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368B1 -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368B1
KR101105368B1 KR1020080084642A KR20080084642A KR101105368B1 KR 101105368 B1 KR101105368 B1 KR 101105368B1 KR 1020080084642 A KR1020080084642 A KR 1020080084642A KR 20080084642 A KR20080084642 A KR 20080084642A KR 101105368 B1 KR101105368 B1 KR 10110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layer
collection system
water
green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987A (ko
Inventor
김이호
이상호
김영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90090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지 집수시스템은 우수를 이동시키는 우수이동수로(23)와, 상기 우수이동수로(23)에 구비되고 우수를 집수하는 녹지 표면층(31)과, 상기 녹지 표면층(31)에 의해 집수된 우수를 정화하는 기능성 처리층(37)과, 상기 기능성 처리층(37)에 의해 정화된 우수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집수층(4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우수 처리방법은 우수를 집수하는 녹지 표면층 처리단계와, 우수를 정화하는 정화단계와, 우수를 집수하여 저장하거나 침투시키는 단계와, 저장된 우수를 사용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심의 불투수층에 물순환 시스템을 제공하여 건전한 물순환 체계를 형성할 수 있고, 우수를 정화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물부족현상을 해소하고 용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녹지 집수, 우수처리, 유공관, 중앙제어부

Description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MULTIFUNCTIONAL TROUGH INFILTRATION TRENCH SYSTEM AND RAINWATER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단지와 공원 내 녹지면을 활용하여 불투수면 및 녹지로부터의 우수 유출수 및 오염물질의 처리 기능을 갖는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거나 개선하고 공해 및 재해를 방지하여 도시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심 내부에 녹지가 조성된다. 녹지는 그 기능에 따라 공해와 각종 사고, 자연재해 등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완충녹지,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경관녹지, 도시 안의 공원하천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여가휴식 기능을 제공하는 연결녹지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녹지의 조성은 전용주거지역 등 대상지역의 특성에 따라 녹화면적률을 50~80%로 유지하며, 식재 종류에 따라 최소토양심도를 유지하고 경사기울기 10~30°를 표준으로 최소 5°이상의 지반을 조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급속한 도시화에 따라 빗물이 지반하부로 침투하지 못하는 불투수면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침투가능 공간 또한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택지개발사업 시에 인공지반에 녹지를 조성하여 배수계통으로 출수시키는 등 녹지의 자연 순환기능을 저하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녹지 내에서 빗물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여름철 호우 시 토사 유실 및 녹지 내 오염물질의 유출 우려가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녹지 내 투수구덩이(Trough)와 침투도랑(Trough-Trench System)을 설치하고 있으나, 투수구덩이의 경우 토양의 투수계수가 낮은 지역에 설치되어 침투기능이 적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우배수 관로를 수반하고, 침투도랑의 경우 하부 침투 및 호우시 트렌치를 통해 배수기능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오염물질의 처리, 물순환 개선을 위한 순환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투수면에서 유출되는 우수를 녹지에서 처리함으로써 도시 내의 물 순환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를 정화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녹지 집수시스템은 불투수면과 면하여 설치되는 녹지 지반 하부에 매설되고, 우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우수 이동수로;및 상기 우수 이동수로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단계의 층에 의해 우수를 정화하는 우수 처리수로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 처리수로는 상기 우수 처리수로의 상부에 구비되고, 우수를 집수시키는 녹지 표면층; 상기 녹지 표면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우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성 처리층;및 상기 기능성 처리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유공관에 의해 집수된 우수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집수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수 처리수로는 상기 녹지 표면층과 상기 기능성 처리층 사이에 구비되고, 모래로 구성되는 제1 배수층과, 상기 기능성 처리층과 상기 집수층 사이에 구비되고,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로 구성되는 제2 배수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배수층은 0.25mm 이상 4mm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모래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배수층의 두께가 10cm 이상 15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배수층은 상기 기능성 처리층에 구비되는 정화여재의 평균입도의 6배 이하의 평균입도를 가지는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녹지 표면층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지표면으로부터 10 ~ 30cm의 깊이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녹지 표면층은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처리층은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또는 제오라이트(zeolit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집수층은 상기 유공관으로 우수를 집수시키도록 0.1 ~ 0.3%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모래배수층과, 상기 모래배수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쇄석배수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수처리수로와 상기 우수 이동수로 사이에는 우수가 이동할 수 있는 투수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수 이동수로는 인공지반의 경우 상기 우수 이동수로의 양 측면 및 하면에 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수 이동수로는 상기 우수 이동수로의 양 측면에 방수층을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공관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장탱크는 연결관에 의해 중앙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앙제어부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우수를 조경용수, 살수용수 또는 세정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녹지 집수시스템을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은 녹지 표면층의 오목한 형상을 이용하여 우수를 집수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녹지 표면층 통과단계; 상기 녹지 표면층 통과단계에 의해 통과된 우수를 정화여재에 의해 정화하는 정화단계; 상기 정화단계에 의해 정화된 우수를 유공관을 이용하여 집수하는 집수단계; 상기 집수단계에 의해 집수된 우수를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및 상기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우수의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녹지 표면층 통과단계는 상기 녹지 표면층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월류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화단계는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또는 제오라이트(zeolite)를 사용하여 우수를 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화단계는 모래,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를 사용하여 우수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어단계는 저장된 우수를 조경용수, 살수용수 또는 세정용수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에 의하면, 도심의 불투수층에 물순환 시스템을 제공하여 건전한 물순환 체계를 형성할 수 있고, 우수를 정화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물부족현상을 해소하고 용수사용에 의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심지반(1)을 형성하는 인공지반 또는 자연지반에 녹지(10)가 형성되어 있다. 도심에 형성된 녹지(10)는 도심 내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공해를 저감시켜 주거환경을 개선시켜 주거자의 거주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도심 지반(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녹지 집수시스템이 설치되기 위한 수로 채널(20)이 형성된다. 상기 수로 채널(20)은 지반(1)을 굴삭하여 형성되며, 도심 지반(1)의 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로 채널(20)은 우수를 정화하여 집수하기 위한 우수 처리수로(21)와 상기 우수 처리수로(21)의 정화 유량을 초과하는 우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우수 이동수로(2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우수 처리수로(21)에 의해 정화될 수 있는 우수의 양이 초과되는 경우, 상기 우수 이동수로(23)를 통해 우수가 이동한다.
상기 우수 처리수로(21)에는 우수를 정화하기 위한 다단계의 층이 형성되며, 상기 우수 이동수로(23)는 우수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우수 처리수로(21)는 상기 우수 이동수로(23)의 내부에 안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우수 이동수로(23)의 양 측면 및 하면에는 불투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층(25)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지 집수시스템이 인공지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수층(25)이 상기 우수 이동수로(23)의 양 측면 및 하면에 모두 구비되어 우수가 인공지반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 발명의 녹지 집수시스템이 자연지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수층(25)이 상기 우수 이동수로(23)의 양 측면에만 구비되어 우수가 상기 우수 이동수로(23)의 하면을 통해 자연지반으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인공지반의 경우 우수가 인공지반 내부로 침투하여 누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방수층(25)이 상기 우수 이동수로(23)의 모든 면에 설치되어야 하나, 자연지반의 경우 우수가 지반 하부로 배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방수층(25)이 상기 우수 이동수로(23)의 측면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우수 처리수로(21)와 상기 우수 이동수로(23) 사이에는 우수를 배수시키고 상기 우수 처리수로(21)를 지지하기 위한 쇄석층(27)이 구비된다. 상기 쇄석층(27)에 구비되는 쇄석은 비교적 입경이 큰 쇄석으로 구성되어 우수의 이동을 방 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수 이동수로(23)의 양 단은 외부하천과 연결되는 우수관과 연결되므로, 상기 우수 이동수로(23)를 통과하는 우수는 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우수 처리수로(21)의 외면에는 투수층(29)이 구비된다. 상기 투수층(29)은 상기 우수 처리수로(21)에 구비되는 자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우수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수층(29)은 투수공이 형성된 케이스나 부직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우수 처리수로(21) 내부 상부에는 녹지 표면층(31)이 구비된다. 상기 녹지 표면층(31)에는 강우 시 물에 잠겨도 생육에 지장이 없는 잔디 및 초본류가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지 표면층(31)은 우수의 집수 및 저장을 위해 오목한(凹) 형태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집수에 의한 안전사고 대비 및 원활한 배수를 위해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30c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지 표면층(31)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지반에 매설되는 배수관(33)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33)은 외부의 우수관과 연결되어 여름철 집중 호우시 상기 녹지 표면층(31)에서 월류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녹지 표면층(31)의 하부에는 상기 녹지 표면층(31)을 통과하는 우수를 하부로 침투시키기 위한 제1 배수층(35)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배수층(35)은 원활한 하부 침투를 위해 중사 및 조사가 60% 이상 포함된 모래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래는 배수에 용이한 0.25 ~ 4 mm의 입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배수 층(35)의 두께가 10 ~ 15c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배수층(35)의 하부에는 우수 내의 중금속 및 입자성 또는 용존성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기능성 처리층(37)이 구비된다. 우수는 차량 운행에 의한 중금속 오염의 우려가 있고 각종 영양물질 및 부유물질이 포함될 우려가 있으므로 우수를 상기 기능성 처리층(37)에 통과시켜 입자성 또는 용존성 오염물질을 정화시켜야 재활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처리층(37)에는 우수 내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여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정화여재로서는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및 제오라이트(zeoli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화여재로 사용되는 물질의 성상이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구 분

여재
비중량
(kgf/㎥)
총공극면적
(㎡/g)

공극율
(%)
여재공극지름 평균공극지름
V/A(㎛)
Vol(㎛) Area(㎛)
P perlite 0.78 0.536 45.8834 6.0342 8.2794 13.3878
A Activated carbon 1.76 45.755 27.0073 1.1254 0.0048 0.0239
Zd zeolite(dry, 300℃) 2.28 14.081 27.2106 0.2554 0.0118 0.049
Zc zeolite(calcination, 700℃) 2.38 9.100 28.0864 0.5657 0.0153 0.0754
각각의 여재는 본 발명의 녹지 집수장치가 설치되는 지역의 강수량 및 토양의 특징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처리층(37)의 하부에는 우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제2 배수층(39)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배수층(39)은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지반의 하부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하부가 상부에 비해 굵은 입자로 구성되는 경우, 모세관 정지 현상에 의해 배수가 되지 않고 침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배수층(39)은 상기 기능성 처리층(37)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모세관 정지에 따른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배수층(39)에 구비되는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는 상기 기능성 처리층(37)에 구비되는 정화여재 평균입도의 최대 6배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배수층(39)의 하부에는 우수를 집수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저장탱크로 보내는 집수층(41)이 구비된다. 상기 집수층(41)의 바닥면에는 모래배수층(43)이 구비되고, 상기 모래배수층(43)의 상부에는 쇄석배수층(45)이 구비된다.
상기 모래배수층(43)에는 우수를 집수하기 위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래배수층(43)의 경사는 0.1 ~ 0.3%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모래배수층(43)의 경사에 의해 우수가 상기 모래배수층(43)의 단면 중심부로 집수될 수 있다.
상기 모래배수층(43)의 단면 중심부에는 유공관(47)이 구비된다. 상기 유공관(47)은 상기 수로 채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유공관(47)은 정화된 우수를 저장탱크(50)로 보낼 수 있다.
상기 집수층(41)에 의해 집수된 우수는 상기 유공관(47)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50)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탱크(50)는 연결관(51)을 통해 중앙제어부(53)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53)는 상기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우수의 양을 모니터링하고, 우수를 조경용수, 살수용수 또는 세정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용수가 필요한 곳으로 저장된 우수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녹지 집수장치는 녹지 표면층(31), 제1 배수층(35), 기능성 처리층(37) 및 제2 배수층(39)을 통과하는 정화된 우수를 유공관(47)을 통해 집수하여 저장탱크(50)에 보관함으로써 우수를 정화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중앙제어부(53)는 상기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우수의 양을 파악하여 우수의 양이 과도한 경우 우수관을 통해 우수를 흘려보낼 수 있고, 우수를 조경용수, 살수용수 또는 세정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저장탱크(50)로부터 배수되는 우수의 유로를 각 사용용수와 연결된 이동관과 연통시키거나 제어밸브 등을 통해 우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여름철 집중호우시에는 녹지 표면층(31)에 연결된 배수관(33)을 통해 월류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우수 처리수로(21)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상기 우수 처리수로(21) 외부에 구비되는 우수 이동수로(23)로 우수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지 집수장치에 의해 저장되는 우수는 녹지공간 식수(植樹) 및 연못의 조경용수, 도로면 청소 및 여름철 냉각을 위한 살수용수 등으로 순환 이용하거나 화장실 세정용수 및 잡용수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도시 물순환 건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도심에 분포되어 있는 불투수층에 우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도심의 투수 불균형을 해소하여 건전한 물순환체계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수개의 여과층에 의해 우수를 정화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물부족 현상을 해소하고 용수 사용에 의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녹지 집수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녹지 집수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녹지 집수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20: 수로채널 21: 우수 처리수로
23: 우수 이동수로 25: 방수층
31: 녹지 표면층 35: 제1 배수층
37: 기능성 처리층 39: 제2 배수층
41: 집수층 47: 유공관
50: 저장탱크 53: 중앙제어부

Claims (19)

  1. 불투수면과 면하여 설치되는 녹지 지반 하부에 매설되고, 우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우수 이동수로;및
    상기 우수 이동수로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단계의 층에 의해 우수를 정화하는 우수 처리수로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 처리수로는
    상기 우수 처리수로의 상부에 구비되어 우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을 포함하고, 우수를 집수시키는 녹지 표면층;
    상기 녹지 표면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우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성 처리층;및
    상기 기능성 처리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유공관에 의해 집수된 우수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집수층을 포함하는
    녹지 집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처리수로는
    상기 녹지 표면층과 상기 기능성 처리층 사이에 구비되고, 모래로 구성되는 제1 배수층과,
    상기 기능성 처리층과 상기 집수층 사이에 구비되고,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 로 구성되는 제2 배수층을 포함하는
    녹지 집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층은
    0.25mm 이상 4mm 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모래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배수층의 두께가 10cm 이상 15cm 이하로 형성되는
    녹지 집수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수층은
    상기 기능성 처리층에 구비되는 정화여재의 평균입도의 6배 이하의 평균입도를 가지는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로 구성되는
    녹지 집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지 표면층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지표면으로부터 10 ~ 30cm의 깊이로 함몰되는
    녹지 집수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처리층은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또는 제오라이트(zeolite)로 구성되는
    녹지 집수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층은
    상기 유공관으로 우수를 집수시키도록 0.1 ~ 0.3%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모래 배수층과,
    상기 모래배수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쇄석배수층을 포함하는
    녹지 집수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처리수로와 상기 우수 이동수로 사이에는 우수가 이동할 수 있는 투수층이 형성되는
    녹지 집수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이동수로는
    상기 우수 이동수로의 양 측면 및 하면에 방수층을 포함하는
    녹지 집수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이동수로는
    상기 우수 이동수로의 양 측면에 방수층을 포함하는
    녹지 집수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은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탱크와 연결되는
    녹지 집수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연결관에 의해 중앙제어부와 연결되는
    녹지 집수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우수를 조경용수, 살수용수 또는 세정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를 제어하는
    녹지 집수시스템.
  15. 녹지 표면층의 오목한 형상을 이용하여 우수를 집수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녹지 표면층 통과단계;
    상기 녹지 표면층 통과단계에 의해 통과된 우수를 정화여재에 의해 정화하는 정화단계;
    상기 정화단계에 의해 정화된 우수를 유공관을 이용하여 집수하는 집수단계;
    상기 집수단계에 의해 집수된 우수를 저장탱크에 저장하는 저장단계;및
    상기 저장단계에 의해 저장된 우수의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녹지 표면층 통과단계는
    상기 녹지 표면층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월류하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지 집수시스템을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단계는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또는 제오라이트(zeolite)를 사용하여 우수를 정화하는
    녹지 집수시스템을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단계는
    모래,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를 사용하여 우수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지 집수시스템을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저장된 우수를 조경용수, 살수용수 또는 세정용수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를 제어하는
    녹지 집수시스템을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KR1020080084642A 2008-02-21 2008-08-28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KR101105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965 2008-02-21
KR20080015965 2008-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87A KR20090090987A (ko) 2009-08-26
KR101105368B1 true KR101105368B1 (ko) 2012-01-16

Family

ID=4120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642A KR101105368B1 (ko) 2008-02-21 2008-08-28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3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296B1 (ko) * 2019-09-30 2020-02-11 주식회사 푸름엔지니어링 식생침투를 위한 우수저류 시스템
KR102374923B1 (ko) 2021-06-10 2022-03-18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Lid 기반 빗물 순환형 비점오염 저감 및 관수용 띠 녹지 보호판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6500B (zh) * 2012-11-14 2015-07-15 北京泰宁科创雨水利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雪山融水的收集利用装置
CN103498506A (zh) * 2013-10-22 2014-01-08 苏州合展设计营造有限公司 雨水收集池
CN105971098A (zh) * 2016-07-01 2016-09-28 广东省建筑设计研究院 一种适用于海绵城市建设研究的降雨径流集水装置
CN106592730B (zh) * 2016-11-07 2019-06-18 江苏帝井环保科技有限公司 雨水回收***
CN108775064A (zh) * 2018-06-25 2018-11-09 深圳市赛瑞景观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雨水回收利用***
KR102213772B1 (ko) * 2019-09-05 2021-02-10 황주연 빗물침투와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구비한 빗물침투 시스템
CN111648437B (zh) * 2020-07-07 2021-04-13 汇绿园林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适用于海绵城市建设的雨水二次使用式雨水花园
CN111648438B (zh) * 2020-07-07 2020-12-29 汇绿园林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城市公园的雨水花园
KR102426255B1 (ko) * 2020-07-20 2022-07-28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모듈형 트렌치와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구조물, 및 상기 트렌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39506B1 (ko) * 2021-04-15 2021-12-16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 재활용형 시티댐
CN114033109A (zh) * 2021-11-19 2022-02-11 杭州法莱科技有限公司 种植顶板植被层渗排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5907A (ja) * 1990-04-13 1991-12-26 Yotarou Takahashi ゴルフ場における農薬等の流出抑制、浄化装置
JPH07132299A (ja) * 1993-06-21 1995-05-23 Suido Kiko Kaisha Ltd 雨水処理システム
JPH07197509A (ja) * 1993-12-30 1995-08-01 Haneda Concrete Kogyo Kk 雨水の貯留.浸透工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5907A (ja) * 1990-04-13 1991-12-26 Yotarou Takahashi ゴルフ場における農薬等の流出抑制、浄化装置
JPH07132299A (ja) * 1993-06-21 1995-05-23 Suido Kiko Kaisha Ltd 雨水処理システム
JPH07197509A (ja) * 1993-12-30 1995-08-01 Haneda Concrete Kogyo Kk 雨水の貯留.浸透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296B1 (ko) * 2019-09-30 2020-02-11 주식회사 푸름엔지니어링 식생침투를 위한 우수저류 시스템
KR102374923B1 (ko) 2021-06-10 2022-03-18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Lid 기반 빗물 순환형 비점오염 저감 및 관수용 띠 녹지 보호판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87A (ko)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368B1 (ko)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KR102053044B1 (ko)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KR101662758B1 (ko)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KR101923926B1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KR101356690B1 (ko) 하천형 수류 순환 시스템 및 하천형 수류 순환 관리 방법
KR101701387B1 (ko) 빗물 침투 시설
KR20060094596A (ko)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CN109098268B (zh) 一种雨水渗蓄***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CN105621617B (zh) 一种路面径流综合净化装置
KR101292813B1 (ko) 보도용 우수 관리 시스템 및 우수 관리 방법
KR100597203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CN108330769A (zh) 一种给排水综合利用***
CN110219357A (zh) 多功能海绵城市市政道路用生物净化滞留带及其施工工艺
CN110629619A (zh) 一种海绵型绿地建设结构技术
KR102121069B1 (ko) 식물여과를 이용한 생태습지 유지용수 공급 물순환 시스템
CN107642142A (zh) 居民生活区渗透式雨水截污治理***
KR101525607B1 (ko) 융복합 하이브리드 우수 관리 시스템
KR101352643B1 (ko) 친환경 물순환 빗물침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205223761U (zh) 一种用于雨水下渗和净化的生物洼地***
KR101232896B1 (ko) 수로를 이용한 식생부를 가지는 매립형 궤도 선로 구조체
CN107605009A (zh) 生活区雨水自动调蓄***
CN213896625U (zh) 一种海绵体园林透水道路结构
KR101198285B1 (ko) 생태연못 수표면 빗물 집수 및 활용 시스템
KR101332600B1 (ko) 인공지반 빗물유출수의 수질을 고려한 다중 관로형 빗물 저류 침투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