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534B1 -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 Google Patents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534B1
KR101066534B1 KR1020097016799A KR20097016799A KR101066534B1 KR 101066534 B1 KR101066534 B1 KR 101066534B1 KR 1020097016799 A KR1020097016799 A KR 1020097016799A KR 20097016799 A KR20097016799 A KR 20097016799A KR 101066534 B1 KR101066534 B1 KR 10106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mass
molecular weight
resin composition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452A (ko
Inventor
타카노리 이노우에
히데히로 코우로기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유키자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8Homopolymers or copolymers according to C08L7/00 - C08L21/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에틸렌 함유량이 2~5%이고, 결정화 온도가 86~105℃, 용융 흐름 속도가 0.01~2.00g/10min이며, 분자량 분포가 3~8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와, (B) 스틸렌 함유량이 10~4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인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 1~15 질량부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혼련후의 용융 흐름 속도가 0.01~2.00g/10min인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C)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인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1~1.0 질량부를 더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가 수첨 스틸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이다.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배관부재

Description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PIPING MEMBER FORMED BY USING PROPYLEN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압출성형법으로 제조되는 파이프나, 사출성형법으로 제조되는 이음매, 플랜지, 밸브 및 액츄에이터의 케이싱 등의 배관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온 크리프(creep) 특성이 뛰어난 동시에, 저온 취성(脆性)이 억제되어 폭넓은 적용온도범위를 가지고, 저용출성, 내면평활성이 뛰어난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은 강성, 내열성 또는 내약품성 등에서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수지제 배관부재는 각종 공장, 의료분야, 건축분야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는 고온역(60~95℃)에서의 산·알칼리에 대한 내약품성을 가지고 가격도 저가이기 때문에, 공업분야에서 고온의 약액을 흘리기 위한 고온용 배관부재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고온용 배관부재는 종래의 금속관에서 수지관으로 전환되고 있는 경향이 있으며, 프로필렌계 수지도 그 후보에 있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의 보급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또한, 수지제 고온용 배관부재는 95℃의 고온유체를 흘 려서 오랜 기간 사용에 견딜 수 있어야 하고(예를 들어, SDR(외경/두께)=11인 경우, 0.4MPa의 압력을 걸었을 때 10년간 파괴하지 않는 등), 이를 위해서는 뛰어난 고온 크리프 특성이 요구된다.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고온 크리프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를 포함하고, 0.1~2 중량% 범위의 에틸렌 함유량, 5dg/min 이하(5g/10min 이하에 상당)의 용융 흐름 인덱스(용융 흐름 속도(melt flow rate)와 같은 의미), 및 6~20 범위의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수지조성물이 알려져 있었다(일본특허공개 평10-53628호 참조). 이 수지의 고온 크리프 특성은, DIN8078(95℃, 시험응력 3.5N/mm2)에 준거하여, 배관부재의 파괴시간이 1200시간 이상(가장 높은 수치로 2000시간 이상)이고, DIN8078에 의한 최소 파괴시간이 1000시간 이상을 만족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수지조성물을 고온의 약액을 흘리기 위한 고온용 배관부재로서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고온 크리프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분자량 분포(이하, Mw/Mn이라고 함)가 6~20으로 넓은 범위이고, Mw/Mn의 범위가 넓으면 저분자 성분이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식품분야, 의료분야, 반도체 제조분야 등의 배관부재로부터 유체로의 용출을 꺼리는 순수나 약액을 흘리는 배관라인에서는 저분자 성분이 유체로 용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저분자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배관부재가 열화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내약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내충격성이 떨어져버려서 저온 취성이 억제되지 않기 때문에(비교예 8 참조: 종래의 수지조성물에 해당), 배관부재가 겨울철 바깥기온이 -20℃ 이하가 되는 환경하에서 옥외배관되어 있을 경우, 유체의 흐름이 정지되면 유체가 동결하여 팽창하기 때문에 배관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지조성물에서 저온 취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고무 성분을 늘리는 방법이 있는데, 고무 성분을 늘리면 고온 크리프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단지 고무 성분을 늘리는 것 만으로는 고온시와 저온시의 물성 강도를 동시에 만족시켜서 적용온도범위가 넓은 배관부재를 얻기 어려웠다.
또한, 고온 크리프 특성을 향상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 이소택틱(isotactic)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혹은 이소택틱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불포화 카르복시산 혹은 그 무수물로 변성한 변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혹은 변성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미변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혹은 미변성 프로필렌-에틸렌 중합체와의 혼합물로서, 용융 흐름 속도가 50g/10min 이상인 매트릭스 폴리머 35~75중량%에, 길이 2~50mm의 유리 장섬유 25~65중량%를 함유시켜서 장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로 하고, 이것을 성형하여 성형품으로 하는 방법이 있었다(일본특허공개 2002-212364호 참조).
하지만, 상기 종래의 수지조성물은 고온 크리프 특성은 뛰어나지만, 유리 장섬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배관재료로서 성형하였을 경우에 배관을 흐르는 유체로 유리 장섬유가 탈락할 우려가 있고, 또한 배관을 흐르는 유체에 따라서는 유리를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수지조성물로 압출성형한 파이프는, 내면의 평활성도 나빠지기 때문에 배관부재로서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이 가지는 결점을 극복하고, 고온 크리프 특성이 뛰어난 동시에 저온 취성이 억제되어 폭넓은 적용온도범위를 가지며, 저용출성, 내면평활성이 뛰어난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바람직한 성질을 가지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프로필렌계 수지와 특정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성분을 필수로 한 배합계의 수지조성물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본 발명은, (A) 에틸렌 함유량이 2~5%이고, 결정화 온도가 86~105℃, 용융 흐름 속도가 0.01~2.00g/10min이며, 분자량 분포가 3~8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와, (B) 스틸렌 함유량이 10~4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인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 1~15 질량부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혼련후의 용융 흐름 속도가 0.01~2.00g/10min인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C)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인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계 광안정제 0.1~1.0 질량부를 더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가 수첨(水添) 스틸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부재에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서 사용하는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유량은 2~5%이어야 한다. 에틸렌이 함유됨으로써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2% 이상이 좋고, 배관부재의 내열성과 강성을 유지하여 고온 유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5% 이하가 좋다. 또한, 고온 크리프 특성, 배관부재의 내열성과 강성을 균형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에틸렌 함유량이 3% 정도인 것이 가장 좋고, 에틸렌 함유량이 3%인 경우와 거의 같은 물성을 얻을 수 있는 2.5~3.5%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결정화 온도는 86~105℃이어야 한다. 결정화 온도가 높아지면 결정화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사출성형시에 내부 보이드(void)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이음매나 밸브 등의 배관부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105℃ 이하가 좋고, 결정화 온도가 낮아지면 수지의 강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배관부재의 내열성과 강성을 유지하여 고온 유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86℃ 이상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MFR은 0.01~2.00g/10min이어야 하고, 0.01~0.60g/10min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양호한 생산성을 얻기 위하여 0.01g/10min 이상이 좋고, 파이프 성형에서의 드로우다운(drawdown)을 억제하여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을 얻기 위하여 2.00g/10min 이하가 좋으며, 특히 성형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0.60g/10min 이하가 좋다. 또한,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인 고분자량이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MFR을 측정할 수 없다. 또한,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와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혼련후의 MFR은, 혼련전과 변함없거나 혼련전보다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MFR과 마찬가지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MFR은 JIS K 7210에 준거하여, 시험온도 230℃, 시험하중 2.16kg의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Mw/Mn은 3~8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Mw/Mn이 2 이하인 파이프는 Mw/Mn이 좁지만 그 때문에 내면이 평활한 파이프를 압출성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압출성형한 파이프가 성형시의 환경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양호한 내면평활성을 얻고, 또한 압출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3 이상이 좋고,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을 얻어 유체로의 유기질 용출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8 이하가 좋다. 더욱이, 파이프의 내면평활성, 압출성형의 용이성, 유기질 용출(Mw/Mn이 낮은 편이 용출은 억제됨)을 균형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Mw/Mn이 4 정도인 것이 가장 좋으며, Mw/Mn이 4인 경우와 거의 같은 물성을 얻을 수 있고, 실제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수치의 편차를 감안하면, Mw/Mn을 3~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상기의 모든 물성을 만족한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하여도 되고, 따로따로 제조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성분 혹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성분을 각종 혼합장치를 이용하여 혼합하여 제조하여도 된다. 또한, 중합장치를 이용하여 공지의 중합법인 슬러리 중합법, 기상중합법, 벌크 중합법 및 이것들을 조합한 중합법에 의해, 회분식, 반연속식, 연속식 중 어떠한 방법으로 중합하여 제조하여도 된다. 또한, 중합조건이 다른 1개 또는 2개 이상의 중합장치를 시리즈로 연속한 다단중합에 의해 제조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서 사용하는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스틸렌 함유량은 10~40%이어야 한다.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스틸렌 함유량은, 너무 적거나 너무 많은 것에 의한 고온 크리프 특성이나 내충격성의 저하 또는 저온 취성을 억제하고,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과 내충격성을 얻기 위하여, 또한 저온 취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스틸렌 함유량이 10% 이상인 것이 좋고, 양호한 상용성을 얻으며 또한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 내충격성을 얻기 위하여, 더욱이 저온 취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스틸렌 함유량이 40% 이하인 것이 좋다. 또한, 고온 크리프 특성, 저온 취성, 내충격성을 균형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스틸렌 함유량이 30% 정도인 것이 가장 좋은데,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스틸렌 함유량 범위보다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인 쪽이 고온 크리프 특성의 향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틸렌 함유량은 넓은 범위이면 좋고, 스틸렌 함유량이 30%인 경우와 거의 같은 물성을 얻을 수 있는 20~3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만 이상이어야 한다.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하인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를 배합하면,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저온 취성은 억제되지만, 고온 크리프 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온용 배관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과 내충격성을 얻기 위하여, 더욱이 저온 취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20만 이상이 좋다. 여기서,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보다 고분자량으로 하면, 고온 크리프 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중량평균분자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량평균분자량이 높아짐으로써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제조가 어려워지지 않도록 실용적으로는 수백만 정도가 좋고, 구체적으로는 20만~3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와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혼련후의 MFR은 혼련전과 변함없거나 혼련전보다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혼련후의 MFR을 상승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는 MFR을 측정할 수 없을 정도의 고분자량이면 혼련후의 MFR을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를 MFR을 측정할 수 없을 정도의 고분자량으로 하기 위해서도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중합방법이나 중합촉매는 어떠한 방법, 촉매를 사용하여도 된다. 한편,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를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 배합하였을 때의 내약품성이나 내후성의 면에서, 수소첨가율은 100%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수소첨가율은 내후성이나 내열성, 내약품성의 면에서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배합비율은 1~15 질량부이어야 한다. 즉, 양호한 고온 크리프 특성, 내면평활성, 내충격성을 얻고, 또한 저온 취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1 질량부 이상이 좋고, 양호한 내열성과 강성을 얻기 위하여 15 질량부 이하가 좋다. 한편,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배합량과 같은 정도이거나 그 이하의 배합량이면, 다른 폴리머를 포함하여 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는 내후제(耐候劑)로서 광안정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들을 조합하여 배합하여도 된다. 광안정제는 자외광 등에 의한 수지조성물의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을 보충하고, 열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안정제로는 힌더드 아민계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더욱이,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성형한 배관부재에 접하는 유체로의 용출을 억제한다는 점과,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증산(蒸散)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2000 이상이 좋다. 여기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을 보다 고분자량으로 하면 유체로의 용출이 보다 억제되기 때문에 중량평균분자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량평균분자량이 높아짐으로써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융점이 높아져서 상용성 및 분산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한 분산이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1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제조를 어렵게 하지 않기 위하여 2000~500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성형한 배관부재에 접하는 유체로의 용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20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인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 예를 들어, 디부틸아민 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 중축합물,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나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6-클로로-1,3,5-트리아진 축합물, 호박산디메틸-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축합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부재를 성형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C)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인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1~1.0 질량부를 더 배합하여, 본 발명의 배관부재를 성형한다.
자외선 흡수제는 수지조성물이 가장 열화되기 쉬운 320~350nm 파장 부근의 자외광을 흡수하여 무해한 진동 에너지나 열 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수지조성물의 열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를 배합하여도 된다. 산화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유황계 산화방지제를 들 수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고온영역에서 효과를 발휘하고, 예를 들어 사출성형시의 성형온도에 따른 산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인계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라디칼화를 억제하는 조제(助劑)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유황계 산화방지제는 장기 내열성에서 효과를 발휘하고, 예를 들어 95℃ 정도의 유체가 장기간 흐르는 배관에 사용했을 때 산화 열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유황계 산화방지제와 인계 산화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는데, 조합함으로써 상승효과가 발휘되고, 산화방지효과와 장기내열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용출방지를 위하여 억제한 배합량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5~1.00 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인계 산화방지제는,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5~1.00 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유황계 산화방지제는,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5~1.00 질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3'-티오디프로피온산 디스테아릴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무기충전재를 배합하여도 된다. 무기충전재로서는 탈크(talc)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탈크가 배합된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배관부재는, 열팽창에 따른 길이방향으로의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여, 배관부재가 파이프인 경우에 고온유체를 흘려도 파이프가 열팽창하여 사행(蛇行)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탈크는 유리섬유와 같은 섬유모양이 아니기 때문에 배관으로부터 유체 안으로 탈락할 우려가 없으며, 내면의 평활성도 악화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한 무기충전재의 배합비율은 무기충전재의 종류, 조합이나 평균입자직경에 따라 변하지만, 10~30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는 열팽창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10 질량부 이상인 것이 좋고, 내약품성과 내충격성을 떨어뜨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30 질량부 이하인 것이 좋다.
또한, 그 밖에 필요에 따라, 난연제(염소화 폴리에틸렌,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decabromodiphenylether) 등의 할로겐계,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tricresyl phosphate) 등의 인계, 수산화 알루미늄 등의 무기계 등), 활제(유동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계, 스테아린산 등의 지방산,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계, 스테아린산 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스테아린산 칼슘 등의 금속비누계 등), 대전 방지제(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카르보베타인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 조핵제(안식향산 나트륨 등의 카르복실산 금속염계, 디벤질리덴 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계, 인산비스(4-t-부틸페닐)나트륨 등의 인산 에스테르계 등), 항균제(제올라이트 등의 무기계, 2-(4-티아졸릴)벤즈이미다졸 등의 유기계 등), 착색제(산화티탄 등의 무기계, 카본블랙 등의 유기계 등), 중금속 불활성제(N-살리실로일-N'-알데히드히드라진 또는 N-살리실로일-N'-아세틸히드라진 등의 히드라진계, N,N'-디페닐옥사마이드 등의 옥사마이드계)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이들의 배합량은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조성물의 물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첨가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는 양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배합한 후에 용융혼련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단축압출기나 2축압출기, 니더(kneader) 등을 사용함으로써 각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된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배관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압출성형으로 제조되는 파이프, 다층 파이프, 사출성형으로 제조되는 이음매, 플랜지, 밸브, 액츄에이터의 케이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배관부재는 아래와 같은 뛰어난 특성을 가진다.
(1) 고온 크리프 특성이 뛰어나고, 95℃의 고온유체를 흘려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배관부재를 얻을 수 있다.
(2) 저온에서 유체가 동결하여도 배관이 열화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3) 고온에서 저온까지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4)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인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배합함으로써 옥외 사용에서의 높은 내후성을 가지고, 또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저분자 성분이 적기 때문에 유체로의 유기질 성분이나 금속성분의 용출량이 억제되며, 식품분야, 의료분야, 반도체 제조분야라는 저용출이 바람직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5)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인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배합에 의해, 혼련후 MFR의 저하나 내면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제 배관부재에 대하여, 파이프를 성형하여 그 성능을 아래에 나타내는 시험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인장시험
JIS K7113에 준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로부터 인장시험조각을 잘라내고, 23±1℃의 분위기 안에서 인장시험을 하여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율을 측정하였다.
(2) 노치(notch)부착 아이조드(Izod) 충격시험
JIS K7110에 준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로부터 노치부착 아이조드 충격시험조각을 잘라내고, 23±1℃ 및 0±1℃의 분위기 안에서 각각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3) 고온 크리프 시험
DIN 8078에 준거하여,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 1000mm에 대하여 95±1℃, 내압 1.4MPa(파이프 두께 5.6mm, 외경 32mm, 시험응력으로 3.5MPa에 상당하는 파이프 내압을 아래의 Naday 식으로 산출)을 걸어서 파괴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식 1]
파이프 내압=(2×파이프 두께×시험응력)/(파이프 외경-파이프 두께)
(4) 용출시험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 1000mm의 양끝에 프로필렌제 캡을 융착하고, 그것을 금유(禁油) 처리한다. 그 후, 초순수를 넣어 남은 공간을 질소가스로 채우고, 사란 시트(saran sheet)로 밀봉한 후에 80℃의 항온 수조에 넣는다. 24 시간후, 상기 파이프를 꺼낸다. 이상의 공정을 거친 뒤, 모든 유기탄소(TOC)를 TOC 자동측정장치로 측정하였다. 또한, TOC 용출량은 폴리머의 열화에 따른 유기물의 용출 혹은 배합한 유기성 첨가제의 용출에 따라 크게 다르며, 이 수치가 작을수록 저용출성이 뛰어나다.
(5) 내후성 시험
상기 인장시험조각을 이용하여, 크세논 아크 광원의 야외노출 시험장치(웨더 미터(Weather Meter))에 의해 조사시간 600시간(조사에너지 135,000kJ/m2, 야외노출 6개월에 해당) 동안 강제열화시험하였다. 그 후, 인장연신율을 측정하고, 조사 0시간의 인장연신율(500%)로부터의 변화를 유지율로서 산출하였다. 이 유지율이 높을수록 내후성이 뛰어나다.
(6) 내면평활성 시험
20℃ 분위기 안의 길이 500mm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에서 조각을 잘라내어, 다이아몬드제 촉침(stylus)(선단 반경 2mm)을 구비한 조도(粗度) 해석장 치로 파이프 내면의 2차원 표면조도를 측정하고, 십점 평균으로 내면조도(Rz)를 산출하였다.
먼저, 서로 다른 배합을 가진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고, 파이프에 대하여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01℃)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7.5 질량부,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 디부틸아민 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 중축합물(CHIMASSORB 2020,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품: 중량평균분자량 약 3000) 0.2 질량부,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IRGANOX 1010,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품) 0.1 질량부, 인계 산화방지제로서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IRGAFOS 168,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품) 0.2 질량부, 유황계 산화방지제로서 3,3'-티오디프로피온산 디스테아릴(IRGANOX PS-802, 치바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품) 0.2 질량부를 배합하고, 2축압출기로 혼련하여 펠릿(pellet)화여, 혼련후의 MFR이 0.43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조성물을 단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220℃에서 두께 5.6mm, 외경 32mm의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를 성형하고, 파이프로부터 각종 시험용 시료를 제작하여, 인장시험, 노치부착 아이조드 충격시험, 고온 크리프 시험, 용출시험, 내후성 시험, 내면평활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01℃)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6.7 질량부, 탈크(미크로에스 P-4, 니혼탈크사 제품: 평균입자직경 4.6㎛) 27.4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42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01℃)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8.2 질량부, 탈크(미크로에스 P-4, 니혼탈크사 제품: 평균입자직경 4.6㎛) 9.4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42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01℃)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8.4 질량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틸렌 함유량 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18℃) 10.5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42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틸렌 함유량 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18℃)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7.5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44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01℃) 100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54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01℃)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20.5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29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01℃)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H1062,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18%, 중량평균분자량 10만) 7.5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56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6.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84℃)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7.5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42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9, 결정화 온도 84℃)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7.5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42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2, 결정화 온도 84℃)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7.5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42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8>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1.0%, MFR 0.5, Mw/Mn=13, 결정화 온도 84℃) 100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광안정제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42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의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9>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에틸렌 함유량 3.0%, MFR 0.5, Mw/Mn=4, 결정화 온도 101℃) 100 질량부, 수소첨가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터프텍N504, 아사히카세이 케미컬즈사 제품: 스틸렌 함유량 30%, 중량평균분자량 23만) 7.5 질량부,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아데카스터브 LA-52, 아데카사 제품: 중량평균분자량 847) 0.2 질량부, 실시예 1과 같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고, 혼련하여 펠릿화하여, 혼련후의 MFR이 0.42g/10min가 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로 파이프를 성형하여서 각종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9049146085-pct00001
표 2
Figure 112009049146085-pct00002
표 1로부터,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1은, 에틸렌 함유량이 0%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 크리프 특성이 실시예 1의 1/2 정도로 짧아졌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5는, 에틸렌 함유량이 6%인 프로 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에틸렌 함유량이 너무 많아서 인장강도나 인장탄성율이 작아지고, 고온 크리프 특성이 실시예 1의 1/4 정도로 짧아졌다. 이로부터,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유량이 2~5%의 범위일 때야 말로 양호한 인장강도나 인장탄성율, 고온 크리프 특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2는,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를 배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고온 크리프 특성이 실시예 1의 1/2 미만으로 짧아지고, 충격강도도 실시예 1의 2/3으로 작아지며, 내면조도는 실시예 1의 2.5배가 되었다. 더욱이, 광안정제가 들어가지 않았기 때문에, 내후성이 실시예 1의 3/5 미만으로 낮아졌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3은,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배합량이 20.5 질량부로 너무 많기 때문에, 인장강도나 인장탄성율이 작아지고, 고온 크리프 특성이 실시예 1의 1/3 미만으로 짧아졌다. 한편,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배합량이 많으면, 혼련후의 MFR이 내려가거나 내면평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얻어지는데, 실시예 1의 수치가 충분히 허용범위내이기 때문에, 고온용 배관부재로의 용도로서는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가 1~15 질량부이어야 한다.
또한, 실시예 1의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3만인데 대하여, 비교예 4의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만으로 작기 때문에, 고온 크리프 특성이 실시예 1의 1/5로 대폭 짧아진다. 이로부터,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인 것이,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로 성형한 배관부재의 고온 크리프 특성에서 커다란 향상 효과를 얻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6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Mw/Mn이 9로 넓고, 저분자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TOC 용출량이 실시예 1의 1.4배가 되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7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Mw/Mn이 2로 좁기 때문에, 내면이 평활한 파이프를 압출성형하기가 어렵고, 내면 조도가 30 이상이 되었다. 또한, 저분자 성분은 적기 때문에 본래 TOC 용출량이 적어져야 하는데, 내면이 평활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적이 커져서 실제 실시예 1의 2.0배가 되었다.
더욱이,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8은, 에틸렌 함유량이 1%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Mw/Mn이 13으로 넓고, 저분자 성분이 많이 함유되기 때문에, TOC 용출량이 실시예 1의 1.6배가 되었다. 또한,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가 들어가지 않은 비교예 2과 비교예 6을 비교하면, 아이조드 충격강도나 고온 크리프 특성이 저분자 성분에 의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비교예 9는,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미만으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가 저분자 성분이 되어 TOC 용출량이 많아졌다.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C)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인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0.1~1.0 중량부 배합함으로써, TOC 용출량을 악화시키지 않고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는 무기충전재로서 탈크를 배합하고 있으며, 실시예 1과 거의 동등한 특성이 얻어졌다. 탈크를 배합함으로써 배관부재의 열팽창에 따른 길이방향으로의 연장을 억제할 수 있고, 배관부재가 파이프인 경우에 고온유체를 흘려도 파이프가 열팽창으로 사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와 실시예 3과 비교하면, 실시예 3과 같이 탈크의 배합량이 적어지면 열팽창을 그다지 억제할 수 없고 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시예 2보다 인장강도나 인장탄성율이 약간 떨어진다. 탈크 배합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탈크를 10 질량부 이상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2에 탈크를 더욱 더하면 강성이 증가하여 아이조드 충격값이 떨어지기 때문에,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탈크를 30 질량부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부터, 탈크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는 실시예 1에 다른 폴리머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배합한 것이다. 실시예 4와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인장탄성율의 향상이 보인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물성을 더욱 개량하고 싶을 때는,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의 배합량과 같은 정도이거나 그 이하의 배합량이라면, 다른 폴리머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A)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와 (B)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를 필수성분으로 한 프로필렌계 수지제 배관부재는, 고온 크리프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95℃의 고온유체를 오랜 기간 흘려도 견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저온시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좋기 때문에 저온 취성이 억제되어 있고, 유체가 동결하여도 배관이 열화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이 때, 저온에 대해서는 -20℃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제 배관부재를 넓은 온도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인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배합함으로써, TOC 용출량을 억제하여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배관부재로부터 유체로의 용출을 꺼리는 식품분야, 의료분야, 반도체 제조분야 등에서의 순수나 약액을 공급하는 배관라인에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압출성형으로 제작한 프로필렌계 수지제 파이프를 사용하였는데, 압출성형으로 제작한 다층 파이프나, 사출성형으로 제작한 이음매, 플랜지, 밸브, 액츄에이터의 케이싱 등의 다른 배관부재에서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기재되어 있음.

Claims (2)

  1. (A) 에틸렌 함유량이 2~5%이고, 결정화 온도가 86~105℃, 용융 흐름 속도가 0.01~2.00g/10min이며, 분자량 분포가 3~8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와, (B) 스틸렌 함유량이 10~4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이상인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 1~15 질량부를 필수성분으로 하고, 혼련후의 용융 흐름 속도가 0.01~2.00g/10min인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C)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 이상인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0.1~1.0 질량부를 더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렌·부타디엔계 고무가 수첨 스틸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KR1020097016799A 2007-02-16 2008-02-01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KR101066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6643A JP5241111B2 (ja) 2007-02-16 2007-02-16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
JPJP-P-2007-036643 2007-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452A KR20090100452A (ko) 2009-09-23
KR101066534B1 true KR101066534B1 (ko) 2011-09-21

Family

ID=3968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799A KR101066534B1 (ko) 2007-02-16 2008-02-01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44050B2 (ko)
EP (1) EP2110409B1 (ko)
JP (1) JP5241111B2 (ko)
KR (1) KR101066534B1 (ko)
CN (1) CN101611089B (ko)
AT (1) ATE484545T1 (ko)
DE (1) DE602008003002D1 (ko)
ES (1) ES2351077T3 (ko)
TW (1) TW200848458A (ko)
WO (1) WO2008099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1784B2 (ja) * 2005-07-01 2013-06-05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配管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および多層配管部材
EP2535374A4 (en) * 2010-02-08 2014-04-02 Asahi Organic Chem Ind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S
US20140141187A1 (en) * 2010-09-17 2014-05-22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Flexible material and articles made therefrom
KR101496290B1 (ko) 2010-09-17 2015-02-26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가요성 재료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물품
JP6335583B2 (ja) * 2014-03-28 2018-05-30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成形された配管部材及びタンクから選ばれた製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891A (ja) 2003-01-31 2004-08-19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配管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射出成形してなる配管部材
WO2007004706A1 (ja) 2005-07-01 2007-01-11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配管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および多層配管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6734A (en) * 1991-02-15 1993-10-26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molded article of the resin composition
JPH05105788A (ja) 1991-02-15 1993-04-27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て得た塗装成形品の製造方法
JPH06179785A (ja) 1992-12-15 1994-06-28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樹脂組成物
JPH08199017A (ja) 1995-01-23 1996-08-06 Showa Denko Kk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EP0752447A4 (en) * 1995-01-23 1998-10-07 Showa Denko Kk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ITEMS
JP3344183B2 (ja) * 1995-08-30 2002-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チレンプロピレンゴム配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ホース
DE19621022B4 (de) 1996-05-24 2014-12-31 Basell Polyolefine Gmbh Hochmolekulares Ethylen/Propylen-Reaktorblend mit breiter Molmassenverteilung
JP3399289B2 (ja) * 1997-04-18 2003-04-21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8121030A (ja) 1997-08-15 2008-05-29 Chisso Corp 多分散性プロピレン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19607B2 (ja) * 1997-08-15 2008-07-16 チッソ株式会社 多分散性プロピレン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52149B2 (ja) 2000-11-14 2011-08-17 Jnc株式会社 長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02295741A (ja) * 2001-03-29 2002-10-09 Asahi Kasei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パイプ材料
JP2006083218A (ja) 2004-09-14 2006-03-30 Mitsui Chemicals Inc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組成物からなるブロー成形体
WO2006078078A1 (ja) 2005-01-24 2006-07-27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製配管部材
JP2006328300A (ja) 2005-05-30 2006-12-07 Mitsui Chemicals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並びに該樹脂の高透明シートへの応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1891A (ja) 2003-01-31 2004-08-19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配管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射出成形してなる配管部材
WO2007004706A1 (ja) 2005-07-01 2007-01-11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配管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および多層配管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5007A1 (en) 2010-02-11
KR20090100452A (ko) 2009-09-23
EP2110409A4 (en) 2010-01-20
DE602008003002D1 (de) 2010-11-25
ES2351077T3 (es) 2011-01-31
JP2008201844A (ja) 2008-09-04
JP5241111B2 (ja) 2013-07-17
EP2110409A1 (en) 2009-10-21
CN101611089B (zh) 2012-01-25
EP2110409B1 (en) 2010-10-13
US8344050B2 (en) 2013-01-01
ATE484545T1 (de) 2010-10-15
TW200848458A (en) 2008-12-16
WO2008099760A1 (ja) 2008-08-21
CN101611089A (zh)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8471B2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1180874B1 (ko) 발포 성형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가교 탄성체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KR101066534B1 (ko) 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한 배관부재
Ghalia et 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calcium carbonate‐filled PP/LLDPE composite
JPS611424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1900770B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piping member, piping member molded by using same, and multilayer piping member
JP2012224870A (ja) 配管部材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て成形した配管部材および多層配管部材
CN101573399B (zh) 热稳定的热塑性硫化橡胶配混物
CN108250653B (zh) 热塑性弹性体组合物和由其制造的模制品
JPH03137146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13023647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チューブ容器
JPH0912785A (ja) ポリオレフィンパイプ
JP4772440B2 (ja) 再生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20210009801A1 (en) Rubb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adhesion to the surface of kneading machine using the same
JP4192007B2 (ja) 摩擦係数の大きい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滑り止め部材
KR100768633B1 (ko) 냉장고 개스킷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SK83997A3 (en) Gaskets especially for refrigerators based on an olefin polymer
KR101501688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형성된 고내열성 성형품
WO2021024347A1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4277563A (ja) 冷蔵庫ガ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