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104B1 - 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104B1
KR100966104B1 KR20080043252A KR20080043252A KR100966104B1 KR 100966104 B1 KR100966104 B1 KR 100966104B1 KR 20080043252 A KR20080043252 A KR 20080043252A KR 20080043252 A KR20080043252 A KR 20080043252A KR 100966104 B1 KR100966104 B1 KR 10096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ludge
magnetron
microwave dryer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278A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이성민
용진환경주식회사
주식회사 삼광 에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용진환경주식회사, 주식회사 삼광 에프.이.에스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2008004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10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02F11/13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using electromagnetic or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micro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스크류식 슬러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정수처리장, 하수 처리장, 폐수 처리장, 분뇨 처리장,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한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 온도조절이 가능한 방열판,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슬러지건조효율을 높이고, 건조슬러지생산량이 향상되며, 전자파누출을 다중으로 차단하고, 케이싱에 경사를 주어 수증기 방출을 용이하게 하고 열효율과 열전도율을 높이며, 슬러지를 국수형으로 투입구에 투입하여 슬러지의 표면적을 극대화시켜 건조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각 트랜스포머와 마그네트론을 분리함과 동시에 공냉팬식 마그네트론을 사용하여 과열을 방지함은 물론, 마그네트론 고장시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마그네트론을 교체할 수 있도록 케이싱 외부에 부착설치하며, 마그네트론의 개별구동이 가능하고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량 조절과 온도 조절 능력을 갖는 방열판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양과 성상의 슬러지에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며, 특히 설치가 매우 용이한 컴팩트한 일체형 이동식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러지 투입구(1)와 배출구(2)를 구비한 케이싱(10)과 케이싱 상부에 부착하여 케이싱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탈착 분리형의 다수의 마그네트론(30)과, 마그네트론과 케이싱부착부분에 마이크로웨이브는 투사가 가능하고 수증기는 차단하는 차단막(40)과, 케이싱내부에 장착되는 스크류(20)와, 케이싱에는 건조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0)와, 케이싱의 슬러지투입구에 투입물성형기(70)와, 슬러지 투입압착기(100)와, 케이싱 내부응축장치(91) 또는 외부 응축장치(90)를 구비하여 스크류에 의하여 슬러지배출구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마그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고 케이싱하부에는 온도조절기능이 있는 방열판(60)을 부착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컴팩트한 일체형 이동식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케이싱, 마그네트론, 도파관, 마이크로 웨이브, 스크류, 방열판, 투입물 성형기, 차단막, 통풍팬, 응축장치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 건조장치{The microwave screw dryer with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상 하수 처리장, 각종 폐수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한 슬러지, 즉 농축된 슬러지를 건조시켜서 그 함수율을 현저히 낮추는 분야에 대한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의 발생량에 따라 임의로 건조기 스크류 RPM과 마그네트론 구동 개수 그리고 방열판의 온도를 조절하여 그 처리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동과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발생된 슬러지의 성상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율을 제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슬러지 건조기에 관한 분야에 대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발생한 슬러지 건조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슬러지형상의 물질 또는 슬러리형상의 물질의 건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형제작이 용이하고 이동식이며 설치가 쉬워서 다양한 종류의 제빵, 제과분야, 녹말, 글루텐 다당류의 건조분야, 음식물쓰레기의 건조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삭제
일반적으로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식은 재래적인 방법으로 바닥에 슬러지를 펼쳐 깔아서 태양열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는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등의 날씨의 영향 및 악취의 발생문제 뿐만 아니라 완전히 건조된 슬러지가 비산하여 먼지가 되는 환경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식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었으며, 산업상 보편적인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의 형상과 물성 그리고 용도에 따라 단순한 가열건조방법, 열풍건조방법, 동력건조, 킬른건조, 냉매압축건조 등의 다양한 방식을 동원하여 피건조물의 당량과 사용목적에 따라 건조시키게 된다.
이러한 건조방식 중에서 산업상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 되는 슬러지(Sludge)를 탈수장치에 의해 건조시켜 주는 종래의 건조방법으로 단순히 가열시키는 건조방법과 고온가스를 분사시켜 건조시키는 열풍건조 및 킬른 건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단순한 가열에 의한 건조방법과 킬른 건조방식은,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건조능률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건조에 따른 연료가 많이 소모되며 처리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온가스를 분사시켜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장치는 가스의 강한 분사압력에 의 해 슬러지 입자가 비산되어 외부로 방출되면서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이클론과 집진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열풍건조 및 킬른 건조 등은 열풍이 피건조물에 공급될 때 각각의 물성치가 다르기 때문에 피건조물의 표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게 되는데, 이는 피건조물의 물질에 따라 내부에 비해 표피가 지나치게 건조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균일한 건조물을 얻을 수 없었고 피건조물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가열방식은 항상 물질의 표면에 열을 가하는 것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였는데, 많은 엔지니어들에 의해 통상적인 가열방법의 한계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가열방식인 마이크로웨이브, 웨이브오븐, 전자기공명, 자기공진 등을 이용한 가열기술이 꾸준하게 개발되어 오고 있다.
그중에서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방식이 많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고주파(산업용주파수)RPM이라고 불려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2,450 Mhz를 사용), 선행 등록특허 10-567794 (이하 선행기술)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삭제
상기의 선행기술은 종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그 전의 기술 즉 특허출원 제2000-0001881(이하 종래기술)에 비하여 피건조물이 단순하게 컨베이어벨트 등과 같은 이송수단의 상부면에 놓여진 상태로 이송함에 따라 피건조물의 공극이 매우 좁아 마이크로웨이브가 피건조물의 내부 깊숙히 균일하게 조사되지 않아 건조능력이 저하되는 것과 내,외부가 고르게 건조되지 않아 고품질의 건조물을 얻을 수 없다는 점을 개량하였고, 건조과정시 고온의 열에 의해 피건조물이 이송수단의 표면에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자가 일일이 이를 떼어 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가중됨은 물론 이로 인해 피건조물의 형상이 훼손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였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이 고온의 열에 의해 자체적으로 본체가 과열됨에 따라 수명이 저하되는 일이 발생되나 이를 식혀주기 위한 별도의 쿨링수단을 마련하여 제품의 내구연한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었으며, 피건조물의 과열과정에서 발생한 습공기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시킬 경우 습공기에는 미세먼지, 불순물, 악취 등이 함유된 상태이므로 대기를 오염시키는 점이 있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이 있어 종래기술보다 효과적인 발명임에는 틀림이 없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많은 문제점이 있었는데,
첫째, 다수의 마그네트론, 트랜스포머 및 콘덴서가 함께 장착되어 있어서 각각의 마그네트론, 트랜스포머 그리고 콘덴서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과열이 많이 발생하고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많았으며, 특히 마그네트론, 트랜스포머 그리고 콘덴서가 이 건조기 하부에 함께 부착되어 있어서 고장시에 교체수리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둘째,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함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가 피건조물에 조사될 때 상당히 고온, 약 250도씨의 국부적인 과열로 피건조물의 성상이 쉽게 상한다는 점과 피건조물이 비산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벨트를 아무리 좋은 재질로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벨트 자체에 고온이 가해지는 작용으로 인해 쉽게 재질이 상해서 고장이 잦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직접조사하여 더욱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됨이 필연적이었으며 피건조물의 교반이 불가능하여 이런 국부적인 과열은 더욱 상승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컨베이어 벨트를 초전자진동발진기를 사용하여 진동시켜 피건조물이 컨베이어벨트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에 피건조물의 건조시 비산되어 탈수된 증기와 함께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음은 물론 초전자진동발진기에 의하여 컨베이어벨트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판, 진동판에 일정한 탄력을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시키는 쿠션제, 지지판이 필요하며, 초전자 진동발진기가 자력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초전자진동발진기의 상측부위에 통공을 형성해야 하는 등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과 운영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양호한 건조효율을 얻기 위하여 피건조물이 컨베이어 벨트에 넓게 퍼져 유입되어야 함으로써 표면적이 증대되는 반면에 그 처리량이 매우 적어서 건조생산량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전력의 공급비율에 비하여 건조효율이 떨어져 전반적으로 에너지 비효율적이라는 단점도 있었다.
다섯째, 마그네트론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 서로 간섭현상이 일어나고 그로 인하여 마그네트론의 장애 및 과열이 일어나서 마그네트론의 고장이 잦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마그네트론을 냉각시키는 방법 또한 건조공기를 유입하여 마그네트론을 냉각한 후 다시 그 배출공기를 슬러지 건조기 내부로 유입하여 사용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운전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이 선행기술의 장점을 유지한 채 좀 더 효율적이고 이동이 가능한 슬러지건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마그네트론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슬러지에 열을 발생시키고 방열판을 이용하여 원하는 슬러지의 탈수가 가능한 컴팩트형 이동식 슬러지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선행기술이 갖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과 트랜스포머를 분리하여 마그네트론을 슬러지건조기의 상부에 부착하고, 또 부착하는 방식도 케이싱의 상부에 양쪽으로 서로 상호교차하여 배열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마그네트론과 트랜스포머의 간섭현상을 없애고 고장율을 현저히 줄이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또한 선행기술이 찬 공기를 유입시켜 마그네트론과 트랜스포머를 냉각시키는 구성을 취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을 공냉팬이 장착된 공냉식 마그네트론으로 사용하여 효율이 훨씬 높고 고장발생이 거의 없는 구성을 취하였다.
그리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직접조사하는 방식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파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먼저 조사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분산되는 작용을 취하는 간접조사방식을 채택하여 국부적인 가열현상을 방지하고 슬러지 전체에 마이크로 웨이브가 조사됨으로써 슬러지 전체의 가열이 균등하게 되어 슬러지 건조효율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작용을 취하였다.
삭제
슬러지를 이송하는 수단으로는 컨베이어 벨트 대신에 스크류를 채용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가 손상되어 작동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나 고장이 많아지는 단점을 크게 보완하였고, 슬러지가 스크류에 의해 자동 교반이 이루어져 국부적으로 심하게 슬러지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러지가 비산하는 단점도 해소하였다.
또한 슬러지 투입구에 투입물성형기를 구비하여 슬러지를 국수형으로 주입시키고, 국수형으로 주입되는 슬러지는 스큐류에 의하여 다시 교반되어 슬러지에 고르게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체적으로 슬러지 표면적이 확대됨으로써 슬러지에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효율이 상승하여 슬러지의 균일하고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인 건조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투입물 성형기 사용시 자연유하식 뿐만 아니라 에어콤프레서, 펌프컴프레서, 스크류컴프레서 등이 다양하게 채용되어 사용될 있도록 구성하여 슬러지의 양 및 성상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였다.
삭제
삭제
케이싱의 하부는 온도 조절 기능이 있는 방열판(60)을 설치하여 슬러지량의 변화가 많은 경우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대가능치의 건조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였다.
또한 슬러지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량이 급격히 많아 케이싱 내부에 포화수증기압이 발생한 경우 슬러지 건조효율이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증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통풍팬을 설치하고 또한 케이싱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응축장치를 설치하여 수증기를 응축시켜 수증기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구성을 취하였다.
삭제
케이싱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케이싱을 케이싱지지대를 이용하여 슬러지 유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 상향으로 경사를 주어 슬러지로부터 건조된 증기가 매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성을 취하여 건조효율을 더욱 높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슬러지 건조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슬러지 건조기와 콘트롤러를 탑재하고 탑재판에 이동하는 수단과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콤팩트하고 일체적인 이동식 슬러지 건조기라는 면이며, 이런 특징으로 인해 특히 소량이고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슬러지 발생 사업장에 매우 유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슬러지 건조기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스크류 채용, 마그네트론 조사 방식 선택, 투입물성형기, 응축장치의 사용 등으로 마이크로웨이브의 외부방출을 2중, 3중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전자파로 인한 위해를 줄이고 친환경적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슬러지건조효율을 높이고, 건조 슬러지생산량이 향상되며, 전자파누출을 다중으로 차단하고, 케이싱에 경사를 주어 수증기 방출이 용이하며 열효율과 열전도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러지를 국수형으로 케이싱 투입구에 주입하여 슬러지의 표면적을 극대화시켜 건조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각각의 트랜스포머와 마그네트론을 분리 설치하여 트랜스포머와 마그네트론의 고장을 방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마그네트론이 케이싱외부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어 마그네트론의 일부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슬러지건조기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고장난 마그네트론을 사용자가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마그네트론을 케이싱의 상부에 바람직하게는 상호 교차형으로 부착하여 마그네트론이 서로 간섭하여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마그네트론을 트랜스포머와 분리 설치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종래의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경우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런 구조의 복잡성을 해소하여 슬러지 건조기의 제작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스크류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동시에 능률적인 슬러지 혼합의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슬러지에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하여 분진이 발생하는 단점을 해소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케이싱의 하부에는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방열판이 설치되어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만으로는 원하는 슬러지 건조효율을 얻지 못하는 경우, 방열판을 가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슬러지 건조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였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슬러지의 성상이나 양에 매우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식 장치가 설치된 컴팩트한 일체형 이동식 슬러지 건조기로서 운반이 매우 용이하여 다양한 종류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슬러지 성상이나 배출량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이용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케이싱의 상부에 투시창을 설치하여 슬러지가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는 지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슬러지건조기 조작시에 요구되는 슬러지건조율에 맞도록 조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을 취하였다. 한편 케이싱 내부에 냉각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냉각장치로 인한 투시기능을 상실하는 경우 케이싱의 측면에 투시창을 설치할 수도 있어 슬러지건조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동시에 마이크로웨이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2중, 3중으로 차단하여 인체에 위해가 없게 하였으며, 슬러지에서 건조되어 발생하는 증기, 즉 각종 휘발성 물질이 포함된 증기를 응축기로 냉각시켜 배출함으로써 악취방지와 대기오염 방지라는 친환경적인 효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정수 하수 처리장의 슬러지 건조에만 사용되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슬러리 형태의 피건조물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러지투입구(1)와 배출구(2)를 구비한 케이싱(10)과 케이싱의 내부에 슬러지를 전진 이동시키는 스크류(20)와 케이싱의 상부에 지그재그형으로 배치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마그네트론(30)을 장착하고 마그네트론 도파관(31)과 케이싱(10)사이에는 마이크로웨이브는 통과하고 수증기는 통과할 수 없는 차단막(40)을 구비하고, 케이싱의 상부에는 슬러지에서 건조되어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50)와 케이싱의 하부에는 경우에 따라 온도조절 가열 능력이 있는 방열판(60)을 구비하고, 케이싱의 상부 또는 측면에 투시창(80)을 설치하고 슬러지투입구와 슬러지 투입관 사이에 투입물성형기(70)가 구비됨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케이싱의 외부에 통풍팬(110)과 외부응축장치(90), 케이싱의 내부에 외부응축장치(91)를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수증기를 제거하여 건조율을 높이는 구성을 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러지 투입구(1)에서 슬러지를 투입하고 모터(21)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스크류(20)가 구동되게 되면 슬러지는 스크류(20)를 따라 케이싱의 배출구 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케이싱 내부의 슬러지가 스크류에 의해 배출구 쪽으로 전진하게 되면 케이싱외부에 부착된 다수의 마그네트론(30)에 의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슬러지에 조사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웨이브에 조사된 슬러지는 스크류(20)에 의해 배출구 쪽으로 전진하면서 가열되어 건조되게 되며 원하는 상태의 건조된 슬러지가 생성된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는 그 구성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별한 특징을 갖고 있다.
슬러지 건조기에 슬러지를 투입할 때 원상태로도 투입할 수도 있으나 슬러지에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국수형으로 슬러지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물 성형기(구멍이 여러 개 있는 판)(70)를 슬러지 투입구(1)와 슬러지 투입구에 연결되는 부분(1‘)에 설치를 하게 된다. 따라서 슬러지는 국수형으로 케이싱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슬러지의 표면적이 증대되며, 결과적으로 슬러지에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표면적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어 건조 효율이 현저히 상승하게 된다. 또한 마그네크론에 의하여 조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2중 3중으로 차단하여 전자파 누출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춰준다.
삭제
이런 투입물 성형기(70)는 슬러지의 성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러지가 국수형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판에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투입물 성형기(70)의 재질로는 플래스틱, 철, 합성신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투입 전의 원 슬러지의 함수량, 성상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성, 염기성, 물 등에 부식이 없는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투입물 성형기를 통하여 슬러지를 국수 가락처럼 케이싱 내부로 투입시에 자연유하식으로 투입할 수도 있으나 원 슬러지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을 사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원 슬러지의 함수율에 따라 슬러지가 투입물 성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힘이 가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압력을 가하는 수단(100)은 그 슬러지의 성상 및 처리량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공기압력식, 펌프식, 스크류식 등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도면(11)에 나타난 슬러지압착수단은 호퍼(101)와 슬러지투입스크류(102), 슬러지투입용모터(103)로 구성된 슬러지투입압착기이며, 슬러지압착수단의 일 실시례이며 본 발명에서의 슬러지 압착수단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입물 성형기(70)를 통과하여 국수형태가 된 슬러지가 스크류에 의해 배출구로 전진하고, 국수형 슬러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30)을 케이싱에 부착 설치함에 있어서는,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부착이 용이하게 설치하여 마그네트론의 고장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마그네트론(30)은 다수의 마그네트론이 사용되며 케이싱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케이싱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케이싱의 표면에 상호 대치하여 배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20)에 의해 전진하는 슬러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양쪽에서 조사하게 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슬러지를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마그네트론을 배열 부착하는 방식은 상호교차형 즉 지그재그형으로 배열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케이싱에 배열되는 마그네트론이 상호 간섭하여 서로의 마그네트론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피하고, 또한 마그네트론이 상호 작용하여 고장이 발생되는 위험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마그네트론(30)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직접조사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간접으로 조사하는 방식을 채택한 점이라는 것이다. 종래의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피건조물을 건조함에 있어서는 직접조사방식을 채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직접조사방식은 피건조물의 국부적인 과열이 심하게 일어나고 과도히 건조된 피건조물의 비산이 발생하여 피건조물의 균일한 건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슬러지에 직접 조사하지 않고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도파관(31)의 벽에 먼저 조사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도파관(31)의 벽에 여러 번 반사되게 하는 간접조사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여러 가락으로 분산되는 작용 효과가 있어 슬러지의 국부적인 과열을 방지함은 물론 슬러지에 균일하게 효과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슬러지는 스크류(20)에 의하여 골고루 혼합되는 효과가 있고 마이크로웨이브가 간접분산 조사하여 더 많은 슬러지의 표면적에 골고루 조사가 가능함으로써 건조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삭제
마그네트론(30)을 작동시키는 경우 마그네트론을 전부 작동시킬 수도 있으나 마그네트론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런 선택적 작동은 슬러지의 성상, 원하는 건조물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 열만의 마그네트론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선택적 작동은 각 면에 배열되어 있는 마그네트론(30)을 하나 건너서 작동시키고 반대편에 있는 마그네트론은 한 면에 작동하는 마그네트론과 가급적 상호 간섭을 피하고 서로 멀리 있는 마그네트론을 작동시키는 것이 좋다. 결국 선택적 작동여부는 슬러지의 양과 성상, 요구되는 건조슬러지의 요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지그재그형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런 작동이 가능함으로써 마그네트론의 고장시에도 고장난 마그네트론(30)을 교체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인 건조기 사용이 가능하다.
마그네트론(30)은 하기할 콘트롤러(120)의 트랜스포머(140)와 분리되어 있어 안정 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트랜스포머(140)와 마그네트론(30)이 가깝게 장치되어 있거나 함께 장착되어 있는 경우보다 마이크로웨이브의 간섭과 마그네트론과 트렌스포머와의 상호작용을 차단하여 과열방지 및 마이크로웨이브의 상호간섭을 피하여 마그네트론(30)이나 트랜스포머(14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론은 공냉식으로 채용할 수 있다. 공냉식 마그네트론(30‘)은 공냉팬에 의하여 마그네트론의 과열방지와 고장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마그네트론의 내구성을 높임으로써 마이크로 웨이브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슬러지투입구에 투입물 성형기(70)를 통하여 국수가락처럼 투입된 슬러지는 스크류(20)의 회전운동에 혼합 교반되면서 슬러지의 표면적이 더욱 증대되어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될 수 있는 표면적을 더 넓게 제공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슬러지 건조효율이 더 더욱 상승된다.
마그네트론(30)을 케이싱(10)에 부착하는 경우 마이크로웨이브 도파관(31)이 케이싱(10)에 부착되며, 그 부착부분에 마그크로웨이브는 통과할 수 있고 수증기는 통과할 수 없으며, 내열성이 강한 차단막(40)으로 아크릴판, 석면, 테프론 등을 차단막(40)으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적이며 방수성 및 내열성이 강한 테프론의 사용이 적합하다.
또한 케이싱(10)은 케이싱의 상부가 상협하광의 마름모꼴 형태인 것을 케이싱(11)으로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크론(30)을 상기의 마름모꼴 형태의 케이싱(11)에 부착하는 경우 마그네트론의 도파관(31)이 부착되는 부분이 케이싱의 상부의 상협하광의 마름모꼴 형태로 된 마름모꼴 빗면이며 도파관(31)이 있는 마그네트론(30)을 부착하여 설치한다. 이 상부 마름모꼴 형태의 케이싱(11)으로 인하여 슬러지에서 탈수된 수증기가 상승하여 케이싱의 마름모꼴 공간에 효율적으로 모여지게 되며 이 모여진 수증기를 매우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탈수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하기할 수증기를 응축하는 내부 응축장치(91)를 설치하는 데도 매우 유용한 형상을 제공하며 효과적인 응용이 가능하다.
삭제
케이싱(10)의 상부에 구비된 증기배출구(50)에 과도한 탈수효과로 인하여 포화증기압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통풍팬(110)을 설치하여 수증기를 더욱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풍팬(110)의 설치로 인하여 수증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수증기의 포화상태를 해소함으로써 건조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통풍팬(110)은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수증기의 발생량과 배출속도에 따라 어떤 형태나 종류의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송풍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통풍팬(110)에 외부응축장치(90)가 부가 장착되거나 통풍팬에 연결되지 않고 단순히 외부응축장치(90)만 수증기 배출구(50)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외부응축장치(90)로 인하여 수증기를 급속히 냉각 응축시켜 외부응축수배출구(95)로 배출함으로써 포화수증기압을 급격히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외부응축장치(90)는 어떠한 종류의 냉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적인 HFCs를 사용하는 것다.
도 9 에는 외부응축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며 외부응축장치(90)는 외부응축컴프레서(151)에 의해 작동됨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것은 외부응축장치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어떤 다른 적절한 수단의 외부응축장치도 허용된다.
또한 다른 획기적인 방식으로 응축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케이싱의 내부에 내부응축장치(91)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응축된 수증기가 모여져서 자연유하식으로 케이싱(11)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요(凹)형태의 판넬(92)을 내부응축장치(91) 하부에 설치한다. 물론 이 판넬(92)은 수증기가 내부응축장치(91)와 매우 잘 접촉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싱 내부와 판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하며 또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없도록 설치한다. 또한 이 판넬은 케이싱의 내부에 접촉지지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판넬지지대(96)나 판넬을 거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판넬행거(hanger)(93)에 의하여 견고하게 설치된다.
케이싱 내부에 이런 내부응축장치(91)를 설치하여 케이싱 내부에 과포화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판넬(92)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구에 연결된 홀(94‘)을 통하여 직접적이고 신속하게 응축수배출구(94)로 제거됨으로써 슬러지 건조효율을 급격히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증기 증발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도 매우 능동적으로 대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내부응축장치(91)도 어떠한 종류의 냉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적인 HFCs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10 에는 내부응축장치(91)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며 내부응축장치(91)는 내부응축컴프레서(150)에 의해 가동된다. 하지만 이것은 내부응축장치의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어떤 다른 적절한 수단의 내부응축장치도 허용된다.
따라서 상기의 내부나 외부의 응축장치의 사용여부는 요구되는 슬러지의 건조율에 맞춰 선택적으로 채택이 가능하고 그 작동상태도 적절한 응축율에 맞춰 조정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양과 성상의 슬러지에 맞춰서 운영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케이싱(10)의 상부 또는 측면에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투시창(80)을 설치한다. 이 투시창으로 작업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슬러지 유입속도, 스크류 회전속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량을 조절하여 적절한 건조율을 갖도록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케이싱내부에 내부응축 장치(91)가 설치된 경우 케이싱의 측면에 투시창을 설치하여 작업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러지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케이싱(20)의 하부에 다수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방열판(6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케이싱의 하부에 다수의 방열판(60)이 설치되어 슬러지를 가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슬러지 건조효과에 더욱 효과적이다. 이 방열판(60)의 사용으로 마이크로웨이브로 충분히 건조시키지 못하는 부분을 보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슬러지 건조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10)을 수평면에 대하여 슬러지 출구 방향이 일정한 각도로 상향함을 갖도록 설치함에 특징이 있다. 케이싱(10)이 평면에 수평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상향함을 유지함이 좋다. 그 이유는 슬러지에서 탈수된 증기가 케이싱(10)의 하부, 즉 슬러지배출구(2) 방향으로 모이게 하는 효과를 갖추어 수증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어 탈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케이싱내부에 내부응축장치(91)가 설치된 경우 수증기가 슬러지투입구(1)부분에서 슬러지배출구(2)부분으로 배출될 때 아래에서 위로 상향하면서 내부응축장치(91)에 전면적으로 접촉되어 응축률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향을 유지하는 장치로는 어떠한 상향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이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슬러지건조기 가동시에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본 도면 12 에는 그 하나의 실시 예로써 케이싱본체지지대(130)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수단이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러지 건조기는 콘트롤러(120)와 함께 콤팩트한 이동식 장치에 설치되어 있어 슬러지 건조기가 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규모의 사업장에 효율적으로 용도전용이 가능하다. 또한 슬러지 건조기의 대수를 조절하여 슬러지 생산량에 능동적으로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 다른 사업장에 재배치 가능하다는 신속성도 제공한다.
이동식 수단은 주로 콘트롤러(120)와 슬러지건조기를 탑재한 탑재판(131)의 하부에 이동을 할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바퀴(132)를 장착하여 사용하며 바퀴를 고정시키는 수단(133)을 갖춘 것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하여 이동된 슬러지건조기가 작동시에 바닥에 고착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슬러지 건조기를 작동하는 콘트롤러(120)가 슬러지 건조기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콤팩트하게 부대 배치되어 고정되고 있어서 별도로 콘트롤러(120)를 이동시키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였으며, 슬러지 건조기의 운반과 이동이 신속하여 소규모 사업장에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슬러지건조기 콘트롤러(120)가 슬러지건조기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함께 장착되어 있음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으며 바람직하게는 콘트롤러(120)와 슬러지건조기가 30-200㎝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콘트롤러(120)가 슬러지건조기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 고정됨에 따라 마그네트론(30)에 전원을 공급하는 트랜스포머(140)가 마그네트론(30)에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고, 마그네트론(30)과 트랜스포머(140)의 상호간섭을 피하게 되어 고장률이 현저히 저하된다. 이런 기능으로 인하여 슬러지 건조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트렌스포머(140)의 잦은 고장을 방지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슬러지 건조물을 만들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트랜스포머(140)는 복권 트랜스포머(누설형 변압기)를 채용하여 사용함으로서 트랜스포머의 과열에 인한 고장에 매우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 언급한 과정을 통하여 원슬러지의 함수율은 현저하게 줄어들어 건조되고 슬러지배출구(2)에는 함수율이 상당히 저하된 슬러지가 배출되며, 이 슬러지가 주로 유기성 슬러지인 경우 호도탄(호도모양의 형식으로 성형된 유기성연료)으로 성형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킨 결과, 1대당 30kwh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30kg/hr의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었으며, 함수율이 80%인 것을 최대 함수율 20%로 급격히 떨어뜨려 단위 에너지 소비량에 비하여 슬러지 건조율이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이 슬러지 건조기로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정수 또는 폐수처리장에서 나오는 슬러지의 건조에 사용하는 것에 국한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슬러리 형태의 피건조물,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재활용, 녹말류, 글루텐 다당류 등의 건조분야,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된 슬러지의 처리에 효과적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주로 산업상 페기물로 분류되어 나오는 슬러지의 건조를 위해 사용된다. 산업상 슬러지는 정수 하수장에서 나오는 유기성 무기성 슬러지, 산업체에서 나오는 유기성 무기성 슬러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 슬러지 건조에 사용되며 주로 생활폐수용 유기성 슬리지의 건조에 매우 효과적이며, 또한 산업체에서 나오는 슬러지의 양과 성상에 따라 본 슬러지 건조기의 크기와 대수가 결정된다. 또한 단일의 슬러지 건조기의 사용시에도 마그네트론의 마이크로웨이브 조절, 방열판의 조절, 스크류의 회전속도, 투입물 성형기의 적절한 선택으로 다양한 형태의 슬러지에 맞는 맞춤형 작동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소량으로 발생하는 생활폐수의 유기성 슬러지를 건조시킬 때 매우 유용하며, 또한 이동성이 있는 장점이 있어 간헐적으로 슬러지가 발생하는 사업장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정수 폐수처리장에서 나오는 슬러지의 건조에 사용하는 것에 국한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슬러리 형태의 피건조물,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재활용, 녹말류, 글루텐 다당류 등의 건조분야,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된 슬러지의 처리에 효과적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건조기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건조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그네트론과 내부응축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마그네트론의 한쪽 면이 탈착된 A-A단면도에서 내부응축장치와 판넬및 판넬행거(hanger)의 일례.
도 5는 마그네트론의 양쪽 면이 탈착된 A-A단면도에서 내부응축장치와 판넬 및 판넬지지의 일례.
도 6은 공냉식 마그네트론과 차단막.
도 7은 투입물 성형기의 일례,
도 8은 수증기 통풍팬의 일례.
도 9는 외부응축장치의 일례.
도 10은 내부응축장치의 일례.
도 11은 슬러지투입압착기의 일례.
도 12는 콘트롤러가 탑재된 이동식 슬러지 건조기의 정면도.
도 13은 콘트롤러가 탑재된 이동식 슬러지 건조기의 측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러지 투입구 1' : 슬러지투입구와 연결되는 부분
2 : 슬러지 배출구
10 : 케이싱 11 : 상부가 마름모꼴 형상인 케이싱
20 : 스크류 21 : 스크류 모터
30 : 마그네트론 30' : 공냉식 마그네트론
31 : 도파관 40 : 차단막
삭제
50 : 수증기 배출구 60 : 방열판
삭제
70 : 투입물 성형기 80 : 투시창
삭제
90 : 외부응축장치 91 : 내부응축장치
92 : 판넬 93 : 판넬행거
95 : 외부응축수배출구 96 : 판넬지지대
150 : 내부응축 콤프레서 151 : 외부응축 콤프레서
100 : 슬러지 압착기 102 : 슬러지투입스크류
101 : 슬러지투입호퍼 103 : 슬러지투입스크류모터
120 : 콘크롤러 130 : 케이싱본체지지대
131 : 탑재판 132 : 바퀴
133 : 바퀴고정수단 140 : 복권트랜스포머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슬러지 투입구(1)와 배출구(2)를 구비한 케이싱(11)과, 도파관(31)이 있고 케이싱에 부착하여 케이싱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탈착 분리형의 다수의 마그네트론(30)과, 마이크로 웨이브 도파관과 케이싱부착부분에 마이크로웨이브는 투사가 가능하고 증기의 유입을 막는 차단막(40)과, 케이싱 내부에 장착되는 스큐류(20)와, 케이싱 상부에는 건조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0)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슬러지투입구(1)에 슬러지를 투입하여 스크류(20)에 의하여 슬러지배출구(2)로 이송하는 슬러지를 마그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건조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상부 또는 측면에 투시창(80)과 케이싱 하부에 온도조절 가능한 방열판(6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상부 또는 측면에 투시창(80)과, 케이싱 하부에 온도조절 가능한 방열판(60)과, 슬러지투입구에 투입물성형기(70)와, 슬러지 투입 압착기(1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상부 또는 측면에 투시창(80)과, 케이싱 하부에 온도조절 가능한 방열판(60)과, 슬러지투입구에 투입물성형기(70)와, 슬러지 투입 압착기(100)와, 케이싱 상부에는 건조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0)에 연결된 통풍팬(110)과, 통풍팬에 연결되는 외부응축장치(9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내부응축장치(91)와, 응축수 판넬(9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내부응축장치(91)와, 응축수 판넬(92)과, 케이싱 상부 또는 측면에 투시창(80)과, 케이싱하부에 온도조절 가능한 방열판(6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내부응축장치(91)와, 응축수 판넬(92)과, 케이싱 상부 또는 측면에 투시창(80)과, 케이싱 하부에 온도조절 가능한 방열판(60)과, 슬러지투입구에 투입물성형기(70)와, 슬러지 투입 압착기(1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본체지지대(130)와, 콘트롤러(120)와, 이 콘트롤러와 마이크로웨이브건조기를 장착한 탑재판(131)을 구비하고, 그 탑재판(131)에 이동 수단을 장착하여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상부 또는 측면에 투시창(80)과, 케이싱 하부에 온도조절 가능한 방열판(60)과, 슬러지투입구에 투입물성형기(70)와, 슬러지 투입 압착기(100)와, 케이싱 상부에는 건조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0)에 연결된 통풍팬(110)과, 그 통풍팬에 연결하는 외부응축장치(90)와, 케이싱본체지지대(130)와, 콘트롤러(120)와, 이 콘트롤러 및 마이크로웨이브건조기를 장착한 탑재판(131)을 구비하고, 그 탑재판(131)에 이동 수단을 장착하여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내부응축장치(91)와, 응축수 판넬(92)과, 케이싱본체지지대(130)와, 콘트롤러(120)와, 이 콘트롤러 및 마이크로웨이브건조기를 장착한 탑재판(131)을 구비하고, 그 탑재판(131)에 이동 수단을 장착하여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내부응축장치(91)와, 응축수 판넬(92)과, 케이싱 상부 또는 측면에 투시창(80)과, 케이싱하부에 온도조절 가능한 방열판(60)을 구비하고, 케이싱본체지지대(130)와, 콘트롤러와, 이 콘트롤러 및 마이크로웨이브건조기를 장착한 탑재판(131)을 구비하고, 그 탑재판(131)에 이동 수단(131)을 장착하여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내부응축장치(91)와, 응축수 판넬(92)과, 케이싱 상부 또는 측면에 투시창(80)과, 케이싱하부에 온도조절 가능한 방열판(60)과, 슬러지투입구에 투입물성형기(70)와, 슬러지 투입 압착기(100)와, 케이싱본체지지대(130)와, 콘트롤러(120)와, 이 콘트롤러 및 마이크로웨이브건조기를 장착한 탑재판(131)을 구비하고, 그 탑재판(131)에 이동 수단을 장착하여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
KR20080043252A 2008-05-09 2008-05-09 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 건조장치 KR100966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3252A KR100966104B1 (ko) 2008-05-09 2008-05-09 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3252A KR100966104B1 (ko) 2008-05-09 2008-05-09 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278A KR20090117278A (ko) 2009-11-12
KR100966104B1 true KR100966104B1 (ko) 2010-06-28

Family

ID=4160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3252A KR100966104B1 (ko) 2008-05-09 2008-05-09 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1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9418A1 (es) * 2015-09-25 2017-03-30 Hornos Industriales Oven Spa. Un sistema y método en las modalidades de cilindro rotatorio, cilindro con tornillo sin fin y batea o poliedro para deshidratar, secar y/o desinfectar desechos de las industrias: pesquera, de alimentos (en base a productos animales o vegetales), riles, relaves, lodos y todo tipo de desechos domésticos y/o todo tipo de material, basura o desecho
KR101823961B1 (ko) * 2017-11-02 2018-03-14 도요엔지니어링코리아 주식회사 순환증기 재가열 슬러지 건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7466B (zh) * 2012-08-26 2014-12-10 九峰控股香港有限公司 固体化石燃料反应装置
CN108164113B (zh) * 2018-01-15 2020-10-13 东南大学 翅翼式污泥管式热解反应器
WO2020004982A1 (ko) * 2018-06-28 2020-01-02 주식회사 파셉 모듈형 마이크로파 목재 건조 장치
KR102213852B1 (ko) 2019-01-30 2021-02-08 (주)이데아이엔에스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열탈착 처리 장치
US11981585B2 (en) * 2021-01-12 2024-05-14 King Abdulaziz University Sustainable auto pulsed electromagnetic irradiation system for zero discharge water treat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8295A1 (de) * 1991-02-06 1992-08-12 Krauss-Maffei Aktiengesellschaft Mischertrockner
JPH06300438A (ja) * 1993-04-13 1994-10-28 Nippon Steel Corp 不定形耐火物の乾燥方法
KR20070121320A (ko) * 2006-06-22 2007-12-27 김창성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8295A1 (de) * 1991-02-06 1992-08-12 Krauss-Maffei Aktiengesellschaft Mischertrockner
JPH06300438A (ja) * 1993-04-13 1994-10-28 Nippon Steel Corp 不定形耐火物の乾燥方法
KR20070121320A (ko) * 2006-06-22 2007-12-27 김창성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9418A1 (es) * 2015-09-25 2017-03-30 Hornos Industriales Oven Spa. Un sistema y método en las modalidades de cilindro rotatorio, cilindro con tornillo sin fin y batea o poliedro para deshidratar, secar y/o desinfectar desechos de las industrias: pesquera, de alimentos (en base a productos animales o vegetales), riles, relaves, lodos y todo tipo de desechos domésticos y/o todo tipo de material, basura o desecho
KR101823961B1 (ko) * 2017-11-02 2018-03-14 도요엔지니어링코리아 주식회사 순환증기 재가열 슬러지 건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278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104B1 (ko) 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 건조장치
KR101271018B1 (ko)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KR100792689B1 (ko)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US6233841B1 (en) Dehydration plant
KR101326856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0437458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130126167A (ko) 슬러지의 슬라이스칩 가공장치,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070437B1 (ko) 중앙 집중형 슬러지 건조장치
JPH11285700A (ja) スラッジの機械的及び熱的な脱水方法及び装置
KR20150098455A (ko) 공기순환식 다기능 건조장치
KR20180055947A (ko) 건조효율 향상기능을 갖는 가축 분 건조장치
KR101797431B1 (ko) 고수분 함유 바이오메스를 위한 연속식 다단 건조 및 열분해 장치
KR200456264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020005917A (ko)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101369950B1 (ko) 축산 폐기물 처리 장치
KR200396777Y1 (ko) 폐기물 건조장치
KR20090098119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JP3993538B2 (ja) 廃棄物の乾燥処理方法
KR20210148610A (ko) 고속건조장치
CN207849993U (zh) 立式电烘干机
KR101038412B1 (ko)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KR101012269B1 (ko)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KR102623303B1 (ko) 저온 촉매방식 탄화기
TWI602787B (zh) Sludge drying equipment
KR10024990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