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297B1 -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297B1
KR101058297B1 KR1020097006472A KR20097006472A KR101058297B1 KR 101058297 B1 KR101058297 B1 KR 101058297B1 KR 1020097006472 A KR1020097006472 A KR 1020097006472A KR 20097006472 A KR20097006472 A KR 20097006472A KR 101058297 B1 KR101058297 B1 KR 10105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creen
application
display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7078A (ko
Inventor
겐타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648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807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062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7633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표시부에의 입력이 펜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입력 수단 판정부(8)에 의해서 판별된 경우, 입력 위치 판정부(11)에 의해 판정된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애플리케이션(3)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애플리케이션(3)의 기능을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표시부에의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애플리케이션(3)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애플리케이션(3)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애플리케이션(3)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정보 입력시 표시부를 이용하여 입력을 검지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로 소프트 키를 이용한 UI(User Interface)를 실현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휴대 단말이 증가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 단말에 터치 패널을 채용하는 경우, 그 터치 패널의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태블릿에 접촉한 면적을 판정하여, 접촉 면적이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소프트 키보드를 생성하는 방법(예컨대, 특허 문헌 1)이나, 전자펜에 모드 전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하지 않고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예컨대, 특허 문헌 2)이 제안되어 있다.
또, 좁은 스페이스로 표시하고 있는 소프트 키의 오동작을 막기 위해서, 유저의 소프트 키의 사용 빈도를 산출하여, 사용 빈도가 높은 소프트 키의 크기를 크 게 함으로써, 유저의 오동작을 막는 방법(예컨대, 특허 문헌 3)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조작을 될 수 있는 한 적은 키를 이용하여 신속히 하기 위해서, 예컨대, 소프트 키 문자열을 표시하는 방법(예컨대, 특허 문헌 4)이나, 문자 입력시에 소프트 키와 터치펜을 접촉시켜, 터치펜을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소프트 키 표시에 대하여 많은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예컨대, 특허 문헌 5)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유저의 조작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애플리케이션이 배경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용의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배경의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용의 디바이스에 의해, 배경의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기 위해서 유저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전환하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11-272423 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 07-160398 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평 11-265240 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84086 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57144 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방법은, 오브젝트(소프트 키 등)의 기능은, 입력 종별(펜 또는 손가락)에 관계없이 입력에 대하여 1 대 1 대응이다, 입력 종별에 따르지 않고 입력에 따른 오브젝트가 갖는 기능이 표현되기 때문에, 다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표시부의 스페이스가 작은 경우에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수가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2에 제안되어 있는 방법은, 하드웨어 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특별한 제어를 필요로 하는 터치 패널 및 입력 장치가 필요함과 아울러, 입력 장치에 대한 조작이 증가하는 점이 유저에게는 불편하다.
특허 문헌 3에 제안되어 있는 방법은, 사용 빈도가 낮은 소프트 키를 사용할 때에 유저는 의식하여 조작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성의 관점에서 유저가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특허 문헌 4 및 특허 문헌 5에 제안되어 있는 방법은, 메일 작성시의 문자 입력 회수가 감소하지만, 입력 조작 이외에는 종래의 메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한 화면 전환을 몇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경의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는 전용의 디바이스를 설치하므로, 하드웨어가 커짐과 아울러 고가로 되고, 또한, 사전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밖에 대응할 수 없어, 범용성이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패널을 이용한 UI를 실현하는 경우에, 목적을 달성하기까지의 조작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일반적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한정된 표시 스페이스로 다기능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복수의 입력을 각각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와,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前面)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와,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스크롤 기능에 의해 열람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스크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손으로 쓴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문자 입력을 행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입력에 의해 문자 소거 또는 문자 시프트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복수의 입력을 각각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와,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상기 제 2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복수의 입력을 각각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와,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는 하나의 메인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하나의 배경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기동되고 있을 때에,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상기 배경 애플리케이션의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와,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와,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는 하나의 메인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하나의 배경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기동되고 있을 때에,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배경 애플리케이션의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상기 입력 검지부가, 상기 표시부 주변의 화상을 픽업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픽업된 화상을 해석하는 화상 해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상기 입력 검지부가, 상기 표시부에 결합되는 화상 센서와, 상기 화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해석하는 화상 해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터치 패널과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미만인 메인 입력이고, 상기 제 2 입력은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터치 패널과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이상인 서브 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상기 메인 입력은 펜에 의한 입력이고, 상기 서브 입력은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복수의 입력을 각각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스크롤 기능에 의해 열람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스크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손으로 쓴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문자 입력을 행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입력에 의해 문자 소거 또는 문자 시프트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복수의 입력을 각각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복수의 입력을 각각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는 하나의 메인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하나의 배경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기동되고 있을 때에,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여,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배경 애플리케이션의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또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는 하나의 메인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하나의 배경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기동되고 있을 때에,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또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배경 애플리케이션의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입력 검지부가, 상기 표시부 주변의 화상을 픽업하는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픽업된 화상을 해석하는 화상 해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입력 검지부는, 상기 표시부에 포함된 화상 센서와, 상기 화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해석하는 화상 해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터치 패널과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미만인 메인 입력이고, 상기 제 2 입력은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터치 패널과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이상인 서브 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메인 입력은 펜에 의한 입력이고, 상기 서브 입력은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메일 작성 화면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메일 작성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제 2 입력의 입력 개시 위치와 입력 해제 위치가 대략 동일한 경우, 상기 메일 작성 화면과 상기 메일 작성 화면의 호출원인 메일의 열람 화면과의 전환 제어를 행하고,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제 2 입력의 입력 개시 위치와 입력 해제 위치가 다른 경우,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스크롤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있어,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계속해서 검지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첨부 파일을 나타내는 영역에 관련되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첨부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계속해서 검지되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제 1 입력의 입력 개시 위치를 시점으로 설정하고, 또한 입력 해제 위치를 종점으로 설정하는 범위에서,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 2 입력의 입력 해제가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후에 처음으로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데이터 붙여 넣기 가능 영역에서 상기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제 1 입력의 입력 위치를 기점으로 설정한 상기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 넣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터치 패널과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미만인 메인 입력이고, 상기 제 2 입력은 상기 터치 패널과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이상인 서브 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상기 메인 입력은 펜에 의한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이고, 상기 서브 입력은 손가락에 의한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메일 작성 화면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메일 작성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제 2 입력의 입력 개시 위치와 입력 해제 위치가 대략 동일한 경우, 상기 메일 작성 화면과 상기 메일 작성 화면의 호출원인 메일의 열람 화면과의 전환 제어를 행하고,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는 상기 제 2 입력의 입력 개시 위치와 입력 해제 위치가 다른 경우,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스크롤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여,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있어,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계속해서 검지되는 기간 동안에,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첨부 파일을 나타내는 영역에 관련되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첨부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계속해서 검지되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제 1 입력의 입력 개시 위치를 시점으로 설정하고, 또한 입력 해제 위치를 종점으로 설정하는 범위에서,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 2 입력의 입력 해제가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후에 처음으로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데이터 붙여 넣기 가능 영역에서 상기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제 1 입력의 입력 위치를 기점으로 설정한 상기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 넣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터치 패널과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미만인 메인 입력이고, 상기 제 2 입력은 상기 터치 패널과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이상인 서브 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메인 입력은 펜에 의한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이고, 상기 서브 입력은 손가락에 의한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여, 입력 수단에 따라 표시되는 오브젝트 이외의 기능을 실현한다. 따라서, 표시부를 이용한 UI를 실현하는 경우에, 목적을 달성하기까지의 조작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일반적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한정된 표시 스페이스로 다기능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터치 패널로서 표면 탄성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입력 수단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입력 수단을 판정하는 흐름도이며, 도 3b는 입력 종별을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웹 브라우저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웹 브라우저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웹 브라우저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수동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수동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을 페인트 툴(paint tool)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페인트 툴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페인트 툴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전경(foreground)으로 메일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함과 아울러 배경으로 뮤직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을 때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전경으로 메일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함과 아울러 배경으로 뮤직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을 때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입력 수단의 판정을 행하는 경우의 판정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a)는 평면 설명도, (b)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 정보의 판정을 행하는 경우의 판정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a)는 평면 설명도, (b)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입력 상태를 판정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입력 종별을 판정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의 처리 1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처리 2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1)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2)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3)을 나타내고, (a)는 메일 입력 화면의 설명도, (b)는 수신 메일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4)을 나타내는 화면 스크롤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5)을 나타내고, (a)는 수신 메일 열람 화면의 설명도, (b)는 발호 모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6)을 나타내는 화면 천이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7)을 나타내는 화면 천이 상태 (a) 내지(f)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8)을 나타내고, (a)는 첨부 파일 부착 화면의 설명도, (b)는 첨부 파일 선택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9)을 나타내고, (a)는 펜 입력 화면의 설명도, (b)는 파일 재생 화면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20 : 휴대 단말 2 : 기억부
3 : 애플리케이션 4 : 표시부
5, 21 : 터치 패널 6 : 입력 검지부
7, 25 : 제어부 8 : 입력 수단 판정부
9 : 오브젝트 제어부 10 : 접촉 면적 검출부
11 : 입력 위치 판정부 22 : 접촉 검출부
23 : 특징 판정부 24 : 입력 수단 판정부
26 : 입력 장치 27 : 카메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단말(1)은 PDA(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 등의 휴대 통신 단말이다. 기억부(2)는 각종 애플리케이션(3)을 기억하고, 표시부(4)는 애플리케이션(3)의 화면을 구성하는 각종 오브젝트(예컨대, 소프트 키)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4)의 전면에는, 터치 패널(5)이 표시부(4)와 관련되어 설치된다. 오브젝트에의 입력은 입력 검지부(6)에 의해서 검지된다.
제어부(7)는, 입력 수단 판정부(8), 오브젝트 제어부(9) 및 입력 위치 판정부(11)를 포함하고, 터치 패널(5)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3)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 수단 판정부(8)는, 접촉 면적 검출부(10)를 갖고, 입력 검지부(6)에 의해 터치 패널(5)에의 입력이 검지되면, 그 접촉 면적을 산출하여 입력 수단을 판별한다. 예컨대, 입력 수단 판정부(8)는, 접촉 면적 산출부(10)에서 산출된 면적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는 상기 입력을 펜 입력인 것으로 판별하고, 접촉 면적 산출부(10)에서 산출된 면적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는 상기 입력을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것으로 판별한다. 입력 위치 판정부(11)는, 입력 검지부(6)에 의해 터치 패널(5)에의 입력이 검지되면, 그 입력 좌표를 판정한다.
오브젝트 제어부(9)는 입력 수단 판정부(8)에 의해 판별되는 입력 수단 및 입력 위치 판정부(11)에 의해 판정되는 입력 좌표에 따라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기능을 실행한다. 예컨대, 터치 패널(5)에의 입력이 검지되어 상기 입력이 입력 수단 판정부(8)에 의해 펜 입력인 것으로 판정되면, 오브젝트 제어부(9)는 입력 위치 판정부(11)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펜 입력의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표시부(4) 상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기능을 실행한다. 입력 수단 판정부(8)에 의해 상기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것으로 판정되면, 오브젝트 제어부(9)는 표시부(4)에 표시되어 있는 모든 오브젝트의 기능을 금지하고, 손가락에 의한 입력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한다.
도 2는, 터치 패널로서 표면 탄성 방식의 패널을 이용한 경우의 입력 수단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이 펜 입력(메인 입력)인지 손가락에 의한 입력(서브 입력)인지를 판정한다. 표면 탄성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진동을 주고 나서 반사한 진동이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입력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입력으로 인해 표면 탄성파의 흡수량만큼 신호값에 변화가 생긴다. 변화가 생긴 시간을 적분함으로써 접촉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입력 수단 판정부(8)는, 터치 패널(5)에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이 메인 입력, 즉 펜에 의한 입력인 것으로 판별하고, 터치 패널(5)에의 접촉 면적이 사전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서브 입력, 즉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것으로 판별한다. 터치 패널상의 복수 개소에 동시에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입력 수단 판정부(8)는, 각각의 입력에 대하여 접촉 면적을 산출하여, 입력 수단을 특정한다.
도 3a는 입력 상태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3b는 입력 수단을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3a에서, 휴대 단말(1)은, 전원 공급 등에 의해 기동되면, 터치 패널(5)에 있어서의 입력 검지 개소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n"을 초기화(n = 0)하고 (단계 S101), 터치 패널(5)에의 입력 대기 상태로 된다(단계 S102에서 "접촉없음").
휴대 단말(1)은, 터치 패널(5)에의 입력을 새롭게 검지하면, 즉, 터치 패널(5)에 펜 또는 손가락이 접촉하면(단계 S102에서 "접촉"), 터치 패널(5)에서의 입력 검지 개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n"을 증가(n=n+1)시켜(단계 S103), 입력 좌표(Xn, Yn)를 검출함과 아울러(단계 S104), 상기 입력으로 인한 터치 패널(5)에의 접촉 면적(Zn)을 산출한다(단계 S105). 계속해서, 입력 수단 판정부(8)는, 단계 S105에 있어서 산출한 접촉 면적(Zn)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이 펜에 의한 것인지 손가락에 의한 것인지 등의 입력 수단을 판별한다(단계 S106). 단계 S106에 있어서의 입력 수단의 판별 방법은, 도 3b에 나타낸다. 판정한 입력 좌표(Xn, Yn) 및 입력 수단(Tn)에 근거하여, 제어부(7)는, 상기 입력의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 장치 정보 Ln(Ln=(Tn, Xn, Yn))를 결정한다(단계 S107).
도 3b에서, 입력 수단 판정부(8)는, 접촉 면적(Zn)이 손가락의 면적 임계값(A)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1). 접촉 면적(Zn)이 면적 임계값(A) 이상의 경우에는(단계 S201에서 Yes), 입력 수단 판정부(8)는 입력 종별이 손가락인 것(Tn= YUBI)으로 판정한다(단계 S202). 접촉 면적(Zn)이 면적 임계값이 A 미만인 경우에는(단계 S201에서 No), 입력 수단 판정부(8)는 입력 종별이 펜인 것(Tn= PEN)으로 판정한다(단계 S203).
한편, 터치 패널(5)에의 입력이 해제되면, 즉, 터치 패널로부터 펜 또는 손가락이 벗어나면(단계 S102에서 "접촉 해제"), 제어부(7)는, 상기 해제된 입력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입력 장치 정보(Ln)를 소거한다(단계 S108). 입력 검지 개소가 1개씩 감소하기 때문에, 제어부(7)는 카운터 "n"을 감소한다(단계 S109).
상술의 처리에 따르면, 상기 입력이 펜에 의한 메인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오브젝트 제어부(9)는 메인 입력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오브젝트)을 메인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상기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서브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오브젝트 제어부(9)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오브젝트)의 실행을 금지하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서브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손가락에 의한 서브 입력과 펜에 의한 메인 입력이 동시에 검출된 경우, 오브젝트 제어부(9)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도 4 ~ 6은, 본 발명을 웹 브라우저에 적용한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웹 브라우저에 있어서, 서브 입력에 스크롤 기능을 할당하고, 서브 입력중인 메인 입력에 범위 지정 기능을 할당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웹 브라우저 화면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입력 수단 판정부(8)에 의해 터치 패널(5) 상의 접촉 면적에 따라 입력이 서브 입력인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 것으로 판정되고, 서브 입력에 할당된 스크롤 기능이 동작한다. 이 경우에,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서브 입력이기 때문에, 웹 화면에 미리 할당되어 있는 기능은 실행되지 않는다(금지된다). 따라서, 예컨대, 링크 정보를 손가락이 접촉하더라도 웹 화면은 웹의 링크 목적지로 건너뛰지 않는다. 즉, 유저는, 링크 등의 기능에 손가락이 접촉하는 것을 기대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화면을 문지는 것에 의해 웹 화면을 스크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스크롤 기능에 의해 열람가능한 경우, 손가락에 의한 터치 패널(5)에의 입력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링크 등의 기능을 무효로 함과 아울러, 손가락의 입력 궤적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스크롤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가 메인 입력으로서 펜에 의해서 접촉되면, 접촉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링크가 기능하여 웹 화면이 웹의 링크 목적지로 건너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가 손가락에 의해서 접촉된 상태로 펜에 의한 입력이 행해지면, 웹 화면은 범위 지정 모드로 변한다. 즉, 손가락이 접촉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표시되는 기능이 무효로 되고, 예컨대, 펜을 링크에 접촉하더라도 웹 화면이 링크 목적지로 건너뛰지 않는다. 손가락이 웹 브라우저를 접촉한 상태에서의 펜 입력에 할당된 기능, 본 실시예에서는 범위 지정에 의한 웹 화면상의 복사 등의 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을 수동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수동의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손가락에 의한 서브 입력에 따른 동작은 문자 소거나 문자 시프트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5)에 펜으로 문자 입력한 후에 손가락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문자 소거가 행하여진다. 이 경우, 표시하고 있는 문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서브 입력에 따라 문자를 소거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서브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문자를 소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5)에 펜으로 문자를 입력한 후에 유저가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터치 패널(5)을 접촉하는 경우, 문자 시프트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이 손으로 쓴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경우, 펜에 의한 터치 패널(3)에의 메인 입력에 의해 문자 입력을 행함과 아울러, 손가락에 의한 터치 패널(3)에의 서브 입력에 의해 문자 소거 또는 문자 시프트를 행한다.
도 9 ~ 도 11은, 본 발명을 페인트 툴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페인트 툴의 경우, 손가락에 의한 서브 입력에 따른 동작은 화면의 스크롤이다. 메인 입력으로서의 펜 입력과 서브 입력으로서의 손가락에 의한 입력이 동시에 검지된 경우에는, 화상 오브젝트를 펜으로 둘러쌈으로써 화상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로서의 화상 서브 오브젝트의 범위 지정 및 클리핑(Clipping) 동작을 행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1)은, 렌더링 영역에 펜 입력에 근거하는 화상 편집을 실행하고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손가락에 의한 입력을 검지하면,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할당되고 있는 화상 편집 기능을 무효로 함과 아 울러, 손가락의 입력 궤적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스크롤을 실행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5)에 서브 입력인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 메인 입력인 펜으로 클리핑하고 싶은 부분을 범위 지정하여, 클리핑 동작을 행한다.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서브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휴대 단말(1)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한다. 손가락에 의한 서브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펜에 의한 메인 입력이 검지되면, 휴대 단말(1)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예컨대, 범위 설정 및 클리핑 기능)을, 메인 입력인 펜에 의한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손가락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화면상의 화상 편집 기능이 무효로 된다. 렌더링 영역에 펜이 접촉하더라도, 렌더링은 실행되지 않는다. 손가락이 화면을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펜 입력에 의해 화상상의 범위가 결정되고, 그 범위의 화상이 클리핑된다.
도 12 및 도 13은, 전경으로 메일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함과 아울러 배경으로 뮤직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을 때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경우, 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서의 손가락에 의한 서브 동작은, 뮤직 애플리케이션의 음량 조절이나 곡 재생 및 되감기 등의 간단한 조작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경으로 음악을 재생하면서, 메일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서는 펜에 의해서 메일의 편집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 도 13에 나타 낸 바와 같이, 손가락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배경으로 기동되어 있는 뮤직 애플리케이션의 곡 재생 동작을 행하고, 손가락을 아래로부터 위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음량을 올리는 동작을 행한다.
표시부(4)에 애플리케이션(3)의 화면이 표시되는 하나의 메인 애플리케이션(메일 애플리케이션)과, 표시부(4)에 애플리케이션(3)의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하나의 배경 애플리케이션(뮤직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기동되고 있는 경우, 펜에 의한 메인 입력에 근거하여 메인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한다. 손가락에 의한 서브 입력에 근거하여,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배경 애플리케이션의 사전결정된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패널 상에서,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이외의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 키의 표시 전환이나 표시 영역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좁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유저의 조작 회수가 적어진다.
또한,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펜 또는 손가락)을 판정하여, 메인 입력, 서브 입력 및 이들 입력의 조합에 따라 실행하는 기능을 구별한다. 따라서, 특별한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입력 장치에 대한 전환 동작 등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서 유저가 직감적으로 또한 오동작이 적은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배경으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전경으로 동작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서 배경의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때마다 배경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전경에 갖고 올 필요가 없어진다.
(제 2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20)은, 예컨대, PDA(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 등의 휴대 통신 단말 장치이다. 휴대 단말(20)은 표시부(4)와 터치 패널(5)을 대신하여, 표시부와 조작부를 겸한 터치 패널(21)을, 접촉 면적 검출부(10)를 대신하여, 접촉 검출부(22)와 특징 판정부(23)를 갖는 입력 수단 판정부(24)를 포함한 제어부(25)를 갖는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휴대 단말(1)(도 1참조)과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고 있다.
휴대 단말(20)에 있어서, 터치 패널(21)은, 소프트 키(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기능하며, 동시에 오브젝트에의 입력을 감지하는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제어부(25)는, 기억부(2)에 기억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터치 패널과 연동한 동작을 행하며, 입력 수단 판정부(24)와 오브젝트 제어부(9)를 포함하고 있다.
접촉 검출부(22)는, 터치 패널(21)과의 접촉을 검출(모니터링)한다. 특징 판정부(23)는, 검출 결과로부터, 터치 패널(21)에의 접촉 상황의 특징을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입력 수단 판정부(24)는, 입력 수단의 종류가 무엇인지, 예컨대, 펜인지 혹 손가락인지를 판정한다. 즉, 입력 수단 판정부(24)는, 접촉 상황으로부터 입력 수단의 종별을 판정한다.
입력 수단 판정부(24)에 의해 판정된 입력 수단의 종별, 및 입력 위치 판정부(11)에 의해 판정된 입력 위치에 근거하여, 오브젝트 제어부(9)는, 기억부(6)에 기억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오브젝트의 기능을 실행한다. 기억부(6)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3)을 기억하고 있다. 오브젝트 제어부(5)는, 메인 입력 수단과 서브 입력 수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다양하게 제어하고, 또한, 때로는, 배경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한다.
휴대 단말(20)의 제어부(25)는, 접촉 검출부(22)와 특징 판정부(23)를 포함하는 입력 수단 판정부(24)를 포함하고 있다. 기억부(6)에는, 입력 수단에 의해서 동작을 변경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휴대 단말(20)은, 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21)에 대해 입력 조작을 행하는 입력 수단의 판정을 행한다.
도 15는, 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입력 수단의 판정을 행하는 경우의 판정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a)는 평면 설명도, (b)는 측면 설명도이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입력 수단이 손가락인지 펜인지를 판정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21)로서 사용되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에 화상 센서의 기능을 부가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한 화상 센서 패널은, 손가락 혹은 펜의 입력 장치(입력 수단)(26)가, 그 표면에 접촉하면((a), (b) 참조), 각각의 화소에 수광된 광량을 전하로 변환하여, 모든 영역의 화소를 판독하는 것으 로 대상 화상을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는, 입력 장치(26)가 손가락인지 혹은 펜인지를, 화상 센서 패널에 의해 검출한 입력 장치(26)의 특징부에 근거하여 판정할 수 있다. 화상 센서 패널을 이용한 경우, 복수의 입력을 동시에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1)에 입력 조작을 행하는 입력 수단의 판정을, 화상 센서를 대신하여 카메라를 이용하여 행하더라도 좋다. 입력 수단의 판정을 촬상 수단인 카메라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 휴대 단말(20)은, 액정 디스플레이와 함께, 복수(이 예에서는, 2대)의 카메라(27)를 설치한다. 입력 수단 판정부(24)는, 접촉 검출부(22)와 특징 판정부(23)를 대신하여, 화상 해석 기능을 포함한 화상 해석부를 갖는다.
도 16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 정보의 판정을 행하는 경우의 판정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a)는 평면 설명도, (b)는 측면 설명도이다. 터치 패널(21) 자체에는 특별한 검출 장치는 실장되어 있지 않다(즉, 터치 패널(21)은 단순한 디스플레이라도 좋다). 터치 패널(21)의 어떤 영역이더라도 터치 패널(21)에 접촉하는 입력 장치(26)를 촬영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21)의 표면 전역의 촬영이 가능한 터치 패널(21)의 주연부측에 2대의 카메라(27)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 단말(20)은 2대의 카메라(27)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21)에 접촉하는 대상, 즉, 입력 장치(26)를 검출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손가락 혹은 펜의 입력 장치(입력 수단)(26)가 터치 패널(21)에 접근하면, 2대의 카메라(27)는 터치 패널(21)의 표면에 접촉하는 입력 장치(26)의 접촉 위치나 접촉 위치의 부근의 화상을 픽업한다. 화상 해석부는 카메라(27)에 의해 픽업된 촬상 화상을 화상 해석 처리하여, 터치 패널(21)에 접촉한 입력 장치(입력 수단)의 종별과 접촉 위치 좌표를 검출한다.
예컨대, 화상 해석부는, 픽업된 검지 대상의 굵기를 임계값으로 하여 입력 장치(26)가 펜인지 손가락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장치(26)는, 항상 표시부, 즉, 터치 패널(21)에 반드시 접촉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화상 센서를 적용한 경우(도 15 참조)의 입력 수단 판정 처리를 설명한다.
도 17은, 입력 상태를 판정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전원 공급 등에 의해 휴대 단말(20)이 기동되면, 제어부(25)는, 터치 패널(21)에 있어서의 입력 검지 개소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n"을 초기화(n = 0)한다(단계 S301). 그 후, 제어부(25)는, 화상 센서가 터치 패널(21)에의 접촉을 검지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3). 판정의 결과, 화상 센서가 터치 패널(21)에의 접촉을 검지한 (YES) 경우, 제어부(25)는, 터치 패널(21)에서의 입력 검지 개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n"을 증가(n=n+1)시킨다(단계 S304).
제어부(25)는, 카운터 "n"을 증가시킨 후, 접촉 위치 좌표(Xn, Yn)를 저장하고 (단계 S305), 또한, 접촉한 입력 장치(26)의 화상 데이터(In)를 저장한다(단계 S306). 그 후, 제어부(25)는, 저장한 화상 데이터(In)에 근거하여 입력 장치를 판정하는 입력 종별 판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S307). 또한, 제어부(25)는, 저장한 접촉 위치 좌표(Xn, Yn) 및 입력 종별 판정 처리에 의해서 판정된 입력 장치(Tn)에 근거하여, 입력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 장치 정보 Ln(Ln=(Tn, Xn, Yn))을 결정한다(단계 S308).
한편, 단계 S303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 화상 센서가 접촉을 검지하지 않는(NO), 즉, 터치 패널(21)로부터 펜 또는 손가락이 벗어나는 접촉 해제의 경우, 제어부(25)는, 카운터 "n"이 0보다 큰지 (n > 0)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9). 판정의 결과, 카운터 "n"이 0보다 큰 (YES) 경우, 제어부(25)는, 접촉 해제된 입력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입력 장치 정보(Ln)를 소거하고(단계 S310), 터치 패널(21)에서의 입력 검지 개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n"을 감소시킨다(n = n-1)(단계 S311).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입력 종별을 판정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제어부(25)는, 저장된 화상 데이터(In)를 판독한다(단계 S401). 계속해서, 제어부(25)는, 참조 화상(A, B)을 판독한다(단계 S402). 참조 화상(A)은 손가락의 화상 패턴이며, 참조 화상(B)은 펜의 화상 패턴이다.
제어부(25)는, 참조 화상(A, B)을 판독한 후, 참조 화상(A, B)과 화상 데이터(In)가 서로 일치하는지(대략 동일한지), 즉, 화상 데이터(In)와 화상 패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03). 제어부(25)는, 판정의 결과, 화상 데이터(In)가 참조 화상(A, B)의 어느 쪽과도 매칭하지 않는 (UNKNOWN) 경우, 입력 수단(Tn)은 불명(Tn= UNKNOWN)으로 한다(단계 S404). 화상 데이터(In)가 참조 화상 A와 매칭하면, 제어부(25)는 입력 수단(Tn)은 손가락(Tn= YUBI)으로 판정한다(단계 S405). 참조 화상(B)과 매칭하면, 입력 수단(Tn)은 펜(Tn= PEN)으로 판정한다(단계 S406).
도 19는,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5)는, 우선, 검지된 입력 개소 수에 등가하는(i= 1:i≤n) 입력 장치 정보 Li(Li=(Ti, Xi, Yi))를 판독한다(단계 S501 ~ S503). 그 후, 제어부(25)는, i=1, 즉 입력 개소가 1개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04). 판정의 결과, i= 1인 (YES) 경우, 제어부(25)는 처리 1을 행하고(단계 S505), 한편, i= 1이 아닌 (NO) 경우, 제어부(25)는 처리 2를 행한다(단계 S506).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의 처리 1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 1은, 검지된 입력이 하나(즉, i= 1)의 경우에 수행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5)는, 우선, 입력 장치 정보(L1)에 근거하여, 좌표(X1, Y1)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S1= 오브젝트(X1, Y1)로 하고(단계 S601), 입력 수단(T1)이 무엇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602). 판정의 결과, 입력 수단이 펜(T1= PEN), 즉 메인 입력인 경우, 제어부(25)는, 오브젝트 S1의 기능을 실행한다(단계 S603). 입력 수단이 손가락(T1= YUBI), 즉 서브 입력인 경우, 오브젝트 S1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서브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단계 S604).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처리 2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 2는, 검출된 입력이 2개 이상(즉, i> 1)인 경우에 수행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5)는, 판독한 입력 장치 정보(Li)의 각 부분에 대해 특정 되는 오브젝트 Si= 오브젝트(Xi, Yi)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한다(단계 S701 ~ S704). 그 후, 제어부(25)는 미리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펜 입력(T1= PEN), 즉 메인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S705).
터치 패널(21)에 접촉했을 때의 입력 상태를 판정하는 처리(도 17 참조)에서는, 제어부(25)는, 터치 패널(21)에 접촉한 위치의 좌표를 저장하고, 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21)에 접촉한 물체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종별을 판정하는 처리(도 18 참조)에 있어서, 제어부(25)는, 저장한 화상 데이터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참조 데이터(손가락과 펜의 화상 패턴)의 매칭을 행하여, 입력 수단의 판정을 행한다. 제어부(25)는 그 판정 결과를, 입력 위치와 함께 리스트(Ln)로서 저장한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처리(도 19 참조)에서는, 제어부(25)는, 입력 수단 판정의 결과를 바탕으로, 입력 수단에 따라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5)는 입력이 복수인 경우와 입력이 하나인 경우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처리를 전환한다.
제어부(25)는, 입력 검지부(터치 패널(21))에 의해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메인 입력 수단(펜))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제어부(25)는 입력 검지부에 의해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서브 입력 수단(손가락))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제어부(25)는, 제 2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을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제어부(25)는,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는 하나의 메인 애플리케이션과,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하나의 배경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기동되고 있을 때에, 입력 검지부에 의해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제어부(25)는, 입력 검지부에 의해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메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배경 애플리케이션의 사전결정된 기능을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한다.
입력 검지부는, 표시부 주변의 화상을 픽업하는 카메라(촬상 수단)(27)와, 카메라(27)에 의해 픽업된 화상을 해석하는 화상 해석부를 포함하고, 혹은 표시부에 포함된 화상 센서와, 화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해석하는 화상 해석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터치 패널을 이용한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조작수를 늘리지 않고, 일반적인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한정된 표시 스페이스로, 다기능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가 생긴다.
우선, 터치 패널에 대하여, 서브 입력 수단에 의해서 스크롤 등의 화면 조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수신 메일을 열람하기 위해서 표시를 전환하거나 소프트 키의 표시 영역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좁은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저의 조작수가 적어진다.
터치 패널에의 입력 수단을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서브 입력 수단에서는 오브젝트의 오동작은 일어나지 않는다.
터치 패널에 접촉하고 있는 입력 수단을 인식하여, 터치 패널에 대한 동작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특별한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입력 수단에 대한 전환 동작 등도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기억부)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표시부)와, 표시부에의 복수의 입력을 각각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입력 검지부)와, 입력 검지부에 의해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메인 입력 수단(펜))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입력 검지부에 의해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서브 입력 수단(손가락))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사전결정된 기능을 제 2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제어부(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서는,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성 및 작용은, 웹 브라우저에 적용한 예를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휴대 단말(1)(도 1 참조)과 마찬가지이다.
도 22는,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1)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는,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2)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3)을 나타내고, (a)는 메일 입력 화면의 설명도, (b)는 수신 메일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4)을 나타내는 화면 스크롤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5)을 나타내고, (a)는 수신 메일 열람 화면의 설명도, (b)는 발호 모드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6)을 나타내는 화면 천이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7)을 나타내는 화면 천이 상태 (a) ~ (f)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8)을 나타내고, (a)는 첨부 파일 부착 화면의 설명도, (b)는 첨부 파일 선택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동작(No. 9)을 나타내고, (a)는 펜 입력 화면의 설명도, (b)는 파일 재생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메일 애플리케이션(이하, "메일러(mailer)"라고 한다)에 있어서, 수신 메일과 그 수신 메일에 대응하는 회신 메일 작성 화면과의 전환 기능 및 메일 화면의 스크롤 기능을 서브 입력에 할당한다.
도 22에 있어서, A씨로부터의 수신 메일을 좌측에 나타내고, 수신 메일에 대한 회신 메일의 작성 화면을 오른쪽에 나타낸다. 도 23은, 도 22의 회신 메일의 작성 화면상에서 메일 작성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에 있어서, 메인 입력인 펜 입력에 의해, 메일러의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기능을 이용한 메일 작성, 즉, 보통의 메일 작성이 행하여지고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는, 메일 작성중에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르고, 대략 동일 위치에서 손가락을 떼는 것에 의해, 메일 작성 화면((a) 참조)으로부터 A씨로부터의 수신 메일((b) 참조)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20)은, 손가락에 의한 터치 패널(5)에 대한 입력 위치와 해제 위치가 대략 동일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화면의 전환을 행한다.
유저가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른 채로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화면 스크롤을 행하는 장면을, 도 25에 나타낸다. 이 경우, 휴대 단말(20)은, 손가락에 의한 터치 패널(5)에 대한 입력 위치와 해제 위치가 다름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화면의 전환을 하지 않고서 스크롤 동작을 행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롤 후에 유저가 손가락을 떼더라도 화면의 전환은 실시되지 않는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씨로부터의 수신 메일을 열람하고 있는 화면((a) 참조)에 링크가 있는 경우에는, 통상, 유저가 펜으로 링크 부분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링크 목적지로 천이한다. 도 26에서는, 유저가 전화 번호를 펜으로 터 치함으로써, 휴대 단말(20)은, 이 전화 번호에의 발호 모드((b) 참조)로 전환한다. 한편,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른 상태로, 펜에 의해 링크 부분을 터치하면, 링크 목적지를 건너뛰지 않고, 범위 지정이 행하여진다. 서브 입력에 의해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이 경우, 링크)은 금지된다. 그 상태(서브 입력 중)에서 메인 입력을 하면, 메인 입력에 따라 화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은 기능(이 경우는 범위 지정)이 실행된다.
수신 메일의 문자열을 인용하기 위해서 유저가 복사를 행하고 있는 장면을, 도 28에 나타낸다. 이 경우, 펜 입력의 개시 위치가 범위 지정의 개시 위치로 되고, 펜을 뗀 위치가 범위 지정의 종료 위치로 된다. 펜 입력에 의해 범위 지정된 문자열은, 붙여 넣기 동작이 행하여질 때까지 기억된다. 도 28(a) ~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위가 지정되고, 유저가 지정된 범위를 복사한 후, 도 28(d) 및 도 2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손가락 입력으로 메일 작성 화면에의 전환을 행한다. 도 2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전환 목적지의 메일 작성 화면상에서, 펜 입력에 의해, 복사한 내용을 붙여 넣는다. 복사하는 문자열이 기억된 상태에서, 메일 작성 화면에서 펜 입력을 검지한 경우에는, 그 입력 위치가 붙여 넣기 개시 위치로 되고, 문자열의 부착이 행해진다. 붙여 넣기 후에는 휴대 단말(20)은 통상 동작으로 되돌아간다.
유저가 메일에 첨부 파일을 첨부하려고 하는 장면을, 도 29에 나타낸다. 이 경우, 첨부 파일을 첨부하기 위한 아이콘을 펜으로 누른 후((a) 참조), 유저가 데이터 폴더를 호출하여, 첨부하는 파일((b) 참조)을 선택한다. 도 30에 나타낸 바 와 같이, 유저가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른 상태에서 펜 입력을 행한((a) 참조) 경우, 첨부 파일이 재생된다((b) 참조).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펜 또는 손가락)을 판정하고, 메인 입력, 서브 입력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행하는 기능을 구별한다. 따라서, 특별한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입력 장치에 대한 전환 동작 등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서 유저가 직감적으로 또한 오동작이 적은 조작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한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특별한 키를 할당하거나, 복수회의 메뉴 조작으로 실현한 수신 메일의 열람 동작이나 스크롤 동작을, 특별한 디바이스를 필요로 하는 일없이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 많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시예에 있어서는, 터치 센서로서 표면 탄성 방식의 것을 이용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센서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이용하더라도 본 발명은 실현가능하다. 실시예에서는, PDA를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 무선 단말, 휴대 게임기,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휴대 비디오 플레이어, 휴대 전자 사전, 휴대 전자 서적뷰 등의 휴대 단말에 폭넓게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입력을 펜이라고 함과 아울러 서브 입력을 손가락으로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메인 입력을 손가락이라고 함과 아울러 서브 입력을 펜으로 한 경우에 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입력수가 3이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 2006-265060 호(2006년 9월 28일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 2006-264866 호(2006년 9월 28일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 2007-106200 호(2007년 4월 13일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복수의 입력을 각각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와,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상기 제 2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6. 삭제
  7.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와,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고, 또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의 복수의 입력을 각각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의 입력이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18. 삭제
  19.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 1 입력 수단의 입력 좌표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미리 할당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의 실행을 금지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영역에 할당되지 않는 사전결정된 기능을 상기 제 1 입력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계속해서 검지되는 기간 동안에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첨부 파일을 나타내는 영역에 관련되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첨부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27.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계속해서 검지되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제 1 입력의 입력 개시 위치를 시점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입력 해제 위치를 종점으로 설정하는 범위에서,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제 2 입력의 입력 해제가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후에 처음으로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데이터 붙여 넣기 가능 영역에서 상기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제 1 입력의 입력 위치를 기점으로 설정한 상기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 넣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있어,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계속해서 검지되는 기간 동안에,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첨부 파일을 나타내는 영역에 관련되어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첨부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33.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상기 표시부와 연관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의 입력을 검지하는 입력 검지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입력이 제 1 입력 수단과 제 2 입력 수단 중 어느 것에 의한 입력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상기 제 2 입력 수단에 의한 제 2 입력인 것으로 판별되고, 또한, 상기 제 2 입력이 상기 입력 검지부에 의해 계속해서 검지되는 기간 동안에, 상기 제 1 입력 수단에 의한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제 1 입력의 입력 개시 위치를 시점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입력 해제 위치를 종점으로 설정하는 범위에서,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의 입력 해제가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후에 처음으로 상기 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상의 데이터 붙여 넣기 가능 영역에서 상기 제 1 입력이 검지되면, 상기 제 1 입력의 입력 위치를 기점으로 설정한 상기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 넣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35. 삭제
  36. 삭제
KR1020097006472A 2006-09-28 2007-09-27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058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64866 2006-09-28
JP2006264866A JP5080773B2 (ja) 2006-09-28 2006-09-28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6-265060 2006-09-28
JP2006265060 2006-09-28
JPJP-P-2007-106200 2007-04-13
JP2007106200A JP4927633B2 (ja) 2006-09-28 2007-04-13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PCT/JP2007/068858 WO2008047552A1 (en) 2006-09-28 2007-09-27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95A Division KR20110007237A (ko) 2006-09-28 2007-09-27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078A KR20090057078A (ko) 2009-06-03
KR101058297B1 true KR101058297B1 (ko) 2011-08-22

Family

ID=393137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95A KR20110007237A (ko) 2006-09-28 2007-09-27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97006472A KR101058297B1 (ko) 2006-09-28 2007-09-27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95A KR20110007237A (ko) 2006-09-28 2007-09-27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997015B2 (ko)
EP (1) EP2071436B1 (ko)
KR (2) KR20110007237A (ko)
CN (1) CN101523331B (ko)
WO (1) WO2008047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237A (ko) * 2006-09-28 2011-01-2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N101743529B (zh) * 2007-07-11 2012-06-13 株式会社爱可信 便携式信息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264315B1 (ko) 2008-06-02 2013-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플랫폼에서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방법과 장치 및그 기록매체
DE102008039194A1 (de) * 2008-08-22 2010-02-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omotor
US20100251112A1 (en) * 2009-03-24 2010-09-30 Microsoft Corporation Bimodal touch sensitive digital notebook
KR101699735B1 (ko) * 2009-10-26 2017-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일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TWI520030B (zh) * 2009-05-21 2016-02-0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互補式金氧半導體影像感測器及其操作方法
JP2011014044A (ja) * 2009-07-03 2011-01-20 Sony Corp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1023225A1 (en) * 2009-08-25 2011-03-03 Promethean Ltd Interactive surface with a plurality of input detection technologies
JP5310403B2 (ja) * 2009-09-02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260969B1 (en) * 2009-09-22 2021-03-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9310907B2 (en) 2009-09-25 2016-04-1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8832585B2 (en) 2009-09-25 2014-09-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US8799826B2 (en) * 2009-09-25 2014-08-0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alendar entry in a calendar application
US8766928B2 (en) * 2009-09-25 2014-07-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20120212440A1 (en) * 2009-10-19 2012-08-23 Sharp Kabushiki Kaisha Input motion analysis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532300B2 (ja) * 2009-12-24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539386B2 (en) * 2010-01-26 2013-09-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d moving objects
US8539385B2 (en) * 2010-01-26 2013-09-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ecise positioning of objects
US8612884B2 (en) * 2010-01-26 2013-12-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sizing objects
US20120299856A1 (en) * 2010-02-19 2012-11-29 Ne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37980B2 (ja) * 2010-03-04 2013-07-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座標入力装置、座標入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5413673B2 (ja) * 2010-03-08 2014-0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256363B2 (en) 2010-03-29 2016-02-09 Kyocera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5615583B2 (ja) 2010-04-08 2014-10-29 京セラ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KR101997034B1 (ko) 2010-04-19 2019-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JP4950321B2 (ja) 2010-04-26 2012-06-13 京セラ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US8638303B2 (en) * 2010-06-22 2014-01-28 Microsoft Corporation Stylus settings
GB2481607A (en) 2010-06-29 2012-01-04 Promethean Ltd A shared control panel
US8972879B2 (en) 2010-07-30 2015-03-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ordering the front-to-back positions of objects
US9081494B2 (en) 2010-07-30 2015-07-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pying formatting attributes
US9098182B2 (en) * 2010-07-30 2015-08-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pying user interface objects between content regions
JP5666239B2 (ja) * 2010-10-15 2015-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02759B1 (ko) * 2011-05-30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924835B1 (ko) 2011-10-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EP2634672A1 (en) * 2012-02-28 2013-09-04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ymbols
CN103376995A (zh) * 2012-04-19 2013-10-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触控式电子装置及其页面内容存储方法
JP5349642B2 (ja) 2012-04-27 2013-11-2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28914B1 (ko) * 2012-06-08 2018-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008985A (ko) * 2012-07-13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40019206A (ko) * 2012-07-1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383589B1 (ko) * 2012-07-19 2014-04-09 (주)멜파스 터치 센싱 방법 및 장치
JP6127401B2 (ja) * 2012-07-24 2017-05-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8826128B2 (en) * 2012-07-26 2014-09-02 Cerner Innovation, Inc. Multi-action rows with incremental gestures
JPWO2014049671A1 (ja) * 2012-09-26 2016-08-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ペン入力消去方法
US9921687B2 (en) * 2012-10-02 2018-03-20 Autodesk, Inc. Always-available input through finger instrumentation
KR20140046557A (ko) 2012-10-05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점 입력 인식 방법 및 그 단말
KR102102663B1 (ko) * 2012-10-05 202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20140055880A (ko) 2012-11-01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4069249A1 (ja) * 2012-11-02 2014-05-0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67185B2 (en) * 2012-12-18 2016-06-14 Logitech Europe S.A. Method and system for discriminating stylus and touch interactions
US9836154B2 (en) * 2013-01-24 2017-12-05 Nook Digital, Llc Selective touch scan area and reporting techniques
KR101439855B1 (ko) * 2013-01-25 2014-09-17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스크린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40253462A1 (en) * 2013-03-11 2014-09-11 Barnesandnoble.Com Llc Sync system for storing/restoring stylus customizations
KR102157270B1 (ko) * 2013-04-26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BR112015027580B1 (pt) 2013-07-22 2021-04-1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étodo e sistema para apresentar dados em um formato escalonável
KR102138913B1 (ko) * 2013-07-25 202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89787B1 (ko) 2013-11-13 2020-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입력 처리 방법
CN104866213A (zh) * 2014-02-20 2015-08-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JP6381240B2 (ja) * 2014-03-14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触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104449A (zh) * 2014-03-20 2016-11-09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程序
EP2930604B1 (en) * 2014-04-11 2018-11-07 Nokia Technologies OY Causing feedback to a user input
CN104133633B (zh) * 2014-06-03 2017-12-29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对电子设备的触摸屏上的输入进行控制的方法和装置
CN104267812B (zh) * 2014-09-22 2017-08-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589648A (zh) * 2014-10-24 2016-05-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快速复制粘贴***及方法
KR102386480B1 (ko) * 2015-10-05 2022-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입력 식별 방법 및 장치
CN107024981B (zh) 2016-10-26 2020-03-2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的交互方法及装置
EP3593236A1 (en) 2017-06-02 2020-01-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notating content
WO2019047226A1 (zh) 2017-09-11 2019-03-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触摸操作响应方法及装置
WO2019047231A1 (zh) 2017-09-11 2019-03-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触摸操作响应方法及装置
EP3671420A4 (en) * 2017-09-11 2020-08-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RESPONDING TO TOUCH OPER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8811A1 (en) * 1997-12-04 1999-06-10 Northern Telecom Limited Contextual gesture interface
JP2003114755A (ja) * 2001-10-09 2003-04-18 Eit:Kk 座標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923A (ja) 1988-06-28 1990-01-12 Canon Inc 座標入力装置
JP2599019B2 (ja) 1990-06-28 1997-04-09 三洋電機株式会社 ペン入力装置
JPH07160398A (ja) 1993-12-08 1995-06-23 Canon Inc ペン入力装置
US5956020A (en) * 1995-07-27 1999-09-21 Microtouch Systems, Inc. Touchscreen controller with pen and/or finger inputs
JPH09190268A (ja) * 1996-01-11 1997-07-2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3834871B2 (ja) 1996-05-21 2006-10-18 ソニー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方法
JPH10155038A (ja) 1996-11-20 1998-06-09 Casio Comput Co Ltd 情報通信端末
JPH10228350A (ja) 1997-02-18 1998-08-25 Sharp Corp 入力装置
JP3944949B2 (ja) 1997-06-05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媒体
JPH11265240A (ja) 1998-03-18 1999-09-28 Canon Inc 機器の使用条件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JPH11272423A (ja) 1998-03-19 1999-10-08 Ricoh Co Ltd コンピュータ入力装置
US8089470B1 (en) * 1998-10-20 2012-01-03 Synaptics Incorporated Finger/stylus touch pad
JP4006872B2 (ja) 1999-02-26 2007-11-14 ぺんてる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00284912A (ja) 1999-03-30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入力コンピュータ
WO2001004737A1 (fr) 1999-07-07 2001-01-18 Fujitsu Limited Dispositif de saisie de caracteres portatif
JP2001344062A (ja) 2000-05-31 2001-12-14 Sharp Corp 座標入力装置
US7030861B1 (en) * 2001-02-10 2006-04-18 Wayne Carl Westerman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multi-touch gestures onto a hand
CN2489392Y (zh) * 2001-05-21 2002-05-01 神达电脑股份有限公司 行动型电子数据处理装置
JP2003157144A (ja) 2001-11-20 2003-05-30 Sony Corp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格納媒体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WO2003065192A1 (en) * 2002-01-31 2003-08-07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istinguishing pointing means
US7532206B2 (en) 2003-03-11 2009-05-12 Smart Technologies Ulc System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between pointers used to contact touch surface
US7411575B2 (en) * 2003-09-16 2008-08-12 Smart Technologies Ulc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touch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2005115714A (ja) 2003-10-09 2005-04-28 Noritz Corp 表示操作装置
JP4405335B2 (ja) * 2004-07-27 2010-01-27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入力システム
US7847789B2 (en) * 2004-11-23 2010-12-07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accidental touch-sensitive device activation
JP2006264866A (ja) 2005-03-23 2006-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4668657B2 (ja) 2005-03-25 2011-04-13 Hoya株式会社 モールドプレス成形装置、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7106200A (ja) 2005-10-12 2007-04-26 Mitsuba Corp 車両周辺監視装置
US7620901B2 (en) * 2006-03-21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Simultaneous input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KR20110007237A (ko) * 2006-09-28 2011-01-2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8811A1 (en) * 1997-12-04 1999-06-10 Northern Telecom Limited Contextual gesture interface
JP2003114755A (ja) * 2001-10-09 2003-04-18 Eit:Kk 座標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3331B (zh) 2015-12-09
US9836214B2 (en) 2017-12-05
US8997015B2 (en) 2015-03-31
WO2008047552A1 (en) 2008-04-24
US20150220267A1 (en) 2015-08-06
CN101523331A (zh) 2009-09-02
EP2071436B1 (en) 2019-01-09
KR20090057078A (ko) 2009-06-03
EP2071436A4 (en) 2014-07-30
EP2071436A1 (en) 2009-06-17
KR20110007237A (ko) 2011-01-21
US20100095205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297B1 (ko)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JP4927633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20230188829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erforming multi-focusing and photographing image including plurality of objects using the same
JP5080773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132872B1 (ko) 사진 관리용 휴대용 전자 장치
US2005018497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889855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73585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EP2081107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185308A1 (en) Portable computer device
US20040046887A1 (en) Digital still camera and user instruction input method
US20120032988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that displays list of images onto display unit,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GB2523875A (en) Image processing device, tactile sens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8204402A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14042164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4052852A (ja) 情報処理装置
US7450111B2 (en) Key functionality for communication terminal
CN103324429B (zh) 显示控制装置及显示控制方法
EP219247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964174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from successively-captured images
JP5085780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CN112637386B (zh)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介质
JP6362110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198382A (ja) タッチパネル付き無線端末の制御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無線端末
CN112286425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