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412B1 -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412B1
KR101038412B1 KR1020100057622A KR20100057622A KR101038412B1 KR 101038412 B1 KR101038412 B1 KR 101038412B1 KR 1020100057622 A KR1020100057622 A KR 1020100057622A KR 20100057622 A KR20100057622 A KR 20100057622A KR 101038412 B1 KR101038412 B1 KR 101038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heat exchanger
microwave
blow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찬
이성민
이윤식
Original Assignee
이성민
용진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민, 용진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성민
Priority to KR102010005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02F11/13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using electromagnetic or ultrason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 C02F2103/2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from the paper or cellulose indus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처리장,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및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한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케이스의 투입구로 공급되는 슬러지를 무축(축이 없음) 스크류의 회전력으로써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킴에 따라 능률적인 슬러지가 뭉치지 않고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종래 스크류축에 의해 반사하는 등 상쇄가 발생되지 않아 열전도율이 높아 건조가 온도가 높게 되었다. 또한, 무축 스크류의 날 각도와 동일하게 케이스 상에 마그네트론을 장착하게 됨에 따라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이송하는 슬러지에 직접으로 조사되어 건조율을 높이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제1,2차 건조장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열교환기로 포집하여 이를 무축 스크류로 공급하여 슬러지에 직접 공급함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The microwave screw dryer with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상·하수 처리장, 각종 폐수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한 슬러지, 즉 농축된 슬러지를 건조시켜 함수율을 현저히 낮추기 위한 슬러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슬러지가 무축 스크류를 따라 이송하게 되고, 슬러지로 직접적으로 마그네트론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도록 마그네트론을 장착하여 슬러지가 뭉치지 않고 일정량이 이송되면서 건조율을 높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식은 재래적인 방법으로 바닥에 슬러지를 펼쳐 깔아 태양열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는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등의 날씨의 영향 및 악취의 발생 문제뿐만 아니라 완전히 건조된 슬러지가 비산하여 먼지가 되는 환경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식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었으며, 산업상 보편적인 건조장치는 피 건조물의 형상과 물성 그리고 용도에 따라 단순한 가열건조방법, 열풍건조방법, 동력건조, 킬른건조, 냉매압축건조 등의 다양한 방식을 동원하여 피 건조물의 당량과 사용목적에 따라 건조시키게 된다.
이러한 건조방식 중에서 산업상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 되는 슬러지(Sludge)를 탈수장치에 의해 건조시켜 주는 종래의 건조방법으로 단순히 가열시키는 건조방법과 고온가스를 분사시켜 건조시키는 열풍건조 및 킬른 건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단순한 가열에 의한 건조방법과 킬른 건조방식은,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건조능률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건조에 따른 연료가 많이 소모되며 처리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온가스를 분사시켜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장치는 가스의 강한 분사압력에 의해 슬러지 입자가 비산되어 외부로 방출되면서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이클론과 집진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열풍건조 및 킬른 건조 등은 열풍이 피 건조물에 공급될 때 각각의 물성치가 다르기 때문에 피 건조물의 표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게 되는데, 이는 피 건조물의 물질에 따라 내부에 비해 표피가 지나치게 건조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균일한 건조물을 얻을 수 없었고 피 건조물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가열방식은 항상 물질의 표면에 열을 가하는 것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였는데, 많은 엔지니어에 의해 통상적인 가열방법의 한계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가열방식인 마이크로웨이브, 웨이브오븐, 전자기공명, 자기공진 등을 이용한 가열기술이 꾸준하게 개발되어 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피 건조물을 건조하는 방식이 많이 상용화되고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고주파(산업용주파수)rpm이라고 불려지는 것으로(통상 2,450Mhz를 사용), 선행 등록특허 10-567794 (이하 선행기술)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그 전의 기술 즉, 특허출원 제2000-0001881(이하 종래기술)에 비하여 피 건조물이 단순하게 컨베이어벨트 등과 같은 이송수단의 상부면에 놓여진 상태로 이송함에 따라 피 건조물의 공극이 매우 좁아 마이크로웨이브가 피 건조물의 내부 깊숙이 균일하게 조사되지 않아 건조능력이 저하되는 것과 내,외부가 고르게 건조되지 않아 고품질의 건조물을 얻을 수 없다는 점을 개량하였고, 건조과정시 고온의 열에 의해 피 건조물이 이송수단의 표면에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자가 일일이 이를 떼어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가중됨은 물론 이로 인해 피 건조물의 형상이 훼손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였고,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이 고온의 열에 의해 자체적으로 본체가 과열됨에 따라 수명이 저하되는 일이 발생하나 이를 식혀주기 위한 별도의 쿨링수단을 마련하여 제품의 내구연한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었으며, 피 건조물의 과열과정에서 발생한 습공기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시킬 경우 습공기에는 미세먼지, 불순물, 악취 등이 함유된 상태이므로 대기를 오염시키는 점이 있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이 있어 종래기술보다 효과적인 발명임에는 틀림이 없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많은 장점이 있으나, 또 다른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다수의 마그네트론, 트랜스포머 및 콘덴서가 함께 장착되어 있어서 각각의 마그네트론, 트랜스포머 그리고 콘덴서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과열이 많이 발생하고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많았으며, 특히 마그네트론, 트랜스포머 그리고 콘덴서가 이 건조기 하부에 함께 부착되어 있어서 고장시에 교체수리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둘째,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함에 따라 마그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웨이브가 피 건조물에 조사될 때 상당히 고온, 약 250도의 국부적인 과열로 피 건조물의 성상이 쉽게 상한다는 점과 피 건조물이 비산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벨트를 아무리 좋은 재질로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벨트 자체에 고온이 가해지는 작용으로 인해 쉽게 재질이 상해서 고장이 잦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직접조사하여 더욱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됨이 필연적이었으며 피 건조물의 교반이 불가능하여 이런 국부적인 과열은 더욱 상승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컨베이어 벨트를 초전자진동발진기를 사용하여 진동시켜 피 건조물이 컨베이어벨트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에 피 건조물의 건조시 비산되어 탈수된 증기와 함께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초전자진동발진기에 의하여 컨베이어벨트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판, 진동판에 일정한 탄력을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시키는 쿠션제, 지지판이 필요하며, 초전자 진동발진기가 자력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초전자진동발진기의 상측부위에 통공을 형성해야 하는 등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과 운영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양호한 건조효율을 얻기 위하여 피 건조물이 컨베이어 벨트에 넓게 퍼져 유입되어야 함으로써 표면적이 증대되는 반면에 그 처리량이 매우 적어서 건조생산량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전력의 공급비율에 비하여 건조효율이 떨어져 전반적으로 에너지 비효율적이라는 단점도 있었다.
다섯째, 마그네트론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 서로 간섭현상이 일어나고 그로 인하여 마그네트론의 장애 및 과열이 일어나서 마그네트론의 고장이 잦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마그네트론을 냉각시키는 방법 또한 건조공기를 유입하여 마그네트론을 냉각한 후 다시 그 배출공기를 슬러지 건조기 내부로 유입하여 사용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운전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이 제출한 출원번호 2008-0043252호(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건조장치)를 제공하였으나, 이는 슬러지가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가 축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버가 축에 의해 반사됨에 따라 효율이 상쇄되고, 또한 마이크로웨이버가 슬러지에 직접적으로 조사되지 않고 케이스 내부로 전체적으로 조사되어 효율이 떨어져 건조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스크류축 타입으로 구성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면서 이송하게 되어 초기 건조가 이루어진 후 건조된 슬러지에서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슬러지로 직접으로 조사되도록 하여 건조율 높이게 되었으며, 또한 제1, 2차 건조장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열교환기로 포집하여 이를 무축 스크류로 공급하여 슬러지에 직접 공급함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도록 구성한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상·하수처리장, 각종 폐수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및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저장하여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 상기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받은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를 공급받아 마그네트론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로써 1차로 건조시키기 위한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 상기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1차로 건조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2차로 건조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차슬러지 건조장치; 및 상기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 상기 제1, 2차슬러지 건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케이스의 투입구로 공급되는 슬러지를 무축(축이 없음) 스크류의 회전력으로써 슬러지를 배출구로 이송시킴에 따라 슬러지가 뭉치지 않고 이송이 용이게 되었으며, 종래 스크류축에 의해 반사하는 등 상쇄가 발생되지 않아 열전도율이 높아 건조가 온도가 높게 되었다.
또한, 무축 스크류의 날 각도와 동일하게 케이스 상에 마그네트론을 장착하게 됨에 따라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이송하는 슬러지에 직접으로 조사되어 건조율을 높이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제1, 2차 건조장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열교환기로 포집하여 이를 무축 스크류로 공급하여 슬러지에 직접 공급함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평면 구성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슬러지 보관 및 공급장치를 도시한 동작상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한 요부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제2차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제2차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한 벨트장력 조절수단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제2차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한 슬러지보관부재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a,12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제2차슬러지 건조장치를 도시한 배기장치의 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의 수증기포집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5는 도 13의 동작상태 구성도.
이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는 상·하수처리장, 각종 폐수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및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한 슬러지, 즉 농축된 슬러지를 저장하여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10)와; 상기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받은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를 공급받아 마그네트론(2)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로써 1차로 건조시키기 위한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와;상기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1차로 건조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2차로 건조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차슬러지 건조장치(30)와; 상기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10), 제1, 2차슬러지 건조장치(20)(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200)로 이루어져 함수율이 80% 정도로 높은 슬러지를 50% 정도로 현저히 낮추게 된다.
상기 슬러지 보관 및 공급장치(10)는 작업장 바닥의 프레임(11) 상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2)와; 구동모터(12)의 모터풀리(12a)에 벨트(13)로써 연결된 하부풀리(14)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커플링(15)과; 커플링(15)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이송스크류(16)가 내장된 원통형의 수평케이싱(17)과; 수평케이싱(17) 외주연 영역에 연통되게 수직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슬러지가 저장되는 저장 호퍼(18)와; 수평케이싱(17) 타단과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제1슬러지 공급장치(20)로 슬러지를 공급하기 위한 슬러지공급관(19)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저장호퍼(18)에 저장된 슬러지가 수평케이싱(17) 내부로 공급되어 구동모터(19)의 구동력으로써 회전하는 이송스크류(16)를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게 됨에 따라 슬러지공급관(19)을 통하여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는 작업대(4) 상부 영역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슬러지공급관(19)이 연결되어 슬러지가 공급되는 공급구(22)가 구비되며, 상부 전영역에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다수의 마그네트론(2)이 장착된 상부케이스(24)와; 상기 상부케이스(2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슬러지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상부 슬러지이송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슬러지이송수단(30)은 상부케이스(24) 양단에 회전부재(40)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공급되는 슬러지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연장 형성된 무축 스크류(32)와; 회전부재(4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상부스프로켓(34)과; 상부스프로켓(34)과 대응되게 축설되어 체인(35)으로써 연결된 모터스프로켓(36)이 축설되고, 작업대(4) 상부 영역에 장착된 구동모터(37)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40)는 상부케이스(24) 양단에 동일 높이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축설된 제1, 2외측베어링(41)(42)과; 제1외측베어링(41) 일측이 회전 가능하고 돌출되게 축설되고, 외측으로 상부스프로켓(34)이 축설되며, 내측에 회전베어링(43a)이 축설된 회전연결축(43)과; 제2외측베어링(42)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내측에 회전베어링(45a)이 축설된 중공으로 이루어진 연결소켓(45)과; 회전연결축(43)과 연결소켓(45)의 회전베어링(43a)(45a)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중공의 수평고정파이프(47)와; 수평고정파이프(47)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다수의 지지베어링(48)과; 지지베어링(48), 무축 스크류(32) 및 상부케이스(24) 사이에 고정되어 무축 스크류(32)를 회전을 지지하게 되는 다수의 지지대(49)로 이루어진다.
이때, 무축 스크류(32)는 양단이 회전연결축(43)과 연결소켓(45)에 고정수단(44)으로써 고정되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부케이스(24)는 상부 영역에 내부의 무축 스크류(32) 날 사이에 위치되는 동시에 날 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지게 경사투입공(25)을 각각 형성하고, 이 경사투입공(25)에 마그네트론(2)을 장착하게 된다. 즉, 무축 스크류(32)의 날 사이로 마그네트론(2)의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도록 경사투입공(25)을 형성하여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게 된다.
이때, 무축 스크류(32)의 날 사이가 넓게 구성되어, 경사투입공(25)을 통하여 조사되는 마그네트론(2)의 마이크로웨이브가 공회전하는 무축 스크류(32)의 날 사이로 조사됨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게 된다.
상기 제2차슬러지 건조장치(50)는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의 상부케이스(24) 타측에 수직배출관(51)으로써 연통되게 수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는 건조된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배출관(52)이 연결되며, 작업대(4)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상부 일부 영역에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다수의 마그네트론(2)이 장착된 하부케이스(54)와;
상기 하부케이스(54)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슬러지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되는 하부 슬러지이송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슬러지이송수단(60)은 하부케이스(54) 타측의 작업대(4)에 고정되고, 선단에 제1스프로켓(62)이 축설된 구동모터(63)와; 제1스프로켓(62)과 대응되게 체인(64)으로써 연결된 제2스프로켓(65)이 축설되고, 하부케이스(54)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하부회전축(66)과; 하부회전축(66)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하부케이스(54) 일측에 벨트장력조절장치(70)로써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축설된 이동회전축(67)과; 하부회전축(66)과 이동회전축(67) 사이에 감겨져 1차로 건조된 슬러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슬러지이송켄베어벨트(68)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장력조절장치(70)는 하부케이스(54) 일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동회전축(67) 양단이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축설된 수평장공(72)과; 일면의 수평장공(72) 외측에 수평으로 체결 고정되고, 수평장공(72)과 대응되게 장공(73)이 형성되며, 전면 상하부에 가이드홈(74)이 형성된 외부고정판(75)과; 가이드홈(74)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동회전축(67)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이동가이드판(76)과; 외부고정판(75)과 이동가이드판(76)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동가이드판(76)의 이동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볼트(77)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가이드판(76)과 외부고정판(75)에는 조절장볼트(77)가 체결되는 이동너트(78)가 각각 고정되어, 조절장볼트(77)의 체결시 이동너트(78)를 따라 회전하면 이동가이드판(76)이 이동하여 슬러지이송켄베어벨트(68)의 장력이 조절된다.
그리고, 슬러지이송컨베어벨트(68)는 열에 강한 테프론(Tefron)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지지롤러(68a)로써 지지된다.
한편, 하부케이스(54) 타측의 하부 영역에는 하부케이스(54)로 공급되는 1차로 건조된 슬러지 중 하부로 낙하되는 슬러지를 보관하여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보관부재(80)가 구비된다.
상기 슬러지보관부재(80)는 하부케이스(54) 타측 하부 영역과 연통되게 구비된 상부수직통(81)과; 상부수직통(81)의 하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하부수직연결통(82)과; 하부수직연결통(82)의 하단부에 연통되게 고정되고, 등간격으로 공간부(83a)가 형성된 수평안내홈(83)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걸림단(83b)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수평마감편(84)과; 수평마감편(84)의 공간부(83a)를 통과하여 수평안내홈(83) 상부에 하부가 밀착되고, 걸림단(83b)에 걸리게 되는 밀착날(86)이 상부 외주연에 형성되고, 내부에 슬러지가 보관되는 보관통(88)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관통(88)의 외주연 양단에는 손잡이(87)가 구비되어 보관통(88)을 안전하게 파지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54) 타측 영역에는 하부케이스(54) 내부에 발생되는 먼지 등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90)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장치(90)는 하부케이스(54) 타측 영역의 작업대(4)에 장착되고, 필터(91)가 장착된 흡입모터(92)와; 상기 슬러지보관부재(80)의 상부수직통(81)과 하부케이스(54) 사이에 연결된 외부공기관(93)과; 외부공기관(93)과 연통되게 연결된 내부공기관(94)과; 내부공기관(94) 단부에 연결되고, 슬러지이송컨베어벨트(68) 하부 영역에 위치되어 슬러지이송컨베어벨트(68)에서 발생되는 먼지 등이 포집되는 포집통(9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포집통(96) 상부에는 먼지 등이 유입되는 유입공(96a)이 형성된다.
한편, 마그네트론(2)의 전방 영역에 트랜스포머(3)가 각각 연결되어 마그네트론(3)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승격시키게 되고, 이러한 트랜스포머(3)의 전방에는 열을 식히기 위한 팬(3a)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케이스(24)(54) 내부에서 슬러지 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수증기포집장치(1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증기포집장치(100)는 트랜스포머(3) 하부 영역의 작업대(4)에 길이방향으로 연통되게 장착된 포집덕트(102)와; 포집덕트(102)와 상부케이스(24) 및 하부케이스(54) 사이에 연결되어 상,하부케이스(24)(54) 내부의 수증기를 포집덕트(102)로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수증기공급관(104)과; 포집덕트(102)의 타단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포집덕트(102) 내부의 수증기를 공급받아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106)로 이루어진다.
이때, 열교환기(106) 타단에는 블로워(108)가 장착되어 열교환기(106) 내부로 수증기를 공급하게 되고, 외주연에는 필터(107)가 장착되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106)와 수평고정파이프(46) 사이에는 열교환기(106)에 발생되는 열풍을 무축 스크류(32)로 공급하여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기 위한 열풍공급장치(120)가 구비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120)는 하부케이스(54) 타측 영역의 작업대(4)에 장착된 송풍기(121)와; 열교환기(106)와 송풍기(121) 사이에 연결되어 열교환기(106)의 열을 송풍기(121)로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기열풍공급관(122)과; 송풍기(121)와 연결소켓(45) 사이에 연결되어 송풍기(121)의 동작으로 열교환기(106)의 열풍을 수평고정파이프(47)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열공급관(12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고정파이프(47)에는 다수의 열풍유입공(124)이 관통 형성되어, 열풍이 슬러지로 직접 공급되어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수처리장, 각종 폐수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및 제지공장 등에서 발생한 함수율이 80% 정도 유지되는 슬러지를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10)를 구성하는 저장 호퍼(18)의 내부에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관되는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제어장치(200)를 조작하여 구동모터(12)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12)가 동작되고, 이 구동모터(12)의 회전력으로써 수평케이싱(17) 내부의 이송스크류(16)가 회전하게 되면서 저장 호퍼(18) 내부의 슬러지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슬러지가 슬러지공급관(19)을 따라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로 공급된다(도 4a, 도 4b 참조).
이와 같이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로 슬러지가 공급되면, 구동모터(37)의 구동력과 회전부재(40)의 회전력 및 지지력으로써 무축 스크류(32)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슬러지가 무축 스크류(32)를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케이스(24) 상부 영역의 마그네트론(2)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무축 스크류(32)는 양단이 회전연결축(43)과 연결소켓(45)에 고정수단(44)으로써 고정되고, 제1, 2외측베어링 사이의 회전연결축(43)과 연결소켓(45)에 삽입된 회전베어링(43a)(45a)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고정파이프(47)와 지지베어링(48)과 지지대(49)로써 지지되어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어 슬러지가 이송하게 된다(도 6 참조).
이와 동시에 상부케이스(24)에는 무축 스크류(32)의 날 사이에 위치되고, 날 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투입공(25)에 마그네트론(2)이 장착되어 무축 스크류(32)의 날 사이로 정확하게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됨에 따라 무축 스크류(32)를 따라 이송하는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게 된다.(도 5참조)
이때, 무축 스크류(32)의 날 사이가 넓게 구성되어, 경사투입공(25)을 통하여 조사되는 마그네트론(2)의 마이크로웨이브가, 공회전하는 무축 스크류(32)의 경사진 날 사이로 조사됨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무축 스크류(32)를 따라 이송하면서 1차로 건조가 이루어진 슬러지는 상부케이스(24)의 수직배출관(51)을 통하여 제2차슬러지 건조장치(50)를 구성하는 하부케이스(54) 내부로 공급된다. 즉, 하부회전축(66)과 이동회전축(67) 사이에 감겨지고, 구동모터(63)의 구동력과 지지롤러(68a)의 지지력으로써 이동하는 슬러지이송켄베어벨트(68) 상부로 공급된다(도 9a, 도 9b 참조).
이와 동시에 슬러지이송컨베어벨트(68)를 따라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송하면서 마그네트론(2)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2차로 건조가 이루어지고, 하부케이스(54) 타측의 외부배출관(5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처리된다. 이때, 슬러지는 함수율이 50% 정도 유지되어 부피가 절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한편, 슬러지이송컨베어벨트(68)에 대한 정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벨트장력조절장치(70)를 구성하는 조절장볼트(77)를 선택적으로 조이거나 풀게 되면, 장력이 조절된다(도 10 참조).
즉, 조절볼트(77)를 조이면(시계 방향) 외부고정판(75)의 가이드홈(74)을 따라 이동가이드판(76)이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벨트의 장력이 다소 느슨하게 되고, 반대로 조절볼트(77)를 풀면(반시계 방향) 외부고정판(75)의 가이드홈(74)을 따라 이동가이드판(76)이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벨트의 장력이 다소 팽팽하게 되나, 그 간격의 조절은 미미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1차로 건조된 슬러지가 하부케이스(54)로 공급중 하부로 떨어지는 슬러지는 하부케이스(54) 하부 영역의 슬러지보관부재(80)에 보관되어 처리된다.
즉, 슬러지는 하부케이스(54) 타측 하부 영역의 상부수직통(81)과 하부수직연결봉(82)을 통과하고, 하부수직연결봉(82)에 결합된 보관통(88) 내부로 신속하게 떨어져 보관된다.
이후, 보관통(88)의 손잡이(87)를 파지하고, 이를 일측으로 회전하여 보관통(88) 상부의 밀착날(86)이 수평마감편(84)의 공간부(83a)에 일치되도록 한 다음, 보관통(88)을 하방으로 분리하여 내부의 슬러지를 별도로 처리하게 된다.
다시 결합하기 위해서는 보관통(88) 상부의 밀착날(86)을 수평마감편(84)의 공간부(83a)를 통하여 삽입시킨 다음, 이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밀착날(86)의 하부가 수평마감편(84)의 수평안내홈(83) 상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걸림단(83b)에 걸리게 되는 결합이 유지된다.
한편, 1차로 건조된 슬러지에서 발생 되는 먼지 등이 포함된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2a,12b에서와 같이, 배기장치(90)를 구성하는 흡입모터(92)의 동작으로 먼지 등이 포함된 내부 공기가 포집통(96)의 유입공(96a)을 통하고 포집통(96)과 내부공기관(94) 및 외부공기관(93)을 통하여 필터(91)를 통과하면서 필터링 되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완전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상,하부케이스(24)(54) 내부에서 슬러지 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열교환기(106)로 포집하여 무축 스크류(32)를 따라 이송하는 슬러지로 직접공급하여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게 되고, 열풍은 다시 열교환기로 순환시키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수증기포집장치(100)를 구성하는 열교환기(106)타단의 블로워(108)의 동작으로 상부케이스(24) 및 하부케이스(54) 내부의 수증기는 상,하부케이스와 포집덕트 사이에 연결된 수증기공급관(104)을 통하여, 포집덕트(102)로 포집되어, 열교환기(106)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열풍공급장치(120)를 구성하는 송풍기(121)의 동작으로 흡입되어, 열교환기(106)와 송풍기(121) 사이에 연결된 열교환기열풍공급관(122)을 통하여 송풍기(121)로 공급되고, 송풍기(121)와 수평고정파이프(47) 사이에 연결된 송풍기열공급관(123)을 통하여 수평고정파이프(47)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수평고정파이프(47)에 형성된 다수의 열풍유입공(124)을 통하여 외부, 즉 슬러지 측으로 분출되어 슬러지의 건조율을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열풍은 다시 포집되어 재처리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이 슬러지 건조기로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순히 정수 또는 폐수처리장에서 나오는 슬러지의 건조에 사용하는 것에 국한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슬러지 형태의 피 건조물,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재활용, 녹말류, 글루텐 다당류 등의 건조분야, 각종 유해물질이 포함된 슬러지의 처리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발생한 슬러지 건조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슬러지 형상의 물질 또는 슬러지 형상의 물질의 건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 마그네트론 4 : 작업대
10 :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 20,50 : 제1, 2차슬러지 건조장치
22 : 투입구 24 : 상부케이스
25 : 경사투입공 30 : 상부 슬러지 이송수단
32 : 무축 스크류 34 : 상부스포켓
35 : 체인 36 : 스프로켓
40 : 회전부재 41,42 : 외측베어링
43 : 회전연결축 43a,45a : 베어링
45 : 연결소켓 47 : 수평고정파이프
48 : 지지스프링 49 : 지지대
54 : 하부케이스 100 : 수증기포집장치
102 : 포집덕트 104 : 수증기공급관
106 : 열교환기 120 : 열풍공급장치
121 : 송풍기 122 : 열교환기열풍공급관
123 : 송풍기열공급관 124 : 열풍유입공
200 : 제어장치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하수처리장, 각종 폐수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및 제지공장 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저장하여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10);
    상기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받은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가 공급되는 투입구(22)가 구비되고, 상부 전영역에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는 마그네트론(2)이 장착되며, 작업대(4) 상부 영역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부케이스(4)와; 상기 상부케이스(24) 양단에 회전부재(40)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슬러지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연장 형성된 무축 스크류(32)와, 상기 회전부재(4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상부스프로켓(34)과, 상기 상부스프로켓(34)과 대응되게 축설되어 체인(35)으로써 연결된 모터스프로켓(36)이 축설되고, 작업대(4) 상부 영역에 장착된 구동모터(37)로 이루어진 상부 슬러지이송수단(30)으로 구성된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
    상기 제1차슬러지 건조장치(2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1차로 건조된 슬러지를 공급받아 2차로 건조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차슬러지 건조장치(50); 및
    상기 슬러지보관 및 공급장치(10), 제1,2차슬러지 건조장치(20)(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200)로 구성된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4)는
    상기 무축 스크류(32) 사이에 위치되는 동시에 날 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진 경사투입공(2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경사투입공(25)에 마그네트론(2)을 장착하여 무축 스크류(32)의 날 사이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차슬러지 건조장치(20)(50)에서 슬러지 건조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수증기포집장치(100)를 구비하되,
    상기 수증기포집장치(100)는 작업대(4) 상부 영역의 길이방향으로 연통되게 장착된 포집덕트(102)와;
    상기 포집덕트(102)와 상기 제1,2차슬러지 건조장치(20)(50)의 상부케이스(24) 및 하부케이스(54) 사이에 연결되어 상,하부케이스(24)(54) 내부의 수증기를 포집덕트(102)로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수증기공급관(104)과;
    상기 포집덕트(102)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포집덕트(102) 내부의 수증기를 공급받아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106)와;
    상기 열교환기(106) 타단에 장착되어 열교환기(106) 내부로 포집덕트(102)의 수증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블로워(10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06)와 상부케이스(24) 사이에 열교환기(106)에 발생되는 열풍을 상부케이스(24) 내부의 무축 스크류(32)로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장치(120)를 구비하되,
    상기 열풍공급장치(120)는 하부케이스(54) 타측 영역의 작업대(4)에 장착된 송풍기(121)와;
    상기 열교환기(106)와 송풍기(121) 사이에 연결되어 열교환기(106)의 열을 송풍기(121)로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기열풍공급관(122)과;
    상기 송풍기(121)와 수평고정파이프(47) 사이에 연결되어 송풍기(121)의 동작으로 열교환기(106)의 열풍을, 상부케이스(24) 내부의 수평고정파이프(46)에 형성된 열풍유입공(124)을 통하여 슬러지로 직접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열공급관(1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KR1020100057622A 2010-06-17 2010-06-17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KR101038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22A KR101038412B1 (ko) 2010-06-17 2010-06-17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22A KR101038412B1 (ko) 2010-06-17 2010-06-17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412B1 true KR101038412B1 (ko) 2011-06-01

Family

ID=4440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622A KR101038412B1 (ko) 2010-06-17 2010-06-17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767B1 (ko) * 2012-02-03 2013-07-30 주식회사 엠투 고함수율 슬러지 건조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823A (ko) * 2001-09-04 2003-03-1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 방향족 디아민 및 그의 폴리이미드
KR200320823Y1 (ko) 2003-04-16 2003-07-22 홍영기 슬러지 건조장치
KR100539413B1 (ko) * 2005-10-04 2006-01-10 주식회사 정우 엠 에스 슬러지 건조 방법 및 장치
KR20060091852A (ko) * 2005-02-16 2006-08-22 조선덕 슬러지의 건조 장치
KR100792689B1 (ko) * 2006-06-22 2008-01-09 김창성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823A (ko) * 2001-09-04 2003-03-1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 방향족 디아민 및 그의 폴리이미드
KR200320823Y1 (ko) 2003-04-16 2003-07-22 홍영기 슬러지 건조장치
KR20060091852A (ko) * 2005-02-16 2006-08-22 조선덕 슬러지의 건조 장치
KR100539413B1 (ko) * 2005-10-04 2006-01-10 주식회사 정우 엠 에스 슬러지 건조 방법 및 장치
KR100792689B1 (ko) * 2006-06-22 2008-01-09 김창성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767B1 (ko) * 2012-02-03 2013-07-30 주식회사 엠투 고함수율 슬러지 건조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689B1 (ko)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KR101607551B1 (ko) 초고속 기류를 이용한 슬러지 저온건조장치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100967433B1 (ko) 톱밥 건조 장치
KR100852024B1 (ko)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건조장치
KR101423236B1 (ko) 음식물 폐기물의 파쇄, 탈수 및 건조장치
CN104044226A (zh) 一种塑料粒子干燥机
WO2024051866A1 (zh) 一种工业用粉末物料的微波加热干燥设备
KR100966104B1 (ko) 마이크로웨이브와 방열판을 이용한 스크류식 연속 건조장치
CN212512219U (zh) 一种铁颗粒加工滚筒耐火干燥设备
KR101038412B1 (ko)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KR101012269B1 (ko) 마이크로웨이브와 무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기
KR10113564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20060056295A (ko)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50102986A (ko) 슬러지 건조시스템
KR200425258Y1 (ko)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CN215447226U (zh) 一种膨润土烘干机内部结构
KR100437874B1 (ko)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20110027286A (ko) 슬러지 건조 및 압축 장치
CN210419692U (zh) 一种污泥减量化处理装置
CN213273661U (zh) 一种电气自动化物料输送装置
KR20060117617A (ko) 폐기물 건조장치
KR20190029930A (ko)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CN203919447U (zh) 一种塑料粒子干燥机
CN105953557A (zh) 一种节能塑料粒子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