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3540A -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3540A
KR20090093540A KR1020080019102A KR20080019102A KR20090093540A KR 20090093540 A KR20090093540 A KR 20090093540A KR 1020080019102 A KR1020080019102 A KR 1020080019102A KR 20080019102 A KR20080019102 A KR 20080019102A KR 20090093540 A KR20090093540 A KR 2009009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concrete
structure system
web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근
강지연
강석준
정병석
김상대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공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공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공사
Priority to KR102008001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3540A/ko
Publication of KR2009009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54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7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permanent forms made of particular materials, e.g. layered pro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현장 작업이 최소화되며 건설공사의 정밀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거푸집 공법으로 제작되는 합성기둥, 합성보 및 합성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합성기둥은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ㄱ형강, 한 쌍의 ㄱ형강 사이에 마련되어 합성기둥의 벽면을 형성하는 y형 강판 및 y형 강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보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웨브 플레이트,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된 상부플랜지 및 웨브 플레이트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플랜지로 구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U자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슬래브는 양측에 연결부가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서 폭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상부근과 하부근, 상부근과 하부근을 연결하는 트러스부재 및 연속하여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부근을 감싸도록 절곡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래티스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CONSTRUCTION SYSTEM USING FORM-LESS METHOD}
본 발명은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현장 작업이 최소화되며 건설공사의 정밀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건설 산업은 현장 인력의 부족, 품질관리의 어려움 및 후분양 제도 도입 등의 이유로 공기단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층간소음 저감 및 층고확보 등과 같은 입주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구조물의 구조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철근 콘크리트조와 철골조만으로는 건설 산업의 변화 및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및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술한 두 구조의 장점을 혼합하여 경제성과 시공성을 향상시킨 합성구조(일례로 합성기둥, 합성보, 합성슬래브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합성기둥의 경우에는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steel reinforced concrete: SRC) 기둥과 콘크리트 충전 강관(concrete filled tube: CFT) 기둥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상기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 기둥은 철골과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철근콘크리트조 기둥에 비하여 단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어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철골조와 달리 내화피복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공기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은 단면적을 증가시키지 아니하고 내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내진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거푸집이 필요치 아니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 기둥은 다수의 철근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와 콘크리트 공사에 많은 인력, 비용 및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은 강관의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의 상태를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기둥-보 연결부의 다이어프램 시공이 까다로우며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 기둥에 비하여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현장 작업이 최소화되며 건설공사의 정밀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거푸집 공법으로 제작되는 합성기둥을 포함하는 구조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합성기둥에 연결 가능하고 무거푸집 공법으로 제작되는 합성보 및 합성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은 합성기둥, 합성보 및 합성슬래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상기 합성기둥은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ㄱ형강, 한 쌍의 ㄱ형강 사이에 마련되어 합성기둥의 벽면을 형성하는 y형 강판 및 ㄱ형강의 내측에 마련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보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웨브 플레이트,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된 상부플랜지 및 웨브 플레이트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플랜지로 구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U자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슬래브는 양측에 연결부가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서 폭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상부근과 하부근, 상부근과 하부근을 연결하는 트러스부재 및 연속하여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부근을 감싸도록 절곡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래티스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은 합성기둥, 합성보 및 합성슬래브의 일부를 공장에서 대량 생산하여 현장 설치하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현장 작업이 최소화되며 건설공사의 정밀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중 합성기둥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중 합성보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중 합성슬래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합성기둥 200: TSC 합성보
300: 슬림빔 400: iTECH 합성보
500: MHS 합성보 600: 데크빔
700: 합성슬래브
본 발명은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합성기둥(100), 합성보(200 ~ 600) 및 합성슬래브(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합성기둥(100), 합성보(200 ~ 600) 및 합성슬래브(7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중 합성기둥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합성기둥(100)은 단면이 사각형인 육면체로, 각 모서리에는 ㄱ형강(110)이 위치되고, 상기 ㄱ형강(110)의 사이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y형 강판(120)이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합성기둥(100)의 중단(panel zone), 즉 합성보(200 ~ 600)가 부착되는 중단에는 합성기둥(100)의 측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130)이 마련되며, 그 외부에는 합성보(200 ~ 6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160)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y형 강판(120)은 냉연강판으로 제작되고, 그 일면에는 L자 형상의 돌기(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y형 강판(120)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일반 강판에 비하여 단면계수와 단면2차모멘트가 높을 뿐만 아니라 휨 강성과 변형에 대한 내력도 매우 우수하다. 이때, 상기 돌기(122)는 콘크리트 충전시 그 하부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완만한 곡면의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판(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기둥(100)의 측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수단(160)의 내측에서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지되, 합성보(200 ~ 600)가 연결되는 합성기둥(100)의 중단 내부에만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합성기둥(100)의 중단 외부에 마련되는 연결수단(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보(200 ~ 600)와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합성보(200 ~ 60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연결수단(160)은 많은 실시예 중 하나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5와 같이 상기 합성보(200 ~ 6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앵글(190)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은 형태의 연결수단(160)은 그 내부에 스터드 볼트(미도시)나 보조강판(180)이 추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합성기둥(100)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현장에서 설치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되면 표면에 내화피복재를 도포하여 완성한다. 따라서 공사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공사비용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중 합성보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 상기 실시예는 TSC 합성보, 슬림빔, iTECH 합성보, MHS 합성보 및 데크빔이다.
우선, TSC 합성보(T-type steel composite beam, 200)는 거푸집의 제작, 조립 및 탈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균열이 쉽게 발생하는 반면 보수 및 보강이 어려운 철근콘크리트보의 단점과, 공사비가 많이 들고 처짐과 진동 등의 사용상에 문제가 있는 철골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합성보이다.
이러한 TSC 합성보(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론 유사하지만 부분적으론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두 가지가 가장 대표적이다. 상기 TSC 합성보(200)의 일 실시예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L형 강판(210)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합되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L형 강판(210)의 상단부(212)는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며, 그 하단부(214)는 접합시 Y형상이 되도록 상향으로 절곡된다. 반면, 상기 TSC 합성보(200)의 다른 실시예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나 상단부(222)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술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TSC 합성보(200)는 상기 합성기둥(100)과 마찬가지로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현장에서 합성기둥(100)과 연결된 후 표면에 내화피복재를 도포하여 완성한다. 이때, 상기 TSC 합성보(200)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상태로 현장에서는 별도의 콘크리트 작업 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TSC 합성보(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기둥(100) 중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연결수단(160)이 마련된 합성기둥(100)에 연결되며, 이때 TSC 합성보(200)와 연결수단(160)은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슬림빔(300)은 일반적으로 보가 슬래브에 매립됨에 따른 배근의 어려움, 보에 의한 슬래브 콘크리트의 분리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일체화를 위한 공기의 연장, 비용의 상승과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합성보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슬림빔(300)은 상단 플랜지(310), 상기 상단 플랜지(310)보다 넓은 폭의 하단 플랜지(320), 상단 플랜지(310)와 하단 플랜지(320)를 연결하는 웨브(330), 및 하단 플랜지의 양측 선단에 접합되는 ㄷ형강(34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슬림빔(300)은 웨브(330)와 ㄷ형강(340) 사이에 콘크리트(350)가 타설되어 일체화된다. 즉, 상기 합성기둥(100)과 마찬가지로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현장에서 합성기둥(100)과 연결된 후 표면에 내화피복재를 도포하여 완성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별도의 콘크리트 작업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림빔(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기둥(100) 중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연결수단(160) 및 개구부(140)가 마련된 합성기둥(100)에 연결되며, 이때 슬림빔(300)과 연결수단(160)은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수단(160)의 내부에는 스터드 볼트(미도시)나 보조강판(미도시)이 마련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iTECH 합성보(400)는 상기 슬림빔(300)과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iTECH 합성보(400)의 경우 슬림빔(300)과 달리 웨브(430)를 따라 사다리꼴 형상의 웨브 홀(4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웨브 홀(440)은 수평철근이 iTECH 합성보(400)를 관통하여 직각으로 배근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도 9에 도시된 MHS 합성보(500)는 RC(reinforced concrete)보의 경제성, 철골보의 시공성 및 효율성과 같은 장점만을 모아 개발한 합성보로, 지하 및 지상 구조물 시공시 보의 춤을 감소시키고 횡강성을 증대시키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처짐 및 진동을 제어할 수 있는 합성보이다.
이러한 MHS 합성보(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랜지(512, 514) 및 그들을 연결하는 웨브(516)로 이루어진 H형강(510)과, 상기 웨브(516)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스티로폼부재(520)와, 상기 H형강 및 스티로폼부재의 일부를 감싸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부재(530)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MHS 합성보(500)는 H형강(510)의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도록 타설되어 콘크리트 부재(530)가 마련되고, 상기 합성기둥(100)과 마찬가지로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현장에서 합성기둥(100)과 연결되어 완성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별도의 콘크리트 작업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 부재(530)가 표면으로 노출되므로 내화피복재가 필요치 않다.
도 10을 참조하면, 데크빔(600)은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의 하부철판(610) 및 상기 하부철판(6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부재(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620)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하부철판(6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부철판(610)의 폭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현재(621) 및 하현재(6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현재(621) 및 하현재(622)의 양측상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철판(6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엇갈리도록 접합되는 삼각형상의 경사재(623)를 포함한다. 또한, 하부철판(61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중앙보강재(624) 및 간격재(625)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데크빔(600)의 중앙에는 상기 합성기둥(10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관통공(6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630)의 상부에는 어떠한 수평부재(620)도 설치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크빔(600)은 다른 합성보(200 ~ 500)과 달리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하지만 상술한 수평부재(620)가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설치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중 합성슬래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슬래브(700)는, 양측에 연결부(710)가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720), 베이스플레이트(7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서 폭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상부근(730)과 하부근(740), 상부근(730)과 하부근(740) 및 그들을 연결하는 트러스부재(750)를 감싸도록 절곡되며 베이스플레이트(72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래티스부재(7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20)의 상면에서 폭방향으로 등간격 마련되며 상기 래티스부재(760)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부재(770)가 상향으로 돌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합성슬래브(700)는 다른 합성보(200, 400, 500) 및 슬림빔(300), 데크빔(600)과 달리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하지만 상술한 상부근(730), 하부근(740), 트러스부재(750) 및 래티스부재(760)가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설치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공사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의 구성 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합성기둥, 합성보 및 합성슬래브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합성기둥은,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4개의 ㄱ형강,
    한 쌍의 ㄱ형강 사이에 마련되어 합성기둥의 벽면을 형성하는 y형 강판 및
    ㄱ형강의 내측에 마련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기둥의 중단에는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덮개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는 합성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 또는/및 연결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 또는/및 연결공의 하부에는 지지용 앵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보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웨브 플레이트,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된 상부플랜지 및
    웨브 플레이트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플랜지로 구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U자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보는,
    상단 플랜지,
    상단 플랜지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하단 플랜지,
    상단 플랜지와 하단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 및
    하단 플랜지의 양측 선단에 ㄷ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웨브와 ㄷ형강 사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를 따라 등간격으로 웨브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보는,
    한 쌍의 플랜지 및 그들을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진 H형강,
    웨브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스티로폼부재,
    H형강 및 스티로폼부재의 일부를 감싸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보는,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의 하부철판,
    하부철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하부철판의 상면에서 폭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현재와 하현재,
    상현재와 하현재의 양측에 위치되며 그들을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접합되는 삼각형상의 경사재 및
    하부철판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중앙보강재와 간격재로 이루어고, 하부철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10. 제 5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슬래브는,
    양측에 연결부가 마련된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서 폭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상부근과 하부근,
    상부근과 하부근을 연결하는 트러스부재 및
    연속하여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부근을 감싸도록 절곡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래티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폭방향으로 등간격 마련되며 상기 래티스부재를 끼울 수 있도록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KR1020080019102A 2008-02-29 2008-02-29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KR20090093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02A KR20090093540A (ko) 2008-02-29 2008-02-29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02A KR20090093540A (ko) 2008-02-29 2008-02-29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40A true KR20090093540A (ko) 2009-09-02

Family

ID=4130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102A KR20090093540A (ko) 2008-02-29 2008-02-29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35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1256A (zh) * 2014-01-26 2014-05-28 浙江杭萧钢构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束和钢板混凝土组合剪力墙结构体系
KR101457077B1 (ko) * 2013-09-17 2014-10-31 삼성물산 주식회사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KR101457080B1 (ko) * 2013-09-17 2014-10-31 삼성물산 주식회사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077B1 (ko) * 2013-09-17 2014-10-31 삼성물산 주식회사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KR101457080B1 (ko) * 2013-09-17 2014-10-31 삼성물산 주식회사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CN103821256A (zh) * 2014-01-26 2014-05-28 浙江杭萧钢构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束和钢板混凝土组合剪力墙结构体系
CN103821256B (zh) * 2014-01-26 2016-04-06 浙江杭萧钢构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束和钢板混凝土组合剪力墙结构体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507B1 (ko) 에이치형강과 성형강판을 이용한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79008B1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KR101228012B1 (ko) Pc기둥 접합구조
WO2006031001A1 (en) Steel-concrete sandwitch type hybrid beam and high strengh hybrid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KR100648376B1 (ko) 조립 철골 철근콘크리트기둥과 수평부재의 접합구조 및이의 시공방법
KR101011252B1 (ko)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
KR102029301B1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KR101187666B1 (ko) 기둥과 보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KR101036915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골 보의 결합구조
KR101402384B1 (ko) 압축력 전달판을 구비하는 철골보 및, 그 시공방법
KR100856723B1 (ko) 캔틸레버형 지지거더를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방법
KR101940876B1 (ko) 합성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93540A (ko)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KR101346019B1 (ko) 휨성능이 향상된 강합성 보의 시공방법
KR20140137665A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KR20080099753A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2431326B1 (ko)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0977275B1 (ko) 무거푸집 기둥과 데크빔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28691B1 (ko) 보강부를 구비한 합성보
KR100977279B1 (ko) 지하주차장 모듈러 시스템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102289243B1 (ko) 철근 선조립기둥, u형 강판보 및 골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식화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