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631B1 -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631B1
KR101791631B1 KR1020150174601A KR20150174601A KR101791631B1 KR 101791631 B1 KR101791631 B1 KR 101791631B1 KR 1020150174601 A KR1020150174601 A KR 1020150174601A KR 20150174601 A KR20150174601 A KR 20150174601A KR 101791631 B1 KR101791631 B1 KR 10179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extract
composition
f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979A (ko
Inventor
강재신
변혜우
이재호
유은화
오경희
킴선 챙
마스팔 크라이
오좌섭
안은경
이정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to KR102015017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6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활성을 가지는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Using an Extract of Trigonostemon reidioides}
본 발명은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Trigonostemon reidioides)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Obesity)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모의 불균형으로 남는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과다하게 축적되는 상태를 말한다(Korean J Obes 2002 ; 11(3): 263-65).
비만은 고지방·고열량의 식생활, 바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내분비 이상 등 유전적, 환경적 영향과 식습관의 변화 등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여 발생하는데(Am J Clin Nutr. 1998. 67:563S-572S; Nutr Res. 1997. 55: 150-156), 관절 질환, 호흡기 질환, 암과 같은 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키며, 특히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등 여러 내분비계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ndocrinol Metab. 2010. 25(4):301-304).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을 하나의 현상이나 증상이 아닌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전세계 비만인구가 15억 명으로 증가하여 중대한 건강상의 문제가 될 것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Ann Epidemiol. 2005. 15:87-97; J Life Sci. 2013. 23:69-78).
우리나라의 경우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전체 비만 유병률(만 19세 이상, 표준화)은 31.8%로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3명은 비만인 실정이다(Knhanes. Health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2013)
체내 에너지는 지방세포에 중성지방(triglyceride) 형태로 저장되었다가 체내 에너지원이 고갈되면 저장되었던 지방이 유리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게 되지만, 에너지의 과잉 섭취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체내 저장 지방량을 증가시켜 비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지금까지 시도된 비만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리기전은 세 가지로 구별해 볼 수 있는데, 섭취한 음식물 중 소장에서 지방 흡수를 방해하는 기전, 식욕을 억제하는 기전 및 체내로 들어온 과량의 에너지를 지방으로 저장하지 않고 체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여 열로 방출하는 기전이 그것이다.
지방의 소화 흡수를 억제하는 약리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제니칼(Xenical™, 로슈제약회사, 스위스)을 들 수 있고, 식욕을 억제하는 약리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리덕틸(Reductil™, 애보트사, 미국)을 들 수 있으며, 체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는 약리기전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서는 엑소리제(Exorise™,아코파마사, 프랑스)를 들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만 치료제 대부분이 복통, 오심, 구토, 두통, 불면증, 위장장애, 혈압 상승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리덕틸(시부트라민)은 심혈관 부작용 논란으로 이미 2010년 시장에서 퇴출된 바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J Korean Med Obes Res 2013, 13(2):74-75).
한편 지방세포는 지방전구세포로부터 분화하여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지방세포 분화 시 중성지방의 축적이 일어나고 지방세포 특이적 단백질(aP2, FAS, GLUT4, LPL, leptin)의 발현이 유도되며, 이에는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 family(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C/EBRα, C/EBRβ 및 C/EBRδ),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differenti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c)라고 불리는 전사인자들이나 지방세포 생성물(adipokines) 등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enes De 2000, 14(11) 1293~1307)(Physiol Rev 1998, 78(3):783~809; Annu Rev Biochem 2008, 77:289~312; Genes Dev 1996, 10:1096~1107).
따라서 지방세포 분화 억제와 이와 관련된 상기 전사인자들이나 지방세포 생성물들(adipokines)이 새로운 비만치료제 개발의 표적이 되고 있다.
한편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Trigonostemon reidioides)는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미얀마, 라오스 등이 원산지인 식물로 그 뿌리 추출물은 전통적으로 거담제(expectorant), 완하제(laxative)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Journal of Natural Products, 53(5):1148-1151, 1990), 이로부터 분리된 레디오사이드(rediocide) B 내지 E가 살충제의 후보 물질로서 제안된 바 있다(J Nat Prod. 2004 Feb;67(2):228-31). 그러나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의 항비만 활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제안된 바 없다.
본 발명은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이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활성 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에탄올 수용액(70%(v/v)) 추출물이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인 3T3-L1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3T3-L1 세포는 비만 연구의 in vitro 모델로 널리 사용되는 마우스 배아 유래의 지방전구세포이다.
전술한 바의 실험 결과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그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줄기, 잎, 열매, 꽃, 뿌리, 이들의 혼합물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항비만"이란 체지방의 감소 및/또는 체중의 감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비만의 예방, 비만의 치료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나아가 체중이 비만이나 과체중으로 분류되지 않지만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일명 다이어트 목적으로) 체중/체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만"이란, 그것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체질량지수(BMI)의 구분에 따를 때는 고도 비만(BMI이 30.0 이상인 경우)과 비만(BMI 25~30인 경우) 그리고 과체중(BMI이 23~25인 경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항비만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항비만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항비만 효과의 상승·보강을 위하여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러한 화합물 또는 추출물로서는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공전(식약처 고시,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의 가르시니아캄보지아 껍질 추출물, 공액 리놀렌산(유리지방산), 공액 리놀렌산(트리글리세라이드), 녹차 추출물, 키토산 이외에,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라 개별인정을 받은 Lactobacillus gasseri BNR17, L-카르니틴타르트레이트, 그린마떼 추출물, 그린커피빈 추출물, 깻잎 추출물, 대두배아 추출물 등의 복합물, 돌외잎 주정 추출 분말, 락토페린(우유 정제 단백질), 레몬 밤 추출물 혼합 분말, 마테 열수 추출물, 미역 등의 복합 추출물(잔티젠), 발효 식초 석류 복합물, 보이차 추출물, 서목태(쥐눈이콩) 펩타이드 복합물, 식물성 유지 디글리세라이드, 와일드망고 종자 추출물, 중쇄지방산(MCFA) 함유 유지, 콜레우스포스콜리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핑거루트 추출 분말, 히비스커스 등의 복합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또는 천연 추출물은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에 그 유효성분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두유류, 발효음료류, 특수용도식품(특히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복용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혼합 제제류로 구분하여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들 식품첨가물은 기능적 측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약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의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Trigonostemon reidioides) 잎 100 g에 70% 에탄올 1 L를 가하여 상온에서 24 시간 1회 반복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70% 에탄올 여액을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얻었다.
< 실험예 >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의 비만 개선 활성 실험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인 3T3-L1(ATCC CL-173)은 10 % BCS DMEM 배지를 넣고 37℃, 5% CO2 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전구지방세포를 24 well plate에 5×104/well의 세포수로 분주한 후 100% confluency 시점이 되면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전구지방세포는 MDI(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Calbiochem 410957), 1 uM dexamethasone (Calbiochem 265005), 1 ug/ml insulin(Sigma I9278))를 포함하는 10% FBS DMEM 배지로 지방세포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배양 48 시간 후, 1 ug/ml insulin이 함유된 10% FBS DMEM으로 이틀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일 마다 4일 동안 10% FBS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유도 동안 실시예의 추출물을 50, 100 ㎍/ml의 농도로 각 배양액에 처리하였고,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정도는 Oil Red O 염색을 통해 1차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지방세포 염색 정도는 510 nm 흡광도에서 ELISA Reader (SPECTRAmax 340PC,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세포의 분화된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농도별 3번 반복실험을 통하여 산출하였다.
Oil Red O 염색 결과 및 지방량의 정량 분석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잎의 물과 에탄올 혼합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에탄올 혼합용매는 7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3.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잎의 물과 에탄올 혼합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에탄올 혼합용매는 7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50174601A 2015-12-09 2015-12-09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9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601A KR101791631B1 (ko) 2015-12-09 2015-12-09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601A KR101791631B1 (ko) 2015-12-09 2015-12-09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79A KR20170067979A (ko) 2017-06-19
KR101791631B1 true KR101791631B1 (ko) 2017-11-01

Family

ID=5927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601A KR101791631B1 (ko) 2015-12-09 2015-12-09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631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e-Gao Chen 외 4명, ‘Chemical Constituents of Plants from the Genus Trigonostemon’, Chemistry & Biodiversity 제8권제11호, 1958-1967쪽, 2011년 11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79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257B1 (ko) 큰천남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91631B1 (ko)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80018295A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486312B1 (ko)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지방간 개선용 조성물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143967A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5949B1 (ko) 광대나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62736B1 (ko) 클라우세나 엑스카바타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80024614A (ko) 미르시아페논 에이를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64580B1 (ko) 테트라세라 로우레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08183B1 (ko) 안티고논 렙토푸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73342B1 (ko) 털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30567B1 (ko) 트란스-네로리돌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73348B1 (ko) 흰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70060B1 (ko) 칠해목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371741B1 (ko)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072418A (ko) 비만 개선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20042576A (ko)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910823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항스트레스 조성물
KR20200081310A (ko) 노루오줌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230043470A (ko) 청가시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60046258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