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516B1 -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516B1
KR101038516B1 KR1020100098308A KR20100098308A KR101038516B1 KR 101038516 B1 KR101038516 B1 KR 101038516B1 KR 1020100098308 A KR1020100098308 A KR 1020100098308A KR 20100098308 A KR20100098308 A KR 20100098308A KR 101038516 B1 KR101038516 B1 KR 10103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mugwort
extract
weigh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주
신정혜
강민정
윤환식
Original Assignee
(재)남해마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남해마늘연구소 filed Critical (재)남해마늘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98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늘과 쑥의 천연 항균활성과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피부개선용 화장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개선용 화장수 제조방법은, 마늘은 물 70~90중량%와 에탄올 10~3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면서 쑥은 물 30~50중량%와 에탄올 50~7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마늘과 쑥을 모두 물 30~50중량%와 에탄올 50~7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되, 마늘과 쑥을 7:3~9:1의 중량비로 이용하고 용매를 용질의 5~15배 이용하면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Process of Skin Toner using garlic and Mugwort}
본 발명은 화장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늘과 쑥의 천연 항균활성과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피부개선용 화장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 자기 체중의 15% 정도를 차지하며 체온 조절, 체액유지 조절, 미생물 등 이물질의 출입 방어 등 가장 광범위하고 중요한 방어기능을 갖는 기관이다.
인간의 피부에는 생육에 필요한 물질을 땀, 피지 등으로부터 공급받아 생활하는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대부분은 해를 주지 않고 정상적으로 서식하는 미생물이지만, 일부는 병원성인 것들도 있다. 일부 병원성 미생물들은 땀샘 분비선, 피지 분비선 등을 통하여 피부 깊숙이 침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피부에는 존재하는 세균류로는 Pseudomonas , Bacillus , Mycobacterium , Clostridium,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등이 알려져 있는데, 피부는 주로 그람양성 세균의 생육에 유리한 영양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피부 중의 세균은 대부분이 그람양성균이며, 이들 균주에 의해 그람음성균은 상대적으로 생장이 억제된다. 곰팡이나 바이러스는 피부에는 흔치 않고 대체로 한정된 수만이 존재하고 있다.
세균이 피부에 감염될 때에는 대부분은 피부가 벗겨진 곳이나 찔린 곳, 또는 벤 곳 등 손상된 곳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들이 피부에 서식하면서 비듬 및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무좀 그리고 아토피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만일 감염을 신속히 처리하지 않는다면 미생물은 조직 깊숙이 퍼져 혈류에 이르게 되고 심각한 손상을 줄 수도 있다.
피부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세균류로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과 연쇄상구균(Streptococcus)의 두 속이 있다. 이들 박테리아류는 쉽게 피부와 접할 수 있고 모두 침입성 효소와 질병을 일으키는 독소를 만들어내는 특징이 있다.
포도상 구균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세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그람양성 구균 중 임상 검체에서 가장 흔히 분리되며 병원 내 감염증을 잘 일으키는 균으로 인체의 어느 부위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화농성 세균이다. 국소감염으로는 피부감염, 소포염, 농가진, 종기, 창상감염 등을 일으키며, 전반적인 질환은 점막질환, 폐렴, 심내막염, 뇌막염, 폐혈증 및 식중독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에 감염될 경우 아토피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균이 되는데, 아토피는 만성적으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을 유발하여 심한 가려움증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알러지성 피부질환으로, 건강한 피부에는 황색포도상구균이 2~5%만 존재하지만 아토피 환자의 95%에서 집락이 형성됨이 확인되어 있다.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은 사람의 피부나 점막에 상재해있으면서 정상인에게 있어서는 낮은 병원성을 나타내지만, 호르몬과 외부적 영향으로 피지가 모낭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해 모공이 막힌 경우, 피부표면에서 증식하여 여드름을 유발하는 주요 균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피부 이외의 신체 조직에 감염될 경우에는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게 있어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다.
한편 마늘과 마늘 중의 황화합물은 여러 가지 미생물의 번식을 저해하므로 마늘을 감염증 치료에 쓰고자 하는 노력이 많았고 따라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생육억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마늘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의 번식저해작용을 연구한 대상 미생물 중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그람음성 및 양성의 병원성 세균이 주 연구대상이었다. 마늘 중의 주요 유효성분인 알리신이 나타내는 항균작용은 미생물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 중에서 -SH기를 가지는 효소단백질과 결합하여 불활성화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미생물이 사멸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또한, 쑥은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 와서 쑥의 강한 살균 작용이 과학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천연 쑥의 정유 성분인 치네온과 세스케텔렌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균에 저항력이 있으며, 인체 내 항균작용, 항당뇨작용, 항염증작용, 항위궤양작용, 항암작용 등이 시험을 통하여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쑥은 다른 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타감효과(allelopathy)를 나타내는 터페노이드(terpenoid) 계열의 휘발성 향기성물인 terpenoid allelochemicals을 함유하고 있어 미생물에 대한 화학적 방어기능을 갖고 항균활성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표적인 천연 항균활성 소재인 마늘과 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늘과 쑥을 이용한 화장수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마늘과 쑥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화장수로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마늘과 쑥 추출물을 화장수로 그대로 이용할 때 피부개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추출조건과 조성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늘은 물 70~90중량%와 에탄올 10~3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면서 쑥은 물 30~50중량%와 에탄올 50~7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마늘과 쑥을 모두 물 30~50중량%와 에탄올 50~7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되, 마늘과 쑥을 7:3~9:1의 중량비로 이용하고 용매를 용질의 5~15배 이용하면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과 쑥을 피부개선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소재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아토피 및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물론 미백과 피부노화방지에도 유리한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수는 그대로 이용할 때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바, 피부개선용도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피부개선용 화장수 조성물로 마늘과 쑥 추출물을 함께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마늘은 항균활성이 강하지만 강한 자극성으로 인하여 피부에 직접 사용할 경우 피부를 자극하여 붉어짐, 가려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쑥은 항균활성이 마늘보다 강하지 않지만 좋은 향으로 피로를 회복시키는 아로마테라피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늘의 강한 항균활성에 기초하고, 쑥의 좋은 향과 아로마테라피 효능을 활용하여 마늘의 강한 자극성과 강한 향을 반감시키고자 이 두 가지를 함께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늘의 경우에는 물 70~90중량%와 에탄올 10~3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한편, 쑥의 경우에는 물 30~50중량%와 에탄올 50~7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추출할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마늘과 쑥을 동일한 추출용매로 물 30~50중량%와 에탄올 50~70중량%로 구성된 것을 이용할 것을 제안하며, 이 경우 마늘과 쑥을 각각 개별적으로 추출할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마늘과 쑥을 7:3~9:1의 중량비로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하기 실험예를 따른 결과이다. 한편 추출시간은 20~50시간이 적당하다.
하기 [실험예1,2,3]에 따르면, 마늘은 물과 에탄올이 8:2로 혼합된 추출용매에서 추출될 때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하고, 쑥은 물과 에탄올이 4:6으로 혼합된 추출용매에서 추출될 때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하며, 또한 마늘과 쑥 두 재료가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추출용매는 물과 에탄올이 4:6으로 혼합되는 경우임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최적의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용매 조건에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혼합할 경우 제조상의 번거로움이 예상되므로, 공정을 간략히 하고자 한다면 물과 에탄올이 4:6으로 혼합된 추출용매에서 마늘과 쑥 모두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하기 [실험예4,5]에 따르면, 마늘과 쑥은 단독일 때보다는 9:1로 혼합될 때 tyrosinase 저해활성과 ABTS radical 소거활성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미백 기능과 항산화기능을 고려하면 마늘과 쑥은 9:1로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이하에서는 실험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살펴본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1] 마늘 추출물의 항균효과
(1)실험방법
항균활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마늘 추출물을 얻기 위해 적합한 추출용매의 적정 비율을 설정하고자 추출용매의 양을 달리하면서 마늘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마늘은 경남 남해군에서 재배, 수확한 것으로, 껍질을 벗긴 후 흐르는 물에 2회 이상 세척한 다음 homogenizer로 분쇄하여 실험재료로 준비하였다. 준비된 마늘 실험재료에 추출용매(물과 에탄올의 다양한 혼합비율로 준비)를 5~15배 가하여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여 마늘 추출물을 얻었다. 다만 5배에 해당하는 추출용매를 가했을 경우 추출물의 회수율이 추출용매 대비 50%가 되지 않아 최저 용매 비율을 무게 대비 6배로 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마늘 추출물 각각을 균주에 100ul씩 가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마늘 추출물에 의한 균의 생육저해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생육저해환의 크기는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균주는 대표적인 피부 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KACC 10778와 함께 여드름의 원인균인 Stapylococcus epidermidis KACC 13234는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항균력 실험에 사용된 배양배지는 S. aureus는 tryptic soy agar(1.7% casein, 0.3% soybean, 0.25% dextrose, 0.5% sodium chloride, 0.25% dipotassium phosphate, 1.5% agar)(BD diagnostics)에 yeast extract 0.3%를 첨가하였으며, S. epidermidis는 nutrient agar(0.3% beef extract, 0.5% peptone, 1.5% agar)(BD diagnostics)를 사용하여 각각 121℃, 2기압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균주는 agar를 제외한 해당 배지에 예비 배양하여 배양액의 흡광도가 1.0이 되었을 때 실험에 사용하였다.
(2)실험결과
농도에 따른 추출용매별 마늘 추출물의 생육저해환 크기는 하기 [표 1]과 같다.
농도에 따른 추출용매별 마늘 추출물의 항균활성
Plants Microorganisms Conc. Antimicrobial activity
A1) B2) C3 ) D4 ) E5 ) F6)
Garlic S. aureus ×6 ++ +++ ++ ++ ++ ++
×10 ++ ++ ++ + + -
×15 ++ ++ + + - -
S. epidermidis ×6 +++ +++ +++ +++ ++ ++
×10 +++ +++ ++ ++ + +
×15 ++ ++ + + + -
->1)A:D.W, 2)B:20%, 3)C:40%, 4)D:60%, 5)E:80%, 6)F:100% 에탄올
-> Degree of clarity of clear zone by growth inhibition
-: no inhibition zone, +: below 10mm, ++: 10 ~ 20 mm, +++: above 20mm.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A,B 추출용매에서는 추출용매의 양이 많아져도(마늘 농도가 작아짐) 항균활성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상대적으로 에탄올 함량이 많은 C,D,E,F 추출용매에서는 추출용매의 양이 많아질수록(마늘 농도가 작아질수록) 항균활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마늘 무게 대비 6배수의 추출용매가 항균활성과 경제적인 면에서 가장 적절하다고 하겠다.
한편, 마늘 무게 대비 6배수의 추출용매에서 추출용매별 마늘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특정 농도에서 추출용매별 마늘 추출물의 항균활성
Plants Microorganisms Conc. Diameter of inhibition zone (mm)
A1) B2) C3 ) D4 ) E5 ) F6)
Garlic S. aureus ×6 16 20 18 16 14 12
S. epidermidis 20 24 22 20 15 12
->1), 2), 3), 4), 5), 6) [표 1] 참고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0% 에탄올 추출용매에 의한 마늘 추출물의 생육저해환이 가장 작아 S. aureusS. epidermidi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낮았고, 물과 에탄올을 8:2로 혼합한 추출용매에 의한 마늘 추출물이 두 균주 모두에 대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마늘 추출물은 S. aureus 균보다는 S. epidermidis 균주의 생육을 더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실험예2 ] 쑥 추출물의 항균효과
(1)실험방법
항균활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쑥 추출물을 얻기 위해 앞서 [실험예1]에서 살펴본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쑥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쑥은 경남 남해군에서 재배, 수확한 것으로, 세척한 후 천일건조하고 추출용매를 5~15배 가하여 2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여 쑥 추출물을 얻었다.
(2)실험결과
농도에 따른 추출용매별 쑥 추출물의 생육저해환 크기는 하기 [표 3]과 같다.
농도에 따른 추출용매별 쑥 추출물의 항균활성
Plants Microorganisms Conc. Antimicrobial activity
A1) B2) C3) D4) E5) F6)
Mugwort S. aureus ×6 - - - ++ ++ +
×10 - - - + + +
×15 - - - + + -
S. epidermidis ×6 - - - ++ ++ ++
×10 - - - + + +
×15 - - - + + +
->1)A:D.W, 2)B:20%, 3)C:40%, 4)D:60%, 5)E:80%, 6)F:100% 에탄올
-> Degree of clarity of clear zone by growth inhibition
-: no inhibition zone, +: below 10mm, ++: 10 ~ 20 mm, +++: above 20mm.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A,B,C 추출용매에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에탄올 함량이 많은 D,E 추출용매에서는 추출용매의 양(쑥 농도)에 상관없이 항균활성을 동일하게 나타냈으며, 아울러 100%의 에탄올 추출용매 F에서는 D,E 추출용매보다 항균활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쑥 무게 대비 6배수의 추출용매가 항균활성과 경제적인 면에서 가장 적절하다고 하겠다.
한편, 쑥 무게 대비 6배수의 추출용매에서 추출용매별 쑥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추출용매별 쑥 추출물의 항균활성
Plants Microorganisms Diameter of inhibition zone (mm)
A1) B2) C3 ) D4 ) E5 ) F6)
Mugwort S. aureus 0 0 0 10 12 9
S. epidermidis 0 0 0 14 12 10
1), 2), 3), 4), 5), 6) [표 4] 참고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추출조건에서 쑥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물의 비가 60% 이상인 추출용매에서 추출한 경우에 항균활성이 전혀 없었고, 물과 에탄올의 비를 4:6으로 한 추출용매에서 추출하였을 때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 실험예3 ] 마늘과 쑥 추출물의 혼합비율에 따른 항균 효과
(1)실험방법
마늘과 쑥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늘과 쑥의 혼합비율과 혼합방법에 따른 추출물에 대해 [실험예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다만 앞서 [실험예1,2]의 결과에 따라 추출용매를 물과 에탄올을 4:6으로 혼합하여 준비하고([실험예1,2]에 따르면 마늘과 쑥은 동일한 추출용매를 사용할 경우 D 추출용매를 사용할 때 항균활성 효과가 가장 우수함), 이 추출용매를 무게 대비 6배수를 가하여 24시간 추출하였다. 쑥에 비해 마늘의 항균활성이 더욱 우수하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마늘과 쑥은 무게비로 5:5, 7:3 및 9:1로 혼합하였다.
(2)실험방법
마늘과 쑥을 혼합한 후 추출한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고, 마늘과 쑥을 각각 개별적으로 추출한 후 혼합한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마늘과 쑥 혼합 추출액의 항균활성
Microorganisms Diameter of inhibition zone (mm)
A1) B2) C3 ) D4 )
S. aureus 0 11 13 15
S. epidermidis 0 11 12 14
1)A; 60% 에탄올(대조군), 2)B; 마늘:쑥=5:5, 3)C; 마늘:쑥=7:3, 4)D; 마늘:쑥=9:1
마늘 및 쑥 개별 추출물 혼합 조성물의 항균활성
Microorganisms Diameter of inhibition zone (mm)
A1) B2) C3 ) D4 )
S. aureus 0 9 16 18
S. epidermidis 0 10 15 15
1), 2), 3), 4)[표5] 참고
상기 [표 5]와 [표 6]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마늘과 쑥을 혼합하여 추출할 때보다 마늘과 쑥 각각을 추출한 후 혼합할 때가 더 항균활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적 혼합비는 마늘:쑥이 9:1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4] Tyrosinase 저해활성 효과
(1)실험방법
피부는 자외선에 대한 방어작용으로 갈변물질인 melanin을 합성하는데, 이때 tyrosinase가 주요한 효소로 작용한다. 즉 tyrosinase가 활성화됨으로써 피부에는 갈변물질인 melanin의 합성이 증가되어 기미, 주근깨 등으로 표출된다. Tyrosinase는 활성 부위에 구리이온을 함유하는 metalloprotein이며, 이 효소는 monohydroxyphenol을 O-dihydroxyphenol로 변화시키는 hydroxylation 반응과 O-dihydroxyphenol을 O-quinone으로 변환시키는 산화반응을 촉매하는 기작에 의하여 갈변물질을 생성한다. 따라서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melanin 합성을 제어하는 기작에 의하여 피부미백 효과를 측정하고자 tyrosinase 저해활성을 실험하였다.
실험시료는 [실험예3]에서 마늘과 쑥을 각각 개별적으로 추출한 후 혼합한 추출물로 준비하였다. Tyrosinase 활성 저해능 측정은, 0.2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5) 2.3ml, 2mM L-tyrosine 0.4ml과 시료 용액 0.2ml의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110unit/ml) 0.2ml을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470nm에서 흡광도의 변화값(SA)과 효소 대신 증류수 0.1ml을 첨가하여 측정한 흡광도(BA), 시료대신 증류수 0.2ml을 첨가하여 측정한 값(CA)을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 = (1-((SA-BA)/CA)) × 100
(2)실험결과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저해활성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Tyrosinase 저해활성
Sample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1) 39.97
B2) 28.02
C3) 19.06
D4) 31.86
E5) 44.38
1)A; 마늘, 2)B; 쑥, 3)C; 마늘:쑥=5:5, 4)D; 마늘:쑥=7:3 5)E: 마늘:쑥=9:1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쑥에 비해 마늘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마늘:쑥을 9:1으로 혼합한 경우에는 마늘 단독보다도 저해효과가 월등히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5] ABTS radical 소거활성
(1)실험방법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azino-bis(3-ehthylbenzothianoline-6-sulfonic acid)의 푸른색을 띤 양이온 radical의 탈색 정도에 근거하여, 항산화 활성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므로 이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항산화 활성과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시료는 [실험예3]에서와 동일하게 마늘과 쑥을 각각 개별적으로 추출한 후 혼합한 추출물로 준비하였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증류수에 ABTS는 7mM, potassium persulfate는 2.6mM이 되도록 각각 가하여 혼합 용해한 다음 12시간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415nm에서 흡광도가 1.5가 되도록 희석하고, 희석된 용액 3ml에 시료 1ml을 가하여 정확히 5분 동안 방치한 후 415nm에서 흡광도의 변화값(SA)과 시료대신 증류수 1ml을 첨가하여 측정한 값(CA)을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ABTS radical 소거활성(%) = (1-(SA/CA)) × 100
(2)실험결과
추출물에 대한 ABTS radical 소거활성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ABTS radical 소거활성
Sampl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A1) 57.66
B2) 63.25
C3) 77.80
D4) 83.66
E5) 92.19
1)A; 마늘, 2)B; 쑥, 3)C; 마늘:쑥=5:5, 4)D; 마늘:쑥=7:3 5)E: 마늘:쑥=9:1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모두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마늘과 쑥의 혼합비율이 9:1일 때 90% 이상으로 가장 활성이 높았다.
[실험예6] 피부 자극 실험
마늘과 쑥 추출물의 독성 및 부작용 등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 자극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시료는 [실험예3,4,5]를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확인된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준비하였다. 즉 추출용매는 물과 에탄올을 4:6으로 혼합하여 준비하고, 마늘과 쑥은 각각 개별적으로 추출용매 6배수를 가하여 24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고, 마늘 추출물과 쑥 추출물을 9: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이를 실험시료로 준비하였다
실험시료에 대해 20~3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피부 자극 시험을 하였는데, 항균활성 실험에 사용한 페트리필름에 시료액 100μl씩을 가하고 상완근 안쪽에 30분간 부착시켜 알러지 반응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대상자 모두에서 자극반응이 없어 본 발명에서 개발된 추출액 자체는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마늘과 쑥을 7:3~9:1의 중량비로 준비하는 단계;
    물 70~90중량%와 에탄올 10~3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마늘을 추출하되, 마늘 중량 대비 5~15배의 추출용매로 20~50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마늘 추출물을 얻는 단계;
    물 30~50중량%와 에탄올 50~7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로 쑥을 추출하되, 쑥 중량 대비 5~15배의 추출용매로 20~50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쑥 추출물을 얻는 단계;
    마늘 추출물과 쑥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2. 마늘과 쑥을 7:3~9:1의 중량비로 준비하는 단계;
    물 30~50중량%와 에탄올 50~7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마늘과 쑥의 혼합 중량 대비 5~15배의 추출용매로 20~50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마늘과 쑥의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3. 마늘과 쑥을 7:3~9:1의 중량비로 준비하는 단계;
    물 30~50중량%와 에탄올 50~70중량%로 구성된 추출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마늘 중량 대비 5~15배의 추출용매로 20~50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마늘 추출물을 얻는 단계;
    쑥 중량 대비 5~15배의 추출용매로 20~50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쑥 추출물을 얻는 단계;
    마늘 추출물과 쑥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00098308A 2010-10-08 2010-10-08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103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308A KR101038516B1 (ko) 2010-10-08 2010-10-08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308A KR101038516B1 (ko) 2010-10-08 2010-10-08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516B1 true KR101038516B1 (ko) 2011-06-01

Family

ID=4440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308A KR101038516B1 (ko) 2010-10-08 2010-10-08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5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172A1 (en) * 2010-12-02 2012-06-07 Daewon Global System Integration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a purified distillate of rice husk showing anti-bacterial and anti-wrinkle activity
KR101461369B1 (ko) * 2012-09-17 2014-12-04 김영무 천연 화장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화장수 및 천연 화장수가 포함된 각질 제거용 팩
KR20160062406A (ko) 2014-11-25 2016-06-02 이호규 자생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60127188A (ko) 2015-04-23 2016-11-03 주식회사 허브누리 마늘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74A (ko) * 2000-05-31 2000-10-05 이승열 건강증진약초입욕제의제조방법
JP2001122765A (ja) * 2000-09-28 2001-05-08 Naris Cosmetic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化粧料
KR20040017051A (ko) * 2002-08-20 2004-02-26 김진섭 뜸 효과를 가지는 쑥뜸 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
JP2007161663A (ja) * 2005-12-15 2007-06-28 Pola Chem Ind Inc AGEs分解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74A (ko) * 2000-05-31 2000-10-05 이승열 건강증진약초입욕제의제조방법
JP2001122765A (ja) * 2000-09-28 2001-05-08 Naris Cosmetic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化粧料
KR20040017051A (ko) * 2002-08-20 2004-02-26 김진섭 뜸 효과를 가지는 쑥뜸 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를이용한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제제
JP2007161663A (ja) * 2005-12-15 2007-06-28 Pola Chem Ind Inc AGEs分解化粧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172A1 (en) * 2010-12-02 2012-06-07 Daewon Global System Integration Co., Ltd. Composition comprising a purified distillate of rice husk showing anti-bacterial and anti-wrinkle activity
KR101273435B1 (ko) 2010-12-02 2013-06-28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461369B1 (ko) * 2012-09-17 2014-12-04 김영무 천연 화장수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화장수 및 천연 화장수가 포함된 각질 제거용 팩
KR20160062406A (ko) 2014-11-25 2016-06-02 이호규 자생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60127188A (ko) 2015-04-23 2016-11-03 주식회사 허브누리 마늘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tang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icacy of Citrus limon L. peel extracts used for skin diseases by Xhosa tribe of Amathole District, Eastern Cape, South Africa
Osato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unripe papaya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727097A (zh) 一种具有强效广谱抑菌活性的天然化妆品防腐组合物
KR101038516B1 (ko) 마늘과 쑥을 이용한 항균, 미백,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개선용 화장수의 제조방법
KR10144208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배양액을 방부제 또는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9554B1 (ko) 오트밀과 알로에의 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애완동물용 샴푸 조성물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KR101020535B1 (ko) 연 발효수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107071B1 (ko)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CN109674702B (zh) 丁香复配型天然防腐剂及制备方法与在化妆品中的应用
EP4062901A1 (en) Cosmetic use of nordic berry ingredients for supporting a healthy skin microbiome
KR20100088878A (ko) 항균효과를 가지는 천연 세정제 조성물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102259004B1 (ko) 상백피 추출물, 방울양배추 추출물, 소프넛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
KR20180006551A (ko) 비자나무 및 비자열매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항균 조성물
KR20110120481A (ko) 김치유산균 발효액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항균 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3025A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CN110917103A (zh) 平衡皮肤微生态的依克多因与植物发酵原浆组合物及应用
KR102619073B1 (ko)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2626B1 (ko) 천연추출물과 비타민c가 혼합된 천연 방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2105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633601B1 (ko) 대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633600B1 (ko) 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JP2004269489A (j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