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191B1 -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191B1
KR100784191B1 KR1020060100676A KR20060100676A KR100784191B1 KR 100784191 B1 KR100784191 B1 KR 100784191B1 KR 1020060100676 A KR1020060100676 A KR 1020060100676A KR 20060100676 A KR20060100676 A KR 20060100676A KR 100784191 B1 KR100784191 B1 KR 10078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eam
bottom plate
web
ho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찬
김긍환
최기선
신현섭
조동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00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the prefabricated parts of the beams consisting who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83Honeycomb girders; Girders with apertured solid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홀(웨브유공)이 웨브(복부)에 형성된 강재빔의 하부플랜지 상면 또는 하부플랜지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복부에 걸쳐져 설치되는 데크를 포함하는 바닥판 유니트; 및 상기 강재빔의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연속적으로 바닥판 유니트에 배근된 상부철근이 매립되며 관통홀을 연통하도록 타설된 바닥판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슬림플로우 공법에 의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합성바닥판 시스템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A)뿐만 아니라 하층 설비용 공간(B)을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바닥판의 기능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합성 바닥판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슬림플로어 공법, 합성보, 바닥판

Description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및 그 시공방법{COMPOSITE FLOOR STRUCTURE USING STEEL BEAM WITH WEB OPENING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철골조 건물의 바닥판, 슬림플로우 공법의 설치예 및 엑세스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관통홀(웨브유공)이 형성된 강재빔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바닥판 유니트의 설치위치에 따른 본 발명의 관통홀(웨브유공)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의 시공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바닥판 유니트에 따른 본 발명의 합성 바닥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바닥판 유니트(데크) 200:강재빔
210:강재빔의 하부플랜지 220:강재빔의 웨브
230:강재빔의 상부플랜지 240:관통홀(웨브유공)
250:인장저판 300:상부철근
400:바닥판 콘크리트 A:액세스 플로어용 공간
B:하층 설비용 공간
본 발명은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강재빔과 콘크리트를 합성시킨 춤이 낮은 슬림플로우 공법에 의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합성바닥판 시스템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액세스 플로우로서의 활용 및 하층 설비용 공간 확보가 매우 용이하여 다양한 바닥판의 기능성을 충족하는 합성바닥판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층 건축물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특히 벽식 철근콘크리트 라멘조로 시공되던 주거용 아파트도 초고층화를 지향함에 따라 철골조를 채택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철골 구조로 시공되는 건물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철골조 건물은 기존의 콘크리트조 건물에 비하여 공간의 가변성과 구조의 안정성 및 내구성에서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철골조 건물의 바닥판은 도 1a와 같이 철골보(10,강재빔) 상부에 바닥판(20)을 얹어서 시공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건물의 층고가 증가하여 이에 따라 건물의 자중 증가, 외장 마감재의 증가로 인한 공사비 증대 및 동일한 건물높이에 대한 단위 면적당 용적률의 감소 등 여러 가지 불리한 점이 존재한다.
철골조 건물에서 생기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림플로어 공법 이 개발되게 되었다.
상기 슬림플로어(Slim Floor) 공법이란 콘크리트 바닥판에 철골보를 삽입(매립)하여 시공함으로써 바닥판의 높이를 철골보의 춤(Depth)과 일치시키는 합성 바닥판 공법의 총칭으로, 철골보의 웨브에 바닥판이 시공되기 때문에 층고를 줄일 수 있어 바닥판과 철골보의 일체성 향상 및 층고 절감으로 인한 단위 층당 외장재의 절감 등의 여러 가지의 장점을 가진다.
도 1b에 슬림플로어 공법에 의한 종래의 철골보와 바닥판의 결합 구조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 의한 슬림플로어 공법에서 철골보와 바닥판의 결합 구조는 철골보(10)의 하부플랜지(11)에 별도의 강판(12)을 용접 접합하고, 상기 강판(12)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나 유공 PC 슬래브와 같은 바닥판 유니트(20)를 거치한 후, 그 상부에 바닥판 콘크리트(30)를 타설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슬림플로어 공법에 있어 그 장점인 층고 절감을 위해 춤이 작은 철골보를 사용할 경우 철골보의 강성저하가 필연적이며, 이로 인한 철골보의 처짐, 진동이 증가되므로 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증가된 철골보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전산장치용 전선,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설비용 관 등을 바닥판에 설치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어 액세스 플로우(ACCESS FLOOR)가 많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액세스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 도 1c이다.
즉, 지지대(40)를 바닥판(50) 상부에 다수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 상부에 프 레임조립체(60)를 설치한 후, 상기 프레임조립체(60)에 바닥마감판(70)을 설치하여 지지대로 인한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에 전산장치용 전선 등을 설치함으로서 액세스 플로우(ACCESS FLOOR)가 완성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최근에는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에 공조시스템을 설치하는 소위 바닥공조시스템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바닥공조 시스템 설치를 위하여 바닥판을 보다 더 낮게 형성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층고 절감에 유리한 종래 슬림플로우 공법과 같이 합성보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구조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면서도 바닥공조시스템 설치가 용이한 엑세스 플로우(ACCESS FLOOR)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개발은 거의 이루어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슬림플로우 공법과 같은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엑세스 플로우(ACCESS FLOOR)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판 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여 확보된 엑세스 플로우(ACCESS FLOOR) 공간에 바닥공조 시스템 등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층 설비용 공간(B)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바닥판의 기능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통홀(240,웨브유공)이 웨브(220,복부)에 형성된 강재빔(200)의 하부플랜지 상면 또는 하부플랜지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복부에 걸쳐져 설치되는 데크를 포함하는 바닥판 유니트(100); 및 상기 강재빔의 관통홀(240,웨브유공)을 관통하면서 연속적으로 바닥판 유니트(100)에 배근된 상부철근(300)이 매립되며 관통홀을 연통하도록 타설된 바닥판 콘크리트(400);포함하는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를 제공한다.
즉, 슬림플로어 공법으로 시공되는 합성 바닥판의 시공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강재빔(200)은 I형 단면으로 압연 주조되는 I형 롤빔을 이용하여 제작의 용이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인장저판을 I형 롤빔에 추가적으로 부착시켜 인장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강재빔의 구조적인 기능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강재빔의 웨브(복부)에 관통홀(240,웨브유공)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에 데크용 상부철근이 관통하여 서로 연속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 상기 상부철근이 비연속적으로 배근됨으로서 발생되는 구조적인 비효율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바닥판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상부철근을 연속적으로 데크 위에 설치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데크의 연결단부를 고정조건으로 전제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바닥판의 처짐 및 설계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어 합성바닥판의 두께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합성바닥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십분 이용하여 바닥판 콘크리트의 형성 높이 조정을 통해 바닥판 상면과 강재빔의 상부플랜지 사이의 공간이 엑세스 플로우(ACCESS FLOOR)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는 강재빔의 상부플랜지 하면보다 낮은 타설 높이로 형성시켜 바닥판 상면과 강재빔의 상부플랜지 높이까지의 공간이 바닥공조시스템의 공조설비도 설치될 수 있도록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바닥판 콘크리트 형성을 위한 바닥판 유니트(100)를 강재빔의 복부에 걸쳐 설치되도록 할 경우, 바닥판 하면과 강재빔의 하부플랜지 높이까지의 공간이 하층의 조명 등을 위한 하층 설비용 공간(B)으로의 활용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관통홀에 상부철근이 관통된 상태에서 데크에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하여 I형 롤빔의 하부플랜지와 바닥판과의 합성거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적인 전단연결재의 설치가 필요 없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I형단면의 웨브유공 롤빔으로 형성된 강재빔(2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3a 및 도 3b는 바닥판 유니트 설치 위치에 따른 본 발명의 합성 바닥판 구조 시공공종을 도시한 것이고,
도 4a 및 도 4b는 바닥판 유니트의 종류에 따른 본 발명의 합성 바닥판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관통홀(웨브유공)이 형성된 강재빔>
상기 웨브유공이 형성된 강재빔(200)은 도 2a, 도 2b와 같이 상부플랜지(230), 관통홀(240,웨브유공)이 형성된 웨브(220,복부) 및 하부플랜지(210)로 구성된 통상 구입이 가능한 I형 롤빔이 이용되며, 상기 하부플랜지(210)의 저면에 인장저판(250)이 더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인장저판(250)은 강재빔(200)의 하부플랜지(210)와 일체화되어 결국 강재빔(200)의 하부플랜지가 두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서 강재빔(200)의 전체 휨 강성(인장강도 증가)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어 본 발명의 강재빔(200)은 휨 강성 등이 강해져 슬림플로어 공법의 장점인 춤이 작은 바닥판 설계가 가능하다.
상기 강재빔(200)의 웨브(220)에는 관통홀(240,웨브유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240,웨브유공)은 강재빔(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관통홀(240,웨브유공)의 형상 및 크기는 달리 제한된 것은 아니나 건물용 설비용 관이 관통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 및 형상을 가지면 된다. 도 2a에서는 마름모 형상의 관통홀(240,웨브유공)이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하였고, 도 2b에 서는 원형의 관통홀(240,웨브유공)이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관통홀(240,웨브유공)의 기능은 후술되는 바닥판 유니트용 상부철근이 관통되어 연속적으로 바닥판 유니트 상부에 배근될 수 있도록 하거나 설비용관이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상기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도 3a 및 도 3b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미 도시된 기둥구조물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이러한 기둥구조물은 미 도시 하였지만 H 빔과 같은 철골구조물을 이용한다.
상기 기둥구조물 사이에는 먼저 도 3a와 같이 관통홀(240,웨브유공)이 웨브(220,복부)에 형성된 강재빔(200, I형 롤빔)을 먼저 설치하게 되며, 이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제품을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
상기 관통홀(240,웨브유공)은 필요한 개수만큼의 관통홀을 미리 빔 제작단계에서 빔에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나 I형 롤빔에 필요한 개수의 관통홀을 추가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강재빔(200)과 기둥구조물은 용접,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기계적 연결방법이 이용되며 달리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는 강재빔(200)의 하부플랜지(210) 상면에 바닥판 유니트(10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바닥판 유니트(100)는 통상 데크 형태의 제품화된 것을 이용함으로서 현장에서 양중장치에 의한 거치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 유니트(100)로서 데크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데크는 하판이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판 상부에 삼각뿔 형상의 래티스 철근이 설치된 평판 트러스 데크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강재빔(200)을 기준으로 데크의 래티스 철근 상부에 미도시된 스페이서(간격재)를 이용하여 데크의 설치방향으로 다수의 상부철근(300)을 배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철근(300)은 강재빔(200)의 관통홀(240,웨브유공)을 관통하여 서로 겹쳐지게 하여 서로 연속성을 가지도록 배근된다.
이러한 연속성을 가지도록 배근된 상부철근(300)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슬림플로어 공법에 사용되는 철골보(강재빔)는 이러한 관통홀(240,웨브유공)이 형성되지 않아 상기 상부철근을 데크에 비 연속적으로 배근(데크 마다 각각 별도로 설치되는 방식)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데크는 철골보(강재빔)를 기준으로 각각 단순지점 형태로 지지되는 슬래브구조물로서 단면설계가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과 같이 강재빔(200)의 관통홀(240,웨브유공)을 통해 데크의 상부철근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면, 데크는 양 단부가 고정된 연속된 슬래브구조물로서 단면설계가 가능하여 합성바닥판이 연속된 슬래브구조물로서 작용하게 되어 데크의 처짐, 설계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이는 곧 슬림플로어 공법에 있어 보다 두께가 작은 바닥판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는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종래의 단순 바닥판과는 달리 여러 설비가 매립되는 구조로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설비용 관은 바닥판 전체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필요성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I형 롤빔인 강재빔(200)의 웨브유공을 통해 설비용 관이 관통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기능성이 확장된 바닥판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부철근 및/또는 설비용 관이 매립되도록 바닥판 콘크리트(400)를 데크에 타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철근이 관통홀(240,웨브유공)에 관통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져 배근된 상태로 바닥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서 상부철근이 바닥판콘크리와 데크와의 부착성능을 증진시키는 장부작용을 할 수 있어 추가적인 전단연결의 시공 없이도 I형 롤빔인 강재빔(200), 바닥판 유니트(데크) 및 바닥판 콘크리트의 합성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부자재 설치가 감소되어 경제적인 슬림플로어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를 강재빔의 상부플랜지 하면보다 낮은 타설 높이로 형성시켜 바닥판 상면과 강재빔의 상부플랜지 높이까지의 공간이 바닥공조시스템의 공조설비가 설치될 수 있는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A)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합성바닥판은 바닥공조시스템을 적용한 액세스 플로어 시스템으로도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즉, 관통홀(240,웨브유공)이 형성되며, 인장저판이 형성된 강재빔, 상부철근의 작용에 의하여 보다 춤이 낮은 슬림플로어 공법에 의한 바닥판 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고, 이는 곧 바닥판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그만큼 바닥공조시스템의 공조설비가 설치될 수 있는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A)의 확보도 유리해지기 때문에 효과적인 바닥판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3b에 의하면, 도 3a와 같이 관통홀(240,웨브유공)이 형성되며, 인장저판이 형성된 강재빔, 상부철근의 작용에 의하여 보다 춤이 낮은 슬림플로어 공법에 의한 바닥판 시스템을 시공하도록 함은 동일하나,
특히, 바닥판 유니트(100)의 설치 위치가 강재빔의 하부플랜지 상면이 아닌 복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바닥판 유니트의 하면과 강재빔의 하부플랜지 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하층 설비용 공간(B)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에 상기 하층 설비용 공간(B)은 하층 조명시설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됨으로서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은 하층 설비시공도 효과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와 같은 합성바닥판의 시공에 있어 특히 하판이 오목부 및 볼록부로 형성된 절곡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역시 삼각뿔 형상의 래티스 철근이 설치된 절곡판 트러스 데크를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본 발명의 I형 롤빔에 데크를 설치할 때, 기둥구조물 간격에 따라 춤이 높거나 낮은 데크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도 4a에서는 비교적 춤이 낮은 절곡판 트러스 데크가 설치된 경우를 확 인할 수 있고, 도 4b에서는 비교적 춤이 높은 절곡판 트러스 데크를 설치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에 의해 여러 형태 및 다양한 춤을 가진 데크를 설치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합성바닥판의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강재빔(200)의 상부플랜지보다 낮게 형성된 합성바닥판에는 도 1c와 같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지지대를 바닥판 상부에 다수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 상부에 프레임조립체를 설치한 후,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바닥마감판을 설치하여 지지대로 인한 액세스 플로어용 하부공간에 전산장치용 전선, 공조시스템 등을 설치함으로서 액세스 플로우(ACCESS FLOOR)가 완성될 수 있을 것이며,
강재빔(200)의 하부플랜지와 바닥판 유니트의 하면 사이의 하층 설비용 공간(B)에 역시 도 1c와 같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지지대를 바닥판유니트 하면에 다수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 하부에 프레임조립체를 설치한 후,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천정 마감판을 설치하여 지지대로 인한 하층 설비용 공간(B)에 조명용 또는 전선 등의 설비시스템을 설치함으로서 하층 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합성바닥판이 연속된 슬래브구조물로서 작용하도록 하여 합성바닥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춤이 낮은 슬림플로우 공법에 의한 합성바닥판 시스템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바닥공조시스템의 공조설비가 설치될 수 있는 액세스 플로우 및 하층 설비용 공간의 활용이 매우 용이하여 다양한 바닥판의 기능성을 충족시켤 줄 수 있는 강재빔을 합성 바닥판 시공 이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7)

  1. 관통홀(웨브유공)이 웨브(복부)에 형성된 강재빔의 하부플랜지 상면 또는 하부플랜지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복부에 걸쳐져 설치되는 데크를 포함하는 바닥판 유니트;
    상기 강재빔의 관통홀(웨브유공)을 관통하면서 연속적으로 바닥판 유니트에 배근된 상부철근이 매립되며 관통홀을 연통하도록 타설된 바닥판 콘크리트; 및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의 형성높이를 상기 관통홀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강재빔의 상부플랜지보다 낮은 타설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바닥판 콘크리트 상면과 강재빔의 상부플랜지까지의 공간에 형성된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A);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유니트가 강재빔의 복부에 걸쳐져 바닥판 유니트가 설치되도록 하는 경우, 바닥판 유니트하면과 강재빔의 하부플랜지까지의 공간이 하층 설비용 공간(B)으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빔은 I형 빔으로서 하부플랜지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부플랜지와 일체화된 인장저판이 형성된 롤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A)에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조립체;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상면에 설치된 바닥마감판;을 포함하는 액세스 플로어 시스템이 더 설치되며,
    상기 하층 설비용 공간(B)에 지지대; 상기 지지대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조립체;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하면에 설치된 천정마감판;을 포함하는 천정 마감 시스템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
  6. I형 빔으로서 하부플랜지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하부플랜지와 일체화된 인장저판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가 형성된 관통홀(웨브유공)이 웨브(복부)에 형성된 강재빔을 현장의 기둥구조물에 설치하고,
    상기 강재빔의 하부플랜지 상면에 접하여 또는 하부플랜지 상면과 이격되어 복부에 걸쳐져 설치되는 데크를 포함하는 바닥판 유니트를 설치하고,
    상기 강재빔의 관통홀(웨브유공)을 관통하면서 연속적으로 바닥판 유니트에 배근되도록 상부철근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철근이 매립되고 관통홀(웨브유공)을 연통하면서 상기 관통홀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형성높이를 강재빔의 상부플랜지보다 낮은 타설 높이로 형성되도록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 콘크리트 상면과 강재빔의 상부플랜지까지의 공간이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A)으로 이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플로어용 공간(A)에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조립체;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상면에 설치된 바닥마감판;을 포함하는 액세스 플로어 시스템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시공방법.
KR1020060100676A 2006-10-17 2006-10-17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KR10078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676A KR100784191B1 (ko) 2006-10-17 2006-10-17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676A KR100784191B1 (ko) 2006-10-17 2006-10-17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191B1 true KR100784191B1 (ko) 2007-12-11

Family

ID=3914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676A KR100784191B1 (ko) 2006-10-17 2006-10-17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1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59B1 (ko) * 2010-02-25 2010-11-18 (주)스틸콘이엔씨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KR101006975B1 (ko) 2008-11-24 2011-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2방향 중공슬래브에 의한 슬림플로어구조
KR101071245B1 (ko) * 2009-02-10 2011-10-10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CN109667376A (zh) * 2019-01-29 2019-04-23 天津城建大学 适用于钢结构h型钢梁的新型叠合楼盖及其施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035A (ja) 1997-01-28 1998-08-04 Ube Ind Ltd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床構造
KR19990042947A (ko) * 1997-11-28 1999-06-15 김시학 고층아파트용 슬래브의 지지구조
KR19990042948A (ko) * 1997-11-28 1999-06-15 김시학 고층아파트용 슬래브의 지지구조
JP2003003603A (ja) 2001-06-20 2003-01-08 Kurosawa Construction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
KR20030048849A (ko) * 2001-12-13 2003-06-25 (주)대우건설 웨브 개구부를 가지는 비대칭 단면 철골 합성보
KR20040057165A (ko) * 2002-12-24 2004-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구조물에서 h형강보의 상부 플랜지에 데크를결합시킨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KR20060011235A (ko) * 2004-07-29 2006-02-03 조상규 장스팬용 보강데크식 바닥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035A (ja) 1997-01-28 1998-08-04 Ube Ind Ltd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床構造
KR19990042947A (ko) * 1997-11-28 1999-06-15 김시학 고층아파트용 슬래브의 지지구조
KR19990042948A (ko) * 1997-11-28 1999-06-15 김시학 고층아파트용 슬래브의 지지구조
JP2003003603A (ja) 2001-06-20 2003-01-08 Kurosawa Construction Co Ltd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
KR20030048849A (ko) * 2001-12-13 2003-06-25 (주)대우건설 웨브 개구부를 가지는 비대칭 단면 철골 합성보
KR20040057165A (ko) * 2002-12-24 2004-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구조물에서 h형강보의 상부 플랜지에 데크를결합시킨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KR20060011235A (ko) * 2004-07-29 2006-02-03 조상규 장스팬용 보강데크식 바닥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75B1 (ko) 2008-11-24 2011-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속 2방향 중공슬래브에 의한 슬림플로어구조
KR101071245B1 (ko) * 2009-02-10 2011-10-10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영구 스틸-pc복합보를 시공하중 지지체로 활용한 층고저감형 무지주 역타공법과 그 스틸-pc복합보
KR100995459B1 (ko) * 2010-02-25 2010-11-18 (주)스틸콘이엔씨 전단 연결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철골보
CN109667376A (zh) * 2019-01-29 2019-04-23 天津城建大学 适用于钢结构h型钢梁的新型叠合楼盖及其施工方法
CN109667376B (zh) * 2019-01-29 2024-04-26 天津城建大学 适用于钢结构h型钢梁的新型叠合楼盖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9805B2 (en) Grid-type drop-pane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0815230B1 (ko)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강재빔을 포함하는프리캐스트 합성보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0802515B1 (ko) 한 쌍의 강재빔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합성보를 이용한합성바닥판구조
KR100784191B1 (ko) 복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강재빔을 이용한 합성 바닥판 구조및 그 시공방법
KR101191502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1727518B1 (ko) 역타공법용 층고 절감형 바닥 구조 및 층고 절감형 바닥 구조를 이용한 역타 공법
CN102852255A (zh) 一种同层排水卫生间组合楼板及施工方法
KR102204901B1 (ko) 강판 보강 전단벽
KR100379783B1 (ko) 춤이 깊은 건축용 합성 데크플레이트
KR101011263B1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2304567B1 (ko)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파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JP4854749B2 (ja) バスユニット設置用の床構造及び建物
CN113668771A (zh) 一种腹板开孔箱型组合钢梁
JP4898317B2 (ja) 耐震壁設置構造
KR102082334B1 (ko) 와이드빔을 이용한 무량판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26396B1 (ko) 조립식 탱크의 하부 지지 구조 및 조립식 탱크용 하부 패널
KR20060038665A (ko)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JP481324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製梁部材
KR100650444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CN217500787U (zh) 带有腹板开孔箱型组合钢梁的房屋结构
KR19990042947A (ko) 고층아파트용 슬래브의 지지구조
US20100293878A1 (en) Floor assembly as well as a section suitable for such a floor assembly
KR102217545B1 (ko) 전단 보강재
KR101683675B1 (ko) 중공볼 합성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합성 플레이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