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94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942B1
KR101006942B1 KR1020080112146A KR20080112146A KR101006942B1 KR 101006942 B1 KR101006942 B1 KR 101006942B1 KR 1020080112146 A KR1020080112146 A KR 1020080112146A KR 20080112146 A KR20080112146 A KR 20080112146A KR 101006942 B1 KR101006942 B1 KR 101006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etaining member
bearing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954A (ko
Inventor
마코토 후카마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되는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지지 샤프트(18)는 하우징(10)의 커버(12)에 설치되고, 베어링부(70)는 레버(60)에 설치된다. 각 지지 샤프트(18)는 내측에 배치된 오목 공간(20) 둘레에 유지 부재(21)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21)는 베어링(70)에 삽입되며, 유지 부재의 선단 플랜지(23)는 베어링(70)의 개구 에지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각 베어링(70)은 지지 샤프트(18)의 선단측으로부터 오목 공간(20)에 삽입 가능한 구속부(72)를 포함한다. 구속부(72)는, 레버(60)가 조립될 때 유지 부재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는 변형 허용 영역과, 레버(60)가 회전될 때 구속부와 유지 부재(21)의 간섭을 통해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되지 못하게 하는 변형 방지 영역으로 변위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레버가 하우징 상에 축 지지되어 있고, 레버 근방에 있는 힘 배가 기구는 상대 커넥터에 맞물린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되어 적은 조작 힘으로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를 적정 접속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인 커넥터가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미심사 특허 공보 제H08-167448호에 개시된 커넥터에서는, 하우징에 지지 샤프트가 설치되어 있고, 레버에는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지지 샤프트는 선형 슬릿을 사이에 두고 서로 면하는 한 쌍의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는 레버의 조립 과정에서 슬릿을 향해 탄성 변형되면서 베어링에 삽입되며, 레버가 적절히 조립되었을 때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지 부재의 선단부가 베어링의 개구 에지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전술한 경우에,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의 접속과 관련된 조작 힘(접속 힘)이 레버의 회전 과정에서 증대될 때, 유지 부재는 슬릿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그 결과, 레버가 벌어지고 의도치 않게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과제는 회전되는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청구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하우징과,
하우징 상에 지지되는 레버로서, 상대 커넥터에 맞물린 레버의 변위를 통해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를 적절히 접속시키기 위한 힘 배가 기구를 구비하는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와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지지 샤프트를 구비하며, 다른 하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지지 샤프트는 내측에 배치된 오목 공간 둘레에 혹은 오목 공간 부근에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유지 부재는 베어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유지 부재는 베어링의 개구 에지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단 플랜지를 구비하며,
베어링은 지지 샤프트의 선단측으로부터 오목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하나 이상의 구속부를 포함하고, 이 구속부는, 레버가 조립될 때 유지 부재가 오목 공간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는 변형 허용 영역과, 레버가 작동될 때 유지 부재가 오목 공간을 향해 탄성 변형되지 못하게 하는 변형 방지 영역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하우징과,
하우징 상에 축 지지되는 레버로서, 상대 커넥터에 맞물린 레버의 회전을 통해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를 적절히 접속시키기 위한 힘 배가 기구를 구비하는 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와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지지 샤프트를 구비하며, 다른 하나는 베어링을 구비하고,
지지 샤프트는 내측에 배치된 오목 공간 둘레에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유지 부재는 베어링에 삽입되고, 유지 부재는 베어링의 개구 에지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선단 플랜지를 구비하며,
베어링은 지지 샤프트의 선단측으로부터 오목 공간에 삽입 가능한 구속부를 포함하고, 이 구속부는, 레버가 조립될 때 유지 부재가 오목 공간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는 변형 허용 영역과, 레버가 회전될 때 유지 부재가 오목 공간을 향해 탄성 변형되지 못하게 하는 변형 방지 영역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이다.
레버가 조립될 때 구속부는 변형 허용 영역에 있으므로, 유지 부재는 오목 공간을 향해 탄성 변형되어 베어링에 삽입되며, 유지 부재의 선단 플랜지는 베어링의 개구 에지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고, 그 결과 레버는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하우징 상에 순조롭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레버의 회전 과정에서 구속부는 변형 방지 영역에 있으므로, 유지 부재는 오목 공간을 향해 탄성 변형되지 못하고, 유지 부재는 베어링 내에 구속된 채로 유지되며, 그 결과 레버의 하우징으로부터의 분리가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버는 변형 허용 영역에 해당하는 조립 위치와, 상대 커넥터와의 맞물림이 개시될 수 있는 대기 위치, 그리고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된 적정 접속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조립 위치는 대기 위치와 변형 방지 영역에 해당하는 적정 접속 위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다.
변형 허용 영역에 해당하는 조립 위치가 대기 위치와 적정 접속 위치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의 접속 과정에서, 유지 부재가 오목 공간을 향해 탄성 변형되고 레버가 의도치 않게 분리될 가능성이 없으며, 접속 안정성이 양호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구속부는 실질적으로 오목 공간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갖고, 및/또는 탄성 변형 영역에 있어서 오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유지 부재 사이에 버팀 상태로 배치된다.
구속부는 오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유지 부재 사이에 버팀 상태로 배치되므로, 2개의 유지 부재 모두의 탄성 변형은 매우 엄격하게 방지될 수 있고 레버의 분리는 더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구속부는 레버가 조립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 허용 영역에 위치하며, 이로 인해 유지 부재가 오목 공간을 향해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되어, 순조로운 레버의 조립 작업이 보장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레버는 레버 부분 잠금부와 상호 잠금부의 맞물림 작용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조립 위치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레버의 조립 과정에서, 레버 또는 하우징에 통합적으로 혹은 일체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구속부가 변형 허용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여 지지 샤프트가 베어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유지 부재의 하나 이상의 선단 플랜지의 돌출 단부는 실질적으로 베어링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고 유지 부재는 오목 공간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성 변형된 유지 부재는 구속부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유지 부재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 명확해질 것이다. 여러 실시예가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 특징들이 부가적인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이용하면, 회전되는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커넥터는 하우징(10)과,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60), 그리고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하우징(10)은 레버(60)가 작동 혹은 변위될 때 (바람직하게는 회전 혹은 회동될 때) 힘 배가 기구 혹은 레버 기구의 작용에 의해 적은 조작 힘으로 (혹은 도움을 받아) 상대 커넥터(도시 생략)에 접속될 수 있다. 레버(60)는 변위될 때(바람직하게는 회전 혹은 회동될 때) 조립 위치(AP)로부터 대기 위치를 경유하여 적정 접속 위치(PCP)에 도달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대 커넥터에 접속되는 측을 전후 방향과 관련하여 전방측이라 하고, 도 1의 우측을 상하 방향과 관련하여 상측이라 한다.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 본체(11)를 포함하며, 이 하우징 본체(11) 상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전선 인출면(바람직하게는 후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방식으로 커버(12)가 장착된다. 전선의 단부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캐비티(13)가 하우징 본체(11)에 배치된다[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단(段)으로 배열된다].
커버(12)는 캡(cap) 형상이며, 하우징 본체(11)의 전선 인출면(바람직하게는 후면)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특정(예정된 혹은 미리 정해놓은) 방향으로 빼내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으로 면하는 한 쌍의 측벽(14)과, 대향 측벽(14)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벽(15), 그리고 대향 측벽(14)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벽(16)을 포함하고, 전방측과 하측은 개방되어 있다. 커버(12)의 전방 개구는 하우징 본체(11)에서 장착면의 역할을 하며, 커버의 하측 개구는 전선 인출면의 역할을 한다.
대향 측벽(14)에서 (바람직하게는 대향 측벽의 후방 하부에서) 하나 이상의 융기부(17)가 실질적으로 폭 방향으로 불룩하게 나와 있고, 적정 접속 위치(PCP)에서 레버(60)의 조작부(61)가 상기 하나 이상의 융기부(17) 상에 혹은 이들 융기부에 끼워진다. 레버(60)를 가동(바람직하게는 회전 가능하게 혹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샤프트(18)가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벽(14)의 외면의 수직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중앙부)에서 돌출한다.
각 지지 샤프트(18)의 돌출 단부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오목 공간(20)이 형성되고, 이 오목 공간(20)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부(들)에 서 있다. 오목 공간(20)은 돌출 단부로부터 기단부 이전의 중간 위치(구체적으로 돌출 높이의 절반)까지 지지 샤프트(18)를 보링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돌출 단부측에서 보았을 때,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레버(6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실질적인 원 형상을 갖는다.
유지 부재(21)를 분리시키고 오목 홈(20)에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탈출 홈(22)이 오목 공간(2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반경 방향의 외측 단부(들)에 형성된다. 각 유지 부재(21)는 바람직하게는 돌출 단부측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오목 공간(20)의 원을 따르는 원호 형상을 갖고,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유지 부재(21)의 선단부의 외주연부에서 선단 플랜지(23)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이 선단 플랜지는 후술하는 레버(60)의 베어링(70)의 개구 에지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선단 플랜지(23)는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유지 부재(21)의 외주연부의 일부분(중간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선단 플랜지의 외면은 반경 방향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29)이다(도 4 참조). 지지 샤프트(18)는 바람직하게는 각 측벽(14)에 있는 축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이다.
후벽(15)은 측방 단부 혹은 하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곧게 위쪽 혹은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24)와, 제1 직선부(24)의 상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진 곡선 경사부(25), 그리고 경사부(25)의 상단부로부터 상벽(16)까지 실질적으로 곧게 위쪽 혹은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26)를 포함하고, 제1 직선부(24)와 경사부(25)는 만곡부를 통해 연결되며, 경사부(25)와 제2 직선부(26)는 만곡부를 통해 연결된다. 조립 위치(AP)에서 레버(60)의 조작부(61)는 경사부(25)와 제2 직선부(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적정 접속 위치(PCP)에서 레버의 조작부(61)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레버 완전 잠금부(27)는 제1 직선부(24)의 후면에 절단 작업에 의해 형성되고, 조립 위치(AP)에서 레버의 조작부(61)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레버 부분 잠금부(28)는 실질적으로 경사부(25)와 제2 직선부(26) 사이의 연결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후벽(15)의 내면은 특정(예정된 혹은 미리 정해놓은) 방향으로 전선을 구부리고 안내하기 위한 전선 안내면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6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조작부(61)와, 바람직하게는 이 조작부(61)의 대향 단부(혹은 이 대향 단부에 가까운 곳)로부터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아암부(62)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는 전체적으로 보면 게이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60)는 실질적으로 판 모양일 수 있고, 레버의 양단부 중 하나에 또는 그에 가까운 곳에 조작부(61)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작부(61)는 하우징(10)의 레버 부분 잠금부(28) 및 레버 완전 잠금부(27)와 맞물릴 수 있는 상호 잠금부(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조작부(61)에 가까운 각 아암부(62)의 위치에서, 조작부(61)를 향해 실질상 폭 방향으로 크랭크 모양으로 돌출하는 확장부(63)가 마련되며, 이 확장부는 커버(12)의 대응하는 융기부(17)에 맞물릴 수 있다. 조작부(61)로부터 멀리 있는 각 아암부(62)의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치형 주연부를 구비하고, 이 아치형 주연부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피니언 톱니(64)를 구비한 기어형 피니언(65)이 설치된다. 상대 커넥터는 랙 톱니를 구비한 선형 랙(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레버(60)가 바람직하게는 지지 샤프트(18)를 중심으로 회전 혹은 회동될 때, 피니언 톱니(64)와 랙 톱니가 서로 맞물려 두 커넥터의 접속 작업을 조장한다. 별법으로서 혹은 추가적으로, 홈을 따라 연장되며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의 이동 혹은 변위를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병진 이동 혹은 접속 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에 의해, 힘 배가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지지 샤프트(18)를 수용하는 베어링(70)은 (바람직하게는 각) 아암부(62)에 (바람직하게는 아암부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 베어링은 아암부(62)를 두께 방향(폭 방향)으로 관통하거나 움푹 파고 들어간 축 구멍 혹은 리세스(71)와, 바람직하게는 축 구멍(71)의 개구를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가교하도록 아암부(62)의 외면에 통합적으로 혹은 일체적으로 연결된 구속부(72)를 포함한다. 축 구멍(71)의 개구에서 대직경부(73)에 단차부(74)가 형성되고(도 4 참조), 유지 부재(21)의 선단 플랜지(23)는 단차부(74)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대직경부(73)의 단차부(74)[베어링(70)의 개구 에지부]에 실질적으로 면한다.
바람직하게는, 구속부(72)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바(bar) 형상이며, 아암부(62)의 외면보다 한 단계 높이 있고 실질적으로 오목 공간(2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빔형 가교부(75), 및/또는 가교부(75)의 종방향 중앙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77)를 포함한다(도 5 참조). 돌출부(77)의 반경 방향 길이는 실질적으로 오목 공간(20)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위치(AP)에서, 가교부(75)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탈출 홈(들)(22)과 오목 공간(20)의 개구를 반경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되고, 돌출부(77)는 지지 샤프트(18)의 돌출 단부측으로부터 오목 공간(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유지 부재(21)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21)의 최대 탄성 변형량[선단 플랜지(23)가 베어링(70)의 개구 에지부에 면하는 상태로부터 해제되기 직전의 유지 부재(21)의 탄성 변형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유지 부재(2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구속부(72)의 지지 샤프트(18)에 대한 상대적 위치는 변형 허용 영역에 위치하는데, 이 변형 허용 영역에서는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되는 것이 허용된다. 한편, 레버(60)가 이동 혹은 변위(바람직하게는 회전 혹은 회동 이동)되는 동안에, 즉 레버(60)가 조립 위치(AP)로부터 대기 위치를 향해 혹은 대기 위치까지 변위(바람직하게는 회전)되는 동안과, 그리고 레버(60)가 대기 위치로부터 적정 접속 위치(PCP)를 향해 혹은 적접 접속 위치까지 변위(바람직하게는 회전)되는 동안에, 가교부(75)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21)의 돌출 단부와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 부재(21)의 돌출 단부에 실질적으로 면하도록 배치되고, 및/또는 돌출부(77)는 유지 부재(21)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버팀 방식으로 밀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지지 샤프트(18)의 구속부(72)에 대한 상대적 위치(상대적 영역)는 변형 방지 영역에 위치하는데, 이 변형 방지 영역에서는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기능과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바람직한 가동 혹은 조작 부재로서의) 레버(60)를 하우징(10)에 조립하기 위해, 지지 샤프트(18)를 내측으로부터 커버(12)의 베어링(7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그 후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60)는 레버 부분 잠금부(28)와 상호 잠금부의 맞물림 작용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바람직하게는 회전하거나 회동하지 않도록) 조립 위치(A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60)의 조립 과정에서, 선단 플랜지(23)의 돌출 단부는 축 구멍(71)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유지되고, 유지 부재(21)는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되는데, 이는 구속부(72)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 허용 영역 내에 위치하고, 그 결과 지지 샤프트(1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 구멍(71)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탄성 변형된 유지 부재(21)의 선단부는 유지 부재(21)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구속부(72)의 돌출부(77)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레버(60)가 실질적으로 조립 위치(AP)에 도달하였을 때, 유지 부재(2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고, 선단 플랜지(23)는 도 3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구멍(71)의 대직경부(73)의 단차부(74)[베어링(70)의 개구 에지부]에 실질적으로 면하며, 그 결과 레버(60)는 바람직하게는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지지 샤프트(18) 상에 유지된다.
그 후에, 조작부(61)를 파지한 채로 반시계 방향의 조작 힘을 레버(60)에 가하여, 레버 부분 잠금부(28)와 상호 잠금부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레버(60)를 대기 위치에 도달하게 변위시킨다[바람직하게는 지지 샤프트(18)를 중심으로 회전 혹은 회동시킨다]. 대기 위치에서, 조작부(61)는 커버(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고, 피니언(65)은 랙의 랙 톱니를 수용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레버(60)가 변위(회전 혹은 회동)될 때, 구속부(72)도 또한 변위되어(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거나 혹은 회동되어) 변형 방지 영역으로 이동하고, 돌출부(77)는 유지 부재(21)를 위한 변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며, 유지 부재(21)는 돌출부(77)와 간섭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직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우징(10)은 상대 커넥터에 용이하게 끼워 넣어지고, 레버(60)는 랙과 피니언(65)이 맞물린 상태에서 적정 접속 위치(PCP)를 향해 작동되거나 변위된다(바람직하게는 회전되거나 회동된다).
레버(60)를 대기 위치로부터 적정 접속 위치(PCP)까지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유지 부재(21)의 선단 플랜지(23)는 대직경부(73)의 단차부(74)[베어링(70)의 개구 에지부]에 실질적으로 면하거나 및/또는 단차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레버(60)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대 커넥터와 하우징(10) 사이에는 접속 저항이 발생되고, 레버(60)에는 아암부(62)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유지 부재(21)의 탄성 변형 방향에서 유지 부재(21)와 돌출부(77)가 간섭함으로써, 유지 부재(21)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선단 플랜지(23)와 대직경부(73)의 단차부(74)[베어링(70)의 개구 에지부]가 신뢰 가능하게 서로 면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아암부(62)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아암부(62)의 변형이 방지된다.
레버(60)가 실질적으로 적정 접속 위치(PCP)에 도달하였을 때, 양 커넥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이 적정 깊이로 전기 접속되고, 레버(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완전 잠금부(27)와 상호 잠금부의 맞물림 작용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회전하거나 혹은 회동하지 않도록) 적정 접속 위치(PCP)에 유지된다. 이 경우에, 구속부(72)는 바람직하게는 레버(60)가 조립 위치(AP)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변형 방지 영역에 항상 위치하므로, 유지 부재(21)의 탄성 변형도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정 접속 위치(PCP)에서는 방지된다. 레버(60)는 바람직하게는 조립 위치(AP)로부터 적정 접속 위치(PCP)를 향하여 혹은 적정 접속 위치까지 약 90°만큼 회전되고, 및/또는 구속부(72)는 바람직하게는 (유사하게) 약 90°만큼 회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60)가 조립 위치(AP)에 있을 때, 구속부(72)는 변형 허용 영역에 위치하므로,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되어, 레버(60)의 순조로운 조립 작업이 보장된다. 한편, 레버(60)가 작동되거나 변위될 때(바람직하게는 회전되거나 회동될 때), 구속부(72)는 변형 방지 영역에 위치하므로,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레버(60)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신뢰 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조립 위치(AP)는 바람직하게는 대기 위치와 적정 접속 위치(PCP)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레버(60)가 회전하는 동안에 유지 부재(21)가 잠시라도 조립 위치(AP)를 지나쳐서 탄성 변형하게 될 가능성이 없으며, 그 결과 접속 안정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회전되는 레버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지지 샤프트(18)가 하우징(10)의 커버(12)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베어링부(70)가 레버(60)에 설치된다. 각 지지 샤프트(18)는 내측에 배치된 오목 공간(20) 둘레에 혹은 부근에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21)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21)는 베어링(7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유지 부재의 하나 이상의 선단 플랜지(23)는 베어링(70)의 개구 에지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각 베어링(70)은 지지 샤프트(18)의 선단측으로부터 오목 공간(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구속부(72)를 포함한다. 구속부(72)는, 레버(60)가 조립될 때 유지 부재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는 변형 허용 영역과, 레버(60)가 변위될 때(바람직하게는 회전되거나 회동될 때) 구속부(72)와 유지 부재(21)의 간섭을 통해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되지 못하게 하는 변형 방지 영역으로 변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지지 샤프트는 레버에 설치될 수 있고, 베어링은 하우징(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2) 레버는 캠 홈을 갖는 캠 레버일 수 있고, 레버가 회전될 때, 상기 캠 홈과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캠 공이(cam follower)와의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하우징을 적정 접속 위치에 이르게 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별법으로서, 레버는 회전시에 상대 커넥터를 붙잡아 하우징을 향해 끌어 당기기 위한 지렛대 레버일 수 있다.
(3) 커버는 생략될 수 있고, 레버는 하우징 본체 상에 축 지지될 수 있다.
(4) 조립 위치와 대기 위치는 동일한 위치일 수 있다.
(5) 각 오목 공간 둘레에 2쌍 이상의 유지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6) 유지 부재의 선단 플랜지와 베어링의 개구 에지부가 서로 면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조건하에, 변형 방지 영역에 있는 유지 부재와 구속부 사이에 작은 간극을 형성하여, 유지 부재의 약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할 수 있다.
(7)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의 레버는 실질적인 선형 경로(슬라이더와 유사) 등과 같은 회전 혹은 회동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따라, 즉 실질적으로 구부러진 경로 등을 따라 변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가 조립 위치에 있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레버가 적정 접속 위치에 있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구속부가 변형 허용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과 지지 샤프트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Y-Y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구속부가 변형 방지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베어링과 지지 샤프트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Z-Z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지지 샤프트의 베어링으로의 삽입의 중간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지지 샤프트가 베어링에 적절히 삽입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레버가 조립 위치에 있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 커버
18 : 지지 샤프트
20 : 오목 공간
21 : 유지 부재
23 : 선단 플랜지
60 : 레버
62 : 아암부
70 : 베어링
71 : 축 구멍
72 : 구속부
74 : 단차부(베어링의 개구 에지부)
75 : 가교부
77 : 돌출부

Claims (8)

  1. 상대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하우징(10)과,
    하우징(10) 상에 지지되는 레버(60)로서, 상대 커넥터에 맞물린 레버(60)의 변위를 통해 하우징(10)과 상대 커넥터를 완전 접속시키기 위한 힘 배가 기구를 구비하는 레버(60)
    를 포함하고,
    레버(60)와 하우징(10) 중 어느 하나는 지지 샤프트(18)를 포함하며, 다른 하나는 베어링(70)을 포함하고,
    지지 샤프트(18)는 내측에 배치된 오목 공간(20) 둘레에 혹은 오목 공간 부근에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21)를 포함하며, 유지 부재(21)는 베어링(7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유지 부재는 베어링(70)의 개구 에지부(74)에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선단 플랜지(23)를 구비하며,
    베어링(70)은 지지 샤프트(18)의 선단측으로부터 오목 공간(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하나 이상의 구속부(72)를 포함하고, 이 구속부(72)는, 레버(60)가 조립될 때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는 변형 허용 영역과, 레버(60)가 작동될 때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되지 못하게 하는 변형 방지 영역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레버(60)는 변형 허용 영역에 해당하는 조립 위치(AP)와, 상대 커넥터와의 맞물림이 개시될 수 있는 대기 위치, 그리고 하우징(10)이 상대 커넥터에 완전 접속된 적정 접속 위치(PCP)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조립 위치(AP)는 대기 위치와 변형 방지 영역에 해당하는 적정 접속 위치(PCP)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속부(72)는 오목 공간(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갖고, 탄성 변형 영역에 있어서 오목 공간(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유지 부재(21) 사이에 버팀 상태로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속부(72)는 레버(60)가 조립 위치(AP)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 허용 영역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유지 부재(21)가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레버(60)의 조립 작업이 보장되는 것인 커넥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레버(60)는 레버 부분 잠금부(28)와 상호 잠금부의 맞물림 작용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조립 위치(AP)에 유지 혹은 위치 설정되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버(60)의 조립 과정에서, 레버(60) 또는 하우징(10)에 통합적으로 혹은 일체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구속부(72)가 변형 허용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여 지지 샤프트(18)가 베어링(7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유지 부재(21)의 하나 이상의 선단 플랜지(23)의 돌출 단부는 베어링(70)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고 유지 부재(21)는 오목 공간(20)을 향해 탄성 변형되는 것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변형된 유지 부재(21)는 구속부(72)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77)와 접촉하게 되어, 유지 부재(21)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되는 것인 커넥터.
KR1020080112146A 2007-11-15 2008-11-12 커넥터 KR101006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6432A JP4893596B2 (ja) 2007-11-15 2007-11-15 コネクタ
JPJP-P-2007-296432 2007-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954A KR20090050954A (ko) 2009-05-20
KR101006942B1 true KR101006942B1 (ko) 2011-01-12

Family

ID=4062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146A KR101006942B1 (ko) 2007-11-15 2008-11-12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61970B2 (ko)
JP (1) JP4893596B2 (ko)
KR (1) KR101006942B1 (ko)
DE (1) DE10200805582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8711B2 (ja) * 2011-05-23 2015-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7408781A (zh) * 2015-04-03 2017-11-28 慧与发展有限责任合伙企业 连接器安装件
JP2022039253A (ja) 2020-08-28 2022-03-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555A (ko) * 2006-03-17 2007-09-20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412B2 (ja) * 1994-05-12 1999-08-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H08167448A (ja) * 1994-12-14 1996-06-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5709560A (en) 1994-12-14 1998-01-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having a pivotable connection-assistance member
US5810612A (en) * 1996-08-26 1998-09-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m lock lever
DE19844693A1 (de) * 1998-09-29 2000-03-30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Zweiteiliger elektrischer Verbinder
JP2001035591A (ja) * 1999-07-16 2001-02-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3603760B2 (ja) * 2000-08-11 2004-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804827B2 (ja) * 2002-01-15 2006-08-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87736B2 (ja) * 2002-02-26 2007-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259525A (ja) * 2003-02-25 2004-09-16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7559779B1 (en) * 2008-05-14 2009-07-14 Cinch Connectors, Inc.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555A (ko) * 2006-03-17 2007-09-20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954A (ko) 2009-05-20
JP2009123530A (ja) 2009-06-04
DE102008055822B4 (de) 2012-03-29
US20090130877A1 (en) 2009-05-21
JP4893596B2 (ja) 2012-03-07
US7661970B2 (en) 2010-02-16
DE102008055822A1 (de)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9513B2 (e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KR101387278B1 (ko) 커넥터
JP3976134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EP2658041B1 (en) Lever-type connector
JP482637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1936756A1 (en) A connector of the movable member type
JPH07101621B2 (ja) コネクタ
JP5939470B2 (ja) コネクタ
KR100899828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006942B1 (ko) 커넥터
KR20140026614A (ko) 커넥터 장치
CN110838650A (zh) 杠杆型连接器
EP105616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keying means
CN111193150B (zh) 波纹管保持器和线束
JP3494285B2 (ja) コネクタ
JP2006147492A (ja) コネクタ
JP5636909B2 (ja) 電気接続箱
CN111834839A (zh) 连接器
WO1995028021A1 (en) Electric connector
JP714595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95653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737640B2 (ja) コネクタ
CN112688105B (zh) 连接器
EP3863126B1 (en) Lever type connector
JP7428973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