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928B1 -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928B1
KR101018928B1 KR1020090017709A KR20090017709A KR101018928B1 KR 101018928 B1 KR101018928 B1 KR 101018928B1 KR 1020090017709 A KR1020090017709 A KR 1020090017709A KR 20090017709 A KR20090017709 A KR 20090017709A KR 101018928 B1 KR101018928 B1 KR 10101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drag pattern
mouse
recognition uni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971A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09001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9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게임 중에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누른채로 드래그하다가 마우스 버튼을 떼면 이에 해당하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여 이에 설정된 게임 동작을 수행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드래그 패턴과 이에 각각 매칭된 게임플레이 기능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00); 사용자가 드래그패턴 설정화면에서 임의의 드래그 패턴을 입력한 후 이에 대응되는 게임플레이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100)에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드래그패턴 설정부(200);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누른채로 드래그하다가 마우스 버튼을 떼면 이에 해당하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100)에서 해당 드레그 패턴의 게임플레이 기능을 인식하는 드래그패턴 인식부(300); 및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를 통해 인식된 게임플레이 기능을 처리하는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40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온라인게임, 마우스 입력, 사용자 입력, 드래그 궤적, 드래그 패턴,

Description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BY TRACING MOUSE DRAG}
본 발명은 마우스 드래그(Drag)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게임 중에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누른채로 드래그하다가 마우스 버튼을 떼면 이에 해당하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여 이에 설정된 게임 동작을 수행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온라인게임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게임 형태 또한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즉, 고전적인 형태의 RPG(Role Playing Game)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로 진화하여 국내에서만 동시접속자가 수만에 이르는 대형 MMORPG 온라인 게임들이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온라인게임 제공업체들 간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 는바, 이들은 보다 다양한 게임서비스를 개발하여 게이머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게이머들의 흥미를 충족시키려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 이때, 온라인게임 중에 게이머들의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고차원적인 화면 구성, 배경 이미지의 변화뿐만 아니라, 게이머들의 게임 입력방식의 변화도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온라인게임에서는 게이머들이 각종 게임을 수행할 때, 키보드나 마우스의 버튼을 누르는 입력 방식으로으로 게임을 진행했기 때문에, 단축키를 외우거나 또는 여러 개의 버튼을 반복적으로 눌러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종래의 온라인게임 입력방식에 의하면, 사용자 각자의 취향에 맞는 게임플레이 입력방식이 아닌, 게임 내에서 지정한 입력방식으로만 게임을 진행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그만큼 단조로운 입력방식에 의해 게이머들의 흥미가 떨어짐과 동시에 게임능률 또한 낮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게임 중에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누른채로 드래그하다가 마우스 버튼을 떼면 이에 해당하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여 이에 설정된 게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그만큼 빠르고 단순한 사용자 입력방식을 제공하여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자 각자의 취향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마우스 드래그 패턴을 입력한 후 이에 해당하는 게임 플레이 기능을 매칭시켜 사용하도록 해줌으로써, 게임진행시 사용자들의 게임 능률 및 편리성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게임의 흥미유발에도 기여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마우스의 드래그 입력방식에 컬러 표현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자신이 입력한 기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게임 플레이시의 편리성을 극대화시켜주기 위한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는, 다수의 드래그 패턴과 이에 각각 매칭된 게임플레이 기능정 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가 드래그패턴 설정화면에서 임의의 드래그 패턴을 입력한 후 이에 대응되는 게임플레이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드래그패턴 설정부;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누른채로 드래그하다가 마우스 버튼을 떼면 이에 해당하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해당 드레그 패턴의 게임플레이 기능을 인식하는 드래그패턴 인식부; 및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게임플레이 기능을 처리하는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은, 마우스 버튼이 눌려지면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화면상에 시작점을 생성한 후 최소 드래그 범위를 표시하는 제 101 단계;
사용자가 드래그하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화면상에 이에 해당하는 궤적을 표시하는 제 102 단계;
상기 마우스 버튼이 떼어지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화면상에 종착점을 표시하는 제 103 단계;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상기 종착점이 최소 드래그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제 104 단계;
상기 제 104 단계에서 상기 종착점이 최소 드래그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드 래그패턴 인식부가 상기 시작점으로부터 종착점까지의 방향성을 분석하여 드래그 패턴을 인식하는 제 105 단계;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메모리 내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드래그 패턴에 매칭된 게임 플레이 기능을 확인하는 제 106 단계; 및
상기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가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드래그 패턴의 게임 플레이 기능을 처리하는 제 107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은, 사용자가 드래그패턴 설정화면에서 임의의 드래그 패턴을 결정하여 선택하면, 드래그패턴 설정부가 이의 드래그 패턴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201 단계;
사용자가 상기 드래그 패턴에 대응되는 게임플레이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가 상기 드래그 패턴에 매칭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202 단계; 및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가 해당 게임플레이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색상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20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게임 중에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누른채로 드래그하다가 마우스 버튼을 떼면 이에 해당하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여 이에 설정된 게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그만큼 빠르고 단순한 사용자 입력방식을 제공하여 편리성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각자의 취향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마우스 드래그 패턴을 입력한 후 이에 해당하는 게임 플레이 기능을 매칭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게임진행시 사용자들의 게임 능률 및 편리성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게임의 흥미유발에도 기여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우스의 드래그 입력방식에 컬러 표현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자신이 입력한 기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게임 플레이시의 편리성을 극대화시켜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는 메모리(Memory)(100), 드래그패턴 설정부(200), 드래그패턴 인식부(300) 및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100)는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200)를 통해 입력된 다수의 드래그 패턴과 이에 각각 매칭된 게임플레이 기능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이때, 상기 메모리(100)에는 다수의 드래그 패턴과 이에 각각 매칭된 게임플레이 기능정보들이 순차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테이블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200)는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드래그패턴 설정화면에서 임의의 드래그 패턴을 입력한 후 이에 대응되는 게임플레이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100)에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드래그패턴 설정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기본 스킬 창 또는 아이템 인벤토리 등에서 드래그&드롭(Drag&Drop)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드래그패턴과 이에 대응되는 게임플레이 기능을 선택한 후 "확인"을 누르면 설정이 저장된 후 창이 닫히고, "취소" 버튼을 누르면 이전 설정으로 돌아가고 창이 닫히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이때, 사용자는 도 8과 같은 드래그패턴 설정화면에서 드래그패턴의 방향, 이에 해당하는 게임플레이 기능 및 아이콘(4), 및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드래그 패턴 및 이에 매칭된 게임플레이 기능을 상기 메모리(100)에 저장할 때, 해당 게임플레이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4) 및 색상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상기 색상은 게이머로 하여금 자신이 선택한 게임플레이 기능을 한 눈에 알 아보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되, 사용자가 화면상에 드래그 패턴을 입력 완료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패턴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직선(3), 게임플레이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4), 및 시작점(1)과 종착점(2)이 모두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된다.
한편,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 즉 가운데 휠 버튼(11)을 누른채로 드래그하다가 휠 버튼(11)을 떼면 이에 해당하는 드래그 패턴을 분석한 후, 상기 메모리(100)에서 해당 드레그 패턴의 게임플레이 기능을 인식하여 상기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가 드래그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은 도 3과 같이 마우스(10)의 휠 버튼(11)이 최초로 눌려진 지점을 시작점(1)으로 하여, 도 5와 같이 휠 버튼(11)이 떼어진 종착점(2)까지의 방향을 판단함으로써 드래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사용자가 마우스(10)의 휠 버튼(11)을 최초로 누르면 그 지점을 화면상에 도 3과 같이 회색 원 모양의 시작점(1)으로 표시하고, 이후 도 4와 같은 최소 드래그 범위(5)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최소 드래그 범위(5)는 도 4와 같이 시작점(1)을 기준으로 약 64픽셀 거리의 반투명한 동심원으로 표시하되, 커서가 원 안에 있을 때에는 진한 원으로 표시하고, 커서가 바깥에 있을 때에는 흐린 원으로 표시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마우스(10)의 휠 버튼(11)을 떼지 않은 상태로 드래그를 수행하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이를 인식하여 도 4와 같이 화면상에 회색의 드래그 궤적을 표시하고, 이후 휠 버튼(11)이 떼어짐과 동시에 도 5와 같은 종착점(2)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도 4와 같이 드래그 되는 동안 화면상에 궤적을 표시하되 일정 시간(약 3초)이 지나면 그려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흐려지도록 제어하다가, 상기 마우스 버튼이 떼어지는 시점에서 상기 궤적을 완전히 제거한다.
이후,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드래그 패턴인식이 완료되면 도 5와 같이 시작점(1)으로부터 종착점(2)까지를 잇는 직선(3)을 표시한 후 이에 해당하는 게임 플레이 기능의 아이콘(4)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상기 시작점(1), 종착점(2), 선 및 아이콘(4)은 반짝하는 느낌과 함께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각 드래그 패턴별로 시작점(1), 종착점(2), 아이콘(4) 및 패턴 라인의 색상을 상기 메모리(100) 내에 저장하되, 특정한 드래그 패턴이 인식되면 해당 드래그 패턴에 해당하는 색상을 이용하여 드래그 패턴을 나타내는 시작점(1), 종착점(2), 직선(3) 및 아이콘(4)을 해당 패턴의 색상으로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기능을 더 쉽게 인식하도록 해준다.
그리고,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종착점(2)이 최소 드래그 범위(5)를 벗어나지 못하면 아무리 드래그 패턴이 길게 그려졌다 할지라도 자동으로 드래그 패턴 인식을 취소한다.
한편, 상기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400)는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게임플레이 기능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게임플레이 기능이란 예컨대 '달라기', '맵표시', '말하기' 등과 같은 각종 기능을 의미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와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우선, 사용자에 의해 마우스(10)의 휠 버튼(11)이 눌려지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도 3과 같이 화면상에 시작점(1)을 표시한 후 도 4와 같은 최소 드래그 범위(5)를 표시한다(S101).
그런 후, 사용자가 드래그하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도 4와 같이 화면상에 이에 해당하는 궤적을 회색으로 표시한다(S102).
한편, 사용자가 드래그를 완료한 후 상기 마우스(10) 휠 버튼(11)을 떼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도 5와 같이 화면상에 종착점(2)을 표시한다(S103).
그런 후,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상기 종착점(2)이 최소 드래그 범위(5)를 벗어났는지를 판단한다(S104).
이때, 상기 제 104 단계(S104)에서 상기 종착점(2)이 최소 드래그 범위(5)를 벗어나면(YES),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상기 시작점(1)으로부터 종착점(2)까지의 방향성을 분석하여 드래그 패턴을 인식한다(S105). 이때,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가 상기 시작점(1)으로부터 종착점(2)까지의 방향성을 분석하는 방 법은 상기 시작점(1)의 좌표와 상기 종착점(2)의 좌표를 인식한 후 직선(3)을 표시함으로써, 시작점(1)으로부터 종착점(2)까지의 방향으로 인식하는 것이며, 상기 드래그 패턴의 시작점(1), 종착점(2), 직선(3)은 모두 해당 패턴의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한다.
그런 후,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메모리(100) 내의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드래그 패턴에 매칭된 게임 플레이 기능을 확인한 후 상기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400)로 그 정보를 전달한다(S106). 이때,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해당 게임 플레이 기능을 확인한 후 화면상에 이에 해당하는 아이콘(4)을 잠깐 표시하였다가 감춘다(S106).
그러면, 상기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400)는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를 통해 인식된 드래그 패턴의 게임 플레이 기능을 처리한다(S107).
반면에, 상기 제 104 단계(S104)에서 상기 종착점(2)이 최소 드래그 범위(5)를 벗어나지 못하면(NO),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300)는 드래그 인식을 취소한다(S108).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에서 드래그패턴 설정방법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우선, 사용자가 도 8과 같은 드래그패턴 설정화면에서 임의의 드래그 패턴을 결정하여 선택하면,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200)는 이의 드래그 패턴정보를 상기 메모리(100)에 저장한다(S201).
그런 후, 사용자가 상기 드래그 패턴에 대응되는 게임플레이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200)는 상기 드래그 패턴에 매칭시켜 상기 메모리(100)에 저장한다(S202).
이어서,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200)는 해당 게임플레이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4) 및 색상정보를 상기 메모리(100)에 함께 저장한다(S203).
이상 다수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3은 도 2에 따른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입력시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따른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입력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따른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입력완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따른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입력취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에서 드래그 패턴 설정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8은 도 7에 따른 드래그 패턴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드래그 패턴 설정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모리 200 : 드래그패턴 설정부
300 : 드래그패턴 인식부 400 :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

Claims (19)

  1. 다수의 드래그 패턴과 이에 각각 매칭된 게임플레이 기능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가 드래그패턴 설정화면에서 드래그 시작점과 드래그 종착점을 잇는 직선의 방향에 따라 구분되는 드래그 패턴을 선택한 후 이에 대응되는 게임플레이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드래그패턴 설정부;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눌러 드래그를 시작하면 그 시작점을 기준으로 최소 드래그 범위를 표시하되, 사용자가 마우스 버튼을 뗀 드래그 종착점이 최소 드래그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종료하고, 최소 드래그 범위 밖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시작점과 상기 드래그 종착점을 잇는 직선의 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드래그 패턴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드래그 패턴 가운데 그 방향이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드래그 패턴에 대응하는 게임플레이 기능을 인식하는 드래그패턴 인식부; 및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게임플레이 기능을 처리하는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버튼은, 마우스의 중앙에 위치한 휠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드래그 패턴 및 이에 매칭된 게임플레이 기능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때, 해당 게임플레이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색상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는, 상기 시작점 및 종착점이 인식되면 시작점 및 종착점을 각각 게임 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드래그 범위는, 반투명 동심원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는, 드래그 패턴인식이 완료되면 시작점으로부터 종착점까지를 잇는 직선을 표시한 후 이에 해당하는 게임 플레이 기능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패턴 설정부는 각 드래그 패턴별로 시작점, 종착점, 아이콘 및 패턴 라인의 색상을 저장하되,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는 특정한 드래그 패턴이 인식되면 해당 드래그 패턴에 해당하는 색상을 이용하여 드래그 패턴을 나타내는 시작점, 종착점, 직선 및 아이콘을 해당 패턴의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는, 상기 종착점이 최소 드래그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면 자동으로 드래그 패턴 인식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는, 드래그 되는 동안 화면에 궤적을 표시하되 상기 마우스 버튼이 떼어지면 상기 궤적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12. 마우스 버튼이 눌려지면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화면상에 시작점을 생성한 후 최소 드래그 범위를 표시하는 제 101 단계;
    사용자가 드래그하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화면상에 이에 해당하는 궤적을 표시하는 제 102 단계;
    상기 마우스 버튼이 떼어지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화면상에 종착점을 표시하는 제 103 단계;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상기 종착점이 최소 드래그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하는 제 104 단계;
    상기 제 104 단계에서 상기 종착점이 최소 드래그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상기 시작점과 종착점을 잇는 직선의 방향을 분석함으로써 드래그 패턴의 방향을 인식하는 제 105 단계;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메모리 내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된 드래그 패턴과 방향이 일치하는 드래그 패턴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해당 드래그 패턴에 매칭된 게임 플레이 기능을 확인하는 제 106 단계; 및
    게임플레이 기능처리부가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드래그 패턴의 게임 플레이 기능을 처리하는 제 107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4 단계에서 상기 종착점이 최소 드래그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면,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가 드래그 인식을 취소하는 제 108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버튼은, 마우스의 중앙에 위치한 휠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5 단계에서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는 상기 시작점, 상기 종착점 및 상기 시작점과 종착점을 잇는 직선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패턴의 시작점, 종착점, 직선은 모두 해당 패턴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드래그 범위는, 반투명 동심원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6 단계에서 상기 드래그패턴 인식부는, 해당 드래그 패턴에 매칭된 게임 플레이 기능을 확인하면 이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방법.
  19. 삭제
KR1020090017709A 2009-03-02 2009-03-02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01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709A KR101018928B1 (ko) 2009-03-02 2009-03-02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709A KR101018928B1 (ko) 2009-03-02 2009-03-02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971A KR20100098971A (ko) 2010-09-10
KR101018928B1 true KR101018928B1 (ko) 2011-03-02

Family

ID=4300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709A KR101018928B1 (ko) 2009-03-02 2009-03-02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9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28B1 (ko) * 2013-12-10 2015-03-12 이준정 경로의 일치도를 계산하여 통화버튼을 설정하는 방법
US10402002B2 (en) 2013-05-03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opera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based o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a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947B1 (ko) * 2012-12-21 2014-09-24 주식회사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025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20070113018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실행방법
KR20070113022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025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20070113018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실행방법
KR20070113022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2002B2 (en) 2013-05-03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een opera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based o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action
KR101498828B1 (ko) * 2013-12-10 2015-03-12 이준정 경로의 일치도를 계산하여 통화버튼을 설정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971A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391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547035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018928B1 (ko) 마우스 드래그 궤적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JP7136715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3089064A (ja) 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2020141914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547015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289283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9126470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30087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83746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000390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360931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799620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728508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27279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4083264A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7068063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8047200A (ja) 格闘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当該格闘ゲームプログラムを実行可能なゲームシステム
JP201915072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181323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03663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022574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044154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23418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