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535B1 -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535B1
KR101020535B1 KR1020080043128A KR20080043128A KR101020535B1 KR 101020535 B1 KR101020535 B1 KR 101020535B1 KR 1020080043128 A KR1020080043128 A KR 1020080043128A KR 20080043128 A KR20080043128 A KR 20080043128A KR 101020535 B1 KR101020535 B1 KR 10102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ermented
skin
cosmetic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200A (ko
Inventor
안기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
Priority to KR102008004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53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蓮)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연꽃 및 연잎을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과 효모균의 발효 미생물로 복합 발효시킨 연(蓮) 발효수를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 사용되는 정제수 대신 이용함으로써 연(蓮) 발효수가 가지는 자체적인 항균력(잡균 억제력)으로 따로 방부제를 조성물에 넣어줄 필요가 없어 피부 안전성이 크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피부 유해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질환을 감소시키고,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 자유 라디칼 소거 효능, 피부 면역 증강 및 보습력 향상 등을 통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연(蓮), 발효수,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on prepared to the lotus fermented water}
본 발명은 연(蓮)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꽃 및 연잎을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과 효모균의 발효 미생물로 복합 발효시킨 연(蓮) 발효수를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 사용되는 정제수 대신 이용함으로써 연(蓮) 발효수가 가지는 자체적인 항균력(잡균 억제력)으로 따로 방부제를 조성물에 넣어줄 필요가 없어 피부 안전성이 크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피부 유해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질환을 감소시키고,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 자유 라디칼 소거 효능, 피부 면역 증강 및 보습력 향상 등을 통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물은 생명의 근원으로 우리 몸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물은 건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신체의 기능에서 세포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고 대사 작용을 높이고, 혈액과 조직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영양소를 용해시킨 후, 이를 흡수, 운반해서 영양소를 필요로 하는 세포에게 공급해 주고, 체내의 불필요한 노폐물을 체외로 배설시키며, 혈액을 중성 내지 약알칼리성으로 유지하고, 체내의 열 을 발산시켜서 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특성을 갖는 물은 화장료 조성물에도 가장 중요한 성분 중의 하나로 사용되며,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물은 상수를 증류, 이온교환 및 초여과법에 의해 정제한 정제수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물의 기능과 중요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크게 증가되고, 오염되지 않은 순수 자연에 대한 현대인의 동경으로 정제수를 대체할 수 있는 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23399호에는 "온천수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1995-0028760호에는 "온천수-및 게르마늄-함유 광천수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2001-0038510호에는 "지하수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2003-0093617호에는 "심해온천수를?피纛?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2006-0034739호에는 "심층 온천수를 함유한 화장료" 가 개시되어 있어 화장료 베이스 물로서 온천수, 지하수, 심층수 등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제수에 비해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다는 점 이외의 큰 이점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피부에 대한 고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발효수를 이용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도 시도되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6135호에는 "천연 발효수를 이용한 스킨 및 그 제조방법", 제10-0606136호에는 "천연 발효수를 이용한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제10-0606137호에는 "천연 발효수를 이용한 에센스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어 화장료 베이스 물로서 고기능성 발효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 지만, 그 천연 발효수를 제조하는데 120 여일의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비경제적이고, 산업화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수를 함유하는 모든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정제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고기능성 연(蓮) 발효수로 대체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연꽃 및 연잎을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과 효모균의 발효 미생물로 복합 발효시킨 연 발효수를 정제수의 일부 또는 전체를 대신하여 포함하고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연 발효수는 락토바실루스속 또는 스트렙토코쿠스속의 유산균, 바실루스속의 고초균, 사카로마이세스속의 효모 중 1종 이상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연 발효수는 25℃ 내지 50℃에서 24시간 내지 120시간 발효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연(蓮) 발효수가 가지는 자체적인 항균력(잡균 억제력)으로 따로 방부제를 조성물에 넣어줄 필요가 없어 피부 안전성이 크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피부 유해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질환을 감소시키고,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 자유 라디칼 소거 효능, 피부 면역 증강 및 보습력 향상 등을 통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화장료 조성물에서 정제수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 화장료에 고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고, 경제적이고 산업화하기 쉬운 새로운 화장료 베이스 물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연꽃 및 연잎을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과 효모균의 발효 미생물로 복합 발효시킨 연(蓮) 발효수를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 사용되는 정제수 대신 이용하는 것으로 특징 지워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蓮)은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서 학명으로 Nelumbo nucifera이라고 한다. 비타민 C와 비타민 B12 및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티로신 같은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 및 피부미용 개선작용 등에 효과가 있음은 물론 로에메린(roemerine)과 누시페린(nuciferine) 성분의 진통 진정작용이 있어 신경과민이나 스트레스 등에 효과가 있고 민간에서는 폐렴, 기관지천식, 임질, 강장, 소화불량 뿐만 아니라 뱀과 독벌레에 물렸을 때 사용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연잎은 가능한 6월 초순부터 10월 중순에 채취하게 되는데 통상 연잎은 6월 초순에 나기 시작해서 10월 중순이 되면 연잎이 퇴색하기 때문에 가능한 그 전에 채취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잎은, 하엽(荷葉)이라고도 하며 약리적인 작용으로는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토혈, 코피 등 출혈증,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에 쓰이고 있으며, 각종 독성물질에 대한 중화작용을 한다. 특히, 흡연자에게는 니코틴을 제거시켜 주는 해독작용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연잎은 해독 효과와 함께 피를 맑게 해주며, 지혈작용, 항균작용과 혈압저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동의보감에는 연잎의 꼭지를 특별히 하비(荷鼻)라 부르며 이 부분이 임신한 여성의 태를 편안하게 해주고 나쁜 피를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연잎을 이용한 차로는 중국 고래의 감비차(減肥茶)(연잎, 율무, 산사자, 진피 등 함유)가 있는데, 다이어트와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蓮) 발효수 제조를 위한 연(蓮) 추출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나, 이 후 발효 미생물에 의한 발효 과정을 위해서는 물을 이용한 열수 추출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발효”라는 용어는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 또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발효반응과 부패반응은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우리의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 하고 악취가 나거나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 패라고 한다. 대부분의 생물은 호흡을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하고, 산소호흡을 통해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반면, 땅 속 깊은 곳이나 호수의 밑바닥과 같이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 사는 생물들은 그러한 환경에 적응하여 산소가 없이도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호흡을 무산소호흡이라 한다. 발효는 바로 이러한 무산소호흡의 하나이다. 사람은 탄수화물과 같은 유기물을 섭취하면 산소호흡을 통해 유기물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고 에너지를 얻는다. 그렇지만 무산소호흡을 하는 생물들은 유기물을 완전히 분해시키지 못하고 다른 종류의 유기물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또,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도 적다. 발효과정에서 역시 유기물이 분해되어 또 다른 유기물이 만들어지고 적은 양의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포도당을 담은 그릇에 효모를 넣고 뚜껑을 닫으면 미생물인 효모가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인 포도당을 분해한다. 이때 뚜껑이 덮여 있기 때문에 산소를 통한 호흡이 불가능하며 무산소호흡이 이루어진다. 효모는 포도당을 완전히 분해시키지 못하고 에탄올을 만든다. 이러한 발효를 알코올발효라고 하며 알코올발효를 이용하여 막걸리나 맥주와 같은 술을 만들 수 있다. 또, 젖산균을 무산소상태에서 포도당과 반응시키면 젖산을 만들어내는데, 이러한 발효를 젖산발효라 한다. 요구르트나 치즈, 김치 등이 젖산발효에 의해 만들어지는 음식이다.
이러한 발효를 통해 미생물 및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물질이 자연 분해됨으로서 평균 80nm 이하로 작아져 피부 흡수가 용이해지며, 발효에 따른 기존 성분의 강화와 더불어 새로운 유기물이 생성되어 영양 성분이 증가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미생물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잔류농약 등과 같은 독성물 질이 완전히 분해되어 인체에 무해하며, 발효 산물은 열과 이산화탄소에 강하고 잘 변질되지 않아 유효성분의 보존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발효에 이용되는 발효 미생물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산균(락토바실루스속, 스트렙토코쿠스속), 고초균(바실루스속), 효모(사카로마이세스속)를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에 의한 발효는 25 ~ 50℃에서 약 24 ~ 120시간 동안 행하며, 바람직하게는 30 ~ 40℃에서 48 ~ 72시간 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蓮)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화장수, 에센스, 크림, 팩, 젤, 로션,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형에 있어서 연(蓮) 발효수의 양에는 제한이 없으며, 정제수 중 일부를 대체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전량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또 다른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꽃 및 연잎을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과 효모균의 발효 미생물로 복합 발효시킨 연(蓮)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연(蓮) 발효수가 가지는 자체적인 항균력(잡균 억제력)으로 따로 방부제를 조성물에 넣어줄 필요가 없어 피부 안전성이 크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피부 유해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질환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연(蓮) 발효수는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 자유 라디칼 소거 효능, 피부 면역 증강 및 보습력 향상 등을 통하여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연 (蓮) 추출수의 제조
일차적으로 연꽃과 연잎을 완전 건조한 후, 연(蓮) 건조중량 50g에 100배양의 증류수를 가하여 7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를 여과한 후 상온에서 식히고 4℃에서 7일간 저온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연 추출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연 (蓮) 발효수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연(蓮) 추출수 1ℓ를 배양 용기에 넣고 유산균(Lactobacillus 속) 및 효모균(Saccharomyces 속)을 각각 연(蓮) 추출수의 0.001중량%와 0.01중량% 접종하여 30 ~ 35℃ 조건 하의 진탕 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72시간 발효시키고 정밀 여과를 통하여 연(蓮) 발효수로부터 발효 미생물을 제거하여 연 발효수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연(蓮) 발효수의 피부 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한국세포주은행)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1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Sigma사)에서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이어, 상기 시료가 최종 농도 0.1%, 0.5%, 1%, 2% 및 5%로 포 함된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시료가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MTT 용액(3-(4,5-디메틸티아졸-2-일) 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5 mg/㎖)을 각각 10㎕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 당 100㎕의 DMSO 용액을 가하여 20분 동안 진탕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570nm에서 상층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하기의 식에 대입하여 세포 증식 효과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세포증식효과(%) = [(실험군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농도(%) 연(蓮) 추출수 연(蓮) 발효수
흡광도(570nm) 세포증식효과(%) 흡광도(570nm) 세포증식효과(%)
대조군 0.842 - 0.862 -
0.1 0.892 5.94 0.952 10.44
0.5 0.962 14.25 1.032 19.72
1.0 1.024 21.62 1.211 40.49
2.0 1.251 48.57 1.520 76.33
5.0 1.352 60.57 1.564 81.44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蓮) 발효수를 처리할 경우 연(蓮) 추출수에 비해 높은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낸다.
실험예 2 :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연(蓮) 발효수의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실험(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을 실시하였다.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실험은 Kim 등(Kor . J. Pharmacogn., 24(4), 299-303(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써, 안정한 자유 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hydrazyl, 시그마사) 시약을 사용하였다. 0.2mM DPPH 용액(Blank인 경우는 에탄올) 150㎕에 상기 시료를 다양한 농도로 제작하여, 이들을 각각 150㎕ 첨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실험군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정제수를 이용한 경우로 설정하였다. 상기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 측정 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자유라디칼소거효과(%) = 100 - [(실험군 흡광도 - Blank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농도(%) 자유라디칼소거효과(%)
연(蓮) 추출수 연(蓮) 발효수
0.1 15.3 16.2
0.5 28.6 30.5
1.0 49.5 59.2
2.0 62.4 78.6
5.0 81.2 94.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연(蓮) 추출수와 연(蓮) 발효수 모두 매우 높은 자유 라디칼 소거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연(蓮) 발효수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는 데 있어 더욱 탁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피부면역 증강 효과
8-10 주령의 C57BL/6 생쥐를 대상으로 복부를 면도한 다음, FS-20 sun lamp를 이용하여 자외선 B파장을 (UVB) 2.4KJ/m2로 조사하면 접촉성 과민반응(contact hypersensitivity)이 대조군에 비해 44.3% 억제되는 면역억제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연(蓮) 발효수를 UV 조사 후 3일간 하루 2회 도포하고 3일이 경과한 다음, UV조사 영역에 3% 삼질소염화벤젠(trinitrochlorobenzene)으로 감작시켰다. 6일 후 1%의 삼질소염화벤젠을 생쥐의 귀에 도포하고 부종 상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시험물질 피부면역 증강효과(%)
연(蓮) 추출수 12.5
연(蓮) 발효수 35.6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蓮) 발효수는 단순 연(蓮) 추출수에 비해 약 3배의 피부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비교예
상기의 연(蓮) 발효수(제조예 2) 를 화장료 베이스 물 대신 이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실시예로 하고, 연(蓮) 추출수(제조예 1)로 제조한 조성물인 비교예 1, 상기 두 시료 모두 함유되지 않고 통상적인 정제수로 제조된 조성물인 비교예 2를 하기의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 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함량(중량%) 함량(중량%) 함량(중량%)
연(蓮) 발효수(제조예 2) 잔량 - -
연(蓮) 추출수(제조예 1) - 잔량 -
정제수 - - 잔량
A 세토스테아릴알콜 2.0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마이키로크리스탈린 0.7 0.7 0.7
스쿠알란 5.0 5.0 5.0
유동파라핀 3.0 3.0 3.0
트리옥타노인 5.0 5.0 5.0
폴리솔베이트 1.2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2 0.2 0.2
마이크로메치콘 3.0 3.0 3.0
BHT 0.05 0.05 0.05
B 글리세린 4.0 4.0 4.0
1,3-부틸렌글리콜 2.0 2.0 2.0
EDTA-2Na 0.02 0.02 0.02
실험예 4 : 방부력 시험
상기 연(蓮) 발효수, 연(蓮) 추출수, 정제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력(잡균 억제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와 비교예 1 ~ 2에 대한 방부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은 미국화장품공업협회(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이하 CTFA)의 Microbiology Guidelines의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균주로는 그람양성균으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그람음성균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을 사용하였다. 상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와 비교예가 10 g씩 담겨져 있는 병에 상기 세균 3종 혼합현탁액을 1×106cfu/g 이 되도록 접종한다. 25℃에서 보관 후 7일, 14일, 28일 경과 후 무균 조작 하에서 1g의 시료를 채취하여 희석액으로 적절히 희석하고 Nutrient agar(Difco 사) 배지에 깔아 35℃에서 24 ~ 48시간 배양 후 계수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세균수(cfu/g)
D7 D14 D28
실시예 5.2 X 102 1.4 X 102 < 102
비교예 1 2.1 X 104 9.4 X 103 1.5 X 104
비교예 2 5.9 X 107 7.6 X 106 3.4 X 106
상기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蓮)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은 매우 효과적으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반면, 통상적인 정제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2)에서는 세균의 번식이 급격히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의 결과에서 D14와 D28에서 세균수가 약간씩 감소하는 것은 급격한 세균 번식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산도가 낮아져 세균이 증식하기에 안 좋은 조건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실험예 5 : 보습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화장료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화장료가 도포된 피부를 대상으로 하여 수분 보유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화장료를 30명의 피시험자 전박 안쪽에 일정량 (0.03 g/16 ㎠)을 도포하고, 도포전, 도포 1시간 후 및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 피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측정 기기는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측정하는 수분 함량측정기(corneometer CM825, Con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대조군
도포전 피부 전기전도도 50 50 50 50
도포 1시간후 피부 전기전도도 87 82 71 50
도포 2시간후 피부 전기전도도 83 74 56 50
상기 표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화장료가 비교예의 화장료에 더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연꽃 및 연잎을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과 효모균의 발효 미생물로 복합 발효시킨 연(蓮) 발효수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정제수 대신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들의 제형예를 제시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연(蓮) 발효수 (제조예 2) To 100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미량
제형예 2 :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으로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연(蓮) 발효수 (제조예 2) To 10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닐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이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미량
제형예 3 : 영양크림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으로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연(蓮) 발효수 (제조예 2) To 10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 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이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타검 0.1
EDTA-2Na 0.05
미량
제형예 4 : 마사지크림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으로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연(蓮) 발효수 (제조예 2) To 10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미량
제형예 5 : 팩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으로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연(蓮) 발효수 (제조예 2) To 100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3
에탄올 7.0
피이지-40 히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미량

Claims (4)

  1. 연꽃 및 연잎을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과 효모균의 발효 미생물로 복합 발효시킨 연 발효수를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정제수의 일부 또는 전체를 대신하여 포함하고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 발효수는 락토바실루스속 또는 스트렙토코쿠스속의 유산균, 바실루스속의 고초균, 사카로마이세스속의 효모 중 1종 이상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 발효수는 25℃ 내지 50℃에서 24시간 내지 120시간 발효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43128A 2008-05-09 2008-05-09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02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128A KR101020535B1 (ko) 2008-05-09 2008-05-09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128A KR101020535B1 (ko) 2008-05-09 2008-05-09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200A KR20090117200A (ko) 2009-11-12
KR101020535B1 true KR101020535B1 (ko) 2011-03-09

Family

ID=4160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128A KR101020535B1 (ko) 2008-05-09 2008-05-09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4B1 (ko) * 2013-07-23 2013-11-22 주식회사 더마랩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5B1 (ko) * 2013-07-30 2013-11-22 주식회사 더마랩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1668034B1 (ko) * 2014-10-29 2016-10-20 박지수 발효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N113559024A (zh) * 2020-04-26 2021-10-29 上海相宜本草化妆品股份有限公司 莲花花瓣提取物发酵产品的制备方法及其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800A (ko) * 2006-09-21 2008-03-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
KR100828193B1 (ko) * 2006-11-06 2008-05-08 박영준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800A (ko) * 2006-09-21 2008-03-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
KR100828193B1 (ko) * 2006-11-06 2008-05-08 박영준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123968B2 (en) 2014-07-11 2018-11-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231922B2 (en) 2014-07-11 2019-03-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617633B2 (en) 2014-07-11 2020-04-14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1969498B2 (en) 2014-07-11 2024-04-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200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WO2017036240A1 (zh) 一种抗菌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0535B1 (ko)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9105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4825A (ko) 소리쟁이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09760B1 (ko) 피부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우뭇가사리와 엉겅퀴 추출 복합물의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126666B1 (ko) 섭취 성분에 기초하는 화장료 천연방부제 조성물
KR101383519B1 (ko) 항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8516B1 (ko)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0905437B1 (ko)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9956A (ko) 발효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증강용 손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3592B1 (ko)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761771B1 (ko) 닥나무 또는 그 추출물의 발효방법, 그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0310A (ko)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산화용 조성물
CN106727101A (zh) 由水果制取化妆品中天然祛痘及美白成分的方法
JP4793617B2 (ja) 化粧料
KR100983326B1 (ko) 전기분해한 광천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우슬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9073B1 (ko)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1166B1 (ko)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