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289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289B1
KR101059289B1 KR1020067005812A KR20067005812A KR101059289B1 KR 101059289 B1 KR101059289 B1 KR 101059289B1 KR 1020067005812 A KR1020067005812 A KR 1020067005812A KR 20067005812 A KR20067005812 A KR 20067005812A KR 101059289 B1 KR101059289 B1 KR 101059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p
pillar
cap box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0163A (ko
Inventor
하지메 이시이
쇼오고 기무라
도모유끼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60J5/0487Special type simplified doors related to cabins of, e.g. golf carts, tractors, jeeps, cranes, forklifts, et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캡 박스(14)에는 절첩식 도어(26)를 설치하고, 그 도어 패널(27, 29)과 상부 선회체(3)의 좌측면 커버(9)는 도어(26)의 폐쇄 위치에서 수직 방향에 대해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한다. 또한,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에는 캐치(34, 35)를 설치하고, 절첩식 도어(26)의 도어 패널(27, 29)에는 캐치(34, 35)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스트라이커(32, 33)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절첩식 도어(26)는 그 개방 위치에 있어서 2세트의 스트라이커(32, 33)가 캐치(34, 35)를 계지함으로써, 도어 패널(27, 29)의 덜걱거림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절첩식 도어(26)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캡 박스, 절첩식 도어, 도어 패널, 상부 선회체, 캐치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되고,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로서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건설 기계의 캡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1-198929호 공보
특허 문헌 2 : WO 99/61711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11-100864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셔블은, 하부 주행체에 상부 선회체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선회 프레임 상에 캡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캡은 좌측 전방, 우측 전방, 좌측 중간, 좌측 후방, 우측 후방에 위치하여 5개의 필러를 세워 설치하는 동시에, 이 필러 사이에는 전방면, 좌측 전방측면, 좌측 후방측면, 우측면, 후방면으로 이루어지는 5면을 배치함으로써 속이 빈 캡 박스를 구성하고, 상기 캡 박스의 좌측 전방 필러와 좌측 중간 필러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도어를 부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에 개시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도어가 1매의 도어 패널 등에 의해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어는 힌지 등을 이용하여 캡 박스의 좌측 중간 필러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캡 박스의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2매의 도어 패널 등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절첩식 도어가 이용되고 있다. 이 절첩식 도어는 좌측 중간 필러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1 도어 패널과, 상기 제1 도어 패널의 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2 도어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도어 패널의 외면에는 1개의 스트라이커가 설치되고, 상기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에는 도어를 크게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스트라이커에 부착,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1개의 캐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첩식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절첩식 도어를 개방하여 스트라이커를 캡 박스측의 캐치에 결합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 위치로 로크할 수 있다.
또한, 이 종래 기술에서는 절첩식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에 2매의 도어 패널이 약간 굴곡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 때에 도어의 하측에는 선회 프레임의 일부가 도어보다도 측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캡의 도어를 외측을 향해 개방하는 1매의 도어 패널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기계의 운전시에는 예를 들어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차체의 레이아웃 설계 등을 행할 때에는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가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개방된 도어가 차폭의 범위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치수를 작게 억제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캡 전체의 위치를 차체의 중심측으로 이동시키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캡과 다른 구조물과의 위치 관계 등을 고려하면, 캡의 이동량이 제약되므로 이 방법으로 도어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가 비어져 나오는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해 캡을 소형화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캡 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운전 환경이 저하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절첩식 도어를 구성하는 2매의 도어 패널 중 제2 도어 패널에만 스트라이커를 설치하고,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스트라이커를 캡 박스측의 캐치에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도어 패널은 캡 박스측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 등의 헐거워짐에 의해 제1 도어 패널이 덜걱거림이나 진동을 발생시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선회 프레임의 외주를 형성하는 측면 패널이 캡의 외측면보다도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 되접힌 도어가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한랭지나 겨울철의 작업 현장 등에서는 강설 중에 건설 기계를 운전하거나, 강설 중에 옥외에 정차되어 있으면, 선회 프레임의 돌출 부위에 쌓인 눈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토사의 굴삭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토사가 선회 프레임의 돌출 부분에 퇴적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된 도어가 차폭의 범위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어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캡 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운전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를 들어 강설 등의 환경하에서도, 도어의 개폐 조작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 내의 오퍼레이터에게 넓은 후방 시계(視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고 프레임 상에 캡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캡의 하측을 측면 커버로 덮어 이루어지는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좌측 전방, 우측 전방, 좌측 중간, 좌측 후방, 우측 후방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5개의 필러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각 필러 사이에 전방면, 좌측 전방측면, 좌측 후방측면, 우측면, 후방면으로 이루어지는 5면이 설치된 속이 빈 캡 박스와, 상기 캡 박스의 좌측 전방 필러와 좌측 중간 필러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도어는 캡 박스의 좌측 중간 필러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동시에 절첩 가능한 2매의 도어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도어로서 형성하고, 절첩식 도어와 측면 커버는 수직 방향에 대해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하고, 상기 절첩식 도어에는 개방되었을 때에 도어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2개의 유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에는 상기 절첩식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가 되었을 때에 상기 각 유지부를 각각 부착, 제거 가능하게 계지하는 2개의 계지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첩식 도어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도어의 하측에 위치하는 측면 커버와 절첩식 도어를 수직 방향에 대해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 박스의 좌측면을 프레임(차체)의 좌측면에 대략 정렬하여 배치할 수 있어, 캡 박스를 차폭에 들어오는 범위 내에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 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차체의 주행, 선회 동작 등을 방해하는 일 없이 오퍼레이터의 운전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첩식 도어에 2개의 유지부를 설치하고,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에 2개의 계지부를 설치하고, 도어의 개방 위치에서 각각을 계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덜걱거림을 발생시키기 쉬운 절첩식 도어라도 2세트의 유지부와 계지부에 의해 덜걱거림이나 진동을 억제할 수 있어, 도어를 개방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의 측면 커버와 절첩식 도어는 수직 방향에 대해 동일면 상에 위치하여 양자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강설시에 도어를 폐쇄하고 있었다고 해도 절첩식 도어의 외측에 눈 등이 쌓여 도어가 개방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설 등의 환경하에서도, 도어의 개폐 조작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절첩식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예를 들어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 등에 따라 도어를 되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캡을 크게 형성하였다고 해도 예를 들어 개방된 도어가 차폭의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배치하거나 도어가 차폭의 범위로부터 측방으로 비어져 나오는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좁은 작업 현장 등에서도 캡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하면서 캡 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운전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첩식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도어측의 2개의 유지부를 캡 박스측의 각 계지부에 각각 계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캡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라도, 도어의 2개의 절첩 부위의 덜걱거림 등을 2개의 계지부(및 유지부)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의 각 부위에 덜걱거림이 발생되어 힌지 등이 열화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첩식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이 도어는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에 따라 되접을 수 있으므로, 캡을 크게 형성하였다고 해도 예를 들어 개방된 도어가 차폭의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배치하거나, 도어가 차폭의 범위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좁은 작업 현장 등에서 도어를 개방한 상태라도 이를 신경쓰지 않고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에서는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은 좌측 중간 필러로부터 좌측 후방 필러를 향해 원호 형상의 만곡면으로서 형성하고, 절첩식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에 따라 되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절첩식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도어를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에 따라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접을 수 있어, 개방된 도어를 캡 박스의 측면에 따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을 충분히 크게 형성하면서 개방된 도어가 캡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절첩식 도어에는 2매의 도어 패널의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덮는 보호 커버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2매의 도어 패널의 절첩 부위의 사이를, 보호 커버에 의해 덮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보호 커버를 도어의 절첩 동작에 따라서 신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도어를 개폐할 때에는 도어의 절첩 부위의 사이에 손끝 등이 끼이는 것을, 보호 커버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도어의 취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4)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유지부는 절첩식 도어를 구성하는 2매의 도어 패널에 각각 개별적으로 부착하고, 2개의 계지부는 절첩식 도어가 개방 위치가 되었을 때에 2개의 유지부를 각각 고정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2세트의 유지부와 계지부에 의해 2매의 도어 패널을 별개로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2세트의 유지부와 계지부는 캡 박스에 대한 도어 패널의 덜걱거림, 각 도어 패널 사이의 덜걱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절첩식 도어를 개방 위치에 의해 한층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에서는 캡을 구성하는 좌측 후방 필러는 캡 내에 설치된 운전석의 후방 위치에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캡 박스의 좌측 후방 필러는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운전석의 후방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후방을 돌아보았을 때에 좌측 후방 필러가 시계를 차단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넓힐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유압 셔블의 배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유압 셔블의 우측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한 유압 셔블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한 유압 셔블을 비스듬히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6은 캡 박스를 단일 부재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캡을 도1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으로부터 확대하여 본 횡단면도이다.
도8은 도7 중의 도어 폐쇄 위치의 절첩 도어 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9는 절첩식 도어를 폐쇄하여 캡의 좌측면 커버와 동일면 상에 배치한 상태를 도1 중의 화살표 IX-IX 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0은 캡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5와 동일한 위치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1은 유압 셔블의 차체를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2는 캡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7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본 횡단면도이다.
도13은 절첩식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12 중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1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부호 1은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상기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부앙(俯仰)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1)은 예를 들어 상부 선회체(3)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후방 소선회기라 불리워지는 소선회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3)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바닥판, 종판(도시하지 않음) 등의 조합에 의해 지지 구조체로서 형성된 선회 프레임(5)과, 상기 선회 프레임(5)의 전방측에 탑재된 후술하는 캡(11)과, 선회 프레임(5)의 후방 단부측에 부착된 카운터 웨이트(6)와, 상기 캡(11)의 후방측에 탑재된 엔진, 유압 펌프,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 등의 기기를 후방측으로부터 덮는 엔진 커버(7)와, 상기 엔진 등을 좌측으로부터 덮는 엔진 좌측 커버(8)와, 선회 프레임(5)의 전방측을 좌측으로부터 덮는 좌측면 커버(좌측 스커트 커버)(9)와, 상기 엔진 선회 프레임(5) 등을 우측으로부터 덮는 우측면 커버(우측 스커트 커버)(10)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3)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의 차폭 내에서 대략 선회할 수 있도록 상부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 좌측 커버(8)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커버(7)의 좌측으로부터 캡(11)의 좌측 하측까지 경사져 연장되어, 예를 들어 엔진, 유압 펌프 등의 좌측을 덮고 있다. 또한, 좌측면 커버(9)는 상기 엔진 좌측 커버(8)의 선단부에 연속하도록 캡(11)의 좌측 하측을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회 프레임(5)을 좌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 좌측면 커버(9)는 전체적으로 수직 방향에 대해 대략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면 커버(1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이 엔진 커버(7)의 우측으로부터 선회 프레임(5)의 높이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고, 전방측이 선회 프레임(5)을 우측으로부터 덮도록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우측면 커버(10)는 예를 들어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반경의 원호에 따르도록 볼록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커버(7), 엔진 좌측 커버(8), 좌측면 커버(9), 우측면 커버(10) 등은 엔진, 탱크 등의 기기 및 선회 프레임(5)의 주위를 덮는 상부 선회체(3)의 외장 커버를 구성하고 있다.
부호 11은 선회 프레임(5)의 좌측에 탑재된 유압 셔블(1)의 캡이며, 상기 캡(11)은 방진 마운트(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선회 프레임(5) 상에 부착되고,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 상에 배치된 바닥판(12)과, 상기 바닥판(12) 상에 설치되고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13)과, 후술하는 캡 박스(1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13)은 후술하는 캡 박스(14) 내의 후방 부근으로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부호 14는 캡(11)의 외형을 형성하는 캡 박스이며, 상기 캡 박스(14)는 운전석(13)을 둘러싸도록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캡 박스(14)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술하는 좌측 전방 필러(15), 우측 전방 필러(16), 우측 후방 필러(17), 센터 필러(18), 좌측 후방 필러(19)로 이루어지는 5개의 필러와, 상기 각 필러(15 내지 19) 사이에 배치된 전방면부(14A), 우측면부(14B), 후방면부(14C), 좌측 전방측면부(14D), 좌측 후방측면부 (14E)로 이루어지는 5면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는 그 일부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좌측 후방 창 유리(20)와 함께, 센터 필러(18)로부터 좌측 후방 필러(19)를 향해 외향으로 볼록 원호 형상을 이루는 만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 후방측면부(14E)는 캡 박스(14) 내의 거주 공간을 좁히는 일 없이 상기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을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반경 내에 들어오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후방측면부(14E)는 후술하는 절첩식 도어(26)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도어(26)가 부착되는 부착면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각 필러(15 내지 19)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우선, 좌측 전방 필러(15)는 캡 박스(14)의 좌측 전방부에 배치되어, 전방면부(14A)와 좌측 전방측면부(14D) 사이의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우측 전방 필러(16)는 캡 박스(14)의 우측 전방부에 위치하여 전방면부(14A)와 우측면부(14B) 사이의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우측 후방 필러(17)는 캡 박스(14)의 우측 후방부에 위치하여 우측면부(14B)와 후방면부(14C) 사이의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센터 필러(18)는 캡 박스(14)의 좌측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 좌측 중간 필러를 구성하고, 좌측 전방측면부(14D)와 좌측 후방측면부(14E)의 경계 위치에서 운전석(13)의 좌측 가로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 필러(18)에는 후술하는 승강구(24)를 개폐하는 절첩식 도어(26)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좌측 후방 필러(19)는 도3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박스(14)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우측 후방 필러(17)의 좌측에 캡 박스(14)의 폭 치수의 절반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좌측 후방 필러(19)는 운전석(13)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 후방 필러(19)는 운전석(13)의 후방측 근방에서 상기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후방측을 돌아보았을 때에 시계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운전석(13)의 폭 치수 내에 들어오는 바로 뒤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 후방 필러(19)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1)이 쓰러지거나, 중량물이 충돌한 경우에 캡 박스(14)의 변형을 오퍼레이터[운전석(13)]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후방 필러(19)를 운전석(13)의 후방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는 좌측 후방을 돌아봄으로써 센터 필러(18)와 좌측 후방 필러(19) 사이에 설치된 좌측 후방 창 유리(20)로부터 좌측 후방의 넓은 범위를 시야로 할 수 있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우측 후방을 돌아보았을 때에는 우측 후방 필러(17)와 좌측 후방 필러(19) 사이에 설치된 후방 창 유리(21)로부터 우측 후방의 넓은 범위를 시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게 넓은 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후방 필러(19)는 예를 들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용접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부착함으로써 횡단면 통 형상의 기둥 부재로서 형성되고, 충분한 강성을 갖는 강도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 후방 필러(19)는 오퍼레이터를 보호하는 면에서 중요한 캡 박스(14)의 후방측 중앙 부분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부호 22는 캡 박스(14)의 좌측 상측에 배치된 좌측 루프 필러이며, 상기 좌측 루프 필러(22)는 캡 박스(14)의 좌측 전방측면부(14D), 좌측 후방측면부(14E)와 천정면부(14F) 사이의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 루프 필러(22)의 후방부측은 필러(18, 19)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가 외향으로 볼록 원호 형상을 이루어 만곡하고 있다. 또한, 부호 23은 캡 박스(14)의 우측 상측에 배치된 우측 루프 필러로, 상기 우측 루프 필러(23)는 캡 박스(14)의 우측면부(14B)와 천정면부(14F) 사이의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부호 24는 캡 박스(14)의 좌측 전방 필러(15)와 센터 필러(18) 사이에 마련된 승강구로, 상기 승강구(24)는 오퍼레이터가 캡(11)을 승강하는 것이며 절첩식 도어(26)에 의해 개폐된다. 이 경우, 승강구(24)[절첩식 도어(26)]는 그 하측에 위치하여 필러(15, 18) 사이에 설치된 하부 연결판(25)과 함께 캡 박스(14)의 좌측 전방측면부(14D)를 구성하고 있다.
부호 26은 캡 박스(14)의 센터 필러(1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절첩식 도어를 나타내고, 상기 절첩식 도어(26)는 좌측 전방 필러(15)와 센터 필러(18) 사이[승강구(24)]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절첩식 도어(26)는 후술하는 도어 패널(27, 29), 힌지(28, 31), 스트라이커(32, 33), 보호 커버(37) 등에 의해 구성되고, 중간 힌지(31)를 사이에 두고 2개로 절첩(굴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절첩식 도어(26)는 센터 필러(18)[도어 힌지(28)]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5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박스(14)의 승강구(24)를 폐쇄하는 폐쇄 도어 위치와,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 도10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에 따라 대략 원호 형상(대략 L자 형상)으로 되접히는 도어 개방 위치 사이에서 개폐된다.
부호 27은 제1 도어 패널로, 상기 제1 도어 패널(27)은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폭방향의 후방측(기단부측)은 예를 들어 2개의 도어 힌지(28)를 이용하여 캡 박스(14)의 센터 필러(18)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도어 힌지(28)는 제1 도어 패널(27)과 센터 필러(18)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들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부호 29는 제1 도어 패널(27)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도어 패널이며, 상기 제2 도어 패널(29)은 도어 패널(27)의 폭방향의 전방측(선단부측)에 상하 중간 힌지(31)를 이용하여 부착되고, 제1 도어 패널(27)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도어 패널(29)에는 오퍼레이터 등이 파지하는 손잡이(30)와, 좌측 전방 필러(15)측의 부위에 부착,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시에 절첩식 도어(26)를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동시에 손잡이(30)를 당김으로써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래치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31은 도어 패널(27, 29) 사이에 설치된 예를 들어 2개의 중간 힌지로, 상기 각 중간 힌지(31)는 상하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2매의 도어 패널(27, 29)을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도어 패널(27, 29)은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식 도어(2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서로 대략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어 캡 박스(14)의 승강구(24)를 폐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절첩식 도어(26)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27, 29)과, 캡 박스(14)를 구성하는 하부 연결판(25)과, 상부 선회체(3)를 구성하는 좌측면 커버(9)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에 대해 대략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첩식 도어(26)와 좌측면 커버(9)는 단차 없이 연속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캡 박스(14)의 좌측 전방측면부(14D)를 차폭에 들어오는 범위 내에서 최대로 가까운 위치까지 좌측으로 붙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강설시에 절첩식 도어(26)를 폐쇄하고 있었다고 해도 도어 패널(27, 29)의 외측에 눈이 쌓여 도어가 개방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패널(27, 29)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식 도어(26)를 개방하였을 때에, 중간 힌지(31)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함으로써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에 따라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접힌다. 그리고, 도어 패널(27, 29)은 후술하는 스트라이커(32, 33)와 캐치(34, 35)에 의해 각각 도어 개방 위치로 유지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캡(11)을 크게 형성하였다고 해도 개방 위치에 있는 도어가 차폭의 범위로부터 측방으로 비어져 나오는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부호 32는 2개의 중간 힌지(31)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도어 패널(27)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보유 지지부로서의 스트라이커를 나타내고 있다. 이 스트라 이커(32)는 도어 패널(27)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도어 힌지(28)로부터 전방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략 U자 형상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라이커(32)는 절첩식 도어(26)를 개방하였을 때에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에 설치된 후술하는 캐치(34)에 부착, 제거 가능하게 계지되고, 이 캐치(34)와 협동하여 제1 도어 패널(27)을 개방 위치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부호 33은 손잡이(30)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제2 도어 패널(29)에 돌출 설치된 보유 지지부로서의 다른 스트라이커로, 상기 스트라이커(33)는 도어 패널(29)의 회전 지지점이 되는 중간 힌지(31)로부터 전방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스트라이커(33)도 스트라이커(32)와 마찬가지로 다른 캐치(35)에 부착, 제거 가능하게 계지됨으로써 캐치(35)와 협동하여 제2 도어 패널(29)을 개방 위치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34 및 35는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에 설치된 계지부로서의 예를 들어 2개의 캐치로, 이들 캐치(34, 35)는 각 스트라이커(32, 33)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고, 좌측 후방측면부(14E)에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캐치(34)는 제1 도어 패널(27)에 설치된 스트라이커(32)에 대응하도록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치(34)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박스(14)에 고정된 고정부(34A)와, 상기 고정부(34A)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트라이커(32)가 계지되거나 또는 이탈하는 대 략 U자 형상의 갈고리부(34B)와, 스트라이커(32)가 계지된 갈고리부(34B)를 일정한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도어 패널(27)을 개방 위치까지 개방하였을 때에는, 이 도어 패널(27)에 설치된 스트라이커(32)에 의해 갈고리부(34B)를 고정부(34A)측에 압입하면, 갈고리부(34B)가 변위하여 스트라이커(32)가 상기 갈고리부(34B)의 내측에 계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계지 상태는 보유 지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보유 지지되므로, 도어 패널(27)을 개방 위치로 로크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 패널(27)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할 때에는, 이것을 일정 이상의 힘에 의해 캐치(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갈고리부(34B)가 보유 지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스트라이커(32)를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스트라이커(32)의 계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도어 패널(27)을 로크된 상태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캐치(35)는 제2 도어 패널(29)에 설치된 스트라이커(33)에 대응하도록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치(35)는 캐치(34)와 마찬가지로 고정부(35A), 갈고리부(35B), 보유 지지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스트라이커(33)를 원터치로 계지 또는 이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스트라이커(32, 33)와 캐치(34, 35)는 2매의 도어 패널(27, 29)을 별개로 로크하는 것이다. 즉, 스트라이커(32)와 캐치(34)에 의해 제1 도어 패널(27)을 로크하고, 스트라이커(33)와 캐치(35)에 의해 제2 도어 패널(29)을 로크하 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스트라이커(32, 33)와 캐치(34, 35)는 각 도어 패널(27, 29)의 덜걱거림 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후술하는 도어 쿠션(36)과 협동하여 절첩식 도어(26)를 개방 위치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부호 36은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 또는 천정면부(14F)에 설치된 도어 쿠션(36)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어 쿠션(36)은, 캡 박스(14)에 설치된 브래킷(36A)과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36A)에 설치된 탄성체(3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체(36B)는 절첩식 도어(2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제2 도어 패널(29)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어 쿠션(36)은 도어 전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스트라이커(32, 33) 및 캐치(34, 35)와 협동하여 절첩식 도어(26)의 덜걱거림 및 진동 등을 완충하는 동시에 이것을 보호하고 있다.
부호 37은 오퍼레이터의 손끝 등을 보호하기 위해 절첩식 도어(26)의 도어 패널(27, 29) 사이에 설치된 보호 커버로, 상기 보호 커버(37)는 예를 들어 탄성 재료 또는 가요성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고, 벨로우즈 형상의 시트, 천, 필름 등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커버(37)는 절첩식 도어(26)의 2개로 절첩되는 부위[도어 패널(27, 29)] 사이를 상하 방향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덮는 동시에, 도어의 폭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호 커버(37)는 절첩식 도어(26)를 개폐하여 2매의 도어 패널(27, 29)이 중간 힌지(31)에 의해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각 도어 패널(27, 29) 사이에 오퍼레이터의 손끝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며,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오퍼레이터가 캡(11) 내의 운전석(13)에 착석하여 절첩식 도어(26)를 폐쇄하였을 때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식 도어(26)와 상부 선회체(3)의 외장 커버를 구성하는 좌측면 커버(9)가 수직 방향에 대해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캡 박스(14)의 좌측 전방측면부(14D)는 선회 프레임(5)의 좌측면에 거의 정렬하여 배치할 수 있으므로, 캡 박스(14)를 차폭에 들어오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운전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캡(11) 내의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는 조작 레버 등을 조작함으로써 차량을 주행시키거나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는 동시에 작업 장치(4)를 작동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1)은 예를 들어 급사면 등에서 무리한 자세로 주행하거나 작업하였을 때에는 전도될 우려가 있으며, 전도된 경우에는 캡(11)에 대해 큰 하중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캡(11)은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 필러(19)가 운전석(13)의 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좌측 후방 필러(19)는 캡(11)에 큰 하중이 작용한 경우라도 운전석(13)의 주위에서 캡 박스(14)가 크게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후방 필러(19)를 운전석(13)의 후방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목을 돌려 후방측을 돌아보아도 후방 위치의 좌측 후방 필러(19)는 시계에 들어오지 않아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오퍼레이터가 넓은 후방 시계에 의해 효율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어(26)를 개방한 상태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절첩식 도어(26)를 개방하고 이것을 캡(11)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에 따른 개방 위치까지 후방측으로 회전시킨 후에, 도어측의 스트라이커(32, 33)를 캐치(34, 35)에 각각 압박한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각 스트라이커(32, 33)를 캐치(34, 35)에 각각 원터치로 계지시킬 수 있어, 이러한 간단한 동작에 의해 절첩식 도어(26)를 개방 위치로 로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절첩식 도어(26)를 원호 형상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와 엔진 좌측 커버(8)에 따라 콤팩트하게 절첩할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개방된 도어(26)의 위치나 돌출 상태 등을 필요 이상으로 신경 쓰는 일 없이 차체의 주행 및 선회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 개방된 상태의 절첩식 도어(26)에는 주행시, 작업시의 진동, 충격 등의 외력이 가해지기 쉽다. 그러나, 절첩식 도어(26)를 구성하는 제1 도어 패널(27)은 스트라이커(32)와 캐치(34)에 의해 개방 위치로 유지되고, 제2 도어 패널(29)은 스트라이커(33)와 캐치(35)에 의해 개방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절첩식 도어(26)는 도어 쿠션(3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절첩식 도어(26)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2매의 도어 패널(27, 29)은 개별적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으므로 도어 패널(27, 29)의 덜걱거림 등이 발생하여 힌지(28, 31)가 열화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첩식 도어(26)를 폐쇄할 때에는 도어 패널(27, 29)을 캡 박스(14)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각 스트라이커(32, 33)를 캐치(34, 35)로부터 간단히 빼낼 수 있어 도어를 원활하게 폐쇄할 수 있다.
이리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절첩식 도어(26)는 2매의 도어 패널(27, 29)에 의해 형성하고, 이들 도어 패널(27, 29)에는 스트라이커(32, 33)를 설치하여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에는 스트라이커(32, 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캐치(34, 3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절첩식 도어(26)는 개방하였을 때에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에 따라 되접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캡(11)을 크게 형성하였다고 해도, 예를 들어 개방된 절첩식 도어(26)가 차폭의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배치하거나, 절첩식 도어(26)가 하부 주행체(2)의 차폭의 범위로부터 측방으로 비어져 나오는 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개방된 도어를 좌측 후방측면부(14E)에 따라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접을 수 있어, 도어 전체를 개방 위치에 콤팩트하게 배치, 격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개방 위치에서는 2매의 도어 패널(27, 29)을 2세트의 스트라이커(32, 33)와 캐치(34, 35)에 의해 각각 개방 위치로 안정적으로 로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 패널(27, 29)의 덜걱거림 등에 의해 도어가 개방 위치로부터 벗어나거나, 힌지(28, 31)의 열화나 소음 등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도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절첩식 도어(26)를 개방한 상태라도 도어(26)의 위치나 덜걱거림 등을 신경쓰지 않고 차량의 운전이나 각종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좁은 작업 현장 등에서도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트라이커(32)와 캐치(34)에 의해 제1 도어 패널(27)을 로크하고, 스트라이커(33)와 캐치(35)에 의해 제2 도어 패널(29)을 로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스트라이커(32, 33)와 캐치(34, 35)는 캡 박스(14)에 대한 제1 도어 패널(27)의 덜걱거림, 제1 도어 패널(27)에 대한 제2 도어 패널(29)의 덜걱거림을 개별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절첩식 도어(26)를 개방 위치로 한층 더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절첩식 도어(26)를 이용하여 도어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함으로써 예를 들어 캡 박스(14)의 좌측 전방측면부(14D), 좌측 후방측면부(14E) 등을 차폭의 범위 내에서 좌측으로 붙여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11) 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운전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절첩식 도어(26)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는 절첩식 도어(26)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27, 29)과, 캡 박스(14)의 하부 연결판(25)과, 상부 선회체(3)를 구성하는 좌측면 커버(9)를 수직 방향에 대해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하였으므로, 이들 3 군데의 부위를 단차 없이 거의 연속한 평면으로서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 박스(14)의 좌측 전방측면부(14D)를 차폭에 들어오는 범위 내에서 거의 최대에 가까운 위치까지 좌측으로 붙여 배치할 수 있어, 캡(11) 내의 공간을 차폭의 범위 내에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의 주행, 선회 동 작 등을 방해하는 일 없이 오퍼레이터의 운전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첩식 도어(26)와 상부 선회체(3)의 좌측면 커버(9)는 수직 방향으로 대략 동일면을 이루어, 이 절첩식 도어(26)의 하측에는 단차가 없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강설시에 절첩식 도어(26)를 폐쇄하고 있었다고 해도 도어 패널(27, 29)의 외측에 눈이 쌓여 도어가 개방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도어의 개폐 조작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패널(27, 29) 사이에는 신축성을 갖는 보호 커버(37)를 마련하였으므로, 이들 사이를 보호 커버(37)에 의해 덮을 수 있어, 이 상태에서 보호 커버(37)를 도어의 절첩 동작에 따라서 신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절첩식 도어(26)를 개폐할 때에는 도어 패널(27, 29) 사이에 손끝 등이 끼이는 것을 보호 커버(37)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도어의 취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는 센터 필러(18)로부터 좌측 후방 필러(19)를 향해 원호 형상의 만곡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가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된 후방 소선회기라고 불리워지는 소형의 유압 셔블(1)에 캡(11)을 탑재한 경우에도 좌측 후방측면부(14E)를 선회 반경 내에 들어오게 할 수 있어, 선회 반경을 작게 하여 작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측면부(14E)를 만곡면으로서 형성함으로써 평탄면에 비해 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운전석(13)의 근방에서 캡 박스(14)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 필러(19)를 운전석(13)의 후방 위치에 배치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운전석(13)을 둘러싸는 캡 박스(14) 중,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 가까운 부분을 좌측 후방 필러(19)에 의해 효율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압 셔블(1)이 전도되어 캡 박스(14)에 큰 하중이 작용한 경우라도 캡 박스(14)의 변형을 오퍼레이터의 위치에서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캡 박스(14)의 좌측 후방 필러(19)는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운전석(13)의 후방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후방측을 돌아보았을 때의 시야로부터 좌측 후방 필러(19)를 제외할 수 있어 후방 시계를 넓혀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캡 박스(14)에는 운전석(13)의 좌측 횡측 근방에 센터 필러(18)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좌측 후방 필러(19)와 함께 캡 박스(14) 중 운전석(13)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 가까운 부분을 효율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절첩식 도어(26)에 설치한 스트라이커(32, 33)를 대략 U자 형상의 부재로서 형성하고, 캡 박스(14)에 설치한 캐치(34, 35)의 대략 U자 형상의 갈고리부(34B)를 각 스트라이커(32, 33)에 계지시키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앞서 서술한 일본 특허 공개 평1-19892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는 선단부가 대경부가 된 막대 형상 부재로서 형성하고, 캐치는 스트라이커의 선단부 대경부에 계지되는 갈고리부 등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절첩식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캐치의 갈고리부를 스트라이커의 선단부 대경부 에 주위로부터 계지함으로써 절첩식 도어를 개방 위치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소형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서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중형, 대형의 유압 셔블이나 휠식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고 프레임 상에 캡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캡의 하측을 측면 커버로 덮어 이루어지는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좌측 전방, 우측 전방, 좌측 중간, 좌측 후방, 우측 후방에 위치하여 상부,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5개의 필러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각 필러 사이에 전방면, 좌측 전방측면, 좌측 후방측면, 우측면, 후방면으로 이루어지는 5면이 설치된 속이 빈 캡 박스와, 상기 캡 박스의 좌측 전방 필러와 좌측 중간 필러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캡 박스의 좌측 중간 필러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1 도어 패널과, 상기 제1 도어 패널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도어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첩식 도어로서 형성하고,
    상기 절첩식 도어와 상기 측면 커버는 수직 방향에 대해 동일면 상에 배치하고,
    상기 절첩식 도어를 구성하는 제1 도어 패널과 제2 도어 패널에는, 개방되었을 때에 개방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2개의 유지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에는 상기 절첩식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가 되었을 때에 상기 2개의 유지부를 각각 부착, 제거 가능하게 계지하는 2개의 계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은 상기 좌측 중간 필러로부터 상기 좌측 후방 필러를 향해 원호 형상의 만곡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절첩식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에 상기 캡 박스의 좌측 후방측면에 따라 되접힌 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식 도어에는 상기 제1 도어 패널과 제2 도어 패널 사이를 신축 가능하게 덮는 보호 커버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구성하는 좌측 후방 필러는 상기 캡 내에 설치된 운전석의 후방 위치에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067005812A 2004-06-07 2005-05-26 건설 기계 KR101059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68812 2004-06-07
JPJP-P-2004-00168812 2004-06-07
PCT/JP2005/010103 WO2005121459A1 (ja) 2004-06-07 2005-05-26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163A KR20070030163A (ko) 2007-03-15
KR101059289B1 true KR101059289B1 (ko) 2011-08-24

Family

ID=3550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812A KR101059289B1 (ko) 2004-06-07 2005-05-26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75272B2 (ko)
EP (1) EP1757738B8 (ko)
KR (1) KR101059289B1 (ko)
CN (1) CN1898447B (ko)
WO (1) WO2005121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9225B1 (en) * 2004-11-19 2017-08-23 Kubota Corporation Swiveling work machine
WO2007010808A1 (ja) * 2005-07-19 2007-01-25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キャブ構造
JP4655815B2 (ja) * 2005-08-12 2011-03-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ビン
US7988210B2 (en) * 2006-10-20 2011-08-02 Kubota Corporation Cabin door device
JP4819647B2 (ja) * 2006-10-23 2011-11-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185721B2 (ja) * 2008-07-29 2013-04-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016345B1 (en) * 2009-01-02 2011-09-13 Gehl Company Operator cab having inwardly folding access door
EP2464531A4 (en) * 2009-08-13 2014-12-03 Volvo Constr Equip Ab DOOR LOCK ARRANGEMENT AND WORK MACHINE WITH A DOOR LOCK ARRANGEMENT
JP5054802B2 (ja) * 2010-05-24 2012-10-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054805B2 (ja) * 2010-06-09 2012-10-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418425B2 (ja) * 2010-07-01 2014-02-1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キャビンのドア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JP5872566B2 (ja) * 2010-10-20 2016-03-01 ボルボ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ーベー 建設機械用転覆防止構造のキャブ
US9598268B2 (en) * 2010-11-30 2017-03-21 Terex Usa, Llc Boom truck with splayed forward front stabilizers
JP5591994B2 (ja) * 2011-02-24 2014-09-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2963448A (zh) * 2012-12-10 2013-03-13 江苏友邦精工实业有限公司 一种矿用车辆驾驶室的锁止装置
US8702154B1 (en) * 2013-02-07 2014-04-22 Caterpillar Inc. Cab frame with integrated rollover protective structure
JP5991350B2 (ja) * 2014-08-01 2016-09-1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WO2016172854A1 (en) 2015-04-28 2016-11-03 Guangxi Liugong Machinery Co., Ltd. Operator's cab arrangement for a construction machine
DE102016010660A1 (de) * 2016-04-06 2017-10-12 Bomag Gmbh Selbstfahrende Maschine, insbesondere Baumaschine, mit verstellbarer Fahrerkabine sowie Verfahren zum Verstellen einer Fahrerkabine einer selbstfahrenden Maschine
CN115853053A (zh) 2017-04-19 2023-03-28 克拉克设备公司 装载机驾驶室
CN111055742B (zh) * 2018-10-16 2022-06-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乘降辅助装置
DE102019102999A1 (de) * 2019-02-07 2020-08-13 Hamm Ag Bodenbearbeitungsmas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623A (ja) * 1998-09-24 2000-04-04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JP2001200552A (ja) * 2000-01-19 2001-07-27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2083A (en) * 1970-12-07 1972-09-19 Case Co J I Plural panel door assembly
US4035016A (en) * 1976-04-21 1977-07-12 Caterpillar Tractor Co. Door holding assembly
JPH076217B2 (ja) * 1987-10-09 1995-01-30 日立建機株式会社 全旋回式作業機
CN2160731Y (zh) * 1993-01-08 1994-04-06 沈阳飞机制造公司 客车折叠门
JPH11100864A (ja) 1997-09-29 1999-04-13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CN1098954C (zh) * 1998-05-26 2003-01-15 日立建机株式会社 建筑机械用驾驶室
KR100382823B1 (ko) * 1999-09-01 2003-05-0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백호
JP3747733B2 (ja) * 2000-03-28 2006-0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
US6471260B1 (en) * 2001-08-06 2002-10-29 The Eastern Company Rotary latches with enhanced service longevity
JP2004143687A (ja) 2002-10-22 2004-05-2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ドア開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6623A (ja) * 1998-09-24 2000-04-04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JP2001200552A (ja) * 2000-01-19 2001-07-27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21459A1 (ja) 2005-12-22
CN1898447B (zh) 2010-07-14
CN1898447A (zh) 2007-01-17
US7575272B2 (en) 2009-08-18
EP1757738B1 (en) 2017-03-08
US20070132277A1 (en) 2007-06-14
KR20070030163A (ko) 2007-03-15
EP1757738A1 (en) 2007-02-28
EP1757738B8 (en) 2017-05-31
EP1757738A4 (en)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289B1 (ko) 건설 기계
JP4113925B2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CN107310353B (zh) 车辆侧部结构
EP2679729B1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cab construction
JP2008195348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JP4292847B2 (ja) 車両のリアバンパー構造
JP4625371B2 (ja) 建設機械
JP5751429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ガード装置
JP4875643B2 (ja) 建設機械
JP3846394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2007145092A (ja) 車体構造
KR100737959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장치의 충격흡수구조
JP4389362B2 (ja) 車両用ティルト式サンルーフ
JPH1134658A (ja) 車両の窓またはドアの開閉装置
JP4783922B2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JP2009046932A (ja) 産業車両用キャビンドア開閉装置
JP3067823B2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構造
JP2005088711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2673011B1 (ko) 트럭의 캡 틸트 장치
JP3310745B2 (ja) 掘削作業機のキャビン構造
JPH0351206Y2 (ko)
JP2004130828A (ja) 作業用車両のキャブ構造
JP3263508B2 (ja) 掘削作業機のキャビン取付構造
JP4685275B2 (ja) 作業車の運転キャビン用サイドドア
JP3732728B2 (ja) 建設機械用キャ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