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385B1 - 엔-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엔-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385B1
KR101093385B1 KR20100044137A KR20100044137A KR101093385B1 KR 101093385 B1 KR101093385 B1 KR 101093385B1 KR 20100044137 A KR20100044137 A KR 20100044137A KR 20100044137 A KR20100044137 A KR 20100044137A KR 101093385 B1 KR101093385 B1 KR 101093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cinimide
trifluoroacetoxy
reaction
added
syn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4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641A (ko
Inventor
한기종
김미수
Original Assignee
한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종 filed Critical 한기종
Priority to KR2010004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38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385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펩타이드합성과 의약이나 농약원제등 정밀화학 분야의 핵심적 중간체들의 합성과정에서 관능기들을 보호하거나 반응성을 증대시켜 더 유용한 물질을 합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새로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를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와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CF3COOH)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제조방법{The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N-trifluoroacetoxy succinimide}
본 발명은 펩타이드합성과 의약이나 농약원제등 정밀화학 분야의 핵심적 중간체들의 합성과정에서 관능기들을 보호하거나 반응성을 증대시켜 더 유용한 물질을 합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새로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핵심 구성성분인 펩타이드 결합의 생성과정에서 아미노산의 아민을 보호기로 보호시킨 후, 그 아미노산의 카르복실산 부분을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약어로 TFA-NHS 로 알려져 있음)와 반응시키면, 카르복실산 부분이 하이드록시 숙신이미드에스터 형태로 변형되어 반응성이 크게 증대되며, 이것은 또 다른 아미노산과 반응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원하는 펩타이드 결합을 원활하게 생성시키는 방법이 되는데, 이런 방법은 이미 1975년 Ponomareva-Stepnaya, M. A. 등에 의해 Zhurnal Obshchei Khimii 45권 11호 2497쪽에 설명된 바 있다. 한편, T. Sudhakar Rao등은 2002년 Tetrahedron Letters 43권 7793쪽에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TFA-NHS)를 아민기와 카르복실산 모두 보호되지 않은 아미노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아민기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로 보호되고 카르복실산 부분은 이미드에스터 형태로 즉, 반응성이 증대된 카보닐기형태로 변형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음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합성된 아미노산은 다른 아미노산의 아민기와 반응을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좋은 중간체이며, 아민을 보호하고 있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를 제거할 때의 조건이 다른 보호기들에 비해 비교적 온화하고 큰 규모의 공장화에 쉽게 적용 가능한 이유로 오래전부터 아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를 도입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을 찾고자하는 노력도 여러 방법으로 진행되어왔다.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TFA-NHS)가 이와 같이 유용한 화합물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알려진 합성방법은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CF3CO-O-COCF3)를 사용하여 N-히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키는 방법만이 알려져 있을 뿐이다.
1980년 S. M. Andreev등은 구소련 연방 공개특허공보 SU-747854호에 출원신청한 특허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 CF3CO-O-COCF3)를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대비 1.2 내지 2.0몰배를 사용하여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를 얻고 있지만,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의 끓는점이 낮고 휘발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부식성이 강해서 실험실적 소량시스템에서나 다룰 수 있는 정도의 기술에 지나지 않았다. 2005년 Pillai, Sasi등이 미국 공개특허공보 2005-0148773(US Pat. Appl. Publ.)에서 출원신청한 특허에서 피페라진의 질소에 유용한 치환체들을 도입하는 방법에서 활용하고자 했던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TFA-NHS)를 합성할 때도 역시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CF3CO-O-COCF3)를 N-히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키는 이전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를 합성하는 지금까지의 방법은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CF3CO-O-COCF3)를 N-히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키는 방법만이 알려져 있어 새로운 공업적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앞에서 기술한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TFA-NHS) 를 합성하는 이전의 방법이 안고 있는 문제점, 즉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CF3CO-O-COCF3)를 N-히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키는 방법이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의 끓는점이 낮고 휘발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부식성이 강해서 실험실적 소량시스템에서나 다룰 수 있는 정도의 기술에 지나지 않음으로써 이 분야의 숙원과제인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새로운 공업적 합성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온 결과,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직접 반응시켜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TFA-NHS)를 수월하게 얻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펩타이드합성과 의약이나 농약원제등 정밀화학 분야의 핵심적 중간체들의 합성과정에서 관능기들을 보호하거나 반응성을 증대시켜 더 유용한 물질을 합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의 새로운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의 히드록시기에 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를 도입하는 방법인데,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를 직접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를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와 트리에틸아민 존재 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상압, 실온부근의 온화한 반응온도 조건에서 반응시켜 합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자들은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직접 반응시키기 위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카보닐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고자 노력하던 중, 여러 방법 중에서 하기식 (II)의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가 섭시 0도 내지 실온 부근의 온화한 반응온도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활성화시켜 하기식(III)의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와 직접 반응하여 하기식 (I)의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를 수월하게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Figure 112010030320610-pat00001
본 발명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활성화 시약으로 사용한 다음의 화학구조 (II)의
Figure 112010030320610-pat00002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는 Mai등이 1986년 Tetrahedron Letters 27권 20호의 2203쪽에 발표한 바와 같이 amide유도체로부터 nitrile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는 흡습제로 사용되거나, Seeger등이 1996년 J. Org. Chem. 61권 3883쪽에 발표한 바와 같이 아민으로부터 isocyanate유도체를 합성하는데 주로 사용되던 시약으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활성화시켜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와 반응시켜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를 합성하는 시약으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확인, 개발되었다.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를 합성하는 지금까지의 방법은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CF3CO-O-COCF3)를 N-히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키는 방법만이 알려져 있었는데, 그 방법은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의 끓는점이 낮고 휘발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부식성이 강해서 실험실적 소량시스템에서나 다룰 수 있는 정도의 기술에 지나지 않는 열악한 방법으로 산업화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발명자들에 의해 개발된 본 발명은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직접 반응시켜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를 합성할 수 있는 새로운 제조공정을 제공함으로써 오래전부터 이 분야의 숙원과제를 해결하게 되었으며, 제조공정 조건도 상압, 실온부근의 온화한 반응조건에서 목적하는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를 합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함으로써, 반응의 신뢰성 및 재현성이 우수한 합성 방법을 확보하게 되었으며, 본 발명을 산업화에 응용시 이전의 방법에 비해 반응단계와 공정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부산물에 의한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목적화합물의 분리, 정제 과정도 수월하여 경제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하기식 (II)의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가 섭시 0도 내지 실온 부근의 온화한 반응온도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활성화시켜 하기식(III)의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와 직접 반응하여 하기식 (I)의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를 수월하게 얻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0030320610-pat00003
본 발명은 전체 합성공정이 간단하고 상압의 섭시 0도 내지 실온 근처의 온화한 조건에서 반응시키며, 또한 지금까지의 합성방법에서 사용한 트리플루오로아세틱 언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산물도 거의 생성되지 않는 새로운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를 합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은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대비 1내지 2몰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몰배를 사용하며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는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대비 0.50내지 2몰배,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몰배를 사용하고, triethylamine은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대비 3.0 몰배 내지 6몰배를 사용한다. Triethylamine대신 pyridine이나 N,N-dimethylaniline 등 링을 이루는 아릴아민이나 일반적인 3차 아민 등도 사용 가능하다. 반응온도는 0 내지 35 oC,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 oC에서 반응시킨다. 반응용매로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톨루엔등 일반적인 유기용매들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반응순서를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용매인 디클로로메탄에 녹여 ice-bath에서 0 oC로 냉각시킨 후, 이 용액에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를 첨가하여 5분정도 교반하고, 같은 온도에서 triethylamine을 가하고, 마지막으로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를 투입한 후,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 시키며 30분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시간 교반 시키면 반응이 완결된 것을 TLC로 확인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제시된 방법들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14 mg(1.00 mmole)과 디클로로메탄 10mL을 넣고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 후,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 198mg(1.0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367 mg(3.62 mmole)을 가하고 약 5분 후,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115 mg (1.00mmole)을 투입하고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하며 교반한다. 약 30분 경과 후 반응이 완결된 것을 TLC로 확인할 수 있다. 반응완료 확인 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bottom의 무기물들을 제거하고, 얻은 용액을 감압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 190mg을 얻었다(수율 90.0%).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71 mg(1.50 mmole)과 디클로로메탄 12mL을 넣고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 후,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 198mg(1.0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505 mg(5.00 mmole)을 가하고 약 5분 후,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115 mg (1.00mmole)을 투입하고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하며 교반한다. 약 30분 경과 후 반응이 완결된 것을 TLC로 확인할 수 있다. 반응완료 확인 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bottom의 무기물들을 제거하고, 얻은 용액을 감압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 201mg을 얻었다(수율 95.0%).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14 mg(1.00 mmole)과 톨루엔 10mL를 넣고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 후,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 198mg(1.0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367 mg(3.62 mmole)을 가하고 약 5분 후,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115 mg (1.00mmole)을 투입하고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하며 교반한다. 약 30분 경과 후 반응이 완결된 것을 TLC로 확인할 수 있다. 반응완료 확인 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bottom의 무기물들을 제거하고, 얻은 용액을 감압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 194mg을 얻었다(수율 91.9%).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14 mg(1.00 mmole)과 클로로포름 10mL을 넣고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 후,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 198mg(1.0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367 mg(3.62 mmole)을 가하고 약 5분 후,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115 mg (1.00mmole)을 투입하고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하며 교반한다. 약 30분 경과 후 반응이 완결된 것을 TLC로 확인할 수 있다. 반응완료 확인 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bottom의 무기물들을 제거하고, 얻은 용액을 감압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 198mg을 얻었다(수율 94.0%).
30 mL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71 mg(1.50 mmole)과 클로로포름 12mL을 넣고 ice-bath에서 0내지 5 oC로 냉각시킨 후,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 198mg(1.00 mmole)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505 mg(5.00 mmole)을 가하고 약 5분 후,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115 mg (1.00mmole)을 투입하고 ice-bath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자연 승온하며 교반한다. 약 30분 경과 후 반응이 완결된 것을 TLC로 확인할 수 있다. 반응완료 확인 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bottom의 무기물들을 제거하고, 얻은 용액을 감압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인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 (TFA-NHS) 203mg을 얻었다(수율 96.0%).

Claims (1)

  1. 하기식 (III)으로 나타낸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를 하기식 (II)의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메이트와 트리에틸아민 존재하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CF3COOH)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식 ( I )으로 나타낸 N-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10030320610-pat00004

KR20100044137A 2010-05-11 2010-05-11 엔-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제조방법 KR101093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4137A KR101093385B1 (ko) 2010-05-11 2010-05-11 엔-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4137A KR101093385B1 (ko) 2010-05-11 2010-05-11 엔-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641A KR20110124641A (ko) 2011-11-17
KR101093385B1 true KR101093385B1 (ko) 2011-12-14

Family

ID=4539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44137A KR101093385B1 (ko) 2010-05-11 2010-05-11 엔-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385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J. ORG. CHEM.
논문2: SYNTHESIS: JOURNAL OF SYNTHETIC ORGANIC CHEMIS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641A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1941A (zh) 新型烷基二苯甲烷保护剂
AU2003299042A1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intermediates useful for the synthesis of tubulin inhibitors
KR101093385B1 (ko) 엔-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 숙신이미드의 제조방법
KR101093417B1 (ko) 트리플루오로아세틸 숙신이미드에스터의 제조방법
CN107793351A (zh) 一种β‑氨基酸的合成方法及采用该方法合成的β‑氨基酸
JP3547590B2 (ja) 不斉ジルコニウム触媒
JP3600753B2 (ja) 新規リンカーおよびそれを用いる糖ペプチドの固相合成法
JP2945957B2 (ja) 含フッ素一級アミンの製造法
KR101148262B1 (ko) 아민기와 카르복실기가 동시에 보호된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175877B1 (ko) 아미노산의 아민기와 카르복실기를 동시에 보호시키는 새로운 방법
RU236369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ериндопри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етраметилурониевых солей в качестве реагентов реакции сочетания
RU245001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n-пиразиноил-l-фенилаланил-l-лейцинбо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ли ее ангидрида
JP2629375B2 (ja) アミノ基が保護されたドーパ又はドーパ誘導体の製造法
JP4851668B2 (ja) ジアルデヒドモノエチレンアセタールアミノニトリルの製造方法
KR100994548B1 (ko) 디에틸 [3-시아노-2-옥소-3-(트리페닐포스포라닐리덴)프로필]포스포네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1858B1 (ko) 새로운 펩타이드결합 생성방법
JPH0610183B2 (ja) 新規なドーパ誘導体
JP5982720B2 (ja) 高分子固体状支持体を用いたヒスチジル−プロリンアミド誘導体の製造方法
JP2006282656A (ja) 機能性分子ゲル化剤
CN110872239A (zh) 一种ace-抑制剂合成中的药物中间体及其应用
JP2004277317A (ja) ニコチアナミンの製造方法
JP2001328993A (ja) 光学活性ホスフィン化合物
JP2001253851A (ja) ペンタジエン酸誘導体の製造法及び中間体
JPH08301854A (ja) ピラゾロン類の製造法
JPH0859595A (ja) N−モノ−t−ブチルオキシカルボニルアルキレンジアミンの精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