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459B1 -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 Google Patents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459B1
KR100995459B1 KR1020100017257A KR20100017257A KR100995459B1 KR 100995459 B1 KR100995459 B1 KR 100995459B1 KR 1020100017257 A KR1020100017257 A KR 1020100017257A KR 20100017257 A KR20100017257 A KR 20100017257A KR 100995459 B1 KR100995459 B1 KR 100995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eam
shear connection
upper flange
connection reinforce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황규
백성렬
정광량
우운택
김도현
우성우
신정림
최종문
오상훈
Original Assignee
(주)스틸콘이엔씨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주식회사 한화건설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틸콘이엔씨,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주식회사 한화건설,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filed Critical (주)스틸콘이엔씨
Priority to KR102010001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65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the passage of cables or conduits through the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림플로어 시스템에서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웨브 및 한 쌍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랜지와 데크플레이트 거치대 사이에 위치한 웨브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천공되어진 복수개의 하부철근 관통홀이 형성되어진 개량 철골보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거치대의 상부와 상부플랜지의 양단 사이에 수직으로 접합되는 복수개의 전단 연결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의 형태는 철근을 직각 또는 삼각트러스로 절곡한 형상, ㄷ형상 또는 판재(plate)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는 상단이 상기 상부플랜지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개량 철골보의 상부플랜지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추가적으로 천공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바닥판, 철골보 및 슬래브 콘크리트 등 모든 부재들이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구조적으로 안정한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REINFORCEMENT STEEL BEAM WITH SHEAR REINFORCEMENT MATERIAL}
본 발명은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림플로어 시스템에서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웨브 및 한 쌍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랜지와 데크플레이트 거치대 사이에 위치한 웨브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천공되어진 복수개의 하부철근 관통홀이 형성되어진 개량 철골보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거치대의 상부와 상부플랜지의 양단 사이에 수직으로 접합되는 복수개의 전단 연결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의 형태는 철근을 직각 또는 삼각트러스로 절곡한 형상, ㄷ형상 또는 판재(plate)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는 상단이 상기 상부플랜지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개량 철골보의 상부플랜지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추가적으로 천공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바닥판, 철골보 및 슬래브 콘크리트 등 모든 부재들이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구조적으로 안정한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현장에서는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철골조로 이루어진 초고층 건축물이 많이 신축되고 있다.
이러한 철골조 건축물은 건물의 구조재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기둥과 보를 H형강 또는 I형강 등의 철골부재로써 구성하고,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또는 미리 제작된 PC슬래브나 하프슬래브(half slab) 등(이하, 데크플레이트 등이라 한다)을 상기 철골보에 거치한 후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철근콘크리트공사를 실시함으로써 보 및 바닥슬래브 구성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철골조 건축물은 H형강 또는 I형강을 기둥과 기둥 사이, 또는 철골보와 철골보 사이에 수평으로 접합하여 설치한 후, 상기와 같은 대칭형 H형강 또는 I형강의 상부플랜지에 데크플레이트 등을 거치함으로써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골구조는 철골부재의 상부플랜지 상에 데크플레이트 등을 설치하고 슬래브를 형성하기 때문에, 바닥슬래브 밑에 철골보가 그대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건축물의 층고가 높아지고 외장재의 수요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단위면적당 용적물이 감소되는 등 소요단가에 비해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골구조가 가지는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기 위하여, 슬림플로어 공법(slim floor method) 또는 슬림플로어 시스템(slim floor system)이 개시되어진다.
즉 상기 슬림플로어 공법은 종래의 일반적인 철골구조 공법과 달리, 웨브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H형강 또는 I형강 등을 사용하여 하부플랜지 상에 데크플레이트 등을 거치한 후 슬래브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보로써 사용되는 철골보를 슬래브 밑에 전부 노출시키지 않고 철골보의 전부를 슬래브 속으로 매입하여 층고를 낮추도록 하는 공법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슬림플로어 공법이외에 또 다른 슬림플로어 공법으로는, 웨브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H형강 또는 I형강 등의 (가) 하부플랜지의 양단에 수직으로 받침대를 형성하거나 또는 (나) 웨브에 수평으로 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에 데크플레이트 등을 거치하는 공법이 있다. 즉, 이러한 다른 슬림플로어 공법은 보로써 사용되는 철골보를 슬래브 밑에 일부만 노출시키고 철골보의 일부를 슬래브 속으로 매입함으로써 층고를 낮추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종래의 슬림플로어 공법은 비록 층고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종래의 철골구조의 경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 상부에 데크플레이트가 거치되므로 상기 데크플레이트 위에 슬래브 하부철근을 철골보의 방해없이 배근할 수 있었으나, 종래의 슬림플로어 공법의 경우에는 철골보로 인하여 슬래브 하부철근의 배근이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현장에서는 철골보와 인접하는 슬래브 하부철근을 부득이하게 단절시키거나 임의로 구부려서 정착길이를 확보하는 등 편법을 사용하여야만 하고 이로인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못하다.
둘째, 또한 종래의 철골구조의 경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 상부에 스터드볼트(stud bolt) 등을 설치하여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후 철골보와 바닥판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종래의 슬림플로어 공법의 경우에는 상부플랜지가 이미 일정부분 바닥판의 일부분으로 매입되므로 스터드볼트 등을 설치하여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후 철골보와 바닥판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슬림플로어(slim floor)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바닥판과 철골보 그리고 슬래브 콘크리트 등 모든 부재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구조적으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는 슬림플로어 시스템에서,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웨브 및 한 쌍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랜지와 데크플레이트 거치대 사이에 위치한 웨브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천공되어진 복수개의 하부철근 관통홀이 형성되어진 개량 철골보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거치대의 상부와 상부플랜지의 양단 사이에 수직으로 접합되는 복수개의 전단 연결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의 형태는 철근을 직각 또는 삼각트러스로 절곡한 형상, ㄷ형상 또는 판재(plate)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는 상단이 상기 상부플랜지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개량 철골보의 상부플랜지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추가적으로 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는, 보강재를 사용하여 철골보와 슬래브 콘크리트가 일체화된 구조체로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좌굴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철골보의 웨브에 슬래브 하부철근이 연속적으로 관통되어 배근됨으로써 슬래브 하부철근이 굽혀지거나 단절되지 않아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철골보의 공장제작단계 또는 현장설치단계 등 어느 단계에서도 자유롭게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고, 비숙련공도 현장에서 요구되는 품질의 정밀도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C-C'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C-C' 단면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는 슬림플로어 시스템에서, 상부플랜지(21), 하부플랜지(22), 웨브(23) 및 한 쌍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랜지(21)와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 사이에 위치한 웨브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천공되어진 복수개의 하부철근 관통홀(25)이 형성되어진 개량 철골보(2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의 상부와 상부플랜지의 양단 사이에 수직으로 접합되는 복수개의 전단 연결보강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30)의 형태는 철근을 직각 또는 삼각트러스로 절곡한 형상, ㄷ형상 또는 판재(plate)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30)는 상단이 상기 상부플랜지(21)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개량 철골보(20)의 상부플랜지(21)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추가적으로 천공되어진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이용한 전단 보강구조는 철골기둥 또는 철골보들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상기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에 양단이 거치되는 다수 개의 바닥판(10); 상기 하부철근 관통홀(25)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 개의 하부철근(40); 및, 상기 바닥판(10) 및 개량 철골보(20) 위에 타설되되,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30)의 상부 위로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5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는 상부플랜지(21)와 하부플랜지(22) 그리고 웨브(23) 및 상기 상부플랜지(2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웨브(23)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져서 바닥판(1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상부플랜지(21)보다 횡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지는 좌우 한쌍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철골기둥 또는 철골보들 사이에 다수개가 설치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량 철골보(20)의 상부플랜지(21)와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 사이에 위치하는 웨브(상부웨브) 상에는 바닥판(10)의 하부철근(40)이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배근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천공된 복수개의 하부철근 관통홀(25)을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철근 관통홀(25)은 바닥판의 하부철근(40)이 배근되고 슬래브 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지는데,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부철근 관통홀(25)은 슬래브 콘크리트(50) 타설시 (상부)웨브(23) 좌우에 채워지는 슬래브 콘크리트(50)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연결하여 슬래브 콘크리트(50) 경화시에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철골보(20)가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슬래브 콘크리트(50)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철근 관통홀(25)은 일부의 관통홀을 바닥판의 하부철근(40)이 구부려지거나 절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배근되도록 하고, 나머지 관통홀은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고정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철근 관통홀(25)의 형상은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으나, 천공부위의 각진 곳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플랜지(21)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구멍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구멍은 슬래브 콘크리트(50) 타설시 상부플랜지(21) 상부 및 하부에 채워지는 슬래브 콘크리트(50)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콘크리트(50) 경화시 본 발명에 따른 개량 철골보(20)가 더욱 견고하게 슬래브 콘크리트(50)에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랜지(21)의 형상은 하부철근 관통홀(25)의 형상과 동일하게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천공부위의 각진 곳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하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30)는 상기 개량철골보(20)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 상부표면과 상부플랜지(21)의 양쪽 측면 상에 수직으로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철골보와 슬래브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30)의 모양은 철근을 직각으로 절곡한 형상(도 1 내지 도 3), 철근을 삼각 트러스로 절곡한 형상(도 4 내지 도 6), ㄷ형상(도 7 내지 도 9) 또는 판재(plate) 형상(도 10 내지 도 12)등으로 형성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철골구조는 철골보의 상부플랜지 상부에 스터드볼트(stud bolt) 등을 설치하여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후 철골보와 바닥판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슬림플로어 공법의 경우에는 상부플랜지가 이미 일정부분 바닥판의 일부분으로 매입되어 높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스터드볼트 등을 설치하여 철골보와 바닥판의 일체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를 추가로 형성시키고 상기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의 상부표면과 상부플랜지의 양쪽 측면상에 접합고정되고 상부플랜지로부터 돌출되도록 전단 연결보강재(30)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스터드볼트(stud bolt)와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50) 타설시에 쐐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슬래브 콘크리트(50)와 개량 철골보(20)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고 슬래브 콘크리트(50) 경화시에는 개량 철골보(20)가 더욱 견고하게 슬래브 콘크리트(50)에 고정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30)는 상단이 상기 상부플랜지(21) 위로 돌출되게 할 수 있는데, 이때는 스터드볼트(stud bolt)의 기능과 동시에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30)가 슬래브 상부철근의 스페이서(spacer) 등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삭제
다음으로 상기 바닥판(10)은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또는 하프슬래브(half slab) 등 RC 내지 SRC 구조 등에서 거푸집 또는 구조재로 사용되는 바닥판을 말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에 양쪽 단부가 다수개 거치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판의 하부철근(40)은 하부철근 관통홀(25)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배근되어진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철골구조의 경우 철골보의 상부플랜지 상부에 데크플레이트가 거치되므로 상기 데크플레이트 위에 슬래브의 하부철근을 철골보의 방해없이 배근할 수 있었으나, 슬림플로어 공법의 경우에는 철골보로 인하여 슬래브 하부철근의 배근이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현장에서는 철골보와 인접하는 슬래브 하부철근을 임의로 구부려서 정착길이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편법은 슬래브 하부철근이 부담하는 인장력의 단절을 가져오고 구조적으로 안정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철근 관통홀(25)을 바닥판의 하부철근(40)이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배근되도록 함으로써 철근의 정착길이를 확보함과 동시에 철근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단절시키지 않고 하부철근(40)이 연속적으로 분담하도록 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래브 콘크리트(50)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철골보(20) 및 바닥판(10) 상에 타설되고,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30)의 상부 위로 타설되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선호적인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본 발명의 출원인 중 1인이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합성보(특허등록번호 제10-0401671호)를 이용한 것으로서, 하부플랜지(22) 하부에 플레이트(62), 하부 스터드볼트(64), PC강선(66) 및 콘크리트(68) 등으로 구성되는 PC패널(60)을 추가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는 설계자 또는 시공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응용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고안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삭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판 20 : 개량철골보
21 : 상부플랜지 22 : 하부플랜지
23 : 웨브 24 : 데크플레이트 거치대
25 : 하부철근 관통홀 30 : 전단 연결보강재
40 : 하부철근 50 : 슬래브 콘크리트
60 : PC패널 62 : 플레이트
64 : 하부 스터드볼트 66 : PC강선
68 : 콘크리트

Claims (8)

  1. 슬림플로어 시스템에서,
    상부플랜지(21), 하부플랜지(22), 웨브(23) 및 한 쌍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플랜지(21)와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 사이에 위치한 웨브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천공되어진 복수개의 하부철근 관통홀(25)이 형성되어진 개량 철골보(2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거치대(24)의 상부와 상부플랜지의 양단 사이에 수직으로 접합되는 복수개의 전단 연결보강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30)의 형태는 철근을 직각 또는 삼각트러스로 절곡한 형상, ㄷ형상 또는 판재(plate)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 연결보강재(30)는 상단이 상기 상부플랜지(21)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개량 철골보(20)의 상부플랜지(21)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추가적으로 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17257A 2010-02-25 2010-02-25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KR100995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257A KR100995459B1 (ko) 2010-02-25 2010-02-25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257A KR100995459B1 (ko) 2010-02-25 2010-02-25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459B1 true KR100995459B1 (ko) 2010-11-18

Family

ID=4340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257A KR100995459B1 (ko) 2010-02-25 2010-02-25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45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33B1 (ko) * 2010-12-08 2011-10-17 삼표건설 주식회사 형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거더
KR101191502B1 (ko) 2012-04-13 2012-10-15 (주)엔아이스틸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1393468B1 (ko) 2012-06-05 2014-05-13 이창남 트러스데크의 강선트러스 단부 연속성 확보 구조
KR101509175B1 (ko) * 2014-11-03 2015-04-08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KR101747104B1 (ko) * 2016-12-08 2017-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스팬 층고절감형 u형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1761277B1 (ko) * 2015-04-15 2017-07-26 서정표 철골보 횡좌굴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좌굴 방지 철골보
CN108277886A (zh) * 2018-02-05 2018-07-13 沈阳建筑大学 一种型钢混凝土柱的t型cr剪力连接件
KR20200010874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체
KR20210135810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포스코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91B1 (ko) * 2006-10-17 2007-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91B1 (ko) * 2006-10-17 2007-12-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433B1 (ko) * 2010-12-08 2011-10-17 삼표건설 주식회사 형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거더
KR101191502B1 (ko) 2012-04-13 2012-10-15 (주)엔아이스틸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1393468B1 (ko) 2012-06-05 2014-05-13 이창남 트러스데크의 강선트러스 단부 연속성 확보 구조
KR101509175B1 (ko) * 2014-11-03 2015-04-08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WO2016072616A1 (ko) * 2014-11-03 2016-05-12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KR101761277B1 (ko) * 2015-04-15 2017-07-26 서정표 철골보 횡좌굴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좌굴 방지 철골보
KR101747104B1 (ko) * 2016-12-08 2017-06-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장스팬 층고절감형 u형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CN108277886A (zh) * 2018-02-05 2018-07-13 沈阳建筑大学 一种型钢混凝土柱的t型cr剪力连接件
CN108277886B (zh) * 2018-02-05 2019-08-27 沈阳建筑大学 一种型钢混凝土柱的t型cr剪力连接件
KR20200010874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체
KR102178744B1 (ko) * 2018-07-23 2020-11-13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체
KR20210135810A (ko) * 2020-05-06 2021-11-16 주식회사 포스코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KR102386206B1 (ko) * 2020-05-06 2022-04-13 주식회사 포스코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459B1 (ko)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KR100626542B1 (ko) 강판성형보와 콘크리트를 이용한 복합보 구조
KR101089561B1 (ko) 콘크리트 충전 각형강관과 보의 접합구조
US6871462B2 (en) Composite action system and method
KR101264577B1 (ko) 철골 콘크리트 빔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100042448A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JP2008115562A (ja) 歩道用上部構造
JP5869717B1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
KR101632911B1 (ko) 단부 종방향빔을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96969A (ko) 층고절감형 철골 합성보,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42526A (ko)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JP4585614B1 (ja)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KR100340115B1 (ko) 티형 피씨 슬래브 댑단부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축조하는 방법
KR100796216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JP5872332B2 (ja) 建物の耐震補強方法
KR20110124005A (ko) 관통홀이 구비된 개량 철골보, 이를 이용한 전단 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JP2009161905A (ja) 橋梁の柱頭部または桁端部の複合中空構造
KR100837831B1 (ko)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KR20090093540A (ko)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KR20210004289A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20210037988A (ko)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2349442B1 (ko) 좌우 방향의 싱글 보와 전후 방향의 더블 보를 갖고 기둥 주변에 콘크리트부가 형성된, 기둥과 보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