전력이나 버퍼 체류량 등] 등의 EUL용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은,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에 매핑되어 있고, 해당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로 송신되는 EUL용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은, 레이크(RAKE) 합성이나 SIR 측정 등에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 업링크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의 송신 포맷을 식별하기 위한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또는 다운링크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등의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매핑되어 있고, 해당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만, 이동국(UE)에서 송신해야 할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이 송신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업링크에서는, HSPDA가 적용되고 있는 경우에 필요한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 High 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이나, 랜덤 액세스 채널(RACH)도 이용되고 있다.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은, 다운링크 품질 식별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나, 고속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용 송달 확인 신호(Ack 또는 Nack)를 송신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UE)은, 버스 인터페이스(31), 호 처리부(32), 기저 대역 처리부(33), RF부(34), 및 송수신 안테나(35)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기능은, 하드웨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되며,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버스 인터페이스(31)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데이터를 다른 기능부(예컨대,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기능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스 인터페이스(31)는, 다른 기능부(예컨대,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기능부)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호 처리부(32)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 처리부(32)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호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RF부(3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또는 FEC 복호 처리를 포함하는 계층-1 처리와, MAC-e 처리나 MAC-d 처리를 포함하는 MAC 처리와, RLC 처리를 수행하여 취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호 처리부(3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 이터에 대해서, RLC 처리, MAC 처리, 또는 계층-1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여 RF부(3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F부(34)는, 송수신 안테나(35)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하여, 검파 처리, 필터링 처리, 또는 양자화 처리 등을 수행함으로써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RF부(34)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RLC 처리부(33a), MAC-d 처리부(33b), MAC-e 처리부(33c), 및 계층-1 처리부(33d)를 구비하고 있다.
RLC 처리부(33a)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계층-2의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RLC 처리)를 행하여, MAC-d 처리부(33b)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d 처리부(33b)는, 채널 식별자 헤더를 부여하고, 업링크에서의 송신 전력의 한도에 기초하여, 업링크에서의 송신 포맷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e 처리부(33c)는, E-TFC 선택부(33c1)와 HARQ 처리부(33c2)를 구비하고 있다.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링 신호에 기초하여,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및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의 송신 포맷(E-TFC)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E-TFC 선택부(33c1)는, 업링크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E-TFC 선택부(33c1)는, 결정한 송신 포맷에 대한 송신 포맷 정보[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나,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간의 송신 전력비 등]를 계층-1 처리부(33d)에 송신하는 동시에, 결정한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 또는 송신 전력비를 HARQ 처리부(33c2)에 송신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신호는, 해당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예를 들면, 최대 허용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나,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간의 송신 전력비의 최대값(최대 허용 송신 전력비) 등], 또는 해당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한 경우가 아니라면,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관한 파라미터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스케줄링 신호는, 해당 이동국(UE)이 재권(在圈)하고 있는 셀에서 통보되어 있는 정보이며, 해당 셀에 재권하고 있는 모든 이동국, 또는 해당 셀에 재권하고 있는 특정 그룹의 이동국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스케줄링 신호에 의해 통지된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업링크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스케줄링 신호에 의해 통지된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업링크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이와 같은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초기 허용 전송 속도(예를 들면, 초기 허용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나 초기 허용 송신 전력비 등) Rini, dB 스텝(제1 스텝)과 선형 스텝(제2 스텝)의 전환 시점(소정 시간) tch에서의 전송 속도 Rch, dB 스텝에서의 직선의 경사, 또는 선형 스텝에서의 직선의 경사 등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E-TFC 선택부(33c1)는, 취득한 함수에 따라,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E-TFC 선택부(33c1)는, 취득한 함수에 따라,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의 예에서, E-TFC 선택부(33c1)는, dB 스텝(제1 스텝)과 선형 스텝(제2 스텝)의 전환 시점(소정 시간) tch 까지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dB 스텝(제1 스텝)으로 증가시키고, dB 스텝(제1 스텝)과 선형 스텝(제2 스텝)의 전환 시점(소정 시간) tch 이후에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선형 스텝(제2 스텝)으로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E-TFC 선택부(33c1)는, 접속 중인 셀로부터 통보된 최대 허용 전송 속 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HARQ 처리부(33c2)는, "N 프로세스의 스톱 앤드 웨이트"의 프로세스 관리를 행하고,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수신되는 송달 확인 신호(업링크 데이터용의 Ack/Nack)에 기초하여, 업링크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HARQ 처리부(33c2)는, 계층-1 처리부(33d)로부터 입력된 CRC 결과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성공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정한다. 그리고, HARQ 처리부(33c2)는, 이와 같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신호(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용의 Ack 또는 Nack)를 생성하여, 계층-1 처리부(33d)에 송신한다. 또한, HARQ 처리부(33c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OK(성공)인 경우, 계층-1 처리부(33d)로부터 입력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MAC-d 처리부(33b)에 송신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Node B)은, HWY 인터페이스(11),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 호 제어부(13),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송수신부(14),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증폭부(15), 및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송수신 안테나(16)를 구비한다.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다운링크를 통하여 이동국(UE)에 송신할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 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무선 기지국(Node B)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호 제어부(13)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11)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취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호 제어부(13)로부터 취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HWY 인터페이스(11)로부터 취득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RLC 처리, MAC 처리(MAC-d 처리 또는 MAC-e 처리), 또는 계층-1 처리를 수행하고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운링크에서의 MAC 처리에는, HARQ 처리, 스케줄링 처리, 또는 전송 속도 제어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다운링크에서의 계층-1 처리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채널 부호화 처리나 확산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송수신부(14)로부터 취득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계층-1 처리, MAC 처리(MAC-e 처리나 MAC-d 처리), 또는 RLC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HWY 인터페이스(1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업링크에서의 MAC 처리에는, HARQ 처리, 스케줄링 처리, 전송 속도 제어 처리, 또는 헤더 폐기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업링크에서의 계층-1 처리에는,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에러 정정 복호 처리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호 제어부(13)는, HWY 인터페이스(11)로부터 취득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 제어 처리를 행한다.
송수신부(14)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취득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다운링크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증폭부(1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14)는, 증폭부(15)로부터 취득한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업링크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폭부(15)는, 송수신부(14)로부터 취득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16)를 통하여 이동국(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증폭부(15)는, 송수신 안테나(16)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부(1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RLC 처리부(121)와, MAC-d 처리부(122)와,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는, 송수신부(14)로부터 취득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에러 정정 복호 처리, HARQ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d 처리부(122)는,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 하여 헤더의 폐기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RLC 처리부(121)는, MAC-d 처리부(122)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RLC 계층에서의 재송신 제어 처리나 RLC-SDU의 재구축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들 기능은, 하드웨어로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용 구성)(123)는, DPCCH 레이크(RAKE)부(123a), DPDCH 레이크(RAKE)부(123b), E-DPCCH 레이크(RAKE)부(123c), E-DPDCH 레이크(RAKE)부(123d), HS-DPCCH 레이크(RAKE)부(123e), RACH 처리부(123f), TFCI 디코더부(123g), 버퍼(123h, 123m), 재-역확산부(123i, 123n), FEC 디코더부(123j, 123p), E-DPCCH 디코더부(123k), MAC-e 기능부(123l), HARQ 버퍼(123o), MAC-hs 기능부(123q), 및 간섭 전력 측정부(123r)를 구비하고 있다.
E-DPCCH 레이크(RAKE)부(123c)는, 송수신부(1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 내의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에 대해서, 역확산 처리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럿 심볼을 사용한 레이크(RAKE) 합성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DPCCH 디코더부(123k)는, E-DPCCH 레이크(RAKE)부(123c)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에 대하여 복호 처리를 수행하여,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스케줄링 관련 정보 등을 취득하여, MAC-e 기능부(123l)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DPDCH 레이크(RAKE)부(123d)는, 송수신부(1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 내의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에 대해서,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코드 수)를 사용한 역확산 처리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럿 심볼을 사용한 레이크(RAKE) 합성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퍼(123m)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심볼 수)에 기초하여, E-DPDCH 레이크(RAKE)부(123d)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을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역확산부(123n)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확산율)에 기초하여, 버퍼(123m)에 축적되어 있는 E-DPDCH 레이크(RAKE)부(123d)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에 대해서, 역확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ARQ 버퍼(123o)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에 기초하여, 재-역확산부(123n)의 역확산 처리 출력을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EC 디코더부(123p)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재-역확산부(123n)의 역확산 처리 출력에 대해서, 에러 정정 복호 처리(FEC 복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e 기능부(123l)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취득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또는 스케줄링 관련 정보 등에 기초하여, 송신 포맷 정보(코드 수, 심볼 수, 확산율, 또는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 등)를 산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MAC-e 기능부(123l)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처리 명령부(123l1), HARQ 관리부(123l2), 및 스케줄링부(123l3)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또는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HARQ 관리부(123l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스케줄링부(123l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송신 포맷 번호에 대응하는 송신 포맷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ARQ 관리부(123l2)는, FEC 디코더부(123p)로부터 입력된 CRC 결과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성공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정한다. 그리고, HARQ 관리부(123l2)는, 이와 같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신호(Ack 또는 Nack)를 생성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다운링크용 구성에 송신한다. 또한,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OK(성공)인 경우, FEC 디코더부(123p)로부터 입력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한다.
또한,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OK(성공)인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소프트 판정(soft decision) 정보를 클리어한다. 한편,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NG(실패)인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축적한다.
또한,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를 수신 처리 명령부(123l1)에 전송하고,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수신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의 TTI에 대비해야 하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E-DPDCH 레이크(RAKE)부(123d) 및 버퍼(123m)에 통지하고, HARQ 버퍼(123o)에서의 리소스 확보를 위한 통지를 행한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버퍼(123m) 및 FEC 디코더부(123p)에 대해서, TTI마다, 버퍼(123m)에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TTI에 해당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와 신규로 수신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가산한 후에, FEC 복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HARQ 버퍼(123o) 및 FEC 디코더부(123p)에 지시한다.
또한, 스케줄링부(123l3)는, 무선 기지국(Node B)의 업링크에서의 무선 리소스나, 업링크에서의 간섭량(노이즈라이즈) 등에 기초하여, 최대 허용 전송 속도(최대 허용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나 최대 허용 송신 전력비 등)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신호를 통지하도록,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다운링크용 구성에 지시한다.
이하, 하드웨어 리소스에 기초하는 제어 방식 및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제어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드웨어 리소스에 기초하는 제어 방식에서, 스케줄링부(123l3)는,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 대해서, 절대 속도 할당 채널(AGCH)에 의해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케줄링부(123l3)는,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높아지고, 하드웨어 리소스가 충분하지 않게 된 경우 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낮게 설정하여, 하드웨어 리소스에 부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스케줄링부(123l3)는,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종료한 경우 등과 같이 하드웨어 리소스에 여유가 생긴 경우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다시 높게 설정한다.
또한,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제어 방식에서, 스케줄링부(123l3)는,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 대해서, 절대 속도 할당 채널(AGCH)에 의해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케줄링부(123l3)는,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높아지고,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예를 들면, 노이즈라이즈)이 허용값(예를 들면, 최대 허용 노이즈라이즈)을 초과한 경우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낮게 설정하여,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이 허용값 내에 속하도록 하고 있다(도 3 참조).
한편, 스케줄링부(123l3)는, 지배하에 있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종료한 경우 등과 같이,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예를 들면, 노이즈라이즈)이 허용값(예를 들면, 최대 허용 노이즈라이즈) 내에 속하게 되어 여유가 생긴 경우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다시 높게 설정한다(도 3 참조).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무선 기지국(Node B)의 상위에 위치하는 장치이며, 무선 기지국(Node B)과 이동국(UE)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교환국 인터페이스(51), LLC 계층 처리부(52), MAC 계층 처리부(53), 미디어 신호 처리부(54), 기지국 인터페이스(55), 및 호 제어부(56)를 구비하고 있다.
교환국 인터페이스(51)는, 교환국(1)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교환국 인터페이스(51)는, 교환국(1)으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LLC 계층 처리부(52)에 전송하고, LLC 계층 처리부(52)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교환국(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LLC 계층 처리부(52)는, 시퀀스 번호 등의 헤더 또는 트레일러(trailer)의 합성 처리 등의 LLC(논리 링크 제어: Logical Link Control) 하위 계층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LLC 계층 처리부(52)는, LLC 하위 계층 처리를 수행한 후, 업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교환국 인터페이스(51)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MAC 계층 처리부(5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계층 처리부(53)는, 우선 제어 처리나 헤더 부여 처리 등의 MAC 계층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계층 처리부(53)는, MAC 계층 처리를 수행한 후, 업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LLC 계층 처리부(52)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기지국 인터페이스(55)[또는, 미디어 신호 처리부(5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디어 신호 처리부(54)는, 음성 신호나 실시간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미디어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디어 신호 처리부(54)는, 미디어 신 호 처리를 수행한 후, 업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MAC 계층 처리부(53)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기지국 인터페이스(5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 인터페이스(55)는, 무선 기지국(Node B)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기지국 인터페이스(55)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MAC 계층 처리부(53)[또는, 미디어 신호 처리부(54)]에 전송하고, MAC 계층 처리부(53)[또는, 미디어 신호 처리부(54)]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무선 기지국(Node B)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 제어부(56)는, 무선 리소스 관리 처리, 또는 계층-3 시그널링에 의한 채널의 설정 및 개방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리소스 관리 처리에는, 호 허가 제어 처리, 핸드오버 처리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호 제어부(56)는, 이동국(UE)에 대해서, 해당 이동국(UE)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도록,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도 9 참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이, 이동국(UE)에 대해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증가 방법을 나타내는 함수를 통지함으로써, QoS, 우선도, 또는 혼잡도에 따라, 적절하게 또한 유연하게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상승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 품질의 향상 및 스루풋의 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함수는, dB 스텝에서의 직선의 경사, 선형 스텝에서의 직선의 경사, dB 스텝이 적용되는 범위, 선형 스텝이 적용되는 범위, 초기 전송 속도 등의 소정의 파라미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증가 방법을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취득한 상기 함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3. 업링크를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국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함수 취득부; 및
    취득한 상기 함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속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
  5.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동으로 상승시키도록,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함수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7.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취득한 상기 함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9. 업링크를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국으로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함수 취득부; 및
    취득한 상기 함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속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 으로 증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국.
  11. 이동국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도록,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와 시간과의 함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함수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는, 소정 시간까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1 스텝으로 증가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2 스텝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20077017597A 2005-01-11 2006-01-11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1044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4537 2005-01-11
JP2005004537 2005-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576A true KR20070104576A (ko) 2007-10-26
KR101044031B1 KR101044031B1 (ko) 2011-06-23

Family

ID=3667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17597A KR101044031B1 (ko) 2005-01-11 2006-01-11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045164A1 (ko)
EP (1) EP1848154B1 (ko)
JP (1) JP4480727B2 (ko)
KR (1) KR101044031B1 (ko)
CN (1) CN101103594B (ko)
ES (1) ES2370786T3 (ko)
WO (1) WO2006075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3720B2 (en) 2006-04-19 2013-10-08 Marvell World Trade Ltd. Adaptive speed control for MAC-PHY interfaces
ES2356790T3 (es) 2006-08-21 2011-04-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signación dinámica de recursos, programación y señalización para un servicio de velocidad variable de datos en evolución a largo plazo (lte).
JP4974641B2 (ja) * 2006-10-24 2012-07-11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US8243752B2 (en) 2007-04-04 2012-08-14 Marvell World Trade Ltd. Long-reach ethernet for 1000BASE-T and 10GBASE-T
US8145164B2 (en) * 2008-02-28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signaling message the relates to transmission rate restrictions
US20210321255A1 (en) * 2020-04-10 2021-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mobile device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950A (en) * 1997-04-08 1999-06-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rate scheduling
JP3771176B2 (ja) 2002-02-01 2006-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3289380A (ja) * 2002-03-28 2003-10-10 Nec Corp 音声符号化方式の変更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網および通信端末
KR100837351B1 (ko) * 2002-04-06 2008-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링크 파라미터 갱신 방법
US7301918B2 (en) 2002-04-18 2007-11-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xed cellular terminal with packet data transmission over analog interface
US6782269B2 (en) * 2002-06-17 2004-08-24 Nokia Corporation Two threshold uplink rate control to enable uplink scheduling
JP4083567B2 (ja) * 2002-12-27 2008-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
KR100526187B1 (ko) * 2003-10-18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적의 전송율을 찾기위한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031B1 (ko) 2011-06-23
ES2370786T3 (es) 2011-12-22
CN101103594A (zh) 2008-01-09
EP1848154A4 (en) 2008-07-16
JPWO2006075628A1 (ja) 2008-06-12
EP1848154A1 (en) 2007-10-24
EP1848154B1 (en) 2011-09-07
WO2006075628A1 (ja) 2006-07-20
CN101103594B (zh) 2010-09-29
US20080045164A1 (en) 2008-02-21
JP4480727B2 (ja)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14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KR100913515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KR100937370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702643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788859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945824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제어국
KR20060095523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788856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788860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953581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913516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20070117668A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788028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20060116738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953582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913517B1 (ko) 무선 리소스 관리 방법,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제어국
KR100951603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739521B1 (ko) 무선 리소스 관리 방법,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및 무선기지국
KR101044031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1085412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945823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20070110913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20060095524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982767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JP2006222699A (ja) 伝送速度制御方法及び移動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24

Effective date: 201104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